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7175B1 - 와이어를 이용한 관절 제어가 가능한 인형 - Google Patents
와이어를 이용한 관절 제어가 가능한 인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37175B1 KR101937175B1 KR1020170119391A KR20170119391A KR101937175B1 KR 101937175 B1 KR101937175 B1 KR 101937175B1 KR 1020170119391 A KR1020170119391 A KR 1020170119391A KR 20170119391 A KR20170119391 A KR 20170119391A KR 101937175 B1 KR101937175 B1 KR 1019371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 skeleton
- doll
- notch
- outer ski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4—Dolls with deformable framework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와이어를 이용한 관절 제어가 가능한 인형은 각종 동물 또는 특정 캐릭터의 모양을 형성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외면을 커버하는 외피부, 상기 몸체부의 골격을 형성하며, 상기 골격의 움직임을 유도하는 노치(notch)가 형성된 골격부, 및 상기 외피부에 직조되어 상기 골격의 움직임을 유도하는 와이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프트한 소재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기존의 인형처럼 귀엽고 포근하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게 하면서도 와이어를 이용한 관절 제어를 통해 원하는 방향대로 다양한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는 와이어를 이용한 관절 제어가 가능한 인형에 관한 것이다.
치매환자 등의 치료를 목적으로 인형을 사용하는 치료 방법이 적용되고 있으나, 종래의 치료용 인형에서는, 인형의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 크랭크, 링크 등의 구조물이 인형의 내부에 구비되어야 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38438호에서는 강아지가 앉거나 혹은 일어서는 동작을 구현하는 작동완구를 제공하기 위해, 작동완구에 크랭크, 모터, 기어, 피니언, 작동레버, 클러치 등을 삽입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 인형은 복잡한 기계요소를 구비하고 있으며, 다양한 운동 특성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더욱이 많은 기계요소를 필요로 하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와 같은 기계요소를 포함한 인형을 치료를 위해 사용하는 경우, 인형의 무게를 증가시켜 사용자가 느끼기에 단단하고 무겁게 여겨지는 단점이 있으며, 사용자가 인형에 충격을 가하거나 같은 동작을 반복시킬 경우 인형이 쉽게 파손되거나 구조적 변형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외부에서 인형을 만지는 경우, 내부의 기계요소가 느껴지게 되어 환자가 인형에 대한 호감이 감소하며, 치료효과가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원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관절 부위에 노치를 형성하여 와이어를 통해 관절제어를 가능하도록 하여 인형 내부의 기계요소를 생략하여 사용자가 보다 부드럽고 포근한 느낌을 가지면서도 필요한 관절의 동작을 구현할 수 있는 와이어를 이용한 관절 제어가 가능한 인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노치를 이용한 관절을 갖는 인형은, 각종 동물 또는 특정 캐릭터의 모양을 형성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외면을 커버하는 외피부, 상기 몸체부의 골격을 형성하며, 상기 골격의 움직임을 유도하는 노치(notch)가 형성된 골격부, 및 상기 외피부에 직조되어 상기 골격의 움직임을 유도하는 와이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골격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기 외피부에 직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골격부의 노치는 상기 와이어가 직조된 외피부를 향하여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와이어는 복수의 라인들로 상기 골격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기 외피부에 직조되며, 상기 골격부의 노치도 복수개가 상기 와이어가 직조된 외피부를 향하여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와이어의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상기 골격부는 상기 노치가 향하는 방향으로 굽혀지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부의 구동축에 보빈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빈은 상기 와이어가 권취되는 홈을 구비하며, 상기 와이어의 일단부가 상기 보빈의 홈에 감길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관절의 굽힘을 필요로 하는 부위에 노치를 형성하고, 와이어를 통해 노치가 형성된 관절의 굽힘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관절 굽힘 동작의 모사가 가능함은 물론, 종래 관절 굽힘 동작의 구현을 위해 내부에 구비되어야 했던 다양한 기계요소들을 생략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촉감의 인형을 제작할 수 있으며,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관절의 동작은 빠르고 부드러워 기존의 단순한 기계적 움직임과는 차별화되며, 푹신하고 가벼워 영유아 및 치매 환자와 같은 사용자들에게도 안전하며 정서적 지지와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원하는 부분의 굽힘을 수행하기 위해 노치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센서가 필요하지 않으며 대형 동물 인형의 관절을 모사하기에 더욱 용이하고 적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의한 와이어를 이용한 관절 제어가 가능한 인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인형의 골격 부위를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골격 부위의 동작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인형의 골격 부위를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골격 부위의 동작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의한 와이어를 이용한 관절 제어가 가능한 인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인형의 골격 부위를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와이어를 이용한 관절 제어가 가능한 인형(10)은 각종 동물 또는 특정 캐릭터의 모양으로 천을 재봉하고 솜이나 패킹을 채워 넣어 입체적으로 만든 인형으로, 몸체부(20), 외피부(30), 골격부(100), 와이어(200) 및 구동부(3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와이어를 이용한 관절 제어가 가능한 인형(10)은 동물이나 특정 캐릭터의 모양을 형성하는 몸체부(20)를 포함하며, 동물 모양인 경우에는 실물과 닮게 하여 상기 몸체부(20)의 표면에 상기 외피부(30)가 덮여있을 수 있다.
