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7634B1 - 스마트재해대비함을 이용한 재해대비자재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재해대비함을 이용한 재해대비자재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7634B1
KR101937634B1 KR1020160089953A KR20160089953A KR101937634B1 KR 101937634 B1 KR101937634 B1 KR 101937634B1 KR 1020160089953 A KR1020160089953 A KR 1020160089953A KR 20160089953 A KR20160089953 A KR 20160089953A KR 101937634 B1 KR101937634 B1 KR 101937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ster
weight
controller
measurement
iden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9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8103A (ko
Inventor
최승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프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프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프로
Priority to KR1020160089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7634B1/ko
Publication of KR20180008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8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7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7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재해대비함을 이용한 재해대비자재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해대비자재가 수용되기 위한 수용공간부를 갖고, 해당 지역에 복수 개 설치되는 재해대비함, 상기 각 재해대비함에 수용된 재해대비자재의 중량을 실시간 측정하도록 각 재해대비함에 구비되는 측정모듈, 상기 각 측정모듈의 실시간 측정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재해대비함에 수용된 재해대비자재의 중량을 연산하고, 제어하기 위한 중량제어부, 상기 각 중량제어부의 측정값을 수신하여 각 재해대비함에 수용된 재해대비자재의 중량을 확인하기 위한 관제소, 및 상기 각 중량제어부의 신호를 상기 관제소로 송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넓은 지역 걸쳐 설치된 각 재해대비함에 수용된 재해대비자재량을 관제소에서 실시간 확인할 수 있어 종래 관리자가 직접 이동하며 직접확인하는 불편함을 해소하여 재해대비자재량이 부족한 재해대비함을 확인하여 해당 재해대비함에 대해 신속히 충진할 수 있어 관리가 용이함은 물론,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재해대비함을 이용한 재해대비자재 관리시스템{Snow-removal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mart snow removal}
본 발명은 재해대비자재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설 결빙지역이나 강우량이 많은 지역 등 일반적으로 설치된 재해대비함에 수용된 재해대비자재량을 실시간 확인하여 관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마트재해대비함을 이용한 재해대비자재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겨울철 눈이 쌓이거나 빙판진 곳에 제설과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서 염화칼슘 또는 모래를 살포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도로 곳곳에 모래 비닐이나 염화칼슘이 보관된 재해대비함을 구비해 왔다.
이러한 모래나 염화칼슘이 보관된 재해대비함은 특히 결빙이 빨리 찾아오는 고가도로, 산길 및 경사길과 같은 장소에 차량의 미끄럼 방지를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재해대비함은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8240호에 개진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이나 목재를 이용하여 제작되어 배치되거나 비닐이나 포대 등에 충진되어 배치되며, 결빙 예상 시, 작업자가 도로나 길에 뿌려 제설을 실시하게 된다.
물론, 제설차량을 이용하여 제설을 실시하지만, 제설차량의 운영이 용이하지 않음은 물론, 각 제설차량에 적재할 수 있는 용량의 한계가 있다.
