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5628B1 - 터치패널 - Google Patents

터치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5628B1
KR101935628B1 KR1020150043399A KR20150043399A KR101935628B1 KR 101935628 B1 KR101935628 B1 KR 101935628B1 KR 1020150043399 A KR1020150043399 A KR 1020150043399A KR 20150043399 A KR20150043399 A KR 20150043399A KR 101935628 B1 KR101935628 B1 KR 101935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bridge
width
bridge electrode
connectio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3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5520A (ko
Inventor
이재현
최병진
이철훈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3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5628B1/ko
Publication of KR20160115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5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은, 다수의 전극패턴을 포함하는 감지전극; 인접하는 전극패턴을 연결하는 브리지 전극; 및 상기 전극패턴과 브리지 전극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곡률을 가지는 형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터치패널{TOUCH PANEL}
실시 예는 터치패널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전자 제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화상에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stylus) 등의 입력 장치를 접촉하는 방식으로 입력을 하는 터치 패널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터치 패널은 크게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과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로 구분될 수 있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은 입력 장치의 압력에 의하여 유리와 전극이 단락되어 위치가 검출된다.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은 손가락이 접촉했을 때 전극 사이의 정전 용량이 변화하는 것을 감지하여 위치가 검출된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은 반복 사용에 의하여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스크래치(scratch)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내구성이 뛰어나고 수명이 긴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상기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은 터치 명령 입력이 가능한 유효영역과 상기 유효영역 외곽의 비유효 영역으로 정의된다. 상기 유효영역에 형성되는 전극패턴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의 광을 투과시킬 수 있도록 투명한 도전물질로 형성된다.
최근의 상기 터치 패널은 인접하는 전극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브리지 전극을 더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브리지 전극은 상기 전극패턴과 다른 물질로 형성되어 외부에서 보았을 때 상기 브리지 전극이 시인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실시 예는 외부로부터 브리지 전극이 시인되는 것을 방지하는 터치패널을 제공한다.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은, 다수의 전극패턴을 포함하는 감지전극; 인접하는 전극패턴을 연결하는 브리지 전극; 및 상기 전극패턴과 브리지 전극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곡률을 가지는 형상을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은 연결부를 곡률을 가지는 형상을 포함하여 형성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난반사를 유발하여 외부로부터 연결부 또는 브리지 전극이 시인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X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감지전극을 A-A`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감지전극을 B-B`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6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7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8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1은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이 적용되는 표시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은, 다수의 전극패턴을 포함하는 감지전극; 인접하는 전극패턴을 연결하는 브리지 전극; 및 상기 전극패턴과 브리지 전극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곡률을 가지는 형상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는 연결부 굴곡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연결부 굴곡은 삼각형상일 수 있다.
상기 브리지 전극은 브리지 굴곡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브리지 굴곡은 삼각형상일 수 있다.
상기 브리지 전극은 제1 브리지 전극 및 제2 브리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브리지 전극에 연결되는 제1 서브 연결부 및 상기 제2 브리지 전극에 연결되는 제2 서브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전극패턴과 컨택홀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의 폭은 상기 브리지 전극의 폭보다 크고, 상기 브리지 전극의 폭은 상기 컨택홀의 폭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상기 연결부의 폭은 상기 컨택홀의 폭보다 크고, 상기 컨택홀의 폭은 상기 브리지 전극의 폭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상기 브리지 전극은 2um 내지 200um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2.4um 내지 300um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컨택홀은 2um 내지 200um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브리지 전극 및 연결부는 인듐주석산화물(ITO), 인듐아연산화물(IZO), 구리 산화물(copper oxide),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 tube, CNT), 메탈 메쉬(metal mesh), 은 나노 와이어(Ag nano wire), 전도성막(PEDOT:PSS) 및 나노 파이버(nano fib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리지 전극 및 연결부는 크롬(Cr), 니켈(Ni), 알루미늄(Al), 백금(Pt), 금(Au), 텅스텐(W), 구리(Cu) 및 몰리브덴(Mo)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1)은 유효영역(AA) 및 비유효 영역(U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효영역(AA)은 사용자의 터치 명령 입력이 가능한 영역을 의미하며, 상기 비유효 영역(UA)은 상기 유효영역(AA)의 외곽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터치가 이루어짐에도 활성화되지 않아 터치 명령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는 영역을 의미한다.
