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1091B1 - Module Type Plant Cultivating Device - Google Patents
Module Type Plant Cultivat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41091B1 KR101941091B1 KR1020170052472A KR20170052472A KR101941091B1 KR 101941091 B1 KR101941091 B1 KR 101941091B1 KR 1020170052472 A KR1020170052472 A KR 1020170052472A KR 20170052472 A KR20170052472 A KR 20170052472A KR 101941091 B1 KR101941091 B1 KR 1019410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post
- composting
- module
- water
- unit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361 compos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8
- 238000009264 compost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4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0384 rear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1172 regenera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67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9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871 livestock man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6227 by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3228 Lactuc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8415 Lactuc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7688 Lycopersicon esculen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3768 Solanum lycopers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4000061456 Solanum tuberos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595 Solanum tuberos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360 aqua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4000144974 aquacultur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313 f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384 green leafy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12010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813 municipal solid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635 plant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015 potato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description 2
- 229930003231 vitam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58957 Asteroid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566 Caps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00626 Daucus caro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767 Daucus caro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17020 Ipomoea batata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678 Ipomoea batata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676 Phragmites commun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758706 Piper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536 Zeo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HNPSIPDUKPIQMN-UHFFFAOYSA-N dioxosilane;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Si]=O.O=[Al]O[Al]=O HNPSIPDUKPIQM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927 edible pla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94 food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79 hair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798 recomb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15 recomb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 saw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02 straw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282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7 zeo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2—Combinations of a saucer and a flower pot attached together
-
- C05F17/02—
-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90—Apparatu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모듈형 식물재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식물의 뿌리가 착근되어 성장할 수 있도록 일정량의 배양토가 채워지는 재배부 ; 상기 재배부의 개방된 하부를 차단하면서 상기 배양토에 공급되는 물이 자중방향으로 투과하여 배수되는 통수판체 ; 상기 통수판체에 의해서 개방된 상부가 덮어져 상기 통수판체를 통과하는 물이 수집되고, 상기 통수판체를 통과하는 식물의 뿌리에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저수부 ; 및 상기 통수판체를 매개로 재배부와 저수부가 상하적층된 구조물이 올려지는 모듈박스를 갖추고, 상기 모듈박스의 내부에 다층으로 내장설치되는 복수개의 퇴비모듈을 갖추어 상기 복수개의 퇴비모듈에서 퇴비화되는 퇴비원료를 순차적으로 자중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퇴비를 제조하는 퇴비제조부;를 포함한다. A modular plant cultivation apparatus is provid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ing apparatus comprising a cultivation unit in which a predetermined amount of culture soil is filled to allow a root of a plant to grow and grow; A water supply valve body, through which the water supplied to the culture soil is permeated and drained in its own weight direction while blocking the open lower portion of the reared portion; A water storage portion in which an upper portion opened by the water supply valve body is collected to collect water passing through the water reception valve body and water supplied to a root of a plant passing through the water reception valve body is stored; And a plurality of compost modules installed inside the module box in a multi-layered structure, wherein the composting module includes a module box in which a regenerating unit and a water storage unit are stacked on top of each other, And a compost producing unit for producing the compost while sequentially moving the raw materials in the self-weight direc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모듈형으로 구비되어 식물을 재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식물을 재배하는 공간과 재배하는 식물에 공급되는 퇴비를 제조하는 공간을 일체화하면서 전체적인 구성을 단순화하고,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에 공급하기 위한 양질의 퇴비를 직접적으로 간편하게 제조하여 공급할 수 있는 모듈형 식물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modularly planting plant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lant for growing plants by integrating a space for growing plants and a space for producing compost supplied to cultivated plant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ar plant cultivation apparatus capable of directly and easily producing and supplying a high-quality compost for feeding a plant.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건물내부에서 실내공간의 답답함과, 삭막함을 없애고,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써 화분을 진열하거나 인공적인 화단을 설치하는 것이 점차 늘고 있다.Generally, in order to provide a pleasant environment by eliminating the stiffness and stiffness of the indoor space in a home or a building, it is increasingly increasingly used to display flower pots or artificial flower beds in various forms.
이에 따라 실내에서는 관상용 식물이나 식용 식물과 같은 재배식물들을 토양이 채워진 화분에 식재하여 재배 관리하지만, 주기적으로 급수하여 관리해야만 하는 문제가 있었고 재배식물이 크기 때문에 이동이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Accordingly, cultivated plants such as ornamental plants and edible plants are cultivated and cultivated in pots filled with soil, but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y have to be periodically watered and managed, and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ransportation is inconvenient due to the large size of cultivated plants.
또한, 인공적으로 화단 등을 조성한다고 하여도 급수시설이나 방수처리 등을 설치하고 관리하는데 상당한 주의가 필요하고, 상당한 비용이 발생하였다.In addition, even if artificial flower beds are constructed, considerable care is required to install and manage water supply facilities and waterproofing treatments, and significant costs have been incurred.
그리고 도시생활을 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상추, 토마토, 고추 등과 같이 야채 식물재배가 용이한 일부 농산물을 직접 재배하고자 하지만, 실질적으로 도시에서 농작물을 심어 재배할 수 있는 토지확보가 어렵고, 소량의 토양이 채워지는 화분을 이용한 화분재배에 의존하였다. Most people who live in urban areas want to cultivate some agricultural products that are easy to grow vegetables such as lettuce, tomatoes, and peppers. However, it is difficult to secure enough land to cultivate crops in urban areas, Depending on the planting of pollen using the filled pollen.
또한, 식물재배에 필요로 하는 영양분인 퇴비를 주기적인 공급 및 교체해야만 하는데 일반가정에서 퇴비를 제조하여 확보하기 곤란하여 별도로 구매해야만 하기 때문에 재배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eriodically supply and replace compost, which is a nutrient required for plant cultivation, and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and secure the compost in general households, so that it is necessary to separately purchase the compost.
(특허문헌 1) KR10-1319616 B1 (Patent Document 1) KR10-1319616 B1
특허문헌 1에는 하우징의 하부에 위치하며 토양을 분쇄하며 교반하는 교반부를 갖추고, 교반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교반된 토양을 보관하는 저장부를 갖추며, 교반부의 상측에 위치하여 무한궤도를 따라 회전 가능하여 상면에 올려진 토양을 하우징의 일측으로 이송 가능한 육모벨트를 구비하고 있는 재배부를 갖추는 한편, 재배부의 일측에 위치하여 육모벨트의 회전에 따라 육모벨트에서 이탈한 토양을 수거하여 교반부로 낙하시키는 회수부를 포함하여 토양을 장치 내에서 순환시키면서 작물을 재배할 수 있게 하며, 가정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등을 퇴비로 사용할 수 있는 식물재배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structure in which a storage portion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a housing and is provided with a stirring portion for crushing and stirring the soil and located at one side of the stirring portion and for storing agitated soil and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tirring portion, And a recovering unit disposed at one side of the rearing unit and collecting the soil removed from the hair growing belt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hair growing belt and dropping the collected soil from the hair growing belt to the stirring unit Thereby allowing crops to be cultivated while circulating the soil in the apparatus, and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capable of using food and the like discharged from households as compost.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식물재배장치는 토양을 순환시키면 퇴비를 제조하여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전체적인 구성부품수가 많고 전제적인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제조원가를 상승시켜 일반 가정에 대량으로 공급하기 곤란하였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plant cultivation apparatus has an advantage in that compost can be manufactured and supplied when the soil is circulated, but since the total number of constituent parts is large and the total structure is complicated, it is difficult to supply a large amount to the general household by raising the manufacturing cost.
