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1597B1 - 자동차의 트렁크용 내장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내장재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트렁크용 내장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내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1597B1
KR101941597B1 KR1020190001602A KR20190001602A KR101941597B1 KR 101941597 B1 KR101941597 B1 KR 101941597B1 KR 1020190001602 A KR1020190001602 A KR 1020190001602A KR 20190001602 A KR20190001602 A KR 20190001602A KR 101941597 B1 KR101941597 B1 KR 101941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bble sheet
sheet
sound absorbing
manufacturing
bub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1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리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리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리기업
Priority to KR1020190001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15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comprising a deformed thin sheet, i.e. the layer having its entire thickness deformed out of the plane, e.g. corrugated, crump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04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using movable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2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37/1207Heat-activated adhesive
    • B32B2037/1215Hot-melt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3Interior finish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블시트 제조 단계; 상기 제조 단계에서 제조된 버블시트를 하부금형에 안착시키고 하강하는 상부금형에 의해 소정의 크기로 성형하는 단계; 상기 성형 단계에서 성형된 버블시트의 일면에 핫멜트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도포 단계에서 핫멜트가 도포된 버블시트의 일면에 피복원단을 합지하는 단계; 및 상기 합지 단계에서 피복원단이 합지된 버블시트의 타면에 흡음패드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버블시트는 상방 및 하방 각각으로 번갈아가며 개구(開口)된 다수의 공간을 갖는 미들시트와, 상기 미들시트의 상면과 하면을 각각 덮는 형태로 합지되는 탑시트 및 바텀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버블시트는 폴리프로필렌(PP : Polypropylene) 재질이며, 상기 단계들을 거쳐 제조된 내장재에서 흡음패드가 상기 버블시트의 하부면에 부착되는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의 하부면에 부착되고 하부에서 상부로 향할수록 좁아지는 형태의 요홈이 형성된 다수의 상향 돌출부를 갖는 흡음층과, 상기 흡음층의 하부면에 부착되는 커버층으로 이루어지도록 구현함으로써, 폴리프로필렌 + TD 20%의 원료를 이용해 제조된 버블시트를 사용하여 자동차의 트렁크용 내장재를 제조하게 되고, 특히 제조 시 부직포 등의 원단을 버블시트의 제조가 완료된 이후에 버블시트에 도포된 핫멜트를 이용해 부착하여 제조함에 따라 냄새가 적고 중량을 대폭 낮출 수 있는 자동차의 트렁크용 내장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내장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트렁크용 내장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내장재{A METHOD FOR MANUFACTURING A TRUNK LINING MATERIAL FOR A VEHICLE AND A TRUCK LINING MATERIAL MANUFACTURED BY THE METHOD}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PP : Polypropylene) 재질의 버블시트를 이용해 소정의 크기로 압착 및 트리밍 하여 성형하고, 버블시트의 일면에 핫멜트를 도포한 후 부직포 등의 피복원단을 합지하며, 버블시트의 타면에 흡음패드를 초음파 융착을 통해 부착하여 이루어진 자동차의 트렁크용 내장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내장재에 관한 기술이다.
자동차의 트렁크에 사용되는 내장재에 대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내장재와 관련된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37527호 (2012.04.10.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1'이라고 함) 『압축 성형을 이용한 자동차용 내장재의 제조방법』이 제시되어 있는바,
문헌 1은 발포용 폴리우레탄 원료에 분말 또는 섬유상의 열가소성 첨가제를 혼합하여 폴리우레탄 발포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 조성물을 시트 성형하여 발포체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발포체 시트를 금형에 삽입하여 압축 성형 및 에이징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함으로써, 폴리우레탄 발포체 재질을 사용하여 내장재로서의 물성이 우수하고, 종래 폴리우레탄 발포체 재질로는 불가능하였던 압축 성형이 가능하여 금형을 이용하여 원하는 자동차의 부위별 모양에 맞추어 내장재의 성형을 가능케 한 압축 성형을 이용한 자동차용 내장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898014호 (2018.09.06.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2'라고 함) 『자동차 내장재 제조용 금형 및 제조방법』이 제시되어 있는바,
문헌 2는 합성수지패널 및 원단이 안착되는 하부코어와, 상기 하부코어의 상부에 설치되어 승, 하강동작을 수행하는 상부코어와, 상기 하부코어의 측부에 구비되어 수평방향으로 동작하는 절곡지그로 이루어짐으로써, 자동차 내장재의 단부를 원단으로 감싸도록 하여 만곡부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하고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자동차 내장재를 제작하는 자동차 내장재 제조용 금형 및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또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777781호 (2017.09.06.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3'이라고 함) 『폴리에스테르 발포 시트를 포함하는 자동차 트렁크용 내장재』가 제시되어 있는바,
문헌 3은 평균 평량이 200 내지 2,000 g/m 범위인 폴리에스테르 발포 시트를 포함함으로써, 내습성 및 강도가 향상되어 내구성이 우수하며, 중량의 감소로 차량의 경량화가 가능하여 자동차의 연비 절감을 구현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 발포 시트를 포함하는 자동차 트렁크용 내장재에 관한 기술이다.
