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7171B1 -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7171B1
KR101937171B1 KR1020120022998A KR20120022998A KR101937171B1 KR 101937171 B1 KR101937171 B1 KR 101937171B1 KR 1020120022998 A KR1020120022998 A KR 1020120022998A KR 20120022998 A KR20120022998 A KR 20120022998A KR 101937171 B1 KR101937171 B1 KR 101937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ells
bent
leads
lead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2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1894A (ko
Inventor
송재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2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7171B1/ko
Priority to US14/383,325 priority patent/US9537126B2/en
Priority to CN201380013143.XA priority patent/CN104412418B/zh
Priority to PCT/KR2013/001747 priority patent/WO2013133598A1/ko
Publication of KR20130101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1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7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7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6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18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2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casings or racks
    • H01M50/222Inorganic material
    • H01M50/224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against vibrations, collision impact or swel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7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n arrangement of two or more busbars within a container structure, e.g. busbar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21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522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48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opposite sides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배터리 팩은 전류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류를 공급하는 리드가 연결된 배터리 셀을 복수개 포함하고, 복수개의 배터리 셀은 2개 이상의 배터리 셀의 리드가 용접 접합되며, 리드 각각은 용접 접합되는 접합부와 배터리 셀의 사이에 충격 흡수부가 절곡 형성되어,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리드의 접합부가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리드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팩 {Battery Pack}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에 사용될 수 있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터리 셀에 리드가 연결되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가솔린, 경유 등의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차량의 가장 큰 문제점 중의 하나는 대기오염을 유발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차량의 동력원을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로 사용하는 기술이 관심을 끌고 있다. 따라서, 배터리 만으로 운행될 수 있는 전기자동차(EV), 배터리와 기존 엔진을 병용하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등이 개발되었고, 일부는 상용화되어 있다. EV, HEV 등의 동력원으로서의 이차전지는 주로 니켈 금속수소(Ni-MH) 전지가 주로 사용되고 있지만, 최근에는 리튬 이온전지 등의 사용도 시도되고 있다.
EV, HEV 등의 동력원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고출력 대용량이 요구되므로, 다수의 소형 이차전지(단위전지 또는 배터리 셀)들을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한 구조의 배터리 팩이 사용되고 있다.
배터리 팩은 리드가 연결된 배터리 셀을 복수개 포함할 수 있고, 배터리 셀의 리드는 용접 접합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배터리 팩은 충격이나 진동시 리드의 용접 부분이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류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류를 공급하는 리드가 연결된 배터리 셀을 복수개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은 2개 이상의 배터리 셀의 리드가 용접 접합되며, 상기 리드 각각은 용접 접합되는 접합부와 상기 배터리 셀의 사이에 충격 흡수부가 절곡 형성된다.
상기 리드는 상기 충격 흡수부가 반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충격 흡수부는 적어도 2회 이상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충격 흡수부는 내측에 완충 공간을 갖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리드의 접합부가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리드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 일실시예의 개략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 일실시예의 개략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배터리 셀(2)(4)(6)(8)과, 배터리 셀(2)(4)(6)(8)을 보호하는 카트리지(10)를 포함한다.
배터리 셀(2)(4)(6)(8)은 전류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리튬 이온(Li-ion) 전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터리 셀(2)(4)(6)(8)은 카트리지(10)에 복수개가 수평하게 구비될 수 있다.
카트리지(10)는 카트리지 센터(12)와, 상측 카트리지 인너(14), 하측 카트리지 인너(16), 상측 커버(18) 및 하측 커버(2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배터리 셀(2)(4)(6)(8)은 카트리지 센터(12)에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배터리 셀(2)(4)(6)(8) 중 최상측 배터리 셀(2)의 상면은 가장자리가 상측 카트리지 인너(14)에 밀착될 수 있고, 가운데 부분이 상측 커버(18)에 밀착될 수 있다. 복수의 배터리 셀(2)(4)(6)(8) 중 최상측 배터리 셀(8)의 하면은 가장자리가 하측 카트리지 인너(16)에 말착될 수 있고, 가운데 부분이 하측 커버(20)에 밀착될 수 있다.
