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3589B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43589B1 KR101943589B1 KR1020080112123A KR20080112123A KR101943589B1 KR 101943589 B1 KR101943589 B1 KR 101943589B1 KR 1020080112123 A KR1020080112123 A KR 1020080112123A KR 20080112123 A KR20080112123 A KR 20080112123A KR 101943589 B1 KR101943589 B1 KR 1019435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
- auxiliary electrode
- insulating film
- thin film
- film transisto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4020 luminiscence type Methods 0.000 abstract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581 Si3N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21417 amorphous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21420 polycrystalline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HQVNEWCFYHHQES-UHFFFAOYSA-N silicon nitride Chemical compound N12[Si]34N5[Si]62N3[Si]51N64 HQVNEWCFYHHQE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814 silicon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69 fiel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VYZAMTAEIAYCRO-UHFFFAOYSA-N Chromium Chemical compound [Cr] VYZAMTAEIAYCR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OKXTWBITQBERF-UHFFFAOYSA-N Molybdenum Chemical compound [Mo] ZOKXTWBITQBER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34972 Photosensitivity rea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25 hole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272 inorgan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7 in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0 molybde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3 molybden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206 photolith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211 photo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36—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 H01L33/40—Materials therefor
- H01L33/42—Transparent materi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14—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carrier transport control structure, e.g. highly-doped semiconductor layer or current-blocking stru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95—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aterials provided in the groups H01L2924/013 - H01L2924/0715
- H01L2924/097—Glass-ceramics, e.g. devitrified glas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3—Discrete devices, e.g. 3 terminal devices
- H01L2924/1304—Transistor
- H01L2924/1306—Field-effect transistor [FET]
- H01L2924/13069—Thin film transistor [T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기판,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보조 전극, 제1 보조 전극과 위에 형성되어 있고, 제1 입력 단자, 제1 출력 단자 및 제1 제어 단자를 가지는 제1 박막 트랜지스터, 제1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되어 있는 화소 전극을 포함하고, 제1 보조 전극은 제1 박막 트랜지스터와 중첩하고, 제1 입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유기 발광, 킹효과
Description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와 이를 구동하기 위한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이들은 복수의 박막으로 만들어지며 공정 상의 이유로 대개는 박막 트랜지스터는 아래 쪽에, 유기 발광 소자는 위쪽에 위치하며, 유기 발광 소자의 애노드(anode)는 아래 쪽에, 캐소드(cathode)는 위쪽에 위치한다.
이와 같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빛을 위로 방출하는 상부 방출(top emission) 방식과 아래 쪽으로 방출하는 하부 방출(bottom emission)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하부 방출 방식의 경우 유기 발광 소자의 아래 쪽에 위치한 박막 트랜지스터 때문에 빛을 방출할 수 있는 면적이 좁기 때문에 박막 트랜지스터의 아래에는 차광 부재(black matrix)를 형성하지 않는다.
한편, 표시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박막 트랜지스터의 반도체는 비정질 규소를 결정화하여 형성한 다결정 규소로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차광 부재를 형성하지 않으면 빛의 산란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 편광판을 별도로 추가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비정질 규소를 다결정화 한 경우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전기적 특성이 균일하지 않아 화질이 고르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편광판을 설치하지 않으면서도 킹크(kink) 효과를 감소하고 안정 전압(saturation voltage)을 감소시키고, 균일한 화질을 얻을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기판,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보조 전극, 제1 보조 전극과 위에 형성되어 있고, 제1 입력 단자, 제1 출력 단자 및 제1 제어 단자를 가지는 제1 박막 트랜지스터, 제1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되어 있는 화소 전극을 포함하고, 제1 보조 전극은 제1 박막 트랜지스터와 중첩하고, 제1 입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1 박막 트랜지스터는 불순물이 고농도로 도핑되어 있는 제1 소스 영역 및 제1 드레인 영역과 제1 소스 영역 및 제1 드레인 영역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채널 영역을 포함하는 다결정 규소를 포함하며, 제1 보조 전극은 제1 소스 영역을 경유하여 제1 입력 단자와 연결되어 있다.
제1 보조 전극은 제1 입력 전극과 직접 연결되어 있다.
