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5091Y1 - 냉온수기용 생수통 캡 - Google Patents

냉온수기용 생수통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5091Y1
KR200155091Y1 KR2019970007815U KR19970007815U KR200155091Y1 KR 200155091 Y1 KR200155091 Y1 KR 200155091Y1 KR 2019970007815 U KR2019970007815 U KR 2019970007815U KR 19970007815 U KR19970007815 U KR 19970007815U KR 200155091 Y1 KR200155091 Y1 KR 2001550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d water
cap
water inlet
cold
bott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78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3319U (ko
Inventor
김재경
Original Assignee
우현주
주식회사그린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현주, 주식회사그린코리아 filed Critical 우현주
Priority to KR20199700078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5091Y1/ko
Publication of KR199800633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33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50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50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 B67D3/0032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the bottle or container being held upside down and provided with a closure, e.g. a cap, adapted to cooperate with a feed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온수기용 생수통캡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생수통캡 본체 내부에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개폐되는 보조캡을 내장한 냉온수기용 생수통캡에 관한 것이다.
냉온수기용 생수통캡(10)은 상면 중앙에 하단이 개구된 관체형상의 생수유입관(11)을 돌출형성하고 생수 유입관의 내주벽에 삽입되는 보조캡(20)을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생수 유입관(11)의 외주면에는 생수유입공(11a)를 소정 간격으로 구획하여 절개하고 생수 유입관 내부에는 스프링(13)을 내장하되, 스프링의 하단에는 보조캡(20)의 상단에 돌출 형성한 스프링 축삽돌기(22a)와 접촉되고 보조캡(20)의 하단은 생수 유입관의 내주면에 돌출형성한 걸림턱(14)에 의해 지지된 구조이다.
상기한 보조캡(20)은 하방이 개구된 유저통 형상으로 외주면의 최대 직경은 생수 유입경의 내직경과 일치하고 내주면 중앙에는 차단막(22)을 형성하되 차단막의 상부 표면에는 원추형상의 스프링 축삽돌기(22a)를 돌출형성하여 스프링의 하단이 안치되고 차단막(22)의 하단 일단은 보조캡(20)의 하단은 생수 유입관의 내주면에 돌출형성한 걸림턱(14)에 의해 지지된 구조이다.
상기의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은 생수통의 토출구 상단에 부착하여 마개로 사용할수 있는 생수통용 캡에 있어서, 생수통을 냉온수기에 접속하거나 분리하는 과정에서 생수통내의 생수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한 번 사용한 냉온수용 생수통캡을 재활용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냉온수기용 생수통캡
본 고안의 목적은 생수통의 토출구 상단에 부착하여 마개로 사용할수 있는 생수통용 캡에 있어서, 생수통을 냉온수기에 접속하거나 분리하는 과정에서 생수통 내의 생수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한 번 사용한 냉온수용 생수통캡을 재활용하여 차후에라도 사용이 가능한 냉온수기용 생수통 캡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냉온수기용 생수통캡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생수통캡 본체 내부에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개폐되는 보조캡을 내장한 냉온수기용 생수통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수통 보급방식 냉온수기에 사용하는 생수통의 접속장치는 우선 생수통의 캡을 제거한 상태에서 냉온수기 본체 상단에 형성된 주입관에 생수통의 물을 일부 쏟아부면서 동시에 생수통의 토출구를 하방으로 삽입하여 사용하였는바, 상기 생수통의 접속 과정에서 일부 생수가 외부로 누출되면서 냉온수기 주변이 더렵혀져 불결해지는 단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종래에는 생수통을 냉온수기에 접속하는 과정에서 생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1a 및 도1b에 도시한 구조를 갖는 특허 공고 제95-7245호가 안출되어졌다.