또한, 무한궤도, 육모벨트 및 교반부와 같은 소모품의 파손이나 손상시 이를 수리해야만 하고, 주기적으로 교체해야만 하기 때문에 일반인들이 보수유지하기 곤란할 뿐만 아니라 관리유지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consumables such as endless tracks, hair growth belts, and agitating parts are damaged or damaged, it must be repaired and periodically changed, so that it is difficult for ordinary people to maintain and maintain, and maintenance and maintenance costs are excessively increased.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식물을 재배하는 공간과 재배하는 식물에 공급되는 퇴비를 제조하는 공간을 일체화하면서 전체적인 구성을 단순화하고,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에 공급하기 위한 양질의 퇴비를 직접적으로 간편하게 제조하여 공급할 수 있는 모듈형 식물재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implify the overall structure by integrating the space for growing plants and the space for producing compost supplied to the cultivating plants, And to provide a modular plant cultivation apparatus capable of directly and easily producing and supplying good quality compost for feeding.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퇴비 숙성제조시 발생하는 열이 식물재배가 이루어지는 재배부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재배식물의 고사를 방지하면서 최적의 식물재배 조건을 조성할 수 있는 모듈형 식물재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dular plant cultivation apparatus capable of preventing the heat generated during compost aging production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growing unit side where the plant is cultivated, ≪ / RTI >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restrictive of the invention, unless further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possibl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식물의 뿌리가 착근되어 성장할 수 있도록 일정량의 배양토가 채워지는 재배부 ; 상기 재배부의 개방된 하부를 차단하면서 상기 배양토에 공급되는 물이 자중방향으로 투과하여 배수되는 통수판체 ; 상기 통수판체에 의해서 개방된 상부가 덮어져 상기 통수판체를 통과하는 물이 수집되고, 상기 통수판체를 통과하는 식물의 뿌리에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저수부 ; 및 상기 통수판체를 매개로 재배부와 저수부가 상하적층된 구조물이 올려지는 모듈박스를 갖추고, 상기 모듈박스의 내부에 다층으로 내장설치되는 복수개의 퇴비모듈을 갖추어 상기 복수개의 퇴비모듈에서 퇴비화되는 퇴비원료를 순차적으로 자중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퇴비를 제조하는 퇴비제조부;를 포함하는 모듈형 식물재배장치를 제공한다. As a specific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anting apparatus comprising: a cultivation unit filled with a predetermined amount of culture soil so that roots of a plant can be planted and grow; A water supply valve body, through which the water supplied to the culture soil is permeated and drained in its own weight direction while blocking the open lower portion of the reared portion; A water storage portion in which an upper portion opened by the water supply valve body is collected to collect water passing through the water reception valve body and water supplied to a root of a plant passing through the water reception valve body is stored; And a plurality of compost modules installed inside the module box in a multi-layered structure, wherein the composting module includes a module box in which a regenerating unit and a water storage unit are stacked on top of each other, And a compost producing unit for producing the compost while sequentially moving the raw materials in the self weighting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식물의 뿌리가 착근되어 성장할 수 있도록 일정량의 배양토가 채워지는 재배부 ; 상기 재배부의 개방된 하부를 차단하면서 상기 배양토에 공급되는 물이 자중방향으로 투과하여 배수되는 통수판체 ; 상기 통수판체에 의해서 개방된 상부가 덮어지고, 상기 통수판체를 통하여 상기 배양토에서 재배되는 식물의 뿌리에 영양분을 공급하도록 일정량의 퇴비가 채워져 저장되는 퇴비부 ; 및 상기 통수판체를 매개로 재배부와 퇴비부가 상하적층된 구조물이 올려지는 모듈박스를 갖추고, 상기 모듈박스의 내부에 다층으로 내장설치되는 복수개의 퇴비모듈을 갖추어 상기 복수개의 퇴비모듈에서 퇴비화되는 퇴비원료를 순차적으로 자중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퇴비를 제조하는 퇴비제조부;를 포함하는 모듈형 식물재배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anting apparatus comprising: a cultivation unit in which a predetermined amount of culture soil is filled so that roots of plants can be planted and grow; A water supply valve body, through which the water supplied to the culture soil is permeated and drained in its own weight direction while blocking the open lower portion of the reared portion; A compost portion in which a predetermined amount of compost is filled and stored so as to supply nutrients to the roots of the plant cultivated in the cultivated soil through the passage plate covered with the upper portion opened by the passage plate body; And a plurality of compost modules installed in the module box in a multilayered manner, wherein the composting module includes a module box in which a growing part and a composting part are stacked vertically via the flow path plate, And a compost producing unit for producing the compost while sequentially moving the raw materials in the self weighting direction.
바람직하게, 상기 퇴비제조부는 일정량의 퇴비원료가 채워지는 공간을 갖추어 발효제에 의해서 상기 퇴비원료를 1차 발효시키는 제1퇴비모듈과, 상기 제1퇴비모듈에서 1차 발효된 퇴비원료를 자중방향으로 공급받아 채워지는 공간을 갖추어 퇴비원료를 2차 발효시키는 제2퇴비모듈 및 상기 제2퇴비모듈에서 2차 발효된 퇴비원료를 자중방향으로 공급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제3퇴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composting unit includes a first composting module that has a space filled with a predetermined amount of composting material and ferments the composting raw material firstly by an fermentation agent, and a second composting module that performs a first composting process And a third compost module for supplying the compost material secondary fermented in the second compost module and discharging the compost material in the direction of its own weight to the outside, .
바람직하게, 상기 제1퇴비모듈은 상기 모듈박스에 개구형성된 제1출입구를 통하여 진출입되는 제1모듈박스체와, 상기 제1모듈박스체의 개방된 하부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도록 상기 제1출입구를 통하여 모듈박스의 내부로 안내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차단판을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first compost module includes a first module box body that is inserted into and out through a first doorway opening formed in the module box, and a second module box body that opens and closes the opened lower portion of the first module box body through the first doorway And a first blocking plate that is guided movably to the inside of the module box.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1차단판은 상기 모듈박스의 서로 마주하는 내부면에 돌출형성된 상부안내레일을 따라 안내되는 사각판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차단판의 외측단에는 모듈박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판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first blocking plate is made of a rectangular plate guided along the upper guide rails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s of the module boxes,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blocking plat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odule box Lt; RTI ID = 0.0 > handle < / RTI >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2퇴비모듈은 상,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모듈박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모듈박스체와, 상기 제2모듈박스체의 개방된 하부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도록 상기 모듈박스에 개구형성된 슬릿을 통하여 모듈박스의 내부로 안내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2차단판을 포함할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second compost module has a second module box body that is opened in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and is disposed inside the module box, and a second module box body that is opened to open or close the open lower portion of the second module box body And a second blocking plate that is guided movably to the inside of the module box through the opening slit.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2퇴비모듈은 상기 모듈박스의 내부공간을 차단하거나 개방하여 퇴비가 낙하되는 통로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도록 상기 모듈박스의 외부면에 개구형성된 슬릿을 통하여 모듈박스의 내부로 안내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2차단판을 포함할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second composting module blocks or opens the internal space of the module box to guide or open the compartment through the slit form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module box, And a second blocking plate assembled as far as possible.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2차단판은 상기 모듈박스의 서로 마주하는 내부면에 돌출형성된 하부안내레일을 따라 안내되는 사각판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차단판의 외측단에는 모듈박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2판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second blocking plate is made of a rectangular plate guided along a lower guide rail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module box,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locking plat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odule box Lt; RTI ID = 0.0 > handle < / RTI >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3퇴비모듈은 상기 모듈박스의 일측면에 개구형성된 제2출입구를 통하여 모듈박스의 내부로 진출입되고, 상부는 개방되고 바닥면은 밀폐되는 제3모듈박스체를 포함할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third composting module may include a third module box body which is inserted into and out of the module box through a second door opening formed in one side of the module box, the upper part is opened, and the bottom surface is closed have.
바람직하게, 상기 통수판체는 상기 재배부의 하부에 돌출형성되거나 상기 저수부 또는 퇴비부의 상부에 돌출형성되는 결합핀에 대응결합되는 결합공을 관통형성한 외측프레임과, 상기 외측프레임의 서로 마주하는 변사이를 연결하면서 다공성 배수영역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연결대를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water supply valve body includes an outer frame protruding from a lower portion of the rearing portion or formed through an engaging hole corresponding to an engaging pin protru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reservoir portion or the compost portion,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that form a porous drainage area while connecting them.
바람직하게, 상기 통수판체는 상기 재배부의 하부에 함몰형성되거나 상기 저수부 또는 퇴비부 상부에 함몰형성되는 결합홈에 대응결합되는 결합턱을 상,하부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구비하거나 상,하부에 동시에 연장형성한 사각틀형상의 외측프레임과, 상기 외측프레임의 서로 마주하는 변사이를 연결하면서 다공성 배수영역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연결대를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water supply valve body may have a coupling jaw which is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rearing portion or is coupled to an engagement groov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reservoir portion or the upper portion of the composting portion,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that form a porous drainage area while connecting the outer frames of the outer frame to each other.
