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0472A - 다기능 휴대용 보조배터리 - Google Patents

다기능 휴대용 보조배터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0472A
KR20210100472A KR1020200014502A KR20200014502A KR20210100472A KR 20210100472 A KR20210100472 A KR 20210100472A KR 1020200014502 A KR1020200014502 A KR 1020200014502A KR 20200014502 A KR20200014502 A KR 20200014502A KR 20210100472 A KR20210100472 A KR 20210100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attery
plug
receiving groove
ear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4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6596B1 (ko
Inventor
최형준
정재훈
이지원
Original Assignee
최형준
이지원
정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형준, 이지원, 정재훈 filed Critical 최형준
Priority to KR1020200014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6596B1/ko
Publication of KR20210100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0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25Accumulators or arrangements for char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휴대용 보조배터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기기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배터리의 기능은 물론, 블루투스 이어폰과 같은 단말기 이외의 주변용품의 충전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다기능 휴대용 보조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 휴대용 보조배터리{Multifunctional portable auxiliary battery}
본 발명은 다기능 휴대용 보조배터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기기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배터리의 기능은 물론, 블루투스 이어폰과 같은 단말기 이외의 주변용품의 충전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다기능 휴대용 보조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다양한 종류 및 형태의 휴대단말기(일반 핸드폰이나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PC 혹은 노트북 등을 통칭하는 것으로 함)가 널리 보급되는 추세이고 이러한 휴대단말기는 다양한 종류 및 형태와 목적을 갖고 개발되어 현대인의 필수 휴대용품으로 자리 잡고 있다.
예컨데, 스마트폰의 경우 전화 기능은 물론 인터넷을 이용한 정보검색이나 금융 거래 또는 각종 업무 기록이나 메모 혹은 게임이나 음악, 동영상의 감상이 가능한 것으로 대부분의 성인을 포함하여 학생이나 어린아이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휴대단말기는 휴대의 특성상 충전식 배터리를 갖고 있는 것으로 상기의 배터리는 교체가 가능하여 적어도 2개 이상의 배터리를 순차적으로 교환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으나, 최근에는 배터리가 내장되어 단일 개체의 배터리를 반복적으로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지는 추세이다.
또한, 상기의 배터리는 충전 기술이 개발됨에 따라 점진적으로 충전용량이 증가되고 있으나, 비례적으로 게임의 그래픽 품질 향상으로 인해 배터리 소모량이 증가되고, 동영상 플레이의 이용 빈도가 증가하게 됨에 따라 배터리의 소모량이 상당하여 금방 충전이 필요하게 되고 있다.
이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사용시간 및 사용빈도가 높은 사용자의 경우 보편적으로 휴대용 보조배터리를 함께 갖고 다니게 되는데, 상기의 보조배터리는 휴대단말기의 내장 배터리에 비하여 적어도 3배 내지 5배 이상의 충전용량을 갖고 제작되었기 때문에 상기 보조배터리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의 지속적인 사용을 가능케 하는 것은 물론 야외 혹은 실외에서도 장시간 휴대단말기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보조 배터리는 단자부와 컴퓨터의 USB포트를 충전케이블로 연결하여 충전배터리를 충전하고, 완충된 상태로 사용자가 이동 중 소지하고 다니다가 휴대 단말기를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와 단자부를 충전케이블로 연결하여 휴대 단말기를 충전하는 것으로서, 충전기를 사용할 수 없는 환경에서 휴대 단말기의 보조전원으로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이에 보조배터리의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469779호와 같이, 케이스 내부에 충전지가 삽입되고, 상기 케이스에는 충전지와 연결된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를 결합 형성함으로써, 상기 입력단자에 의해서는 내장된 충전지에 대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출력단자에 의해서는 휴대단말기에 대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안출된 바 있다.
한편,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 이어폰은 휴대용 단말기와 선 연결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최근들어 사용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무선 이어폰은 귓바퀴 또는 외이도(外耳道)에 삽입되는 형태로, 크기가 상당히 소형에 속하고, 이어폰에 내장되는 배터리 또한 소형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사용시간이 짧고 자주 충전해 주어야 한다.