이러한 제설차량의 재해대비자재를 보충하거나, 즉각 누구든지 사용을 하기 위해 재해대비함이 배치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사용 후, 각 재해대비함에 재해대비자재를 충진하는 작업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각 재해대비함의 관리가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간, 비용 관리, 누락 등의 문제 발생 하고, 도난의 문제 등에 의해 상시 재해대비자재를 충진하지 못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각 재해대비함의 재해대비자재량을 원거리에서 용이하게 확인하여 신속하게 대처함은 물론, 도난 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시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재해대비자재가 수용되기 위한 수용공간부를 갖고, 해당 지역에 복수 개 설치되는 재해대비함, 상기 각 재해대비함에 수용된 재해대비자재의 중량을 실시간 측정하도록 각 재해대비함에 구비되는 측정모듈, 상기 각 측정모듈의 실시간 측정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재해대비함에 수용된 재해대비자재의 중량을 연산하고, 제어하기 위한 중량제어부, 상기 각 중량제어부의 측정값을 수신하여 각 재해대비함에 수용된 재해대비자재의 중량을 확인하기 위한 관제소, 및 상기 각 중량제어부의 신호를 상기 관제소로 송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여 적설량이 많고, 결빙이 잘되는 지역에 설치된 각 재해대비함에 수용된 재해대비자재량을 관제소에서 실시간 확인할 수 있어 종래 관리자가 직접 이동하며 직접확인하는 불편함을 해소하여 재해대비자재량이 부족한 재해대비함을 확인하여 해당 재해대비함에 대해 신속히 충진할 수 있어 관리가 용이함은 물론,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마트재해대비함을 이용한 재해대비자재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재해대비자재가 수용되기 위한 수용공간부를 갖고, 해당 지역에 복수 개 설치되는 재해대비함, 상기 각 재해대비함에 수용된 재해대비자재의 중량을 실시간 측정하도록 각 재해대비함에 구비되는 측정모듈, 상기 각 측정모듈의 실시간 측정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재해대비함에 수용된 재해대비자재의 중량을 연산하고, 제어하기 위한 중량제어부, 상기 각 중량제어부의 측정값을 수신하여 각 재해대비함에 수용된 재해대비자재의 중량을 확인하기 위한 관제소, 및 상기 각 중량제어부의 신호를 상기 관제소로 송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재해대비함은, 내부에 재해대비자재가 수납되는 재해대비함, 및 내부에 모래가 수납되는 적사함,을 포함하고, 상기 적설함과 적사함이 각각 하나 이상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적사함은, 모래가 직접 수납되거나 모래주머니에 담긴 상태로 수납된다.
또한, 상기 중량제어부는, 상기 각 측정모듈의 실시간 측정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재해대비함의 재해대비자재의 중량을 연산하기 위한 중량연산부, 및 상기 중량연산부에서 연산된 해당 재해대비자재 중량으로부터 재해대비자재량을 산출하기 위한 적제량산출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관제소는, 수신된 각 재해대비함의 재해대비자재량을 기설정된 적정재고량과 비교하여 재해대비자재량이 적정재고량 미만일 경우, 해당 재해대비함에 대한 충진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관제소는 각 재해대비함의 최대수용용량을 갖고, 상기 적정재고량이 각 재해대비함의 해당 최대수용용량의 일정 퍼센트 미만일 경우, 해당 재해대비함에 대한 제2충진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충진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휴대용단말기가 더 포함되고, 상기 통신부는 해당 충진신호에 대응되는 휴대용단말기로 충진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상기 관제소는, 해당 기관과 연계되어 해당 지역의 날씨에 따라 상기 적정재고량을 보정한다.
그리고 상기 관제소에 실시간 수신된 각 재해대비함의 재해대비자재량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유선 또는 무선이다.
그리고 상기 재해대비함의 수용공간부는 복수 개 구획되고, 상기 각 수용공간부는 각각 재해대비자재가 수용되어 각각의 수용량을 측정한다.
또한, 상기 측정모듈은, 복수의 로드셀(load cell), 상기 각 로드셀에서 측정된 측정신호를 송신하여 중량을 연산하는 측정연산부, 및 상기 측정연산부를 제어하기 위한 측정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측정모듈은, 재해대비함에 복수 개 형성되되, 각 측정모듈은 각각의 식별ID를 갖는다.
또한, 상기 측정모듈은, 상기 중량제어부와 송수신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측정모듈 중 어느 하나의 측정모듈로 식별ID 요청신호를 송신하며, 요청신호를 수신한 어느 하나의 측정모듈은 해당 식별ID를 상기 컨트롤러로 송신하고, 동시에, 상기 어느 하나의 측정모듈은 연결된 인접한 다른 측정모듈로 식별ID 요청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식별ID 요청신호를 송신한 다른 측정모듈은 해당 식별ID를 상기 컨트롤러로 송신하는 동시에, 다른 측정모듈과 연결된 인접한 또 다른 측정모듈로 식별ID 요청신호를 송신하고, 계속하여 이를 반복하되, 상기 컨트롤러에서 식별ID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마지막 수신된 식별ID에 해당되는 측정모듈을 마지막 측정모듈로 판단하여 연결된 모든 측정모듈의 해당 식별ID를 확인한다.