바람직하게, 상기 저수부는 상기 통수판체를 통하여 낙하되는 물이 수집되어 저장되고, 일정량의 물이 채워지는 저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저수조는 물보충라인 및 물배수라인을 매개로 물저장탱크와 연결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water storage unit includes a water storage tank for collecting and storing water falling through the water discharge valve and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and the water storage tank may be connected to a water storage tank through a water replenishing line and a water drainage line have.
바람직하게, 상기 퇴비부는 상기 통수판체를 매개로 상기 재배부의 하부에 적층되는 외부 퇴비박스체와, 상기 외부 퇴비박스체의 일측면에 개구형성된 출입구를 통하여 진출입되고, 상기 퇴비가 일정량 채워져 저장되는 내부 퇴비박스체를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composting portion includes an outer composting box body that is stack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rearing portion via the water receiving plate, and an inner composting box body that is inserted into the outer composting box body through an opening formed in one side face thereof, And may include a compost box body.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 퇴비박스체는 상기 내부 퇴비박스체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다공성 배수영역을 통하여 배수되는 수분을 수집할 수 있도록 일정각도 경사진 바닥경사면과, 상기 바닥경사면의 일측테두리에 함몰형성되는 집수로를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outer compost box body includes a bottom slope which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as to collect the water drained through the porous drainage area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ompost box body, and a bottom slope formed at one side edge of the bottom slope And the like.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 퇴비박스체는 퇴비가 분할저장되는 분할공간을 형성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분할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internal compost box body may include at least one partition wall to form a divided space in which the compost is divided and stored.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1) 식물이 식재되어 재배하는 재배부와, 퇴비를 제조하는 퇴비제조부사이에 물이 채워지는 저수부를 배치함으로써 퇴비 제조시 발생하는 열이 저수부에 의해서 재배부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열에 의해서 배양토를 건조시켜 식재된 재배식물을 고사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배양토의 식생 수분조건을 최적화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1) By disposing a growing section where plants are planted and cultivated and a low-water section where water is filled in the compost producing section for producing compost, it is possible to prevent heat generated during compost production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growing section by the low-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ultivation of the cultivated plant by drying the cultivated soil by the heat, optimize the vegetation moisture condition of the cultivated soil, and maintain it stably.
(2) 식물이 식재되어 재배하는 재배부와, 식재된 식물에 영양분을 제공하는 퇴비가 저장되는 퇴비부 및 퇴비를 제조하는 퇴비제조부를 높이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배치함으로써 식물을 재배하는 공간과 재배하는 식물에 공급되는 퇴비를 제조하는 공간을 일체화하면서 전체적인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기 때문에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에 공급하기 위한 양질의 퇴비를 직접적으로 간편하게 제조하여 공급할 수 있고, 퇴비를 별도로 구매하여 시비하는 번거로움없이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한편, 보수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2) a space for cultivating plants and cultivating the plants by arranging the cultivation part in which the plants are planted and grown, the compost part storing the compost for providing the nutrients to the planted plant, and the compost producing part for producing the compost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entire construction while integrating the space for producing the compost supplied to the plants to be plant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irectly and easily produce and supply high-quality compost for supplying to the plants to be cultivated, It is possible to grow plants without the need for maintenance, while reducing maintenance costs.
(3) 가정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 과일부산물, 야채부산물을 퇴비원료로 이용하여 식물을 재배하는 공간과 인접하는 장소에서 퇴비화함으로써 생활쓰레기를 퇴비로 제조하여 쓰레기 발생량 및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다. (3) Household garbage, fruit by-products, and vegetable by-products can be composted at a place adjacent to a plant growing area using compost as a raw material, thereby reducing garbage generation and environmental pollution.
(4) 자중방향으로 낙하이동되는 퇴비를 윗거름으로 사용하여 식물의 생육을 고사없이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성장속도를 촉진시켜 식물의 재배효율을 높일 수 있다. (4)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lanting efficiency by promoting the growth rate while keeping the growth of the plant stably without any trouble by using the compost which is dropped in the self-weight direction as the upper manure.
(5) 퇴비제조부에서 감자,고구마와 같은 구근식물이나 도구를 임시보관할 수 있는 저장기능을 추가할 수 있어 식물재배장치의 기능을 다양화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5) It is possible to add a storage function to temporarily store bulbs or potatoes such as potatoes and sweet potatoes in the compost manufacturing department, thereby diversifying the functions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thereby improving the user's satisfaction.
(6) 식물재배를 위해서 재배부에 공급된 다음 자중방향으로 낙하되는 물을 저수조 또는 저수탱크에 수집한 다음, 어류가 서식하는 저수조 또는 저수탱크에서 재배부로 순환공급하는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을 추가하여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재배부에 물, 미생물 및 양분을 선순환 공급하여 관상용 식물재배 및 식용 작물 재배가 용이해질 수 있다. (6) An aqua phonics system, which is supplied to the rearing unit for plant cultivation and then falls in the direction of its own weight, is collected in a reservoir or a reservoir tank, and then circulated to a rehydration tank or a reservoir It is possible to cultivate ornamental plants and edible crops easily by supplying a virtuous cycle of water, microorganisms and nutrients to the growing part.
도 1 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식물재배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식물재배장치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식물재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 와 도 4b 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식물재배장치에 채용되는 통수판체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식물재배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a 와 도 6b 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식물재배장치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식물재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e 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식물재배장치에 적용되는 퇴비제조부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식물재배장치에서 퇴비부와 퇴비제조부사이에 아쿠아포닉용 저수탱크를 배치한 구성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식물재배장치에 적용되는 아쿠아포닉 순환구조를 도시한 개략 상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ular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ular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odular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A and 4B are views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water supply valve used in the modular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ular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overall perspective views showing a modular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odular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8A to 8E are views showing the state of use of a compost manufacturing unit applied to the modular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water tank for aquaponic is disposed between a compost portion and a compost manufacturing portion in a modular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aquaponic circulation structure applied to a modular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portion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throughout the drawing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e entir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may be referred to as 'indirectly connected' not only with 'directly connected' . Also, to include an elemen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but may also include other elements.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식물재배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물을 재배하면서 식물에 공급되는 퇴비를 제조할 수 있도록 다층으로 배치되는 재배부(110), 통수판체(120), 저수부(130) 및 퇴비제조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3, the modular