따라서, 무선 이어폰 전용 충전키트와 같이 제작되어 판매되고 있으며, 전용 충전키트를 소지하고 있어야 무선 이어폰의 충전이 가능하므로, 사용자들은 상시 충전키트를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사용자들은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 이어폰의 충전을 위해 보조배터리 및 이어폰 충전키트를 각각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됨은 물론, 이중의 경제적 지출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69779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마트기기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배터리의 기능은 물론, 블루투스 이어폰과 같은 단말기 이외의 주변용품의 충전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다기능 휴대용 보조배터리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보조배터리는 외주면 일측에 전원버튼(110)이 구비된 임의의 형상을 갖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내장되는 배터리(200); 상기 하우징의 상단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입력단자(300); 상기 입력단자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휴대단말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단자(400); 및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 일측에 개폐가능한 커버부(510)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의 하부에 무선이어폰(e)이 수납되어 상기 배터리에 의해 충전되는 이어폰수납부(520)가 형성되는 이어폰충전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은 외주면 일측에 상기 배터리의 충전잔량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어폰충전부는 상기 커버부의 둘레를 따라 패킹부재(511)와, 상기 패킹부재가 대응되어 안착되도록 상기 이어폰수납부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안착홈(52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보조배터리는 외주면 일측에 전원버튼(110)이 구비된 임의의 형상을 갖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내장되는 배터리(200); 상기 하우징의 상단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입력단자(300); 상기 입력단자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휴대단말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단자(400); 및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 내측에 수납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에 내장되며 외부콘센트에 접속하기 위한 플러그(610)가 구비되는 플러그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플러그부는 상기 플러그가 인출되도록 수납홈의 일측이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수납홈의 개구된 부분에 개폐가능한 한 쌍의 인출도어(140)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수납홈과 관통된 형태로 마련된 슬라이드홈(150)을 따라 이송되며, 상기 플러그와 일측단부가 결합되는 가이드부재(6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홈은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에 고정구(151)가 구비된 걸림턱(152)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고정구에 대응되는 고정홈(6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보조배터리는 외주면 일측에 전원버튼(110)이 구비된 임의의 형상을 갖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내장되는 배터리(200); 상기 하우징의 상단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입력단자(300); 상기 입력단자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휴대단말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단자(400); 및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 내측에 수납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에 내장되며 외부콘센트에 접속하기 위한 플러그(610)가 구비되는 플러그부(600);를 포함하되,
상기 플러그부는 상기 플러그가 인출되도록 수납홈의 일측이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수납홈의 개구된 부분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부재(160)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수납홈과 관통된 형태로 마련된 슬라이드홈(150)을 따라 이송되며, 상기 플러그와 일측단부가 결합되는 가이드부재(620)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를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체결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16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단부에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도어프레임(16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수납홈은 상기 도어프레임의 일측단부가 삽입되어 내측방향으로 이송되기 위한 가이드홈(1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보조배터리는 외주면 일측에 전원버튼(110)이 구비된 임의의 형상을 갖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내장되는 배터리(200); 상기 하우징의 상단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입력단자(300); 상기 입력단자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휴대단말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단자(400);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 일측에 개폐가능한 커버부(510)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의 하부에 무선이어폰(e)이 수납되어 상기 배터리에 의해 충전되는 이어폰수납부(520)가 형성되는 이어폰충전부(500); 및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 내측에 수납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에 내장되며 외부콘센트에 접속하기 위한 플러그(610)가 구비되는 플러그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보조배터리는 외주면 일측에 전원버튼(110)이 구비된 임의의 형상을 갖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내장되는 배터리(200); 상기 하우징의 상단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입력단자(300); 상기 입력단자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휴대단말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단자(400);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 일측에 개폐가능한 커버부(510)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의 하부에 무선이어폰(e)이 수납되어 상기 배터리에 의해 충전되는 이어폰수납부(520)가 형성되는 이어폰충전부(500); 및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 내측에 수납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에 내장되며 외부콘센트에 접속하기 위한 플러그(610)가 구비되는 플러그부(600);를 포함하되,
