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406U - 케이블커넥터용 보호구 - Google Patents

케이블커넥터용 보호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5406U
KR20130005406U KR2020120001744U KR20120001744U KR20130005406U KR 20130005406 U KR20130005406 U KR 20130005406U KR 2020120001744 U KR2020120001744 U KR 2020120001744U KR 20120001744 U KR20120001744 U KR 20120001744U KR 20130005406 U KR20130005406 U KR 2013000540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ase
terminal
connector
cabl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17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범
Original Assignee
김기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범 filed Critical 김기범
Priority to KR20201200017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5406U/ko
Publication of KR201300054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40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원을 공급하거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케이블커넥터용 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휴대형 단말기(100)와 같은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전자기기 사이에 데이터 교신을 위해 사용되는 케이블커넥터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전자기기에 마련되는 기기단자(120)에 접속되는 케이블단자(30) 및 상기 케이블단자와 케이블(10)의 연결부(40)를 동시에 감쌀 수 있는 케이스(50)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50)는 상기 케이블단자(30)가 안착되는 단자안착부(51) 및 상기 단자안착부(51)에 연이어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연결부(40)가 안착되는 케이블안착부(52)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케이블커넥터용 보호구{Protector For Cable Connector}
본 고안은 케이블커넥터용 보호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기기와 기기 사이에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게 하는 케이블커넥터에 있어서, 케이블과 케이블단자의 연결부위를 보호하기 위한 케이블커넥터용 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휴대형 단말기를 포함한 각종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이들 기기 사이에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전기적 접속수단으로서의 케이블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케이블커넥터의 양단에 설치되어 있는 접속단자와 케이블의 연결부위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기기와 케이블커넥터의 접속 형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케이블커넥터는 휴대형 단말기(100)와 같은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여 충전시키거나 전자기기간에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하에서는 휴대형 단말기(100)를 전자기기의 대표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케이블커넥터는 가운데에 케이블(10)이 있으며, 케이블(10)의 일단에는 기기단자(120)에 접속되는 케이블단자(30)가 설치되고 케이블(10)의 타단에는 유에스비잭, 이어폰, 다른 케이블단자 또는 전원플러그(20)가 설치된다. 휴대형 단말기(100)에 케이블커넥터를 연결하여 충전하거나 데이터 교신을 할 경우 케이블(10)과 케이블단자(30)의 연결부(40)가 잦은 굴곡변형을 겪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오랜 사용시 연결부(40)에 단락이 생기거나 접속불량이 생기는 경우가 흔히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케이블단자(30)와 케이블(10)의 연결부(40)를 다른 곳보다 두텁게 하여 심한 굴곡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있기는 하지만 그에 한계가 있으며, 연결부(40)와 케이블(10)의 경계부분에도 문제가 생기게 된다.
케이블커넥터의 접속부위를 보호하기 위한 제안으로는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5-0008567호의 "마이크로폰의 케이블 보호구"와 특허공개 제10-2006-0089924호의 "케이블커넥터 보호장치"가 있다. 전자는 스프링 타입이어서 통상 납작한 형태의 접속단자를 갖는 휴대형 단말기용 케이블에는 적용하기가 곤란하고, 후자는 볼트 등으로 기기 본체에 고정되는 형식이어서 수시로 고정 및 분리시키는 작업이 어렵기 때문에 사용상 불편하여 잦은 연결과 분리를 해야 하는 기기(예를 들어, 휴대형 단말기)에는 적용하기가 곤란하다.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전기적 접촉불량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이 편리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비용의 소모가 크지 아니하며, 다양한 편리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케이블커넥터용 보호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은,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전자기기간의 데이터 교신을 위해 사용되는 케이블커넥터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전자기기에 마련되는 기기단자에 접속되는 케이블단자 및 상기 케이블단자와 케이블의 연결부를 동시에 감쌀 수 있는 케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블단자가 안착되는 단자안착부 및 상기 단자안착부에 연이어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연결부가 안착되는 케이블안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커넥터용 보호구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케이블안착부는 상기 케이스로 하여금 상기 케이블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단면적이 상기 케이블의 단면적보다 넓게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케이블을 감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케이블걸이수단이 마련되되, 상기 케이블걸이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마련되는 1개 이상의 케이블걸침홈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케이블을 감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케이블걸이수단이 마련되되,
상기 케이블걸이수단은 일단은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스의 타면에 고정되는 밴드일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케이스에는 장식수단이 더 포함되되, 상기 장식수단은 상기 케이스 자체가 캐릭터 형상으로 된 것일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기기와 케이블커넥터를 접속한 다음 상기 케이스를 케이블을 따라 이송시키면서 상기 단자본체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마련되는 단자안착부에 안착되도록 하면 상기 케이블단자와 연결부(또는 케이블 일부)가 케이스 내부에 모두 인입되게 된다. 따라서 케이블이 절곡되거나 단자본체에 측방향의 힘이 가해진다 하여도 단자는 접속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그 연결부에서 단락이나 접촉불량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기타 실시예에 의하면 케이블의 보관을 용이하게 한다거나 장식적 효과에 의해 새로운 미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전자기기와 케이블커넥터의 접속 형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케이블커넥터용 보호구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3은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케이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케이블커넥터용 보호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케이블커넥터용 보호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단말기용 접속단자 보호구의 사시도이며, 도 8은 그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2 내지 도 4를 주로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며 다른 도면은 필요한 곳에서 인용하기로 한다.