상기 터치패널(1)이 표시패널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경우 상기 터치패널(1)의 유효 영역(AA) 및 비유효 영역(UA)은 표시장치의 표시영역 및 비표시 영역과 대응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영역은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이고 상기 비표시 영역은 화상을 표시하지 않는 영역이다. 따라서, 상기 터치패널의 유효 영역(AA)은 광을 투과할 수 있는 영역으로 구성되어야 하고, 상기 터치패널의 비유효 영역(UA)은 광을 투과하지 않는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효영역(AA)에는 다수의 전극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10)의 유효영역(AA)에는 제1 감지전극(20) 및 제2 감지전극(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전극(20)은 다수의 제1 전극패턴(21)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감지전극(30)은 다수의 제2 전극패턴(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1 전극패턴(21)은 제1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고, 상기 다수의 제2 전극패턴(31)은 제2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다.
각각의 제1 전극패턴(21)은 인접하는 제1 전극패턴(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각각의 제2 전극패턴(31)은 인접하는 제2 전극패턴(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패턴(21) 및 제2 전극패턴(31)은 각각 단위 도전패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단위 도전패턴에 의해 터치화소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전극(20)은 상기 제2 감지전극(30)과 교차영역(40)에서 교차할 수 있다. 상기 교차영역(40)에서 상기 제1 감지전극(20)과 상기 제2 감지전극(30)은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로 교차할 수 있다.
상기 비유효 영역(UA)에는 다수의 배선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10)의 비유효 영역(UA)에는 다수의 제1 배선패턴(41) 및 제2 배선패턴(4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전극(20)은 상기 제1 배선패턴(4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전극(20)은 상기 제1 배선패턴(4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감지전극(20)은 상기 제1 배선패턴(41)과 별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감지전극(30)은 상기 제2 배선패턴(43)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감지전극(30)은 상기 제2 배선패턴(43)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제2 감지전극(30)은 상기 제2 배선패턴(43)과 별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감지전극(20, 30)과 상기 제1 및 제2 배선패턴(41, 43)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감지전극(20, 30)은 투명도전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X영역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감지전극을 A-A`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감지전극을 B-B`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1)의 감지전극의 일부를 확대하여 보면, 상기 기판(10) 상에는 제1 감지전극(20) 및 제2 감지전극(30)이 형성된다, 상기 제1 감지전극(20)은 다수의 제1 전극패턴(21)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감지전극(30)은 다수의 제2 전극패턴(31) 및 연결전극(33)을 포함한다.
각각의 제1 전극패턴(21)과 제2 전극패턴(31)은 마름모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전극(33)은 상기 제1 감지전극(20)과 제2 감지전극(30)이 교차하는 교차영역(4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전극(33)은 인접하는 제2 전극패턴(3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전극(33)은 인접하는 제2 전극패턴(31)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패턴(21), 제2 전극패턴(31) 및 상기 연결전극(33)은 상기 기판(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패턴(21), 제2 전극패턴(31) 및 상기 연결전극(33)은 동일층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패턴(21), 제2 전극패턴(31) 및 상기 연결전극(33)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패턴(21), 제2 전극패턴(31) 및 상기 연결전극(33)은 인듐주석산화물(ITO), 인듐아연산화물(IZO), 구리 산화물(copper oxide),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 tube, CNT), 메탈 메쉬(metal mesh), 은 나노 와이어(Ag nano wire), 전도성막(PEDOT:PSS) 및 나노 파이버(nano fib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패턴(31)과 상기 연결전극(33)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패턴(21), 제2 전극패턴(31) 및 상기 연결전극(33)이 형성된 기판(10)상에 절연층(6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층(60)은 상기 제1 전극패턴(21), 제2 전극패턴(31) 및 연결전극(33) 상에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절연층(60)은 상기 연결전극(33)과 이후에 형성될 브리지 전극(51)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절연층(60)에는 컨택홀(6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컨택홀(61)은 상기 절연층(60)을 관통하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컨택홀(61)은 상기 절연층(60)을 관통하며 상기 제1 전극패턴(21)을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컨택홀(61)은 제1 컨택홀(61a) 및 제2 컨택홀(61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컨택홀(61a) 및 제2 컨택홀(61b)은 인접하는 제1 전극패턴(21)의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컨택홀(61)은 상면이 원형인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층(60) 상에는 브리지 전극(51) 및 연결부(5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리지 전극(51)은 상기 제1 감지전극(20)의 배열방향인 제1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리지 전극(51)은 인접하는 제1 전극패턴(21)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브리지 전극(51)은 상기 제1 전극패턴(21)으로부터 상기 교차영역(40)으로 연장되어 인접하는 제1 전극패턴(2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층(60) 상에 형성되는 브리지 전극(51)은 상기 절연층(60)에 의해 상기 연결전극(33)과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상기 제1 감지전극(20)과 제2 