카트리지 센터(12)에는 상측 카트리지 인너(14)와 상측 커버(18) 및 하측 카트리지 인너(16)와 하측 커버(20)를 지지하고 복수개의 배터리 팩을 적층하여 결합할 때 롱볼트가 관통되는 스페이서(22)가 구비될 수 있다.
카트리지 센터(12)의 전면에는 커버 프론트(24)가 결합되고, 카트리지 센터(12)의 후면에는 커버 리어(26)가 결합될 수 있다.
상측 커버(18)와 하측 커버(20)는 발열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개의 배터리 셀(2)(4)(6)(8)은 제 1,2,3,4 배터리 셀(2)(4)(6)(8)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복수개의 배터리 셀(2)(4)(6)(8)은 2개가 하나의 묶음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 배터리 셀(2)과 제 2 배터리 셀(4)은 병렬로 연결될 수 있고 제 3 배터리 셀(6)과 제 4 배터리 셀(8)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 배터리 셀(2)과 제 2 배터리 셀(4)의 묶음과 제 3 배터리 셀(6)과 제 4 배터리 셀(8)의 묶음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 셀(2)(4)(6)(8)은 생성된 전류를 공급하는 리드(32)(33)(34)(35)(36)(37)(38)(39)가 연결될 수 있다.
리드(32)(33)(34)(35)(36)(37)(38)(39)는 배터리 셀(2)(4)(6)(8)의 일측에 연결되는 양극 리드(32)(34)(36)(38)와, 배터리 셀(2)(4)(6)(8)의 타측에 연결되는 음극 리드(33)(35)(37)(39)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배터리 셀(2)(4)(6)(8)은 2개 이상의 배터리 셀의 리드가 용접 접합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배터리 셀(2)(4)(6)(8)은 2개의 배터리 셀 중 상측에 위치하는 배터리 셀(2)(6)에 연결된 양극 리드(32)(36)가 2개의 배터리 셀 중 하측에 위치하는 배터리 셀(4)(8)에 연결된 양극 리드(34)(38)와 용접 접합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배터리 셀(2)(4)(6)(8)은 2개의 배터리 셀 중 상측에 위치하는 배터리 셀(2)(6)에 연결된 음극 리드(33)(37)는 2개의 배터리 셀 중 하측에 위치하는 배터리 셀(4)(8)에 연결된 음극 리드(35)(39)와 용접 접합 될 수 있다.
리드(32)(33)(34)(35)(36)(37)(38)(39) 각각은 용접 접합되는 접합부(50)와 배터리 셀(2)(4)(6)(8)의 사이에 충격 흡수부(60)가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리드(32)(33)(34)(35)(36)(37)(38)(39)는 충격 흡수부(6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리드(32)(33)(34)(35)(36)(37)(38)(39)는 2개의 배터리 셀 중 상측에 위치하는 리드(32)(33)(36)(37)에 형성된 충격 흡수부(60)가 상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고, 2개의 배터리 셀 중 하측에 위치하는 리드(34)(35)(38)(39)에 형성된 충격 흡수부(60)가 하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리드(32)(33)(34)(35)(36)(37)(38)(39)는 2개의 배터리 셀 중 상측에 위치하는 리드(32)(33)(36)(37)에 형성된 충격 흡수부(60)가 하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고, 2개의 배터리 셀 중 하측에 위치하는 리드(34)(35)(38)(39)에 형성된 충격 흡수부(60)가 상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리드(32)(33)(34)(35)(36)(37)(38)(39)는 2개의 배터리 셀 중 상측에 위치하는 리드(32)(33)(36)(37)에 형성된 충격 흡수부(60)와 2개의 배터리 셀 중 상측에 위치하는 리드(32)(33)(36)(37)에 형성된 충격 흡수부(60)가 접촉될 수 있다.
충격 흡수부(60)는 충격이나 진동시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할 수 있고 적어도 2회 이상 절곡될 수 있다.
