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0226B1 - 스티로폼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스티로폼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0226B1
KR101940226B1 KR1020180011381A KR20180011381A KR101940226B1 KR 101940226 B1 KR101940226 B1 KR 101940226B1 KR 1020180011381 A KR1020180011381 A KR 1020180011381A KR 20180011381 A KR20180011381 A KR 20180011381A KR 101940226 B1 KR101940226 B1 KR 101940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plunger
styrofoam
molding space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1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훈
신재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먼테크
주식회사 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먼테크, 주식회사 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먼테크
Priority to KR1020180011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02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415Heating or cooling
    • B29C44/3426Heating by introducing steam in the mould
    • B29C44/343Heating by introducing steam in the mould by using pipes to direct the steam inside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6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C44/38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into a closed space, i.e. to make articles of definite length
    • B29C44/42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into a closed space, i.e. to make articles of definite length using pressure difference, e.g. by injection or by vacuum
    • B29C44/424Details of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티로폼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유입된 스티로폼 원료가 성형되는 성형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성형공간과 외부가 연통되는 연통부가 형성되는 제1 성형 몸체와, 상기 연통부를 개폐하는 제2 성형 몸체로 구성되는 성형몸체와, 상기 성형공간에 스팀을 인가하는 스팀 인가부와, 상기 제2 성형 몸체의 이동을 조절하는 제1 실린더와, 상기 성형공간에 위치된 생산품을 밀어 상기 연통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 실린더로 구성되는 실린더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제2 실린더에 상기 성형공간으로 스팀을 방출하는 스팀 방출부가 형성되어, 생산되는 스티로폼 제품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티로폼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티로폼 성형장치{Styrofoam molding machine}
본 발명은 스티로폼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티로폼 원료에 열 또는 스팀을 인가하여 스티로폼 제품을 생산하는 스티로폼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티로폼 성형장치는 생산하고자 하는 스티로폼 제품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스티로폼 성형공간을 형성하는 성형공간 형성 단계와, 성형공간 상으로 스티로폼 원료를 주입하는 원료주입 단계와, 성형공간 상에 위치되는 스티로폼 원료에 열 또는 스팀을 인가하여 스티로폼 제품을 제조하는 제조단계와, 제조된 스티로폼 제품을 성형공간에서 탈거시키는 분리단계를 통하여 스티로폼 제품을 생산한다.
그러나, 종래의 스티로폼 성형장치는 성형공간에서 제조된 스티로폼 제품을 밀어 외부로 배출시키는 실린더에서 열 또는 스팀을 방출할 수 없었기 때문에, 실린더와 마주보는 스티로폼 원료에 열 또는 스팀을 인가하지 못하여, 스티로폼 원료의 성형이 불균일하게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세히 설명하면, 종래의 스티로폼 성형장치는 제조된 스티로폼 제품을 성형공간에서 쉽게 탈거시키기 위하여 구성된 실린더에서 열 또는 스팀을 방출할 수 없는 구조였기 때문에, 성형공간 내부에 위치되는 스티로폼 원료에 열 또는 스팀을 고루 인가할 수 없어, 생산되는 스티로폼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스티로폼 성형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21730호(2009.11.26.)