감지전극(30)을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53)는 제1 연결부(53a) 및 제2 연결부(5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53)는 상기 브리지 전극(51)의 양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53a)는 상기 브리지 전극(51)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연결부(53b)는 상기 브리지 전극(51b)의 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53a)는 상기 제1 컨택홀(61a)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53b)는 상기 제2 컨택홀(61b)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53a)는 상기 제1 컨택홀(61a)과 동일한 중심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53b)는 상기 제2 컨택홀(61b)과 동일한 중심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연결부(53)는 곡률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53)는 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53)는 상기 컨택홀(61)과 동일한 중심을 가지는 동심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53)의 형상은 포토 리쏘그래피 공정의 마스크의 형상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53)가 원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연결부(53)에 조사되는 광의 난반사를 유발하여 상기 연결부(53)가 외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53)는 상기 브리지 전극(5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53)와 브리지 전극(51)은 동일한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리지 전극(51) 및 연결부(53)는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리지 전극(51) 및 연결부(53)는 투명한 도전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리지 전극(51) 및 연결부(53)가 투명한 도전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인듐주석산화물(ITO), 인듐아연산화물(IZO), 구리 산화물(copper oxide),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 tube, CNT), 메탈 메쉬(metal mesh), 은 나노 와이어(Ag nano wire), 전도성막(PEDOT:PSS) 및 나노 파이버(nano fib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브리지 전극(51) 및 연결부(53)는 저항이 낮은 금속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리지 전극(51) 및 연결부(53)가 저항이 낮은 금속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크롬(Cr), 니켈(Ni), 알루미늄(Al), 백금(Pt), 금(Au), 텅스텐(W), 구리(Cu) 및 몰리브덴(Mo)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리지 전극(51) 및 연결부(53)는 상기 제1 배선패턴(41) 및 제2 배선패턴(43)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리지 전극(51) 및 연결부(53)는 상기 제1 배선패턴(41) 및 제2 배선패턴(43)과 동일한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리지 전극(51) 및 연결부(53)는 상기 제1 배선패턴(41) 및 제2 배선패턴(43)과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리지 전극(51) 및 연결부(53)가 상기 제1 배선패턴(41) 및 제2 배선패턴(43)과 동시에 형성되는 경우 별도의 브리지 전극(51) 및 연결부(53) 의 형성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어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고 제조수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컨택홀(61)은 제1 폭(w1)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컨택홀(61)은 2um 내지 200um의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컨택홀(61)이 2um 내지 200um의 폭으로 형성됨으로써 접촉저항을 줄일 수 있고, 외부로부터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컨택홀(61)이 2um 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컨택홀(61)에 충진되는 연결부(53)가 작아져 상기 연결부(53)와 상기 제1 전극패턴(21)간의 접촉면적이 줄어들어 접촉저항이 상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택홀(61)이 200um를 초과하는 폭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컨택홀(61)의 폭에 의해 상기 연결부(53)의 폭이 늘어날 수 밖에 없어 상기 연결부(53)가 외부로부터 시인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브리지 전극(51)은 제2 폭(w2)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리지 전극(51)은 2um 내지 200um의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리지 전극(51)이 2um 내지 200um의 폭으로 형성됨으로써 브리지 전극(51)의 저항을 줄일 수 있고, 외부로부터 상기 브리지 전극(51)이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브리지 전극(51)이 2um 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브리지 전극(51)을 통해 이동할 수 있는 전하량이 줄어들어 저항이 증가하고, 상기 브리지 전극(51)이 200um를 초과하는 폭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브리지 전극(51)이 외부로부터 시인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연결부(53)는 제3 폭(w3)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53)는 2.4um 내지 300um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연결부(53)를 2.4um 내지 300um의 폭으로 형성함으로써 접촉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 상기 연결부(53)가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53)를 2.4um 미만으로 형성하는 경우 상기 연결부(53) 형성시 마스크가 상기 컨택홀(61)과 미스 얼라인 되는 경우 상기 컨택홀(61)에 상기 연결부(53)가 형성되지 않아 인접하는 상기 제1 전극패턴(21)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53)가 300um를 초과하는 폭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연결부(53)가 외부로부터 시인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연결부(53)의 폭은 상기 컨택홀(61)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즉, 상기 제3 폭(w3)은 상기 제1 폭(w1)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3 폭(w3)을 상기 제1 폭(w1) 보다 큰 폭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연결부(53) 형성시 마스크가 상기 컨택홀(61)과 다소간 미스 얼라인 되더라도, 상기 컨택홀(61)에 상기 연결부(53)가 형성될 수 있어 상기 연결부(53)와 상기 제1 전극패턴(21) 사이의 접촉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53)의 폭은 상기 컨택홀(61)의 폭보다 크고, 상기 컨택홀(61)의 폭은 상기 브리지 전극(51)의 폭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또는, 상기 연결부(53)의 폭은 상기 브리지 전극(51)의 폭보다 크고, 상기 브리지 전극(51)의 폭은 상기 컨택홀(61)의 폭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도 5 내지 도 9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은 도 1 내지 도 4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과 브리지 전극 및 연결부의 형상만 상이할 뿐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도 5 내지 도 9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을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과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1)은 인접하는 제1 전극패턴(21)을 연결하는 브리지 전극(51)이 형성된다. 상기 브리지 전극(51)의 양측에는 연결부(53)가 형성된다.
