KR101982173B1 - 착탈식 다국적 충전기를 갖는 유무선 보조배터리 - Google Patents

착탈식 다국적 충전기를 갖는 유무선 보조배터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2173B1
KR101982173B1 KR1020170069826A KR20170069826A KR101982173B1 KR 101982173 B1 KR101982173 B1 KR 101982173B1 KR 1020170069826 A KR1020170069826 A KR 1020170069826A KR 20170069826 A KR20170069826 A KR 20170069826A KR 101982173 B1 KR101982173 B1 KR 101982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d
wireless
charging device
charger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9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3173A (ko
Inventor
안호성
Original Assignee
안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호성 filed Critical 안호성
Priority to KR1020170069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173B1/ko
Publication of KR20180133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8Cells or batteries combined with indicating means for external visualization of the condition, e.g. by change of colour or of light density
    • H01M2/102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8Modular batteries; Casings provided with means for assemb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96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erminals of battery p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7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reduction of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leakage fiel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02J2007/006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착탈식 다국적 충전기를 갖는 유무선 보조 배터리에 있어서, 임의 멀티플러그 어댑터와 나합 또는 분리가 되고, 회동 이 이루어지는 전원플러그를 내장하고 AC-DC컨버터 모듈을 포함한 충전디바이스, 그리고 유무선 출력서킷모듈과 멀티 입출력 단자들을 구비한 유무선 배터리 디바이스를 상호 마그네틱에 의한 자력으로 사용 환경과 여건에 따라 자착과 탈리가 이루어져, 상기 각 기능을 갖는 복수 디바이스가 유니버설 방식으로 콤팩트하게 어셈블리 보디로 올-인원 되어, 실시 예에 따라 스마트 디바이스들 간의 다양한 연출로 시너지효과가 극대화 된다.

Description

착탈식 다국적 충전기를 갖는 유무선 보조배터리 {Wired and wireless auxiliary battery with detachable multinational charger}
본 발명은 착탈식 다국적 충전기를 가지는 유무선 보조배터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스마트 디바이스의 필수불가결한 요소인 충전기와 유무선 보조배터리 그리고 다국적 멀티전원플러그의 각 구성요소를 최적화로 어셈블리한 유니버설(Universal)타입으로 사용 환경여건과 니즈에 따라 구성요소간의 결합 또는 분리가 이루어져 휴대 보관 및 이동 중 사용상의 편리를 극대화시킨, 착탈식 다국적 충전기를 갖는 유무선 보조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디바이스라 함은 스마트폰과 태블릿 PC 그리고 이와 블루투스 (Bluetooth)로 연동되는 웨어러블(Wearable) 기기인 스마트워치, 헬스케어-밴드형기기, AV디바이스인 카메라, 블루투스 스피커 및 이어폰들과 또한 각종 IoT 유닛들로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하게 세분화되고 트렌드화 되어 점차 그 영향력이 확대되고 있다.
더불어 초고속 대용량 무선통신으로 유비쿼터스(Ubiquitous) 환경에 적합 하게 여행이나 레저, 페스티벌 등 야외활동과 영화, 사진, 음악감상, 게임 등 다양한 콘텐츠 문화취미활동의 다양한 기능들로 발전되고 있으나, 이들 모두의 공통난제인 한정된 배터리성능과 효율은 아직까지 첨단기술로도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주지의 사실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자구책으로 보조배터리와 충전기, 그리고 멀티전원 플러그 기기들을 항시 모두 구비하거나, 별도로 휴대 및 보관하여 사용한다는 것이 매우 번거로울 뿐 아니라, 분실과 파손우려 등 관리에도 신경이 쓰이게 된다.
현실적으로 사회생활문화 밀착형 스마트 디바이스들과 단 한 순간이라도 외면된다는 것은 상상할 수도 없는 유비쿼터스 환경이 도래하여 적응할 수밖에 없으므로, 출 퇴근 시나 업무 시, 그리고 국내외 출장이나 여행 시에도 실시간으로 항시 동반 휴대하지 않을 수 없고, 설령 번거로운 충전기를 구비하지 않으면 무겁고 투박한 대용량의 과잉 보조배터리를 휴대해야 하고, 더구나 해외여행 시에는 반드시 충전기와 더불어 멀티전원 플러그기기까지 필수로 구비까지 해야만 한다.
현재까지의 기술로는 일부 차선책으로 퀵차지 방식 충전기와 10~100W 정도의 다양한 용량의 퀵차지 방식 보조배터리까지 출시하고 있으나, 사용자가 임의 일정에 따른 사용여건에 따라 중소형 배터리용량 여러 개를 사전 구비하여 그 중 일부를 사용하므로 비용낭비와 중금속에 의한 환경공해가 초래되고, 설령 대용량의 보조배터리를 구비한다 하더라도 그 부피와 무게로 사용상의 거부감도 크다.
더 나아가 기본적으로 보조배터리 충전을 위해서는 충전기를 항시 준비하여 별도 보관해야 하며, 심지어 해외여행 시에는 반드시 멀티전원 플러그기기까지 구비하던가, 아니면 해외현지에서 추가구입까지 감수해야 하므로, 아무리 다양한 형태의 디바이스들이 존재한다 하더라도, 보조배터리와 충전기 그리고 투박한 멀티전원 플러그기기까지 별도 추가 구비하여 사용한다는 것 자체가 근본적 문제해결은 되지 못하는 것이다.
