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5221B1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5221B1
KR101935221B1 KR1020187014144A KR20187014144A KR101935221B1 KR 101935221 B1 KR101935221 B1 KR 101935221B1 KR 1020187014144 A KR1020187014144 A KR 1020187014144A KR 20187014144 A KR20187014144 A KR 20187014144A KR 101935221 B1 KR101935221 B1 KR 101935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eight
weight portion
region
width direction
fl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4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3327A (ko
Inventor
가즈야 니시타니
히데유키 기노시타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63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3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 A61F13/475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being a flat barrier on or inside the absorbent article, e.g. backsheet wrapped around the ed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 A61F13/475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being located outside the perimeter of the absorbent co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ncircling the crotch region of the undergar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0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 A61F13/5611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using fastening strips, e.g. adhesive, on the undergarment-facing s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2013/470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enlarged in the anal are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뒤척임 등으로 착용자의 자세가 반복하여 변화했을 때에 흡수체의 의도하지 않은 변형을 억제하여, 누설의 발생 및 장착감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한다. 흡수성 물품은, 가랑이 영역과 후측 영역에 배치되는 흡수 코어(31)와, 힙 플랩(4)을 갖는다. 흡수 코어는, 후측 영역에서 흡수 코어의 폭 방향 중앙에 위치하는 제2 저단위중량부(42)와, 제2 저단위중량부보다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고단위중량부(45)를 갖는다. 흡수성 물품(1)은, 저단위중량부와 고단위중량부를 덮는 표면 시트(11)와, 힙 플랩에 배치되는 플랩 시트(15)를 갖는다. 표면 시트의 외측 가장자리(11OE)는, 플랩 시트의 내측 가장자리(15IE)보다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한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
본 발명은 생리용 냅킨 등의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냅킨 등의 흡수성 물품은, 착용자가 누워 있는 상태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흡수성 물품을 누워 있는 상태에서 사용할 때에는, 후방으로 누설되기 쉽다. 그 때문에, 냅킨 등의 흡수성 물품으로서, 후방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힙 플랩을 갖는 흡수성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의 흡수성 물품은, 가랑이 영역과, 가랑이 영역의 후측에 위치하는 후측 영역과, 가랑이 영역과 후측 영역에 배치되는 흡수 코어와, 후측 영역에서, 가랑이 영역의 흡수 코어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힙 플랩을 갖는다. 힙 플랩에는 지지층이 배치되어 있다. 지지층은, 흡수 코어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과, 힙 플랩의 일부의 영역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표 2008-520401호 공보
특허문헌 1의 흡수성 물품의 힙 플랩은, 착용자가 누워 있는 상태에서 착용자의 둔부의 측부를 덮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흡수성 물품이 장착된 상태에서, 뒤척임 등으로 좌우의 어느 둔부측로부터의 체압이 치우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착용자가 몸을 뒤척여서 우측의 둔부측으로부터의 체압이 커지면, 우측의 둔부에 의해 우측의 흡수 코어가 압박되어 우측으로 이동한다. 특허문헌 1의 흡수성 물품은, 흡수 코어의 이동에 따라 흡수 코어와 중복되는 지지층이 우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그러나, 흡수성 물품의 지지층의 외측 가장자리가 둔부에 압박되어 우측으로 이동할 수 없고, 흡수 코어가 이동할 수 없어 압축되는 경우가 있다. 흡수 코어가 반복하여 압축되면, 흡수 코어의 일부가 딱딱해지거나, 흡수 코어의 일부가 꼬여 버리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흡수체가 의도하지 않은 양태로 변형되어 누설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흡수 코어의 일부가 딱딱해지는 것에 의해 흡수성 물품의 표면이 딱딱해져, 장착감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뒤척임 등으로 착용자의 자세가 반복하여 변화했을 때에 흡수체의 의도하지 않은 변형을 억제하여, 누설의 발생 및 장착감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은, 서로 직교하는 전후 방향(전후 방향(L)) 및 폭 방향(폭 방향(W))과, 착용자의 가랑이에 배치되는 가랑이 영역(가랑이 영역(S1))과, 상기 가랑이 영역의 후측에 위치하는 후측 영역(후측 영역(S3))과, 상기 가랑이 영역과 상기 후측 영역에 배치되는 흡수 코어(흡수 코어(31))와, 상기 후측 영역에서, 상기 가랑이 영역의 상기 흡수 코어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힙 플랩(힙 플랩(4))을 갖는 흡수성 물품(흡수성 물품(1))으로서, 상기 흡수 코어는, 상기 후측 영역에서 상기 흡수 코어의 폭 방향 중앙에 위치하는 저단위중량부(제2 저단위중량부(42))와, 상기 저단위중량부보다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저단위중량부보다 단위중량이 높은 고단위중량부(고단위중량부(45))를 가지며, 상기 저단위중량부와 상기 고단위중량부를 덮는 표면 시트(표면 시트(11))와, 상기 힙 플랩에 배치되는 플랩 시트(플랩 시트(15))를 가지며, 상기 표면 시트의 외측 가장자리(외측 가장자리(11OE))는, 상기 플랩 시트의 내측 가장자리(내측 가장자리(15IE))보다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한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에서의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과는 반대측에서 본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르는 흡수성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사용중인 흡수성 물품의 도 1의 A-A선을 따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에 관해 설명한다. 흡수성 물품은, 팬티라이너(대하 시트)나 생리용 냅킨이나 실금 패드 등의 임의의 흡수성 물품이어도 좋다. 이하의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성 물품의 일례로서 일회용 생리용 냅킨에 관해 설명한다.
또,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였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상이한 경우가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한다. 또한, 도면 상호간에도 서로의 치수의 관계나 비율이 상이한 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1) 흡수성 물품의 전체적 구성
도 1은, 일 실시형태에서의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과는 반대측에서 본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르는 흡수성 물품의 단면도이다.
흡수성 물품(1)은, 전후 방향(L)과 폭 방향(W)과 두께 방향(T)을 갖는다. 전후 방향(L)은, 착용자의 전측(배측)으로부터 후측(등측)으로 연장되는 방향, 또는 착용자의 후측으로부터 전측으로 연장되는 방향이다. 폭 방향(W)은, 전후 방향(L)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두께 방향(T)은, 착용자의 피부 대향면측(T1)으로부터 피부 비대향면측(T2)으로 연장되는 방향이며, 전후 방향(L) 및 폭 방향(W)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피부 대향면측(T1)은, 사용시에 착용자의 피부에 면하는 측에 해당한다. 피부 비대향면측(T2)은, 사용시에 피부 대향면측(T1)과는 반대측, 즉 착용자의 피부와는 반대로 향해지는 측에 해당한다.