또한, 상기 로드셀은 각각의 식별ID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로드셀 중 어느 하나의 로드셀로 식별ID 요청신호를 송신하며, 요청신호를 수신한 어느 하나의 로드셀은 해당 식별ID를 상기 컨트롤러로 송신하고, 동시에, 상기 어느 하나의 로드셀은 연결된 인접한 다른 로드셀로 식별ID 요청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식별ID 요청신호를 송신한 다른 로드셀은 해당 식별ID를 상기 컨트롤러로 송신하는 동시에, 다른 로드셀과 연결된 인접한 또 다른 로드셀로 식별ID 요청신호를 송신하고, 계속하여 이를 반복하되, 상기 컨트롤러에서 식별ID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마지막 수신된 식별ID에 해당되는 로드셀을 마지막 로드셀로 판단하여 연결된 모든 로드셀의 해당 식별ID를 확인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재해대비함을 이용한 재해대비자재 관리시스템에 의하면, 각 재해대비함에 수용된 재해대비자재량을 관제소에서 실시간 확인할 수 있어 종래 관리자가 직접 이동하며 직접확인하는 불편함을 해소하여 재해대비자재량이 부족한 재해대비함을 확인하여 해당 재해대비함에 대해 신속히 충진할 수 있어 관리가 용이함은 물론,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재해대비함을 이용한 재해대비자재 관리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해대비자재 관리시스템의 관리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적설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모듈들의 영역설정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로드셀의 영역설정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재해대비함을 이용한 재해대비자재 관리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해대비자재 관리시스템의 관리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적설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모듈들의 영역설정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로드셀의 영역설정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재해대비함을 이용한 재해대비자재 관리시스템은 재해대비함(100)과 측정모듈(200), 중량제어부(300), 관제소(400) 및 통신부(500)를 포함한다.
재해대비함(100)은 재해대비자재가 수용되기 위한 수용공간부(110)를 갖고, 해당 지역에 복수 개 설치된다.
여기서, 재해대비함(100)은 내부에 재해대비자재가 수납되는 제설함(110) 및 내부에 모래가 수납되는 적사함(120)을 포함하고, 제설함(110)에 수납되는 재해대비자재는 염화칼슘, 염화나트륨, 알카오 등이며, 적사함(120)은 모래가 직접 수납되거나 모래주머니에 담긴 상태로 수납되되, 제설 기능을 할 수 있는 자재라면 사용 가능함이 당연하다.
이러한 재해대비함(100)인 적설함(110)과 적사함(120)은 해당 지역에 미리 설치된 것과 새로 설치되는 것을 모든 포함하는 것으로, 각각 하나 이상 배치된다.
그리고 측정모듈(200)은 각 재해대비함(100)에 수용된 재해대비자재의 중량을 실시간 측정하도록 각 재해대비함(100)에 구비된다.
중량제어부(300)는 각 측정모듈(200)의 실시간 측정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재해대비함(100)에 수용된 재해대비자재의 중량을 연산하고, 제어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관제소(400)는 각 중량제어부(300)의 측정값을 수신하여 각 재해대비함(100)에 수용된 재해대비자재의 중량을 확인하기 위해 구비된다.
통신부(500)는 각 중량제어부(300)의 신호를 관제소(400)로 송신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유선과 무선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통신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마트한재해대비함을 이용한 재해대비자재 관리시스템에 의하면, 배치된 각 재해대비함(100)에 수용된 재해대비자재량을 관제소(400)에서 실시간 확인할 수 있어 부족한 재해대비자재를 충진함은 물론, 재해대비자재가 도난당하는 것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신속히 대처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중량제어부(300)는 중량연산부(310)와 적제량산출부(320)로 구성된다.
중량연산부(310)는 각 측정모듈(200)의 실시간 측정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재해대비함(100)의 재해대비자재의 중량을 연산한다.
그리고 적제량산출부(320)는 중량연산부(310)에서 연산된 해당 재해대비자재 중량으로부터 재해대비자재량을 산출한다.
이에, 각 재해대비함(100)의 재해대비자재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관제소(400)는 수신된 각 재해대비함(100)의 재해대비자재량을 기설정된 적정재고량과 비교하여 재해대비자재량이 적정재고량 미만일 경우, 해당 재해대비함(100)에 대한 충진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관제소(400)는 각 재해대비함(100)의 최대수용용량을 갖고, 적정재고량이 각 재해대비함(100)의 해당 최대수용용량의 일정 퍼센트 미만일 경우, 해당 재해대비함(100)에 대한 제2충진신호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관제소(400)는 충진신호와 제2충진신호를 상황에 따라 발생시키는 것으로, 평상시의 경우, 충진신호를 발생시켜 각 재해대비함(100)을 관리한다.