제1 보조 전극은 불투명한 도전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보조 전극은 투명한 도전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보조 전극은 기판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신호선, 제1 신호선과 교차하는 제2 신호선, 제1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1 제어 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출력 단자, 제1 신호선과 연결되어 있는 제2 제어 단자, 제2 신호선과 연결되어 있는 제2 입력 단자를 포함하는 제2 박막 트랜지스터, 제2 박막 트랜지스터와 중첩하고, 제2 입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2 보조 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박막 트랜지스터는 불순물이 고농도로 도핑되어 있는 제2 소스 영역 및 제2 드레인 영역과 제2 소스 영역 및 제2 드레인 영역 사이의 제2 채널 영역을 포함하는 다결정 규소를 포함하고, 제2 보조 전극은 제2 소스 영역을 경유하여 제2 입력 전극과 연결되어 있다.
제2 보조 전극은 제1 입력 전극과 직접 연결되어 있다.
제2 보조 전극은 불투명한 도전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화소 전극 위에 형성되어 있는 발광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보조 전극을 이용하여 반도체의 아래에 소스와 연결된 게이트를 형성하면 킹크 효과를 감소하고 안정 전압을 감소시켜 균일한 화질을 얻을 수 있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먼저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복수의 신호선(121, 171, 172)과 이들에 연결되어 있으며 대략 행렬(matrix)의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화소(pixel)(PX)를 포함한다.
신호선은 게이트 신호(또는 주사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게이트선(gate line)(121),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데이터선(data line)(171), 구동 전압을 전달하는 복수의 구동 전압선(driving voltage line)(172)을 포함한다. 게이트선(121)은 대략 행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서로가 거의 평행하고 데이터선(171)은 대략 열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서로가 거의 평행하다. 구동 전압선(172)은 대략 열 방향으로 뻗어 있다.
각 화소(PX)는 스위칭 트랜지스터(switching transistor)(Qs),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driving transistor)(Qd), 유지 축전기(storage capacitor)(Cst) 및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LD)를 포함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Qs)는 제어 단자(control terminal), 입력 단자(input terminal) 및 출력 단자(output terminal)를 가지는데, 제어 단자는 게이트선(121)에 연결되어 있고, 입력 단자는 데이터선(171)에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 단자는 구동 트랜지스터(Qd)에 연결되어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Qs)는 게이트선(121)으로부터 받은 주사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선(171)으로부터 받은 데이터 신호를 구동 트랜지스터(Qd)에 전달한다.
구동 트랜지스터(Qd) 또한 제어 단자,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를 가지는데, 제어 단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Qs)에 연결되어 있고, 입력 단자는 구동 전압선(172)에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 단자는 유기 발광 소자(LD)에 연결되어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Qd)는 제어 단자와 출력 단자 사이에 걸리는 전압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지는 출력 전류(ILD)를 흘린다.
축전기(Cst)는 구동 트랜지스터(Qd)의 제어 단자와 입력 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이 축전기(Cst)는 구동 트랜지스터(Qd)의 제어 단자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충전하고 스위칭 트랜지스터(Qs)가 턴 오프(turn-off)된 뒤에도 이를 유지 한다.
유기 발광 소자(LD)는 예를 들면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로서, 구동 트랜지스터(Qd)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애노드(anode)와 공통 전압선(172)에 연결되어 있는 캐소드(cathode)를 가진다. 유기 발광 소자(LD)는 구동 트랜지스터(Qd)의 출력 전류(ILD)에 따라 세기를 달리하여 발광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Qs) 및 구동 트랜지스터(Qd)는 n-채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 FET)로서 이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스위칭 트랜지스터(Qs)와 구동 트랜지스터(Qd) 중 적어도 하나는 p-채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Qs, Qd), 축전기(Cst) 및 유기 발광 소자(LD)의 연결 관계가 바뀔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스위칭 트랜지스터(Qs)와 구동 트랜지스터(Qd) 외에도 구동 트랜지스터(Qd)나 유기 발광 소자(LD)의 문턱 전압 보상을 위한 다른 트랜지스터들이 더 있을 수 있다.
그러면 도 1에 도시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상세 구조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4를 도 1과 함께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배치도이고, 도 3은 도 2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III-III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IV-IV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투명한 유리 또는 플라스틱 따위로 만들어진 절연 기판(110) 위에는 보조 전극(10)이 형성되어 있다. 보조 전극(10)은 불투명한 도전 물질로 이루어진다.
