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5543Y1 - 생수통용 위생마개 - Google Patents

생수통용 위생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5543Y1
KR200295543Y1 KR2020020023774U KR20020023774U KR200295543Y1 KR 200295543 Y1 KR200295543 Y1 KR 200295543Y1 KR 2020020023774 U KR2020020023774 U KR 2020020023774U KR 20020023774 U KR20020023774 U KR 20020023774U KR 200295543 Y1 KR200295543 Y1 KR 2002955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bottled water
water
sanitary
bott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37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륜
Original Assignee
김재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륜 filed Critical 김재륜
Priority to KR20200200237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55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55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5543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온수기에 사용되는 생수통용 위생마개에 관한 것으로, 생수통을 냉.온수기로 부터 제거시 입수관의 상부에 억지끼움된 차단마개가 마개본체에 장착된 삽입부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여, 수거된 생수통이 유통되는 동안 내부로 이물질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수거된 생수통은 간단한 세척과정만으로도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전체적인 처리비용을 줄일 수 있는 생수통용 위생마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앙부에 삽입부(52)를 갖는 마개본체(51)와, 마개본체(51)의 삽입부(52)에 삽입되는 차단마개(53), 마개본체(51)의 일측면에 형성된 파지편(54) 및 파단선(55), 마개본체(51) 내부 하단에 장착된 누수방지환 돌기(57)와 이중환 돌기(58)로 구성된 생수통용 위생마개에 있어서, 상기 차단마개(53)의 하단 외주연이 삽입부(52) 상단의 내주연을 따라 형성된 부착돌기(52a)와 연결 부착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환형의 걸림턱(53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통용 위생마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생수통용 위생마개{Hycienic cap for spring water bottle}
본 고안은 냉.온수기에 사용되는 생수통용 위생마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생수통을 냉.온수기로 부터 제거시 입수관의 상부에 억지끼움된 차단마개가 삽입부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여, 수거된 생수통을 유통하는 동안 생수통 내부로 이물질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수거된 생수통은 간단한 세척과정만으로도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전체적인 처리비용을 줄일 수 있는 생수통용 위생마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수질오염이 심각해지면서 자연상태의 물을 식수원으로 직접 사용하기에는 인체에 해로워 생수 또는 정수된 위생적인 물을 공급받아 냉.온수기와 함께 사용하고 있다.
상기의 냉.온수기에 생수통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생수통의 마개를 절취선을 따라 절취하여 제거한 후에 냉.온수기의 주입구에 거꾸로 세워 놓고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무거운 생수통을 들어올려 거꾸로 세우는 과정에서 물이 외부로 새는 경우가 발생하며, 또한 냉.온수기와 생수통이 맞닿는 부위가 먼지나 인체에 해로운 이물질이 유입되어 물이 오염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생수통의 주둥이와 연결되는 곡면 부분의 이물질을 깨끗이 딱은 다음에 사용해야 한다는 번거러움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미국 특허 제5121778호에서는 물받침대와 위생적인 물 분배시스템을 소개한 바 있다. 또한 본 고안자가 선출원한 대한민국 실용실안 출원번호 제93-5942호 에서는 청정수를 이용한 냉.온수기를 소개하였다.
도 1은 종래 사용되고 있는 생수통를 이용한 냉.온수기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생수통용 위생마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도 1과 도 2를 참고로 하여 종래 사용되고 있는 생수통을 이용한 냉.온수기를 살펴보면, 생수통(100)의 용기마개(150)로서 몸체를 이루는 마개본체(151)와, 돌출부(152a)를 갖는 삽입부(152), 걸림턱(153a)을 갖는 차단마개(153), 파단선(155)이 형성된 파지편(154) 및 누수방지환 돌기(157)와 이중환 돌기(158)로 구성된 것을 사용하며, 냉.온수기(200)가 저수탱크(250) 내에 입수구(220)를 갖는 입수관(210)이 구비된 배플(230)이 내장된 것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냉.온수기 시스템은 비위생적인 물질이 위생마개(150)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 위생라벨(159)을 떼어낸 후, 생수통(100)을 거꾸로 하여 냉.온수기(200)의 입수관(210)이 마개본체(151)에 장착된 삽입부(152)에 삽입되도록 세워 놓으면, 입수관(210)의 상부에 차단마개(153)가 걸리게 되고 생수통(100)의 중량에 의하여 차단마개(153)가 파단부(156)의 위치에서 파단되면서 고정설치된다. 이때 생수통(100)에 채워져 있던 물은 입수관(210)의 외주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입수구(220)를 통해 유입되어 입수관(210)을 따라 냉.온수기의 저수탱크(250)로 유입된다.