휴대형 단말기(100)와 같은 각종의 전자기기의 접속면(110)에는 전원을 공급하거나 데이터 교신을 위해 기기단자(120)가 마련된다. 케이블커넥터는 케이블(10)을 중심으로 그의 일측에 유에스비잭, 이어폰, 케이블단자 또는 전원플러그(20) 등의 전기적 요소가 마련되며 타측에는 기기단자(120)와 접속하게 되는 케이블단자(30)가 마련된다. 케이블단자(30)는 구체적으로는 접속부(31)와 단자본체(32)로 구성되며, 케이블(10)은 단자본체(32)에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케이블(10)과 단자본체(32) 사이에는 연결부(40)가 있는데 이 연결부(40)가 흔히 문제되는 것이다.
도시된 케이블단자(30)는 휴대형 단말기에 널리 사용되는 24핀형 단자이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본 고안의 케이블커넥터용 보호구(이하, '보호구'라 한다)는 케이블단자(30), 특히 그의 단자본체(32) 및 연결부(40)를 동시에 감쌀 수 있는 형태의 케이스(50)를 포함한다. 케이스(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체형일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립형일 수도 있다. 케이스(50)는 공통적으로 단자본체(32)가 안착되는 단자안착부(51)와, 그와 연이어 형성된 것으로서 연결부(40) 내지 케이블(10)의 일부가 안착되는 케이블안착부(52)를 마련하고 있다. 그래서 케이스(50)는 단자본체(32)와 연결부(40)를 동시에 감싸는 형태가 된다. 가급적 단자본체(32)와 연결부(40)가 케이스(50) 내부에서 심하게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적어도 케이블안착부(52)는 케이스(50)로 하여금 케이블(10)에 끼워진 상태에서 도 1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10)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것을 허용하는 넓이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케이블안착부(52)의 단면적은 케이블(10) 및 연결부(40)의 단면적보다 넓게 되어 있다. 케이스(50)의 재질은 한정되지 아니하나 합성수지나 고무가 무난하며 그 크기 또한 부가 기능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고정성을 위해 약간의 힘을 주어야만 단자본체(32)가 케이스(50)에 끼워지거나 그로부터 빠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단자안착부(51)의 내면에는 단자본체(32)의 외면을 약간의 힘으로 압박시키기 위한 단자본체고정수단을 마련할 수 있다. 단자본체고정수단은 탄성에 의해 단자본체를 압박할 수 있는 탄성부재(미도시됨)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는 단자(120,30)를 서로 접속한 다음 케이스(50)를 도 3의 제1화살표(A1)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시켜 단자안착부(51)에 단자본체(32)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단자본체(32)와 연결부(40)를 보호할 수 있고 케이블(10) 내지 연결부(40)에 잦고 심한 굴곡이 가해지더라도 연결부(40)를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케이스의 단자본체 인입구(53, 도 5,6,7 참조)가 마련된 면에는 단자(120,30)를 접속한 다음 케이스(50)를 휴대형 단말기에 삽입한 경우, 휴대형 단말기의 측면(110)에 면접하여 지지되는 지지면(54, 도 5,6,7 참조)이 케이블단자의 폭보다 넓은 면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 지지면(54)에 의해서 도 3에서와 같이 제2화살표(A2)와 같은 방향으로 토크가 가해지더라도 단자본체(32)가 이와 같은 방향(A2)으로 기울어지지 않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케이스(50)는 조립식으로 되어 있으며 단위 케이스(50a,50b)를 서로 포갠 뒤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 결합구(60,61)가 서로 암수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결합구(60,61)는 도브테일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으로서 요소체결에 있어서 널리 이용되는 방식이다. 단위 케이스(50a,50b)에는 각각 단자안착부(51)와 케이블 안착부(52)가 마련되어 있다. 단위 케이스(50a,50b)의 이러한 조립방식은 일례에 지나지 아니하며 기타 다양한 방법으로 양자를 조립시킬 수 있다. 접착제로써 반영구적으로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5는 일체형으로 된 케이스(50')를 도시하는데 케이스(50') 일면 중앙에는 세로방향으로는 케이블(10)의 직경보다 폭이 좁은 슬릿 형태의 인입홈(62)이 마련되어 있다. 이 인입홈(62)은 케이스(50') 내부에 마련된 단자안착부(51)와 케이블안착부(52)로 소통되어 있다. 