상기 브리지 전극(51)은 다수의 브리지 굴곡면(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리지 굴곡면(52)은 상기 브리지 전극(51)의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으로 돌출 또는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리지 굴곡면(52)은 상기 연결부(53)와 접촉하지 않는 상기 브리지 전극(51)의 양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리지 굴곡면(52)은 상기 브리지 전극(51)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양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리지 굴곡면(52)은 돌출부(52a)와 함몰부(5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리지 굴곡면(52)의 돌출부(52a)는 곡률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브리지 굴곡면(52)의 돌출부(52a)는 모두 동일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브리지 굴곡면(52)의 돌출부(52a)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돌출부(52a)와 상이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리지 굴곡면(52)의 돌출부(52a)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브리지 굴곡면(52)의 돌출부(52a)는 모두 동일한 반경을 가지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브리지 굴곡면(52)의 돌출부(52a)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돌출부(52a)와 상이한 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리지 굴곡면(52)이 외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난반사를 유발하여 상기 브리지 전극(51)이 외부로부터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53)는 곡률을 가지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53)는 다수의 곡률을 가지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53)는 다수의 연결부 굴곡면(5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 굴곡면(54)은 상기 연결부(53)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 굴곡면(54)은 상기 브리지 전극(51)과 연결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 상기 연결부(53)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 굴곡면(54)은 상기 브리지 굴곡면(52)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연결부 굴곡면(54)은 돌출부(54a)와 함몰부(54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 굴곡면(54)의 돌출부(54a)는 곡률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연결부 굴곡면(54)의 돌출부(54a)는 모두 동일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연결부 굴곡면(54)의 돌출부(54a)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돌출부(54a)와 상이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 굴곡면(54)의 돌출부(54a)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연결부 굴곡면(54)의 돌출부(54a)는 모두 동일한 반경을 가지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연결부 굴곡면(54)의 돌출부(54a)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돌출부(54a)와 상이한 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 굴곡면(54)이 외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난반사를 유발하여 상기 연결부(53)가 외부로부터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1)은 인접하는 제1 전극패턴(21)을 연결하는 브리지 전극(51)이 형성된다. 상기 브리지 전극(51)의 양측에는 연결부(53)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53)는 도 5의 연결부(53)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리지 전극(51)은 다수의 브리지 굴곡면(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리지 굴곡면(52)은 상기 브리지 전극(51)의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으로 돌출 또는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리지 굴곡면(52)은 상기 연결부(53)와 접촉하지 않는 상기 브리지 전극(51)의 양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리지 굴곡면(52)은 상기 브리지 전극(51)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양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리지 굴곡면(52)은 돌출부(52a)와 함몰부(5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리지 굴곡면(52)의 돌출부(52a)는 삼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리지 굴곡면(52)은 꼭지각을 가지는 삼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브리지 굴곡면(52)의 돌출부(52a)는 모두 동일한 꼭지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브리지 굴곡면(52)의 돌출부(52a)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돌출부(52a)와 상이한 꼭지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리지 굴곡면(52)이 외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난반사를 유발하여 상기 브리지 전극(51)이 외부로부터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53)는 다수의 연결부 굴곡면(5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리지 굴곡면(52)과 상기 연결부 굴곡면(54)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1)은 인접하는 제1 전극패턴(21)을 연결하는 브리지 전극(51)이 형성된다. 상기 브리지 전극(51)의 양측에는 연결부(53)가 형성된다.
