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0409B1 - 합성 모액의 조성을 조절하여 알루미늄 함량이 제어된 제올라이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합성 모액의 조성을 조절하여 알루미늄 함량이 제어된 제올라이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0409B1
KR101940409B1 KR1020170102840A KR20170102840A KR101940409B1 KR 101940409 B1 KR101940409 B1 KR 101940409B1 KR 1020170102840 A KR1020170102840 A KR 1020170102840A KR 20170102840 A KR20170102840 A KR 20170102840A KR 101940409 B1 KR101940409 B1 KR 101940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
production example
mother liquor
zeolite
aluminum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2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준
이관영
박순희
박진희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02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0409B1/ko
Priority to PCT/KR2018/009315 priority patent/WO2019035628A1/ko
Priority to JP2020508387A priority patent/JP7020658B2/ja
Priority to EP18846389.7A priority patent/EP3670451A4/en
Priority to CN201880052483.6A priority patent/CN111032571B/zh
Priority to US16/639,553 priority patent/US1092701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9/00Compounds having molecular sieve and base-exchange properties, e.g. crystalline zeolites; Their preparation; After-treatment, e.g. ion-exchange or dealumination
    • C01B39/02Crystalline aluminosilicate zeolites; Isomorphous compounds thereof; Direct preparation thereof; Preparation thereof starting from a reaction mixture containing a crystalline zeolite of another type, or from preformed reactants; After-treatment thereof
    • C01B39/46Other types characterised by their X-ray diffraction pattern and their defined composition
    • C01B39/48Other types characterised by their X-ray diffraction pattern and their defined composition using at least one organic template direct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9/00Compounds having molecular sieve and base-exchange properties, e.g. crystalline zeolites; Their preparation; After-treatment, e.g. ion-exchange or dealumination
    • C01B39/02Crystalline aluminosilicate zeolites; Isomorphous compounds thereof; Direct preparation thereof; Preparation thereof starting from a reaction mixture containing a crystalline zeolite of another type, or from preformed reactants; After-treatment thereof
    • C01B39/04Crystalline aluminosilicate zeolites; Isomorphous compounds thereof; Direct preparation thereof; Preparation thereof starting from a reaction mixture containing a crystalline zeolite of another type, or from preformed reactant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at least one organic template directing agent, e.g. an ionic quaternary ammonium compound or an aminated comp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9/00Catalysts comprising molecular sieves
    • B01J29/04Catalysts comprising molecular sieves having base-exchange properties, e.g. crystalline zeolites
    • B01J29/06Crystalline aluminosilicate zeolites; Isomorphous compounds thereof
    • B01J29/70Crystalline aluminosilicate zeolites; Isomorphous compounds thereof of types characterised by their specific structure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J29/08 - B01J29/65
    • B01J29/7015CHA-type, e.g. Chabazite, LZ-21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8Heat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9/00Compounds having molecular sieve and base-exchange properties, e.g. crystalline zeolites; Their preparation; After-treatment, e.g. ion-exchange or dealumination
    • C01B39/02Crystalline aluminosilicate zeolites; Isomorphous compounds thereof; Direct preparation thereof; Preparation thereof starting from a reaction mixture containing a crystalline zeolite of another type, or from preformed reactants; After-treatment thereof
    • C01B39/026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7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 C01P2002/72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by d-values or two theta-values, e.g. as X-ray diagra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8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data other than those specified in group C01P2002/70
    • C01P2002/85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data other than those specified in group C01P2002/70 by XPS, EDX or EDAX data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8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data other than those specified in group C01P2002/70