아울러, 국내외 일부 선행기술들에 있어 충전기와 보조배터리를 조합한 기술들이 있으나, 기술구성 적정여부를 떠나 반드시 사용자가 충전기를 매번 휴대 할 필요성이 없다는 것에 대한 현실적 난제에 직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충전기와 보조배터리 그리고 멀티전원플러그 각 구성기기들을 스마트기기 사용자가 유비쿼터스 환경에 적합하게 최적화할 수 있게 각 기기별 결착과 탈리가 가능하도록, 사용상의 편리성과 효율성을 갖게 하고 그리고 휴대와 보관의 용이성과 더불어 각 구성기기들의 분실방지와 내구성을 향상시켜 비용절감과 관리재고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회동되는 전원플러그가 구비된 충전디바이스와 안정화 회로가 내장된 보조배터리디바이스가 상호 필요에 따라 착탈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이동 중 휴대 및 사용 그리고 보관 및 관리 용이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충전디바이스 전원플러그의 임의 멀티플러그 어댑터를 필요에 따라 해리하고, 신규 멀티플러그 어댑터와 나합하여 임의형태 전원플러그의 새로운 충전디바이스로 구성하여 간편성과 효율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각 디바이스의 구성요소들을 착탈은 물론 필요에 따라 해리 및 나합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분실방지와 각 구성요소 별 내구성 향상을 도모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보조배터리 전원출력방식이 유선 및 무선 그리고 일반과 급속 충 방전 등 더블 듀얼(Double dual)방식 입출력이 가능 하고, 또한 복수 다기능 유선전원단자 및 젠더가 일체로 겸설 및 내장되어, 상기 제반 구성요소 들간의 조합에 따른 시너지로 비용절감과 관리재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착탈식 다국적 충전기를 갖는 유무선 보조배터리는,
상기 충전디바이스 상부에 내장된 AC-DC컨버터모듈 및 외부로 연결된 좌우 한 쌍의 출력요홈단자 및 그 하부에 임의 회전각으로 회동되는 전원 플러그;
상기 전원플러그 상부 좌 우측으로 돌출된 회동중공돌주 한 쌍 및 기단 내측에 탄성도체를 포함한 좌우 한 쌍의 전원돌기단자 및 기단 중심에 일측 방향으로 돌출된 세로 장방형의 나합돌부 및 그 돌부와 나합되는 복수의 기능을 포함하는 다종의 멀티플러그 어댑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다종의 멀티플러그어댑터 상단 중심에 가로 횡 방형의 나합 요부 및 그 좌우 한 쌍의 전원단자요홈 및 상기 전원플러그 전원돌기단자 들과 나합돌부에 의해 상호체결 나합되어 임의형태로 변환되는 전원플러그를 포함하는 다국적 충전디바이스; 및
상기 유무선 배터리디바이스 상부에 내장된 유 무선출력 서킷모듈 및 외부로 연결된 감삽요부 상단 좌우 한 쌍의 입력돌기단자 및 그 하부에 각기 보조 배터리 유닛과 적층되어 연설된 무선송출코일-코아유닛;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착탈식 충전디바이스를 유무선 배터리 디바이스와 탈리하여 임의 멀티플러그 어댑터가 외부로 노출되면 이를 상용교류 전원콘센트에 삽입하고,
임의 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유무선 배터리디바이스와 충전디바이스 상단을 상호대응 결착시킴에 따라 각기 N극 및 S극 한 쌍씩으로 각기 내설된 제1 및 제2 마그네틱 (Magnetic)의 자력에 의해 요지부동 자착됨과 동시에, 상기 입력돌기단자와 상기 출력요홈단자 들간의 상호대응 접속으로 직류출력 전기가 유무선 배터리디바이스에 인가되어 충전이 이루어진다.
상기 완충된 유무선 배터리디바이스는 단독으로 휴대하여 사용가능하고 또는 외부 일정에 따라 임의 완충용량 이상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분리 방식의 역순으로 충전디바이스를 결착하여 올인원(all in one)된 어셈블리 보디형태로 휴대하여 필요시 다양한 응용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유무선 배터리디바이스 측면에는 마이크로 5핀과 라이트닝 8핀 겸용 배터리출력단자 및 USB-C형 출력단자 젠더(zender)도 겸설되어 있어, 모든 스마트 디바이스의 유선 충전이 가능할 뿐 아니라, 점차 확대되고 있는 무선충전 방식 스마트 디바이스들도 무선송출코일-코아유닛에 의해 무선충전이 제공된다.
상기 충전디바이스에도 추가로 외부 직류출력용 5-8핀 겸용 충전디바이스 출력단자와 및 USB출력단자가 복합 내장되어 있어 스마트 기기에 직접 연결하여 충전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해외여행 시 상기 전원플러그 하단 연결부에 임의 멀티플러그 어댑터를 교체 장착하면 전 세계 180여 개국 해당국가 콘센트 및 전원규격에 맞는 해당 충전디바이스 기능이 제공되므로, 별도의 멀티전원플러그기기 없이도 간편하게 휴대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착탈식 다국적 충전기를 갖는 유무선 보조배터리는 배터리와 충전기 그리고 멀티전원플러그기기들 간에 요구되는 상호 필수불가결한 보완 기능적 역할 등이 충실하게 제공되어 상기 복수의 기능을 인체 공학적으로 콤팩트(Compact)하게 어셈블리 보디로 올인원 (all in one)된 필요에 따라 유비쿼터스(Ubiquitous)환경의 언제 어디서든 최적화될 수 있는 유니버설(Universal)타입으로, 실생활에서 응급상황에 이르기까지 필수 보험과도 같이 사용자에게 다양한 편의와 이익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스마트디바이스 사용 환경과 여건에 따라 상호 조합하여 충전디바이스와 유무선 배터리디바이스가 일체로 결착되거나 탈리되어 용도에 맞게 휴대 가능하여 매우 간편하게 효율적 사용이 가능하고, 분실의 부담과 보관의 번거로움이 없으며, 중소용량 배터리 휴대로 인한 불안감도 없다.
아울러 대용량의 크고 무거운 보조배터리를 휴대해야 하는 거부감과 환경공해도 없으며, 더구나 세계화(Globalization)시대에 있어 실시간으로 지상공중에 약 120여만 명의 승객이 항상 항공기에 탑승하고 있고 그래서 이들 모두가 반드시 멀티전원플러그기기를 휴대하고 이륙하지 않아도 되므로, 상기와 같이 기 출시된 제품들의 사용과 보관 그리고 관리상의 폐 단점 모두를 일시에 극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중 하나에 따른 착탈식 다국적 충전기를 갖는 유무선 보조배터리를 나타낸 전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중 하나에 따른 착탈식 충전디바이스와 유무선 배터리디바이스가 탈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중 하나에 따른 착탈식 충전디바이스가 탈리되고 콘센트에 삽입되어 복수출력단자들에 의해 배터리디바이스가 충전되는 방식을 예시한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중 하나에 따른 착탈식 충전디바이스와 유무선 배터리디바이스가 제1 및 제2 마그네틱에 의해 상호대응 자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중 하나에 따른 유무선 배터리디바이스의 각 출력에 따라 해당 스마트디바이스들이 유무선 방식으로 동시에 충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원플러그 하단에 복수 다종의 멀티플러그어댑터 중 택일하여 나합되는 것을 나타낸 사용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원플러그의 나합돌부와 멀티 플러그 어댑터의 나합요부가 상호체결로 나합되는 작용이 예시된 확대배면도;
도 8a 도 7의 A-A 절개하여 전원플러그의 나합돌부와 멀티플러그 어댑터 나합요부가 상호간 감삽된 것을 예시한 확대횡단면도;
도 8b는 도 7의 B-B를 절개하되 멀티플러그 어댑터가 임의방향으로 회전 체결되어 나합된 것을 예시한 확대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중 하나에 따른 착탈식 충전디바이스 전체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중 하나에 따른 전원플러그 전체분해사시도;
