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3584B1 - 볼스크류용 커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볼스크류용 커버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3584B1
KR101943584B1 KR1020180133028A KR20180133028A KR101943584B1 KR 101943584 B1 KR101943584 B1 KR 101943584B1 KR 1020180133028 A KR1020180133028 A KR 1020180133028A KR 20180133028 A KR20180133028 A KR 20180133028A KR 101943584 B1 KR101943584 B1 KR 101943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screw
cover sheet
ring
ball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3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호
Original Assignee
(주)알파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알파테크 filed Critical (주)알파테크
Priority to KR1020180133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35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3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3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2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31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characterised by covers or lids for gear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스크류용 커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장비에 설치되는 볼스크류에 이물질 등의 유입을 방지하는 것으로 커버시트와 상기 커버시트에 복수개로 이격 구비되는 링프레임으로 이루어지되, 볼스크류의 측방향에서 탈착되도록 하여, 찢어짐 등의 파손이 생길 경우 볼스크류에 결합되는 각종 장치를 분리할 필요 없이 쉽게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여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볼스크류용 커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볼스크류용 커버 어셈블리{COVER ASSEMBLY FOR BALL-SCREW}
본 발명은 볼스크류용 커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장비에 설치되는 볼스크류에 이물질 등의 유입을 방지하는 것으로 커버시트와 상기 커버시트에 복수개로 이격 구비되는 링프레임으로 이루어지되, 볼스크류의 측방향에서 탈착되도록 하여, 찢어짐 등의 파손이 생길 경우 볼스크류에 결합되는 각종 장치를 분리할 필요 없이 쉽게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여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볼스크류용 커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스크류(Ball screw) 장치는 나사인 볼스크류축(Screw)과 볼스크류너트(Nut)가 볼(Ball)을 사이에 두고 작동하는 기계장치로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또는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전환하는 것으로서, 작은 토크를 증폭하여 큰 추력을 제공하는 외에도 직선 방향을 따른 정확한 위치 결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성능 때문에, 상기 볼스크류(Ball screw) 장치는 기계 공구, 반도체 관련 장치, 항공기의 기계적 제어장치 및 산업용 로봇 등 기타 정밀을 요하는 기계 및 장치 류의 이송기구(Transport mechanism)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상기 볼스크류 장치는 볼스크류너트(nut)의 내주연부와 볼스크류축(Screw)의 외주연부 각각에 반원형 단면의 나선홈이 대향되어 형성되며, 이러한 반원형 단면의 나선홈이 서로 결합되어 원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나선형 통로를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볼스크류너트와 볼스크류축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나선형 통로 내에 볼(Ball)이 끼워지게 되고, 상기 볼을 매개체로 하여 상기 볼스크류너트 내부에서 상기 볼스크류축이 원활하게 회전함으로써 전진 또는 후퇴하게 되어 소정의 이송 동작을 행하게 되는 기계부품이다.
이러한 볼스크류와 관련된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0820020호 "볼스크류형 리니어모션가이드"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본 발명은 리니어모션가이드에 있어서, 중간부에는 상향 개방된 길이방향의 안내구간을 그리고 양쪽 측면 또는 상면에는 가이드레일을 형성하여서 된 몸체(100); 상기 몸체(100)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왕복 이동하는 이동블럭(200); 상기 몸체(100)의 안내구간에 제공되며 일측에 제공된 구동수단을 통해 정역 회전되는 스크류(300); 상측의 양측 날개부(410)(420)가 상기 이동블럭(200)에 결합되며, 하측에 상기 스크류(300)를 전후방으로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관(430)(440)이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410)(420) 사이에 상기 몸체(100)의 안내구간을 커버하는 스틸커버(500)가 안내되도록 스틸커버 안내홈(450)이 형성되는 스크류 가이더(400); 상기 전후방 안내관(430)(440)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스크류(300)와 나선결합되어져 상기 스크류(300)의 정역회전시 상기 이동블럭(200)을 이동시키게 되는 스크류너트(600); 상기 스크류 가이더(400)의 안내관(430)(440)에 각기 나사 결합되면서 각각 일측이 상기 스크류너트(600)의 양쪽면을 고정하게 되며, 상기 스크류(300)가 통과하도록 안내홀이 형성되는 고정관체(700);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0381276호 "볼연결체 및 상기 볼연결체를 이용한 볼스크류장치"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복수개의 볼이 소정 간격을 두고 일렬로, 또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배열된 볼 연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크류 축과 너트 부재가 복수개의 볼 및 상기 볼을 사용한 볼 스크류 장치를 통해 서로 맞물려 있는 볼 스크류 장치의 볼 무환궤도에 장착 사용되는 볼 연결체에 관한 것이다. 