    • C01P2002/86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data other than those specified in group C01P2002/70 by NMR- or ESR-data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01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 C01P2004/03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obtained by SE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ilicates, Zeolites, And Molecular Sieves (AREA)
  • Catalyst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제올라이트 합성 모액의 수산화나트륨 몰농도를 조절하여 합성된 CHA의 알루미늄 함량을 조절할 수 있는 알루미늄 함량이 제어된 제올라이트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제공되는 방법으로 제조된 알루미늄 함량이 낮은 CHA는 고온의 수열 처리 후에도 구조가 붕괴되지 않아 촉매로써 활성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조된 CHA는 구조 내 알루미늄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특성이 상이하게 달라지므로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합성 모액의 조성을 조절하여 알루미늄 함량이 제어된 제올라이트의 제조방법{Method for preparation of zeolite with controlled aluminum content by controlling composition of synthetic mixture}
본 발명은 제올라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 모액의 조성을 조절하여 알루미늄 함량이 제어된 제올라이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올라이트는 알루미노 실리케이트(aluminosilicate)의 삼차원적인 특이한 결정구조를 갖고 있으며, 표면적이 넓고 산성도를 폭넓게 조절할 수 있어 촉매, 흡착제, 분자체, 이온교환제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제올라이트는 골격에 존재하는 알루미늄 원자로 인해 전자 밀도가 낮은 산점이 생성되므로 알루미늄 함량에 따라 산세기와 산량이 달라져 다양한 산촉매 반응에 널리 응용되고 있다. 알루미늄 함량이 높은 제올라이트는 물이 있는 조건에서 고온에 노출되면 제올라이트 골격 내에서 정사면체 배위를 하고 있던 알루미늄 원자가 골격 밖으로 빠져나와 제올라이트 구조가 무너지므로 수열 안정성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제올라이트의 알루미늄 함량이 너무 적으면 산 촉매로서의 기능도 낮아지기 때문에,반응에 따라 적절한 알루미늄 함량을 갖는 제올라이트가 필요하다. 이처럼 알루미늄 함량을 나타내는 Si/Al 몰비는 촉매의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여서,합성 방법을 적절한 조절하여 이를 제어하려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자동차 배기가스의 질소산화물을 제거하기 위한 선택적 촉매 환원(Selective Catalytic Reduction,SCR)반응에 사용되는 구리 이온이 교환된 Cu/SSZ-13(CHA)은 넓은 온도 범위에서 높은 활성을 보이고,다른 제올라이트에 비해 수열 안정성도 우수하여 자동차 후처리 촉매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자동차 후처리 장치 특성상 SCR 촉매는 높은 수열 안정성이 필수이므로, 현재 상용화된 제올라이트 촉매로는 사용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제올라이트를 촉매로 사용할 때, 제올라이트의 활성 및 수열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알루미늄 함량이 제어된 제올라이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제올라이트 Y를 기준으로 구조유도물질과 수산화나트륨의 조성을 조절하여 합성 모액을 제조하는 제1단계; 및 상기 합성 모액을 수열반응하고 소성하여 수열 처리된 CHA을 제조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알루미늄 함량이 제어된 제올라이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올라이트 Y는 실리카와 알루미나 원료인 것인 알루미늄 함량이 제어된 제올라이트의 제조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조유도물질은 트리메틸아다멘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trimethyladamantyl ammonium hydroxide, AdaOH), 벤질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benzyl ammonium hydroxide), 벤질암모늄 클로라이드 (benzyl ammonium chloride) 또는 콜린 클로라이드(choline chloride) 인 것인 알루미늄 함량이 제어된 제올라이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합성 모액은 실리카(SiO2) 1 몰 농도를 기준으로 구조유도물질은 0.1 내지 0.4 몰농도로 첨가되는 것인 알루미늄 함량이 제어된 제올라이트의 제조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합성 모액은 실리카(SiO2) 1 몰 농도를 기준으로 수산화나트륨을 0.1 내지 0.7 몰농도로 첨가되는 것인 알루미늄 함량이 제어된 제올라이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수열반응은 120 내지 140 ℃에서 0 내지 60 rpm으로 회전시키며 2 내지 6일간 수행되어 CHA가 제조되는 것인 알루미늄 함량이 제어된 제올라이트의 제조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CHA 구조 내 알루미늄 함량을 조절하여 제올라이트를 촉매로 사용할 때, 제올라이트의 활성 및 수열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조된 CHA는 구조 내 알루미늄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특성이 상이하므로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함량이 제어된 제올라이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6에 따른 소성 전과 후의 XRD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6에 따른 질소 흡착등온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6에 따른 SEM 이미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조예 7 내지 제조예 11에 따른 정치된 상태로 수열반응 한 후의 XRD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조예 7 내지 제조예 11에 따른 SEM 이미지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6에 따른 알루미늄과 실리콘의 화학적 상태를 알아보기 위한 NMR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6에 따른 암모니아 승온탈착(TPD)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 모액의 Na/Si 몰비에 따라 변화하는 생성물의 Si/Al 몰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조예 1, 제조예 3 및 제조예 6에 따른 수열 안정성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조예 1, 제조예 3 및 제조예 6에 따른 촉매 성능 특성(NH3-SCR)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조예 1, 제조예 3 및 제조예 6에 따른 촉매 반응(MTO 반응)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기술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을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함량이 제어된 제올라이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알루미늄 함량이 제어된 제올라이트의 제조방법이 게시된다.