흡수성 물품(1)은, 가랑이 영역(S1), 전측 영역(S2) 및 후측 영역(S3)을 갖는다. 가랑이 영역(S1)은, 착용자의 배설구(예컨대 질구)에 대향하는 영역이다. 흡수성 물품이 속옷에 장착되었을 때에, 가랑이 영역(S1)은 속옷의 가랑이부에 위치한다. 즉, 가랑이 영역은, 착용자의 가랑이, 즉 착용자의 양 다리 사이에 배치되는 영역이다.
전측 영역(S2)은, 가랑이 영역(S1)보다 전측에 위치한다. 전측 영역(S2)의 전단 가장자리는 흡수성 물품(1)의 전단 가장자리를 규정한다. 후측 영역(S3)은, 가랑이 영역(S1)보다 후측에 위치한다. 후측 영역(S3)의 후단 가장자리는 흡수성 물품(1)의 후단 가장자리를 규정한다. 후측 영역(S3)의 전후 방향(L)의 길이는, 가랑이 영역(S1)의 전후 방향(L)의 길이보다 길게 되어 있어도 좋다.
가랑이 영역(S1)에는, 후술하는 윙(3)이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후측 영역(S3)에는, 폭 방향(W)의 외측으로 팽창된 힙 플랩(4)이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윙(3)의 전단 가장자리는, 윙(3)의 밑동에 의해 규정되어 있고, 가장 폭 방향(W)의 내측으로 우묵하게 들어간 2개의 부분 중 전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해당한다. 윙(3)의 전단 가장자리는, 가랑이 영역(S1)과 전측 영역(S2)의 경계를 규정하고 있어도 좋다. 윙(3)의 후단 가장자리는, 윙(3)의 밑동에 의해 규정되어 있고, 가장 폭 방향(W)의 내측으로 우묵하게 들어간 2개의 부분 중 후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해당한다. 윙(3)의 후단 가장자리는, 가랑이 영역(S1)과 후측 영역(S3)의 경계를 규정하고 있어도 좋다. 여기서, 전후 방향(L)에서의 윙(3)의 전단 가장자리와 윙(3)의 후단 가장자리 사이의 영역을 「윙 영역」이라고 칭한다. 윙을 갖는 흡수성 물품에서는, 가랑이 영역(S1)은 윙 영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영역이 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가랑이 영역(S1)」이라는 말은 「윙 영역」으로 바꿀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흡수성 물품(1)은, 피부면 시트(10), 비피부면 시트(20) 및 흡수체(30)를 갖는다. 피부면 시트(10)는, 흡수체(30)보다 피부 대향면측(T1)에 마련된다. 비피부면 시트(20)는, 흡수체(30)보다 피부 비대향면측(T2)에 마련된다. 흡수체(30)는, 피부면 시트(10)와 비피부면 시트(20) 사이에 마련된다.
피부면 시트(10)는, 표면 시트(11) 및 사이드 시트(12)를 갖고 있어도 좋다. 표면 시트(11)는, 체액 등의 액체를 투과하는 액투과성의 시트이다. 표면 시트(11)는, 폭 방향(W)에서의 흡수체(30)의 중앙부를 덮는다. 표면 시트(11)는, 전후 방향(L)으로 전측 영역(S2)으로부터 후측 영역(S3)까지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표면 시트(11)는, 부직포, 직포, 구멍이 있는 플라스틱 시트, 메쉬 시트 등, 액체를 투과하는 구조를 갖는 임의의 시트형의 재료로 구성된다. 직포나 부직포의 소재로는, 천연 섬유, 화학 섬유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사이드 시트(12)는, 폭 방향(W)에서의 표면 시트(11)의 외측 가장자리를 덮고, 표면 시트(11)보다 폭 방향(W)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성 물품(1)은 사이드 시트(12)를 갖고 있지만, 흡수성 물품(1)은 사이드 시트(12)를 갖고 있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표면 시트(11)는 흡수체(30) 전체를 덮고 있어도 좋다.
사이드 시트(12)는, 표면 시트(11)와 동일한 재료로 구성할 수 있다. 단, 표면 시트(11)에 부착된 체액이 사이드 시트(12)를 타고 넘어, 폭 방향(W)에서 흡수성 물품(1)의 외측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사이드 시트(12)는 소수성 또는 발수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이드 시트(12)는, 폭 방향(W)에서의 흡수체(30)의 외측 가장자리, 윙(3) 및 힙 플랩(4)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비피부면 시트(20)는 액불투과성의 시트이다. 비피부면 시트(20)는, 폴리에틸렌 시트, 폴리프로필렌 등을 주체로 한 라미네이트 부직포, 통기성의 수지 필름, 스펀 본드 또는 스펀 레이스 등의 부직포에 통기성의 수지 필름이 접합된 시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비피부면 시트(20)는, 흡수체(30)의 피부 비대향면측(T2)에 배치되고, 또한 윙(3)과 힙 플랩(4)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비피부면 시트(20)는 흡수성 물품(1)의 비피부면을 구성한다. 또, 흡수체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배치되는 시트와, 윙에 배치되는 시트와, 힙 플랩에 배치되는 시트는, 본 실시형태와 같이 일체화되어 있어도 좋고, 별개의 시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흡수체(30)는, 적어도 가랑이 영역(S1) 및 후측 영역(S3)에 배치된다. 또한, 흡수체(30)는, 가랑이 영역(S1)으로부터 전측 영역(S2)까지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흡수체(30)는, 액체를 흡수하는 흡수 재료를 포함하는 흡수 코어(31)와, 흡수 코어(31)를 감싸는 코어 랩(32)을 갖는다. 코어 랩(32)은, 적어도 흡수 코어(31)보다 피부 대향면측에서 흡수 코어(31)를 덮고 있으면 된다. 구체적 일례로서, 코어 랩(32)은, 흡수 코어(31)보다 피부 대향면측에 배치되는 제1 코어 랩(321)과, 흡수 코어(31)보다 피부 비대향면측에 배치되는 제2 코어 랩(322)을 갖고 있어도 좋다. 제1 코어 랩(321) 및 제2 코어 랩(322)은, 동일한 시트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흡수 코어(31)를 구성하는 흡수 재료는, 예컨대 친수성 섬유, 펄프 및 고흡수성 고분자(SAP)로 형성할 수 있다. 코어 랩(32)은, 예컨대 부직포나 티슈 시트로 구성할 수 있다. 코어 랩(32)은 소수성을 갖고 있어도 좋다. 코어 랩(32)이 소수성을 갖는 것에 의해, 누설 방지성을 높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은 윙(3) 및 힙 플랩(4)을 갖는다. 윙(3) 및 힙 플랩(4)은, 가랑이 영역(S1)에서의 흡수 코어(31)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W)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윙(3) 및 힙 플랩(4)은, 사이드 시트(12)와, 후술하는 플랩 시트(15)와, 비피부면 시트(20)의 적층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윙(3)은, 비피부면 시트(20)측으로 접힐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윙(3)은, 사용시에 속옷의 크로치부의 피부 비대향면측으로 접힌다.
