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6023B1 - 슬러지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슬러지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6023B1
KR101936023B1 KR1020180108118A KR20180108118A KR101936023B1 KR 101936023 B1 KR101936023 B1 KR 101936023B1 KR 1020180108118 A KR1020180108118 A KR 1020180108118A KR 20180108118 A KR20180108118 A KR 20180108118A KR 101936023 B1 KR101936023 B1 KR 101936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air
drum screen
brush
supply pipe
rotary 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8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로
김형남
Original Assignee
김형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남 filed Critical 김형남
Priority to KR1020180108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60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6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drum filters
    • B08B1/002
    • B08B1/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러지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드럼 스크린의 회전에 따라 피동적으로 회전하는 회전 브러시부 및 상기 드럼 스크린과 상기 회전 브러시부의 브러시 사이의 공간으로 고압공기를 분사하는 고압공기 분사부를 통해 상기 드럼 스크린의 복수의 다공을 막은 일부 협잡물을 보다 높은 효율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드럼 스크린의 복수의 다공을 막은 일부 협잡물 제거를 위해 많은 양의 물을 분사할 필요가 없어 물사용량과 협잡물 탈수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슬러지 처리장치{Sludge treatment device}
본 발명은 드럼 스크린의 회전에 따라 피동적으로 회전하는 회전 브러시부 및 상기 드럼 스크린과 상기 회전 브러시부의 브러시 사이의 공간으로 고압공기를 분사하는 고압공기 분사부를 통해 상기 드럼 스크린의 복수의 다공을 막은 일부 협잡물을 보다 높은 효율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드럼 스크린의 복수의 다공을 막은 일부 협잡물 제거를 위해 많은 양의 물을 분사할 필요가 없어 물사용량과 협잡물 탈수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슬러지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처리장이나 취수장 등에는 하수에 포함된 생활쓰레기 등의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협작물 처리기를 설치하여 갈퀴를 구동하므로서 물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생활쓰레기 등의 오물을 제거하고 있다.
이러한 기존의 협작물 처리기의 경우는 주로 상하 승강타입의 갈퀴를 수중으로 떨어뜨려 물에 포함하고 있는 쓰레기 등 협잡물을 상부로 이동하여 별도의 컨베이어 등으로 된 이송부를 통해 배출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협작물 처리기를 작동하는 몸체를 안내레일상에서 왕복운동하여 수중의 오물 등 쓰레기를 제거하고 있기 때문에 한번 수거할 수 있는 범위나 양이 정해져 있으므로 많은 양의 오물 등 쓰레기가 동시에 하수처리장이나 취수장으로 유입될 경우는 제거가 어려운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하수처리장이나 취수장 등의 수로에 설치되어 하수에 포함된 협작물을 자동으로 수거하여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 하수여과용 협작물 처리기가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42805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42805호는 드럼이송스크린과 인접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에어 또는 물을 분사하여 상기 드럼이송스크린에 끼인 협작물을 제거하게 되는데, 특히, 물을 분사하여 협작물을 제거할 경우, 협작물 제거를 위해 많은 양의 물이 요구됨과 더불어 협작물 탈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42805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드럼 스크린의 회전에 따라 피동적으로 회전하는 회전 브러시부 및 상기 드럼 스크린과 상기 회전 브러시부의 브러시 사이의 공간으로 고압공기를 분사하는 고압공기 분사부를 통해 상기 드럼 스크린의 복수의 다공을 막은 일부 협잡물을 보다 높은 효율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드럼 스크린의 복수의 다공을 막은 일부 협잡물 제거를 위해 많은 양의 물을 분사할 필요가 없어 물사용량과 협잡물 탈수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슬러지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일단부에 슬러지투입구가 형성되며, 타단부에 상기 슬러지투입구로부터 투입된 슬러지로부터 물이 분리된 협잡물이 배출되는 협잡물배출구가 형성되는 드럼 스크린과; 상기 드럼 스크린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와; 적어도 상기 드럼 스크린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드럼 스크린 내로 투입되어 탈수된 물이 수용되는 집수조와; 상기 드럼 스크린의 외측에 수평방향으로 회전설치되고, 외주면에 돌출형성된 브러시의 단부가 상기 드럼 