볼 연결체는 베어링 장치에 제공된 거의 원형인 링 형태 볼무한궤도상으로 순환하는 복수개의 볼, 소정 간격을 두고 일렬로 볼을 배열하고,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볼 각각을 유지하는 가요성 연결체 벨트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연결체 벨트는 서로 인접한 볼 사이에 삽입되어 있으면서, 볼과 접촉하는 구면좌가 형성된 복수개의 스페이서부, 및 스페이서부를 외부로 둘러싸서 스페이서부를 서로 연결하는 플랜지 형태 연결 밴드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볼을 배열할 때 거의 원형인 링 형태로 이루어지는 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나아가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188832호 "볼스크류너트용 래핑장치"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볼스크류너트 내경의 나선홈을 래핑돌기가 형성된 래핑지그를 사용하여 간단 용이하게 연삭연마의 래핑가공 할 수 있는 볼스크류너트용 래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상기 종래기술들과 같이, 볼스크류는 볼스크류축의 나사산을 따라 볼스크류너트가 직선운동하는 것으로서, 잦은 이 볼스크류축 외면에 이물질이 묻으면 볼스크류너트의 이동에 제한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물질의 유입을 보호하기 위하여, 별도의 커버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 커버가 파손되는 경우, 커버의 교체를 위해 볼스크류에 장착된 각종 장치들을 모두 분리시켜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볼스크류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커버시트와, 이 커버시트에 복수개로 구비되되, 제1 링분체와 제2 링분체로 이루어지는 링프레임으로 구성되어, 볼스크류에 결합 시 측방향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볼스크류용 커버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제1 링분체와 제2 링분체에는 손쉽게 탈착 가능하도록 서로 결합되는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가 각각 구비되어 손쉽게 볼스크류의 측방향에서 제1 링분체와 제2 링분체를 서로 벌려 볼스크류를 감싸도록 결합시킬 수 있는 볼스크류용 커버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커버시트의 일단에는 타단에 중첩배열될 수 있는 연장부를 더 형성하여, 볼스크류의 외면을 완전하게 감싸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고, 이 연장부에는 탈착부재를 통하여 커버시트의 타단에 고정됨에 따라 이물질 유입을 완벽하게 차단하는 볼스크류용 커버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볼스크류용 커버 어셈블리는
볼스크류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커버시트;
일단이 서로 힌지 결합되고, 타단에 각각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가 형성되는 제1 링분체와 제2 링분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시트에 이격 구비되는 복수개의 링프레임;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볼스크류의 측방향에서 결합되어 상기 제1 링분체와 제2 링분체의 각각의 체결부가 체결됨에 따라 볼스크류의 외면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볼스크류용 커버 어셈블리는
볼스크류의 외면을 감싸도록 커버시트와 복수개의 링프레임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링프레임의 일측이 개방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볼스크류의 측방향에서 탈착가능함에 따라 커버시트의 파손에 의해 교체 시 볼스크류에 장착된 장치들을 제거할 필요 없이 손쉽게 커버시트만 교체 가능하도록 하여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링프레임을 구성하는 제1 링분체와 제2 링분체에는 일측이 서로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가 상호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제1 링분체와 제2 링분체 각각의 타측을 벌려 볼스크류를 측방향에서 감싼 뒤, 이들을 서로 결합시킴으로서 손쉽게 탈착가능하도록 하여 장착 및 분리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커버시트의 일단에는 타단과 서로 중첩배열되는 연장부가 더 형성되고, 이 연장부에 탈착부재가 구비되어 중첩되는 타단과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유입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볼스크류용 커버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볼스크류용 커버 어셈블리의 사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볼스크류용 커버 어셈블리의 실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볼스크류용 커버 어셈블리의 변형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볼스크류용 커버 어셈블리(A)는 커버시트(10)와, 상기 커버시트(10)에 복수개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링프레임(20)으로 이루어져 볼스크류(S)에 이물질이 유입되어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스크류(S)는 볼스크류축(S1)과 이 볼스크류축(S1)에 결합되는 볼스크류너트(S2)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볼스크류너트(S2)에 각종 장치가 결합되어 볼스크류축(S1)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경시키는 구조로, 볼스크류(S) 축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이 나사산에 이물질이 유입되면 볼스크류너트(S2)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 볼스크류(S)를 감싸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커버시트(10)와 복수개의 링프레임(20)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커버시트(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시트로서, 상기 볼스크류(S)를 측방향에서 감싸도록 이루어지고, 상단부와 하단부는 각각 볼스크류(S)의 하단 고정부(S3)와, 볼스크류너트(S2)의 하단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높이는 볼스크류너트(S2)가 볼스크류(S)의 하단 고정부(S3)로부터 가장 멀어지는 거리로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볼스크류너트(S2)가 움직이면 상기 커버시트(10)가 상하방향으로 접혀 볼스크류너트(S2)의 움직임을 제한하지 않고 완벽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움직임을 위하여, 상기 커버시트(10)에는 복수개의 링프레임(20)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게 된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커버시트(10)에는 삽입공(15)이 형성되어, 상기 링프레임(20)이 커버시트(10)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링프레임(20)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링프레임(20)은 일측이 서로 힌지결합될 수 있도록 각각 힌지부(24)가 형성된 제1 링분체(21)와, 제2 링분체(22)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1 링분체(21)와 제2 링분체(22)의 타단부가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링프레임(20)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
각각의 링분체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 링분체(21)와 제2 링분체(22)는 각각 반원형으로 이루어져 하나의 원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일측에 힌지부(24)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링분체(21)와 제2 링분체(22)가 서로 힌지결합되게 된다.