그리고 폭우나 폭설 등의 기상예보가 있을 경우, 제2충진신호를 발생시켜 사전에 대비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충진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휴대용단말기(600)가 더 포함된다.
이 휴대용단말기(600)는 관리자가 휴대하는 것으로, 충진이 필요할 경우, 관제소(400)에서 발생된 충진신호를 통신부(500)를 통해 대응되는 휴대용단말기(600)로 수신하여 재해대비함(100)을 재해대비자재로 충진시킨다.
물론, 이 충진신호는 중간관리자도 수신함이 바람직하며, 담당관리자가 재해대비자재를 충진 후, 중간관리자에게 충진완료신호나 메세지를 발송하여 재해대비자재 충진을 중간관리자에게 실시간 보고함이 바람직하며, 중간관자리 역시, 팀장이나 그 보다 윗사람에게 실시간 보고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관제소(400)는 해당 기관과 연계되어 해당 지역의 날씨에 따라 적정재고량을 보정한다.
여기서, 해당 기관은 지역에 설치된 정부기관이나 사설기관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기상청 등이 있다.
다시 말해, 폭우나 폭설 등의 평균치보다 많은 비나 눈이 올 경우, 이에 신속하게 대비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관제소(400)에 실시간 수신된 각 재해대비함(100)의 재해대비자재량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700)가 더 포함된다.
또한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재해대비함(100)의 수용공간부(102)는 복수 개 구획되고, 각 수용공간부(110)는 각각 재해대비자재가 수용되어 각각의 수용량을 측정한다.
다시 말해, 각 수용공간부(102)는 하나의 측정모듈(200)이 구비되거나 각각의 측정모듈(200)이 구비되어 수용된 재해대비자재의 중량을 각각 측정하게 된다.
한편, 재해대비함(100)은 측정모듈(200)이 복수 개 구비되어 중량 측정을 위해 설정된 측정모듈(200)들에 의해 재해대비자재량을 실시간 측정하게 된다.
이러한 각 측정모듈(200)은 각각의 식별ID를 갖는 것으로, 관제소(400)는 설치되는 측정모듈(200)과 해당 재해대비함(100)의 정보를 함께 저장하여 관리함이 당연하며, 해당 재해대비함(100)에 측정모듈(200)의 정보를 표시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측정모듈(200)은 도 4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로드셀(load cell:210)과 측정연산부(220) 및 측정제어부(230)로 구성된다.
측정연산부(220)는 각 로드셀(210)에서 측정된 측정신호를 송신하여 중량을 연산하며, 측정제어부(230)는 측정연산부(220)를 제어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측정모듈(200)은 중량제어부(300)와 송수신하기 위한 컨트롤러(240)를 더 포함한다.
이 컨트롤러(240)는 복수 개 배열된 측정모듈(200)을 확인하여 하나의 영역으로 설정하게 된다.
다시 말해,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영역에 배치된 제설함(110)들과 적사함(120)들에 설치된 측정모듈(200)들의 영역을 설정하여 확인하고자 하는 중량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러(240)는 복수의 측정모듈(200) 중 어느 하나의 측정모듈로 식별ID 요청신호를 송신한다.
그리고 요청신호를 수신한 어느 하나의 측정모듈은 해당 식별ID를 컨트롤러(240)로 송신하고, 동시에, 어느 하나의 측정모듈은 연결된 인접한 다른 측정모듈로 식별ID 요청신호를 송신한다.
식별ID 요청신호를 송신한 다른 측정모듈은 해당 식별ID를 컨트롤러(240)로 송신하는 동시에, 다른 측정모듈과 연결된 인접한 또 다른 측정모듈로 식별ID 요청신호를 송신한다.
계속하여 이를 반복하되, 컨트롤러(240)에서 식별ID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마지막 수신된 식별ID에 해당되는 측정모듈을 마지막 측정모듈로 판단하여 연결된 모든 측정모듈의 해당 식별ID를 확인한다.