스크린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형성되어 회전하는 회전 브러시부와; 상기 드럼 스크린과 상기 회전 브러시부의 브러시 사이의 공간으로 고압공기를 분사하는 고압공기 분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 브러시부는 상기 드럼스크린의 회전에 따라 피동적으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회전 브러시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압공기 분사부는 상기 회전 브러시부의 주변에 수평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를 따라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드럼 스크린과 상기 회전 브러시부의 브러시 사이로 고압공기를 분사시키는 고압공기 분사노즐과; 상기 고압공기 분사노즐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좌우 이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압공기 분사노즐에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좌우 이동부재는 상기 가이드바에 평행하게 회전설치되고,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구동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압공기 분사노즐에 선택적으로 가연가스가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 브러시부의 브러시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고압공기가 공급되는 고압공기 공급관과; 가연가스가 공급되는 가연가스 공급관과; 상기 고압공기 분사노즐에 연결되는 가스유입관과; 상기 고압공기 공급관, 상기 가연가스 공급관 및 상기 가스유입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가스유입관에 상기 고압공기 공급관과 상기 가연가스 공급관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삼방변;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드럼 스크린의 외주면에 접하여 상기 드럼 스크린의 회전에 따라 피동적으로 회전하는 회전 브러시부를 통해 망형태의 상기 드럼 스크린의 복수의 다공을 막은 일부 협잡물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상기 드럼 스크린과 상기 회전 브러시부의 브러시 사이의 공간으로 고압공기를 분사하는 저용량의 고압공기 분사부로 인해 상기 드럼 스크린의 복수의 다공을 막은 일부 협잡물의 제거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고, 나아가, 망형태의 상기 드럼 스크린의 복수의 다공을 막은 일부 협잡물 제거를 위해 상기 드럼 스크린과 브러시 사이의 공간으로 많은 양의 물을 분사할 필요가 없어 물사용량과 협잡물 탈수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슬러지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고압공기 분사노즐이 드럼 스크린과 회전 브러시부의 브러시 사이의 공간으로 고압공기를 분사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고압공기 분사노즐의 노즐의 양측에 안내판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평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가스유입관에 고압공기 공급관과 가연가스 공급관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삼방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슬러지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슬러지 처리장치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프레임(10), 드럼 스크린(20), 회전구동부(30), 집수조(40), 회전 브러시부(50) 및 고압공기 분사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프레임(10)은 하부프레임(110)과 상부프레임(1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110)의 상부에 상기 상부프레임(120)이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드럼 스크린(20)은 상기 프레임(10)의 하부프레임(110)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프레임(120)내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드럼 스크린(20)은 상기 프레임(10)의 하부프레임(11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질 수도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드럼 스크린(20)내에는 상기 드럼 스크린(2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협잡물(3)을 원활히 이송하기 위한 나선형의 이송블레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럼 스크린(20)의 일측과 타측은 각각 상기 프레임(10)의 상부프레임(120)의 일측 외부와 타측 외부로 각각 일정길이로 연장된 상태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드럼 스크린(20)의 일단부에는 슬러지투입구(210)가 형성된다.
상기 드럼 스크린(20)의 타단부에는 상기 슬러지투입구(210)로부터 투입된 슬러지(3)로부터 물이 분리된 협잡물(3)이 배출되는 협잡물 배출구(220)가 개방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의 하부프레임(110)의 타측에는 협잡물 안내관(111)이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협잡물 안내관(111)과 상기 드럼 스크린(20)의 협잡물 배출구(220)가 연통되도록 상기 협잡물 안내관(111)의 일측 내부로 상기 드럼 스크린(20)의 타측이 일정길이로 인입될 수 있다.