충격 흡수부(60)는 리드(32)(33)(34)(35)(36)(37)(38)(39)에서 절곡된 제 1 절곡부(62)와, 제 1 절곡부(62)와 대향되게 리드(32)(33)(34)(35)(36)(37)(38)(39)에서 절곡된 제 2 절곡부(64)와, 제 1 절곡부(62)와 제 2 절곡부(64)를 잇는 제 3 절곡부(66)를 포함할 수 있다.
충격 흡수부(60)는 내측에 완충 공간(S)을 갖을 수 있다.
배터리 팩은 리드(32)(33)(34)(35)(36)(37)(38)(39)에 접촉되어 리드(32)(33)(34)(35)(36)(37)(38)(39)의 전류를 공급받는 단자(72)(74)(76)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72)(74)(76)는 배터리 팩이 전류를 공급하는 모터 등의 외부 기기와 고압케이블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동 재질의 부스 바아(bus bar)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자(72)(74)(76)는 양극 단자(72)와 음극 단자(74)와 직렬 단자(8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양극 단자(72)는 양극 리드(32)(34)(36)(38) 중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음극 단자(74)는 음극 리드(33)(35)(37)(39) 중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직렬전극 단자(76)는 양극 리드(32)(34)(36)(38) 중 다른 하나와 음극 리드(33)(35)(37)(39)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배터리 팩에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지면, 배터리 셀(2)(4)(6)(8)은 충격에 의해 일방향으로 밀리거나 진동할 수 있다.
배터리 셀(2)(4)(6)(8)이 밀리거나 진동될 때, 리드(32)(33)(34)(35)(36)(37)(38)(39)에는 충격이나 진동이 전달되는데, 리드(32)(33)(34)(35)(36)(37)(38)(39)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은 충격 흡수부(60)에서 흡수되고 용접부(50)로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은 최소화될 수 있다.
충격 흡수부(60)는 제 1 절곡부(62)와 제 2 절곡부(64)와 제 3 절곡부(66) 중 적어도 하나가 탄성적으로 휘면서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충격 흡수부(60)는 제 1 절곡부(62)와 제 2 절곡부(64)가 충격 흡수부(60)가 형성하는 공간(S)으로 밀리면서 충격을 완충할 수 있고, 충격이나 진동이 없을 때 원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2,4,6,8: 배터리 셀 32,33,34,35,36,37,38,39: 리드
50: 용접부 60: 충격 흡수부
62: 제 1 절곡부 64: 제 2 절곡부
66: 제 3 절곡부 72,74,76: 단자

Claims (9)

  1. 전류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류를 공급하는 리드가 연결된 배터리 셀을 복수개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은 2개 이상의 배터리 셀의 리드가 용접 접합되며,
    상기 리드 각각은 용접 접합되는 접합부와 상기 배터리 셀의 사이에 충격 흡수부가 절곡 형성되고,
    상기 충격 흡수부는 리드에서 절곡된 제 1 절곡부와, 상기 제 1 절곡부와 대향되게 리드에서 절곡된 제 2 절곡부와, 상기 제 1 절곡부와 제 2 절곡부를 잇는 제 3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절곡부와 제 2 절곡부는 상기 리드에서 경사지게 절곡되고,
    상기 제 3 절곡부는 상기 제 1 절곡부 및 제 2 절곡부에서 수평하게 절곡되고,
    상기 충격 흡수부는 내측에 완충 공간을 갖고,
    상기 제 1 절곡부와 상기 제 2 절곡부는 상기 완충 공간으로 밀리면서 충격을 완충하는 배터리 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리드는 상기 충격 흡수부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배터리 팩.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부는 적어도 2회 이상 절곡된 배터리 팩.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절곡부는 상기 제 1 절곡부와 제 2 절곡부 각각과 둔각을 갖는 배터리 팩.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 중 상측에 위치하는 배터리 셀의 리드에 형성된 충격 흡수부는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 중 상측에 위치하는 하측에 위치하는 배터리 셀의 리드에 형성된 충격 흡수부는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배터리 팩.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부는 높이가 상기 배터리 셀 두께의 1/10∼1/2 이하인 배터리 팩.