이에, 해당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측정모듈(200)을 하나 또는 복수 개로 구획하기 위한 것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측정모듈일 경우, 배치 위치와 무관하게 영역으로 구획할 수 있다.
이러한 식별ID 확인과정과 측정신호 송수신은 센서모트를 이용하여 송수신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로드셀(load cell:210)은 복수 개로, 각각의 식별ID를 갖는다.
이 컨트롤러(240)는 측정모듈(200)에 배열된 복수의 로드셀(210)을 확인하여 하나의 영역으로 설정하게 된다.
더욱 자세히 살펴보면, 컨트롤러(240)는 복수의 로드셀(210) 중 어느 하나의 로드셀로 식별ID 요청신호를 송신한다.
그리고 요청신호를 수신한 어느 하나의 로드셀은 해당 식별ID를 컨트롤러(240)로 송신하고, 동시에, 어느 하나의 로드셀은 연결된 인접한 다른 로드셀로 식별ID 요청신호를 송신한다.
식별ID 요청신호를 송신한 다른 로드셀은 해당 식별ID를 컨트롤러(240)로 송신하는 동시에, 다른 로드셀과 연결된 인접한 또 다른 로드셀로 식별ID 요청신호를 송신한다.
계속하여 이를 반복하되, 컨트롤러(240)에서 식별ID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마지막 수신된 식별ID에 해당되는 로드셀을 마지막 로드셀로 판단하여 연결된 모든 로드셀의 해당 식별ID를 확인한다.
이에, 하나의 측정모듈(200)에 배열된 복수의 로드셀(210)을 하나 또는 복수 개로 구획하기 위한 것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로드셀일 경우, 배치 위치와 무관하게 영역으로 구획할 수 있다.
이러한 식별ID 확인과정과 측정신호 송수신은 센서모트를 이용하여 송수신됨이 바람직하다.
100 : 재해대비함 200 : 측정모듈
300 : 중량제어부 400 : 관제소
500 : 통신부 600 : 휴대용단말기
700 : 데이터베이스

Claims (7)

  1. 자연재해에 대비하기 위한 재해대비자재가 수납되고, 해당 지역에 복수 개 설치되는 재해대비함;
    상기 각 재해대비함에 수용된 재해대비자재의 중량을 실시간 측정하도록 재해대비함에 구비되는 측정모듈;
    상기 각 측정모듈의 실시간 측정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재해대비함에 수용된 재해대비자재의 중량을 연산하고, 제어하기 위한 중량제어부;
    상기 각 중량제어부의 측정값을 수신하여 각 재해대비함에 수용된 재해대비자재의 중량을 확인하기 위한 관제소; 및
    상기 각 중량제어부의 신호를 상기 관제소로 송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모듈은,
    각각의 식별ID를 갖는 복수의 로드셀(load cell);
    상기 각 로드셀에서 측정된 측정신호를 송신하여 중량을 연산하는 측정연산부;
    상기 측정연산부를 제어하기 위한 측정제어부; 및
    상기 중량제어부와 송수신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측정모듈에 배열된 복수의 로드셀을 하나 또는 복수 개로 구획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로드셀 중 어느 하나의 로드셀로 식별ID 요청신호를 송신하며, 요청신호를 수신한 어느 하나의 로드셀은 해당 식별ID를 상기 컨트롤러로 송신하고, 동시에, 상기 어느 하나의 로드셀은 연결된 인접한 다른 로드셀로 식별ID 요청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식별ID 요청신호를 송신한 다른 로드셀은 해당 식별ID를 상기 컨트롤러로 송신하는 동시에, 다른 로드셀과 연결된 인접한 또 다른 로드셀로 식별ID 요청신호를 송신하고,
    계속하여 이를 반복하되, 상기 컨트롤러에서 식별ID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마지막 수신된 식별ID에 해당되는 로드셀을 마지막 로드셀로 판단하여 연결된 모든 로드셀의 해당 식별ID를 확인하며,
    상기 중량제어부는,
    상기 각 측정모듈의 실시간 측정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재해대비함의 재해대비자재의 중량을 연산하기 위한 중량연산부; 및
    상기 중량연산부에서 연산된 해당 재해대비자재 중량으로부터 재해대비자재량을 산출하기 위한 적제량산출부;를 포함하는 스마트재해대비함을 이용한 재해대비자재 관리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소는,
    수신된 각 재해대비함의 재해대비자재량을 기설정된 적정재고량과 비교하여 재해대비자재량이 적정재고량 미만일 경우, 해당 재해대비함에 대한 충진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재해대비함을 이용한 재해대비자재 관리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소는 각 재해대비함의 최대수용용량을 갖고,
    상기 적정재고량이 각 재해대비함의 해당 최대수용용량의 일정 퍼센트 미만일 경우, 해당 재해대비함에 대한 제2충진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재해대비함을 이용한 재해대비자재 관리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휴대용단말기가 더 포함되고,
    상기 통신부는 해당 충진신호에 대응되는 휴대용단말기로 충진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재해대비함을 이용한 재해대비자재 관리시스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소에 실시간 수신된 각 재해대비함의 재해대비자재량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가 더 포함되는 스마트재해대비함을 이용한 재해대비자재 관리시스템.