상기한 본 고안의 선행기술인 생수통을 냉온수기에 접속하는 구조는 냉온수기 본체(10)의 상부에 위치한 상부 케이스의 상면에 나팔관 모양으로 관통된 연결 개구부(26)의 중앙에 생수통의 접속시 생수통캡(30)을 관통할수 있게 생수통 주입관(20)이 상향 돌출되어 장착된다. 이 주입관(20)의 상단 외주연에는 복수개의 생수 도입공(22)이 천공되어 생수통내의 생수가 이들 도입공에 유입되고 생수통 주입관을 통하여 냉온수기의 저류통(14)으로 유입되는 구조이다.
또한 생수통의 생수통캡(30)의 구조는 도1a에 도시한 바와같이 통상적인 생수통캡(30)의 저면에 오목 함몰부(31)를 관통 형성하였으며, 상기 오목 함몰부(31)의 내주벽에 밀착되도록 하방이 개구된 유저통 형상의 보조캡(33)을 가압 끼움한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된 종래 고안의 사용상태는 생수통을 냉온수기에 접속하고자 할 때 생수통의 토출구를 막은 상태의 생수통캡(30)의 오목 함몰부(31)를 생수통 주입관(20) 상단에 삽입시키면 생수통은 자중에 의해 하강하면서 보조캡(33)이 생수통 주잊관의 상단부에 끼워져 걸린 상태에서 캡본체와 분리된다.
상기 상태에서 생수통내의 생수는 생수유입공에 유입되고 생수통 연결관을 통하여 냉온수기의 저류통(14)으로 유입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작용으로 생수를 다소모하고 생수통을 교체하고자 할 때는 생수통을 주입관 으로 부터 상향으로 당겨서 빼내면 보조캡(33)은 캡 본체의 내부벽에 끼워지고 그 저면 둘레의 걸림턱이 오목함몰부의 하단 일단에 걸려서 보조캡(33)은 연결관과 분리되어 생수통은 토출구가 밀폐된 상태에서 회수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용을 갖는 종래의 고안에서는 생수통을 냉온수기에 접속시에 생수통 연결관이 캡본체 내부에 내장된 보조캡(33)을 상향으로 밀어 올리는 과정에서 보조캡(33)이 생수통주입관(20)의 상단부에 끼워져 걸린 상태에서 캡본체(30)와 분리되게 된다.
또한 생수를 다 사용하고 난 후 생수통의 분리시에 생수통을 주입관(20)으로 부터 위로 당겨서 빼내면 보조캡(33)은 다시 캡본체(30)의 내부벽에 끼워지고 그 저면 둘레의 걸림턱이 오목 함몰부의 하단에 걸려서 보조캡이 캡본체와 끼워진 상태에서 분리되는 것이다.
상기의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의 선행기술에서는 생수통의 주입시 생수통 주입관 과 캡본체에 내장된 보조캡이 축삽되면서 보조캡이 캡본체와 분리되어 연결관의 상단에 보조캡이 안치되지만 생수통의 삽입 각도가 수직 상태에서 좌우로 조금만 벗어나더라도 보조캡의 하단이 주입관의 상단에 삽입되지 않고 상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결국에는 연결관의 상단에 삽입되지 못하고 생수통 내로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상기 상태에서 생수를 다사용하고 난 후 생수통의 분리시에 생수통을 주입관(20)으로부터 위로 당겨서 빼내면 보조캡은 캡본체(30)의 내부벽에 끼워지지 않은체 주입관이 캡본체의 오목 함몰부에서 이탈되기 때문에 생수통의 주입관 상단 이하에 남아있는 잔여 생수는 생수통의 분리시 오목 함몰부를 통하여 생수통 주변에 쏟아지게 되어 바닥이 지저분해지는 단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언급한 종래의 선행기술의 제반 단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하는 첫째 기술적 과제로는 생수통의 주입시 주입관과 캡본체에 내장된 보조캡이 축삽되면서 보조캡이 캡본체와 분리되는 것을 보완하고, 둘째 기술적 과제로는 생수를 다 사용하고 난 후 생수통의 분리시에 생수통을 주입관(20)으로 부터 위로 당겨서 빼내면 보조캡은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캡본체(30)의 내부벽에 다시 끼워질수 있는 냉온수기용 생수통캡을 제공하려는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는 것이다.