KR1020120022998A 2012-03-06 2012-03-06 배터리 팩 KR101937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998A KR101937171B1 (ko) 2012-03-06 2012-03-06 배터리 팩
US14/383,325 US9537126B2 (en) 2012-03-06 2013-03-05 Battery pack
CN201380013143.XA CN104412418B (zh) 2012-03-06 2013-03-05 电池组
PCT/KR2013/001747 WO2013133598A1 (ko) 2012-03-06 2013-03-05 배터리 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998A KR101937171B1 (ko) 2012-03-06 2012-03-06 배터리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894A KR20130101894A (ko) 2013-09-16
KR101937171B1 true KR101937171B1 (ko) 2019-01-10

Family

ID=49117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2998A KR101937171B1 (ko) 2012-03-06 2012-03-06 배터리 팩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37126B2 (ko)
KR (1) KR101937171B1 (ko)
CN (1) CN104412418B (ko)
WO (1) WO20131335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1798B1 (ko) * 2012-04-20 2019-06-24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102415150B1 (ko) 2018-02-05 2022-06-2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DE102018208499A1 (de) 2018-05-29 2019-12-05 Robert Bosch Gmbh Batteriezelle und Batteriemodul
JP7170735B2 (ja) * 2018-10-26 2022-11-14 エルジー エナジー ソリューション リミテッド バッテリーセルの損傷を防止できる構造を有する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これ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自動車
JP2022052170A (ja) * 2020-09-23 2022-04-0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蓄電装置
KR20240041534A (ko) * 2022-09-23 2024-04-0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단선 방지 전지 모듈
WO2024074566A1 (en) * 2022-10-06 2024-04-11 Autotech Engineering S.L. Battery unit for a vehic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7450A (ja) 2001-09-04 2003-03-14 Mitsubishi Electric Corp 薄型電池
JP2011171107A (ja) * 2010-02-18 2011-09-01 Hitachi Ltd リチウムイオン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5877A (ja) * 1999-01-20 2000-08-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扁平電池
US9153813B2 (en) * 2008-12-31 2015-10-06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KR101731329B1 (ko) * 2010-07-27 2017-04-28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및 전극 탭 용접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7450A (ja) 2001-09-04 2003-03-14 Mitsubishi Electric Corp 薄型電池
JP2011171107A (ja) * 2010-02-18 2011-09-01 Hitachi Ltd リチウムイオン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56495A1 (en) 2015-02-26
WO2013133598A1 (ko) 2013-09-12
KR20130101894A (ko) 2013-09-16
CN104412418B (zh) 2017-05-24
US9537126B2 (en) 2017-01-03
CN104412418A (zh) 2015-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7171B1 (ko) 배터리 팩
KR102032504B1 (ko) 내충격성이 향상된 배터리 모듈
KR102330872B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1370858B1 (ko) 돌기부를 포함하는 버스 바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JP5711852B2 (ja) 構造的信頼性に優れる電池パック
JP7083831B2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これ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このバッテリーパックを含む自動車
EP2919296A1 (en) Battery module comprising bus bar assembly,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KR20180038253A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US20130189563A1 (en) Battery module and a method for assembling battery modules
KR102250204B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1922304B1 (ko) 내구성이 우수한 배터리 팩
EP2937706A1 (en) Voltage detection member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same
KR101916433B1 (ko) 배터리 모듈
KR20130110943A (ko) 신규한 구조의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JP6594307B2 (ja) 取外し可能な複数のセルを有するモジュール、モジュールを備えるバッテリ、およびバッテリを備える車
JP5633032B2 (ja) 二次電池
KR20130068971A (ko) 배터리 모듈 제조장치
KR101532216B1 (ko) 전극 탭-리드 결합부 구조를 가진 이차전지
JP5602509B2 (ja) 蓄電装置
KR102378571B1 (ko)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KR20110059356A (ko) 전지 카트리지
KR101608658B1 (ko) 전지 카트리지
KR101800397B1 (ko) 냉각구조를 구비하는 전지 카트리지
KR101400085B1 (ko) 절연성 접속부재 및 절연성 체결부재를 구비하는 전지모듈
JP7054441B2 (ja) 組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