보조 전극(10)을 포함하는 기판(110) 위에 산화 규소 또는 질화 규소 등으로 이루어진 차단층(111)이 형성되어 있다. 차단층(111)은 보조 전극(10)을 노출하는 접촉 구멍(15)을 포함한다.
차단층(111) 위에는 제1 및 제2 반도체(151a, 151b)가 형성되어 있고, 제2 반도체(151b)에는 축전기용 반도체(157)가 연결되어 있다.
제1 및 제2 반도체(151a, 151b)는 보조 전극(10)과 중첩되어 있으며 접촉 구멍(15)을 통해서 보조 전극(10)과 연결되어 있다. 제1 및 제2 반도체(151a, 151b)는 비정질 규소를 결정화한 다결정 규소 따위로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 반도체(151a, 151b)의 제1 및 제2 소스 영역(153a, 153b)과 제1 및 제2 드레인 영역(155a, 155b)은 n형 또는 p형 불순물로 도핑되어 있으며, 각각 다른 불순물로 도핑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소스 영역(153a, 153b)과 채널 영역(154a, 154b) 사이, 제1 드레인 영역(155a, 155b)과 채널 영역(154a, 154b) 사이에는 저농도 도핑 영역(152) 또는 오프셋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소스 영역 및 제1 드레인 영역(153a, 155a) 사이에 고농도 도핑 영역(154c)을 포함할 수 있으며, 드레인 및 소스 영역으로 사용된다.
보조 전극(10)과 연결되는 반도체에도 도전형 불순물이 고농도로 도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소스 영역(153a, 153b)일 수 있다.
제1 및 제2 반도체(151a, 151b) 위에는 산화 규소 또는 질화 규소로 이루어진 게이트 절연막(140)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절연막(140) 위에는 제1 제어 전극(124a)을 포함하는 게이트선(121) 및 제2 제어 전극(124b)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선(121)은 주로 가로 방향으로 뻗으며, 제1 제어 전극(124a)은 위로 돌출하여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채널부(154a)와 중첩하고 있다. 게이트선(121)은 다른 층 또는 외부 구동 회로와의 접속을 위한 넓은 끝 부분(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제어 전극(124b)은 게이트선(121)과 분리되어 있으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의 채널부(154b)와 중첩하고 있다.
제2 제어 전극(124b)은 세로 방향으로 길게 뻗은 유지 전극(127)을 포함하고, 유지 전극(127)은 반도체의 유지 전극부(157)와 중첩되어 있다.
게이트선(121)과 제2 제어 전극(124b) 및 유지 전극(127)의 위에는 제1 층간 절연막(180p)이 형성되어 있고, 제1 층간 절연막(180p) 위에는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선(171), 구동 전압선(172), 제1 및 제2 출력 전극(175a, 175b)이 형성되어 있다.
데이터선(171) 및 구동 전압선(172)은 주로 세로 방향으로 뻗어 게이트선(121)과 교차한다. 데이터선(171)은 제1 제어 전극(124a)을 향하여 뻗은 제1 입력 전극(173a)을 포함하고, 구동 전압선(172)은 제2 제어 전극(124b)을 향하여 뻗은 제2 입력 전극(173b)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입력 전극(173a, 173b)은 제1 층간 절연막(180p) 및 게이트 절연막(140)에 형성된 접촉 구멍(161, 164)을 통해서 각각 제1 및 제2 소스 영역(153a, 153b)과 연결되어 있다.
제1 및 제2 출력 전극(175a, 175b)은 서로 분리되어 있고 데이터선(171) 및 구동 전압선(172)과도 분리되어 있다. 제1 출력 전극(175a)은 제1 층간 절연막(180p) 및 게이트 절연막(140)에 형성된 접촉 구멍(162, 163)을 통해서 제1 드레인 영역(155a) 및 제2 입력 전극(124b)과 연결되어 있고, 제2 출력 전극(175b)은 제1 층간 절연막(180p) 및 게이트 절연막(140)에 형성된 접촉 구멍(165)을 통해서 제2 드레인 영역(155b)과 연결되어 있다.
제1 입력 전극(173a)과 제1 출력 전극(175a)은 제1 제어 전극(124a)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하며, 제2 입력 전극(173b)과 제2 출력 전극(175b)은 제2 제어 전극(124b)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한다.