상기 몸체부(20)의 외면은 영유아 또는 치매 환자의 상해를 방지하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외피부(30)가 상기 몸체부(20)의 외면을 커버한다.
이 경우, 상기 외피부(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20)의 내부는 일정한 부피를 유지할 수 있도록 충전물이 채워진다. 상기 몸체부(20)의 표면이 영유아 또는 치매 환자의 상해를 방지하는 부드럽고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상기 몸체부(20)의 내부를 채우는 재질 역시 솜이나 스펀지 등의 충전물이 됨으로써 영유아 또는 치매 환자의 상해를 미연에 예방함은 물론 영유아 또는 치매 환자가 인형을 취급 시에 상기 몸체부(20)가 푹신하고 포근한 기분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몸체부(20) 내부의 일부 영역은 솜이나 천으로 완전히 채워지지 않고 일정한 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공간에는 상기 구동부(300)가 삽입된다.
상기 몸체부(20)는 구동될 수 있는 각각의 골격 부위(예를 들어 팔 및 다리, 50)로 구성되며, 상기 골격 부위(50)에는 상기 골격부(100)가 형성된다.
상기 골격부(100)는 상기 몸체부(20)의 골격을 형성하는 것으로 부드럽고 유연한 재질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골격부(100)는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연질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골격부(100)는 부드럽고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골격부(100)를 감싸는 상기 몸체부(20)의 내부 또한 부드러운 재질로 구성됨에 따라, 본 실시예에 의한 와이어를 이용한 관절 제어가 가능한 인형(10)은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촉감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골격부(100)에는 상기 골격의 움직임을 유도하는 상기 노치(notch, 101)가 형성된다.상기 노치(101)는 홈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홈은 원주, 원뿔, 다각 기둥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치(101)는 캐릭터 또는 동물의 형상을 취하는 상기 몸체부(20)의 형태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개수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절을 많이 가지고 있는 곰 형태의 캐릭터의 경우에는 10개가 형성되고, 동작이 단순한 뱀 형태의 캐릭터의 경우에는 3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200)는 외력에 의해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외피부(30)에 직조되어 상기 골격의 움직임을 유도한다. 이 경우, 상기 와이어(200)는 상기 외피부(30)의 내면에 직조되며, 상기 외피부(30)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재질이므로 상기 와이어(200)는 상기 외피부(30)의 내면에 직조될 수 있다.
즉, 상기 와이어(200)는 상기 골격부(10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외피부(30)에 직조되며, 상기 골격부(100)의 노치(101)는 상기 와이어(200)가 직조된 외피부(30)를 향하여 홈으로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200)는 상기 골격 부위(50)에 장력을 인가하거나 해제함으로써 상기 골격부(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골격부(100)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복수의 라인들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노치(100)는 상기 와이어(200)의 연장된 라인들의 개수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와이어(200)는 복수의 라인들로 상기 골격부(100)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기 외피부(30)에 직조되며, 상기 골격부(100)의 노치(101)도 복수개가 상기 와이어(200)가 직조된 외피부(30)를 향하여 홈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상기 골격부(100)가 종래의 인형과 같이 링크 등의 기계요소가 아닌 상기 와이어(200)에 의해 움직임이 유도됨에 따라, 사용자에게 더욱 부드럽고 푹신한 촉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몸체부(20)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와이어(200)를 감거나 푸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외피부(30)에 직조된 상기 와이어(200)의 일측은상기 구동부(300)의 보빈(400)에 감겨져 있으며, 상기 구동부(300)에 의해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든다.