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성형하고자 하는 스티로폼 원료에 균일하게 열 또는 스팀을 인가하여, 생산되는 스티로폼 제품의 불량률을 최소화 하고 재현성을 높일 수 있는 스티로폼 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스티로폼 성형장치는, 내부에 유입된 스티로폼 원료(R)가 성형되는 성형공간(111)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성형공간(111)과 외부가 연통되는 연통부(112)가 형성되는 제1 성형 몸체(110)와, 상기 연통부(112)를 개폐하는 제2 성형 몸체(120)로 구성되는 성형몸체(100); 상기 성형공간(111)에 스팀을 인가하는 스팀 인가부(200); 및 상기 제2 성형 몸체(120)의 이동을 조절하는 제1 실린더(310)와, 상기 성형공간(111)에 위치된 생산품을 밀어 상기 연통부(112)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 실린더(320)로 구성되는 실린더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실린더(320)에 상기 성형공간(111)으로 스팀을 방출하는 스팀 방출부(320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실린더(320)는 상기 성형공간(111)에 위치된 생산품을 미는 플런저부(321)와, 상기 플런저부(321)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플런저 운동부(322)를 포함하며, 상기 스팀 방출부(320A)는 상기 플런저부(321) 내부에 형성된 스팀유로(320A-1)로 스팀이 유입되는 플런저 스팀유입부(320A-2)와, 상기 스팀유로(320A-1)에 위치된 스팀이 상기 성형공간(111)으로 방출되는 플런저 스팀 방출부(320A-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런저부(321)는 상기 성형공간(111)과 마주보는 일측에 위치되는 전측 플런저부(321A)와, 상기 플런저부(321)의 후측에 결합되는 후측 플런저부(321B)를 포함하며, 상기 후측 플런저부(321B)의 내부에 상기 스팀유로(320A-1)가 형성되고, 상기 후측 플런저부(321B)의 외주면에 상기 스팀 인가부(200)를 통해 상기 스팀유로(320A-1)로 스팀이 유입되는 상기 플런저 스팀유입부(320A-2)가 형성되며, 상기 전측 플런저부(321A)에 상기 스팀유로(320A-1)와 상기 성형공간(111)을 연통하는 상기 플런저 스팀 방출부(320A-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측 플런저부(321A)의 외경 길이가 상기 후측 플런저부(321B)의 외경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팀유로(320A-1)는 상기 후측 플런저부(321B)의 가장자리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플런저 스팀유입부(320A-2)와 연통되는 제1 스팀유로(320A-1A)와, 상기 후측 플런저부(321B) 내부에 방사상 형태로 배치되며, 후측 플런저부(321B)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단부가 상기 제1 스팀유로(320A-1A)와 연통되는 제2 스팀유로(320A-1B)와, 상기 전측 플런저부(321A)의 길이방향 타측에서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스팀유로(320A-1A)와 상기 제2 스팀유로(320A-1B)에 위치되는 스팀이 상기 플런저 스팀 방출부(320A-3)로 이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3 스팀유로(320A-1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팀 인가부(200)는 상기 성형몸체(100)의 내면에 상기 성형공간(111)을 감싸며 배치되고, 내부에 스팀 분배공간(211)이 형성되는 스팀 분배부(210)와, 상기 스팀 분배부(210)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부(220)와, 상기 스팀 분배공간(211)에 위치된 스팀을 상기 성형공간(111)으로 방출하는 스팀 방출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런저부(321)가 상기 스팀 분배부(210)에 위치되어 상기 스팀 분배공간(211)과 상기 플런저 스팀 유입부(320A-2)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성형공간(111)과 마주보는 상기 전측 플런저부(321A)의 단부가 상기 스팀 분배부(210)의 내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어 스팀 분배부(210)와 함께 상기 성형공간(111)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성형공간(111)으로 상기 스티로폼 원료(R)를 주입하는 레진 주입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레진 주입부(400) 상에 상기 성형공간(111)으로 스티로폼 원료가 이동하는 경로와, 상기 스팀 인가부(200)에서 상기 성형공간(111)으로 스팀이 이동하는 경로가 서로 개별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스티로폼 성형장치는 실린더에서 스팀을 방출 가능하므로, 성형공간에 위치되는 스티로폼 원료에 보다 균일하게 스팀을 인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즉, 스티로폼 제품을 제조 시 스팀이 인가되지 않는 영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조되는 스티로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인 스티로폼 성형장치의 운동도.
도 3은 본 발명인 스티로폼 성형장치의 제2 실린더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스티로폼 성형장치의 후측 플런저부를 나타낸 정면 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스티로폼 성형장치의 제2 실린더에 보조 스팀 방출부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스티로폼 성형장치의 레진 주입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스티로폼 성형장치의 레진 주입부에 내장된 피스톤의 운동도.