힙 플랩(4)은, 윙(3)보다 후측에 위치하고, 후측 영역(S3)에 마련되어 있다. 힙 플랩(4)은, 가랑이 영역(S1)의 흡수 코어(31)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힙 플랩(4)이 배치된 영역은, 가랑이 영역(S1)의 흡수 코어(31)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힙 플랩(4)은, 사용시에 접히지 않고, 속옷과 착용자의 둔부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힙 플랩(4)에는 흡수 재료가 마련되지 않는다. 그 대신에, 힙 플랩(4)에는 흡수 재료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힙 플랩(4)의 바깥 가장자리는, 폭 방향 외측으로 팽창되는 원호 형상이다. 힙 플랩(4)의 측가장자리는, 다수의 볼록부(4F)를 갖는 파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다수의 볼록부(4F)는, 한쪽의 힙 플랩(4)의 바깥 가장자리(4E)로부터 후측 영역(S3)의 후단 가장자리를 거쳐 다른쪽의 힙 플랩(4)의 바깥 가장자리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대신에, 다수의 볼록부(4F)는, 한쌍의 힙 플랩(4)의 바깥 가장자리에만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각각의 볼록부(4F)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20 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mm 이하이다. 또한, 각각의 볼록부(4F)의 폭은 3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힙 플랩(4)의 측가장자리에는, 복수의 볼록부(4F)와, 볼록부(4F) 사이의 오목부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힙 플랩(4)의 바깥 가장자리(4E)에 외측으로부터 국소적으로 힘이 가해졌을 때, 힘의 작용점 부근에 마련된 소수의 볼록부(4F)가 접힌다. 그러나, 볼록부(4F) 사이에 간극(오목부)이 존재하기 때문에, 어떤 볼록부(4F)에 가해진 힘은, 인접하는 볼록부(4F)에 전달되기 어렵게 되어 있다. 그 결과, 국소적으로 힘이 가해진 볼록부(4F)를 기점으로 힙 플랩(4)이 크게 젖혀지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두께」의 측정은, 이하의 측정 방법에 의해 행해지는 것으로 한다.
흡수성 물품(1)이 패키지 등에 봉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패키지로부터 꺼내고, 그 상태에서 20℃±2℃, 상대 습도 60%±5% RH의 분위기 하에 12시간 방치한 샘플을 이용한다.
측정할 때에는, 흡수성 물품이 축소된 상태가 아니라, 흡수성 물품의 신축성 부재를 신장시킨 상태로 하여 측정한다. 오자키 제작소(주) 제조의 다이얼게이지 PEACOCK를 사용하고, 측정자로는 직경 10 mm의 것을 채용하고, 크기가 30 mm×30 mm인 시험편을 준비하여, 상기 시험편의 두께를 측정한다. 측정기는, 시험편에 대한 측정압이 3 g/㎠가 되도록 조정한다. 여기서, 10 샘플에 대하여, 각각의 상태에서 전술한 측정을 행하여, 그 평균치를 길이로 했다.
또, 본 명세서에서의 「흡수 코어의 단위중량 및 밀도」의 측정은, 이하의 측정 방법에 의해 행해지는 것으로 한다.
흡수성 물품(1)이 패키지 등에 봉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패키지로부터 꺼내고, 그 상태에서 20℃±2℃, 상대 습도 60%±5% RH의 분위기 하에 12시간 방치한 샘플을 이용한다.
포장체에 의해 포장된 흡수성 물품에서는, 포장체를 개봉하고, 접혀서 포개어진 흡수성 물품을 전개하여, 단위중량 및 밀도를 측정하는 부분의 두께 및 면적을 측정한다. 계속해서, 단위중량 및 밀도를 측정하는 부분을 흡수성 물품으로부터 절취하고, 절취한 부분의 중량을 측정한다. 계속해서, 절취한 부분으로부터 표면 시트 및 코어 랩 등 흡수 코어 이외의 부분을 제거하고, 흡수 코어의 중량을 측정한다. 흡수 코어의 중량과, 단위중량 및 밀도를 측정하는 부분의 면적에 기초하여 단위중량을 산출한다. 단위중량 및 두께에 기초하여 밀도를 산출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길이」의 측정은, 이하의 측정 방법에 의해 행해지는 것으로 한다.
흡수성 물품(1)이 패키지 등에 봉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패키지로부터 꺼내고, 그 상태에서 20℃±2℃, 상대 습도 60%±5% RH의 분위기 하에 12시간 방치한 샘플을 이용한다.
계속해서, 신와 측정 주식회사 제조의 스프링메져(테이프 : 유리 섬유가 포함된 염화비닐 피복)를 이용하여, 측정 대상 부위를 따르게 하여 측정 대상 부위의 이 상태의 길이를 측정한다. 여기서, 10 샘플에 대하여, 각각의 상태에서 전술한 측정을 행하여, 그 평균치를 길이로 했다.
(2) 흡수체의 상세 구성
다음으로, 흡수체(30)의 구성에 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흡수체(30)는, 적어도 가랑이 영역(S1)에 중고(中高)부(33)를 갖는다. 중고부(33)는, 가랑이 영역(S1)으로부터 전측 영역(S2)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중고부(33)는, 가랑이 영역(S1)에서 중심선(CL)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중심선(CL)은,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의 중심을 통과하고, 전후 방향(L)을 따라서 연장되는 선이다.
