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0302B1 - 냉온수기용 물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냉온수기용 물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0302B1
KR101940302B1 KR1020180067018A KR20180067018A KR101940302B1 KR 101940302 B1 KR101940302 B1 KR 101940302B1 KR 1020180067018 A KR1020180067018 A KR 1020180067018A KR 20180067018 A KR20180067018 A KR 20180067018A KR 101940302 B1 KR101940302 B1 KR 101940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pout
space
pin
fix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7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명준
Original Assignee
장명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명준 filed Critical 장명준
Priority to KR1020180067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03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67D2001/0822Pressurised rigid containers, e.g. kegs, figals
    • B67D2001/0824Pressurised rigid containers, e.g. kegs, figals with dip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67D2001/0827Bags in box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수가 담긴 비닐팩을 냉온수기에 쉽게 설치할 수 있고 비닐팩에 담기 생수를 바닥까지 온전히 냉온수기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냉온수기용 물 공급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냉온수기용 물 공급장치{WATER SUPPLY DEVICE FOR COLD AND HOT WATER DISPENSER}
본 발명은 냉온수기용 물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수가 담긴 비닐팩을 냉온수기에 쉽게 설치할 수 있고 비닐팩에 담기 생수를 바닥까지 온전히 냉온수기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냉온수기용 물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온수기는 가정이나 사무실 및 여러 영업장소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생수를 냉수나 온수로 변환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물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냉온수기의 기본적인 구조를 설명하면, 냉온수기 본체의 상면에는 생수통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안착부가 구비되고, 안착부에 놓인 생수통에서 배출되는 생수를 냉온수기 본체의 내부로 안내하는 물 공급수단이 구비된다. 그리고 냉온수기 본체의 내부에는 안내되는 생수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장치와 생수를 가열하기 위한 전기 히터가 포함된 가열장치가 마련되고, 냉각장치 및 가열장치에 의해서 냉각되거나 가열된 생수를 따로 저장되도록 하기 위한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가 마련된다. 그리고 냉온수기 본체의 외면에는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와 각각 연결되는 냉수콕 및 온수콕이 설치되어 사용자가 적당량의 냉수 또는 온수를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냉온수기에 사용되는 생수통은 수거하여 세척한 후 재사용하기 때문에 세균 번식의 오염 문제 및 파손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39251호, 제10-1443559호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생수통 대신 비닐 소재로 제작된 일회용 비닐백(Bag)에 생수를 담아 택배로 배달한 후 소비자가 직접 냉온수기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방식의 냉온수기가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이 비닐팩을 이용한 냉온수기의 경우에는 비닐팩이 움직임이 자유로운 재질이기 때문에 소비자가 직접 생수가 담긴 비닐팩을 냉온수기에 설치하는 작업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비닐팩이 냉온수기에 설치된 공급핀에 뚫리도록 박혀 생수가 공급핀의 단부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공급핀 내부로 안내되어 공급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공급핀에 형성된 구멍 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생수는 배출되지 않고 버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39251호(등록일: 2013년02월26일), 발명의 명칭: "백인박스를 적용한 냉온수기"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43559호(등록일: 2014년09월16일), 발명의 명칭: "냉온수기용 생수포장 백 받침구조"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15419호(등록일: 2012년12월18일), 발명의 명칭: "냉온수기용 비닐백 연결 장치" 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42133호(등록일: 2017년05월25일), 발명의 명칭: "냉온수기의 비닐백 천공 유닛"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본 발명을 적용하면 생수가 담긴 비닐팩을 냉온수기에 누구나 쉽게 설치할 수 있고, 비닐팩에 담기 생수를 바닥까지 온전히 냉온수기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냉온수기용 물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은, 냉온수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고, 일부분에는 스파우트삽입공간이 함몰되게 형성되며, 스파우트삽입공간의 하부 중앙에는 고정핀결합공간이 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워터가이드; 상기 워터가이드의 하부에 연결되어 고정핀결합공간과 연통되며, 냉수탱크 또는 온수탱크와 연결되는 생수공급관; 상기 고정핀결합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부는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스파우트삽입공간 내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스파우트삽입공간 내로 유입된 생수가 고정핀결합공간을 통해 생수공급관으로 안내될 수 있게 생수배출통로가 형성된 고정핀; 상기 워터가이드의 상면에 안착되게 설치되고, 내부에는 생수가 저장될 수 있게 밀봉되며, 하면 일부분에는 스파우트결합부재가 돌출되게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스파우트결합부재의 중앙에는 내부에 저장된 생수가 배출될 수 있게 토출구가 관통 형성된 비닐팩; 상부에는 상기 스파우트결합부재에 결합되게 비닐팩결합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스파우트삽입공간에 삽입되게 워터가이드결합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부로 관통되는 연통공간이 형성되고, 연통공간의 하부에는 이동핀결합공간이 연통되어 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연통공간의 중간 일부분에는 생수가 이동핀결합공간으로 안내되지 않게 차단하는 차단막이 형성된 스파우트; 및 상기 이동핀결합공간에 끼워져 고정되게 결합되고, 상단은 차단막을 뚫을 수 있게 뽀족하게 형성되어 차단막 하부에 위치하게 설치되며, 하부에서 상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핀;을 포함하여, 상기 스파우트의 워터가이드결합부를 워터가이드의 스파우트삽입공간에 삽입하면 고정핀이 이동핀을 상방향으로 밀게 되고, 이동핀이 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차단막을 찢게 되며, 비닐팩에 저장된 생수가 토출구를 통해 찢어진 차단막을 통과하여 연통공간을 거쳐 이동핀결합공간을 통해 고정핀의 생수배출통로를 통과해 생수공급관으로 공급되게 구성되며, 상기 스파우트의 상면에는 부상방지판이 연통공간을 막도록 설치되어 사용자가 비닐팩을 손가락으로 누렀을때 차단막을 파손시키거나 이동핀에 손가락이 찔리지 않도록 구성되고, 상기 부상방지판에는 생수가 통과할 수 있게 다수의 연통공이 관통 형성되게 구성되며, 상기 이동핀이 고정핀에 밀려 상방향으로 이동했을 때 이동핀의 상단이 부상방지판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용 물 공급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삭제
그리고 상기 워터가이드는 상면이 가장자리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하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비닐팩을 올려 놓았을 때 옆으로 떨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핀은 상하로 길이가 긴 십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는 빈 형태로 하방향으로 개방되며, 외주면을 따라 중간중간에는 내부로 연통되는 생수배출통로가 형성되어, 유입되는 생수가 생수배출통로를 통해 내부로 안내되어 하방향으로 배출되게 구성되며, 상기 고정핀의 하단은 일부분을 절곡하여 외면에 걸림홈이 형성되게 구성하고, 상기 고정핀결합공간의 하단에는 고정핀의 걸림홈과 대응되는 걸림돌기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고정핀의 걸림홈이 걸림돌기에 걸리게 결합되어 고정핀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용 물 공급장치를 적용하면, 생수가 담긴 비닐팩을 냉온수기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닐팩에 담기 생수를 바닥까지 온전히 냉온수기로 공급할 수 있어 버려지는 생수가 없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용 물 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용 물 공급장치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물흐름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 