상기 협잡물 안내관(111)의 하부에는 하부에 이동바퀴(113)가 구비된 협잡물 저장조(1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스크린(20)의 협잡물 배출구(220)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분리된 협잡물(3)은 상기 협잡물 안내관(111)을 지나 상기 협잡물 저장조(112)의 내부로 안내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구동부(30)는 상기 프레임(100)의 하부프레임(1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드럼 스크린(20)을 회전시키게 되며, 이와 같은 회전구동부(30)는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42805호를 통해 공지된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집수조(40)는 적어도 상기 드럼 스크린(20)의 하측에 구비되도록 상기 프레임(10)의 상부프레임(120)의 하부에 상기 상부프레임(120)과 연통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집수조(40)의 내부에는 상기 드럼 스크린(20) 내로 투입되어 탈수된 물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집수조(40)의 일측에는 상기 집수조(40)의 내부로 수용된 물을 상기 집수조(40)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관(410)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 브러시부(50)는 회전축(510)과 브러시(5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510)이 상기 드럼 스크린(20)의 상부 외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축(510)의 일측과 타측이 상기 프레임(10)의 상부프레임(120)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베어링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브러시(520)는 상기 회전축(510)의 외주면에 일정길이로 돌출형성된 상태로 등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럼 스크린(20)의 상부 외측방향에 위치한 상기 회전 브러시부(50)의 브러시(520)의 단부는 망형태의 상기 드럼 스크린(20)에 형성된 복수의 다공(도 4의 201)내에 일정깊이로 삽입되도록 상기 드럼 스크린(20)의 외주면과 접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회전 브러시부(50)의 브러시(520)는 상기 드럼 스크린(20)의 회전에 따라 피동적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드럼 스크린(20)의 다공(201)을 막은 일부 협잡물(3)을 상기 드럼 스크린(20)내로 밀어내면서 제거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회전 브러시부(50)의 브러시(520)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회전 브러시부(50)의 회전축(510)의 일측 또는 타측과 결합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10)의 상부프레임(120)의 상부 일측 또는 상부 타측에 볼트 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되어 상기 회전 브러시부(5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등의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회전될 수도 있다.
나아가, 도면에서는 상기 회전 브러시부(50)가 상기 드럼 스크린(20)을 따라 상기 드럼 스크린(2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수평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드럼 스크린(20)과 직교를 이루도록 상기 회전 브러시부(50)가 상기 드럼 스크린(20)의 전후방향으로 수평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 등의 구동에 의해 회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회전 브러시부(50)의 회전축(510)이 상기 드럼 스크린(20)의 상부 외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축(510)의 전측과 후측이 각각 상기 프레임(10)의 상부프레임(120)의 상부 전측과 상부 후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베어링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모터 등의 구동부는 상기 회전축(510)의 전측 또는 후측과 결합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10)의 상부프레임(120)의 상부 전측과 상부 후측에 볼트 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고압공기 분사부(60)는 상기 드럼 스크린(20)과 상기 회전 브러시부(50)의 브러시 사이의 공간으로 고압공기를 분사하게 된다.
도 3은 도 1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고압공기 분사노즐이 드럼 스크린과 회전 브러시부의 브러시 사이의 공간으로 고압공기를 분사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고압공기 분사부(60)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가이드바(610), 고압공기 분사노즐(620) 및 좌우 이동부재(6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610)가 상기 회전 브러시부(50)의 주변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회전 브러시부(50)의 전측방향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도록 상기 가이드바(610)의 일측과 타측은 상기 프레임(10)의 상부프레임(120)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각각 용접고정 또는 베어링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압공기 분사노즐(620)은 몸체(621)와 노즐(6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621)는 하부몸체(621a)와 상부몸체(621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몸체(621a)의 상부에 상기 상부몸체(621b)가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부몸체(621b)는 상기 하부몸체(621a)의 전측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상기 하부몸체(621a)의 후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610)가 상기 몸체(621)의 하부몸체(621a)의 후측을 수평관통한 상태로 상기 몸체(621)는 상기 가이드바(610)를 따라 상기 가이드바(6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가능하게 상기 가이드바(61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노즐(622)은 상기 상부몸체(621b)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상부몸체(621b)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621)를 따라 좌우이동하면서 상기 드럼 스크린(20)과 상기 회전 브러시부(50)의 브러시(520) 사이로 고압공기를 분사시킬 수 있다.