도 8은 스티로폼 성형장치의 피스톤을 통하여 이동하는 스팀의 이동을 나타낸 개념도.(제1-1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인 스티로폼 성형장치의 피스톤 저면도.(제1-1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인 스티로폼 성형장치의 피스톤을 통하여 이동하는 스팀의 이동을 나타낸 개념도.(제1-2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인 스티로폼 성형장치의 피스톤 저면도.(제1-2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티로폼 성형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로폼 성형장치를 나타낸 운동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인 스티로폼 성형장치(1000)는 내부에 유입된 스티로폼 원료(R)가 성형되는 성형공간(111)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성형공간(111)과 외부가 연통되는 연통부(112)가 형성되는 제1 몸체(110)와, 상기 연통부(112)를 개폐하는 제2 몸체(120)를 포함하는 성형몸체(100), 상기 성형공간(111)에 스팀을 인가하는 스팀 인가부(200), 상기 제2 성형 몸체(120)의 이동을 조절하는 제1 실린더(310)와, 상기 성형공간(111)에 위치된 생산품을 밀어 상기 연통부(112)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 실린더(320)로 구성되는 실린더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성형 몸체(110)와 상기 제2 성형 몸체(120)가 서로 체결되어 외부와 밀폐된 상기 성형공간(111)을 형성하고, 레진 주입부(400)를 이용하여 밀폐된 상기 성형공간(111)으로 고체상의 스티로폼 원료(R)를 주입한 후, 상기 스팀 인가부(200)에서 스티로폼 원료가 위치되는 성형공간(111)으로 스팀을 인가하여 줌으로써, 본 발명인 스티로폼 성형 장치를 이용하여 일정한 형상을 가지는 스티로폼을 형성하되, 스티로폼이 제작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실린더(310)를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연통부(112)를 개방한 후, 상기 제2 실린더(320)로 성형공간(111)에 위치된 스티로폼(S)을 밀어 스티로폼(S)이 연통부(1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스팀 인가부(200)는 상기 성형공간(111)으로 스팀을 인가할 수 있으면 충분하므로, 상기 성형 몸체(100)에 결합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스팀을 상기 성형공간(111)으로 직접 주입하는 관, 상기 성형 몸체(100)의 외면과 내면을 연결하여 외부에서 유입되는 스팀을 성형공간(111)으로 안내 가능한 통로 등 다양한 구성일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린더(320)와 마주보는 위치의 스티로폼 원료에 스팀을 인가하기 위하여, 성형몸체(100)의 내면에 상기 성형공간(111)을 감싸며 배치되고, 내부에 스팀 분배공간(211)이 형성되는 스팀 분배부(210)와, 상기 스팀 분배부(210)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부(220)와, 상기 스팀 분배공간(211)에 위치된 스팀을 상기 성형공간(111)으로 방출하는 스팀 방출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조일 수 있으며, 상기 스팀 분배부(210)는 서로 연통되어 상기 스팀공급부(220)를 통해 유입되는 스팀이 성형공간(111)을 감싸도록 분배하고, 스팀 공급부(220)에 고르게 분배된 스팀은 성형공간(111)과 마주보는 스팀 분배부(210)의 내벽에 형성된 복수개의 스팀 방출부(230)를 통해 스팀이 성형공간(111) 상으로 고르게 주입될 수 있으며, 상기 스팀 방출부(230)는 스팀 분배부(210)의 내벽에 형성된 공극일 수 있다.
그리고, 도면 상에는 상기 스팀 공급부(220)와 상기 스팀 방출부(230)가 상기 제1 몸체(110)에 단수개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지만 이는 일 실시예로써 스팀 공급부(220)와 스팀 방출부(230)는 복수개 구비되는 것을 권장하며, 상기 스팀 분배부(210)는 상기 제1 몸체(110)와 상기 제2 몸체(120)에 각각 형성되어,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를 체결 시 제1 몸체(110) 상에 형성된 스팀 분배부(210)와 제2 몸체(120) 상에 형성된 스팀 분배부(210)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스팀 분배부(210)를 형성하는 것을 권장한다.
도 3에서는 상기 제2 실린더(320)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2 실린더(320)는 상기 스팀 인가부(200)에서 스팀을 전달받아 상기 성형공간(111)으로 스팀을 방출하는 스팀 방출부(320A)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2 실린더(320)에서 성형공간(111)으로 스팀을 방출하지 못할 경우 제2 실린더(320)와 마주보는 위치의 스티로폼 원료(R)에 스팀이 인가되지 못하여, 스티로폼(S) 제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제2 실린더(320) 상에 스팀 방출부(320A)를 형성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2 실린더(320)는 상기 성형공간(111)에 위치된 생산품을 미는 플런저부(321)와, 상기 플런저부(321)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플런저 운동부(3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스팀 방출부(320A)는 상기 플런저부(321) 내부에 형성된 스팀 유로(320A-1)로 스팀이 유입되는 스팀 유입부(320A-2)와, 상기 스팀유로(320A-1)에 위치된 스팀이 상기 성형공간(111)으로 방출되는 플런저 스팀 방출부(320A-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스팀 유입부(320A-2)를 통해 상기 스팀 