또한 타측은 개방이 가능한 구조로서, 제1 체결부(211)와 제2 체결부(221)가 각각 제1 링분체(21)와 제2 링분체(22)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제1 체결부(211)와 제2 체결부(221) 부분이 개방 가능하게 이루어져 볼스크류(S)의 측방향 진입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링프레임(20)이 커버시트(10)에 결합되는 형상을 살펴보면, 상기 커버시트(10)의 양단부에 상기 제1 체결부(211)와 제2 체결부(221)가 위치할 수 있도록 하며, 이는 상기 힌지부(24)는 상기 커버시트(10) 내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상기 링프레임(20)이 볼스크류(S)의 측방향에서 진입하여 상기 제1 체결부(211)와 제2 체결부(221)를 상호 결합함으로서 링프레임(20)이 상기 볼스크류(S)를 감싸도록 고정하면, 상기 커버시트(10)의 양단부가 서로 밀착되어 상기 볼스크류(S)의 외면을 감쌀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제1 체결부(211)와 제2 체결부(221)는 각각 돌기와 홈의 형상이 상호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손쉽게 체결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체결부(211)에는 제1 고정홈(211B)과, 제1 고정돌기(211A)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부(221)에는 상기 제1 고정홈(211B)과 제1 고정돌기(211A)에 각각 끼워지는 제2 고정홈(211B)과 제2 고정돌기(221A)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 제1 체결부(211)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 고정돌기(211A)는 상기 제1 고정홈(211B)으로부터 제1 링분체(21)의 단부쪽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고정돌기(221A)가 상기 제2 고정홈(211B)으로부터 제2 링분체(22)의 단부쪽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체결부(211)와 제2 체결부(221)는 서로 상하 대칭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호간에 체결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나아가 상기 커버시트(10)의 타단은 상기 커버시트(10)의 일단에 중첩배열되도록 연장부(14)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져 있는데, 이 연장부(14)가 상기 커버시트(10)의 타단에 중첩배열됨에 따라 연결부위를 막을 수 있도록 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연장부(14)의 폭의 제한을 두지는 않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연장부(14)와 상기 연장부(14)에 중첩되는 커버시트(10)의 타단에는 탈착부재가 더 구비되어 연장부(14)가 커버시트(10)의 타단에 중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이 때 상기 탈착부재는 연장부(14)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벨크로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마그넷, 양면테이프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볼스크류용 커버 어셈블리(A)의 변형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연장부(14)와 상기 커버시트(10)의 타단에 구비되어, 연장부(14)가 커버시트(10) 일단에 중첩 배열되어 고정할 수 있는 탈착부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연장부(14)에는 후단(상기 커버시트(10)의 타단에 부착되는 부분을 후단이라 한다.) 방향으로 일부 삽입된 형상의 탈착핀(3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커버시트(10)의 일단에는 상기 탈착핀(31)이 끼워지는 복수개의 탈착블록(33)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탈착핀(31)과 탈착블록(33)이 하나의 탈착부재(30)를 구성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탈착핀(31)은 탄성있는 재질의 핀으로, 상기 커버시트(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이격 구비되어 커버시트(10)의 수축 시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며, 상기 탈착핀(31)의 후단은 상기 연장부(14)에 끼움결합되고, 전단은 연장부(14)와 커버시트(10)의 타단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탈착블록(33)은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함체로서, 도면에는 3개를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5를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으로 방향을 설정하여 설명하면,
상기 탈착블록(33)은 서로 이격된 3개의 함체로서, 각각 상기 탈착핀(31)이 내삽될 수 있는 탈착공(331)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탈착블록(33)이 복수개로 구비되는 이유는 하나의 함체로 이루어지는 경우, 볼스크류(S)에 체결을 위한 커버시트(10)의 모양 변형 시 이를 제한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탈착블록(33) 중 가장 우측과 중간의 탈착블록(33)에는 단순히 상기 탈착핀(31)이 관통할 수 있는 직선형의 탈착공(33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장 좌측의 탈착블록(33)에는 상기 탈착핀(31)의 전단이 끼워지는 곳으로, 직경이 커지는 원형의 고정공(333)이 형성되게 된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탈착핀(31)의 전단에는 직경이 커지는 구 형상의 고정볼(3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볼(311)이 상기 고정공(333)에 억지끼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볼스크류(S)에 체결하는 경우, 작업자는 상기 탈착핀(31)을 상기 탈착공(331)을 관통시켜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며, 마지막 고정공(333)에 상기 탈착핀(31)의 단부를 억지끼움 시킴으로서, 탈착핀(31)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 경우, 상기 탈착블록(33)의 상부면과 이에 밀착되는 연장부(14)에는 각각 벨크로테이프가 부착되어 이들을 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나,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볼스크류용 커버 어셈블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커버 어셈블리 S : 볼스크류