제1 제어 전극(124a), 제1 입력 전극(173a) 및 제1 출력 전극(175a)은 제1 반도체(151a)와 함께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Qs)를 이루며, 제2 제어 전극(124b), 제2 입력 전극(173b) 및 제2 출력 전극(175b)은 제2 반도체(151b)와 함께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Qd)를 이룬다.
앞에서 설명한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Qs),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Qd), 게이트선(121), 데이터선(171), 구동 전압선(172) 등의 구조는 하나의 예일 뿐이며 여러 가지 다른 예가 있을 수 있다.
데이터선(171), 구동 전압선(172), 제1 및 제2 출력 전극(175a, 175b) 위에 는 제2 층간 절연막(180q)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층간 절연막(180q)은 질화규소나 산화규소 따위의 무기 절연물로 만들어진 하부막(도시하지 않음)과 유기 절연물로 만들어진 상부막(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한다. 유기 절연물은 4.0 이하의 유전 상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감광성(photosensitivity)을 가질 수도 있으며, 평탄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보호막(180)은 무기 절연물 또는 유기 절연물 따위로 만들어진 단일막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제2 층간 절연막(180q)에는 제2 출력 전극(175b)을 드러내는 접촉 구멍(185)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층간 절연막(180q) 위에는 화소 전극(pixel electrode)(191)이 형성되어 있다.
화소 전극(191)은 ITO 또는 IZO 등으로 이루어진 투명 물질로 이루어지며, 접촉 구멍(185)을 통해 제2 출력 전극(175b)과 연결되어 있다.
화소 전극(191) 위에는 격벽(partition)(360)이 형성되어 있다. 격벽(360)은 화소 전극(191) 가장자리 주변을 둑(bank)처럼 둘러싸서 개구부(opening)(365)를 정의하며, 유기 절연물 또는 무기 절연물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특히 검정색 안료를 포함하는 감광제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격벽(360)이 차광 부재의 역할을 하며 그 형성 공정이 간단하다.
격벽(360)이 정의하는 화소 전극(191) 위의 개구부(365) 내에는 유기 발광 부재(organic light emitting member)(370)가 형성되어 있다. 유기 발광 부재(370)는 발광층 및 발광층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부대층(auxiliary layer) 을 포함하는 복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발광층은 적색, 녹색, 청색의 삼원색 등 기본색(primary color) 중 어느 하나의 빛을 고유하게 내는 유기 물질 또는 유기 물질과 무기 물질의 혼합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발광층에서 내는 기본색 색광의 공간적인 합으로 원하는 영상을 표시한다.
부대층은 전자와 정공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과 전자와 정공의 주입을 강화하기 위한 정공 주입층(electron injecting layer) 및 전자 주입층(hole injecting layer)을 포함한다.
발광 부재(370) 위에는 공통 전극(common electrode)(270)이 기판 전면에 형성되어 있다.
공통 전극(270)은 전자 주입(electron injection)이 양호하고 유기 물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도전 물질로 만들어 질 수 있으며, 몰리브덴, 크롬, 은, 알루미늄 또는 그 합금 등의 반사성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화소 전극(191), 유기 발광 부재(370) 및 공통 전극(270)은 유기 발광 소자(LD)를 이루며, 화소 전극(191)이 애노드, 공통 전극(270)이 캐소드가 된다.
이러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110)의 아래쪽으로 빛을 내보내어 영상을 표시하며, 유기 발광 부재(370)에서 방출된 빛은 공통 전극(270)에 의하여 반사되어 아래쪽을 향한다.
이때, 유기 발광 부재, 화소 전극(191) 및 공통 전극(270) 중 적어도 하나의 두께를 조절하여 적색, 녹색, 청색 화소에 따라서 발광되는 색의 파장을 증폭하게 하는 미세 공진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미세 공진 구조는 광로 길이(optical length)만큼 떨어져 있는 화소 전극(191)과 공통 전극(270) 사이를 반복적으로 반사함으로써 보강 간섭에 의해 특정 파장의 빛을 증폭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화소 전극(191)의 두께를 적색>녹색>청색 순으로 다르게 형성하여 특정 파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반도체 아래에 도전 물질로 보조 전극을 형성하고, 보조 전극과 소스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소스 전극과 연결된 보조 전극이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으로 동작하여 버퍼층과 반도체 사이에도 채널이 형성되기 때문에 킹크 효과 및 안정 전압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불투명한 물질로 보조 전극을 형성하여 가려주므로 박막 트랜지스터에서의 빛샘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외부광이 박막 트랜지스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단면도로, 도 2의 III-III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대부분의 층간 구조는 제1 실시예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와 동일하므로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소스 전극(173a, 173b)이 접촉 구멍(15)을 통해서 보조 전극(10)과 연결되어 있다. 제1 실시예에서는 소스 전극(173a, 173b)과 연결된 소스 영역(153a, 153b)을 통해서 보조 전극(10)과 연결하나, 제2 실시예에서는 소스 전극(173a, 173b)과 보조 전극(10)이 직접 연결되어 있다.