도 11의 a, b, c 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중 하나에 따른 충전디바이 스에 내설된 전원플러그가 임의방향 및 각도로 회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작용설명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중 하나에 따른 유무선 배터리디바이 스 전체분해사시도;
도 13의 a, 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착탈식 충전디바이스 및 유무선 배터리디바이스의 확대배면도 및 평면도;
도 14는 도 13 a, b의 C-C'와 D-D' 를 각각 절개하여 상호 N극 및 S극 마그네틱에 의해 자착되고 각 입력돌기단자가 해당 탄삽요홈에 상호 탄착되는 과정을 나타낸 확대 횡단면도;
도 15의 a, 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유무선 배터리디바이스 및 착탈식 충전디바이스의 확대평면도;
도 16은 도 15a, b의 E-E'와 F-F'를 각각 절개하여 상호 N극 및 S극 마그 네틱에 의해 자착되고 각 입출력단자들이 상호 접속되는 과정을 나타낸 확대횡단면도;
도 17의 a, 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A형 멀티플러그 어댑터 가 조립되는 것이 투사되어 예시된 확대분해사시도 및 확대배면도;
도 18의 a, 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B형 멀티플러그 어댑터 가 조립되는 것이 투사되어 예시된 확대분해사시도 및 확대배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C 및 D형 멀티플러그 어댑터의 조립되는 것이 투사되어 예시된 확대분해 작용설명도;
도 20의 a, 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C형 및 D형 멀티 플러그 어댑터의 확대배면도; 그리고
도 2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중 하나에 따른 충전디바이스 및 유무 선 배터리디바이스의 전체 전기전자회로계통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 및 대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도면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가진다'와 '가질 수 있다' 또한 '포함한다' 와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인 기능 동작 또는 부속품들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A, B 등에 있어' 와, 또는, '적어도 하나', '그 이상'의 표현들은 함께 나열된 항목의 모든 가능한 A, B 조합들을 포함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또는 '첫째, 둘째' 등의 표현은 순서 및 중요도를 지칭하지 않으며 상대적인 구성요소로 구분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지 아니하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 할 수 있으며,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 기술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디바이스는 '일반, 급속(퀵차지 2.0/3.0) 충전방식'과 '대 중 소 충전출력'이 포함되며, 함께 내장 설계되는 출력안정화 및 보호회로모듈의 구비를 기본으로 한다.
그리고 유무선 배터리디바이스는 '일반 및 급속충전(Quick Charge)' 및 '급속방전 (Quick Recharge)기능'을 포함하며, 입출력단자는 마이크로 5핀 및 라이트닝 8핀의 단독 및 겸용, 그리고 USB A형-C형 단자 및 젠더 등 국제표준 규격에 따른 부재들로 겸설되는 것을 포함하며, 충방전안정화 회로모듈의 구비를 기본으로 한다.
또한, 멀티플러그어댑터는 전 세계 전원규격 및 콘센트 형태에 따라 13종으로 상용화되어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복합 응용형태를 고려하여 크게 4가지만을 구성하고 있으나, 그 이상 모두를 포함한다.
아울러 충전디바이스와 배터리디바이스 상호간의 착탈은 본 실시 예 중 하나에 따른 N극 및 S극들의 제1 및 제2 마그네틱의 상호 순방향 자력으로 자착과 탈리되는 것으로 구성하고 있으나, 수없이 많은 경우의 수에 따른 메커니즘적 구성요소로 다양한 결착구조가 가능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플러그 어댑터(300)는 A형 멀티플러그 어댑터(310), B형 멀티플러그 어댑처(320), C형 멀티플러그 어댑터(330a) 및 D형 멀티플러그 어댑터(330b)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중 하나에 따른 각 디바이스 상호간의 결착 및 분리된 사시도로 나타낸 바와 같이, 충전디바이스(100)는 회동되는 전원플러그(200) 및 이 전원플러(200)의 하단에 나합되는 임의 멀티플러그 어댑터(300)를 포함한다. 유무선 배터리디바이스(400)는 사용 환경에 따라 상기 충전디바이스(100)와 자착과 탈리가 가능한 구조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디바이스(100)의 상 하단에 각기 내설된 S극 및 N극 제1마그네틱(140a,140b,140c,140d)과 유무선 배터리디바이스(400)의 상단 좌우에 내설된 N극 및 S극 제2마그네틱(450a, 450b)의 상호간의 순방향 자력작용에 의해, 상기 충전디바이스(100)와 상기 유무선 배터리디바이스(400)가 서로 자착과 탈리가 가능한 구조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플러그(200)와 멀티플러그 어댑터(300)를 유무선 배터리디바이스(400) 내에 수납시켜서 충전디바이스(100)와 유무선배터리디바이스(400)를 결합하는 경우에는, 충전디바이스(100)의 제1마그네틱(140a,140b,140c,140d) 중 전원플러그(200)쪽에 위치하는 제1마그네틱(140a,140b)이 유무선 배터리디바이스(400)의 제2마그테틱(450a,450b)에 자착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중 하나에 따른 이미 탈리된 상기 충전디바이스(100)가 도시된다. 상기 충전디바이스(100)의 전원플러그(200)를 임의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용전원콘센트에 삽입하면, 일 측에 내설된 충전디바이스 출력단자(122), 상기 충전디바이스(100) 중심에 내설된 USB 출력단자(121) 및 감삽마운드(160) 외주연 좌우측에 감합되어 내설된 출력요홈단자(161a,161b)로 부터 각기 정해진 일반 및 급속충전방식의 직류출력이 3가지 출력경로 중 적어도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복수경로에 의해 출력인가가 이루어지게 구성된다.
상기 유무선 배터리디바이스(400)의 상단 중심의 감삽요부(440) 내주연 좌우측에는 입력돌기단자(430a,430b)가 감합되어 내설된다. 상기 유무선 배터리디바이스(400)의 입력돌기단자(430a,430b)와 상기 충전디바이스(100)의 출력요홈단자(161a,161b)가 상호대응 접속되어 자착되면, 상기 충전디바이스(100)의 상단 좌우측(전원플러그(200)에 대향하는 쪽)에 각기 내설된 S극 및 N극 제1마그네틱 (140c,140d)과 상기 유무선 배터리디바이스(400)의 상단 좌우측에 내설된 N극 및 S극 제2마그네틱(450a,450b)이 상호간의 순방향 자력으로 자착이 이루어진다(도 4 참조). 이때 상기 감삽마운드(160)와 상기 감삽요부(440)는 상호간의 감삽이 이루어지며, 상기 출력요홈단자(161a,161b)에 상기 입력돌기단자(430a,430b)가 동시에 탄착되면서 접속되어 도통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상기 유무선 배터리디바이스(400)에 일반 및 급속으로 충전이 이루어진다.