분배부(210)에 위치된 스팀이 상기 스팀 유로(320A-1)로 유입된 후, 스팀 방출부(320A-3)를 통해 성형공간(111)으로 방출되게 함으로써, 플런저부(321)와 마주보는 위치의 스티로폼 원료에 스팀을 인가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플런저부(32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 형상일 수 있으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성형공간(111)과 마주보는 일측에 위치되는 전측 플런저부(321A)와, 상기 전측 플런저부(321A)의 후측에 결합되는 후측 플런저부(321B)가 결합된 조립체일 수 있으며, 상기 전측 플런저부(321A)의 외경이 후측 플런저부(321B)의 외경보다 크게 이루어져, 플런저 운동부(322)를 이용하여 플런저부(321)를 움직인 이후 플런저부(321)가 지정된 위치로 복귀 가능하게 함으로써, 플런저 운동부(322)가 성형공간(111)에 위치된 스티로폰(S)을 외부로 배출시킨 후에도 상기 스팀 분배부(210)와 함께 일정한 형상의 성형공간(111)을 형성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플런저부(321)가 상기 전측 플런저부(321A)와 상기 후측 플런저부(321B)가 결합된 형태를 가질 경우, 상기 후측 플런저부(321B)의 내부에 상기 스팀유로(320A-1)가 형성되고, 상기 후측 플런저부(321B)의 외주면에 상기 스팀 인가부(200)를 통해 상기 스팀유로(320A-1)로 스팀이 유입되는 상기 플런저 스팀 유입부(320A-2)가 형성되며, 상기 전측 플런저부(321A)에 상기 스팀유로(320A-1)와 상기 성형공간(111)을 연통하는 상기 플런저 스팀 방출부(320A-3)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팀 분배공간(211)에 위치되는 스팀 중 일부가 상기 플런저 스팀 유입부(320A-2)를 통해 상기 스팀유로(320A-1) 상에서 분배된 후, 상기 전측 플런저부(321A) 상에 형성된 상기 스팀 방출부(320A-3)를 통해 성형공간(111)으로 방출되는 것이다.
또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스팀유로(320A-1)는 상기 후측 플런저부(321B)의 가장자리 내부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플런저 스팀 유입부(320A-2)와 연통되는 제1 스팀유로(320A-1A)와, 상기 후측 플런저부(321B) 내부에 방사상 형태로 배치되며, 후측 플런저부(321B)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단부가 상기 제1 스팀유로(320A-1A)와 연통되는 제2 스팀유로(320A-1B)와, 상기 전측 플런저부(321A)의 길이방향 타측에서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스팀유로(320A-1A)와 상기 제2 스팀유로(320A-1B)에 위치되는 스팀이 상기 플런저 스팀 방출부(320A-3)로 이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3 스팀유로(320A-1C)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측 플런저부(321B)가 상기 스팀 분배부(210)에 위치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측 플런저부(321B)의 가장자리에 복수개 형성되는 상기 플런저 스팀 유입부(320A-2)를 통해 상기 제1 스팀유로(320A1-1A)로 스팀이 유입되고, 상기 제1 스팀유로(320A1-1B)로 유입된 스팀은 제1 스팀유로(320A1-1B)가 형성하는 공간 및 제1 스팀유로(320A1-1B)와 연통된 제2 스팀유로(320A-1B)가 형성하는 공간에 고루 분배된 후, 복수개의 상기 제3 스팀유로(320A-1C)를 통해 전측 플런저부(321A)에 형성된 플런저 스팀 방출부(320A-3)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플런저 스팀 방출부(320A-3)는 복수개의 상기 제3 스팀유로(320A-1C)와 동일한 개수를 가져야 하는 것은 물론이며, 도면 상에는 제3 스팀유로(320A-1C)와 플런저 스팀 방출부(320A-3)가 동일한 직경의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플런저 스팀 방출부(320A-3)의 직경 길이가 더 짧게 이루어져 스팀이 더욱 강하게 성형공간(111)에 위치되는 스티로폰 원료로 방출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스티로폼 성형장치는 상기 전측 플런저부(321A)가 상기 후측 플런저부(321B)보다 긴 외경을 가질 경우, 상기 전측 플런저부(321A)의 가장자리에 제2 실린더(320)의 길이방향 타측에서 일측 방향으로 보조 스팀 방출부(321A-1)가 형성되어, 전측 플런저부(321A)의 가장자리와 마주보는 스티로폼 원료에도 스팀이 인가되게 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플런저부(321)가 성형공간((111)에 위치되는 스티로폼(S)을 밀어 배출 시킨 후, 정확한 위치에 복귀하게 하기 위하여, 전측 플런저부(321A)의 외경을 후측 플런저부(321B)의 외경보다 크게 하여 플런저부(321)의 가장자리가 단차진 형상을 가지게 할 경우, 후측 플런저부(321B)의 일측면과 마주보지 못하는 전측 플런저부(321A)의 가장자리와 마주보는 스티로폼 원료로 스팀을 인가할 수 없으므로, 전측 플런저부(321A)의 가장자리에 복수개의 상기 보조 스팀 방출부(321A-1)를 형성하여, 상기 스팀 분배공간(211) 상에 위치되는 스팀이 상기 보조 스팀 방출부(321A-1)를 통해 성형공간(111)으로 방출 가능하게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조 스팀 방출부(321A-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성형공간(111)에 위치된 스티로폼 원료가 보조 스팀 방출부(321A-1)를 막는 폐색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보조 스팀 방출부(321A-1)가 스팀 분배공간(211)과 상기 성형공간(111)을 연통하는 관형의 공극 형상을 가질 경우, 성형공간(111)에 위치된 스티로폼 원료가 미세한 공극을 막을 수 있으므로, 보조 스팀 방출부(321A-1)을 슬릿 형상으로 형성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 한 것이다.