상기 플러그부는 상기 플러그가 인출되도록 수납홈의 일측이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수납홈의 개구된 부분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부재(160)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수납홈과 관통된 형태로 마련된 슬라이드홈(150)을 따라 이송되며, 상기 플러그와 일측단부가 결합되는 가이드부재(620)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를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체결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16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단부에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도어프레임(16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보조배터리는 외주면 일측에 전원버튼(110)이 구비된 임의의 형상을 갖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내장되는 배터리(200); 상기 하우징의 상단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입력단자(300); 상기 입력단자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휴대단말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단자(400);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 일측에 개폐가능한 커버부(510)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의 하부에 무선이어폰(e)이 수납되어 상기 배터리에 의해 충전되는 이어폰수납부(520)가 형성되는 이어폰충전부(500); 및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 내측에 수납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에 내장되며 외부콘센트에 접속하기 위한 플러그(610)가 구비되는 플러그부(600);를 포함하되,
상기 플러그부는 상기 플러그가 인출되도록 수납홈의 일측이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수납홈의 개구된 부분에 개폐가능한 한 쌍의 인출도어(140)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수납홈과 관통된 형태로 마련된 슬라이드홈(150)을 따라 이송되며, 상기 플러그와 일측단부가 결합되는 가이드부재(6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홈은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에 고정구(151)가 구비된 걸림턱(152)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고정구에 대응되는 고정홈(6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보조배터리는 외주면 일측에 전원버튼(110)이 구비된 임의의 형상을 갖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내장되는 배터리(200); 상기 하우징의 상단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입력단자(300); 상기 입력단자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휴대단말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단자(400);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 일측에 개폐가능한 커버부(510)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의 하부에 무선이어폰(e)이 수납되어 상기 배터리에 의해 충전되는 이어폰수납부(520)가 형성되는 이어폰충전부(500); 및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 내측에 수납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에 내장되며 외부콘센트에 접속하기 위한 플러그(610)가 구비되는 플러그부(600);를 포함하되,
상기 플러그부는 상기 플러그가 인출되도록 수납홈의 일측이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수납홈의 개구된 부분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부재(160)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수납홈과 관통된 형태로 마련된 슬라이드홈(150)을 따라 이송되며, 상기 플러그와 일측단부가 결합되는 가이드부재(620)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를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체결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16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단부에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도어프레임(162)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납홈은 상기 도어프레임의 일측단부가 삽입되어 내측방향으로 이송되기 위한 가이드홈(1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은 외주면 일측에 상기 배터리의 충전잔량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이어폰충전부는 상기 커버부의 둘레를 따라 패킹부재(511)와, 상기 패킹부재가 대응되어 안착되도록 상기 이어폰수납부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안착홈(52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보조배터리에 스마트기기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기본 기능외에, 이어폰충전부에 의해 블루투스 무선이어폰의 수납 및 충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배터리 하우징에 외부로 인출가능한 플러그가 내장되어 별도의 전원공급선이 없이도 보조배터리의 전원을 충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보조배터리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보조배터리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보조배터리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부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보조배터리의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재의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보조배터리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보조배터리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보조배터리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부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보조배터리의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재의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에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보조배터리는 외주면 일측에 전원버튼(110)이 구비된 임의의 형상을 갖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내장되는 배터리(200); 상기 하우징의 상단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입력단자(300); 상기 입력단자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휴대단말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단자(400); 및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 일측에 개폐가능한 커버부(510)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의 하부에 무선이어폰(e)이 수납되어 상기 배터리에 의해 충전되는 이어폰수납부(520)가 형성되는 이어폰충전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은 바람직하게는 외주면 일측에 전원버튼(110)이 구비된 임의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바람직하게는 금속재질 또는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절연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은 외주면 일측에 상기 배터리의 충전잔량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는 다양한 용량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입력단자는 상기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별도의 공급케이블선(미도시)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접속단자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USB단자는 스마트기기 등의 휴대용 단말기와 연결되는 별도의 충전케이블이 접속되는 단자로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이다.