아울러 유무선 배터리디바이스(400) 감삽요부(440) 중심하단에 매입된 마이크로 입력단자(421)에 상기 충전디바이스 출력단자(122)가 연결되어 충전되거나 또는 별도의 케이블 (가상선으로 표시)에 의해 상기 USB 출력단자(121)가 연결되어 충전된다. 즉, 본 발명의 충전디바이스(100)의 복수의 충전 경로방식 모두가 포함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별도 외부 충전기(미 도시)로부터 유무선 배터리디바이스(400)에 충전이 인가되도록 하여 주위 모든 충전기들로부터 충전이 이루어지게 구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상기 도 3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유무선 배터리디바이스(400)를 탈리하여 상기 충전디바이스(100) 상단 좌우측(전원플러그(200)에 대향하는 쪽)의 S극 및 N극의 제1마그네틱(140c,140d)과 상기 유무선 배터리디바이스(400) 상단 좌우측의 N극 및 S극의 제2마그네틱(450a,450b)에 의해 상호 N극과 S극 순방향자력으로 자착하여 겸설된 상기 충전디바이스 출력단자(122)를 사용하지 않거나, 혹은 별도 외부 충전케이블 없이도 다이렉트 충전이 제공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중 하나에 따른 다양한 스마트디바이스 중 대표 웨어러블 디바이스인 손목시계를 상기 유무선 배터리디바이스(400) 상면에 위치하면 그 이면에 내설된 가이드 마그네틱(475) 자착력으로 인해 바른 위치로 안착되어 효율적 무선충전이 가능하게 되고, 아울러 상기 출력단자(422)로는 또 다른 스마트디바이스인 스마트 폰도 동시에 유선으로 충전이 이루어진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중 하나에 따른 충전디바이스(100)의 전체분해 사시도가 도시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충전디바이스(100) 상측에는 AC-DC컨버터모듈(110)을 내장함에 있어, 그 중심에 USB 출력단자(121)가 포함되고, 일 측에 출력단자 케이블(123)과 연설된 충전디바이스 출력단자(122), 및 그 출력단자(122) 단부가 푸시풀 모듈(124)에 형성된 모듈 슬롯(125)에 감삽되어, 상기 출력단자가 푸시풀 방식으로 상기 충전디바이스로(100)부터 자동인출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충전디바이스(100) 하측으로 전원플러그(200)를 내장함에 있어, 상기 전원플러그(200) 좌우측에 돌설된 회동중공돌주(240a,240b) 외주연에 각기 적어도 하나이상의 텐션 슬롯(241a,241b)과 회동 스토퍼(242a,242b)를 형성한다. 상기 충전디바이스 상하부케이스(101a,101b)를 결합 시 좌우측 상하 회동요부(130a,130b)에 의해 형성되는 환상의 회동요홈에 회동중공돌주(240a,240b)가 감삽되어 회동이 이루어지게 하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동제한요홈(131a,131b,131c)을 포함하여 상기 전원플러그(200)가 임의방향 및 각도만큼 회동이 이루어지게 구성된다.
상기 충전디바이스(100) 상단 중심에 감삽마운드(160)가 형성됨에 있어 좌우 외주연에 단자감합요부(162a,162b)가 요설되어 출력요홈단자(161a,161b)의 감합이 이루어지게 되고, 그 중심에 요설된 USB 출력단자요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충전디바이스(100) 상 하단 좌우측에 각기 N극 및 S극 제1마그네트(140a,140b,140c,140d)들의 감합이 이루어지도록 마그네틱 감합요홈(141a,141b,141c,141d)을 형성하여, 상기 유무선 배터리디바이스(400)와 N극 및 S극 순방향 자착이 이루어지게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충전디바이스 상하부케이스(101a,101b) 전 후면부 일부분에 논슬립 요철부(102)가 형성되어 그립감이 제공되고, 임의 중심부에 LED 작동심볼표시등(103)이 형성되어 작동상태 여부와 아울러 생산업체 로고를 심볼화 하여 광고효과 등의 입체 시각적인 정보가 제공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중 하나에 따른 전원플러그(200) 전체분해 사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원플러그(200) 하단 중심에 외측으로 나합돌주(232)와 연설되어 양 단부에 괘지돌기(231a,231b)가 형성된 장방향의 나합돌부(230)가 형성 된다
상기 나합돌부(230) 좌우측에 플랜지형 전원돌기단자(210a,210b)가 구성됨에 있어, 그 내측으로 탄성도체의 하우징(220a,220b)이 형성되고, 연결전선(미 도시)과 결속되는 연결단자(212a,212b)를 포함하는 탄성도체(211a, 211b)가 내설되어, 상기 전원돌기단자(210a,210b)가 탄성력을 갖게 된다. 탄성도체의 하우징(220a,220b)의 전방 측으로 돌기인출요홈(222a, 222b)이 형성되고 후방 측으로 인출요홈(221a,221b)이 형성되어, 상기 전원돌기단자(210a, 210b)는 전후방 탄력적으로 유동되고, 상기 인출요홈(221a,221b)으로는 연결단자(212a,212b)가 인출되어 연결전선과 결속이 이루어지게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전원플러그 상 하부케이스(201a,201b) 외면에는 논슬립 요철부(102)가 형성되어 그립감이 제공된다.
도 6, 도 7,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중 하나에 따른 전원플러그(200) 하단의 나합돌부(230)와 임의 선택된 멀티플러그 어댑터(300) 상단의 나합요부(301)가 상호 나합되는 것을 예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멀티플러그 어댑터(300) 상단 중심에 횡 방향 나합요부(301)를 형성하되 그 상단에 괘지턱(302a,302b)이 양측으로만 형성되고, 전원단자요홈(303a,303b)은 상기 나합요부(301) 좌우측에 요설된다.
상기 나합돌부(230)는 임의 측 장 방향 형태이고 일 방향 양측에만 괘지돌기(231a,231b)가 형성되고, 상기 나합요부(301)는 임의 상대 측 횡 방향 형태이고 일 방향 양측에만 괘지턱(302a,302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나합돌구(230)와 상기 나합요부(301)를 상호 직각으로 엇갈리게 나합하여 회전시키면 상호 상기 괘지돌기(231a,231b)가 상기 괘지턱(302a, 302b)에 자연스럽게 나사가 체결되듯이 나합됨과 동시에, 상기 전원돌기단자(210a, 210b)는 상기 전원단자요홈(303a,303b)에 임의 탄발력을 가지며 찰깍하면서 탄착 하게 된다.
도 11a, 도 11b 및 도 11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중 하나에 따른 충전디바이스(100)에 내장된 전원플러그(200)가 임의방향 및 각도로 회동되는 상태가 작용설명도로 도시된다. 도 11a, 도 11b 및 도 1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전원플러그(200)는 상기 충전디바이스(100)와 수평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임의 상 하 방향으로 임의 각도로 회동이 된다.