도 6에서는 상기 레진 주입부(400)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도2,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레진 주입부(400)는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성형 몸체(100)에 결합되고, 길이 방향으로 상기 성형공간(111)과 연통되는 제1 통로(411)가 형성되며, 외주면에 상기 제1 통로(411)와 연통되어 상기 제1 통로(411)로 스티로폼 원료를 공급하는 레진 유입부(412)가 형성되는 결합 몸체(410)와, 스티로폼 원료가 상기 레진 유입부(412)와 상기 제1 통로(411)를 거쳐 상기 성형공간(111)으로 유입되는 시점을 조절하는 피스톤(4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420)이 상기 성형 몸체(100)와 결합되는 결합 몸체(410)의 일측에 위치될 경우 히스톤(420)이 스티로폼 원료(R)가 제1 통로(411)를 통해 성형공간(111)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420)이 결합 몸체(410)의 타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레진 유입부(412)를 통해 제1 통로(411)로 유입된 스티로폼 원료(R)가 성형공간(111)으로 이동하는 경로가 개방되므로, 상기 피스톤(420)의 위치를 조절하여 스티로폼 원료(R)가 성형공간(111)으로 주입되는 시점을 조절 가능한 것이다.
또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결합 몸체(410)는 길이방향 일측 가장자리에 상기 스팀 인가부(200)의 스팀이 상기 제1 통로(411)로 유입되는 제2 통로(413)가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420)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에 상기 제2 통로(413)를 통해 유입된 스팀을 상기 성형공간(111)으로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421)가 형성된다.
즉, 스티로폼 원료와 스팀이 동일한 이동경로를 가질 경우 스티로폼 원료가 스팀이 방출되는 공극을 막아 스팀의 이동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스티로폼 원료가 이동하는 경로와 스팀이 이동하는 경로를 서로 개별 형성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결합 몸체(410)의 길이방향 일측은 상기 스팀 분배부(210) 상에 위치되어 상기 제2 통로(413)가 상기 스팀 분배공간(211)과 연통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몸체(100) 상에 스팀이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스팀 파이프를 위치시킬 경우 각각의 상기 제2 통로(413)와 스팀 파이프를 연결하는 방법으로 각각의 제2 통로(413)에 스팀을 주입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조는 장치의 귀성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스팀 분배부(210)를 성형몸체(100)의 내면에 위치시켜 스팀 분배부(210)의 내벽이 성형공간(111)을 형성하게 하고, 스팀이 위치되는 스팀 분배공간(211) 상에 상기 결합 몸체(410)의 길이방향 일측이 위치되도록 하여, 스팀 분배공간(211)에 위치되는 스팀이 자연스럽게 제2 통로(413)로 유입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2 통로(413)는 결합 몸체(310)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에 형성된 슬릿 형상인 것을 권장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42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이 상기 제2 통로(413)와 마주보며, 외경 길이가 상기 결합 몸체(410)의 내경 길이보다 짧게 이루어져 상기 제2 통로(413)를 통해 유입된 스팀이 상기 성형공간(111)으로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단차 가이드부(42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성형공간(111)에 성형될 스티로폼 원료를 주입 후 증기를 성형공간(111)으로 인가하여 스티로폼 원료를 성형하기 위해서는, 상기 피스톤(420)의 길이방향 타측 외경이 상기 제1 통로(411)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져, 피스톤(420)이 길이방향 타측에 위치되는 제1 통로(411)와 길이방향 일측에 위치되는 제1 통로(411)를 구획함과 동시에, 피스톤(420)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가 상기 성형공간(111)을 형성하는 성형 몸체(100)의 내벽 또는 성형 몸체(100)의 내측에 형성되어 성형공간(111)을 형성하는 스팀 분배부(210)의 내벽과 동일평면상에 위치되어야 한다.