상기 브리지 전극(51)은 다수의 브리지 굴곡면(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리지 굴곡면(52)은 상기 브리지 전극(51)의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으로 돌출 또는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리지 굴곡면(52)은 상기 연결부(53)와 접촉하지 않는 상기 브리지 전극(51)의 양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리지 굴곡면(52)은 상기 브리지 전극(51)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양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리지 굴곡면(52)은 돌출부(52a)와 함몰부(5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리지 굴곡면(52)의 돌출부(52a)는 곡률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리지 굴곡면(52)이 외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난반사를 유발하여 상기 브리지 전극(51)이 외부로부터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53)는 다수의 연결부 굴곡면(5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리지 굴곡면(52)과 상기 연결부 굴곡면(54)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연결부 굴곡면(54)은 상기 연결부(53)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 굴곡면(54)은 상기 브리지 전극(51)과 연결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 상기 연결부(53)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 굴곡면(54)은 돌출부(54a)와 함몰부(54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 굴곡면(54)의 돌출부(54a)는 삼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 굴곡면(54)은 꼭지각을 가지는 삼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연결부 굴곡면(54)의 돌출부(54a)는 모두 동일한 꼭지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연결부 굴곡면(54)의 돌출부(54a)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돌출부(54a)와 상이한 꼭지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 굴곡면(54)이 외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난반사를 유발하여 상기 연결부(53)가 외부로부터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1)은 인접하는 제1 전극패턴(21)을 연결하는 브리지 전극(51)이 형성된다. 상기 브리지 전극(51)의 양측에는 연결부(53)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53)는 도 2와 같은 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리지 전극(51)은 브리지 굴곡면(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리지 굴곡면(52)은 상기 브리지 전극(51)의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으로 돌출 또는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리지 굴곡면(52)은 상기 연결부(53)와 접촉하지 않는 상기 브리지 전극(51)의 양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리지 굴곡면(52)은 상기 브리지 전극(51)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양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리지 굴곡면(52)은 돌출부(52a)와 함몰부(5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리지 굴곡면(52)의 돌출부(52a)는 곡률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리지 굴곡면(52)은 전영역에서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브리지 전극(51)의 일측에 돌출부(52a)가 형성되는 경우 타측에는 함몰부(52b)가 형성되어 일정한 폭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리지 전극(51)의 일측에 함몰부(52b)가 형성되는 경우 타측에는 돌출부(52a)가 형성되어 일정한 폭을 유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브리지 전극(51)은 돌출부(52a)와 함몰부(52b)에 의해 곡선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브리지 굴곡면(52)이 외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난반사를 유발하여 상기 브리지 전극(51)이 외부로부터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1)은 인접하는 제1 전극패턴(21)을 연결하는 브리지 전극(51)이 형성된다. 상기 브리지 전극(51)의 양측에는 연결부(53)가 형성된다.