상기 전원플러그(200) 회동중공돌주(240a,240b) 외주연에 돌설된 회동스토퍼(242a,242b)가 상기 충전디바이스(100) 임의 회동제한요홈(131a,131b,131c)을 이탈하면서 동시에 상기 회동중공돌주(240a,240b) 임의 측에 하나 이상 타공된 텐션슬롯(241a,241b)에 의해 중심 측으로 수축되면서 임의 텐션을 유지하며, 임의 방향에 요설된 하나 이상의 상기 회동제한요홈(131a,131b,131c)에 재차 선택 감삽되어 각도 및 형태가 유지되며 이의 단속이 이루어진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중 하나에 따른 유무선 배터리디바이스의 전체분해 사시도이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무선 배터리디바이스(400)의 상측에는 유무선출력 서킷모듈(410)을 내장하고 임의 측에 각기 전원버튼(420)과 마이크로 입력단자(421)를 포함한다. 유무선 배터리디바이스(400)의 일측에는 출력단자 케이블(423)과 연설된 배터리디바이스 출력단자(422) 및 그 출력단자 단부가 푸시풀 모듈(124)에 형성된 모듈슬롯(125)에 감삽되어 상기 출력단자(422)를 푸시풀 방식으로 상기 유무선 배터리디바이스(400)로부터 탄발력으로 자동인출이 되고, 상기 배터리디바이스 출력단자(422)의 하측에 출력단자 젠더(424)를 추가 겸설하여, 일반적 스마트 디바이스의 입력단자규격에 제한을 받지 않는 충전기능이 제공된다.
상기 유무선 배터리디바이스(400)의 상단 중심에 감삽요부(440)가 형성됨에 있어, 좌우 내주연에 돌기단자요부(442a,442b)가 요설되고, 임의 탄성력이 제공되는 단자탄성도체(431a,431b)를 포함하는 입력돌기단자(430a,430b)가 감합되고, 그 중심에는 마이크로 입력단자요부(441)와 임의 형상의 전원단자 삽입요부(443)가 형성된다. 상기 유무선 배터리디바이스(400)의 상단 좌우측에 각기 N극 및 S극 제2마그네트(450a,450b)의 감합이 이루어지도록 마그네틱 감합요홈(451a,451b)을 형성하여, 상기 유무선 배터리디바이스(400)의 제2마그네트(450a,450b)가 상기 충전디바이스(100)의 상단 및 하단에 내설된 제1마그네틱(140a,140b; 140c,140d)과 필요에 따라 순방향으로 자착이 이루어지게 구성된다.
상기 유무선 배터리디바이스(400)의 하측에 유무선출력 배터리모듈이 내장됨에 있어, 그 하부케이스(401a) 기저면에 임의 배터리 용량을 가지는 배터리 유닛(460) 및 그 상면에 연이어 무선송출코일-코아유닛(470)을 연설한다. 무선전력송출 시 송출코일(471)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의 차폐 및 발열을 단열하기 위하여 차폐 코아(472) 및 발열단열재(473) 그리고 그 중심에 가이드 마그네틱(475)이 다중 복합적 구성으로 이루어져 효율성과 오작동 및 내구성이 제고되고, 외부 스마트 디바이스들의 충전위치도 보다 안정화되는 등 출력선택에 따라 유선 및 무선 그리고 동시에 유무선 출력제공 등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게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유무선 배터리디바이스(400) 상면 중심에는 충 방전상태표시 등(402)이 형성되어 충 방전의 진행 정도가 시각적으로 제공된다.
도 13a, 도 13b 및 도 14를 참조하면, 각각 C-C'와 D-D'를 절개하여 상호 N극 및 S극 제1 및 제2마그네틱(140a,140b,450a,450b)들의 자력에 의해 순방향으로 상호 자착됨과 동시에, 입력돌기단자(430a,430b)가 해당 탄삽요홈(304a,304b)에 탄착되는 과정을 확대 횡단면도로 나타낸다. 도 13a, 도 13b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충전디바이스(100)의 하단(전원플러그(200) 측) 좌 우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1마그네틱(140a,140b)은 S극 및 N극으로 자력을 제공하고 상기 유무선 배터리디바이스(400) 상단 좌우측에 형성 되어 있는 제2마그네틱(450a,450b)은 N극 및 S극으로 각각 자력이 제공되어 상호 순방향 자력으로 자착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멀티플러그어댑터(300)가 상기 감삽요부(440) 내주연을 따라 슬라이딩 감삽되면서, 그 상측 외주연 좌우측에 요설된 탄삽요홈(304a,304b)에 상기 감삽요부(440) 내주연 좌우측에 형성된 입력돌기단자(430a,430b)가 찰깍하며 탄착되어, 일정한 압력으로 상호 감합된다.
상기 멀티플러그 어댑터(300)는 상기 충전디바이스(100)에 내장된 전원플러그(200)와 이미 나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충전디바이스(100) 및 상기 멀티플러그 어댑터(300) 및 상기 유무선 배터리디바이스(400)가 하나의 보디로 결합되어 복수의 기능을 구비한 콤팩트 한 어셈블리 보디가 제공된다.
도 15a, 도 15b 및 도 16을 참조하면, 각각 E-E'와 F-F'를 절개하여 상호 N극 및 S극 마그네틱(140c,140d,450a,450b) 자력에 의해 순방향으로 자착됨과 동시에 입력돌기단자(430a,430b)가 해당 출력요홈단자(161a,161b)에 접속되는 과정을 확대 단면도로 나타낸다. 도 15a, 도 15b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유무선 배터리디바이스(400)의 상단 좌우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2마그네틱(450a,450b)은 N극 및 S극으로 자력을 제공하고, 상기 충전디바이스(100)의 상단(전원플러그(200)에 대향하는 측) 좌우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1마그네틱(140c,140d)은 S극 및 N극으로 각각 자력이 제공되어 상호 역방향 척력이 아닌 순방향 자력으로 자착된다.
아울러 동시에 상기 유무선 배터리디바이스(400) 상단 중심의 감삽요부 (440) 내주연 좌우측에 형성된 입력돌기단자(430a,430b)가 상기 충전디바이스 (100)의 상단(전원플러그(200)의 대향측) 중심의 감삽마운드(160)의 외주연 좌우측에 형성된 출력요홈단자(161a, 161b)들과 탄착되어 접속되므로, 상호 일정한 압력으로 결합되어 정확히 + 및 - 전기 신호적 입출력이 이루어지게 구성된다.