이때, 상기 피스톤(420)의 길이방향 타측 외경과 길이방향 일측 외경이 일정할 경우 상기 제2 통로(413)를 통해 유입되는 스팀이 성형공간(111)으로 이동하지 못하므로, 성형공간(111)과 마주보는 피스톤(420)의 길이방향 일측에 제1 통로(411)의 내경 길이보다 짧은 외경 길이를 가지는 상기 단차 가이드부(421-1)를 형성하여, 제2 통로(413)를 통해 피스톤(420)의 길이방향 일측 가장자리로 유입된 스팀이 상기 결합 몸체(410)와 단차 가이드부(321-1)가 형성하는 공간을 통해 성형공간(111)으로 이동 가능하게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420)은 일측에 위치되는 성형공간(111)과 타측에 위치되는 성형공간(111)을 서로 격리시켜야 하므로, 외주면에 둘레 방향으로 오링(O)이 끼워지는 오링 장착 홈(L)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 홈(L) 상에 링 형상의 오링이 장착되어 피스톤(420)과 결합 몸체(410)의 내벽 사이에 형성되는 틈을 밀폐함으로써, 일측에 위치되는 성형공간(111)과 타측에 위치되는 성형공간(111)을 보다 완벽하게 격리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스티로폼 성형장치는 상기 성형공간(111)과 마주보는 상기 피스톤(420)의 일면에 피스톤(420)의 가장자리에서 중심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슬릿 가이드부(42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결합 몸체(410)와 단차 가이드부(421-1)가 형성하는 공간을 통해 스팀이 상기 성형공간(111)으로 방출되는 경우, 방출되는 스팀이 단차 가이드부(421-1)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하여 링 형상으로 성형공간(111)에 위치되는 스티로폼 원료에 방출되어, 피스톤(420)의 중심축에 위치되는 스티로폼 원료에 스팀이 인가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피스톤(420)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에 가장자리에서 중심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결합 몸체(410)와 단차 가이드부(421-1)가 형성하는 공간을 통해 성형공간(111)으로 이동하는 스팀 중 일부를 피스톤(420)의 중심으로 가이드 하는 제1 슬릿 가이드부(421-2)를 형성하여 준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인 스티로폼 성형장치는 스티로폼 원료와 스팀이 성형공간(111)으로 유입되는 별도의 경로를 가져 스티로폼 원료가 스팀이 방출되는 공극을 막는 문제점을 해소 가능할 뿐만 아니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420)이 상기 성형공간(111)을 형성하는 상기 몸체(100) 또는 스팀 분배부(210)의 내벽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될 경우에도 레진 주입부(400)와 마주보는 위치의 스티로폼 원료에 스팀을 분사 가능한 것이다.
또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슬릿 가이드부(421-2)는 상기 피스톤(420)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 슬릿(421A-2)이 모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1 슬릿(421A-2)은 상기 피스톤(420)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피스톤(420)의 중심축에 인접할수록 피스톤(420)의 길이방향 타측에서 길이방향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곡선 형상일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 슬릿(421A-2)을 피스톤(42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 형태로 배치하여, 제1 슬릿(421A-2)을 타고 이동하는 스팀이 피스톤(420)의 중심축에서 서로 부딪혀 분산되어 제한된 영역에 집중되지 않고 피스톤(420)과 마주보는 스티로폼 원료를 향해 고루 퍼져 나갈 수 있게 하되, 제1 슬릿(421A-2)을 곡선 형상으로 형성하여 피스톤(420)의 중심축에서 부딪히는 스팀이 형성하는 각도를 최소화함으로써,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가지는 스팀이 부딪히며 스팀이 스티로폼 원료로 이동하려는 힘이 상쇄되는 것을 최소화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 슬릿(421A-2)은 상기 피스톤(420)의 중심축을 지나며 서로 교차되는 제1-1 슬릿(421A-2A)과, 상기 피스톤(420)의 중심축과 인접한 단부가 피스톤(420)의 중심축과 일정거리 이격되는 제1-2 슬릿(421A-2B)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1 슬릿(421A-2A)을 따라 피스톤(420)의 중심축으로 이동하는 스팀이 서로 부딪히는 제1 교차영역과, 제1-2 슬릿(421A-2B)을 따라 피스톤(420)의 중심축으로 이용하는 스팀이 서로 부딪히는 제2 교차영역이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게 하여, 제1-1 슬릿(421A-2A)을 따라 이동하는 스팀과 제1-2 슬릿(421A-2B)을 따라 이동하는 슬릿이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되는 스티로폼 원료에 스팀을 인가 가능하게 한 것이다.