이상의 문헌 1 내지 문헌 3의 제조방법이나 이에 의한 내장재는 천연섬유 재질의 시트를 이용함으로써, 천연섬유 특유의 냄새가 많이 나고 중량이 많이 나가는 등의 문제가 있고, 특히 제조 과정에서 시트 생산 시 원단을 일체로 압착 생산함에 따라 변형이나 백화 현상이 발생하여 불량률이 높은 문제가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37527호 (2012.04.10.등록) 문헌 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898014호 (2018.09.06.등록) 문헌 3.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777781호 (2017.09.06.등록)
본 발명은 사각 등의 일정한 크기로 제조된 버블시트를 상온 등에서 일정 시간 경과시킨 후에 핫멜트 도포 후 원단을 후부착함에 따라 PP 재질의 버블시트 특성상 냄새가 나지 않고 중량을 대폭 낮출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트렁크용 내장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내장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버블시트에 부착되는 흡음패드의 흡음 구조를 다양화시켜 차량 내부로 소음 등이 전달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트렁크용 내장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내장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트렁크용 내장재 제조방법은,
버블시트 제조 단계;
상기 제조 단계에서 제조된 버블시트를 하부금형에 안착시키고 하강하는 상부금형에 의해 소정의 크기로 성형하는 단계;
상기 성형 단계에서 성형된 버블시트의 일면에 핫멜트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도포 단계에서 핫멜트가 도포된 버블시트의 일면에 피복원단을 합지하는 단계; 및
상기 합지 단계에서 피복원단이 합지된 버블시트의 타면에 흡음패드를 부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버블시트는 상방 및 하방 각각으로 번갈아가며 개구(開口)된 다수의 공간을 갖는 미들시트와, 상기 미들시트의 상면과 하면을 각각 덮는 형태로 합지되는 탑시트 및 바텀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버블시트는 폴리프로필렌(PP : Polypropylene)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트렁크용 내장재는,
상기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내장재에서 흡음패드가
상기 버블시트의 하부면에 부착되는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의 하부면에 부착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향할수록 좁아지는 형태의 요홈이 형성된 다수의 상향 돌출부를 갖는 흡음층과,
상기 흡음층의 하부면에 부착되는 커버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트렁크용 내장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내장재는,
폴리프로필렌 + TD 20%의 원료를 이용해 제조된 버블시트를 사용하여 자동차의 트렁크용 내장재를 제조하게 되고, 특히 제조 시 부직포 등의 원단을 버블시트의 제조가 완료된 이후에 버블시트에 도포된 핫멜트를 이용해 부착하여 제조함으로써, 냄새가 적고 중량을 대폭 낮출 수 있는 가장 큰 효과가 있다.
또 오일히터를 이용해 고온의 열매체유를 일정 온도로 유지시킨 채로 버블시트에 대한 압착 및 트리밍 성형을 하고, 이때 압착 및 트리밍을 위한 블레이드 내측의 비압착 영역과 이와 맞닿게 되는 하부 측 금형의 비압착 영역 각각에 냉각수를 순환시켜 열매체유로 인해 열전도 된 각 영역의 온도를 낮추어 블레이드에 의한 압착 성형 시 각 영역에 위치한 버블시트의 해당 부위에 대한 변형을 방지한 효과가 있다.