상기 재배부(110)는 일정량의 배양토가 채워지는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대략 육면체상의 박스구조물로 이루어짐으로써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이 식재되어 식재된 식물의 뿌리가 착근되어 성장할 수 있는 것이다.The
이러한 재배부(110)는 일정량의 배양토가 채워져 다수의 식물이 식재되는 재배박스체(112)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정량의 배양토가 채워져 다수의 식물이 식재되는 토낭부가 수용되는 재배박스체(1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이때, 상기 재배박스체(112)는 상,하부가 개방된 대략 육면체상의 박스구조물로 이루어지며, 개방된 하부는 상기 통수판체(120)에 의해서 배수가 가능하도록 닫혀진다. At this time, the
상기 통수판체(120)는 상기 재배부의 재배박스체(112)의 개방된 하부를 차단하면서 상기 배양토에 식재되는 식물에 공급되는 수분이나 배양액 중 일부를 자중방향으로 투과하여 배수하는 것이다. The water
이러한 통수판체(120)는 도 4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재배부의 하부에 돌출형성되거나 상기 저수부(130)의 상부에 돌출형성되는 결합핀(129)에 대응결합되는 결합공(121)을 관통형성한 사각틀형상의 외측프레임(122)을 갖추고, 상기 외측프레임(122)의 서로 마주하는 변사이를 연결하면서 다공성 배수영역(124)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연결대(123)를 포함할 수 있다. 4A, the water
또한, 상기 통수판체(120)는 도 4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재배부의 하부에 함몰형성되거나 상기 저수부의 상부에 함몰형성되는 결합홈에 대응결합되는 결합턱(122a)을 상,하부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구비하거나 상,하부에 동시에 연장형성한 사각틀형상의 외측프레임(122)을 갖추고, 상기 외측프레임(122)의 서로 마주하는 변사이를 연결하면서 다공성 배수영역(124)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연결대(123)를 포함할 수 있다. 4B, the water
이때, 상기 다공성 배수영역(124)은 서로 교차하는 연결대(123)사이에 형성되는 개구영역에 별도로 구비되는 망체로 이루어지거나 밀폐영역에 관통형성되는 복수개의 관통공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그리고 상기 통수판체(120)는 상기 재배부와 저수부사이에 개재되어 배치되고, 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메쉬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water
이에 따라, 상기 재배부(110)의 개방된 하부는 상기 통수판체(120)에 의해서 차단됨과 동시에 상기 재배부(110)의 배양토에 공급되어 식물에 흡수되지 않고 잔류하는 물은 상기 다공성 배수영역을 통하여 자중방향으로 배수되고, 배수된 물은 상기 저수부에 수집되어 저장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opened lower part of the rearing
또한, 상기 재배부(110)는 상기 결합핀과 결합공간의 분리 또는 상기 결합턱과 결합홈간의 간편한 분리작업 및 결합작업에 의해서 개방된 하부를 차단하는 통수판체(120)와 더불어 상기 저수부(130)로부터 간편하게 분리하거나 재결합하여 적층할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상기 저수부(130)는 상기 통수판체(120)에 의해서 개방된 상부가 덮어지고, 상기 재배부(110)에 공급되는 물이나 배양액 중 일부가 낙하 수집되어 일정량 채워지도록 바닥면이 밀폐된 대략 육면체상의 저수조(136)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이러한 저수조(136)의 내부에 수집되어 일정수위를 유지하게 되는 물은 상기 재배부에 식재되어 성장하면서 상기 통수판체의 다공성 배수영역(124)을 통과하게 되는 식물의 뿌리가 도달하게 됨으로써 저장된 물에 도달하게 되는 뿌리를 통하여 영양분을 식물에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The water collected in the
상기 저수조(136)에는 내부에 채워지는 물의 수위를 측정하여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수위계(136a)를 포함하고, 상기 수위계(136a)를 통하여 수위를 확인하여 저수조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물보충라인(137a)을 통하여 물을 보충하게 되고, 상기 저수조에 채워진 물을 외부로 배수하는 물배수라인(137b)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저수조에 일단이 연결되는 물보충라인(137a)은 일정량의 물이 채워지는 물저장탱크(151)와 연통연결되어 펌핑공급되는 물을 상기 저수조에 공급하여 보충하고, 상기 물보충라인보다 상대적으로 높거나 대략 동일한 위치에 설치되는 물배수라인(137b)도 상기 물저장탱크(151)와 연통연결되어 저수조로부터 월류되거나 뱃되는 물을 상기 물저장탱크에 자중방향으로 배출하여 저장할 수 있는 것이다. The
이때, 상기 물저장탱크(151)가 관상용이나 양식용 어류가 서식하는 수조로 이루어지는 경우, 물저장기능을 갖는 수조에 저장되는 물에는 어류의 배설물 뿐만 아니라 어류가 먹지 못하고 남긴 먹이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재배식물에게 이로운 비타민을 함유하고 있는 어류의 배설물과 먹이를 저수부에 공급하여 보충하거나 재배부에 직접적으로 공급하여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At this time, when the
상기 저수조(136) 및 물저장탱크(151)는 관상용이나 양식용 어류가 서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소재의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이에 따라, 상기 물저장탱크(151)에 채워진 물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과기(191)를 갖는 펌핑부재(190)에 의해서 여과된 다음 물보충라인(137a)을 통하여 재배부(110)에 순환공급되거나 상기 저수부의 저수조에 보충공급되어 재배식물에 비타민과 영양분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이다. 10, the water filled in the
상기 재배부(110)에서 낙하된 물은 물배수라인(137a)을 통하여 어류가 서식하는 수조인 물저장탱크(151)에 공급되거나 상기 재배부의 직하부에 배치되는 저수조에 채워진 다음, 물배수라인(137b)을 통하여 어류가 서식하는 수조인 물저장탱크(151)에 저장되도록 순환되어 아쿠아포닉 순환농법을 구현할 수 있는 한편, 이러한 아쿠아포닉스 구성을 통하여 물, 미생물 및 양분을 선순환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The water dropped in the rearing
그리고 상기 저수부(130)는 식물재배가 이루어지는 재배부(110)와 퇴비제조가 이루어지는 퇴비제조부(140)사이에 배치됨에 따라 상기 퇴비제조부에서의 퇴비제조시 발생하는 열이 재배부(110)에 직접적으로 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퇴비제조시 발생되는 열에 의해서 재배부의 배양토가 건조되어 수분조건을 열악하게 하여 식재된 식물을 고사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또한, 상기 저수조(136)에 채워지는 물은 상기 퇴비제조부(140)에서의 퇴비제조시 발생하는 열에 의해서 가열되지만 상기 물보충라인을 통하여 물저장탱크로부터 순환공급되는 물에 의해서 온도강하되어 일정온도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The water filled in the
이때, 상기 저수조(136)에는 채워진 물의 온도를 수시로 측정하고 측정값을 근거로 하여 상기 물저장탱크(151)로부터 물을 펌핑하여 보충하는 시기를 결정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상기 퇴비제조부(140)는 상기 통수판체(120)를 매개로 상기 재배부(110)와 저수부(130)가 상하적층된 구조물이 올려지고,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대략 육면체상의 모듈박스(14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이러한 모듈박스(144)의 내부공간에는 복수개의 퇴비모듈(141,142,143)을 다층으로 배치되도록 내장설치함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퇴비모듈(141,142,143)에서 퇴비화되는 퇴비원료를 순차적으로 자중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퇴비를 제조하는 것이다. A plurality of compost modules (141, 142, 143) ar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상기 퇴비제조부(140)는 볏짚, 파쇄된 목재, 톱밥, 음식물쓰레기, 커피부산물, 생채소, 불가사리, 생선뼈와 같은 퇴비원료가 일정량 채워지는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추어 상기 퇴비원료의 종류에 맞추어 혼합되는 일정량의 발효제에 의해서 상기 퇴비원료를 1차 발효시키는 제1퇴비모듈(141)을 포함한다. The
이때, 상기 퇴비원료의 퇴비화를 위해서 혼합되는 혼합제는 발효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퇴비원료를 미생물로서 생분해하여 퇴비화시키는 미생물을 추가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mixed material to be mixed for the composting of the compost material is not limited to the fermentation agent, but may further include a microorganism that biodegrades the compost raw material as a microorganism to compost it.
이러한 발효제는 수분을 50 % 내지 60% 로 조절한 퇴비원료에 제올라이트, 부식산 및 당을 첨가하고 미생물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퇴비원료의 소재에 따라 다양한 발효제가 적용될 수 있다. The fermentation agent is preferably fermented by adding zeolite, a corrosive acid and a sugar to a compost material having moisture adjusted to 50% to 60% and inoculating the microorganism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Various fermentation agents can be applied depending on the material of the compost material have.
그리고 상기 재배부에 웃거름을 제공되는 퇴비량은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게 되는데 상추와 같은 엽채소, 당근과 같은 근채소, 토마토와 같은 과채소의 순서로 많은 퇴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통상 엽채소에 필요한 퇴비의 양을 1이라 가정할 경우, 근채소는 1.5배, 그리고 과채소는 2배의 퇴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엽채소의 경우에 필요한 이상으로 재배부에 퇴비를 공급하게 되면 영양 과잉으로 식물 성장을 오히려 방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amount of the compost provided to the cultivation unit varies depending on the kind of plant to be cultivated. It is preferable to use a lot of compost in the order of leaf vegetables such as lettuce, root vegetables such as carrot and tomatoes, If the amount of compost required for ordinary leafy vegetables is assumed to be 1, it is preferable to use compost of 1.5 times the amount of mycorrhiza and twice that of the vegetable. This is because, when the compost is supplied to the cultivation part more than necessary for the leaf vegetables, the nutritional excess may interfere with the plant growth.