그리고,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스티로폼 성형장치의 상기 가이드부(421)는 외주면이 상기 제2 통로(413)와 마주보며, 외경 길이가 상기 결합 몸체(410)의 내경 길이보다 짧게 이루어져 상기 제2 통로(413)를 통해 유입된 스팀이 상기 성형공간(111)으로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단차 가이드부(421-1)와, 상기 성형공간(111)과 마주보는 상기 피스톤(420)의 일면에 격자 구조로 형성되는 제2 슬릿 가이드부(42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2 슬릿 가이드부(421-3)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제2 슬릿(421-3A)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 구조를 형성하도록 교차 배열하여, 제2 슬릿(421-3A)이 서로 교차되는 모든 교차위치에서 스팀이 스티로폼 원료를 향하여 방출 가능하게 한 것이다.
아울러, 도면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각각의 상 제2 슬릿(421-3A)이 서로 교차되는 교차지점에는, 제2 슬릿(421-3A)의 폭방향 길이보다 짧은 직경을 가지는 반구 형상의 돌기가 형성되어, 서로 다른 제2 슬릿(421-3A)이 교차되는 지점에서 스팀이 스티로폼 원료를 향하여 방출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R : 스티로폼 원료
100 : 성형몸체
110 : 제1 성형몸체 111 : 성형공간
120: 제2 성형 몸체
200 : 스팀 인가부 210 : 스팀 분배부
211 : 스팀 분배공간
220 : 스팀 공급부 230 : 스팀 방출부
300: 실린더부
310 : 제1 실린더 320 : 제2 실린더
320A : 스팀 방출부
320A-1 : 스팀유로 320A-1A : 제1 스팀유로
320A-1B : 제2 스팀유로 320A-1C : 제3 스팀유로
320A-2 플런저 스팀 유입부
320A-3 : 플런저 스팀 방출부
321 : 플런저부 321A : 전측 플런저부
321B : 후측 플런저부
322 : 플런저 운동부
400 : 레진 주입부

Claims (9)

  1. 내부에 유입된 스티로폼 원료(R)가 성형되는 성형공간(111)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성형공간(111)과 외부가 연통되는 연통부(112)가 형성되는 제1 성형 몸체(110)와, 상기 연통부(112)를 개폐하는 제2 성형 몸체(120)로 구성되는 성형몸체(100);
    상기 성형공간(111)에 스팀을 인가하는 스팀 인가부(200); 및
    상기 제2 성형 몸체(120)의 이동을 조절하는 제1 실린더(310)와, 상기 성형공간(111)에 위치된 생산품을 밀어 상기 연통부(112)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 실린더(320)로 구성되는 실린더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실린더(320)에 상기 성형공간(111)으로 스팀을 방출하는 스팀 방출부(320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 실린더(320)는 상기 성형공간(111)에 위치된 생산품을 미는 플런저부(321)와, 상기 플런저부(321)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플런저 운동부(322)를 포함하며,
    상기 스팀 방출부(320A)는 상기 플런저부(321) 내부에 형성된 스팀유로(320A-1)로 스팀이 유입되는 플런저 스팀유입부(320A-2)와, 상기 스팀유로(320A-1)에 위치된 스팀이 상기 성형공간(111)으로 방출되는 플런저 스팀 방출부(320A-3)를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부(321)는 상기 성형공간(111)과 마주보는 일측에 위치되는 전측 플런저부(321A)와, 상기 플런저부(321)의 후측에 결합되는 후측 플런저부(321B)를 포함하며,
    상기 후측 플런저부(321B)의 내부에 상기 스팀유로(320A-1)가 형성되고, 상기 후측 플런저부(321B)의 외주면에 상기 스팀 인가부(200)를 통해 상기 스팀유로(320A-1)로 스팀이 유입되는 상기 플런저 스팀유입부(320A-2)가 형성되며, 상기 전측 플런저부(321A)에 상기 스팀유로(320A-1)와 상기 성형공간(111)을 연통하는 상기 플런저 스팀 방출부(320A-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로폼 성형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 플런저부(321A)의 외경 길이가 상기 후측 플런저부(321B)의 외경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로폼 성형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유로(320A-1)는 상기 후측 플런저부(321B)의 가장자리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플런저 스팀유입부(320A-2)와 연통되는 제1 스팀유로(320A-1A)와,
    상기 후측 플런저부(321B) 내부에 방사상 형태로 배치되며, 후측 플런저부(321B)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단부가 상기 제1 스팀유로(320A-1A)와 연통되는 제2 스팀유로(320A-1B)와,
    상기 전측 플런저부(321A)의 길이방향 타측에서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스팀유로(320A-1A)와 상기 제2 스팀유로(320A-1B)에 위치되는 스팀이 상기 플런저 스팀 방출부(320A-3)로 이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3 스팀유로(320A-1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로폼 성형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인가부(200)는 상기 성형몸체(100)의 내면에 상기 성형공간(111)을 감싸며 배치되고, 내부에 스팀 분배공간(211)이 형성되는 스팀 분배부(210)와, 상기 스팀 분배부(210)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부(220)와, 상기 스팀 분배공간(211)에 위치된 스팀을 상기 성형공간(111)으로 방출하는 스팀 방출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로폼 성형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부(321)가 상기 스팀 분배부(210)에 위치되어 상기 스팀 분배공간(211)과 상기 플런저 스팀 유입부(320A-2)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로폼 성형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공간(111)과 마주보는 상기 전측 플런저부(321A)의 단부가 상기 스팀 분배부(210)의 내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어 스팀 분배부(210)와 함께 상기 성형공간(111)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로폼 성형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공간(111)으로 상기 스티로폼 원료(R)를 주입하는 레진 주입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레진 주입부(400) 상에 상기 성형공간(111)으로 스티로폼 원료가 이동하는 경로와, 상기 스팀 인가부(200)에서 상기 성형공간(111)으로 스팀이 이동하는 경로가 서로 개별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로폼 성형장치.