또 버블시트에 부착되는 흡음패드의 흡음 구조를 다양하게 개선시켜 차량 내로 전달되는 소음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트렁크용 내장재 제조방법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하부 및 상부 금형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자동차의 트렁크용 내장재에 대한 평면 및 일부 단면 구성도,
도 4는 일예의 흡음패드를 나타낸 사시도 및 일부 단면 구성도,
도 5는 다른 예의 흡음패드를 나타낸 일부 단면 구성도,
도 6은 또 다른 예의 흡음패드를 나타낸 사시도 및 일부 단면 구성도,
도 7은 또 다른 예의 흡음패드를 나타낸 사시도 및 일부 단면 구성도,
도 8은 또 다른 예의 흡음패드를 나타낸 사시도 및 일부 단면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를 기준으로 상부금형 측을 상부 또는 상방, 하부금형 측을 하부 또는 하방이라고 방향을 특정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트렁크용 내장재 제조방법은,
크게 제조 단계(S1), 성형 단계(S2), 도포 단계(S3), 합지 단계(S4) 및 부착 단계(S5)로 이루어진다.
각 단계별로 살펴보면,
제조 단계(S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블시트(10)를 제조하는 단계로서,
우선 상기 버블시트(10)는 상방 및 하방 각각으로 번갈아가며 개구(開口)된 다수의 공간을 갖는 미들시트(11)와, 상기 미들시트(11)의 상면과 하면을 각각 덮는 형태로 합지되는 탑시트(12) 및 바텀시트(13)로 이루어지는데,
폴리프로필렌(PP : Polypropylene) 재질의 칩이 용융된 수지액이 압출장치에 의해 압출되되,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상기 탑시트(12)와 상기 미들시트(11)가 합지 되고, 이때 상기 미들시트(11)는 압출장치에 의해 압출 시 회전하게 되는 롤러의 돌기들에 의해 상하면에 개구된 형상의 공간이 형성된다.
합지된 상기 미들시트(11)와 상기 탑시트(12)는 상온에서 자연 냉각시키거나 별도의 냉각장치(예 : 오븐기 등)를 이용해 강제 냉각시킨 후 재가열하여 상기 미들시트(11)에 상기 바텀시트(13)를 합지 한다.
이렇게 완성된 버블시트(10)는 일정 크기(예 : 사각형 등)로 재단한 후 권취 보관한다.
성형 단계(S2)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조 단계(S1)에서 제조된 버블시트(10)를 하부금형(100)에 안착시키고 하강하는 상부금형(200)에 의해 소정의 크기로 성형하는 단계로서,
우선 상기 상부금형(200)에는 이의 하부면에 버블시트(10)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기 위해 형성되는 블레이드(201)와, 상기 블레이드(201) 내에 열매체유가 흐르게 되는 유통로(202)가 구비된다.
이때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201)는 둘 이상의 단턱부(201a)가 형성되어 있어 성형 시 상기 버블시트(10)의 테두리를 따라 하나 이상의 단턱이 형성되게 가압 성형하여 트리밍하게 된다. 결국 상기 버블시트(10)의 테두리가 가압에 의해 납작한 형태가 되면서 아울러 소정의 크기로 절단되고 이때 절단된 면이 융융되어 외부에서 상기 버블시트(10)의 미들시트(11)에 형성된 공간이 노출되지 않게 깔끔하게 트리밍 된다.
성형 후 남은 상기 버블시트(10)의 스크랩은 제거한 후 폐기하지 않고 별도로 수집하여 용융시킨 후 버블시트(10)를 제조하기 위한 용융 수지로 재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소정의 크기'라 함은 각 차량 트렁크 바닥 공간 형상에 대응되는 크기를 의미하며, 이러한 크기는 각 차량 마다 갖는 크기이므로, 해당 차량의 트렁크 바닥재 제조 시 마다 크기가 상이할 것이다.
그리고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금형(200)에는 버블시트(10)의 상부면에 접하도록 상기 블레이드(201)가 이루는 내측 빈 공간인 상부 비(非)압착 영역(203)에 냉각수가 흐르는 상부유로(204)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금형(100)에는 이에 안착된 버블시트(10)의 하부면에 접하는 하부 비압착 영역(101) 내에 냉각수가 흐르는 하부유로(102)가 형성된다.
상기한 '상부 비압착 영역' 및 '하부 비압착 영역'이라 함은 버블시트(10)를 가압하지 않아 압착이 이루어지지 않는 해당 금형의 영역을 의미한다. 예로 상기 상부금형(200)에서는 상기 블레이드(201) 이루는 형상 내측의 빈 공간 영역을 의미할 것이고, 상기 하부금형(100)에서는 상부면 전체, 또는 상부면 중 버블시트(10)가 안착되는 영역을 의미할 것이다.