중고부(33)는, 중고부(33) 주위 영역의 흡수 코어(31)의 두께보다 흡수 코어(31)의 두께가 두꺼운 영역을 의미한다. 중고부(33)의 흡수 재료의 단위중량은, 가랑이 영역(S1) 내의 중고부(33) 이외의 영역에서의 흡수 코어(31)의 단위중량보다 높아도 좋다. 중고부(33)는, 후술하는 제1 저단위중량부(41)에 인접해 있어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저단위중량부(41)의 후측의 흡수 코어(31)는 중고부(33)의 두께보다 얇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후측 영역(S3) 전체의 흡수 코어(31)는 중고부(33)의 두께보다 얇다. 중고부(33)는, 가장 두께가 두꺼운 최고부와, 최고부로 이어지는 경사부를 갖는다. 이 경사부는, 최고부와 후술하는 전측 압착부의 사이, 및 최고부와 제1 저단위중량부(41)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흡수 코어(31)는, 제1 저단위중량부(41), 제2 저단위중량부(42) 및 제3 저단위중량부(43)를 갖고 있어도 좋다. 여기서, 「저단위중량부」는, 그 주위의 흡수 코어(31)보다 낮은 단위중량을 갖는 흡수 코어(31)로 이루어진 영역, 또는 흡수 코어(31)를 갖지 않는 영역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저단위중량부」는, 흡수 코어(31)의 단위중량이 0인 영역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즉, 「저단위중량부」는, 두께 방향(T)으로 흡수 코어(31)를 관통한 슬릿이어도 좋다. 슬릿은 설계상의 단위중량이 0이지만, 주위에서 혼입된 흡수 재료가 배치된 영역이어도 좋다. 슬릿의 폭 방향(W)의 길이는 1 mm∼5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슬릿의 폭 방향의 길이가 1 mm 미만이면, 슬릿 사이에 흡수 재료가 유입되어, 흡수 코어(31)의 변형 기점을 구성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슬릿의 폭 방향의 길이가 5 mm를 넘으면, 착용자가 체액이 새는 것에 대한 불안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저단위중량부(41∼43)에서의 흡수 코어(31)의 단위중량은, 바람직하게는 150 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g/㎡ 이하이다. 또한, 저단위중량부(41∼43)에서의 흡수 코어(31)의 단위중량은, 실질적으로 0 g/㎡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저단위중량부(41∼43)에서의 흡수 코어(31)의 단위중량은, 저단위중량부(41∼43) 주위의 흡수 코어(중고부를 제외함)의 단위중량의 6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저단위중량부」가 흡수 코어(31)를 갖지 않는 영역인 경우에도, 코어 랩(32)은, 저단위중량부에 걸쳐 흡수 코어(31) 전체를 둘러싸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흡수 코어(31)가 복수의 영역으로 분단되어 있다 하더라도, 흡수체(30)는 코어 랩(32)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제1 저단위중량부(41), 제2 저단위중량부(42) 및 제3 저단위중량부(43)는, 흡수체(30)의 강성이 변화하는 경계선이 된다. 따라서, 제1 저단위중량부(41), 제2 저단위중량부(42) 및 제3 저단위중량부(43)는, 흡수체(30)가 변형되기 쉬운 영역에 해당한다.
제1 저단위중량부(41)는, 가랑이 영역(S1)과 후측 영역(S3)의 사이에서 폭 방향(W)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저단위중량부(41)는, 폭 방향(W)을 따라서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고, 폭 방향(W)을 따라서 곡선적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제1 저단위중량부(41)는, 전후 방향(L)에서의 윙(3)의 중심보다 후측이자 흡수체(30)의 후측 가장자리보다 전측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제1 저단위중량부(41)는, 전후 방향(L)에서 윙(3)의 후단 가장자리에 걸치도록 마련되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저단위중량부(41)는, 제1 저단위중량부(41)의 폭 방향(W)의 중앙이 후방으로 돌출된 곡선 형상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저단위중량부(41)의 폭 방향(W)의 중심은, 제1 저단위중량부(41)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후방에 위치한다. 제1 저단위중량부(41)의 전후 방향(L)에서의 길이는, 일정해도 좋고 일정하지 않아도 좋다. 제1 저단위중량부(41)보다 전측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S1)은, 양 다리 사이에 끼워지며, 다리의 움직임에 의해 비틀리는 힘이 가해지기 쉽다. 흡수성 물품(1)은, 제1 저단위중량부(41)가 곡선 형상이므로, 신체가 비틀리는 것에 대하여 추종하기 쉬워, 신체의 움직임에 의한 변형을 피하기 쉽다.
바람직하게는, 폭 방향(W)에서의 제1 저단위중량부(41)의 길이는 25 mm 이상이다. 이에 따라, 가랑이 영역(S1)에서의 흡수체(30)의 움직임이 후측 영역(S3)으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저단위중량부(41)는, 폭 방향(W)에서 흡수체(30)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저단위중량부(41)의 전단 가장자리가 가랑이 영역(S1)의 후단 가장자리를 규정하고 있어도 좋고, 제1 저단위중량부(41)의 후단 가장자리가 후측 영역(S3)의 전단 가장자리를 규정하고 있어도 좋다.
제1 저단위중량부(41)가 폭 방향(W)에서 흡수체(30)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에 의해, 흡수 코어(31)를 구성하는 흡수 재료는, 가랑이 영역(S1)과 후측 영역(S3)의 사이에서 이동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착용중의 동작에 의해, 흡수 코어(31)를 구성하는 흡수 재료가 국소적으로 집중되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전후 방향(L)에서의 제1 저단위중량부(41)의 길이는, 흡수성 물품(1)의 중심선(CL)의 위치에서, 바람직하게는 10 mm 이상 또한 50 mm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mm 이상 또한 30 mm 이하이다.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1)은, 제1 저단위중량부(41)를 갖는 것에 의해, 가랑이 영역(S1)과 후측 영역(S3)에서 독립된 변형을 실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저단위중량부의 길이가 10 mm 이상이라는 길이를 가지며, 또한 제1 저단위중량부가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에 의해, 흡수성 물품이 제1 저단위중량부(41)의 위치에서 두께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도 변형 가능해져, 가랑이 영역(S1)과 후측 영역(S3)의 변형이 서로 간섭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그 결과, 누워 있는 자세나 보행중과 같은 착용자의 동작에 의해 흡수성 물품(1)에 여러가지 외력이 가해진 경우라 하더라도, 가랑이 영역(S1)과 후측 영역(S3)이 독립적으로 변형됨으로써, 가랑이 영역(S1)과 후측 영역(S3)이 각각 신체의 형상에 맞춰 계속 피트될 수 있다.
