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1707B1 - 프론트베인에 의해 마모를 감소시킨 스크류펌프 - Google Patents

프론트베인에 의해 마모를 감소시킨 스크류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1707B1
KR101941707B1 KR1020180135219A KR20180135219A KR101941707B1 KR 101941707 B1 KR101941707 B1 KR 101941707B1 KR 1020180135219 A KR1020180135219 A KR 1020180135219A KR 20180135219 A KR20180135219 A KR 20180135219A KR 101941707 B1 KR101941707 B1 KR 101941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ne
cover
impeller
screw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5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기순
김재구
Original Assignee
성광수중펌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광수중펌프(주) filed Critical 성광수중펌프(주)
Priority to KR1020180135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17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1/04Helico-centrifugal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for submerged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6Lubrication
    • F04D29/061Lubrication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18Rotors
    • F04D29/22Rotors specially for centrifugal pumps
    • F04D29/2261Rotors specially for centrifugal pumps with special mea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펠러와 흡입커버의 사이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여 마모의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한 스크류펌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베인에 의해 마모를 감소시킨 스크류펌프는 유체를 흡입 및 토출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를 구동하는 구동모터, 상기 임펠러가 내부에 설치되며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된 펌프케이싱, 상기 흡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임펠러의 둘레를 감싸는 흡입커버를 포함하는 프론트베인에 의해 마모를 감소시킨 스크류펌프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는 유체가 흡입되는 방향에서 토출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이 결합되는 축공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외면에서 원주방향를 따라 돌출되어 형성되는 스크류베인, 상기 스크류베인의 외측단을 덮어 상기 흡입커버와 상기 스크류베인의 사이에 유체의 저항을 감소시키는 베인커버, 및 상기 베인커버의 외면에서 상기 베인커버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돌출 형성되어 회전함에 따라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상기 스크류베인와 상기 베인커버의 사이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프론트베인을 포함한다. 따라서, 베인커버와 프론트베인에 의해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여 마모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프론트베인에 의해 마모를 감소시킨 스크류펌프{A Screw pump reduced wear by front vanes}
본 발명은 임펠러와 흡입커버의 사이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여 마모의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한 스크류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수정에는 펌프가 설치되어 집수정에 저장된 유체를 외부로 토출한다.
펌프는 설치 위치에 따라 육상펌프와 수중펌프로 구분되는데, 육상펌프는 구동모터가 육상에 설치되어 동력손실이 큰 반면, 수중펌프는 구동모터가 수중에 위치되어 동력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육상펌프보다는 수중펌프의 효율이 더 높고 설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수중펌프는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된 펌프케이싱의 내부에 임펠러가 위치되며, 구동모터가 모터케이싱에 감싸져 펌프케이싱의 상부에 설치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한편, 수중펌프의 일례로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14650호(2013.10.4.공고)의 "스크류형 수중펌프"가 개시된 바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스크류형 수중펌프는 상부 내측에 모터가 설치되고, 모터가 설치된 하부에 오일챔버가 구비되며, 하부 측면에 배출구가 마련된 모터케이싱과, 모터케이싱의 하부에 설치되며, 저면 중앙에 유입구가 마련되고 측면에 받침다리가 구비되며, 내측에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스크류형 임펠러를 수용하는 임펠러 하우징과, 원판형의 디스크상에 일자형의 돌출부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회전축 상에 관통 결합되며, 스크류형 임펠러의 상부에 고정핀으로 연결 설치되어 스크류형 임펠러의 회전에 따라 펌핑되는 물살을 밀쳐내어 회전축과 스크류형 임펠러 사이에 슬러지 끼임을 방지하는 회전체로 구성된 스크류형 수중펌프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 하우징의 내경에는 스크류형 임펠러와 간섭되어 슬러지를 잘게 분쇄하기 위한 요철부가 배열 형성되었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에 스크류형 수중펌프는 스크류형 임펠러의 고속회전에 따라 유입구를 통해 강제 유입되는 물의 펌핑시 각종 슬러지들은 일차적으로 임펠러 하우징의 내경에 형성한 요철부에 임펠러의 회전간섭으로 잘게 갈리게 되어 유입되고, 임펠러의 상부에 설치된 회전체는 임펠러와 동시회전하면서 돌출부의 원심력 영향에 의해 물을 배출구측으로 밀쳐내어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된 임펠러와 오일챔버 사이에 관통된 회전축에 끼이거나 오일챔버 내부로 유입됨을 방지함으로써, 슬러지 끼임으로 인한 모터의 과부하 방지와 더불어 펌핑 효율을 높이고 수중펌프