이때 상기 성형 단계(S2)에서 상기 상부금형(200)에 의한 버블시트(10)의 성형 시간은 25~35초이고, 프레스 압력은 120kgf 이상이다. 여기서 프레스 압력은 정지된 하부금형(100)의 상부 측에 위치한 상기 상부금형(200)이 별도의 승강장치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하부금형(100)에 안착된 버블시트(10)를 누르게 되는 힘이다.
본 발명의 특징으로서, 상기 상부금형(200)의 유통로(202)로 공급되는 열매체유는 보일러(300)에 의해 예열된 후 공급배관(400)을 통해 상기 상부금형(200)의 유통로(202)로 공급되고, 회수배관(500)을 통해 회수된 후 보일러(300)에 의해 다시 예열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됨으로써, 상기 유통로(202) 내에서 열매체유의 온도는 180~200도를 항시 유지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특징으로서, 상기 성형 단계(S2)에서 상기 상부 비압착 영역(203)과 하부 비압착 영역(101) 각각의 온도는 80~100도 이다. 이는 상기 하부유로(102)와 상기 상부유로(204) 내로 흐르게 되는 냉각수와의 열교환으로 인해 낮아진 적정 온도이다. 이렇게 낮아진 온도로 인해 상기 상부 비압착 영역(203)과 하부 비압착 영역(101)에 의해 맞닿아 있는 버블시트(10)의 해당 영역은 압착이 이루어지지 않아 변형되지 않고, 고온의 열매체유가 흐르게 되는 상기 블레이드(201)에 의해서만, 즉 상기 블레이드(201)가 가압하게 되는 영역만 가압 변형되어 압착 및 트리밍 되어 성형된다.
도포 단계(S3)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성형 단계(S2)에서 성형된 버블시트(10)의 일면에 핫멜트(14)를 도포하는 단계로서,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롤러 사이로 상기 버블시트(10)가 통과하게 되고, 한 쌍의 롤러 중 하나의 롤러 또는 롤러 측을 향하는 별도의 노즐을 통해 상기 버블시트(10)의 일면에 핫멜트(14)를 도포하게 된다.
합지 단계(S4)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포 단계(S3)에서 핫멜트(14)가 도포된 버블시트(10)의 일면에 피복원단(20)을 합지하는 단계로서,
테이블 상부에 핫멜트(14)가 도포된 버블시트(10)를 안착시킨 후 피복원단(20)을 올리고 승강장치에 의해 하강하는 압착지그를 이용해 가압하여 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피복원단(20)은 부직포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착 단계(S5)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합지 단계(S4)에서 피복원단(20)이 합지된 버블시트(10)의 타면에 흡음패드(30)를 부착하는 단계로서,
테이블 상부에 피복원단(20)이 합지된 버블시트(10)를 올려놓되, 버블시트(10)의 타면이 상방을 향하도록 올려놓은 후 초음파 융착기를 이용해 버블시트(10)의 타면에 흡음패드(30)를 융착 하여 부착하게 된다.
이상의 단계별로 이루어진 제조방법에 따른 내장재에 대한 중량 및 원가를 종래의 천연섬유 내장재와 비교하여 보면,
구분 천연섬유 강화보드 1.9Kg/m2 + PP Flim 100g/m2 양면부착 (a) 버블시트 적용 시
bubble sheet 1,700/m2 (b)
차이(a-b)
중량 1,513g 1,225g -288g
원가 15,518원 15,318원 -200원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기존 천연섬유를 이용한 내장재는 중량 1,513g 이고 버블시트 적용된 내장재는 1,225g 으로서, 기존 내장재에 비해 본 발명의 내장재가 무려 288g의 중량이 줄어든 것을 알 수 있고, 원가에서도 크게 차이가 남에 따라 제품 단가를 크게 낮추어 시장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의 단계별로 이루어진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내장재에서 흡음패드(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블시트(10)의 하부면에 부착되는 베이스층(31)과,
상기 베이스층(31)의 하부면에 부착되고 하부에서 상부로 향할수록 좁아지는 형태의 요홈(321)이 형성된 다수의 상향 돌출부(322)를 갖는 흡음층(32)과,
상기 흡음층(32)의 하부면에 부착되는 커버층(33)
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흡음층(32)은 본 발명의 특징으로서, 차량 하부에서 발생하는 소음 등이 상기 흡음층(32)을 통해 흡음, 상쇄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상향 돌출부(322)는 상기 흡음층(32)의 수직 단면 상태에서 살펴보면, 상기 흡음층(32)의 상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되고, 상향 돌출부(322)의 내부에는 하부에서 상부로 향할수록 좁아지는 형태의 요홈(321)이 형성됨으로써, 차량 하부 측에서 발생하는 소음 등이 요홈(321)의 내, 외벽과 충돌하면서 상쇄된다.