가랑이 영역(S1)에는 중고부(33)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가랑이 영역(S1)의 흡수성능을 확보함과 함께, 가랑이 영역(S1)의 피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은, 가랑이 영역(S1)을 신체를 따르게 함과 함께, 후측 영역(S3)을 신체의 움직임에 따라서 추종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저단위중량부(42)는, 후측 영역(S3)에서 흡수 코어(31)의 폭 방향 중앙에 위치한다. 제2 저단위중량부(42)는, 후측 영역(S3)에서 흡수성 물품의 중심선(CL)을 따라서 전후 방향(L)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저단위중량부(42)는, 전후 방향(L)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제2 저단위중량부(42)는, 제1 저단위중량부(41)와 이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저단위중량부(41) 및 제2 저단위중량부(42)에 의해 흡수 코어(31)를 구성하는 흡수 재료는, 가랑이 영역(S1)(또는 윙 영역)과, 후측 영역(S3)의 우측 부분과, 후측 영역(S3)의 좌측 부분의 사이에서 이동하기 어려워진다. 이에 따라, 착용중의 동작에 의해, 흡수 코어(31)를 구성하는 흡수 재료가 국소적으로 집중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흡수성 물품(1)의 착용중에 착용자의 위화감을 완화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는 특히 누워 있는 자세에서도 위화감을 느끼기 어렵다.
또한, 후측 영역(S3)에서 흡수 코어(31)의 측부인 고단위중량부(45)가 좌우의 둔부에 의해 밀려 내려가면, 후측 영역(S3)의 흡수 코어(31)의 폭 방향의 중앙은, 제2 저단위중량부(42)를 정점으로 하여 착용자측으로 융기된다. 따라서, 착용중에, 제2 저단위중량부(42)는 착용자의 피부측에 향해 돌출된다. 제2 저단위중량부(42)는, 후측 영역(S3)에서 전후 방향(L)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자의 둔열을 따라서 피트되기 쉬워진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저단위중량부(41)에 의해, 가랑이 영역(S1)과 후측 영역(S3)에서 흡수성 물품이 독립적으로 변형되기 쉽게 되어 있다. 즉, 흡수성 물품(1)은, 가랑이 영역(S1)과 후측 영역(S3)에서 독립적으로 변형됨으로써, 가랑이 영역(S1)과 후측 영역(S3)의 양쪽에서 신체의 형상에 맞춰 피트될 수 있다.
제2 저단위중량부(42)의 후단 가장자리는, 전후 방향에서의 후측 영역(S3)의 중심보다 후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제2 저단위중량부(42)의 후단 가장자리는, 힙 플랩(4)의 최대 폭의 위치(P1)보다 후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제2 저단위중량부(42)의 전후 방향(L)의 길이는, 120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 m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폭 방향(W)에서의 제2 저단위중량부(42)의 길이는, 1 mm 이상 또한 5 mm 이하이다. 착용자의 신체의 전후 방향(L)을 따르는 단면에서, 둔부 사이의 홈(둔열)은, 회음부보다 후방으로부터 미저골에 이르는 영역에 존재한다. 흡수성 물품의 사용중에, 제2 저단위중량부(42)는 착용자의 둔열 영역에 배치된다.
제3 저단위중량부(43)는, 후측 영역(S3)에서 제2 저단위중량부(42)로부터 폭 방향(W)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3 저단위중량부(43)는, 제2 저단위중량부(42)에 이어져 있어도 좋다. 제3 저단위중량부(43)의 전측의 가장자리선은, 폭 방향(W)의 내측에서 폭 방향(W)으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제3 저단위중량부(43)의 전측의 가장자리선은, 폭 방향(W)의 외측에서 전방으로 튀어 나와 있어도 좋다. 제3 저단위중량부(43)의 후측의 가장자리선은, 폭 방향(W)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전방으로 경사져 있어도 좋다. 제3 저단위중량부(43)는 폭 저단위중량부를 구성한다.
제3 저단위중량부(43)를 경계로 하여 강성이 변화하기 때문에, 제3 저단위중량부(43)는 흡수성 물품(1)의 변형의 기점이 된다. 흡수성 물품(1)의 후측 영역(S3)에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변형의 기점이 형성된다. 후측 영역(S3)의 흡수 코어(31)는, 제3 저단위중량부(43)를 기점으로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1)이 신체의 전후 방향(L)을 따르는 라운딩을 따라서 보다 피트되기 쉬워진다. 특히, 제3 저단위중량부(43)의 후측의 가장자리선이, 폭 방향(W)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전방으로 경사진 형상이므로, 착용자의 둔부의 라운딩을 따라서 배치되기 쉬워진다.
폭 방향(W)에서의 제3 저단위중량부(43)의 외측 가장자리는, 후측 영역(S3)의 흡수 코어(31)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내측에 위치한다. 제3 저단위중량부(43)는, 전후 방향(L)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제3 저단위중량부(43)는, 본 실시형태에서의 굴곡부를 구성한다. 제3 저단위중량부(43)는, 흡수성 물품(1)이 두께 방향으로 굴곡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굴곡부」는, 폭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으면 되며, 폭 방향에 대하여 평행해도 좋고 폭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어도 좋다. 「굴곡부」는, 흡수 코어(31)의 변형 기점이 되는 구성이면 되며, 저단위중량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흡수 코어(31)가 두께 방향으로 압축된 압착부이어도 좋다.
흡수 코어(31)는, 후측 영역(S3)에서 제2 저단위중량부(42)보다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고단위중량부(45)를 갖는다. 고단위중량부(45)의 흡수 재료의 단위중량은, 그 주위의 흡수 코어(31)의 흡수 재료의 단위중량보다 낮다. 고단위중량부(45)는, 후측 영역(S3)의 흡수 코어(31) 중, 제2 저단위중량부(42)와 제3 저단위중량부를 제외한 부분이다. 제2 저단위중량부(42), 제3 저단위중량부(43) 및 고단위중량부(45)는, 표면 시트(11)에 의해 덮여 있다.