케이스(50')를 연성 합성수지나 고무 등의 플렉시블한 재질로 선택한다면, 케이블(10)을 제3화살표(A3)방향으로 압입할 경우 인입홈(62)이 탄성적으로 벌어지면서 케이블(10)이 케이스(50') 내부로 끼워지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들을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은 케이스(50)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케이블(10)을 감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걸이수단과 관련된다. 케이블걸이수단은 케이블(10)을 사용하지 않고 보관할 때 번잡스럽지 않도록 기다란 케이블(10)을 편리하게 정리하여 두기 위한 수단이다.
도 6은 케이스의 외면에 마련되는 1개 이상의 케이블걸침홈(70)을 예시한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케이스(50)의 양측면에 대칭 유사하게 다수의 케이블걸침홈(70)이 마련되고 있다. 케이블걸침홈(70)을 이용함으로써 실패에 실을 감듯 케이스(50)에 케이블(10)을 감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케이블걸침홈(70)은 케이스(50) 자체가 아닌 케이스(50)의 외면에 별도로 부착된 케이블걸이대(미도시됨)를 통해 형성될 수도 있다.
케이블걸침홈(70)은 일체형 케이스(50)이든 조립형 케이스(50')이든 불문하고 공히 채용할 수 있는 것이며 그 개수는 불문한다. 케이블(10)이 옆으로 미끄러져 빠지지 않도록 하면 되기 때문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간의 높이로 단턱(71)만을 줌으로써 하나의 케이블걸침홈(70)이 마련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케이블걸이수단은 일단은 케이스(50)의 후면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은 케이스(50)의 정면(55)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단자(120,30)가 접속된 상태에서 휴대형 단말기(100)를 휘감을 수 있는 길이로 제공되는 밴드(80)를 포함할 수 있다. 밴드(80)는 탄성밴드일 수도 있다. 밴드(80)의 타단은 벨크로테잎(81,82)에 의해 케이스(50)의 타면에 필요에 따라 고정될 수 있다. 밴드(8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휴대형 단말기(100)를 휘감아 고정시킬 수 있다. 휴대형 단말기(100)가 아닌 다른 전자기기는 그에 맞는 밴드라든가 기타 고정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보다 안정적으로 단자가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단자가 분리된 상태, 즉 케이블(1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케이블(10)을 말거나 접은 다음 밴드(80)로써 쉽게 고정시킬 수 있다. 즉 밴드(80)를 이용하여 케이블(10)을 정리하게끔 하는 형식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케이스(50)에는 단자의 접속여부 또는 충전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케 하는 엘이디 램프의 빛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투시수단은 케이스(50)를 관통시켜 빛이 통과되도록 하거나 투명창을 설치하거나 케이스(50)를 투명 또는 반투명한 소재로 사용함으로써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50)를 일반적인 합성수지로써 얇게 하는 경우에는 빛이 어느 정도 투과하므로 별도의 투시수단을 고려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50)를 장식적 수단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케이스(50)의 넓은 면중 하나인 정면(55)에는 인쇄 또는 스티커부착 등의 방식에 의해 로고 또는 광고 등 소정의 이미지와 같은 장식(90)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는 케이스 자체를 캐릭터 형태로 하는 것이 있다. 이에 의해 실로 다양한 흥미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는 케이블커넥터의 단부에 설치된 전기적 요소, 예를 들면, 유에스비잭, 이어폰, 다른 케이블단자 또는 전원플러그(20)를 고정시키기 위한 요소고정부가 마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요소고정부는 이어폰을 고정시킬 수 있는 2개의 이어폰끼움홈(미도시됨)이 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임의적으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임의의 조합에 의한 미설명된 구성 또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 내에 있는 것이 된다.