3의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고정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고정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용 물 공급장치는 워터가이드(100), 고정핀(200), 비닐팩(300), 스파우트(400), 이동핀(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워터가이드(100)는 냉온수기 본체(10)의 상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것으로, 일부분에는 스파우트삽입공간(110)이 함몰되게 형성되며, 스파우트삽입공간(110)의 하부 중앙에는 고정핀결합공간(120)이 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스파우트삽입공간(110)과 고정핀결합공간(120)은 단차지게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스파우트삽입공간(110)은 워터가이드(100)의 중앙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일측에 형성되게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워터가이드(100)는 상면이 가장자리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하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후술하는 비닐팩(300)을 올려 놓았을 때 옆으로 떨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파우트삽입공간(110)의 상부는 외측으로 벌어지는 공간을 단차지게 형성하여 스파우트결합부재(310)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워터가이드(100)의 하부에는 생수공급관(130)이 고정핀결합공간(120)과 연통되게 연결된다. 그리고 생수공급관(130)은 미도시된 냉수탱크 또는 온수탱크와 연결되어 워터가이드(100)를 통해 유입되는 생수를 냉수탱크 또는 온수탱크로 안내하게 구성된다. 물론, 생수공급관(130)은 워터가이드(100)의 하부에 별도로 연결되게 설치할 수도 있고, 워터가이드(100)와 일체로 형성되게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고정핀(200)은 워터가이드(100)의 고정핀결합공간(120)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고, 상부는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스파우트삽입공간(110) 내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스파우트삽입공간(110)으로 후술하는 스파우트(400)를 삽입하면 고정핀(200)이 이동핀(500)을 상방향으로 밀게 된다. 그리고 고정핀(200)에는 스파우트삽입공간(110) 내로 유입된 생수가 고정핀결합공간(120)을 통해 생수공급관(130)으로 안내될 수 있게 생수배출통로(21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생수배출통로(210)는 스파우트삽입공간(110) 내로 유입된 생수가 고정핀결합공간(120)을 통해 생수공급관(130)으로 안내될 수 있다면 어느 형태이든 상관없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핀(200)은 상하로 길이가 긴 십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는 빈 형태로 하방향으로 개방되며, 외주면을 따라 중간중간에는 내부로 연통되는 생수배출통로(210)가 형성되어, 유입되는 생수가 생수배출통로(210)를 통해 내부로 안내되어 하방향으로 배출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핀(200)은 내부는 빈 중공 형태로 하방향으로 개방되고 외주면에는 생수배출통로(210)와 대응되는 다수의 생수배출공(212)이 형성되어 유입되는 생수가 생수배출공(212)을 통해 내부로 안내되어 하방향으로 배출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고정핀(200)은 도 5와 같은 십자 형상이 아니라 일자 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고정핀(200)을 고정핀결합공간(120)에 고정시키는 방식도 다양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예들 들면, 고정핀(200)의 하단은 일부분을 절곡하여 외면에 걸림홈(220)이 형성되게 구성하고, 고정핀결합공간(120)의 하단에는 고정핀(200)의 걸림홈(220)과 대응되는 걸림돌기(122)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고정핀(200)의 걸림홈(220)이 걸림돌기(122)에 걸리게 결합되어 고정핀(200)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비닐팩(300)은 워터가이드(100)의 상면에 안착되게 설치되고, 내부에는 생수가 저장될 수 있게 밀봉되며, 하면 일부분에는 스파우트(400)가 결합될 수 있게 스파우트결합부재(310)가 돌출되게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스파우트결합부재(310)의 중앙에는 내부에 저장된 생수가 배출될 수 있게 토출구(320)가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스파우트결합부재(310)를 비닐팩(300)에 결합하는 방식은 공지의 기술을 적용하면 된다.