(3) 압착부
흡수성 물품(1)은, 적어도 흡수 코어(31)가 두께 방향(T)으로 압축됨으로써 형성된 압착부를 갖는다. 이 압착부는, 전측 압착부(81)와, 긴 압착부(82)와, 한쌍의 후측 압착부(84)를 갖고 있어도 좋다.
전측 압착부(81)는, 적어도 가랑이 영역(S1)에 마련되어 있다. 전측 압착부(81)는, 가랑이 영역(S1)으로부터 전측 영역(S2)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전측 압착부(81)는, 표면 시트(11)와 흡수 코어(31)와 코어 랩(32)이 두께 방향(T)으로 압축됨으로써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전측 압착부(81)는, 중고부(33)의 폭 방향(W) 양측에 마련된 전후 방향(L)을 따르는 구간을 갖는다. 전측 압착부(81)는, 중고부(33)의 폭 방향(W)에서의 측가장자리를 규정하고 있어도 좋다.
긴 압착부(82)는, 후측 영역(S3)에서 중심선(CL),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저단위중량부(42)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마련되어 있다. 긴 압착부(82)는, 흡수체(30)와 표면 시트(11)가 두께 방향으로 압축됨으로써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후측 영역(S3)에서 흡수 코어(31)의 측부인 고단위중량부(45)가 좌우의 둔부에 의해 밀려 내려가면, 후측 영역(S3)의 흡수체의 폭 방향의 중앙은, 제2 저단위중량부(42)를 정점으로 하여 착용자측으로 융기된다. 긴 압착부(82)는, 제2 저단위중량부(42)의 폭 방향에서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고, 제2 저단위중량부(42)가 착용자측으로 융기될 때의 변형의 기점이 된다. 긴 압착부(82)를 갖는 것에 의해, 제2 저단위중량부(42)에 의한 볼록형의 변형을 유지하기 쉬워져, 착용자의 둔부 사이의 간극에 흡수체(30)를 피트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긴 압착부(82)는, 전후 방향(L)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긴 압착부(82)는, 전후 방향(L)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고, 전후 방향(L)에 대하여 경사져 곡선적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긴 압착부(82)는, 힙 플랩(4)의 최대 폭의 위치(P1)보다 전측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전측 압착부(81)와 긴 압착부(82)는, 전후 방향에서 분단되어 있어도 좋다. 전측 압착부(81)와 긴 압착부(82)가 분단되어 있는 것에 의해, 가랑이 영역(S1)과 후측 영역(S3)에서 힘이 전파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가랑이 영역(S1)과 후측 영역(S3)에서 독립적으로 변형됨으로써, 가랑이 영역(S1)과 후측 영역(S3)의 양쪽에서 신체의 형상에 맞춰 피트될 수 있다. 또, 변형예로서, 전측 압착부(81)와 긴 압착부(82)는, 연속적으로 이어져 있어도 좋다.
한쌍의 후측 압착부(84)는, 후측 영역(S3)에서, 중심선(CL)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마련되어 있다. 후측 압착부(84)는, 흡수체(30)와 표면 시트(11)가 두께 방향으로 압축됨으로써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한쌍의 후측 압착부(84)는, 흡수성 물품(1)의 폭 방향(W)의 중심을 통과하는 중심선(CL)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마련되어 있다. 한쌍의 후측 압착부(84)는, 힙 플랩(4)의 최대 폭의 위치(P1)보다 후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한쌍의 후측 압착부(84)는, 폭 방향에서의 힙 플랩(4)의 최대 폭의 위치(P1)보다 후측에 위치하고, 한쌍의 후측 압착부(84)는, 후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폭 방향의 거리가 넓어지는 광폭 구간을 갖는다. 폭 방향(W)에서의 힙 플랩(4)의 최대 폭은, 전후 방향에서의 후측 영역(S3)의 중앙보다 후측에 위치하고 있다.
광폭 구간 사이에 끼인 광폭 영역은 착용자의 선골 부근에 해당한다. 이 영역에 압착부가 존재하지 않고, 이 영역의 양측에 비교적 강성이 높은 한쌍의 후측 압착부(84)가 존재한다. 이에 따라, 광폭 영역은, 비교적 평탄한 면으로 유지된다. 비교적 평탄한 면이 선골 부근의 피부에 닿기 때문에, 착용자의 피부에 미치는 영향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광폭 영역이 비교적 평탄한 면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광폭 영역보다 전측에 위치하는 제2 저단위중량부(42)에 의한 볼록형의 변형을 플랫한 상태로 할 수 있다.
한쌍의 후측 압착부(84)는, 선골 부근에 대향하는 영역과, 둔부의 두꺼운 부분에 대향하는 부분의 사이를 구획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둔부는 비교적 심하게 움직이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1)의 둔부에 대향하는 부분도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서 움직이기 쉽다. 이 흡수성 물품(1)의 이동은, 비교적 강성이 높은 한쌍의 후측 압착부(84)에 의해, 선골에 대향하는 영역, 즉 광폭 영역에 전달되기 어렵게 되어 있다. 그 결과, 광폭 영역을 비교적 평탄한 면으로 유지할 수 있어, 착용자의 피부에 미치는 영향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광폭 영역 내에는 강성이 높은 압착부가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착용자의 피부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완화할 수 있다.