도1a는 종래 고안의 분리 사시도.
도1b는 종래 고안의 작용 상태도.
도2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도3a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 단면도로서 생수통 접속전 상태이고
도3b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 단면도로서 생수통 접속후 상태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생수통캡 11 : 생수유입관
11a : 생수유입공 13 : 스프링
14 : 걸림턱 20 : 보조캡
22 : 차단막 22a : 스프링 축삽돌기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려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로서 이 실시예에 의하면 냉온수기용 생수통캡(10)은 통상적인 생수통캡의 상면 중앙에 하단이 개구된 관체형상의 생수유입관(11)을 돌출형성하고 생수 유입관의 내주벽에 삽입되는 보조캡(20)을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생수 유입관(11)의 외주면에는 생수유입공(11a)를 소정 간격으로 구획하여 절개하고 생수 유입관 내부에는 스프링(13)을 내장하되, 스프링의 하단에는 보조캡(20)의 상단에 돌출 형성한 스프링 축삽돌기(22a)와 접촉되고 보조캡(20)의 하단은 생수 유입관의 내주면에 돌출형성한 걸림턱(14)에 의해 지지된 구조이다.
상기한 보조캡(20)은 하방이 개구된 유저통 형상으로 외주면의 최대 직경은 생수 유입경의 내직경과 일치하고 내주면 중앙에는 차단막(22)을 형성하되 차단막의 상부 표면에는 원추형상의 스프링 축삽돌기(22a)를 돌출형성하여 스프링의 하단이 안치되고 차단막(22)의 하단 일단은 보조캡(20)의 하단은 생수 유입관의 내주면에 돌출형성한 걸림턱(14)에 의해 지지된 구조이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도3a와 도3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3a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 단면도로서 생수통을 냉온수기에 접속하기 전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생수통을 냉온수기에 접속하고자 할 때 생수통의 토출구를 막은 상태의 생수캡(10)의 생수 유입관(11)를 하향으로 이동하여 냉온수기의 본체에 형성한 첨탑부의 선단에 삽입하면 생수통은 자중에 의해 하강하면서 생수캡(10)의 생수 유입관(11)에 내삽된 보조캡(20)은 첨단부(21)와 접촉되어 상향으로 이동 한다. 이때 보조캡(20)은 유입관(11) 외주면에 천공한 생수유입공(11a)를 개방시켜 생수통 내부의 생수가 상기 생수 유입공으로 유입되어 냉온수기 본체의 저류통으로 유입되는 것이다.
또한 도3b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 단면도로서 생수통을 냉온수기에 접속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생수통 내부의 생수를 다사용한 후 생수통을 교체 하고자 할때는 생수통을 상향으로 당겨서 빼내면 생수 유입관(11)에 내장된 보조캡(20)이 냉온수기의 첨단부(21)와 이격되면서 스프링(13)의 복원력에 의해 하향이동 된다.
상기 상태는 보조캡이 생수 유입관에 하향이동한 상태로서 보조캡(20)의 외주면이 생수 유입관의 생수 유입공(11a)을 막아버린 상태가 되므로 생수통을 냉온수기 본체에서 완전히 분리하더라도 생수통 캡을 통해 생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 할 수가 있다.