10 : 케이블 20 : 전원플러그
30 : 케이블단자 31 : 접속부
32 : 단자본체 40 : 연결부
50,50' : 케이스 51 : 단자안착부
52 : 케이블안착부 53 : 단자본체인입구
54 : 지지면 55 : (케이스) 정면
60,61 : 결합구 62 : (케이블)인입홈
70 : 케이블걸침홈 71 : 단턱
80 : 밴드 81,82 : 벨크로테잎
90 : 장식 100 : 휴대형 단말기
120 : 기기단자

Claims (4)

  1.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전자기기간의 데이터 교신을 위해 사용되는 케이블커넥터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전자기기에 마련되는 기기단자(120)에 접속되는 케이블단자(30) 및 상기 케이블단자(30)와 케이블(10)의 연결부(40)를 동시에 감쌀 수 있는 케이스(50)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50)는 상기 케이블단자(30)가 안착되는 단자안착부(51) 및 상기 단자안착부(51)에 연이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연결부(40)가 안착되는 케이블안착부(52)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커넥터용 보호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안착부(52)는 상기 케이스(50)로 하여금 상기 케이블(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10)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단면적이 상기 케이블(10)의 단면적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커넥터용 보호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50)는 캐릭터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50)에는 상기 케이블(10)을 감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케이블걸이수단이 마련되되, 상기 케이블걸이수단은 상기 케이스(50)의 외면에 마련되는 1개 이상의 케이블걸침홈(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커넥터용 보호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50)에는 상기 케이블(10)을 감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케이블걸이수단이 마련되되,
    상기 케이블걸이수단은 일단이 상기 케이스(50)의 후면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스의 정면(55)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밴드(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커넥터용 보호구.
KR2020120001744U 2012-03-06 2012-03-06 케이블커넥터용 보호구 KR2013000540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744U KR20130005406U (ko) 2012-03-06 2012-03-06 케이블커넥터용 보호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744U KR20130005406U (ko) 2012-03-06 2012-03-06 케이블커넥터용 보호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406U true KR20130005406U (ko) 2013-09-16

Family

ID=52440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1744U KR20130005406U (ko) 2012-03-06 2012-03-06 케이블커넥터용 보호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5406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285Y1 (ko) * 2017-10-14 2018-09-05 김서연 충전 단자 보호 케이스
KR200487880Y1 (ko) * 2017-12-27 2018-11-15 박주석 휴대폰 충전기의 충전잭의 삽입위치 표시구
KR101944042B1 (ko) * 2017-12-08 2019-01-30 이규배 충전케이블의 분리방지용 결속밴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285Y1 (ko) * 2017-10-14 2018-09-05 김서연 충전 단자 보호 케이스
KR101944042B1 (ko) * 2017-12-08 2019-01-30 이규배 충전케이블의 분리방지용 결속밴드
KR200487880Y1 (ko) * 2017-12-27 2018-11-15 박주석 휴대폰 충전기의 충전잭의 삽입위치 표시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8003B2 (en) Multi-functional adaptation winder
CN102074824B (zh) 具有整体式壳体的磁性连接器
US20130309901A1 (en) Multipurpose ultra-portable electronics cable
WO2009051792A3 (en) Extension cord featuring length adjustable ends
KR20130005406U (ko) 케이블커넥터용 보호구
CN208316360U (zh) 移动终端充电装置
US20160093417A1 (en) Mobile device cable strengthening and personalization device and method
KR100761509B1 (ko) 전기 공급을 위한 공동 주택용 이동식콘센트
US20150288203A1 (en) Portable battery charger
CN107565647B (zh) 便携式移动电源
WO2016124046A1 (zh) 一种电线转换头组合
CN208904683U (zh) 移动电源
CN208352669U (zh) 一种耐磨损的数据线
CN219959562U (zh) 一种电子产品快充接口连接线束
US8198537B2 (en) Foldable electric cord and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using the same
CN219919117U (zh) 蓝牙耳机充电装置
CN205283630U (zh) 一种手机保护壳
CN214379182U (zh) 一种多功能数据线
CN217281464U (zh) 一种防电源线松脱装置、用电设备及用电设备组件
CN204030195U (zh) 一种数据传输件
CN215070763U (zh) 一种弯折型Lightning数据线
CN219247097U (zh) 电子设备及其转接装置
CN209930003U (zh) 一种具有绕卷连接线结构的移动电源
CN212114230U (zh) 转接器
CN208539210U (zh) 适于共享单车的电池连接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