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스크류형 수중펌프는 임펠러와 임펠러 하우징의 내부에 이물질을 잘라내기 때문에 이물질의 절단 및 이물질의 고착에 따른 임펠러의 마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임펠러가 회전하면서 임펠러 하우징과 임펠러의 간섭에 의해 난류가 발생하여 펌프의 효율이 하락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임펠러의 마모가 발생하여도 사전대처를 할 수 없어 진동의 발생에 따른 펌프의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물질에 의한 임펠러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체의 저항을 감소시켜 펌프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임펠러의 마모를 감지하여 대처할 수 있는 프론트베인에 의해 마모를 감소시킨 스크류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베인에 의해 마모를 감소시킨 스크류펌프는 유체를 흡입 및 토출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를 구동하는 구동모터, 상기 임펠러가 내부에 설치되며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된 펌프케이싱, 상기 흡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임펠러의 둘레를 감싸는 흡입커버를 포함하는 프론트베인에 의해 마모를 감소시킨 스크류펌프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는 유체가 흡입되는 방향에서 토출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이 결합되는 축공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외면에서 원주방향를 따라 돌출되어 형성되는 스크류베인, 상기 스크류베인의 외측단을 덮어 상기 흡입커버와 상기 스크류베인의 사이에 유체의 저항을 감소시키는 베인커버, 및 상기 베인커버의 외면에서 상기 베인커버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돌출 형성되어 회전함에 따라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상기 스크류베인와 상기 베인커버의 사이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프론트베인을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베인은 상기 베인커버의 외면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펌프케이싱의 내부에서 상기 베인커버와 상기 흡입커버의 사이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제1 베인부, 및 상기 베인커버의 외면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흡입커버과 상기 펌프케이싱의 사이로 유입된 이물질을 상기 흡입구를 향해 배출하는 제2 베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베인부와 상기 제2 베인부는 서로 연결되는 중앙을 중심으로 상기 임펠러가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커버에 설치되어 상기 임펠러의 마모에 따라 발생하는 편심에 의한 진동을 감지하는 마모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인커버는 상기 임펠러를 지나는 유체를 상기 베인커버와 상기 흡입커버의 사이로 공급하여 윤활하는 유체공급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임펠러에 베인커버가 설치되어 흡입커버와 스크류베인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유체의 저항을 감소시켜 수중펌프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베인커버의 외면에 프론트베인이 형성되어 베인커버와 흡입커버의 사이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거나, 제거하여 이물질에 의한 임펠러의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프론트베인이 경사진 곡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임펠러의 회전 시 유체의 저항을 감소시켜 수중펌프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마모감지센서가 임펠러의 마모를 감지하여 임펠러의 마모에 따른 사전대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베인에 의해 마모를 감소시킨 스크류펌프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베인에 의해 마모를 감소시킨 스크류펌프를 구성하는 임펠러가 설치된 부분을 확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베인에 의해 마모를 감소시킨 스크류펌프를 구성하는 임펠러를 저면에서 바라본 저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베인(117)에 의해 마모를 감소시킨 스크류펌프(100)는 구동모터(140), 및 펌프케이싱(1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140)는 전기에 의해 구동축이 회전할 수 있으며, 구동모터(140)는 전기모터로 구현될 수 있다.
펌프케이싱(120)은 하기에 설명될 임펠러(110)가 수용될 수 있으며, 펌프케이싱(120)은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구(121)와 흡입된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구(123)가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21)는 펌프케이싱(12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토출구(123)는 펌프케이싱(12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23)에는 토출파이프가 연결되어 흡입된 유체를 토출파이프를 통해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그리고, 펌프케이싱(120)은 구동모터(140)를 감싸 유체가 구동모터(140)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흡입구(121)에는 임펠러(110)의 둘레를 감싸 유체의 흡입을 가이드하는 흡입커버(13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프론트베인(117)에 의해 마모를 감소시킨 스크류펌프(100)는 임펠러(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임펠러(110)는 구동모터(140)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구동모터(140)에 의해 회전하고, 회전에 따라 유체를 흡입하여 토출할 수 있다.
임펠러(110)는 흡입커버(13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임펠러(110)는 흡입커버(130)의 흡입구(121)에 설치되어 흡입구(121)를 통해 유체를 흡입하여 토출구(123)로 토출할 수 있다.