상기 좌우 이동부재(630)는 상기 고압공기 분사노즐(620)을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좌우 이동부재(630)는 리드스크류(631)와 구동부(6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압공기 분사노즐(620)의 몸체(621)의 하부몸체(621a)의 전측에 암나사부가 내주면에 형성된 관통구(621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631)는 상기 가이드바(610)에 평행하게 회전설치되도록 상기 관통구(621c)의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631)의 일측과 타측은 각각 상기 프레임(10)의 상부프레임(120)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베어링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632)는 상기 리드스크류(631)의 일측 또는 타측과 결합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10)의 상부프레임(120)의 상부 일측 또는 상부 타측에 볼트 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되어 상기 리드스크류(631)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드럼 스크린(20)의 외주면에 접하여 상기 드럼 스크린(20)의 회전에 따라 피동적으로 회전하는 상기 회전 브러시부(50)를 통해 망형태의 상기 드럼 스크린(20)의 복수의 다공(201)을 막은 일부 협잡물(3)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드럼 스크린(2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하면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드럼 스크린(20)과 상기 회전 브러시부(50)의 브러시(520) 사이의 공간으로 고압공기를 분사하는 저용량의 고압공기 분사부(60)로 인해 상기 드럼 스크린(20)의 복수의 다공(201)을 막은 일부 협잡물(3)의 제거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고, 나아가, 망형태의 상기 드럼 스크린(20)의 복수의 다공(201)을 막은 일부 협잡물(3) 제거를 위해 상기 드럼 스크린(20)과 브러시(520) 사이의 공간으로 많은 양의 물을 분사할 필요가 없어 물사용량과 협잡물 탈수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고압공기 분사노즐의 노즐의 양측에 안내판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평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고압공기 분사노즐(620)의 몸체(621)의 상부몸체(621b)의 하부 일측과 하부 타측에 안내판(640)이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안내판(640)으로 인해 상기 고압공기 분사노즐(620)의 노즐(622)이 분사하는 고압공기가 상기 고압공기 분사노즐(620)의 일측방향 및 타측방향으로 분산되지 않은 상태로 손실없이 상기 드럼 스크린(20)과 상기 회전 브러시부(50)의 브러시(520) 사이의 공간으로 집중적으로 분사될 수 있어 적은 용량의 고압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드럼 스크린(20)의 복수의 다공(201)을 막은 일부 협잡물(3)을 보다 더욱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6 및 도 7은 가스유입관에 고압공기 공급관과 가연가스 공급관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삼방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고압공기 분사노즐(620)에 선택적으로 가연가스가 공급될 수 있도록 고압공기 공급관(70), 가연가스 공급관(80), 가스유입관(90) 및 삼방변(1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압공기 공급관(70)내로는 고압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가연가스 공급관(80)내로는 공기 중에서 연소할 수 있는 가스인 가연가스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가연가스는 아세티렌, 암모니아, 일산화탄소, 에탄, 에틸렌, 에틸렌옥사이드, 염화비닐, 염화메틸, 시안화수소, 수소, 석탄가스, 천연가스, 부탄, 부타디엔, 프로판, 프로필렌, 메탄, 황화수소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스유입관(90)은 상기 고압공기 분사노즐(620)의 상부몸체(621b)와 연통되도록 상기 상부몸체(621b)의 상부에 상기 가스유입관(90)의 하부가 기밀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삼방변(100)의 상부, 전측 및 하부에 각각 상기 고압공기 공급관(70), 상기 가연가스 공급관(80) 및 상기 가스유입관(90)이 각각 기밀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삼방변(100)은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가스유입관(90)에 상기 고압공기 공급관(70)과 상기 가연가스 