상술한 작용으로 살펴본 본 고안은 생수통을 냉온수기에 접속하는 과정, 즉 생수통의 토출구와 냉온수기의 생수 유입구와의 접속시나 이탈시에 생수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아 냉온수기 주변이 더렵혀져서 불결해지지 않을뿐 아니라 일회 사용한 생수캡을 재활용하여 차후에 사용이 가능하므로 환경오염과 자원을 절약할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냉온수기용 생수통캡(10)은 통상적인 생수통캡의 상면 중앙에 하단이 개구된 관체형상의 생수유입관(11)을 돌출형성하고 생수 유입관의 내주벽에 삽입되는 보조캡(20)을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생수 유입관(11)의 외주면에는 생수유입공(11a)를 소정 간격으로 구획하여 절개하고 생수 유입관 내부에는 스프링(13)을 내장하되, 스프링의 하단에는 보조캡(20)의 상단에 돌출 형성한 스프링 축삽돌기(22a)와 접촉되고 보조캡(20)의 하단은 생수 유입관의 내주면에 돌출형성한 걸림턱(14)에 의해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용 생수통캡.
  2. 제1항에 있어서, 보조캡(20)은 하방이 개구된 유저통 형상으로 외주면의 최대 직경은 생수 유입관(10)의 내직경과 일치하고 내주면 중앙에는 차단막(22)을 형성하되 차단막의 상부 표면에는 원추형상의 스프링 축삽돌기(22a)를 돌출형성하여 스프링의 하단이 안치되고 차단막(22)의 하단은 생수 유입관의 내주면에 돌출형성한 걸림턱(14)에 의해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냉온수기용 생수통캡.
KR2019970007815U 1997-04-15 1997-04-15 냉온수기용 생수통 캡 KR2001550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815U KR200155091Y1 (ko) 1997-04-15 1997-04-15 냉온수기용 생수통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815U KR200155091Y1 (ko) 1997-04-15 1997-04-15 냉온수기용 생수통 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319U KR19980063319U (ko) 1998-11-16
KR200155091Y1 true KR200155091Y1 (ko) 1999-08-16

Family

ID=19499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7815U KR200155091Y1 (ko) 1997-04-15 1997-04-15 냉온수기용 생수통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509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0302B1 (ko) * 2018-06-11 2019-01-18 장명준 냉온수기용 물 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688Y1 (ko) * 1999-12-20 2000-06-01 주식회사반포유통 생수통의 누수 방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0302B1 (ko) * 2018-06-11 2019-01-18 장명준 냉온수기용 물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319U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84687C2 (ru) Цельный колпачок для укупорки емкости с жидкостью
JPH0662195B2 (ja) 液体容器の支持体および液体の衛生的ディスペンス機構
KR200155091Y1 (ko) 냉온수기용 생수통 캡
DE69927825D1 (de) Ausgiesser für flüssigkeitsbehälter
JP5489755B2 (ja) 注出キャップ
KR200155090Y1 (ko) 냉온수기의 생수통 접속시 낙수방지 장치
CN212378035U (zh) 一种用于吸油烟机的油杯及应用有该油杯的吸油烟机
JP2014069863A (ja) 分別廃棄用ヒンジキャップ
JPS5920189Y2 (ja) ポンプ注液式液体容器
JP3883167B2 (ja) 容器体装着用液体噴出ポンプ
KR200413393Y1 (ko) 개폐 가능한 통기구멍이 구비된 용기
KR200166495Y1 (ko) 냉온수기용생수통의마개
KR20090010061U (ko) 깔때기가 내장된 주입구
RU23290U1 (ru) Защитная пробка
KR960004830B1 (ko) 자동차 엔진오일 배출구 구조 및 이에 적합한 수거용 용기구조
JP3705913B2 (ja) 液体注出容器
KR102186940B1 (ko) 안전배출수단을 구비한 음료용기
KR900000679Y1 (ko) 액체병 마개
KR200173348Y1 (ko) 분리가용이한위조방지용캔마개
KR200191086Y1 (ko) 생수통 마개
JP3642857B2 (ja) 粘性液体注出容器
KR200192603Y1 (ko) 생수 이물질 제거 필터
KR20030081978A (ko) 냉온수기용 생수통의 마개
KR200202868Y1 (ko) 음료토출밸브체
JP3883159B2 (ja) 再栓不能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