도 17a 및 도 1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A형 멀티 플러그 어댑터(310)가 조립되는 것이 투사되어 예시된 확대분해 사시도 및 배면도로 나타낸다. 도 17a 및 도 1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A형 멀티플러그 어댑터(310)의 상단 좌우측에 전원 단자요홈(303a, 303b) 및 그 하측으로 관통하여 요설된 돌주 요부(313)에 A형 전원단자봉 돌주(312)를 포함하는 A형 전원단자 봉(311)을 감합하여 일체로 구성함에 있어, 상기 A형 전원단자봉 돌주(312)를 멀티플러그 어댑터(300)의 상단 수평기준면에 임의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전원단자요홈(303a,303b)이 구성된다.
아울러 A형 전원단자봉 돌주(312)의 외주연은 전원단자 봉(311)과 같은 형상과 규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A형 멀티플러그 어댑터(300)와 동일한 합성수지 재질로 일체화된다.
상기 A형 멀티플러그 어댑터(310)는 전 세계 아시아, 중동, 유럽, 북미, 남미, 오세아니아, 아프리카 180여 국가에서 사용하는 플러그규격 중 한국을 포함하여 오스트리아, 독일, 프랑스, 그리스, 터키 등 120여국에 적용된다.
도 18a 및 도 1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B형 멀티플러그 어댑터(320)가 조립되는 것이 투사되어 예시된 확대분해 사시도 및 배면도로 나타낸다. 도 18a 및 도 1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A형 멀티플러그 어댑터(310)와 유사한 구성을 하고 있으나, 단지 B형 전원단자 바(321)들의 사이 간격이 넓어 그 차이만큼 연결판(324)이 연설 결속되어 구성된다.
아울러 B형 전원단자바 돌주(322)를 돌주 요부(313)에 감합 시, B형 전원 단자 바(321)와 같은 형상과 규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B형 멀티플러그 어댑터(320)와 동일한 합성수지 재질로 일체화된다
상기 B형 멀티플러그어댑터(320)는 전세계 국가에서 사용하는 플러그 규격 중 중국, 영국, 홍콩, 싱가폴, 베트남, 쿠웨이트 등 30여국에 적용 된다
도 19, 도 20a 및 도 20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C형 및 D형 멀티플러그 어댑터가 조립되는 것이 투사되어 예시된 확대분해 작용설명도 및 배면도로 나타낸다. 도 19, 도 20a 및 도 2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C형 및 D형 멀티플러그 어댑터(330a,330b)는 동일한 구조 및 전원단자 나이프(331)로 형성되어 단지 전원단자 나이프(331)를 상대적 임의 방향으로 각기 회동하여 사용 가능하므로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멀티플러그 어댑터(330a,330b)의 상단 좌우측에 전원단자 요홈(303a,303b)을 구성함에 있어, 상기 A형 전원단자 봉(311) 보다 C형 및 D형 전원단자나이프(331) 사이간격이 좁아 그 차이만큼 내측으로 이격하여 연결판 요부(340) 및 회동돌주 요부(341) 및 회동제한 호상슬롯(342) 및 회동디스크 요부(343)가 연이어 요설된다. C형 및 D형 전력단자 나이프(331)를 구성함에 있어, 그 상단 회동 돌주(334)에 회동환상 요홈(335) 및 회동디스크(336) 및 그 디스크 상면 임의지점에 임의 형상의 회동 스토퍼돌기(337)를 형성한 C형 및 D형 전원단자나이프(331)가 구성되어, 타공 연결판(333)을 상기 회동 돌주(334)에 감삽하고 고정클립와셔(332)를 상기 회동환상 요홈(335)에 갑삽하여 상호 분리되지 않으면서 상호 회동이 이루어지게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연결판요부(340) 및 회동돌주요부(341) 및 회동제한 호상 슬롯(342) 및 회동디스크요부(343)와 대응되게 상기 C형 및 D형 전원단자 나이프 (331)를 감삽하면 타공 연결판(333)은 연결판 요부(340)에 괘지되고, 회동돌주 (334) 및 회동디스크(336)는 각각 회동돌주요부(341) 및 회동디스크요부(343)에 감삽되어, C형 및 D형 전원단자 나이프(331)가 상기 C형 및 D형 멀티플러그 어댑터(330a,330b)와 분리되지 않고 좌우 임의방향으로 회동이 이루어지며, 또한 상기 회동 스토퍼 돌기(337)가 회동제한 호상슬롯(342)의 원호상의 임의 제한 된 각도 내에서만 회동이 이루어지게 구성된다.
상기 C형 멀티플러그 어댑터는 전 세계 국가에서 사용하는 플러그 규격 중 미국, 일본, 캐나다, 브라질,태국 등 50여국에 적용 된다
아울러 상기 D형 멀티플러그 어댑터는 전 세계 국가에서 사용하는 플러그 규격 중 호주, 뉴질랜드,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파나마 등 30여국에 적용 된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중 하나에 따른 충전디바 이스(100) 및 유무선 배터리디바이스(400)의 전체 전기전자회로계통 블록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셈블리 보디(10)의 전기전자 플로우차트는 크게 두 블록으로 구분되어, 상기 충전디바이스(100)의 AC-DC컨버터모듈(110) 및 유무선 배터리디바이스(400)의 유무선출력 서킷모듈(410)로 그 기능이 수행된다.
상기 AC-DC컨버터 모듈(110) 은 기본적으로 교류전압 90-240V와 전원주파 수 50-60HZ의 광범위한 구간의 입력범위가 허용되고, 1-2차 입출력절연파트(110a) 및 합선 보호서킷 (110b) 및 과열방지 보호서킷(110c) 및 노이즈 제거필터(110d) 등이 포함되어, 전기공급 사정이 여의치 않은 저개발 국가에서의 열악한 사용 환경조건을 극복 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되어 제공된다.
상기 유선출력 서킷유닛(411)은 상기 AC-DC 컨버터모듈(110)로부터 DC 전원이 인가되면, 구성된 4중 안정화 보호회로인 과전압 보호서킷(411a) 및 과전류 보호서킷(411b) 및 합선방지 보호서킷(411c) 및 과온도 보호서킷(411d)을 포함하며, 경우에 따라 PCT보호 및 과충방전 보호 및 리셋 보호 및 입력혼촉보호를 포함하여 총 8중 안정화 보호회로가 추가 제공되어 내장된 배터리 유닛 (460)과 외부 스마트디바이스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하게 된다.
상기 무선출력 서킷유닛(412)은 내장된 배터리 유닛(460)으로부터 상기 전원버튼(420) 리셋 신호에 따라 DC 전원이 인가되면, 전력송신 제어부(412a) 및 변복조부(412c) 및 전력 변환부(412b)에 의해 무선송출코일-코아유닛(470)으로 무선전력이 송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선 및 무선출력 서킷유닛(411,412)은 단일모듈 내에 실장 되어 각각의 기능이 제공된다.