또한, 이어폰충전부는 블루투스기술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와 상호 통신이 가능한 무선이어폰(e)을 수납 및 충전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이어폰수납부는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무선이어폰이 수납되면 전원을 공급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이어폰충전부는 상기 커버부의 둘레를 따라 패킹부재(511)와, 상기 패킹부재가 대응되어 안착되도록 상기 이어폰수납부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안착홈(52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패킹부재는 이어폰수납부에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이나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되어 내부에 수납된 무선이어폰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커버부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면에 체결돌기(512)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기에 대응되는 체결홈(522)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의 안정적인 결속을 도모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내주면에 쿠션체로 형성되는 완충부재(51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커버부의 내측에 쿠션체로 형성된 완충부재를 배치함으로써, 다양한 크기로 제작되는 무선이어폰의 안정적인 수납을 도모함과 동시에 외부충격 등으로부터 무선이어폰의 파손을 보호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보조배터리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주면 일측에 전원버튼(110)이 구비된 임의의 형상을 갖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내장되는 배터리(200); 상기 하우징의 상단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입력단자(300); 상기 입력단자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휴대단말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단자(400); 및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 내측에 수납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에 내장되며 외부콘센트에 접속하기 위한 플러그(610)가 구비되는 플러그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플러그부는 상기 플러그가 인출되도록 수납홈의 일측이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수납홈의 개구된 부분에 개폐가능한 한 쌍의 인출도어(140)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수납홈과 관통된 형태로 마련된 슬라이드홈(150)을 따라 이송되며, 상기 플러그와 일측단부가 결합되는 가이드부재(6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플러그부는 사용자가 하우징의 외부에서 조작이 가능한 상기 가이드부재를 조작함에 따라, 하우징의 내부에 내장된 플러그가 인출도어를 통해 외부로 인출되는 구조로서, 외부 콘센트에 플러그를 연결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홈은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에 고정구(151)가 구비된 걸림턱(152)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고정구에 대응되는 고정홈(6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보조배터리의 휴대 시, 플러그의 중량으로 인해 자력으로 플러그가 유동되지 않도록 걸림턱을 마련하여 상기 슬라이드홈의 양측 단부에 가이드부재가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보조배터리는 도 7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주면 일측에 전원버튼(110)이 구비된 임의의 형상을 갖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내장되는 배터리(200); 상기 하우징의 상단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입력단자(300); 상기 입력단자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휴대단말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단자(400); 및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 내측에 수납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에 내장되며 외부콘센트에 접속하기 위한 플러그(610)가 구비되는 플러그부(600);를 포함하되,
상기 플러그부는 상기 플러그가 인출되도록 수납홈의 일측이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수납홈의 개구된 부분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부재(160)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수납홈과 관통된 형태로 마련된 슬라이드홈(150)을 따라 이송되며, 상기 플러그와 일측단부가 결합되는 가이드부재(620)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를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체결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16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단부에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도어프레임(16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수납홈은 상기 도어프레임의 일측단부가 삽입되어 내측방향으로 이송되기 위한 가이드홈(1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부는 가이드부재의 이동에 따라 연동된 도어프레임이 자동으로 개폐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보조배터리는 외주면 일측에 전원버튼(110)이 구비된 임의의 형상을 갖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내장되는 배터리(200); 상기 하우징의 상단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입력단자(300); 상기 입력단자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휴대단말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단자(400);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 일측에 개폐가능한 커버부(510)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의 하부에 무선이어폰(e)이 수납되어 상기 배터리에 의해 충전되는 이어폰수납부(520)가 형성되는 이어폰충전부(500); 및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 내측에 수납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에 내장되며 외부콘센트에 접속하기 위한 플러그(610)가 구비되는 플러그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보조배터리는 외주면 일측에 전원버튼(110)이 구비된 임의의 형상을 갖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내장되는 배터리(200); 상기 하우징의 상단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입력단자(300); 상기 입력단자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휴대단말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단자(400);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 일측에 개폐가능한 커버부(510)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의 하부에 무선이어폰(e)이 수납되어 상기 배터리에 의해 충전되는 이어폰수납부(520)가 형성되는 이어폰충전부(500); 및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 내측에 수납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에 내장되며 외부콘센트에 접속하기 위한 플러그(610)가 구비되는 플러그부(600);를 포함하되,