또한, 한쌍의 긴 압착부(82)는, 한쌍의 후측 압착부(84)로부터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후측 영역(S3)의 후방의 흡수 코어(31)의 움직임이, 후측 영역(S3)의 전방의 흡수 코어(31)의 움직임에 추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후측 영역(S3)의 전방의 흡수 코어(31)는 착용자의 엉덩이의 움직임에 맞춰 비교적 크게 움직이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도, 한쌍의 긴 압착부(82)와 한쌍의 후측 압착부(84)가 서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후측 영역(S3)의 후방의 흡수 코어(31)의 움직임이 완화된다. 따라서, 광폭 영역의 흡수 코어(31)의 움직임이 완화되기 때문에, 착용자의 선골 부근에 주는 자극을 저하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1)은, 피부면 시트(10) 및 비피부면 시트(20)를 구성하는 시트 중의 적어도 2장을 두께 방향(T)으로 압착함으로써 형성된 제1 압착부(85), 제2 압착부(87) 및 제3 압착부(86)를 갖고 있어도 좋다(도 1 참조). 제1 압착부(85), 제2 압착부(87) 및 제3 압착부(86)는, 힙 플랩(4)의 바깥 가장자리를 따라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4) 점착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에는, 흡수성 물품(1)을 속옷(S)에 고정하기 위한 점착제를 갖는 점착부(60)가 마련되어 있다. 점착부(60)는, 제1 본체 점착부(61), 제2 본체 점착부(62), 윙 점착부(63) 및 힙 플랩 점착부(64)를 갖는다. 이들 점착부(61∼64)는, 비피부면 시트(20)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마련되어 있다. 점착부(61∼64)는, 사용전의 상태에 있어서 박리 시트에 의해 덮여 있어도 좋다. 박리 시트는, 사용전에 점착부(61∼64)의 점착제의 열화를 방지한다. 박리 시트는, 사용시에 착용자에 의해 제거된다.
제1 본체 점착부(61)는, 제2 본체 점착부(62)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본체 점착부(61) 및 제2 본체 점착부(62)는, 전후 방향(L)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본체 점착부(61)는, 제2 본체 점착부(62)로부터 전후 방향(L)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제1 본체 점착부(61)는, 제1 저단위중량부(41)보다 전측에서, 가랑이 영역(S1)과 전측 영역(S2)에 걸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제2 본체 점착부(62)는, 제1 저단위중량부(41)보다 후측에서, 후측 영역(S3)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본체 점착부(61) 및 제2 본체 점착부(62)는, 중심선(CL) 상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윙 점착부(63)는 윙(3)에 마련되어 있다. 힙 플랩 점착부(64)는 힙 플랩(4)에 마련되어 있다.
제1 저단위중량부(41)는, 두께 방향(T)에서 점착부(61∼64)와 중복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저단위중량부(41)는, 제1 본체 점착부(61)와 제2 본체 점착부(62) 사이의 영역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점착부(60)는, 표면 시트(11)에 중복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2 본체 점착부(62)는, 표면 시트(11)와 중복되는 영역에 배치된다.
점착부(60)는, 제2 저단위중량부(42)에 중복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제2 저단위중량부(42)는, 속옷에 고정되지 않고, 흡수성 물품(1)의 변형시에 신체의 움직임에 추종하여 변형되기 쉬워진다. 제2 저단위중량부(42)가 유연하게 변형됨으로써, 흡수성 물품(1)의 피부 대향면도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고, 흡수성 물품의 피부 대향면의 부드러움을 유지하기 쉬워진다.
일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1)은, 제2 저단위중량부(42)가 배치된 영역에 점착부(60)가 배치되지 않고, 상기 제2 저단위중량부(42)보다 강성이 높은 고단위중량부(45)가 배치된 영역에 점착부(60)가 배치된다. 또한, 후술하는 완충 영역(B)에 점착부(60)가 배치되지 않고, 상기 완충 영역(B)보다 강성이 높은 고단위중량부(45)가 배치된 영역에 점착부(60)가 배치된다. 비교적 강성이 높은 영역은, 점착부(60)를 통해 속옷으로부터의 힘을 받을 수 있다. 한편, 비교적 강성이 낮은 영역은, 점착부(60)가 배치되지 않고, 속옷으로부터의 힘을 받지 않아,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다.
제2 저단위중량부(42)는, 두께 방향(T)에서 점착부(61∼64)와 중복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저단위중량부(42)는, 복수의 제2 본체 점착부(62)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5) 플랩 시트
다음으로, 플랩 시트(15)에 관해 설명한다. 플랩 시트(15)는, 가랑이 영역(S1), 전측 영역(S2) 및 후측 영역(S3)에 걸쳐 배치된다. 플랩 시트(15)는, 윙(3)과 힙 플랩(4)에 배치된다. 또, 플랩 시트(15)는, 적어도 후측 영역(S3)에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플랩 시트(15)는, 적어도 힙 플랩(4)에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플랩 시트(15)는, 두께 방향(T)에서 사이드 시트(12)와 비피부면 시트(20) 사이에 배치된다. 플랩 시트(15)의 외측 가장자리(15OE)는, 힙 플랩(4)의 외측 가장자리에 위치한다. 플랩 시트(15)의 폭 방향 외측에서의 외주 형상은, 폭 방향 외측으로 팽창되는 원호 형상이다. 플랩 시트(15)의 내측 가장자리(15IE)는, 표면 시트(11)의 외측 가장자리(11OE)보다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플랩 시트(15)의 폭 방향 내측에서의 외주 형상은, 전후 방향(L)으로 연장되는 직선 형상이다.
플랩 시트(15)는, 부직포, 직포, 구멍이 있는 플라스틱 시트, 메쉬 시트 등, 액체를 투과하지 않는 구조를 갖는 임의의 시트형의 재료로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의 플랩 시트(15)는, 친수성의 에어스루 부직포를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부피가 큰 부직포를 플랩 시트로서 이용함으로써, 플랩 시트(15)가 배치된 영역과 흡수체(30)의 두께차를 줄일 수 있다. 플랩 시트(15)가 배치된 영역이 둔부에 접촉했을 때에, 힙 플랩(4)의 존재감을 나타낼 수 있고, 장착시에 둔부를 감싸고 있다는 안심감을 줄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랩 시트(15)와 표면 시트(11)는, 폭 방향(W)에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플랩 시트(15)가 배치된 영역은, 사이드 시트(12), 플랩 시트(15) 및 비피부면 시트(20)가 적층되어 있어, 3층의 시트재를 갖는다. 힙 플랩(4)에서 표면 시트(11)가 배치된 영역(흡수 코어(31)보다 폭 방향 외측에서 표면 시트(11)가 배치된 영역)은, 사이드 시트(12), 표면 시트(11) 및 비피부면 시트(20)가 적층되어 있어, 3층의 시트재를 갖는다. 또한, 표면 시트(11)의 외측 가장자리(11OE)보다 폭 방향 외측이자, 플랩 시트(15)보다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영역은, 사이드 시트(12)와 비피부면 시트(20)를 가지며, 2층의 시트재를 갖는다. 표면 시트(11)의 외측 가장자리(11OE)보다 폭 방향 외측이자, 플랩 시트(15)보다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영역의 층수는, 플랩 시트(15)가 배치된 영역의 층수보다 적고, 힙 플랩(4)에서 표면 시트(11)가 배치된 영역의 층수보다 적다.