상기 브리지 전극(51)은 다수의 브리지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브리지 전극(51)은 서로 평행하는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브리지 전극(51)은 제1 브리지 전극(71) 및 제2 브리지 전극(7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브리지 전극(71) 및 제2 브리지 전극(73)은 서로 평행하여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1 브리지 전극(71) 및 제2 브리지 전극(73)은 도 1 내지 도 8의 브리지 전극(51)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브리지 전극(71) 및 제2 브리지 전극(73)의 폭의 합은 상기 도 1 내지 도 8의 브리지 전극(51)의 폭과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53)는 다수의 서브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53)는 제1 서브 연결부(81) 및 제2 서브 연결부(8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연결부(81)는 상기 제1 브리지 전극(71)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서브 연결부(83)는 상기 제2 브리지 전극(73)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리지 전극(51)이 다수의 브리지 전극을 포함함으로써 인접하는 제1 전극패턴(21) 간에 동일한 저항을 제공하면서 작은 폭으로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브리지 전극 중 어느 하나가 개방된다고 하더라도, 나머지 브리지 전극이 전하의 이동경로 역할을 하여 터치패널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표 1은 브리지 시인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구분 종래기술 도 2의 실시 예 도 5의 실시 예 도 9의 실시 예
시인 여부 확인 87/100 8/100 17/100 6/100
상기 표 1의 종래기술은 종래의 사각 형상의 브리지 전극과 연결부를 가지는 터치패널을 의미한다. 표 1의 시인 여부 확인은 100명의 다른 관찰자가 브리지 전극 및 연결부의 시인여부를 확인하여 도출한 결과이다.
종래기술에서는 87%가 브리지 전극 또는 연결부가 시인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도 2의 원형상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터치패널의 경우 8%의 관찰자가 브리지 전극 또는 연결부가 시인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도 5의 곡률을 가지는 형상을 포함하는 브리지 전극 및 연결부를 포함하는 터치패널의 경우 17%의 관찰자가 브리지 전극 또는 연결부가 시인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도 9의 다수의 브리지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패널의 경우 6% 관찰자가 브리지 전극 또는 연결부가 시인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표 1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형상의 브리지 전극 또는 연결부를 형성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난반사를 유발하여 외부로부터 상기 브리지 전극 또는 연결부가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될 수 있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에 대한 상면도이다.
도 10에 따른 터치패널은 도 2에 따른 터치패널과 비교하여 절연층(60)의 도포영역이 상이할 뿐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도 10에 따른 터치패널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2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기판(10) 상에 제1 감지전극(20) 및 제2 감지전극(30)이 형성된다. 상기 제1 감지전극(20)은 다수의 제1 전극패턴(21)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감지전극(30)은 다수의 제2 전극패턴(31) 및 연결전극(3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전극패턴(21) 및 제2 전극패턴(31)은 마름모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패턴(21), 제2 전극패턴(31) 및 연결전극(33)은 동일층에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전극(33)은 상기 제1 감지전극(20)과 제2 감지전극(30)이 교차하는 교차영역(4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교차영역(40)에는 절연층(6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층(60)은 상기 연결전극(33)의 일부와 상기 제1 전극패턴(21)의 일부를 덮으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층(60)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층(60)을 상기 교차영역(40)에만 형성함으로써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절연층(60)은 상기 연결전극(33)과 이후에 형성될 브리지 전극(51)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교차영역(40)의 상기 절연층(60)에는 컨택홀(6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교차영역(40)의 상기 절연층(60) 상에는 브리지 전극(51) 및 연결부(5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리지 전극(51)은 상기 컨택홀(61)을 통해 상기 제1 전극패턴(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결과적으로 인접하는 상기 제1 전극패턴(21)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 11은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이 적용되는 표시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장치(1000)에는 외부로부터 명령 입력을 위한 입력버튼(1100), 정지영상 및 동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1200) 및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130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1000)는 앞서 설명한 터치패널(1) 및 표시패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널(1)은 상기 표시패널(미도시)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미도시)은 상기 터치패널(1)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미도시)은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미도시)은 액정표시패널 또는 유기발광 표시패널일 수 있으며, 모바일 폰, TV, 네비게이션 장치 등 다양한 제품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패널이 적용되는 장치로 표시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패널이 적용되는 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키패드, 노트북용 터치 패드, 차량용 터치 입력 장치 등 다양한 제품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터치패널
10: 기판
20: 제1 감지전극
21: 제1 전극패턴
30: 제2 감지전극
31: 제2 전극패턴
33: 연결부
40: 교차영역
51: 브리지 전극
53: 연결부
60: 절연층
61: 컨택홀

Claims (16)

  1. 다수의 전극패턴을 포함하는 감지전극;