공급관(80)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레임(10)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는 고압공기 공급버튼과 가연가스 공급버튼이 누름식 버튼 또는 다이얼 버튼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고압공기 공급버튼을 ON상태로 설정한 경우, 상기 삼방변(100)은 상기 가스유입관(90)에 상기 고압공기 공급관(70)을 연통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스유입관(90)에 고압공기가 공급되어 상기 고압공기 분사노즐(620)의 노즐(622)이 고압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가연가스 공급버튼을 ON상태로 설정한 경우, 상기 삼방변(100)은 상기 가스유입관(90)에 상기 가연가스 공급관(80)을 연통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스유입관(90)에 가연가스가 공급되어 상기 고압공기 분사노즐(620)의 노즐(622)이 가연가스를 분사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고압공기 분사노즐(620)의 몸체(621)에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노즐(622)이 분사하는 가연가스를 점화시키는 점화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압공기 분사노즐(620)의 노즐(622)이 분사하는 가연가스를 점화하여 상기 드럼 스크린(20)의 복수의 다공(201)을 막은 일부 협잡물(3)을 보다 더더욱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점화된 상기 가연가스에 의해 상기 브러시(520)가 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회전 브러시부(50)의 브러시(520)는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10; 프레임, 20; 드럼 스크린,
30; 회전구동부, 40; 집수조,
50; 회전 브러시부, 60; 고압공기 분사부.

Claims (8)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일단부에 슬러지투입구가 형성되며, 타단부에 상기 슬러지투입구로부터 투입된 슬러지로부터 물이 분리된 협잡물이 배출되는 협잡물배출구가 형성되는 드럼 스크린과;
    상기 드럼 스크린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와;
    적어도 상기 드럼 스크린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드럼 스크린 내로 투입되어 탈수된 물이 수용되는 집수조와;
    상기 드럼 스크린의 외측에 수평방향으로 회전설치되고, 외주면에 돌출형성된 브러시의 단부가 상기 드럼 스크린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형성되어 회전하는 회전 브러시부와;
    상기 회전 브러시부의 주변에 수평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를 따라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드럼 스크린과 상기 회전 브러시부의 브러시 사이로 고압공기를 분사시키는 고압공기 분사노즐과, 상기 고압공기 분사노즐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좌우 이동부재로 구성되는 고압공기 분사부와;
    고압공기가 공급되는 고압공기 공급관과;
    가연가스가 공급되는 가연가스 공급관과;
    상기 고압공기 분사노즐에 연결되는 가스유입관과;
    상기 드럼 스크린의 복수의 다공을 막은 일부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고압공기 분사노즐이 분사하는 가연가스를 점화시키는 점화부와;
    상기 고압공기 공급관, 상기 가연가스 공급관 및 상기 가스유입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가스유입관에 상기 고압공기 공급관과 상기 가연가스 공급관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삼방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브러시부는 상기 드럼 스크린의 회전에 따라 피동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처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브러시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처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공기 분사노즐에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좌우 이동부재는 상기 가이드바에 평행하게 회전설치되고,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구동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처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브러시부의 브러시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처리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80108118A 2018-09-11 2018-09-11 슬러지 처리장치 KR101936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118A KR101936023B1 (ko) 2018-09-11 2018-09-11 슬러지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118A KR101936023B1 (ko) 2018-09-11 2018-09-11 슬러지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6023B1 true KR101936023B1 (ko) 2019-01-07