다음으로, 스파우트(400)는 스파우트결합부재(310)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부에는 스파우트결합부재(310)에 결합되게 비닐팩결합부(410)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스파우트삽입공간(110)에 삽입되게 워터가이드결합부(420)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비닐팩결합부(410)와 워터가이드결합부(420)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걸림턱(430)이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워터가이드결합부(420)가 스파우트삽입공간(110)에 삽입될 때 걸림턱(430)이 스파우트삽입공간(110)의 상단에 걸려 삽입이 제한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스파우트(400)의 내부에는 상부로 관통되는 연통공간(440)이 형성되고, 연통공간(440)의 하부에는 이동핀결합공간(450)이 연통되어 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연통공간(440)의 중간 일부분에는 생수가 이동핀결합공간(450)으로 안내되지 않게 차단하는 차단막(460)이 설치된다. 여기서, 차단막(460)은 이동핀결합공간(450)의 내면에 단턱을 형성하여 이 단턱의 테두리가 부착되는 방식으로 설치되며, 후술하는 이동핀(500)이 눌렀을 때 뚫릴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스파우트(400)의 상면에는 부상방지판(470)이 연통공간(440)을 막도록 설치되어 사용자가 비닐팩(300)을 손가락으로 눌렀을 때 차단막(460)을 파손시키거나 이동핀(500)에 손가락이 찔리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부상방지판(470)은 손가락으로 눌렀을 때 파손되지 않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부상방지판(470)에는 생수가 통과할 수 있게 다수의 연통공(472)이 관통 형성되게 구성된다. 또한, 이동핀(500)이 고정핀(200)에 밀려 상방향으로 이동했을 때 이동핀(500)의 상단이 부상방지판(47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그래야 손가락으로 부상방지판(470)을 눌렀을 때 이동핀(500)에 찔리지 않게 된다. 이러한 부상방지판(470)은 스파우트(400)의 상면에 테두리를 따라 접착 방식으로 고정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통상의 나사 방식으로 고정되게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이동핀(500)은 이동핀결합공간(450)에 끼워져 고정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단은 차단막(460)을 뚫을 수 있게 뽀족하게 형성되고, 차단막(460) 하부에 위치하게 설치되며, 하부에서 상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이동핀(500)의 외면에는 이동핀결합공간(450)에 밀봉 상태로 결합될 수 있게 외면에 실링(510)이 결합 설치되고, 이동핀(500)의 하부에는 생수가 잘 배출될 수 있게 다수의 생수안내홈(520)이 하방향으로 연통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기용 물 공급장치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비닐팩(300)의 토출구(320)를 통해 비닐팩(300) 내부에 생수를 넣고, 비닐팩(300)의 스파우트결합부재(310)에 스파우트(400)를 결합하여 비닐팩(300)의 생수가 새어 나가지 않도록 한다. 이때, 스파우트(400)는 비닐팩결합부(410)를 스파우트결합부재(310)에 강제로 끼워 넣은 방식으로 결합한다. 그러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팩결합부(410)에 형성된 돌기가 스파우트결합부재(310)에 형성된 돌기홈에 결합되어 빠지지 않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스파우트(400)를 스파우트결합부재(310)에 결합하면 비닐팩(300) 내의 생수는 스파우트(400)의 부상방지판(470)에 형성된 연통공(472)을 통과하여 연통공간(440) 내로 안내되고, 연통공간(440) 내에서 차단막(460)에 막혀 이동이 제한됨으로 생수가 외부로 새어 나가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스파우트(400)가 결합된 비닐팩(300)을 워터가이드(100)에 설치하여 냉온수기 본체(10)에 생수를 공급하려면, 스파우트(400)의 워터가이드결합부(420)를 워터가이드(100)의 스파우트삽입공간(110)에 삽입하기만 하면 된다. 그러면, 스파우트(400)의 워터가이드결합부(420)를 워터가이드(100)의 스파우트삽입공간(110)에 삽입할 때 누르는 힘에 의해 워터가이드(100)의 고정핀(200)이 스파우트(400)의 이동핀(500)을 상방향으로 밀게 되고, 이동핀(500)이 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차단막(460)을 찢게 된다. 그리고 이동핀(500)의 실링(510)은 이동핀결합공간(450)에서 이탈되어 이동핀(500)과 이동핀결합공간(450)의 사이에는 생수가 흐를 수 있는 틈이 생기게 된다.
이와 같이 이동핀(500)이 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차단막(460)을 찢게 되면, 도 4에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비닐팩(300)에 저장된 생수가 토출구(320)를 통해 부상방지판(470)에 형성된 연통공(472)으로 연통공간(440)에 안내되고, 찢어진 차단막(460)을 통과하여 이동핀결합공간(450)을 통해 고정핀(200)의 생수배출통로(210)를 통과해 생수공급관(130)으로 안내 공급된다. 이때, 이동핀(500)의 생수안내홈(520)이 생수의 흐름을 돕게 된다.