상기 층전디바이스(100)로부터 DC 출력은 총 3가지 수단으로 제공되어, 상기 충전디바이스 출력요홈단자(161a,161b) 및 충전디바이스 출력단자(122) 및 USB 출력단자(121)로 구성된다. 상기 유무선 배터리디바이스(400)에는 유무선 출력수단 각 1가지 및 유선입력수단 1가지 및 직접접속 입력수단 1가지를 포함 하여 총 4가지 입출력 수단이 제공되며, 상기 배터리디바이스 출력단자(422)는 외부의 다양한 스마트디바이스에 충전제공을 위하여 마이크로 5핀과 라이트닝 8핀겸용 단자방식이 포함되고. 그리고 USB-C형 출력단자 젠더(424)가 겸설 내장되어 그 기능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유무선 배터리디바이스(400) 전면의 무선 송출에어리어 중심부에 무 방향성으로 임의 디바이스를 안착시키면 무선 송출코일-코아유닛(470)에 의하여 무선충전이 제공되며, 내장된 배터리 유닛(460) 충전을 위한 입력수단은 입력돌기단자(430a,430b)의 직접접속으로 인한 입력수단 및 마이크로 입력단자(421)를 통한 별도의 외부 충전기에 의하여도 충전이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충전디바이스(100) 및 유무선 배터리디바이스(400)에는 퀵 차지 2.0, 3.0 등의 서킷 추가구성이 포함될 수 있으며, 따라서 7가지 입출력 방식의 조합으로 인한 다양한 경우의 수가 예시되어, 상기 디바이스들 간의 결합 및 독립적 적용으로 인한 상승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10; 어셈블리 보디 100; 충전디바이스
103; 작동심볼표시등 110; AC-DC 컨버터모듈
122; 충전디바이스 출력단자 124; 푸시풀 모듈
130a,130b; 회동요부 131a,131b,131c;회동제한요홈
140a,140b,140c,140d;제1 마그네틱 160; 감삽마운드
161a,161b; 출력요홈단자 200; 전원플러그
210a,210b; 전원돌기단자 230; 나합 돌부
240a,240b; 회동중공돌주 242a,242b; 회동 스토퍼
300; 멀티플러그 어댑터 301; 나합 요부
303a,303b;전원단자 요홈 310; A형 멀티플러그 어댑터
311; A형 전원단자 봉 313; 돌주 요부
320; B형 멀티플러그 어댑터 321; B형 전원단자 바
324; 연결판 330a; C형 멀티플러그 어댑터
330b; D형 멀티플러그 어댑터 331; C 및 D형 전원단자 나이프
332; 고정클립 와셔 333; 타공 연결판
334; 회동 돌주 337; 회동 스토퍼 돌기
342; 회동제한 호상슬롯 400; 유무선 배터리디바이스
410; 유무선 출력서킷모듈 411; 유선출력 서킷유닛
412; 무선출력 서킷유닛 424; 출력단자 젠더
430a,430b; 입력돌기단자 440; 감삽요부
450a,450b; 제2 마그네틱 460; 배터리 유닛
470; 무선송출코일-코아유닛 475; 가이드 마그네틱

Claims (14)

  1. 착탈식 다국적 충전기를 갖는 유무선 보조배터리에 있어서,
    전원플러그(200) 및 상기 전원플러그와 나합되고 탈리되는 복수의 멀티플러그 어댑터(300)를 가지는 충전디바이스(100); 및
    상기 충전디바이스의 일측에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는 유무선 배터리디바이스(400)를 포함하되,
    상기 유무선 배터리디바이스(400)의 상단 중심에는 상기 멀티플러그 어댑터(300)를 수납할 수 있는 감삽요부(440)가 형성되며,
    상기 충전디바이스(100)와 상기 유무선 배터리디바이스(400)가 상호 접속됨에 있어,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전원플러그(200)는 상기 충전디바이스(100)에서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착탈식 다국적 충전기를 갖는 유무선 보조배터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디바이스(100)는 하나 이상의 출력단자를 가지는 착탈식 다국적 충전기를 갖는 유무선 보조배터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디바이스(100)는,
    감삽마운드(160); 및
    AC-DC 컨버터모듈과 연결된 복수의 출력요홈단자(161a,161b)를 구비하는
    착탈식 다국적 충전기를 갖는 유무선 보조배터리.
  4. 제 1항에 있어서,
    전원플러그(200)는,
    임의 형상의 나합돌부(230);
    상기 나합돌부(230)의 좌우측에 탄착되는 전원돌기단자(210a,210b);
    상기 충전디바이스(100)의 좌우측 회동요부(130a,130b)에 감삽되는 회동중공돌주(240a,240b)를 구비하는
    착탈식 다국적 충전기를 갖는 유무선 보조배터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플러그 어댑터(300)는,
    임의 형상의 나합요부(301); 및
    상기 나합요부(301)의 좌우에 형성되어 상기 전원플러그(200)의 전원돌기단자(210a,210b)가 탄착되는 전원단자요홈(303a,303b)을 구비하며,
    상기 전원플러그(200)의 나합돌부(230)와 상기 멀티플러그 어댑터(300)의 나합요부(301)가 상호대응 나합되어 도통되는
    착탈식 다국적 충전기를 갖는 유무선 보조배터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선 배터리디바이스(400)는,
    배터리 유닛(460);
    상기 배터리 유닛에 적층되어 구성되는 무선출력송출이 되는 송출코일(471);
    외부기기 자착을 안내하는 가이드 마그네틱(475); 및
    출력단자(422)를 포함하는
    착탈식 다국적 충전기를 갖는 유무선 보조배터리.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선 배터리디바이스(400)는 유무선 서킷모듈과 연결된 복수의 입력돌기단자(430a,430b)를 구비하며,
    상기 충전디바이스(100)의 감삽마운드(160)가 상기 유무선 배터리디바이스(400)의 감삽요부(440)에 감삽되며, 상기 충전디바이스(100)의 복수의 출력요홈단자(161a,161b)가 상기 유무선 배터리디바이스(400)의 복수의 입력돌기단자(430a,430b)와 결합되어 도통되는
    착탈식 다국적 충전기를 갖는 유무선 보조배터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디바이스(100)의 상 하단 양측에 복수의 제1마그네틱(140a,140b,140c,140d)이 구비되고, 및 상기 유무선 배터리디바이스(400)의 상단 양측에 복수의 제2마그네틱(450a,450b)이 구비되어, 상기 제1마그네틱(140a,140b,140c,140d)과 제2마그네틱(450a,450b)의 N극 및 S극 마그네틱 상호간 자력에 의해 상대적 위치에 결합되어 디바이스들의 어셈블리 보디(10)가 제공되며;
    여기서, 상기 유무선 배터리디바이스(400)의 감삽요부(440)의 입력돌기단자(430a,430b)는 상기 충전디바이스(100)의 감삽마운드(160)의 출력요홈단자(161a,161b) 또는 상기 멀티플러그 어댑터(300)의 탄삽요홈(304a,304b)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도통되거나 탄착되는
    착탈식 다국적 충전기를 갖는 유무선 보조배터리.