S100은 제올라이트 Y를 기준으로 구조유도물질과 수산화나트륨의 조성을 조절하여 합성 모액을 제조하는 제1단계이다. 제올라이트 Y는 실리카와 알루미나 원료일 수 있다. 실리카의 공급원의 일 예로써, 제올라이트, 실리케이트, 실리카 하이드로겔, 규산, 콜로이달 실리카, 건식(fumed) 실리카, 테트라알킬 오르토실리케이트, 실리카 하이드록사이드 및 침전 실리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알루미나 공급원의 일 예로써, 알루민산 나트륨(NaAlO2), AlCl3, Al2(SO4)3,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Al(OH)3), 카올린, 클레이 및 제올라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구조유도물질은 트리메틸아다멘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trimethyladamantyl ammonium hydroxide, AdaOH), 벤질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benzyl ammonium hydroxide), 벤질암모늄 클로라이드 (benzyl ammonium chloride) 또는 콜린 클로라이드(choline chloride) 일 수 있으며, 이외에도 일반적으로 CHA의 제조에 사용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합성 모액은 수산화나트륨과 구조유도물질의 몰농도를 조절한 수화젤 상태의 합성 모액일 수 있다. 합성 모액은 일 예로써, 실리카(SiO2) 1 몰 농도를 기준으로 수산화나트륨을 0.1 내지 0.7 몰농도로 첨가할 수 있으며, 이때, 구조유도물질은 0.1 내지 0.4 몰농도로 첨가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첨가되는 수산화나트륨의 함량에 따라 제조되는 CHA의 구조 내 알루미늄 함량이 달라질 수 있다.
S200은 상기 합성 모액을 수열반응하고 소성하여 수열 처리된 CHA를 제조하는 제2단계이다. 상기 합성 모액은 고압솥(autoclave)에 넣어 120 내지 140 ℃에서 0 내지 60 rpm으로 회전시키며 2 내지 6일간 수열반응하고 그 후, 원심분리를 통해 분리, 세척한 후 550 ℃에서 12시간 소성하여 CHA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험예(example)를 제시한다. 다만, 하기의 실험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의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표 1은 CHA 합성 모액을 제조하는 실험예의 조건을 정리한 것이다.

합성 모액 조성
(SiO2:NaOH:AdaOH:H2O) 몰비
합성 조건
온도(℃) 시간(d) 회전속도(rpm)
제조예 1 1.0 : 0.2 : 0.15 : 22



140








4







40


제조예 2 1.0 : 0.3 : 0.15 : 22
제조예 3 1.0 : 0.4 : 0.15 : 22
제조예 4 1.0 : 0.45 : 0.15 : 22
제조예 5 1.0 : 0.5 : 0.15 : 22
제조예 6 1.0 : 0.6 : 0.15 : 22
제조예 7 1.0 : 0.2 : 0.14 : 22

0
제조예 8 1.0 : 0.3 : 0.14 : 22
제조예 9 1.0 : 0.4 : 0.14 : 22
제조예 10 1.0 : 0.45 : 0.14 : 22
제조예 11 1.0 : 0.5 : 0.14 : 22
< 제조예 1 >
조성이 1.0 SiO2 : 0.2 NaOH : 0.15 AdaOH : 22 H2O 몰농도인 합성 모액을 140 에서 40 rpm으로 회전시키며 4일간 수열반응하고, 그 후 원심분리를 통해 분리, 세척한 후 550℃ 에서 12시간 소성하여 CHA를 제조했다.
< 제조예 2 >
NaOH를 0.3 몰농도로 첨가하여 합성 모액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CHA를 합성했다.
< 제조예 3 >
NaOH를 0.4 몰농도로 첨가하여 합성 모액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CHA를 합성했다.
< 제조예 4 >
NaOH를 0.45 몰농도로 첨가하여 합성 모액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CHA를 합성했다.