상기 플러그부는 상기 플러그가 인출되도록 수납홈의 일측이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수납홈의 개구된 부분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부재(160)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수납홈과 관통된 형태로 마련된 슬라이드홈(150)을 따라 이송되며, 상기 플러그와 일측단부가 결합되는 가이드부재(620)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를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체결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16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단부에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도어프레임(16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보조배터리는 외주면 일측에 전원버튼(110)이 구비된 임의의 형상을 갖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내장되는 배터리(200); 상기 하우징의 상단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입력단자(300); 상기 입력단자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휴대단말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단자(400);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 일측에 개폐가능한 커버부(510)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의 하부에 무선이어폰(e)이 수납되어 상기 배터리에 의해 충전되는 이어폰수납부(520)가 형성되는 이어폰충전부(500); 및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 내측에 수납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에 내장되며 외부콘센트에 접속하기 위한 플러그(610)가 구비되는 플러그부(600);를 포함하되,
상기 플러그부는 상기 플러그가 인출되도록 수납홈의 일측이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수납홈의 개구된 부분에 개폐가능한 한 쌍의 인출도어(140)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수납홈과 관통된 형태로 마련된 슬라이드홈(150)을 따라 이송되며, 상기 플러그와 일측단부가 결합되는 가이드부재(6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홈은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에 고정구(151)가 구비된 걸림턱(152)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고정구에 대응되는 고정홈(6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보조배터리는 외주면 일측에 전원버튼(110)이 구비된 임의의 형상을 갖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내장되는 배터리(200); 상기 하우징의 상단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입력단자(300); 상기 입력단자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휴대단말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단자(400);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 일측에 개폐가능한 커버부(510)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의 하부에 무선이어폰(e)이 수납되어 상기 배터리에 의해 충전되는 이어폰수납부(520)가 형성되는 이어폰충전부(500); 및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 내측에 수납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에 내장되며 외부콘센트에 접속하기 위한 플러그(610)가 구비되는 플러그부(600);를 포함하되,
상기 플러그부는 상기 플러그가 인출되도록 수납홈의 일측이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수납홈의 개구된 부분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부재(160)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수납홈과 관통된 형태로 마련된 슬라이드홈(150)을 따라 이송되며, 상기 플러그와 일측단부가 결합되는 가이드부재(620)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를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체결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16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단부에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도어프레임(162)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납홈은 상기 도어프레임의 일측단부가 삽입되어 내측방향으로 이송되기 위한 가이드홈(1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은 외주면 일측에 상기 배터리의 충전잔량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이어폰충전부는 상기 커버부의 둘레를 따라 패킹부재(511)와, 상기 패킹부재가 대응되어 안착되도록 상기 이어폰수납부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안착홈(52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보조배터리에 스마트기기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기본 기능외에, 이어폰충전부에 의해 블루투스 무선이어폰의 수납 및 충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배터리 하우징에 외부로 인출가능한 플러그가 내장되어 별도의 전원공급선이 없이도 보조배터리의 전원을 충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하우징 110 ... 전원버튼
120 ... 수납홈 121 ... 가이드홈
130 ... 표시부 140 ... 인출도어
150 ... 슬라이드홈 151 ... 고정구
152 ... 걸림턱 160 ... 도어부재
161 ... 지지프레임 162 ... 도어프레임
200 ... 배터리 300 ... 입력단자
400 ... USB단자 500 ... 이어폰충전부
510 ... 커버부 511 ... 패킹부재
512 ... 체결돌기 513 ... 완충부재
520 ... 이어폰수납부 521 ... 안착홈
522 ... 체결홈 600 ... 플러그부
610 ... 플러그 620 ... 가이드부재
621 ... 고정홈

Claims (14)

  1. 외주면 일측에 전원버튼(110)이 구비된 임의의 형상을 갖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내장되는 배터리(200);
    상기 하우징의 상단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입력단자(300);
    상기 입력단자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휴대단말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단자(400); 및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 일측에 개폐가능한 커버부(510)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의 하부에 무선이어폰(e)이 수납되어 상기 배터리에 의해 충전되는 이어폰수납부(520)가 형성되는 이어폰충전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용 보조배터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외주면 일측에 상기 배터리의 충전잔량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용 보조배터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충전부는,
    상기 커버부의 둘레를 따라 패킹부재(511)와, 상기 패킹부재가 대응되어 안착되도록 상기 이어폰수납부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안착홈(52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용 보조배터리.
  4. 외주면 일측에 전원버튼(110)이 구비된 임의의 형상을 갖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내장되는 배터리(200);
    상기 하우징의 상단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입력단자(300);
    상기 입력단자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휴대단말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단자(400); 및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 내측에 수납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에 내장되며 외부콘센트에 접속하기 위한 플러그(610)가 구비되는 플러그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용 보조배터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부는,
    상기 플러그가 인출되도록 수납홈의 일측이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수납홈의 개구된 부분에 개폐가능한 한 쌍의 인출도어(140)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수납홈과 관통된 형태로 마련된 슬라이드홈(150)을 따라 이송되며, 상기 플러그와 일측단부가 결합되는 가이드부재(6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용 보조배터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홈은,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에 고정구(151)가 구비된 걸림턱(152)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고정구에 대응되는 고정홈(6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용 보조배터리.