상기 제1퇴비모듈(141)의 직하부에는 상기 제1퇴비모듈에서 1차 발효된 퇴비원료를 자중방향으로 공급받아 채워질 수 있도록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추어 퇴비원료를 일정시간 동안 2차 발효시키는 제2퇴비모듈(142)을 포함할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 제2퇴비모듈(142)의 직하부에는 상기 제2퇴비모듈에서 2차 발효된 퇴비원료를 자중방향으로 공급받아 일정시간 동안 저장하면서 퇴비하고, 최종적으로 일정시간 동안 발효되어 퇴비화된 퇴비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3퇴비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post material secondaryly fermented by the second composting module is supplied directly to the
즉, 상기 제1,2 및 3 퇴비모듈(141,142,143)은 상기 모듈박스의 내부공간에 상부에서 하부로 연속하여 다층으로 적층되어 배치되고, 층별로 퇴비화되는 퇴비원료를 자중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하향 낙하이동시키고, 최하층에서 퇴비를 제조완성하고, 제조완성된 퇴비를 상기 재배부(110)에 윗거름으로 공급하거나 별도의 퇴비저장탱크(153)에 저장보관하게 된다. That is, the first, second, and
상기 제1퇴비모듈(141)은 상기 모듈박스의 일측면에 개구형성된 제1출입구(144a)를 통하여 진출입되는 제1모듈박스체(141a)를 갖추고, 상기 제1모듈박스체(141a)의 개방된 하부를 선택적으로 차단하거나 개방하도록 상기 제1출입구(144a)를 통하여 모듈박스의 내부로 자중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방향으로 안내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차단판(141b)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제1모듈박스체(141a)는 상기 제1차단판(141b)에 올려져 개방된 하부가 차단된 상태에서 개방된 상부를 통하여 퇴비원료가 채워지는 육면체상의 박스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모듈박스체(141a)는 제1차단판과 더불어 모듈박스(144)의 내부공간으로 진입되거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The first
이때, 상기 제1차단판(141b)은 상기 모듈박스의 서로 마주하는 내부면에 돌출형성된 상부안내레일(146a)을 따라 안내되면서 진출입되는 사각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제1차단판의 외측단에는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모듈박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판손잡이(141c)를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이에 따라, 상기 제1퇴비모듈(141)에 구비되는 제1모듈박스체(141a)의 개방된 하부는 제1차단판(141b)에 의해서 차단되어 퇴비원료가 채워져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제1모듈박스체(141a)를 상기 모듈박스의 내부에 잔류한 상태에서 제1차단판만을 외부인출하는 경우에는 제1모듈박스체의 하부를 개방하여 일정시간동안 1차로 퇴비화된 퇴비원료를 하부에 위치하는 제2퇴비모듈(142)에 공급되도록 자중방향으로 낙하시킬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opened bottom of the first
상기 제2퇴비모듈(142)은 상,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모듈박스(144)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모듈박스체(142a)를 갖추고, 상기 제2모듈박스체(142a)의 개방된 하부를 선택적으로 차단하거나 개방하도록 상기 모듈박스의 일측면에 개구형성된 슬릿(145a)을 통하여 모듈박스의 내부로 자중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방향으로 안내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2차단판(142b)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제2모듈박스체(142a)는 제1모듈박스체(141a)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차단판(142b)에 올려져 개방된 하부가 차단되며, 상기 제1차단판의 인출시 개방되는 상부를 통하여 상기 제1모듈박스체(141a)로부터 낙하되는 퇴비원료가 채워지는 육면체상의 박스체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Like the first
상기 제2차단판(142b)은 상기 모듈박스의 서로 마주하는 내부면에 돌출형성된 하부안내레일(146b)을 따라 안내되면서 진출입되는 사각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제2차단판의 외측단에도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모듈박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2판손잡이(142c)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이때, 상기 제2모듈박스체(142a)는 상기 제2차단판의 외부인출에 의한 하부개방시 낙하없이 정지되도록 상기 모듈박스(144)의 내부에 일체로 고정배치되거나 상기 모듈박스의 내부에 미도시된 걸림부재에 의해서 걸림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second
이에 따라, 상기 제1퇴비모듈(141)과 제2퇴비모듈(142)사이에 개재되는 상기 제1차단판의 인출 및 삽입에 의해서 제1모듈박스체와 제2모듈박스체사이의 통로는 서로 연통되거나 차단되고, 상기 제2모듈박스체(142a)의 개방된 하부가 제2차단판(142b)에 의해서 차단되면, 낙하되는 퇴비원료가 채워져 저장되는 일정크기의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passages between the first module box body and the second module box body are formed by the drawing and insertion of the first blocking plate interposed between the
즉, 상기 제2차단판(142b)을 외측으로 인출하여 제2모듈박스체의 하부를 개방하게 되면, 상기 제1모듈박스체로부터 낙하공급받아 일정시간 동안 2차로 퇴비화된 퇴비원료를 자중방향으로 낙하시켜 하부에 배치되는 제3퇴비모듈(143)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whe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module box body is opened by pulling out the
여기서, 상기 제2퇴비모듈(142)은 상기 모듈박스(144)의 내부에 걸림배치되는 제2모듈박스체의 개방된 하부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도록 모듈박스의 내부로 안내이동되는 제2차단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모듈박스의 내부공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거나 개방하고, 상기 제1모듈박스체의 하부의 개방시 낙하되는 통로를 차단하면서 상기 제1퇴비모듈과 제3퇴비모듈사이에 퇴비가 채워져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모듈박스체의 필요없이 상기 모듈박스의 외부면에 형성된 슬릿을 통하여 모듈박스의 내부로 자중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방향으로 안내이동되는 제2차단판(142b)으로만 이루어질 수 있다. Here, the
그리고 상기 제2차단판(142b)에는 상기 제1퇴비모듈(141)로부터 낙하공급되어 저장되는 퇴비에 포함된 수분을 하부로 배수할 수 있도록 관통형성되는 복수개의 배수공(142d)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배수공은 제1모듈박스체가 올려지는 제1차단판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The
상기 제3퇴비모듈(143)은 상기 모듈박스의 최하층에 구비되어 제1,2퇴비모듈을 거치면서 일정시간동안 발효되어 퇴비화된 퇴비를 저장하고 저장된 퇴비를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모듈박스의 일측면에 개구형성된 제2출입구(144b)를 통하여 모듈박스의 내부로 진입되거나 외부로 인출되고, 상부는 개방되고 바닥면은 밀폐되어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대략 육면체상의 제3모듈박스체(143a)를 포함할 수 있다. The
그리고 상기 제1,2 및 3퇴비모듈이 내부공간에 다층으로 적층배치되는 모듈박스의 상부면에는 상기 저수부(130)의 하부면에 함몰형성되는 결합공에 대응결합되도록 복수개의 결합핀(139)을 돌출형성함으로써 상기 재배부와 저수부는 퇴비제조부의 상부면으로부터 간편하게 분리이탈할 수 있고, 재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The upper surface of the module box in which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mpost modules are stacked in multiple layers in the inner spac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ngaging
또한, 상기 모듈박스(144)의 하부면에는 실내외에서의 위치이동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이동휠(149)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식물재배장치(100a)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마찬가지로 재배부(110), 통수판체(120) 및 퇴비제조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재배부(110)와 퇴비제조부(140)에는 제1실시예의 저수부(130)를 대체하는 퇴비부(130a)가 배치되는바, 상기 재배부, 통수판체 및 퇴비제조부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 5 to 7, the modular
상기 퇴비부(130a)는 상기 통수판체(120)에 의해서 개방된 상부가 덮어지고, 일정량의 퇴비가 채워져 저장되는 공간을 갖추어 상기 재배부에 식재되어 성장하게 되는 식물의 뿌리가 통수판체의 다공성 배수영역(124)을 통과하게 되면, 상기 다수공 배수영역을 통과한 식물의 뿌리를 통하여 퇴비 영양분을 공급하는 것이다. The
이러한 퇴비부(130a)는 상기 통수판체를 매개로 상기 재배부의 하부에 적층되는 외부 퇴비박스체(131)를 갖추고, 상기 외부 퇴비박스체의 일측면에 개구형성된 출입구(132)를 통하여 진출입되고, 상기 퇴비가 일정량 채워져 저장되는 내부 퇴비박스체(13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외부 퇴비박스체(131)는 상기 내부 퇴비박스체(133)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다공성 배수영역(133a)을 통하여 배수되는 수분을 수집할 수 있도록 일정각도 경사진 바닥경사면(131a)의 일측테두리에 함몰형성되는 집수로를 포함하고, 상기 집수로의 출구단은 연결호스(135)를 매개로 하여 물저장탱크(151)와 연결된다.The outer
상기 외부 퇴비박스체(131)는 상기 통수판체(120)에 형성된 결합공과 대응결합되는 결합핀(129)을 개방된 상부의 모서리마다 각각 구비하고, 경사진 바닥경사면(131a)을 갖는 육면체상의 박스구조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 퇴비박스체(133)는 개방된 상부와 밀폐된 바닥면에 다공성 배수영역을 형성하는 육면체상의 박스구주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outer