S1 : 볼스크류축 S2 : 볼스크류너트
S3 : 고정부 10 : 커버시트
11 : 커버시트의 일단 12 : 커버시트의 타단
14 : 연장부 15 : 삽입공
20 : 링프레임 21 : 제1 링분체
211 : 제1 체결부 211A : 제1 고정돌기
211B : 제1 고정홈 22 : 제2 링분체
221 : 제2 체결부 221A : 제2 고정돌기
221B : 제2 고정홈 24 : 힌지부
30 : 탈착부재 31 : 탈착핀
311 : 고정볼 33 : 탈착블록
331 : 탈착공 333 : 고정공

Claims (4)

  1. 볼스크류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커버시트;
    일단이 서로 힌지 결합되고, 타단에 각각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가 형성되는 제1 링분체와 제2 링분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시트에 이격 구비되는 복수개의 링프레임;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볼스크류의 측방향에서 결합되어 상기 제1 링분체와 제2 링분체 각각의 제1 및 제2 체결부가 서로 체결됨에 따라 볼스크류의 외면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스크류용 커버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분체의 제1 체결부에는 제1 고정홈과 제1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링분체의 제2 체결부에는 상기 제1 고정홈과 제1 고정돌기에 각각 끼워지는 제2 고정홈과 제2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스크류용 커버 어셈블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시트의 타단은 상기 커버시트의 일단에 중첩배열되도록 연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스크류용 커버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 중첩되는 커버시트의 타단에는 탈착부재가 더 구비되어 연장부가 커버시트의 타단에 중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스크류용 커버 어셈블리.
KR1020180133028A 2018-11-01 2018-11-01 볼스크류용 커버 어셈블리 KR101943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028A KR101943584B1 (ko) 2018-11-01 2018-11-01 볼스크류용 커버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028A KR101943584B1 (ko) 2018-11-01 2018-11-01 볼스크류용 커버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3584B1 true KR101943584B1 (ko) 2019-01-30

Family

ID=65276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3028A KR101943584B1 (ko) 2018-11-01 2018-11-01 볼스크류용 커버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358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8529A (ja) * 2002-09-20 2004-04-08 Toshiba Corp 防塵形案内装置
KR101622085B1 (ko) * 2012-12-31 2016-05-18 주식회사 만도 조립개선형 더스트 커버
KR20180087625A (ko) * 2017-01-25 2018-08-02 김준래 분리형 주름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8529A (ja) * 2002-09-20 2004-04-08 Toshiba Corp 防塵形案内装置
KR101622085B1 (ko) * 2012-12-31 2016-05-18 주식회사 만도 조립개선형 더스트 커버
KR20180087625A (ko) * 2017-01-25 2018-08-02 김준래 분리형 주름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74219A1 (zh) 铰链装置、壳体及电子装置
TWI607167B (zh) Actuator
EP1657459B1 (en) Linear guide device and rolling element accommodating belt for the same
JPH11270650A (ja) ボールねじ装置
TWI518258B (zh) Uniaxial actuator
JPWO2012124028A1 (ja) ジョイント機構
US9632541B2 (en) Connect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1943584B1 (ko) 볼스크류용 커버 어셈블리
TWI476337B (zh) 驅動力傳動帶之防止跳齒機構
JP2000230618A (ja) 防塵型案内装置
US10486304B2 (en) Joint structure and robot
CN106392569B (zh) 工件安装装置以及工件安装方法
CN108029237A (zh) 安装头及表面安装机
JP2005147293A (ja) ケーブル保護案内装置
KR101645197B1 (ko) 밀폐형 리니어 모터 스테이지 장치
JP2012067838A (ja) 直動案内装置の仮軸用アタッチメント
KR101151499B1 (ko) 이송 유닛
TWI542455B (zh) 單軸機器人
JP4874148B2 (ja) アクチュエータ
WO2023058316A1 (ja) 直動ユニット
KR101283227B1 (ko) 직교로봇
JP3529001B2 (ja) 移動機器装着装置
JP2013167345A (ja) 直動テーブル装置
KR102066935B1 (ko) 감시 카메라
JP5063552B2 (ja) 運動案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