[제3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단면도로, 도 2의 III-III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대부분의 층간 구조는 제1 실시예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와 동일하므로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보조 전극(10)을 불투명한 도전 물질이 아닌 ITO 또는 IZO 와 같은 투명한 도전 물질로 형성하며, 제2 실시예와 달리 기판(110) 전면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보조 전극(10)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진 식각 공정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도 6의 구조에서는 외부광이 박막 트랜지스터에 영향을 주는 것을 막고, 외부광이 산란되어 화질을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부분적으로 편광판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이 소스 전극(173a)과 보조 전극(10)을 직접 연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배치도이다.
도 3은 도 2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III-III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IV-IV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단면도로 도 2의 III-III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 부호의 설명>
110: 절연 기판 121: 게이트선
124a, 124a: 제어 전극 127: 유지 전극
140: 게이트 절연막 154a, 154b: 반도체
163a, 163b, 165a, 165b: 저항성 접촉 부재
171: 데이터선 172: 구동 전압선
173a, 173b: 입력 전극 175a, 175b: 출력 전극
180p, 180q: 층간 절연막
161, 162, 163, 164, 165, 185: 접촉 구멍
191: 화소 전극 270: 공통 전극
360: 격벽
365: 개구부 370: 유기 발광 부재
Cst: 유지 축전기 ILD: 구동 전류
LD: 유기 발광 소자 PX: 화소
Qs: 스위칭 트랜지스터 Qd: 구동 트랜지스터
Claims (11)
- 기판,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보조 전극,상기 제1 보조 전극 위에 형성되어 있는 차단층,상기 차단층 위에 형성되어 있는 반도체층,상기 반도체층 위에 형성되어 있는 게이트 절연막,상기 게이트 절연막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제어 전극,상기 제1 제어 전극 및 상기 게이트 절연막 위에 형성되어 있는 층간 절연막,상기 층간 절연막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입력 전극 및 제1 출력 전극,상기 제1 입력 전극 및 상기 제1 출력 전극보다 상부층에 형성되어 있는 화소 전극을 포함하고,상기 반도체층, 상기 제1 입력 전극, 상기 제1 출력 전극 및 상기 제1 제어 전극은 제1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성하고,상기 반도체층은 제1 소스 영역 및 제1 드레인 영역과 상기 제1 소스 영역 및 상기 제1 드레인 영역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채널 영역을 포함하며,상기 제1 보조 전극은 상기 반도체층의 상기 제1 소스 영역에서부터 상기 제1 채널 영역을 지나 상기 제1 드레인 영역까지 연속적으로 상기 반도체층과 중첩하고,상기 제1 입력 전극은 상기 차단층, 상기 게이트 절연막 및 상기 층간 절연막에 형성되어있는 접촉 구멍을 통하여 상기 제1 보조 전극과 직접 연결되며,상기 제1 입력 전극은 상기 게이트 절연막 및 상기 층간 절연막에 형성되어 있는 접촉 구멍을 통하여 상기 반도체층의 상기 제1 소스 영역과 직접 연결되어 있는 표시 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서,상기 제1 보조 전극은 불투명한 도전 물질로 이루어지는 표시 장치.
- 제1항에서,상기 제1 보조 전극은 투명한 도전 물질로 이루어지는 표시 장치.
- 제5항에서,상기 제1 보조 전극은 기판 전면(全面)에 형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
- 제1항에서,제1 신호선,상기 제1 신호선과 교차하는 제2 신호선,상기 제1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1 제어 전극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출력 전극, 상기 제1 신호선과 연결되어 있는 제2 제어 전극, 상기 제2 신호선과 연결되어 있는 제2 입력 전극을 포함하는 제2 박막 트랜지스터,상기 제2 박막 트랜지스터와 중첩하고, 상기 제2 입력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2 보조 전극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 제7항에서,상기 제2 박막 트랜지스터는 제2 소스 영역 및 제2 드레인 영역과 상기 제2 소스 영역 및 상기 제2 드레인 영역 사이의 제2 채널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 제7항에서,상기 제2 보조 전극은 상기 제1 입력 전극과 직접 연결되어 있는 표시 장치.