KR1020180011381A 2018-01-30 2018-01-30 스티로폼 성형장치 KR101940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381A KR101940226B1 (ko) 2018-01-30 2018-01-30 스티로폼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381A KR101940226B1 (ko) 2018-01-30 2018-01-30 스티로폼 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0226B1 true KR101940226B1 (ko) 2019-01-18

Family

ID=65323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381A KR101940226B1 (ko) 2018-01-30 2018-01-30 스티로폼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022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344Y2 (ja) * 1987-10-30 1994-08-24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原料充填器を備えた発泡成形機
KR200209122Y1 (ko) * 1998-10-31 2001-01-15 윤종용 스티로폴 성형금형의 밀핀 스팀 공급장치
KR20090121730A (ko) 2008-05-22 2009-11-26 삼일화학주식회사 스티로폼 성형물 성형장치
KR20090121732A (ko) * 2008-05-22 2009-11-26 삼일화학주식회사 스티로폼 성형물 성형장치
JP2011104784A (ja) * 2009-11-12 2011-06-02 Kaneka Corp 型内成形用充填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344Y2 (ja) * 1987-10-30 1994-08-24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原料充填器を備えた発泡成形機
KR200209122Y1 (ko) * 1998-10-31 2001-01-15 윤종용 스티로폴 성형금형의 밀핀 스팀 공급장치
KR20090121730A (ko) 2008-05-22 2009-11-26 삼일화학주식회사 스티로폼 성형물 성형장치
KR20090121732A (ko) * 2008-05-22 2009-11-26 삼일화학주식회사 스티로폼 성형물 성형장치
JP2011104784A (ja) * 2009-11-12 2011-06-02 Kaneka Corp 型内成形用充填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4556B2 (en) Co-injection apparatus for injection molding
US5891381A (en) Co-injection method apparatus for injection molding
US7329112B2 (en) Injection molding system for injection molding a plurality of materials
US10828813B2 (en) Co-injection nozzle for an injection moulding device for producing multi-layered injection-moulded products
JP2006297933A (ja) 射出成形ノズル
JP6633074B2 (ja) 逆流バリアを一体に備えた共射出成形ノズル
JPH01159219A (ja) 使い捨て注射器シリンダを製造するための熱流路−射出成形工具
KR101940226B1 (ko) 스티로폼 성형장치
US2367144A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US2500401A (en) Nozzle head for injection molding
KR101881154B1 (ko) 스티로폼 성형장치
JPH05212759A (ja) インジェクションノズル
US3758248A (en) Injection plastic feeder
JPH02229017A (ja) 射出成形法及び射出成形ノズル構造
JPH02119963A (ja) 気体流体で液体を送り出す噴射装置
KR20060095329A (ko) 합성수지 사출성형용 믹싱코어 및 이를 채용한 노즐장치
US20060088619A1 (en) Injection molding nozzle
JP4388923B2 (ja) 管状の部材の製造のための装置
EP0339753A1 (en) Die and an injection mould for injection moulding with two components
JPS6227377Y2 (ko)
KR101945982B1 (ko) 히트 스프레더를 적용한 핫 런너 시스템
EP0868582B1 (en) Spray nozzle
KR101913796B1 (ko) 발포성형기의 원료공급장치
WO1998013188A9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injection of plastic articles
CN104841305A (zh) 用于混合和喷射流体的方法和喷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