또한 생수를 다 사용하거나 기타의 이유로 생수통(100)을 교환하고자 냉.온수기(200)로 부터 생수통(100)을 분리시킬 때에는 생수통(100)을 장착시 파단되어 입수관(210)의 상부에 억지끼움되어 있던 차단마개(153)는 생수통(100)을 들어 올리면 자연스럽게 입수관(210)으로 부터 분리되고 용기마개(150)의 삽입부(152)에 삽입되어 외부요인에 의하여 쉽게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기술은 생수통(100)을 교환할 때에 생수가 외부로 새는 일 없이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으며, 유해물질이 냉.온수기(200) 내로 침입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수통(100)의 유통과정에서 누수방지 및 오염방지 효과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개발된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생수통용 위생마개(150)는 삽입부(152)에 형성된 돌출부(152a)와 파단마개(153)에 형성된 걸림턱(153a)으로 인하여, 마개본체(151)로 부터 파단된 차단마개(153) 입구의 외경이 삽입부(152)의 내경보다 더 크기 때문에, 생수통(100)을 냉.온수기(200)로 부터 제거시 입수관(210)의 상단에 억지끼움된 차단마개(153)가 삽입부(152)에 용이하게 삽입되지 못하고 생수통(100) 내부로 빠져버리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다 사용한 생수통을 수거하여 유통하는 동안 마개본체의 삽입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우가 발생하며, 따라서 수거된 생수통을 재활용시 다시 소독 및 세척을 해야 하므로 처리비용이 상승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구성된 것으로, 생수통을 냉.온수기로 부터 제거시 입수관의 상부에 억지끼움된 차단마개가 마개본체에 장착된 삽입부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여, 수거된 생수통이 유통되는 동안 내부로 이물질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수거된 생수통은 간단한 세척과정만으로도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전체적인 처리비용을 줄일 수 있는 생수통용 위생마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사용되고 있는 생수통을 이용한 냉.온수기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 사용되는 생수통용 위생마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생수통용 위생마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위생마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냉.온수기로 부터 분리된 위생마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생수통
50 ; 용기마개
51 ; 마개본체
52 ; 삽입부
52a ; 부착돌기
53 ; 차단마개
53a ; 걸림턱
54 ; 파지편
55 ; 파단선
56 ; 파단부
57 ; 누수방지환 돌기
58 ; 이중환 돌기
59 ; 위생라벨
200 ; 냉.온수기
210 ; 입수관
220 ; 입수구
230 ; 배플
250 ; 저장탱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중앙부에 삽입부를 갖는 마개본체와, 마개본체의 삽입부에 삽입되는 차단마개, 마개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된 파지편 및 파단선, 마개본체 내부 하단에 장착된 누수방지환 돌기와 이중환 돌기로 구성된 생수통용 위생마개에 있어서,
상기 차단마개의 하단 외주연이 삽입부 상단의 내주연을 따라 형성된 부착돌기와 연결 부착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환형의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통용 위생마개를 제공함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첨부된 도면에서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기는 하나, 본 고안이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고안의 생수통용 위생마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도 3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생수통요 위생마개에 대하여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단에 내주연을 따라 부착돌기(52a)가 형성된 삽입부(52)를 갖는 마개본체(51)가 있고, 상기 삽입부(52)의 부착돌기(52a)와 연결 부착되어 있고 상부에는 환형의 걸림턱(53a)이 형성되어 있는 차단마개(53)가 장착되며, 마개본체(51)의 일측면에는 파단선(55)을 갖는 파지편(54)이 형성되어 있으며, 마개본체(51) 내부 하단에는 누수방지환 돌기(57)와 이중환 돌기(58)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위생라벨(59)이 이물질과 같은 비위생적인 물질이 용기마개(50) 입구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용기마개(50)는 생수통을 냉.온수기에 장착시 삽입부(52)의 부착돌기(52a)와 연결 부착되어 있는 차단마개(53)가 파단부(56)에서 파단되면서 착탈이 일어나게 되고, 상기 생수통을 다 사용한 후 냉.온수기에서 제거시에는 파단되어 착탈되었던 차단마개(53)가 생수통을 들어올리는 동안 삽입부(52)로의 삽입이 용이하게 일어나게 된다.