이때, 상기 다공성 배수영역(133a)을 형성하는 내부 퇴비박스체(133)의 바닥면은 수평한 바닥면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내부 퇴비박스체(133)의 경사진 바닥경사면과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이격되는 경사진 바닥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t this time, alth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이에 따라, 상기 재배부(110)로부터 자중방향으로 낙하되는 물은 상기 퇴비부의 내부 퇴비박스체에 채워진 퇴비에 낙하되어 스며들게 되고, 상기 퇴비에 스며드는 물은 상기 내부 퇴비박스체(133)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다공성 배수영역(133a)을 통하여 상기 외부 퇴비박스체(131)의 바닥 경사면(131a)으로 낙하된 다음 상기 바닥경사면의 일측단에 함몰형성되는 집수로(131b)에 모아져 연결호스(13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물저장탱크(151)에 모아져 저장될 수 있는 것이다. The water falling in the direction of the weight from the growing
이때, 상기 물저장탱크(151)에 모아지는 물은 미도시된 펌핑부재에 의해서 물보충라인을 통하여 상기 재배부에 순환공급되거나 상기 퇴비제조부에서의 퇴비제조시 필요로 하는 수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퇴비제조부에 수분으로 공급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water collected in the
또한, 상기 외부 퇴비박스체(131)의 출입구(132)를 통하여 서랍식으로 진출입되는 내부 퇴비박스체(133)는 상기 퇴비를 분할하여 저장하거나 서로 다른 성분을 갖는 퇴비를 분할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일정크기로 분할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할격벽(134)을 포함할 수 있다. The internal
이에 따라, 상기 외부 퇴비박스체(131)의 출입구로부터 외부인출되는 내부 퇴비박스체(133)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퇴비제조부에서 제조되는 퇴비를 채워 저장하게 되며, 상기 분할격벽에 의해서 분할되는 서로 다른 저장공간에는 서로 다른 성분을 갖는 퇴비를 각각 채워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internal compartment of the internal
한편, 상기 퇴비부(130a)는 상기 저수부와 마찬가지로 식물재배가 이루어지는 재배부(110)와 퇴비를 제조하는 퇴비제조부사이에 배치됨에 따라 상기 퇴비제조부에서의 퇴비제조시 발생하는 열이 재배부(110)에 직접적으로 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퇴비제조시 발생되는 열에 의해서 재배부의 배양토가 건조되어 수분조건을 열악하게 하여 식재된 식물을 고사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since the
그리고, 상기 퇴비부(130a)와 퇴비제조부(140)사이에는 퇴비제조시 발생하는 열이 퇴비부(130a)를 통하여 재배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정두께를 갖는 단열재(138)를 배치하여 구비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퇴비부와 퇴비제조부사이에 공기가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도록 스페이서에 의해서 일정크기의 간격을 형성하여 공간부를 구비할 수 있다. A
이러한 공간부는 퇴비부(130a)에서 퇴비화되는 대상물에 따라 퇴비화시 발생하는 발열에 의해서 재배부에서의 식물성장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거나 줄일 수 있도록 그 간격을 설정하거나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퇴비제조부에서 퇴비화되는 대상물이 음식물일 경우 대략 50cm, 목재톱밥의 경우 1m 의 간격을 두고 공간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pace can be set or adjusted so as to prevent or reduce adverse effects on the plant growth in the growing unit due to heat generated during composting according to the composted object in the
이때, 상기 공간부는 식물재배시 필요로 하는 다양한 도구를 보관하거나 아쿠아포닉의 설치시 필요로 하는 구성이 배치되어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pace par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by storing various tools needed for plant cultivation or arranging the necessary components for installing the aqua phonics.
또한, 상기 공간부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 미생물 및 양분을 선순환 공급하는 아쿠아포닉 농법을 구현할 수 있도록 물이 채워지고, 채워진 물에 어류가 서식하는 아쿠아포닉용 저수탱크(138a)로 대체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9, the space portion includes an aqua phoenic
상기 퇴비제조부(140)는 상기 통수판체(120)를 매개로 상기 재배부(110)와 퇴비부(130a)가 상하적층된 구조물이 올려지고,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대략 육면체상의 모듈박스(144)를 포함하고, 이러한 모듈박스(144)의 내부공간에는 제1실시예에 마찬가지로 복수개의 퇴비모듈(141,142,143)을 다층으로 적층하여 내장설치함에 따라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 The
상기한 구성을 갖는 모듈형 식물재배장치(100,100a)는 모듈박스(144) 내부에 다층으로 적층된 제1,2 및 3 퇴비모듈(141,142,143)에서 퇴비원료를 퇴비화하고, 퇴비화되는 퇴비원료를 자중방향으로 낙하이동시킨 다음 수거하여 재배부에 식재된 식물에 윗거름으로 공급되거나 상기 퇴비부(130a)에 아랫거름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The modular
먼저 도 8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모듈박스의 최하층에 구비되는 제3퇴비모듈(143)의 제3모듈박스체(143a)를 외부로 당기어 인출함으로써, 외부인출되는 제3모듈박스체의 내부에서 퇴비화된 퇴비는 상기 재배부의 윗거름 또는 상기 퇴비부의 아랫거름으로 공급하거나 별도의 퇴비저장탱크(153)에 저장하여 보관하도록 배출한다. First, as shown in FIG. 8A, the third
이어서, 도 8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퇴비가 배출된 제3모듈박스체(143a)를 제2출입구를 통하여 모듈박스의 내부로 재삽입함으로써 상기 제3모듈박스체는 상기 제2퇴비모듈(142)의 제2모듈박스체(142a) 직하부에 위치되어 배치된다. Then, as shown in FIG. 8B, the third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2퇴비모듈과 제3퇴비모듈사이에 개재되는 제2차단판(142b)을 외측으로 당기어 상기 제2모듈박스체(142a)의 하부를 개방하게 되면, 상기 제2모듈박스체의 내부에서 일정시간 동안 머물면서 퇴비화된 퇴비원료는 자중에 의해서 낙하되어 상기 제3모듈박스체의 내부 빈공간에 채워져 상기 제3모듈박스체의 외부배출시까지 일정시간동안 저장되면서 퇴비화되는 반면에, 상기 제2모듈박스체(142a)의 내부는 비워져 빈공간으로 전환된다. In this state, when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연속하여, 도 8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으로 당기어진 제2차단판(142b)은 상기 모듈박스(144)의 슬릿(145a)을 통하여 재진입되어 퇴비의 낙하배출을 위해서 개방되었던 제2모듈박스체(142a)의 하부를 차단한다. Subsequently, as shown in Fig. 8C, the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1퇴비모듈(141)과 제2퇴비모듈(142)사이에 개재되는 제1차단판(141b)을 외측으로 당기어 상기 제1퇴비모듈의 제1모듈박스체(141a)의 하부를 개방하게 되면, 상기 제1모듈박스체에서 일정시간 동안 퇴비화된 퇴비원료는 자중에 의해서 낙하되어 상기 제2모듈박스체(142a)의 빈공간에 채워져 상기 제2모듈박스체의 하부개방에 의한 낙하배출시까지 일정시간동안 저장되면서 퇴비화되는 반면에, 상기 제1모듈박스체의 내부는 비워져 빈공간으로 전환된다. In this state, a
이때, 상기 제1모듈박스체(141a)는 상기 제1차단판(141b)의 안내이동을 위해서 상기 모듈박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상부안내레일에 걸리어 자중방향으로의 낙하를 방지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first
최종적으로, 도 8d 와 도 8e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퇴비원료가 낙하배출되어 내부가 비워진 제1모듈박스체(141a)는 제1출입구(144a)를 통하여 상기 모듈박스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배출되어 퇴비낙하를 위해서 외측으로 당기어진 제1차단판(141b)의 상부면에 올려지게 된다. Finally, as shown in FIGS. 8D and 8E, the first
이러한 상태에서, 새로운 퇴비원료를 발효제 또는 미생물과 더불어 상기 제1모듈박스체(141a)의 내부공간에 일정량 채운 다음, 상기 제1모듈박스체(141a)는 제1차단판과 더불어 상기 모듈박스의 내부에 재삽입되어 제1,2 및 3퇴비모듈이 모듈박스의 내부에 다층으로 정렬배치된 상태에서 각 퇴비모듈의 내부에 채워진 퇴비원료를 퇴비화하여 퇴비를 제조하게 된다. In this state, a certain amount of fresh compost material is fi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이때, 상기 퇴비제조부에서의 퇴비제조시 발생하는 열은 상기 저수부 또는 퇴비부에 의해서 재배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상기 재배부에 식재된 식물이 열에 의해서 고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At this time, heat generated during composting in the composting unit is prevented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cultivation unit by the reservoir or the composting unit, thereby preventing plants planted in the cultivation unit from being damaged by heat.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10 : 재배부
112 : 재배박스체
114 : 토낭부
120 : 통수판체
121 : 결합공
122 : 외측프레임
123 : 연결대
124 : 다공성 배수영역
130a : 저수부
130 : 퇴비부
131 : 외부 퇴비박스체
132 : 출입구
133 : 내부 퇴비박스체
136 : 저수조
140 : 퇴비제조부
141 : 제1퇴비모듈
141a : 제1모듈박스체
141b : 제1차단판
142 : 제2퇴비모듈
142a : 제2모듈박스체
142b : 제2차단판
143 : 제3퇴비모듈
143a : 제3모듈박스체
144 : 모듈박스
144a,144b : 제1,2출입구
145a : 슬릿 110: Grower
112: cultivation box body
114:
120:
121: coupling ball
122: outer frame
123: Links
124: Porous drainage area
130a:
130: compost department
131: External compost box body
132: Entrance
133: Internal compost box body