한편,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상향 돌출부(322)의 하부면에는 요홈(321)의 하부를 중심으로 하며 하방으로 높이가 형성되는 다수 개의 방사형 돌출턱(323)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방사형 돌출턱(323)은 상기 상향 돌출부(322)의 하부에서 일정의 높이를 형성하며 하향 형성되는 구성을 하기 때문에, 차량 하부에서 발생하는 소음 등을 좀 더 흡음 및 상쇄할 수 있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구성의 방사형 돌출턱(323)은 요홈(321)의 하부를 중심으로 환형을 이루며 상향 돌출부(322)의 하부면에 방사형으로 복수의 층을 형성하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방사형 돌출턱(323)에 의하여 상쇄되지 못한 소음 등이 요홈(321)의 하부에 인접되는 다른 방사형 돌출턱(323)에 의하여 재차 상쇄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와 같이 아울러 상기 상향 돌출부(322)의 상부에는 유로가 형성된 직선형의 흡음관(324)이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직선형의 흡음관(324)은 상기 베이스층(31)에 내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직선형 흡음관(324)은 상기 흡음층(32)에 흡음된 소음 등이 요홈(321)의 하부를 통해 통과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요홈(321)의 상부에 하단이 연결되고, 상단은 하단에서 상방으로 일정의 길이를 형성하며 연장되어 베이스층(31)에 내입되는 구성을 한다.
더불어 상기 구성의 직선형 흡음관(324)의 길이는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직선형 흡음관(324)의 상단이 베이스층(31) 두께의 중간 이상의 부분에 위치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직선형 흡음관(324)의 상부 말단에는 하부에서 상부로 향할수록 넓어지는 깔때기(325)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깔때기(325)는 상기 직선형 흡음관(324)의 상단과 연결되는 하부는 좁은 내경을 가지고 상부는 넓은 내경을 가지는 중공이 형성되는 구성을 하여, 직선형 흡음관(324)의 하부에서 흡음된 소음 등이 상기 깔때기(325) 중공에서 흡음 및 상쇄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상향 돌출부(322)의 상부에는 유로가 형성된 곡선형의 흡음관(326)이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곡선형의 흡음관(326)은 베이스층(31)에 내입될 수 있다.
결국 상기 곡선형 흡음관(326)은 요홈(321)의 상부에 하단이 연결되고, 상단은 하단에서 상방으로 일정의 길이를 형성하며 수평으로 연장되어 베이스층(31)에 내입되는 구성을 한다.
상기 곡선형 흡음관(325)은 상기 직선형 흡음관(324)과 마찬가지로 소음 등을 흡음 및 상쇄시킬 수 있고, 특히 상기 직선형 흡음관(324) 보다 좀 더 높은 흡음 및 상쇄 성능을 발휘한다.
즉 상기 요홈(321)으로 유입된 소음 등은 요홈(321)의 하부를 통하여 곡선형 흡음관(325)의 중공으로 유동된 후 곡선형 흡음관(325)의 말단으로 빠져나오면서 흡음 및 상쇄된다.