이는 본 고안의 용기마개가 삽입부(52)의 입구 내경이 차단마개(53)의 내경보다 크기 때문에, 착탈되었던 차단마개(53)가 삽입부(52)로 용이하게 삽입되는 것이다.
또한 삽입부(32)는 입구부터 부착돌기(52a)까지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성형하고, 차단마개(53)는 하단부를 내부 방향으로 경사면을 갖도록 성형하게 되면, 차단마개(53)가 삽입부(52)의 경사면을 따라 더욱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용기마개(50)에 있어서, 차단마개(53) 상단부터 걸림턱(53a)까지의 길이(L1)가 삽입부(52)의 입구부터 부착돌기(52a)까지 거리(L2)보다 더 길거나 같아야만 하는데, 이는 차단마개(53)가 삽입부(52)에 삽입시 차단마개(53)의 걸림턱(53a)이 삽입부(52)의 부착돌기(52a) 안쪽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외의 다른 구성부분에 대한 설명은 본 고안자가 선출원한 대한민국 실용실안 출원번호 제93-5942호 에서 자세히 설명한바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3의 도 3의 위생마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도 4를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위생마개의 사용상태에 대하여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용기마개(50)에 부착되어 있는 위생라벨(59)을 떼어낸 후, 생수통(100)을 거꾸로 하여 냉.온수기(200)의 입수관(210)이 삽입부(52)에 삽입되도록 세워 놓으면, 입수관(210)의 상부에 차단마개(53)가 걸리게 되고 생수통(100)의 중량에 의하여 차단마개(53)가 파단부(56)에서 파단되어 입수관(210)의 상부에 억지끼움되어 고정된다.
이 때 생수통(100)에 채워져 있던 생수는 입수관(21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있는 다수개의 입수구(220)를 통해 유입되어 입수관(210)을 따라 냉.온수기(200)의 저장탱크로 유입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위생마개는 생수통을 교환시 파단선을 따라 파지편을 절취하여 용기마개를 제거하지 않고 바로 입수관에 장착하므로 물이 외부로 새는 일 없이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으며, 냉.온수기의 입수관이 외부와 접촉되지 않으므로 유해물질이 냉.온수기 내로 침입하여 물을 오염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도 5는 냉.온수기로 부터 분리된 청정수통 마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도 5를 참고로 하여 냉.온수기로 부터 분리된 청정수통을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생수통(100)을 냉.온수기(200)로 부터 교환하기 위해서, 먼저 생수통(100)을 상방향으로 들어 올리게 되는데, 이 때 입수관(210)의 상부에 억지끼움되어 있던 차단마개(53)는 자연스럽게 입수관(210)에 분리되어 마개본체(51)의 삽입부(52)에 다시 삽입된다.