< 제조예 5 >
NaOH를 0.5 몰농도로 첨가하여 합성 모액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CHA를 합성했다.
< 제조예 6 >
NaOH를 0.6 몰농도로 첨가하여 합성 모액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CHA를 합성했다.
< 제조예 7 >
조성이 1.0 SiO2 : 0.2 NaOH : 0.14 AdaOH : 22 H2O 몰농도인 합성 모액을 140 에서 회전 없이 정치된 상태로 4일간 수열반응하고, 그 후 원심분리를 통해 분리, 세척한 후 550℃ 에서 12시간 소성하여 CHA를 제조했다.
< 제조예 8 >
NaOH를 0.3 몰농도로 첨가하여 합성 모액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7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CHA를 합성했다.
< 제조예 9 >
NaOH를 0.4 몰농도로 첨가하여 합성 모액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7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CHA를 합성했다.
< 제조예 10 >
NaOH를 0.45 몰농도로 첨가하여 합성 모액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7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CHA를 합성했다.
< 제조예 11 >
NaOH를 0.5 몰농도로 첨가하여 합성 모액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7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CHA를 합성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6에 따른 소성 전과 후의 XRD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합성 모액의 수산화나트륨 몰농도와 상관없이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6 모두 결정성이 우수한 CHA가 제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소성 후에도 CHA의 결정성이 잘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6에 따른 질소 흡착등온선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하기 표2와 같이 미세세공이 발달하여 표면적이 넓고 세공 부피가 큰 CHA가 제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BET 표면적
(m2 g-1)
세공 부피a
(cm3 g-1)
제조예 1 857 0.33
제조예 2 834 0.31
제조예 3 813 0.32
제조예 4 793 0.32
제조예 5 781 0.31
제조예 6 682 0.27
a P/P 0 값이 0.99일 때 계산한 총 세공부피
표 2를 참조하면, 첨가되는 수산화나트륨의 몰농도 즉, 함량이 커질수록 표면적은 작아지지만 세공 부피는 큰 차이가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단, 수산화나트륨 몰농도가 0.6으로 높은 합성 모액에서 제조된 CHA는 다른 제조예에 비해 표면적과 세공 부피가 매우 작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6에 따른 SEM 이미지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6 모두 균일한 크기의 입자가 생성되며, 합성 모액의 수산화나트륨 농도에 따라 입자크기가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합성 모액의 수산화나트륨 농도를 조절하면 입자 크기를 0.1 내지 5.0 μm까지 폭넓게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조예 7 내지 제조예 11에 따른 정치된 상태로 수열반응 한 후의 XRD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조예 7 내지 제조예 11은 정치된 상태로 수열반응을 하여도 CHA가 잘 합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조예 7 내지 제조예 11에 따른 SEM 이미지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조예 7 내지 제조예 11은 정치된 상태로 수열반응을 하여도 균일한 크기의 입자가 생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정치된 상태로 수열반응한 경우에도 회전하면서 합성한 경우와 비슷하게 입자 크기를 0.1 내지 5.0 μm로 조절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6에 따른 알루미늄과 실리콘의 화학적 상태를 알아보기 위한 NMR 그래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6으로 제조된 CHA의 알루미늄과 실리콘 원자는 모두 제올라이트 골격 내에서 정사면체 배위를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하기 표 3은 도 7에 의해 산출된 값을 정리한 것이다.

합성 모액의
Na/Si 몰비
생성물의
Na/Al 몰비a
생성물의 Si/Al 몰비
EDXa NMRb
제조예 1 0.20 0.40 14.2 12.5
제조예 2 0.30 0.33 12.8 11.4
제조예 3 0.40 0.48 9.9 9.2
제조예 4 0.45 0.53 8.9 9.3
제조예 5 0.50 0.68 5.9 6.7
제조예 6 0.60 0.67 4.5 4.4
제조예 7 0.20 0.36 11.7 -
제조예 8 0.30 0.45 11.0 -
제조예 9 0.40 0.48 10.1 -
제조예 10 0.50 0.74 5.6 -
제조예 11 0.60 0.86 3.7 -
a EDX 결과로부터 계산된 값
b 29Si MAS NMR 스펙트럼으로부터 계산된 값
표 3을 참조하면, EDX와 29Si MAS NMR 스펙트럼에서 구한 Si/Al 몰비는 합성 모액의 수산화나트륨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작아진다. 이는 제올라이트 골격 내의 알루미늄 함량이 많아졌음을 의미하며, 합성 모액의 수산화나트륨 농도를 조절하면 Si/Al 몰비를 4 내지 14까지 폭넓게 조절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6에 따른 암모니아 승온탈착(TPD) 그래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합성 모액의 수산화나트륨 함량이 달라짐에 따라 제조된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6의 CHA의 알루미늄 함량이 달라지고 이에 따라 강산점과 약산점의 세기와 양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기 표 4는 도 8에 의해 산출된 값을 정리한 것이다.