더불어 상기 구성의 곡선형 흡음관(326)의 길이는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곡선형 흡음관(326)의 말단이 커버층(33) 두께의 중간 이상의 부분에 위치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트렁크용 내장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내장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버블시트
11 : 미들시트
12 : 탑시트
13 : 바텀시트
14 : 핫멜트
20 : 피복원단
30 : 흡음패드
31 : 베이스층
32 : 흡음층
321 : 요홈
322 : 상향 돌출부
323 : 방사형 돌출턱
324 : 직선형 흡음관
325 : 깔때기
326 : 곡선형 흡음관
33 : 커버층
100 : 하부금형
101 : 하부 비압착 영역
102 : 하부유로
200 : 상부금형
201 : 블레이드
201a : 단턱부
202 : 유통로
203 : 상부 비압착 영역
204 : 상부유로
300 : 보일러
400 : 공급배관
500 : 회수배관

Claims (6)

  1. 버블시트(10) 제조 단계(S1);
    상기 제조 단계(S1)에서 제조된 버블시트(10)를 하부금형(100)에 안착시키고 하강하는 상부금형(200)에 의해 소정의 크기로 성형하는 단계(S2);
    상기 성형 단계(S2)에서 성형된 버블시트(10)의 일면에 핫멜트(14)를 도포하는 단계(S3);
    상기 도포 단계(S3)에서 핫멜트(14)가 도포된 버블시트(10)의 일면에 피복원단(20)을 합지하는 단계(S4); 및
    상기 합지 단계(S4)에서 피복원단(20)이 합지된 버블시트(10)의 타면에 흡음패드(30)를 부착하는 단계(S5);
    를 포함하고,
    상기 버블시트(10)는 상방 및 하방 각각으로 번갈아가며 개구(開口)된 다수의 공간을 갖는 미들시트(11)와, 상기 미들시트(11)의 상면과 하면을 각각 덮는 형태로 합지되는 탑시트(12) 및 바텀시트(13)로 이루어지고,
    상기 버블시트(10)는 폴리프로필렌(PP : Polypropylene) 재질이며,
    상기 상부금형(200)에는 하부면에 버블시트(10)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기 위해 형성되는 블레이드(201)와, 상기 블레이드(201) 내에 열매체유가 흐르게 되는 유통로(20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블레이드(201)는 둘 이상의 단턱부(201a)가 형성되어 있어 버블시트(10)의 테두리를 하나 이상의 단턱이 형성되게 가압 성형하여 트리밍하게 되며,
    상기 상부금형(200)에는 버블시트(10)의 상부면에 접하도록 상기 블레이드(201)가 이루는 내측 빈 공간인 상부 비(非)압착 영역(203)에 냉각수가 흐르는 상부유로(204)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금형(100)에는 이에 안착된 버블시트(10)의 하부면에 접하는 하부 비압착 영역(101) 내에 냉각수가 흐르는 하부유로(10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성형 단계(S2)에서 상기 상부금형(200)에 의한 버블시트(10)의 성형 시간은 25~35초이고, 프레스 압력은 120kgf 이상이며, 상기 상부 비압착 영역(203)과 하부 비압착 영역(101) 각각의 온도는 80~100도 이고,
    상기 상부금형(200)의 유통로(202)로 공급되는 열매체유는 보일러(300)에 의해 예열된 후 공급배관(400)을 통해 상기 상부금형(200)의 유통로(202)로 공급되고 회수배관(500)을 통해 회수된 후 보일러(300)에 의해 다시 예열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됨으로써, 상기 유통로(202) 내에서 180~200도를 유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트렁크용 내장재 제조방법.
  2. 제1항에 의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내장재에서 흡음패드(30)는
    상기 버블시트(10)의 하부면에 부착되는 베이스층(31)과,
    상기 베이스층(31)의 하부면에 부착되고 하부에서 상부로 향할수록 좁아지는 형태의 요홈(321)이 형성된 다수의 상향 돌출부(322)를 갖는 흡음층(32)과,
    상기 흡음층(32)의 하부면에 부착되는 커버층(3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트렁크용 내장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층(32)의 각 상향 돌출부(322) 하부면에는 요홈(321)의 하부를 중심으로 하며 하방으로 높이가 형성되는 다수의 방사형 돌출턱(32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트렁크용 내장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층(32)의 각 상향 돌출부(322)의 상부에는 통로가 형성된 직선형의 흡음관(324)이 구비되고, 상기 흡음관(324)은 상기 베이스층(31)에 내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트렁크용 내장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관(324)의 상부 말단에는 하부에서 상부로 향할수록 넓어지는 깔때기(32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트렁크용 내장재.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층(32)의 각 상향 돌출부(322)의 상부에는 통로가 형성된 곡선형의 흡음관(326)이 구비되고, 상기 흡음관(326)은 상기 베이스층(31)에 내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트렁크용 내장재.