이상에서와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 냉온수기 본체 100: 워터가이드
110: 스파우트삽입공간 120: 고정핀결합공간
122: 걸림돌기 130: 생수공급관
200: 고정핀 210: 생수배출통로
220: 걸림홈 300: 비닐팩
310: 스파우트결합부재 320: 토출구
400: 스파우트 410: 비닐팩결합부
420: 워터가이드결합부 440: 연통공간
450: 이동핀결합공간 460: 차단막
470: 부상방지판 472: 연통공
500: 이동핀

Claims (4)

  1. 냉온수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고, 일부분에는 스파우트삽입공간이 함몰되게 형성되며, 스파우트삽입공간의 하부 중앙에는 고정핀결합공간이 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워터가이드;
    상기 워터가이드의 하부에 연결되어 고정핀결합공간과 연통되며, 냉수탱크 또는 온수탱크와 연결되는 생수공급관;
    상기 고정핀결합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부는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스파우트삽입공간 내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스파우트삽입공간 내로 유입된 생수가 고정핀결합공간을 통해 생수공급관으로 안내될 수 있게 생수배출통로가 형성된 고정핀;
    상기 워터가이드의 상면에 안착되게 설치되고, 내부에는 생수가 저장될 수 있게 밀봉되며, 하면 일부분에는 스파우트결합부재가 돌출되게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스파우트결합부재의 중앙에는 내부에 저장된 생수가 배출될 수 있게 토출구가 관통 형성된 비닐팩;
    상부에는 상기 스파우트결합부재에 결합되게 비닐팩결합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스파우트삽입공간에 삽입되게 워터가이드결합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부로 관통되는 연통공간이 형성되고, 연통공간의 하부에는 이동핀결합공간이 연통되어 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연통공간의 중간 일부분에는 생수가 이동핀결합공간으로 안내되지 않게 차단하는 차단막이 형성된 스파우트; 및
    상기 이동핀결합공간에 끼워져 고정되게 결합되고, 상단은 차단막을 뚫을 수 있게 뽀족하게 형성되어 차단막 하부에 위치하게 설치되며, 하부에서 상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핀;을 포함하여,
    상기 스파우트의 워터가이드결합부를 워터가이드의 스파우트삽입공간에 삽입하면 고정핀이 이동핀을 상방향으로 밀게 되고, 이동핀이 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차단막을 찢게 되며, 비닐팩에 저장된 생수가 토출구를 통해 찢어진 차단막을 통과하여 연통공간을 거쳐 이동핀결합공간을 통해 고정핀의 생수배출통로를 통과해 생수공급관으로 공급되게 구성되며,
    상기 스파우트의 상면에는 부상방지판이 연통공간을 막도록 설치되어 사용자가 비닐팩을 손가락으로 눌렀을 때 차단막을 파손시키거나 이동핀에 손가락이 찔리지 않도록 구성되고,
    상기 부상방지판에는 생수가 통과할 수 있게 다수의 연통공이 관통 형성되게 구성되며,
    상기 이동핀이 고정핀에 밀려 상방향으로 이동했을 때 이동핀의 상단이 부상방지판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용 물 공급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가이드는 상면이 가장자리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하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비닐팩을 올려 놓았을 때 옆으로 떨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용 물 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상하로 길이가 긴 십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는 빈 형태로 하방향으로 개방되며, 외주면을 따라 중간중간에는 내부로 연통되는 생수배출통로가 형성되어, 유입되는 생수가 생수배출통로를 통해 내부로 안내되어 하방향으로 배출되게 구성되며,
    상기 고정핀의 하단은 일부분을 절곡하여 외면에 걸림홈이 형성되게 구성하고, 상기 고정핀결합공간의 하단에는 고정핀의 걸림홈과 대응되는 걸림돌기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고정핀의 걸림홈이 걸림돌기에 걸리게 결합되어 고정핀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용 물 공급장치.