KR1020160089953A 2016-07-15 2016-07-15 스마트재해대비함을 이용한 재해대비자재 관리시스템 KR101937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953A KR101937634B1 (ko) 2016-07-15 2016-07-15 스마트재해대비함을 이용한 재해대비자재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953A KR101937634B1 (ko) 2016-07-15 2016-07-15 스마트재해대비함을 이용한 재해대비자재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8103A KR20180008103A (ko) 2018-01-24
KR101937634B1 true KR101937634B1 (ko) 2019-01-11

Family

ID=61029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9953A KR101937634B1 (ko) 2016-07-15 2016-07-15 스마트재해대비함을 이용한 재해대비자재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763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48921B1 (ja) * 2014-07-30 2015-07-15 株式会社日立システムズエンジニアリングサービス 物品管理システム
KR101631472B1 (ko) * 2015-03-09 2016-06-17 엠엘엑스(주) 제설장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48921B1 (ja) * 2014-07-30 2015-07-15 株式会社日立システムズエンジニアリングサービス 物品管理システム
WO2016016965A1 (ja) * 2014-07-30 2016-02-04 株式会社日立システムズエンジニアリングサービス 物品管理システム
KR101631472B1 (ko) * 2015-03-09 2016-06-17 엠엘엑스(주) 제설장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8103A (ko) 2018-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6124B1 (ko) 스마트단말기를 이용한 이동식 축중기 시스템
JP5695217B1 (ja) 鉱山機械の管理システム及び鉱山機械の管理システムの管理方法
CN102780772B (zh) 一种物流定位认证监测系统及其工作方法
CN108197875A (zh) 一种危化品运输管理系统
CN104796450A (zh) 一种新能源车车联网系统
CN108513560A (zh) 管制空域中的无人飞行载具
CN101612948A (zh) 自轮运转特种设备运行安全综合监控方法及其监控装置
CN109754595B (zh) 车辆风险的评估方法、装置及接口设备
CN108171889B (zh) 一种用于共享交通工具运营系统的快速维护系统及维护方法
CN110568877A (zh) 冷链商品运输过程中的温度监测及控制方法、系统
CN105260864A (zh) 基于频谱感知的云物流监控系统及监控方法
US20120239588A1 (en) System and method of determining freight/load distribution for multiple vehicles
CN106991776A (zh) 一种基于nb‑iot无线协议的井盖倾斜报警系统
CN103093330A (zh) 基于低轨卫星双向通讯的集装箱管理系统
CN108364473A (zh) 一种超限不停车检测匹配系统及方法
KR101937634B1 (ko) 스마트재해대비함을 이용한 재해대비자재 관리시스템
CN104090517A (zh) 一种智能环卫车辆监管系统
KR101452784B1 (ko) 이동식 작업차량을 이용한 실시간 현장 영상 중계 시스템 및 영상 중계 방법
CN107453453A (zh) 共享物流箱充电控制系统以及方法
CN207498043U (zh) 油罐车卸油管理系统及卸油站
RU2648967C1 (ru) Система учёта, навигации и мониторинга объектов
CN109532831A (zh) 一种车辆速度控制方法及其相关装置
CN108759850A (zh) 新能源汽车充电导航系统
CN203011355U (zh) 基于北斗兼容型的铁路桥梁状态监测系统
CN211349120U (zh) 冷链商品运输过程中的温度监测及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