KR1020190001602A 2019-01-07 2019-01-07 자동차의 트렁크용 내장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내장재 KR101941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602A KR101941597B1 (ko) 2019-01-07 2019-01-07 자동차의 트렁크용 내장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내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602A KR101941597B1 (ko) 2019-01-07 2019-01-07 자동차의 트렁크용 내장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내장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4833A Division KR101941211B1 (ko) 2018-11-06 2018-11-06 자동차의 트렁크용 내장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내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1597B1 true KR101941597B1 (ko) 2019-01-23

Family

ID=65280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1602A KR101941597B1 (ko) 2019-01-07 2019-01-07 자동차의 트렁크용 내장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내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15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9510B1 (ko) * 2019-02-21 2019-06-17 정현기 핫멜트 침투를 통한 접합 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내장재 제조방법
KR101990574B1 (ko) * 2019-03-12 2019-06-18 정현기 Pp보드와 피복원단 간의 접합 구조를 개선한 자동차의 내장재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527B1 (ko) 2010-02-19 2012-04-20 주식회사 우진테크 압축 성형을 이용한 자동차용 내장재의 제조방법
JP2013220733A (ja) * 2012-04-17 2013-10-28 Meiwa Ind Co Ltd 車両用内装部品およびその端末処理方法
JP2014211640A (ja) * 2014-05-30 2014-11-13 名古屋油化株式会社 吸遮音パネル部材
KR101777781B1 (ko) 2016-05-31 2017-09-12 주식회사 휴비스 폴리에스테르 발포 시트를 포함하는 자동차 트렁크용 내장재
KR101898014B1 (ko) 2016-12-28 2018-09-13 세일인텍 주식회사 자동차 내장재 제조용 금형 및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527B1 (ko) 2010-02-19 2012-04-20 주식회사 우진테크 압축 성형을 이용한 자동차용 내장재의 제조방법
JP2013220733A (ja) * 2012-04-17 2013-10-28 Meiwa Ind Co Ltd 車両用内装部品およびその端末処理方法
JP2014211640A (ja) * 2014-05-30 2014-11-13 名古屋油化株式会社 吸遮音パネル部材
KR101777781B1 (ko) 2016-05-31 2017-09-12 주식회사 휴비스 폴리에스테르 발포 시트를 포함하는 자동차 트렁크용 내장재
KR101898014B1 (ko) 2016-12-28 2018-09-13 세일인텍 주식회사 자동차 내장재 제조용 금형 및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9510B1 (ko) * 2019-02-21 2019-06-17 정현기 핫멜트 침투를 통한 접합 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내장재 제조방법
KR101990574B1 (ko) * 2019-03-12 2019-06-18 정현기 Pp보드와 피복원단 간의 접합 구조를 개선한 자동차의 내장재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5865A (en) Automotive upholstery component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5603534B2 (ja) 積層板の製造方法
US5783133A (en) Method for making a multilayer molded article
KR101941597B1 (ko) 자동차의 트렁크용 내장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내장재
KR20060134097A (ko) 복합재 성분
JPH04241915A (ja) 多層成形品の製造方法
KR20080027656A (ko) 자동차용 내장재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874305B1 (ko) 차량용 플로워카페트 및 그의 제조방법
JP5284514B2 (ja) 自動車用ダクトの製造方法
JPH07285149A (ja) 予備成形法のバックエンボスにより成形品を製造する方法
KR101941211B1 (ko) 자동차의 트렁크용 내장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내장재
KR101954178B1 (ko) 단일니들펀칭기를 이용한 상, 하 방향 동시 니들펀칭에 의한 3층 복합부직포 제조방법
US6756090B1 (en) Load-bearing member of reinforced thermoplastic
KR20180047882A (ko) 단일소재의 차량용 내장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84374B1 (ko) 테두리가 강화된 차량용 언더커버 및 그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JP2008302595A (ja) 複合シートの製造方法
JP3572823B2 (ja) 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
JP2021133828A (ja) 車両用内装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4344651B2 (ja) 熱可塑性樹脂発泡成形品の製造方法
JP4198533B2 (ja) 成形型および積層成形体の製造方法
DE3508125A1 (de)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mit flaechengebilden kaschierten formkoerpern aus schaumstoff und formkoerper
JPH0350701B2 (ko)
JPH0352203Y2 (ko)
KR100439765B1 (ko) 자동차용 내장재 패널 및 그 제조방법
JPH06270305A (ja) ハニカム成形体を製造す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