    인접하는 전극패턴을 연결하는 브리지 전극; 및
    상기 전극패턴과 브리지 전극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곡률을 가지는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부의 곡률을 가지는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다수의 돌출부와 함몰부로 구성되는 연결부 굴곡을 포함하고,
    상기 브리지 전극은 굴곡을 가지며,
    상기 연결부 굴곡과 상기 브리지 전극의 굴곡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는 터치패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굴곡은 삼각형상인 터치패널.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 굴곡은 삼각형상인 터치패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 굴곡은 곡률을 가지는 터치패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 전극은 제1 브리지 전극 및 제2 브리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브리지 전극에 연결되는 제1 서브 연결부 및 상기 제2 브리지 전극에 연결되는 제2 서브 연결부를 포함하는 터치패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전극패턴과 컨택홀을 통해 연결되는 터치패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폭은 상기 브리지 전극의 폭보다 크고, 상기 브리지 전극의 폭은 상기 컨택홀의 폭보다 크거나 같은 터치패널.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폭은 상기 컨택홀의 폭보다 크고, 상기 컨택홀의 폭은 상기 브리지 전극의 폭보다 크거나 같은 터치패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 전극은 2um 내지 200um의 폭을 가지는 터치패널.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2.4um 내지 300um의 폭을 가지는 터치패널.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홀은 2um 내지 200um의 폭을 가지는 터치패널.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 전극 및 연결부는 인듐주석산화물(ITO), 인듐아연산화물(IZO), 구리 산화물(copper oxide),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 tube, CNT), 메탈 메쉬(metal mesh), 은 나노 와이어(Ag nano wire), 전도성막(PEDOT:PSS) 및 나노 파이버(nano fib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터치패널.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 전극 및 연결부는 크롬(Cr), 니켈(Ni), 알루미늄(Al), 백금(Pt), 금(Au), 텅스텐(W), 구리(Cu) 및 몰리브덴(Mo)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터치패널.
  16. 삭제
KR1020150043399A 2015-03-27 2015-03-27 터치패널 KR101935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399A KR101935628B1 (ko) 2015-03-27 2015-03-27 터치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399A KR101935628B1 (ko) 2015-03-27 2015-03-27 터치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5520A KR20160115520A (ko) 2016-10-06
KR101935628B1 true KR101935628B1 (ko) 2019-01-04

Family

ID=57164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3399A KR101935628B1 (ko) 2015-03-27 2015-03-27 터치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56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54001B2 (en) 2019-08-14 2022-06-0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an input sensing panel having an island patter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26389B (zh) * 2017-09-05 2021-03-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面板
CN113721797A (zh) * 2021-11-03 2021-11-30 烟台正海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金属网格触摸屏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1750B1 (ko) * 2011-05-09 2013-09-26 주식회사 상보 카본나노튜브 기반의 터치패널
KR101370443B1 (ko) * 2011-12-22 2014-03-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패널의 전극 패턴
KR102119791B1 (ko) * 2012-09-27 2020-06-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KR20140046943A (ko) * 2012-10-11 2014-04-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59571A (ko) * 2012-11-08 2014-05-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54001B2 (en) 2019-08-14 2022-06-0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an input sensing panel having an island patter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5520A (ko) 201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20575B (zh) 触摸面板
US10768757B2 (en) Flexible touch screen panel and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the same
US10459585B2 (en) Touch sensor device
CN106020523B (zh) 触摸面板
TWI678646B (zh) 觸碰感測裝置
TWI767932B (zh) 觸控面板及包含該觸控面板之顯示裝置
KR102329810B1 (ko) 메시 형태의 전극 패턴 및 전극 패턴의 형성 방법, 그리고 전극 패턴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
US9990098B2 (en) Touch screen panel
US9753595B2 (en) Touch screen panel
KR20160041608A (ko) 터치 윈도우
KR102542992B1 (ko)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150092359A1 (en) Touch window and touch device with the same
JP6472467B2 (ja)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
TWI630517B (zh) 觸控視窗以及包含其之觸控裝置
KR101935628B1 (ko) 터치패널
US10521057B2 (en) Touch screen panel having overlapping sensing electrod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985437B1 (ko) 플렉서블 터치스크린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2285458B1 (ko) 터치패널
KR102195393B1 (ko) 터치패널
KR20160116744A (ko) 터치패널
JP2022133487A (ja) 透明電極部材、静電容量式センサおよび入出力装置
KR20160097732A (ko) 도전패턴
KR20160015794A (ko) 터치 윈도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