약산점 양
(mmol/g)
강산점 양
(mmol/g)
산점 총량
(mmol/g)
제조예 1 0.521 0.443 0.964
제조예 2 0.585 0.441 1.026
제조예 3 0.698 0.440 1.138
제조예 4 0.776 0.463 1.239
제조예 5 1.050 0.678 1.728
제조예 6 0.982 0.513 1.495
표 4를 참조하면, 약산점 양은 도 8의 TPD 결과에서 300 ℃ 이하의 피크 면적으로부터 산출된 값이며, 강산점 양은 도 8의 TPD 결과에서 300 ℃ 이상의 피크 면적으로부터 산출된 값이고, 산점 총량은 약산점 양과 강산점 양을 합한 값이다. 합성 모액의 수산화나트륨 농도가 높을수록 합성되는 CHA의 알루미늄 함량이 높아져 산점의 총량이 많아짐을 알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 모액의 Na/Si 몰비에 따라 변화하는 생성물의 Si/Al 몰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a)는 EDX 결과를 토대로 합성 모액의 Na/Si 몰비와 생성물의 Si/Al 몰비 사이의 상관관계를 모사한 것이고, (b)는 NMR 결과를 토대로 합성 모액의 Na/Si 몰비와 생성물의 Si/Al 몰비 사이의 상관관계를 모사한 것이다. 합성 모액의 Na/Si 몰비에 따라 합성되는 CHA의 Si/Al 몰비 사이의 상관 관계는 이차 함수로 잘 모사할 수 있다. 따라서, 목표로 하는 CHA의 알루미늄 함량을 합성 모액의 수산화나트륨 농도를 조절하여 쉽고 재현성 있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조예 1, 제조예 3 및 제조예 6에 따른 수열 안정성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첨가되는 수산화나트륨 함량이 많은 경우(제조예 6), 알루미늄 함량이 높은 CHA가 합성되고, 이 경우 800 ℃ 수열 처리에도 결정구조가 무너지고 표면적이 급격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비해 알루미늄 함량이 낮은 제조예 1은 800 ℃ 수열 처리에도 질소 흡착량이 거의 줄어들지 않아 수열 안정성이 상당히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조예 1, 제조예 3 및 제조예 6에 따른 촉매 성능 특성(NH3-SCR)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수열 처리 전 NH3-SCR의 고온 활성은 알루미늄 함량이 높은 CHA(제조예 6)가 가장 우수하지만, 400 ℃ 이하에서는 다른 촉매에 비해 활성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수열 처리 후에는 알루미늄 함량이 많아질수록 고온 활성이 떨어졌는데, 특히 알루미늄 함량이 가장 높은 CHA(제조예 6)는 전체 온도 영역에서 활성을 거의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알루미늄 함량이 많으면 CHA의 수열 안정성이 매우 취약해지므로, 합성 모액의 수산화나트륨 함량을 조절하여 알루미늄 함량이 높은 CHA를 합성하면 수열 안정성이 크게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조예 1, 제조예 3 및 제조예 6에 따른 촉매 반응(MTO 반응)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알루미늄 함량이 적절한 제조예 1 및 제조예 3에서는 메탄올 전환 반응 결과 에틸렌과 프로필렌에 대한 선택성이 높고 촉매의 활성 저하도 느리게 나타나지만. 알루미늄 함량이 높은 제조예 6에서는 세공 내 탄소 침적으로 인해 활성 저하가 급격하게 진행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올라이트 합성 모액 제조 시에 수산화나트륨의 몰농도를 적절히 조절하면 합성되는 CHA의 알루미늄 함량이 제어되어, 제올라이트를 촉매로 사용할 때 활성 및 수열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조된 CHA는 구조 내 알루미늄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특성이 상이하게 달라지므로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6)

  1. 실리카와 알루미나 원료인 제올라이트 Y, 구조유도물질로서 트리메틸아다멘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수산화나트륨, 및 물을 포함하는 합성 모액을 제조하는 제1단계; 및
    상기 합성 모액을 수열반응하고 소성하여 수열 처리된 CHA를 제조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CHA 제올라이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합성 모액에서 수산화나트륨/실리카의 몰비를 조절하여 생성된 CHA 제올라이트의 Si/Al 몰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HA 제올라이트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모액에서 실리카(SiO2) 1 몰 농도를 기준으로 구조유도물질은 0.1 내지 0.4 몰농도로 첨가되는 것인 CHA 제올라이트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모액에서 실리카(SiO2) 1 몰 농도를 기준으로 수산화나트륨을 0.2 내지 0.6 몰농도로 첨가하여 생성된 CHA 제올라이트의 Si/Al 몰비를 4.5 내지 14.2로 제어하는 것인 CHA 제올라이트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열반응은 120 내지 140 ℃에서 정치된 상태이거나 60 rpm 이하로 회전시키며 2 내지 6일간 수행되어 CHA가 제조되는 것인 CHA 제올라이트의 제조방법.