그리고, 임펠러(110)는 몸체(1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몸체(111)는 임펠러(110)를 구동축에 결합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임펠러(110)에는 구동축이 관통하여 끼워지는 축공(111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111)는 하부는 좁고 상부로 갈수록 점점 직경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111)의 중앙부분에 축공(111a)이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임펠러(110)는 스크류베인(1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스크류베인(113)은 유체를 흡입 및 토출할 수 있으며, 스크류베인(113)은 축공(111a)을 중심으로 몸체(111)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스크류베인(113)은 몸체(111)에서 세워져 설치될 수 있으며, 스크류베인(113)은 몸체(111)의 하단에서 상부로 갈수록 미리 설정된 각도로 원주방향을 따라 비틀어져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류베인(113)은 하나의 스크류베인(113)이 몸체(111)의 원주방향으로 나선형태로 휘어져 형성되거나, 몸체(111)의 둘레를 따라 휘어진 형태의 스크류베인(113)이 몸체(111)의 중앙을 중심으로 복수 개가 설치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임펠러(110)는 베인커버(1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베인커버(115)는 베인커버(115)는 복수 개의 스크류베인(113) 외측단을 덮어 스크류베인(113)과 흡입커버(130)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유체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베인커버(115)는 스크류베인(113)이 흡입커버(130)의 내주에 닿아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베인커버(115)는 복수 개의 스크류베인(113)을 덮어 하부 중앙으로는 유체가 흡입되고, 스크류베인(113)의 상부 둘레로는 흡입된 유체가 토출되도록 유체를 가이드할 수 있다.
그리고, 베인커버(115)는 흡입커버(130)의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흡입커버(130)의 내주에 위치될 수 있으며, 베인커버(115)는 흡입커버(130)의 내주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흡입커버(130)의 내주에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펠러(110)는 프론트베인(117)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베인(117)은 흡입커버(130)의 외면에 형성되어 흡입커버(130)와 베인커버(115)의 사이로 이물질의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흡입커버(130)와 베인커버(115)의 사이로 유입된 이물질을 회전하며 발생하는 양(+)압에 의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프론트베인(117)은 흡입커버(130)의 외면에서 돌출형성될 수 있으며, 프론트베인(117)은 흡입커버(130)의 내주에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프론트베인(117)은 흡입커버(130)의 외면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프론트베인(117)은 제1 베인부(117a)와 제2 베인부(117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인부(117a)는 흡입커버(130)의 상하방향에서 흡입커버(13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임펠러(110)가 회전하는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베인부(117a)는 임펠러(110)가 회전하는 방향을 향해 볼록한 곡선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회전 시 유체의 저항을 감소시킴에 따라 구동모터(140)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2 베인부(117b)는 제1 베인부(117a)의 끝단에서 흡입커버(13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임펠러(110)가 회전하는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베인부(117b)는 임펠러(110)가 회전하는 방향을 향해 볼록한 곡선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회전 시 유체의 저항을 감소시킴에 따르 구동모터(140)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베인부(117a)와 제2 베인부(117b)가 흡입커버(130)의 상하방향의 중앙에서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었지만, 펌프케이싱(120)의 내부 압력에 따라 제1 베인부(117a)의 길이가 제2 베인부(117b)의 길이보다 더 길거나, 제1 베인부(117a)의 길이가 제2 베인부(117b)의 길이보다 더 짧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의 프론트베인(117)은 베인커버(115)의 외주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회전시 양압을 발생함과 동시에 베인커버(115)와 흡입커버(130)의 사이로 유입되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베인커버(115)와 흡입커버(130)의 사이로 유입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때, 프론트베인(117)의 제1 베인부(117a)는 흡입커버(130)와 베인커버(115)의 상부로 양압을 발생시켜 펌프케이싱(120)의 내부에서 흡입커버(130)와 