  9.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플러그 어댑터(300)는 국가별 사용규격에 따른 A형, B형, 또는 C형 및 D형 중의 어느 하나의 전원단자가 감합되어 복수의 멀티플러그 어댑터가 구성되는
    착탈식 다국적 충전기를 갖는 유무선 보조배터리.
  10. 제 9항에 있어서,
    A형 멀티플러그 어댑터(330)는,
    임의 간격과 임의 형상으로 형성된 돌주 요부; 및
    상기 돌주 요부에 일체로 감합되는 A형 전원단자 봉을 포함하는
    착탈식 다국적 충전기를 갖는 유무선 보조배터리.
  11. 제 9항에 있어서,
    B형 멀티플러그 어댑터(320)는,
    임의 간격과 임의 형상으로 형성된 돌주 요부;
    상기 돌주 요부에 일체로 감합되는 B형 전원단자 바; 및
    상기 B형 전원단자 바와 결속되는 연결판을 포함하는
    착탈식 다국적 충전기를 갖는 유무선 보조배터리.
  12. 제 9항에 있어서,
    C형 및 D형 멀티플러그 어댑터(330a,330b)는,
    전원단자요홈 내측 햐향으로 연설되는 연결판요부(340);
    회동돌주요부(341);
    회동제한 호상슬롯(342);
    회동디스크요부(343);
    상기 회동돌주요부(341)에 대응 감삽되는 회동돌주(334); 및
    C형, D형 전원단자 나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C형 및 D형 전원단자 나이프가 분리되지 않고 회동제한이 이루어지는
    착탈식 다국적 충전기를 갖는 유무선 보조 배터리.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디바이스(100)와 상기 유무선 배터리디바이스(400)가 결합된 어셈블리 보디(10)는,
    AC-DC컨버터모듈(110);
    유무선 출력서킷모듈(410);
    상기 AC-DC컨버터모듈(110) 및 상기 유무선 출력서킷모듈(410)과 연결되는 USB, 마이크로-라이트닝 단독 및 겸용 입출력 단자들;
    전원 버튼;
    상기 어셈블리 보디 외부로 형성되는 출력단자; 및
    상기 출력단자 단부에 감삽되어 자동인출을 제공하는 푸시풀 모듈을 포함하는
    착탈식 다국적 충전기를 갖는 유무선 보조 배터리.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디바이스(100)와 상기 유무선 배터리디바이스(400)가 결합된 어셈블리 보디(10)는,
    임의 지점에 형성된 임의 면적의 논슬립 요철부(102);
    상기 충전디바이스(100)의 임의 지점에 업체로고 및 심볼로 작동상태표시가 제공되는 작동심볼표시등(103); 및
    상기 유무선 배터리디바이스(400)의 임의 지점에 충방전상태표시가 방사상으로 제공되는 충 방전상태표시등을 포함하는
    착탈식 다국적 충전기를 갖는 유무선 보조 배터리.
KR1020170069826A 2017-06-05 2017-06-05 착탈식 다국적 충전기를 갖는 유무선 보조배터리 KR101982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826A KR101982173B1 (ko) 2017-06-05 2017-06-05 착탈식 다국적 충전기를 갖는 유무선 보조배터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826A KR101982173B1 (ko) 2017-06-05 2017-06-05 착탈식 다국적 충전기를 갖는 유무선 보조배터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0429A Division KR20180135832A (ko) 2018-12-12 2018-12-12 착탈식 다국적 충전기를 갖는 유무선 보조배터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173A KR20180133173A (ko) 2018-12-13
KR101982173B1 true KR101982173B1 (ko) 2019-08-28

Family

ID=64671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9826A KR101982173B1 (ko) 2017-06-05 2017-06-05 착탈식 다국적 충전기를 갖는 유무선 보조배터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21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0472A (ko) * 2020-02-06 2021-08-17 최형준 다기능 휴대용 보조배터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0389B1 (ko) * 2019-05-24 2021-01-11 주식회사 브로나인 충전용 프리전압 어댑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017964Y (zh) * 2007-03-08 2008-02-06 广州市展辉电子有限公司 可替换部件的电池充电器
US20150028797A1 (en) * 2013-03-20 2015-01-29 Garold C. Miller Portable Power Charger with Power Input and Power Output Connection Interface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540B1 (ko) * 2015-05-26 2018-06-11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선 충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보조배터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017964Y (zh) * 2007-03-08 2008-02-06 广州市展辉电子有限公司 可替换部件的电池充电器
US20150028797A1 (en) * 2013-03-20 2015-01-29 Garold C. Miller Portable Power Charger with Power Input and Power Output Connection Interfac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0472A (ko) * 2020-02-06 2021-08-17 최형준 다기능 휴대용 보조배터리
KR102306596B1 (ko) * 2020-02-06 2021-09-30 최형준 다기능 휴대용 보조배터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173A (ko) 2018-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66498B (zh) 可攜帶充電轉換接頭並支持二維條形碼識別的移動電源
JP2014041825A (ja) 伸縮変形可能なusb接続装置及び伸縮変形可能な接続装置
KR200484059Y1 (ko) 휴대용기기용 결합팁을 이용하는 보호케이스
US20130082543A1 (en) Portable power supply
US10778020B1 (en) Multiport portable power bank
US8460016B2 (en) Socket and power adapter employing same
CN109983648A (zh) 充电连接器及充电装置
KR101982173B1 (ko) 착탈식 다국적 충전기를 갖는 유무선 보조배터리
JP2012142281A (ja) Usbプラグ
CN205609910U (zh) 一种灵活并机的座式电池充电组合装置
CN202564981U (zh) 充电器
KR101261733B1 (ko) 배터리 장치
KR101848726B1 (ko) 탈착을 통한 가변용량형 보조배터리 및 보조배터리 장치
KR101794164B1 (ko) 휴대단말기용 보조 배터리
US20070030711A1 (en) Power supply adapter for connecting multiple loads
EP2648286A1 (en) Power connector assembly and adapter plug with locking mechanism
CN210167823U (zh) 多国充电器结构
KR20180135832A (ko) 착탈식 다국적 충전기를 갖는 유무선 보조배터리
US20170229889A1 (en) Mobile phone integrated charger
JP3195400U (ja) 交流直流変換器
KR20210007468A (ko) 모바일 멀티 연결 디바이스
EP3270484B1 (en) Wearable device
CN204046398U (zh) 一种具有4g无线路由的电源适配器
CN210985746U (zh) 一种带有支撑功能的手表用无线充电器
KR20120007003U (ko) 휴대폰 충전용 보조 배터리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