136: Water tank
140: compost manufacturing section
141: First compost module
141a: first module box body
141b: first blocking plate
142: second compost module
142a: a second module box body
142b: second blocking plate
143: Third compost module
143a: third module box body
144: Module box
144a and 144b: first and second entrances
145a: slit
Claims (15)
상기 재배부의 개방된 하부를 차단하면서 상기 배양토에 공급되는 물이 자중방향으로 투과하여 배수되는 통수판체 ;
상기 통수판체에 의해서 개방된 상부가 덮어져 상기 통수판체를 통과하는 물이 수집되고, 상기 통수판체를 통과하는 식물의 뿌리에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저수부 ; 및
상기 통수판체를 매개로 재배부와 저수부가 상하적층된 구조물이 올려지는 모듈박스를 갖추고, 상기 모듈박스의 내부에 다층으로 내장설치되는 복수개의 퇴비모듈을 갖추어 상기 복수개의 퇴비모듈에서 퇴비화되는 퇴비원료를 순차적으로 자중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퇴비를 제조하는 퇴비제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수부는 상기 통수판체를 통하여 낙하되는 물이 수집되어 저장되고, 일정량의 물이 채워지는 저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저수조는 물보충라인 및 물배수라인을 매개로 물저장탱크와 연결되며,
상기 재배부와 퇴비제조부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저수부에 의해서 상기 퇴비제조부에서의 퇴비제조시 발생하는 열이 상기 재배부의 식물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식물재배장치.A growing part in which a certain amount of cultivated soil is filled so that roots of the plants can be planted and grow;
A water supply valve body, through which the water supplied to the culture soil is permeated and drained in its own weight direction while blocking the open lower portion of the reared portion;
A water storage portion in which an upper portion opened by the water supply valve body is collected to collect water passing through the water reception valve body and water supplied to a root of a plant passing through the water reception valve body is stored; And
And a plurality of compost modules installed inside the module box in a multi-layered manner, wherein the composting module comprises composting materials composted by the composting modules, And a compost manufacturing unit for producing compost while sequentially moving the compost in the self weight direction,
The water storage tank is connected to a water storage tank via a water replenishing line and a water drain line. The water storage tank is connected to the water storage tank through a water replenishing line and a water drain line.
And the heat generated during the composting in the composting unit is prevented from being directly transmitted to the plant in the growing unit by the reservoir unit disposed between the rearing unit and the composting unit. Device.
상기 재배부의 개방된 하부를 차단하면서 상기 배양토에 공급되는 물이 자중방향으로 투과하여 배수되는 통수판체 ;
상기 통수판체에 의해서 개방된 상부가 덮어지고, 상기 통수판체를 통하여 상기 배양토에서 재배되는 식물의 뿌리에 영양분을 공급하도록 일정량의 퇴비가 채워져 저장되는 퇴비부 ; 및
상기 통수판체를 매개로 재배부와 퇴비부가 상하적층된 구조물이 올려지는 모듈박스를 갖추고, 상기 모듈박스의 내부에 다층으로 내장설치되는 복수개의 퇴비모듈을 갖추어 상기 복수개의 퇴비모듈에서 퇴비화되는 퇴비원료를 순차적으로 자중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퇴비를 제조하는 퇴비제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퇴비부는 상기 통수판체를 매개로 상기 재배부의 하부에 적층되는 외부 퇴비박스체와, 상기 외부 퇴비박스체의 일측면에 개구형성된 출입구를 통하여 진출입되고, 퇴비가 일정량 채워져 저장되는 내부 퇴비박스체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퇴비박스체는 상기 내부 퇴비박스체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다공성 배수영역을 통하여 배수되는 수분을 수집할 수 있도록 일정각도 경사진 바닥경사면과, 상기 바닥경사면의 일측테두리에 함몰형성되어 연결호스를 매개로 하여 물저장탱크와 연결되는 집수로를 포함하고,
상기 재배부와 퇴비제조부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퇴비부에 의해서 상기 퇴비제조부에서의 퇴비제조시 발생하는 열이 상기 재배부의 식물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식물재배장치.A growing part in which a certain amount of cultivated soil is filled so that roots of the plants can be planted and grow;
A water supply valve body, through which the water supplied to the culture soil is permeated and drained in its own weight direction while blocking the open lower portion of the reared portion;
A compost portion in which a predetermined amount of compost is filled and stored so as to supply nutrients to the roots of the plant cultivated in the cultivated soil through the passage plate covered with the upper portion opened by the passage plate body; And
And a plurality of compost modules installed in the module box in a multi-layered manner, wherein the composting module comprises a composting unit for composting the composting material, And a compost manufacturing unit for producing compost while sequentially moving the compost in the self weight direction,
Wherein the composting unit comprises an external composting box body stack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rearing unit via the water delivery valve body and an internal composting box body which is introduced and received through an opening formed in one side of the external composting box body, ≪ / RTI &
Wherein the outer compost box body includes a bottom inclined surfac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as to collect moisture drained through a porous drainage region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ompost box body, And a water collecting duct connected to the water storage tank via the water collecting duct,
And a compost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growing unit and the composting unit to prevent heat generated during composting in the composting unit from being directly transferred to plants in the growing unit. Device.
상기 퇴비제조부는 일정량의 퇴비원료가 채워지는 공간을 갖추어 발효제에 의해서 상기 퇴비원료를 1차 발효시키는 제1퇴비모듈과, 상기 제1퇴비모듈에서 1차 발효된 퇴비원료를 자중방향으로 공급받아 채워지는 공간을 갖추어 퇴비원료를 2차 발효시키는 제2퇴비모듈 및 상기 제2퇴비모듈에서 2차 발효된 퇴비원료를 자중방향으로 공급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제3퇴비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식물재배장치.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omposting unit may include a first composting module that has a space filled with a predetermined amount of compost material and ferments the composting material by an ineffective agent, and a second composting module that supplies the composted material, which has been firstly fermented in the first composting module, And a third compost module for supplying the compost material secondary fermented in the second compost module to the outside in a self-weight direction and discharging the compost material to the outside. Typ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상기 제1퇴비모듈은 상기 모듈박스에 개구형성된 제1출입구를 통하여 진출입되는 제1모듈박스체와, 상기 제1모듈박스체의 개방된 하부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도록 상기 제1출입구를 통하여 모듈박스의 내부로 안내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차단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식물재배장치.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composting module includes a first module box body that is inserted into and exfoliated through a first door opening formed in the module box, and a second module box body that opens and closes the opened lower portion of the first module box body through the first doorway And a first blocking plate which is guided movably inside.