상기 보빈(400)은 상기 와이어(200)가 감겨지는 곳으로, 상기 구동부(300)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300)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보빈(400)은 상기 와이어(200)와 연결되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와이어(200)를 감거나 풀어준다.
상기 보빈(400)은 상기 와이어(200)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200)를 각각 조절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빈(400)은 지름이 다른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한 번 회전 시 상기 와이어(200)를 감거나 풀어주는 양을 각각의 지름에 대응하여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빈(400)에는 직경이 다른 다수의 홈(미도시)이 마련되어 상기 구동부(300)의 회전 시 복수개의 상기 와이어(200)가 직경이 다른 각각의 상기 홈에 권취되면서 상기 와이어(200)에 인장력이 서로 다르게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와이어를 이용한 관절 제어가 가능한 인형(10)은 상기 구동부(200)를 제외하고는 부드럽고 유연한 재질로 구성된다. 따라서,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인형(10)의 상기 골격 부위(50)마다 상기 골격부(100)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부(300)가 복수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구동부들을 상기 몸체부(20) 내부의 한 영역에만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들은 부드럽고 유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를 이용한 관절 제어가 가능한 인형(10)의 상기 골격 부위(50)의 동작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구동부(300)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와이어(200)의 일측이 상기 보빈(400)에 감겨짐에 따라 상기 외피부(30)에 직조된 상기 와이어(200)의 타측은 짧아진다. 이 경우, 상기 와이어(200)에 의해 상기 외피부(30)에 커버된 상기 골격부(100)에 장력이 전달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골격부(100)의 일부분이 상방향으로 들리게 된다.
상기 골격부(100)의 일부분은 상기 와이어(200)가 상기 구동부(300)에 의해 당겨짐에 따라 상기 와이어(200)가 당져진 방향으로 굽혀진다. 즉, 상기 노치(101)를 중심으로 상기 골격부(100)의 일부분에 수축이 발생하여 굽혀진다. 상기 와이어(200)의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상기 골격부(100)는 상기 노치(101)가 향하는 방향으로 굽혀진다.
반대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구동부(300)의 반대방향으로의 회전 시 상기 와이어(200)는 상기 보빈(400)으로부터 풀리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골격부(100)의 일부분이 하방향으로 내려가게 된다.
한편, 상기 구동부(300)는 제어부(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골격부(100)의 관절을 제어하기 위한 인형구동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생성한 상기 인형구동제어신호를 상기 구동부(300)로 전달한다.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인형구동제어신호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회전수 및 회전 방향(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상기 보빈(400)을 회전시킨다.
즉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인형구동제어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전달받은 인형구동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와이어(200)의 길이를 늘이거나 줄여 주어 상기 골격부(100)의 관절을 구동시켜 준다.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와이어(200)의 동작 형태 및 동작 시간이 결정됨에 따라 상기 골격부(100)의 회동 각도 및 회동 속도가 다르게 되어 본 실시예에 의한 와이어를 이용한 관절 제어가 가능한 인형(10)의 동작이 풍부하게 변화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관절의 굽힘을 필요로 하는 부위에 노치를 형성하고, 와이어를 통해 노치가 형성된 관절의 굽힘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관절 굽힘 동작의 모사가 가능함은 물론, 종래 관절 굽힘 동작의 구현을 위해 내부에 구비되어야 했던 다양한 기계요소들을 생략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촉감의 인형을 제작할 수 있으며,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절의 동작은 빠르고 부드러워 기존의 단순한 기계적 움직임과는 차별화되며, 푹신하고 가벼워 영유아 및 치매 환자와 같은 사용자들에게도 안전하며 정서적 지지와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원하는 부분의 굽힘을 수행하기 위해 노치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센서가 필요하지 않으며 대형 동물 인형의 관절을 모사하기에 더욱 용이하고 적합한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와이어를 이용한 관절 제어가 가능한 인형 20 : 몸체부
30 : 외피부 100 : 골격부
101 : 노치 200 : 와이어
300 : 구동부 400 : 보빈