  7. 외주면 일측에 전원버튼(110)이 구비된 임의의 형상을 갖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내장되는 배터리(200);
    상기 하우징의 상단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입력단자(300);
    상기 입력단자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휴대단말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단자(400); 및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 내측에 수납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에 내장되며 외부콘센트에 접속하기 위한 플러그(610)가 구비되는 플러그부(600);를 포함하되,
    상기 플러그부는,
    상기 플러그가 인출되도록 수납홈의 일측이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수납홈의 개구된 부분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부재(160)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수납홈과 관통된 형태로 마련된 슬라이드홈(150)을 따라 이송되며, 상기 플러그와 일측단부가 결합되는 가이드부재(620)를 포함하되,
    상기 도어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를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체결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16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단부에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도어프레임(16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용 보조배터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홈은,
    상기 도어프레임의 일측단부가 삽입되어 내측방향으로 이송되기 위한 가이드홈(1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용 보조배터리.
  9. 외주면 일측에 전원버튼(110)이 구비된 임의의 형상을 갖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내장되는 배터리(200);
    상기 하우징의 상단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입력단자(300);
    상기 입력단자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휴대단말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단자(400);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 일측에 개폐가능한 커버부(510)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의 하부에 무선이어폰(e)이 수납되어 상기 배터리에 의해 충전되는 이어폰수납부(520)가 형성되는 이어폰충전부(500); 및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 내측에 수납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에 내장되며 외부콘센트에 접속하기 위한 플러그(610)가 구비되는 플러그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용 보조배터리.
  10. 외주면 일측에 전원버튼(110)이 구비된 임의의 형상을 갖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내장되는 배터리(200);
    상기 하우징의 상단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입력단자(300);
    상기 입력단자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휴대단말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단자(400);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 일측에 개폐가능한 커버부(510)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의 하부에 무선이어폰(e)이 수납되어 상기 배터리에 의해 충전되는 이어폰수납부(520)가 형성되는 이어폰충전부(500); 및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 내측에 수납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에 내장되며 외부콘센트에 접속하기 위한 플러그(610)가 구비되는 플러그부(600);를 포함하되,
    상기 플러그부는,
    상기 플러그가 인출되도록 수납홈의 일측이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수납홈의 개구된 부분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부재(160)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수납홈과 관통된 형태로 마련된 슬라이드홈(150)을 따라 이송되며, 상기 플러그와 일측단부가 결합되는 가이드부재(620)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를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체결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16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단부에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도어프레임(16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용 보조배터리.
  11. 외주면 일측에 전원버튼(110)이 구비된 임의의 형상을 갖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내장되는 배터리(200);
    상기 하우징의 상단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입력단자(300);
    상기 입력단자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휴대단말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단자(400);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 일측에 개폐가능한 커버부(510)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의 하부에 무선이어폰(e)이 수납되어 상기 배터리에 의해 충전되는 이어폰수납부(520)가 형성되는 이어폰충전부(500); 및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 내측에 수납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에 내장되며 외부콘센트에 접속하기 위한 플러그(610)가 구비되는 플러그부(600);를 포함하되,
    상기 플러그부는,
    상기 플러그가 인출되도록 수납홈의 일측이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수납홈의 개구된 부분에 개폐가능한 한 쌍의 인출도어(140)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수납홈과 관통된 형태로 마련된 슬라이드홈(150)을 따라 이송되며, 상기 플러그와 일측단부가 결합되는 가이드부재(6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용 보조배터리.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홈은,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에 고정구(151)가 구비된 걸림턱(152)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고정구에 대응되는 고정홈(6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용 보조배터리.
  13. 외주면 일측에 전원버튼(110)이 구비된 임의의 형상을 갖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내장되는 배터리(200);
    상기 하우징의 상단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입력단자(300);
    상기 입력단자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휴대단말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단자(400);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 일측에 개폐가능한 커버부(510)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의 하부에 무선이어폰(e)이 수납되어 상기 배터리에 의해 충전되는 이어폰수납부(520)가 형성되는 이어폰충전부(500); 및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 내측에 수납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에 내장되며 외부콘센트에 접속하기 위한 플러그(610)가 구비되는 플러그부(600);를 포함하되,
    상기 플러그부는,
    상기 플러그가 인출되도록 수납홈의 일측이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수납홈의 개구된 부분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부재(160)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수납홈과 관통된 형태로 마련된 슬라이드홈(150)을 따라 이송되며, 상기 플러그와 일측단부가 결합되는 가이드부재(620)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를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체결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16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단부에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도어프레임(162)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납홈은,
    상기 도어프레임의 일측단부가 삽입되어 내측방향으로 이송되기 위한 가이드홈(1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용 보조배터리.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외주면 일측에 상기 배터리의 충전잔량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이어폰충전부는,
    상기 커버부의 둘레를 따라 패킹부재(511)와, 상기 패킹부재가 대응되어 안착되도록 상기 이어폰수납부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안착홈(52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용 보조배터리.