상기 제1차단판은 상기 모듈박스의 서로 마주하는 내부면에 돌출형성된 상부안내레일을 따라 안내되는 사각판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차단판의 외측단에는 모듈박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판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식물재배장치.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shield plate is made of a rectangular plate guided along upper guide rails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s of the module boxes. The first shield plate has a first plat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odule box, A modular plant cultiv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handle.
상기 제2퇴비모듈은 상,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모듈박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모듈박스체와, 상기 제2모듈박스체의 개방된 하부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도록 상기 모듈박스에 개구형성된 슬릿을 통하여 모듈박스의 내부로 안내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2차단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식물재배장치.The method of claim 3,
The second composting module includes a second module box body having upper and lower openings and disposed inside the module box, and a slit opening in the module box to block or open the open lower portion of the second module box body And a second blocking plate that is guided movably inside the module box through the first blocking plate.
상기 제2퇴비모듈은 상기 모듈박스의 내부공간을 차단하거나 개방하여 퇴비가 낙하되는 통로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도록 상기 모듈박스의 외부면에 개구형성된 슬릿을 통하여 모듈박스의 내부로 안내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2차단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식물재배장치.The method of claim 3,
The second compost module is assembled so as to be guided to the inside of the module box through a slit form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module box so as to cut off or open the passage where the compost is dropped by opening or closing the inner space of the module box And a second blocking plate. ≪ Desc / Clms Page number 13 >
상기 제2차단판은 상기 모듈박스의 서로 마주하는 내부면에 돌출형성된 하부안내레일을 따라 안내되는 사각판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차단판의 외측단에는 모듈박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2판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식물재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econd shield plate is made of a rectangular plate guided along a lower guide rail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s of the module boxes facing each other, A modular plant cultiv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handle.
상기 제3퇴비모듈은 상기 모듈박스의 일측면에 개구형성된 제2출입구를 통하여 모듈박스의 내부로 진출입되고, 상부는 개방되고 바닥면은 밀폐되는 제3모듈박스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식물재배장치.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third compost module includes a third module box body which is inserted into and out of the module box through a second door opening formed at one side of the module box, Typ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상기 통수판체는 상기 재배부의 하부에 돌출형성되거나 저수부 또는 퇴비부의 상부에 돌출형성되는 결합핀에 대응결합되는 결합공을 관통형성한 외측프레임과, 상기 외측프레임의 서로 마주하는 변사이를 연결하면서 다공성 배수영역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연결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식물재배장치.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water supply valve body comprises an outer frame protruding from a lower portion of the rearing portion or formed through a coupling hole corresponding to an engaging pin protruding from an upper portion of a bottom portion or a compost portion,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that form a drainage area.
상기 통수판체는 상기 재배부의 하부에 함몰형성되거나 저수부 또는 퇴비부 상부에 함몰형성되는 결합홈에 대응결합되는 결합턱을 상,하부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구비하거나 상,하부에 동시에 연장형성한 사각틀형상의 외측프레임과, 상기 외측프레임의 서로 마주하는 변사이를 연결하면서 다공성 배수영역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연결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식물재배장치.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water supply valve body is provided with a coupling jaw which is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rearing portion or is coupled to an engaging groove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r the upper portion of the composting portion, And a plurality of linking rods that form a porous drainage area while connecting the outer frames of the outer frame to each other.
상기 내부 퇴비박스체는 퇴비가 분할저장되는 분할공간을 형성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분할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식물재배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inner composting box body comprises at least one partition wall to form a divided space in which compost is divided and stor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2472A KR101941091B1 (en) | 2017-04-24 | 2017-04-24 | Module Type Plant Cultivat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2472A KR101941091B1 (en) | 2017-04-24 | 2017-04-24 | Module Type Plant Cultivating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19037A KR20180119037A (en) | 2018-11-01 |
KR101941091B1 true KR101941091B1 (en) | 2019-04-12 |
Family
ID=64398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52472A KR101941091B1 (en) | 2017-04-24 | 2017-04-24 | Module Type Plant Cultivat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41091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52975A (en) * | 2019-11-01 | 2021-05-11 | (주) 휴엔 |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ing the food wast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18569B1 (en) * | 2019-10-24 | 2021-10-29 | 추진호 | Modular mushroom cultivating apparatus |
WO2021077172A1 (en) * | 2019-10-25 | 2021-04-29 | Mohong Xu | A soil barrier biosphere composter |
CN112166865B (en) * | 2020-08-25 | 2022-02-15 | 南县伟业机械制造有限公司 | A multifunctional reed bamboo planting device |
CN113105075A (en) * | 2021-04-14 | 2021-07-13 | 吉林建筑大学 | A prefabricated movable solar bionic landscape devic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28561A (en) * | 1999-11-08 | 2001-05-15 | Osamu Iwashita | Collapsible planter system by using garbage |
KR200461259Y1 (en) * | 2009-11-26 | 2012-07-02 | 박희철 | A bud cultivating machine for a drawer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PL3169148T3 (en) * | 2014-07-15 | 2021-06-28 | Colin CUDMORE | Modular compositing garden container, system, and method of use |
KR101687878B1 (en) * | 2014-12-22 | 2017-01-03 | 이승민 | Device for Cultivating the Plant |
-
2017
- 2017-04-24 KR KR1020170052472A patent/KR10194109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28561A (en) * | 1999-11-08 | 2001-05-15 | Osamu Iwashita | Collapsible planter system by using garbage |
KR200461259Y1 (en) * | 2009-11-26 | 2012-07-02 | 박희철 | A bud cultivating machine for a drawer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52975A (en) * | 2019-11-01 | 2021-05-11 | (주) 휴엔 |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ing the food waste |
KR102347235B1 (en) * | 2019-11-01 | 2022-01-04 | (주)휴엔 |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ing the food wast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19037A (en) | 2018-11-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41091B1 (en) | Module Type Plant Cultivating Device | |
US4211545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high grade fertilizer | |
CN102823406A (en) | Year-round industrial rapid production method of organic little cabbage based on solar greenhouses | |
KR101818336B1 (en) | Batch type - hydroponic cultivation tub | |
KR20160136923A (en) | The Movable Hydroponics Systems for Growing Green Fodder and Plants | |
KR101429350B1 (en) | system for consecutively cultivating organic ginseng using multistage growth cabinet | |
KR101354706B1 (en) | A indoor vegetables growing device | |
Dhar | Mushroom farm design and technology of cultivation | |
CN207201753U (en) | Can free assembled fish and vegetable symbiotic implant system | |
KR102052395B1 (en) | Module Type Plant Cultivating Device | |
CN2301846Y (en) | Fully automatic timing water supply bud cultivation device | |
CN103931440B (en) | A kind of indoor carbonized cork vertical-type plant cultivation device | |
TWM656176U (en) | Single-site-multi-purpose green building system | |
CN209498158U (en) | The open fish and vegetable symbiotic system of Life cycle | |
DE102020134776B4 (en) | Modular hydroponic system for indoor use | |
JP2022006917A (en) | Plant cultivation method | |
CN109588344A (en) | A kind of balcony ecology poultry device | |
KR102134743B1 (en) | Apparatus cultivation for aquatic plant | |
CN218244695U (en) | Planting set for close planting | |
CN217770968U (en) | Planting set for thin planting | |
CN104521720B (en) | The organic hotbed chives planting unit of facility | |
CN109258336A (en) | A kind of plantation of organic vegetable and preservation method | |
CN118923517A (en) | Deep liquid hydroponic cultivation system and cultivation method for greenhouse leaf vegetables | |
TWI855930B (en) | A green building system with multiple uses | |
CN218244976U (en) | Planting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5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1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1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1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