- 제8항 또는 제9항에서,상기 제2 보조 전극은 불투명한 도전 물질로 이루어지는 표시 장치.
- 제1항에서,상기 화소 전극 위에 형성되어 있는 발광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12123A KR101943589B1 (ko) | 2008-11-12 | 2008-11-12 | 표시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12123A KR101943589B1 (ko) | 2008-11-12 | 2008-11-12 | 표시 장치 |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07700A Division KR20160104602A (ko) | 2016-08-24 | 2016-08-24 | 표시 장치 |
KR1020190008826A Division KR20190010890A (ko) | 2019-01-23 | 2019-01-23 | 표시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53136A KR20100053136A (ko) | 2010-05-20 |
KR101943589B1 true KR101943589B1 (ko) | 2019-01-30 |
Family
ID=42278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12123A KR101943589B1 (ko) | 2008-11-12 | 2008-11-12 | 표시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4358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90472B1 (ko) * | 2014-02-24 | 2022-04-27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
KR102205858B1 (ko) * | 2014-04-25 | 2021-01-21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CN104752439B (zh) * | 2015-01-05 | 2017-12-26 |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 一种阵列基板、显示装置及阵列基板制造方法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12270B1 (ko) * | 1995-12-28 | 1999-08-02 | 윤종용 |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
JP2000241829A (ja) * | 1997-12-25 | 2000-09-08 | Seiko Epson Corp | 電気光学装置用基板、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及び電子機器並びに投射型表示装置 |
JP2003066868A (ja) | 2001-08-24 | 2003-03-05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表示パネ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情報表示装置 |
JP2003140570A (ja) * | 2001-11-06 | 2003-05-16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
JP2008141091A (ja) * | 2006-12-05 | 2008-06-19 | Seiko Epson Corp | 半導体装置および電気光学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04229A (ko) * | 2005-07-04 | 2007-01-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박막트랜지스터기판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1087993B1 (ko) * | 2005-11-02 | 2011-12-01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다결정 실리콘 박막트랜지스터 |
KR20070081829A (ko) * | 2006-02-14 | 2007-08-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JP5847024B2 (ja) * | 2012-06-15 | 2016-01-20 | 出光興産株式会社 | アルカリ金属硫化物の製造方法 |
-
2008
- 2008-11-12 KR KR1020080112123A patent/KR10194358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12270B1 (ko) * | 1995-12-28 | 1999-08-02 | 윤종용 |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
JP2000241829A (ja) * | 1997-12-25 | 2000-09-08 | Seiko Epson Corp | 電気光学装置用基板、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及び電子機器並びに投射型表示装置 |
JP2003066868A (ja) | 2001-08-24 | 2003-03-05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表示パネ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情報表示装置 |
JP2003140570A (ja) * | 2001-11-06 | 2003-05-16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
JP2008141091A (ja) * | 2006-12-05 | 2008-06-19 | Seiko Epson Corp | 半導体装置および電気光学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53136A (ko) | 2010-05-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80757B1 (ko) | 유기발광 표시장치 | |
US8022900B2 (en) | OLED display | |
US6476419B1 (en) |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 |
US7456431B2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 |
US20130056784A1 (en) |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KR101509112B1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
US20050140308A1 (en) | Dual panel-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
KR100775205B1 (ko) | 표시 장치 | |
KR20100012507A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
KR102387791B1 (ko) |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KR20200076995A (ko) | 박막 트랜지스터 및 이를 이용한 표시패널 | |
KR20090105261A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KR100984359B1 (ko) |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 |
KR102473069B1 (ko) |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US8304981B2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20100008564A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KR20100009385A (ko) |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 |
KR101437865B1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
KR101943589B1 (ko) | 표시 장치 | |
KR20090091568A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KR20080092716A (ko) |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
KR102136634B1 (ko) | 표시 장치 | |
KR102294114B1 (ko) | 표시 장치 | |
KR20190010890A (ko) | 표시 장치 | |
KR20160104602A (ko) | 표시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493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824 Effective date: 20180612 |
|
S901 |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