베인커버(115)의 상부을 통해 이물질을 배출하거나,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2 베인부(117b)는 흡입커버(130)와 베인커버(115)의 하부로 양압을 발생시켜 펌프케이싱(120)의 하부에서 흡입커버(130)와 베인커버(115)의 하부를 통해 이물질을 배출하거나,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프론트베인(117)은 흡입커버(130)와 베인커버(115)의 사이에서 양압을 발생시킴에 따라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웨어링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임펠러(110)는 유체공급공(119)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유체공급공(119)은 베인커버(115)에 형성되어 스크류베인(113)을 통해 흡입 및 배출되는 유체를 흡입커버(130)와 베인커버(115)의 사이로 배출하여 흡입커버(130)와 베인커버(115)로 유입된 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유체공급공(119)을 통해 흡입커버(130)와 베인커버(115)의 사이로 유입된 유체는 임펠러(110)의 회전에 따라 프론트베인(117)에 의해 발생하는 양압에 의해 베인커버(115)와 흡입커버(130)의 사이의 상부 및 하부로 유체를 토출하여 베인커버(115)와 흡입커버(130)의 사이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체공급공(119)으로 공급되는 유체는 프론트베인(117)과 흡입커버(130)의 사이에 윤활작용을 수행하여 프론트베인(117)의 마모 또는 흡입커버(130)의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베인(117)에 의해 마모를 감소시킨 스크류펌프(100)는 마모감지센서(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마모감지센서(150)는 흡입커버(130)에 설치되어 흡입커버(130)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는 형태로 임펠러(110)의 마모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임펠러(110)의 마모가 발생하면, 편심이 발생하고, 이 편심에 의해 임펠러(110)가 회전하면서 진동이 발생하기 때문에 마모감지센서(150)는 진동을 감지하여 임펠러(110)에 마모가 발생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마모감지센서(150)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감지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마모감지센서(150)는 외부에 설치된 모니터부로 감지된 정보를 제공하여 집수정의 외부에서도 임펠러(110)에 마모가 감지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마모감지센서(150)는 임펠러(110)의 일반적인 작동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일 경우에는 임펠러(110)의 마모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고, 판단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진동의 세기 이상일 때만 임펠러(110)의 마모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모니터링부(16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모니터링부(160)는 제어반에 설치되어 마모가 발생된 신호에 따라 시각적으로 온/오프되는 램프이거나, 청각적으로 경고하는 스피커 또는 진동의 감지되는 세기를 출력하는 모니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부(160)는 마모감지센서(15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감지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베인(117)에 의해 마모를 감소시킨 스크류펌프(100)는 펌프케이싱(120)의 내부에 임펠러(110)가 설치되며, 임펠러(110)의 축공(111a)에는 구동모터(140)의 구동축이 결합된다.
그리고, 펌프케이싱(120)의 흡입구(121)에는 흡입커버(130)가 설치되어 흡입구(121)로 노출된 임펠러(110)의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임펠러(110)는 몸체(111)의 둘레에 스크류베인(113)이 복수 개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복수 개의 스크류베인(113)의 끝단에는 베인커버(115)가 설치된다.
베인커버(115)의 외면에는 복수 개의 프론트베인(117)이 형성될 수 있으며, 프론트베인(117)은 베인커버(115)의 상부에는 제1 베인부(117a)가 임펠러(11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베인커버(115)의 제1 베인부(117a)의 끝단에서 베인커버(115)의 하부에는 제2 베인부(117b)가 임펠러(11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1 베인부(117a)와 제2 베인부(117b)는 임펠러(110)의 회전방향을 향해 볼록한 곡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베인부(117a)와 제2 베인부(117b)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임펠러(110)로 유입되는 유체가 베인커버(115)와 흡입커버(130)의 사이로 유입되도록 유체공급공(119)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베인(117)에 의해 마모를 감소시킨 스크류펌프(100)는 구동모터(140)의 회전 시 구동축이 회전하면서 임펠러(110)를 회전시킨다.
임펠러(110)가 회전하면 스크류베인(113)에 의해 베인커버(115)와 몸체(111)의 사이 하부를 통해 유체가 흡입되면서 흡입구(121)로 흡입되고, 임펠러(110)의 하부로 유입된 유체는 임펠러(110)의 둘레로 토출되면서 펌프케이싱(120)의 내부를 통해 토출구(123)를 통해 토출된다.