KR1020200014502A 2020-02-06 2020-02-06 다기능 휴대용 보조배터리 KR102306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502A KR102306596B1 (ko) 2020-02-06 2020-02-06 다기능 휴대용 보조배터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502A KR102306596B1 (ko) 2020-02-06 2020-02-06 다기능 휴대용 보조배터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472A true KR20210100472A (ko) 2021-08-17
KR102306596B1 KR102306596B1 (ko) 2021-09-30

Family

ID=77466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502A KR102306596B1 (ko) 2020-02-06 2020-02-06 다기능 휴대용 보조배터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65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09567A1 (en) * 2020-12-31 2022-06-30 Shenzhen Yama Electronic Co., Ltd. Earphone charging case with adapter function
CN114715313A (zh) * 2021-09-14 2022-07-08 云南骑宜骑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自行车车载共享充电宝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779Y1 (ko) 2013-06-18 2013-11-06 원희진 휴대폰용 보조배터리 충전기
KR20170122994A (ko) * 2016-04-28 2017-11-07 임홍순 착탈식 충전 플러그 내장 보조배터리
KR101982173B1 (ko) * 2017-06-05 2019-08-28 안호성 착탈식 다국적 충전기를 갖는 유무선 보조배터리
KR20190115360A (ko) * 2018-04-02 2019-10-11 (주)마콘컴퍼니 스마트폰 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779Y1 (ko) 2013-06-18 2013-11-06 원희진 휴대폰용 보조배터리 충전기
KR20170122994A (ko) * 2016-04-28 2017-11-07 임홍순 착탈식 충전 플러그 내장 보조배터리
KR101982173B1 (ko) * 2017-06-05 2019-08-28 안호성 착탈식 다국적 충전기를 갖는 유무선 보조배터리
KR20190115360A (ko) * 2018-04-02 2019-10-11 (주)마콘컴퍼니 스마트폰 케이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09567A1 (en) * 2020-12-31 2022-06-30 Shenzhen Yama Electronic Co., Ltd. Earphone charging case with adapter function
US11996728B2 (en) * 2020-12-31 2024-05-28 Shenzhen Yama Electronic Co., Ltd. Earphone charging case with adapter function
CN114715313A (zh) * 2021-09-14 2022-07-08 云南骑宜骑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自行车车载共享充电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6596B1 (ko) 2021-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100194A4 (en) A Power Supply
US20220029449A1 (en) Luggage Having Charging Port
US20160197561A1 (en) Folding plug with safety cover
KR102306596B1 (ko) 다기능 휴대용 보조배터리
CN210093277U (zh) 一种手机
KR101631467B1 (ko) 휴대단말기용 다용도 보조배터리
KR200486136Y1 (ko) 보조배터리 및 유에스비 케이블을 포함하는 휴대폰 케이스
KR101794164B1 (ko) 휴대단말기용 보조 배터리
US10429886B2 (en) Assembly and housing for terminal device
KR200467206Y1 (ko) 케이블 수납형 휴대기기 케이스
JP2011182566A (ja) 充電源装置
CN207802282U (zh) 蓝牙耳机以及电子设备
KR20110119467A (ko) 휴대용메모리장치가 결합된 휴대단말기용 젠더장치
US20180219395A1 (en) Collapsible battery charger (cbc)
CN207612395U (zh) 一种通用型带移动充电多功能蓝牙耳机收纳盒
CN214205805U (zh) 带适配器功能的耳机充电仓
KR200385075Y1 (ko) 휴대전화 충전용 커넥터 수납 구조체
KR200411025Y1 (ko)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 겸용 휴대 충전기
CN209982122U (zh) 带伸缩线结构移动电源
KR20110109668A (ko) 커넥터 커버가 부착된 핸드폰 케이스
KR20180017565A (ko) 휴대단말기용 다기능 보조배터리
CN211880600U (zh) 蓝牙耳机及用于蓝牙耳机的充电盒
KR102232933B1 (ko) 보조 배터리
CN206389128U (zh) 一种移动电源
JP3198702U (ja) 複合型接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