30 : 외피부 100 : 골격부
101 : 노치 200 : 와이어
300 : 구동부 400 : 보빈
Claims (8)
- 각종 동물 또는 특정 캐릭터의 모양을 형성하는 몸체부;
소정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외면을 커버하는 외피부;
상기 몸체부의 골격을 형성하며 연질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골격의 움직임을 유도하는 노치(notch)가 형성된 골격부; 및
상기 골격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기 외피부의 내면에 직조되어 상기 골격의 움직임을 유도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는 복수의 라인들로 구비되며, 상기 골격부의 노치는 상기 와이어의 라인들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의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상기 골격부는 상기 노치가 향하는 방향으로 굽혀지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관절 제어가 가능한 인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격부의 노치는 상기 와이어가 직조된 외피부를 향하여 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관절 제어가 가능한 인형.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관절 제어가 가능한 인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의 구동축에 보빈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관절 제어가 가능한 인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와이어가 권취되는 홈을 구비하며,
상기 와이어의 일단부가 상기 보빈의 홈에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를 이용한 관절 제어가 가능한 인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9391A KR101937175B1 (ko) | 2017-09-18 | 2017-09-18 | 와이어를 이용한 관절 제어가 가능한 인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9391A KR101937175B1 (ko) | 2017-09-18 | 2017-09-18 | 와이어를 이용한 관절 제어가 가능한 인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37175B1 true KR101937175B1 (ko) | 2019-01-11 |
Family
ID=65028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19391A KR101937175B1 (ko) | 2017-09-18 | 2017-09-18 | 와이어를 이용한 관절 제어가 가능한 인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37175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20690A (ja) * | 2005-07-13 | 2007-02-01 | Mitsubishi Electric Corp | 浮遊体及び給電装置 |
CN200991589Y (zh) | 2007-01-15 | 2007-12-19 | 施海清 | 动力玩具车轮胎结构 |
-
2017
- 2017-09-18 KR KR1020170119391A patent/KR10193717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20690A (ja) * | 2005-07-13 | 2007-02-01 | Mitsubishi Electric Corp | 浮遊体及び給電装置 |
CN200991589Y (zh) | 2007-01-15 | 2007-12-19 | 施海清 | 动力玩具车轮胎结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68400B1 (ko) | 로봇용 혀 모듈 | |
JP5211058B2 (ja) | 強化グローブ | |
CN106574652B (zh) | 可动设备、可动片以及制造可动设备的方法 | |
US20010014781A1 (en) | Human touch massager | |
US11077014B2 (en) | Sex toy | |
JPH0576482A (ja) | 処置装置 | |
CN111065495B (zh) | 有趣地进行动作的机器人及其构造 | |
JP5263619B2 (ja) | 把持感覚提示装置 | |
KR101937175B1 (ko) | 와이어를 이용한 관절 제어가 가능한 인형 | |
JP2005512223A (ja) | 緊張ケーブルを備えたコントロールユニット | |
JP2000237987A (ja) | 湾曲機構とロボット | |
KR101268399B1 (ko) | 혀를 구비한 안드로이드 얼굴 로봇 | |
JP2011131305A (ja) | 人工筋肉及び柔軟関節機構 | |
JP2000181618A (ja) | 4軸のフォースフィードバックを有する力覚インタフェース装置 | |
WO2019085571A1 (zh) | 智能交互式按摩装置及方法 | |
US20230324994A1 (en) | Haptic device | |
KR20110043866A (ko) | 인형 눈꺼풀 구동장치 | |
JP2019187917A (ja) | 表情可変ロボット | |
Koike et al. | Sprout: Designing Expressivity for Robots Using Fiber-Embedded Actuator | |
KR102239347B1 (ko) | 체공체험 시뮬레이션 장치 | |
US5125399A (en) | Personal cuddling and massaging device | |
US20200393903A1 (en) | Actuators for providing multidirectional kinesthetic effects | |
DE202005001923U1 (de) | Spielzeug in Form eines Roboters | |
TWI230646B (en) | Machine having simulation function for growth and vari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JPH039780A (ja) | 人体形ロボッ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