KR1020170102840A 2017-08-14 2017-08-14 합성 모액의 조성을 조절하여 알루미늄 함량이 제어된 제올라이트의 제조방법 KR101940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840A KR101940409B1 (ko) 2017-08-14 2017-08-14 합성 모액의 조성을 조절하여 알루미늄 함량이 제어된 제올라이트의 제조방법
PCT/KR2018/009315 WO2019035628A1 (ko) 2017-08-14 2018-08-14 합성 모액의 조성을 조절하여 알루미늄 함량이 제어된 제올라이트의 제조방법
JP2020508387A JP7020658B2 (ja) 2017-08-14 2018-08-14 合成母液の組成を調節してアルミニウム含有量が制御されたゼオライトの製造方法
EP18846389.7A EP3670451A4 (en) 2017-08-14 2018-08-14 METHOD OF MANUFACTURING ZEOLITE WITH CONTROLLED ALUMINUM CONTENT BY ADJUSTING THE COMPOSITION OF THE SYNTHESIS NUT
CN201880052483.6A CN111032571B (zh) 2017-08-14 2018-08-14 通过调节合成混合物的组成来制造具有可控铝含量的沸石的方法
US16/639,553 US10927011B2 (en) 2017-08-14 2018-08-14 Method for producing zeolite having controlled aluminum content by adjusting composition of synthesis mix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840A KR101940409B1 (ko) 2017-08-14 2017-08-14 합성 모액의 조성을 조절하여 알루미늄 함량이 제어된 제올라이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0409B1 true KR101940409B1 (ko) 2019-01-21

Family

ID=65277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2840A KR101940409B1 (ko) 2017-08-14 2017-08-14 합성 모액의 조성을 조절하여 알루미늄 함량이 제어된 제올라이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27011B2 (ko)
EP (1) EP3670451A4 (ko)
JP (1) JP7020658B2 (ko)
KR (1) KR101940409B1 (ko)
CN (1) CN111032571B (ko)
WO (1) WO201903562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2462A (ko) * 2021-01-13 2022-07-2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유기산을 이용한 고결정성 cha 제올라이트 합성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88879A1 (en) * 2020-08-03 2023-06-07 Chevron U.S.A. Inc. Low pressure synthesis of zeolite ssz-13
CN112520753B (zh) * 2020-10-19 2022-09-23 郑州大学 一种提高钛硅分子筛ts-1机械强度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4538A (en) * 1982-07-09 1985-10-01 Chevron Research Company Zeolite SSZ-13 and its method of preparation
US5225179A (en) * 1992-08-27 1993-07-06 Chevron Research And Technology Company Method of making molecular sieves
US8007764B2 (en) * 2006-12-27 2011-08-30 Chevron U.S.A. Inc. Preparation of molecular sieve SSZ-13
US7597874B1 (en) * 2008-06-23 2009-10-06 Chevron U.S.A. Inc. Preparation of zeolites using novel structure directing agents
KR101769564B1 (ko) * 2009-11-24 2017-08-21 바스프 에스이 Cha 구조를 갖는 제올라이트의 제조 방법
US9296620B2 (en) * 2013-08-09 2016-03-29 Chevron U.S.A. Inc. Preparation of high-silica cha-type molecular sieves using a mixed template
JP6442329B2 (ja) 2015-03-12 2018-12-19 国立大学法人横浜国立大学 高Si/Al比のCHA型ゼオライトの製法
CN106185971B (zh) * 2015-05-27 2018-03-09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一种sapo‑34分子筛的制备方法
JP6911354B2 (ja) 2016-01-12 2021-07-28 東ソー株式会社 Cha型ゼオライトの製造方法