이와 같이 다시 삽입부(52)에 삽입된 차단마개(53)는 삽입부(52)에 형성된 부착돌기(52a)에 걸림턱(53a) 부위가 걸리게 되므로 유통되는 동안 외부요인에 의하여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위생마개는 생수통을 분리시 입수관의 상측에 억지끼움되어 있던 차단마개가 삽입부 입구의 경사각을 따라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수거된 생수통의 유통과정에서 누수방지 및 오염방지 효과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수거된 생수통은 간단한 세척과정만으로도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전체적인 처리비용을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생수통용 위생마개는 입수관을 갖는 배플이 내장된 냉.온수기에 사용함으로서, 생수통을 장착시 파단선을 따라 파지편을 절취하여 용기마개를 제거하지 않고 바로 입수관에 장착하므로 물이 외부로 새는 일 없이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으며, 냉.온수기의 입수관이 외부와 접촉되지 않아 유해물질이 냉.온수기 내로 침입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마개의 삽입부 입구 내경이 차단마개의 내경보다 크게 성형하여 차단마개가 삽입부의 경사각을 따라 더욱 용이하게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수거된 생수통의 유통과정에서 누수방지 및 오염방지 효과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수거된 생수통은 간단한 세척과정만으로도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전체적인 처리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Claims (3)

  1. 중앙부에 삽입부(52)를 갖는 마개본체(51)와, 마개본체(51)의 삽입부(52)에 삽입되는 차단마개(53), 마개본체(51)의 일측면에 형성된 파지편(54) 및 파단선(55), 마개본체(51) 내부 하단에 장착된 누수방지환 돌기(57)와 이중환 돌기(58)로 구성된 생수통용 위생마개에 있어서,
    상기 차단마개(53)의 하단 외주연이 삽입부(52) 상단의 내주연을 따라 형성된 부착돌기(52a)와 연결 부착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환형의 걸림턱(53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통용 위생마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삽입부(32)가 입구부터 돌출부(32a)까지 소정의 경사각을 갖고, 입수마개(53)는 하단부가 내부 방향으로 경사면을 갖도록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통용 위생마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차단마개(53) 상단부터 걸림턱(53a)까지의 길이(L1)가 삽입부(52)의 상단부터 부착돌기(52a)까지 거리(L2)에 대하여 더 길거나 같도록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통용 위생마개.
KR2020020023774U 2002-08-08 2002-08-08 생수통용 위생마개 KR2002955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774U KR200295543Y1 (ko) 2002-08-08 2002-08-08 생수통용 위생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774U KR200295543Y1 (ko) 2002-08-08 2002-08-08 생수통용 위생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5543Y1 true KR200295543Y1 (ko) 2002-11-21

Family

ID=73084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3774U KR200295543Y1 (ko) 2002-08-08 2002-08-08 생수통용 위생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554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559B1 (ko) * 2014-04-02 2014-09-22 주식회사 후지야마코리아 냉온수기용 생수포장 백 받침구조
KR101940302B1 (ko) * 2018-06-11 2019-01-18 장명준 냉온수기용 물 공급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559B1 (ko) * 2014-04-02 2014-09-22 주식회사 후지야마코리아 냉온수기용 생수포장 백 받침구조
KR101940302B1 (ko) * 2018-06-11 2019-01-18 장명준 냉온수기용 물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68963B2 (en) Contact lens cleaning and storage case with contaminant separation
KR100239606B1 (ko) 물통에 담긴 물 분배대에 사용되는 물통 뚜껑과 밸브의 조립체
KR200295543Y1 (ko) 생수통용 위생마개
KR200295542Y1 (ko) 생수통용 위생마개
US8051996B1 (en) Baby bottle with a spare nipple storage assembly
KR20100001554U (ko) 생수통 위생마개
KR200182811Y1 (ko) 음료용기 캡 구조
JP7401139B2 (ja) 飲料容器注入口結合型浄水フィルター
JP6291075B2 (ja) 離乳クリップ
KR950009448Y1 (ko) 청정수를 이용하는 냉, 온수기
KR20080029988A (ko) 병뚜껑 끼움부가 형성된 용기
CN211970280U (zh) 一种可引流、易拆卸的瓶塞及溶液瓶
KR200354351Y1 (ko) 생수통 봉인마개
CN213189050U (zh) 水杯快速锁紧装置
KR200295731Y1 (ko) 생수통 이중 마개
KR200337475Y1 (ko) 생수통 봉인마개
KR102308617B1 (ko) 보존액의 위생적인 사용을 위한 콘텍트렌즈 케이스
CN216420522U (zh) 一种容量瓶用清洗装置
KR102372867B1 (ko) 젖병용 젖꼭지 모듈
CN112227475B (zh) 一种实验室的水槽结构
KR200450034Y1 (ko) 위생 생수통
KR20100137828A (ko) 빨대 고정용 하우징
CN209848063U (zh) 冷凝水收集瓶
KR200228452Y1 (ko) 유아용 젖병
KR200272212Y1 (ko) 음료용수 병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