Family

ID=65016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8118A KR101936023B1 (ko) 2018-09-11 2018-09-11 슬러지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602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60317A (zh) * 2019-04-26 2020-01-07 王云 一种便于清洁除尘的公交站牌
CN111875042A (zh) * 2020-07-27 2020-11-03 汪涛 一种活性污泥生物膜复合式一体化处理设备
CN112939109A (zh) * 2021-01-28 2021-06-11 重庆精玖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污水处理用格栅除渣装置
CN113231202A (zh) * 2021-04-25 2021-08-10 江苏仕能工业技术有限公司 一种便于清洗的药剂混合下料设备
CN113588891A (zh) * 2021-09-26 2021-11-02 中国科学院、水利部成都山地灾害与环境研究所 非饱和条件下污染物迁移装置
KR102541318B1 (ko) * 2022-12-30 2023-06-13 거림환경 주식회사 협잡물 처리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292Y1 (ko) * 2007-07-12 2008-04-03 김재순 오.폐수 슬러지를 이용한 고형연료의 연소장치
KR101816693B1 (ko) * 2017-03-02 2018-02-21 이종욱 에너지 절약 작업환경 개선 스크류 프레스 탈수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292Y1 (ko) * 2007-07-12 2008-04-03 김재순 오.폐수 슬러지를 이용한 고형연료의 연소장치
KR101816693B1 (ko) * 2017-03-02 2018-02-21 이종욱 에너지 절약 작업환경 개선 스크류 프레스 탈수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60317A (zh) * 2019-04-26 2020-01-07 王云 一种便于清洁除尘的公交站牌
CN111875042A (zh) * 2020-07-27 2020-11-03 汪涛 一种活性污泥生物膜复合式一体化处理设备
CN111875042B (zh) * 2020-07-27 2021-10-01 广东清境世嘉环境技术有限公司 一种活性污泥生物膜复合式一体化处理设备
CN112939109A (zh) * 2021-01-28 2021-06-11 重庆精玖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污水处理用格栅除渣装置
CN112939109B (zh) * 2021-01-28 2022-08-30 重庆海纳川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污水处理用格栅除渣装置
CN113231202A (zh) * 2021-04-25 2021-08-10 江苏仕能工业技术有限公司 一种便于清洗的药剂混合下料设备
CN113588891A (zh) * 2021-09-26 2021-11-02 中国科学院、水利部成都山地灾害与环境研究所 非饱和条件下污染物迁移装置
KR102541318B1 (ko) * 2022-12-30 2023-06-13 거림환경 주식회사 협잡물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6023B1 (ko) 슬러지 처리장치
US8927266B2 (en) Garbage separating apparatus and food waste disposal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130105155A (ko) 롤러 청소 장치
CN206104544U (zh) 一种高效土壤修复用装置
KR101471373B1 (ko) 음식물 쓰레기 용기 세척차
CN104222251B (zh) 一种鲍鱼肉清洗装置
KR100915004B1 (ko) 슬러지 감량 이송 컨베이어
CN205413716U (zh) 机械零部件清洗装置
KR100906130B1 (ko) 토양의 오염물질 세척장치
CN215654657U (zh) 一种化工生产用烟气处理设备
CN215310463U (zh) 一种混凝土搅拌车废水处理装置
KR200303903Y1 (ko) 자동세륜기
CN211440733U (zh) 一种环保工程用废旧塑料无烟化处理装置
CN204224331U (zh) 一种印染污水污料的处理系统
CN205032424U (zh) 一种旋转喷淋式中药清洗机
KR100453931B1 (ko) 건설폐기물의 재생골재 세척장치
KR20090112949A (ko) 세륜기
CN205495100U (zh) 一种自动中水处理装置
CN211303998U (zh) 一种采煤机配件清洗房
JP2006095401A (ja) し渣処理装置
CN220201606U (zh) 一种可定量配比且均匀播撒的降解设备
CN117359834B (zh) 具有废气收集吸附功能的废旧包装桶预处理工艺
JPH0532197Y2 (ko)
CN109365127B (zh) 一种防止炉渣铁粉滤除装置的排泄管堵塞的方法
CN212758642U (zh) 废活性炭定量投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