한편, 임펠러(110)가 회전함에 따라 펌프케이싱(120)의 내부로 유입된 유체는 일반적으로는 펌프케이싱(120)의 내부 압력에 의해 흡입커버(130)와 베인커버(115)의 사이로 역류되면서 흡입구(121)가 위치된 방향으로 다시 흘러나가기 때문에 흡입커버(130)와 베인커버(115)의 사이에 이물질이 낄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의 임펠러(110)는 회전 시 베인커버(115)의 외면에 형성된 프론트베인(117)을 통해 양(+)압이 발생되어 흡입커버(130)와 베인커버(115)의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흡입커버(130)와 베인커버(115)의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된다 하더라도 프론트베인(117)의 제1 베인부(117a)에 의해 베인커버(115)의 상부로 배출되고, 제2 베인부(117b)에 의해 베인커버(115)의 하부 즉, 흡입구(121)가 위치된 부분으로 배출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유체공급공(119)으로는 유체가 유입되면서 베인커버(115)와 흡입커버(130)의 사이 상부 및 하부로 프론트베인(117)에 의해 공급됨과 동시에 분사되면서, 이물질의 제거 및 유입을 차단함과 동시에 베인커버(115)와 흡입커버(130)의 사이를 윤활할 수 있다.
한편, 프론트베인(117) 또는 베인커버(115)의 마모가 발생되어 편심에 따른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흡입커버(130)에 설치된 마모감지센서(150)가 진동을 감지하는 형태로 마모의 발생을 감지하여 외부의 모니터링부(160)로 임펠러(110)의 마모를 알려주기 때문에 임펠러(110)의 마모에 따른 수리 또는 교환 등의 대처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베인(117)에 의해 마모를 감소시킨 스크류펌프(100)는 스크류베인(113)에 베인커버(115)가 설치되어 흡입커버(130)와 스크류베인(113)의 사이에 발생하는 난류에 따른 유체의 저항을 감소시켜 펌프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흡입커버(130)의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에 따른 스크류베인(113)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베인커버(115)에 프론트베인(117)이 형성되어 프론트베인(117)에 의해 베인커버(115)와 흡입커버(130)의 사이로 유입된 이물질을 제거 및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함으로써, 이물질의 유입으로 인한 임펠러(110)의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프론트베인(117)이 임펠러(110)가 회전하는 반대방향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곡선으로 형성되어 유체에 의한 저항을 최소화하여 구동모터(140)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흡입커버(130)에 마모감지센서(150)가 설치되어 임펠러(110)의 마모를 감지함으로써, 임펠러(110)의 교체 또는 수리 등을 위한 사전대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스크류펌프
110: 임펠러 111: 몸체
111a: 축공 113: 스크류베인
115: 베인커버 117: 프론트베인
117a: 제1 베인부 117b: 제2 베인부
119: 유체공급공 120: 펌프케이싱
121: 흡입구 123: 토출구
130: 흡입커버 140: 구동모터
150: 마모감지센서 160: 모니터링부

Claims (5)

  1. 유체를 흡입 및 토출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를 구동하는 구동모터, 상기 임펠러가 내부에 설치되며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된 펌프케이싱, 상기 흡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임펠러의 둘레를 감싸는 흡입커버를 포함하는 프론트베인에 의해 마모를 감소시킨 스크류펌프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는
    유체가 흡입되는 방향에서 토출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이 결합되는 축공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외면에서 원주방향를 따라 돌출되어 형성되는 스크류베인,
    상기 스크류베인의 외측단을 함께 덮어 상기 흡입커버와 상기 스크류베인의 사이에 유체의 저항을 감소시키는 베인커버, 및
    상기 베인커버의 외면에서 상기 베인커버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돌출 형성되어 회전함에 따라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상기 스크류베인와 상기 베인커버의 사이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프론트베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베인에 의해 마모를 감소시킨 스크류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베인은
    상기 베인커버의 외면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펌프케이싱의 내부에서 상기 베인커버와 상기 흡입커버의 사이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제1 베인부, 및
    상기 베인커버의 외면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흡입커버과 상기 펌프케이싱의 사이로 유입된 이물질을 상기 흡입구를 향해 배출하는 제2 베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베인에 의해 마모를 감소시킨 스크류펌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인부와 상기 제2 베인부는 서로 연결되는 중앙을 중심으로 상기 임펠러가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곡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베인에 의해 마모를 감소시킨 스크류펌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커버에 설치되어 상기 임펠러의 마모에 따라 발생하는 편심에 의한 진동을 감지하는 마모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베인에 의해 마모를 감소시킨 스크류펌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커버는
    상기 임펠러를 지나는 유체를 상기 베인커버와 상기 흡입커버의 사이로 공급하여 윤활하는 유체공급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베인에 의해 마모를 감소시킨 스크류펌프.