KR1020180067018A 2018-06-11 2018-06-11 냉온수기용 물 공급장치 KR101940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018A KR101940302B1 (ko) 2018-06-11 2018-06-11 냉온수기용 물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018A KR101940302B1 (ko) 2018-06-11 2018-06-11 냉온수기용 물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0302B1 true KR101940302B1 (ko) 2019-01-18

Family

ID=65323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7018A KR101940302B1 (ko) 2018-06-11 2018-06-11 냉온수기용 물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0302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5091Y1 (ko) * 1997-04-15 1999-08-16 우현주 냉온수기용 생수통 캡
KR200295543Y1 (ko) * 2002-08-08 2002-11-21 김재륜 생수통용 위생마개
KR20050011797A (ko) * 2003-07-24 2005-01-31 주식회사 크로버 냉장형 냉온수기
KR100965746B1 (ko) * 2009-07-29 2010-06-25 우종선 손 세정액 디스펜서
KR20120031559A (ko) * 2010-09-27 2012-04-04 이성근 냉온수기
KR101215419B1 (ko) 2012-02-09 2012-12-26 (주)원봉 냉온수기용 비닐백 연결 장치
KR101239251B1 (ko) 2011-08-10 2013-03-05 방건 백인박스를 적용한 냉온수기
KR101443559B1 (ko) 2014-04-02 2014-09-22 주식회사 후지야마코리아 냉온수기용 생수포장 백 받침구조
KR101742133B1 (ko) 2015-07-03 2017-05-31 김경민 냉온수기의 비닐백 천공 유닛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5091Y1 (ko) * 1997-04-15 1999-08-16 우현주 냉온수기용 생수통 캡
KR200295543Y1 (ko) * 2002-08-08 2002-11-21 김재륜 생수통용 위생마개
KR20050011797A (ko) * 2003-07-24 2005-01-31 주식회사 크로버 냉장형 냉온수기
KR100965746B1 (ko) * 2009-07-29 2010-06-25 우종선 손 세정액 디스펜서
KR20120031559A (ko) * 2010-09-27 2012-04-04 이성근 냉온수기
KR101239251B1 (ko) 2011-08-10 2013-03-05 방건 백인박스를 적용한 냉온수기
KR101215419B1 (ko) 2012-02-09 2012-12-26 (주)원봉 냉온수기용 비닐백 연결 장치
KR101443559B1 (ko) 2014-04-02 2014-09-22 주식회사 후지야마코리아 냉온수기용 생수포장 백 받침구조
KR101742133B1 (ko) 2015-07-03 2017-05-31 김경민 냉온수기의 비닐백 천공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13948B (zh) 一种用于关闭流体容器的装置
US4173858A (en) Soap dispensing system
WO2018149052A1 (zh) 用于洗衣机的投放装置和具有其的洗衣机
NO324098B1 (no) Innretning for tapping av drikke og beholder for drikke forsynt med styremidler
WO2007026122A1 (en) Closure for a liquid container
US2764324A (en) Water dispenser
NO323637B1 (no) Ventilenhet for en beholder for drikke, drikkebeholder samt en fremgangsmate for fylling og tomming av en drikkebeholder
TR200000583T2 (tr) Bira ve diğer gazlı içeceklerin depolanması ve dağıtımı için bir düzenek.
KR20130041179A (ko) 압력구동식 분배 컨테이너를 위한 탄성 폐쇄장치
GB2082152A (en) Tap assembly for a container
BR112012014625B1 (pt) Aparelho de dispensação de bebidas para a dispensação de uma bebida e método para a produção de uma canal de redução de pressão para reduzir a pressão de um líquido que flui através de um duto de dispensação de um aparelho de dispensação de bebidas acionado por pressão
KR101940302B1 (ko) 냉온수기용 물 공급장치
RU2349540C2 (ru) Раздат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аппарат для разлива алкогольных напитков (варианты)
US10688507B2 (en) Fluid dispenser and first and second fluid containers for a fluid dispenser
EP3145855B1 (en)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with flexible valve
US2857084A (en) Constant head device
US7040515B2 (en) Bottle cap
US11001488B2 (en) Fluid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EP3730878B1 (en) Water storage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same
BR112014026581B1 (pt) Unidade de redução de pressão de líquido; processo para produzir uma unidade de redução de pressão de líquido; e unidade distribuição para distribuir um líquido contido em um recipiente
EP3061723B1 (en) Siphon bottle with pressure relief function
CA2983105C (en) Portable water cooler
KR101694246B1 (ko) 캔 음료 인출 장치
KR20170001939U (ko) 재활용이 가능한 액상 식품 보관용 뚜껑
JP2013220842A (ja) 簡易液体用サー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