CN106145137B (zh) * 2016-06-27 2018-06-05 杨晓波 一种直接水热合成中硅铝比菱沸石的方法
CN106185983A (zh) * 2016-07-29 2016-12-07 中国科学院上海高等研究院 无溶剂制备sapo‑18或sapo‑34分子筛的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em. Commun. 2015, 51, 9965~9968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2462A (ko) * 2021-01-13 2022-07-2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유기산을 이용한 고결정성 cha 제올라이트 합성방법
KR102474955B1 (ko) 2021-01-13 2022-12-05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유기산을 이용한 고결정성 cha 제올라이트 합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70451A1 (en) 2020-06-24
CN111032571A (zh) 2020-04-17
JP7020658B2 (ja) 2022-02-16
US10927011B2 (en) 2021-02-23
CN111032571B (zh) 2023-06-30
JP2020535095A (ja) 2020-12-03
US20200223707A1 (en) 2020-07-16
EP3670451A4 (en) 2021-03-03
WO2019035628A1 (ko) 2019-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90985B1 (en) Method of preparing zsm-5 zeolite using nanocrystalline zsm-5 seeds
JP6903674B2 (ja) カチオン性ポリマー及び多孔質材料
ES2750826T3 (es) Procedimiento para preparar un tamiz molecular
US5800800A (en) Crystalline inorganic oxide compositions prepared by neutral templating route
US5785946A (en) Crystalline inorganic oxide compositions prepared by neutral templating route
EP1394113B1 (en) Crystalline inorganic porous material
KR101940409B1 (ko) 합성 모액의 조성을 조절하여 알루미늄 함량이 제어된 제올라이트의 제조방법
KR20150005538A (ko) 베타형 제올라이트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940410B1 (ko) 수열 안정성이 향상된 전이금속이 이온 교환된 제올라이트의 제조방법
CN114014334A (zh) 一种中硅铝比zsm-5杂合纳米片分子筛及其制备方法
WO2019002045A1 (en) ZEOLITE ZSM-5 HIERARCHICAL WITH OPEN PORES STRUCTURE
CN112694100B (zh) Fe-ZSM-5分子筛、制备方法及其应用
KR101938278B1 (ko) 메조기공 및 미세기공을 갖는 금속 흡착용 제올라이트의 제조방법
KR101902694B1 (ko) 전이금속이 이온 교환된 제올라이트의 제조 방법
KR101247053B1 (ko) Ssz-74 제올라이트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ssz-74 제올라이트
US20150352537A1 (en) Crystalline porous silicoaluminophosphates and metal-substituted silicoaluminophosphates with a hierarchical pore structure comprising micropores and mesopores, methods for making the same, and methods for converting oxygenates to olefins via reactions catalyzed by the same
CN115010146B (zh) 一种多级孔zsm-5纳米团聚体分子筛及其制备方法
KR101262549B1 (ko) 중형기공성 zsm-5 촉매 제조방법 및 그 촉매를 이용한 경질 올레핀 제조방법
WO2019121939A1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hollow zsm-5 and ts-1 zeolites
CN114433200A (zh) Scr催化剂及其制备方法
Hamidzadeh et al. MOR/DEA/TEA mixed-template synthesis of CHA-type SAPO with different silica and alumina sources
CN112020478A (zh) 菱沸石(cha)的无sda合成及其用途
WO2019215751A1 (en) Ordered and hierarchically porous zeolite crystal and a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KR101554265B1 (ko) 비결정질 실리카알루미나-제올라이트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Selvam et al. Hydrothermal transformation of porous glass beads into porous glass beads containing zeolite beta (BE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