KR1020180135219A 2018-11-06 2018-11-06 프론트베인에 의해 마모를 감소시킨 스크류펌프 KR101941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219A KR101941707B1 (ko) 2018-11-06 2018-11-06 프론트베인에 의해 마모를 감소시킨 스크류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219A KR101941707B1 (ko) 2018-11-06 2018-11-06 프론트베인에 의해 마모를 감소시킨 스크류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1707B1 true KR101941707B1 (ko) 2019-01-23

Family

ID=65280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5219A KR101941707B1 (ko) 2018-11-06 2018-11-06 프론트베인에 의해 마모를 감소시킨 스크류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17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426B1 (ko) * 2020-02-10 2020-09-04 주식회사 한진펌프 협잡물 걸림방지를 위한 임펠러가 구비된 수중펌프
CN113702596A (zh) * 2021-09-23 2021-11-26 杭州派祺空气净化科技有限公司 一种螺杆式空压机用螺杆腐蚀检测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925B1 (ko) * 2010-10-14 2011-01-10 (주)대한중전기 펌프의 슬러지 제거장치
KR101537714B1 (ko) * 2015-03-05 2015-07-20 성광수중펌프(주) 셀프클리닝 기능을 갖는 채널형 펌프
KR101855707B1 (ko) * 2017-06-15 2018-05-08 김기철 밸런스 웨이트 내장 임펠러가 구비된 축류 또는 사류 펌프
KR101892052B1 (ko) * 2018-05-23 2018-08-27 주식회사 현대수중펌프 이물질 걸림방지장치를 구비한 펌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925B1 (ko) * 2010-10-14 2011-01-10 (주)대한중전기 펌프의 슬러지 제거장치
KR101537714B1 (ko) * 2015-03-05 2015-07-20 성광수중펌프(주) 셀프클리닝 기능을 갖는 채널형 펌프
KR101855707B1 (ko) * 2017-06-15 2018-05-08 김기철 밸런스 웨이트 내장 임펠러가 구비된 축류 또는 사류 펌프
KR101892052B1 (ko) * 2018-05-23 2018-08-27 주식회사 현대수중펌프 이물질 걸림방지장치를 구비한 펌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426B1 (ko) * 2020-02-10 2020-09-04 주식회사 한진펌프 협잡물 걸림방지를 위한 임펠러가 구비된 수중펌프
CN113702596A (zh) * 2021-09-23 2021-11-26 杭州派祺空气净化科技有限公司 一种螺杆式空压机用螺杆腐蚀检测装置
CN113702596B (zh) * 2021-09-23 2023-12-22 西安合力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螺杆式空压机用螺杆腐蚀检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39056B2 (en) Pump impeller and submersible pump having such pump impeller
KR101941707B1 (ko) 프론트베인에 의해 마모를 감소시킨 스크류펌프
US8272838B2 (en) Impeller and pump including the same
KR102082977B1 (ko) 밸런싱 덮개에 의해 이물질 걸림을 방지하는 임펠러 및 이를 구비한 수중펌프
CA1244721A (en) Grinder pump
KR101694847B1 (ko) 스프르트 펌프
KR101596902B1 (ko) 흡입성능을 개선한 펌프의 흡입커버 및 이를 구비한 펌프
KR101898675B1 (ko) 스프르트 펌프용 임펠러
KR102219944B1 (ko) 이물질에 의한 막힘이 없는 단일 채널 수중펌프
JP2019070333A (ja) 水中ポンプ
KR101885227B1 (ko) 원심펌프용 케이싱
KR102474718B1 (ko) 메카니칼 씰 보호장치가 구비된 펌프
KR100433185B1 (ko) 수봉식 진공펌프
KR102239697B1 (ko) 모터실로 유입된 물을 배수하기 위해 워터펌프를 구비한 수중펌프
KR101400161B1 (ko) 오폐수 펌프용 라이너
KR20060089789A (ko) 원심팬
KR102272218B1 (ko) 밸런스 조절이 용이한 임펠러 및 이를 구비한 펌프
KR200260750Y1 (ko) 심정용수중모터펌프
JP3864149B2 (ja) 汚水ポンプ
KR102197244B1 (ko) 진동 원인 탐지형 오폐수 처리 펌프 및 거리 센서를 이용한 진동 원인 탐지 방법
CN211174648U (zh) 一种耐磨损型螺旋式潜水泵
JP2003056481A (ja) 立軸ポンプ
KR20240037452A (ko) 모터실 건조, 배수기능이 적용된 자기보호형 수중펌프
JP5508840B2 (ja) 水中ポンプ
JP5070099B2 (ja) 水中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