표면 시트(11)의 외측 가장자리(11OE)와 플랩 시트(15)의 내측 가장자리(15IE) 사이의 영역의 두께는, 표면 시트(11)의 외측 가장자리(11OE)보다 폭 방향 내측의 영역의 두께보다 얇고, 또한 플랩 시트(15)의 내측 가장자리(15IE)보다 폭 방향 외측의 영역의 두께보다 얇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표면 시트(11)의 외측 가장자리(11OE)보다 폭 방향 내측의 영역의 두께는 3.5 mm∼4.5 mm이다. 플랩 시트(15)의 내측 가장자리(15IE)보다 폭 방향 외측의 영역의 두께는 1.0 mm∼2.0 mm이다. 표면 시트(11)의 외측 가장자리(11OE)와 플랩 시트(15)의 내측 가장자리(15IE) 사이의 영역의 두께는, 1.0 mm 미만이다. 또, 표면 시트(11)의 외측 가장자리(11OE)보다 폭 방향 외측이자, 플랩 시트(15)의 내측 가장자리(15IE)보다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영역은, 표면 시트(11)의 외측 가장자리(11OE)와 플랩 시트(15)의 내측 가장자리(15IE) 사이의 영역이다.
표면 시트(11)의 외측 가장자리(11OE)와 플랩 시트(15)의 내측 가장자리(15IE) 사이의 영역은, 폭 방향(W)에서 인접하는 영역보다 층수가 적고, 강성이 낮다. 따라서, 표면 시트(11)의 외측 가장자리(11OE)와 플랩 시트(15)의 내측 가장자리(15IE) 사이의 영역은, 흡수성 물품(1)이 변형될 때에 인접하는 영역보다 변형되기 쉬워, 변형을 흡수하는 완충 영역(B)으로서 기능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표면 시트(11)의 외측 가장자리(11OE)와 플랩 시트(15)의 내측 가장자리(15IE) 사이의 영역을 완충 영역(B)으로 한다. 완충 영역(B)의 전단 가장자리는 플랩 시트(15)의 전단 가장자리에 일치한다. 완충 영역(B)의 후단 가장자리는 플랩 시트(15)의 후단 가장자리에 일치한다.
완충 영역(B)에는, 점착부(60)가 배치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점착부(60)는, 플랩 시트(15)와 중복되는 영역에 배치되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힙 플랩 점착부(64)는, 플랩 시트(15)와 중복되는 영역에 배치된다.
플랩 시트(15)는 윙(3)에 배치되어 있다. 윙(3)은, 사이드 시트(12)와, 플랩 시트(15)와, 비피부면 시트(20)의 3층이 적층되어 있다. 플랩 시트(15)에 의해 윙(3)의 강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윙(3)의 측가장자리가 비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장착시에 윙(3)을 속옷의 비피부면측으로 접을 때나 착용시에 다리 사이에 윙(3)이 끼워졌을 때에, 윙(3)이 비틀리거나 접히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6) 착용중인 흡수성 물품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착용중인 흡수성 물품(1)의 형상에 관해 설명한다. 도 4는, 착용자가 위를 보고 누운 상태에서의 도 1의 A-A선을 따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4의 (A)∼(C)는, 착용자가 누워 있는 상태에서 뒤척임에 의해 자세가 변화하는 양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의 (A)는, 착용자가 위를 보고 누워 있고, 좌우의 둔부에 균등하게 신체의 무게가 가해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 4의 (B)는, 한참 뒤척이고 있는 중이며, 좌측 둔부보다 우측 둔부에 신체의 무게가 가해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 4의 (C)는, 뒤척임이 끝나고 착용자가 모로 누워 있고, 도 4의 (B)에 나타내는 상태보다 우측 둔부에 신체의 무게가 더 가해진 상태를 나타낸다. 또, 도 4에서는, 착용자의 신체의 형상을 나타내는 라인을 이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착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침구 등의 바닥면(G)을 일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흡수성 물품(1)의 가랑이 영역(S1)은, 착용자의 가랑이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흡수성 물품(1)의 후측 영역(S3)은, 착용자의 둔부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후측 영역(S3)의 흡수 코어(31)는, 착용자가 위를 보고 누워 있는 상태(도 4의 (A)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착용자의 둔부에 의해 압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후측 영역(S3)의 흡수 코어(31)의 폭 방향 중앙은, 좌우 둔부의 부풀어오른 곳 사이에 위치하며, 비교적 체압이 가해지지 않는다. 한편, 후측 영역(S3)의 흡수 코어(31)의 외측 가장자리는, 좌우 둔부의 부풀어오른 곳에 닿아, 비교적 체압이 가해진다. 흡수 코어(31)는, 후측 영역(S3)의 흡수 코어(31)의 외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고단위중량부(45)에 체압이 가해졌을 때에, 제2 저단위중량부(42)를 기점으로 착용자측으로 융기되도록 변형되고, 좌측 둔부와 우측 둔부 사이의 함몰을 따라서 배치된다(도 4의 (A) 참조).
이와 같이 흡수성 물품(1)이 장착된 상태에서, 뒤척임 등에 의해 자세가 변화하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용자의 신체의 우측이 좌측보다 아래가 되도록 착용자의 신체가 움직이는 경우가 있다. 착용자는, 도 4의 (A)로부터 도 4의 (B)로 움직일 때에, 신체를 비트는 움직임을 한다. 구체적으로는, 착용자의 우측 다리 및 우측 둔부는, 우측의 측면이 아래가 되도록 회전하면서 우측으로 이동한다. 한편, 착용자의 좌측 다리 및 좌측 둔부는, 우선 좌측 다리가 바닥면(G)에 닿은 상태를 유지하고, 좌측 둔부를 바닥면(G)으로부터 뜨게 한다. 그 후, 좌측 다리는 좌측 둔부에 추종하여 바닥면으로부터 뜨도록 이동한다.
또한, 착용자의 자세가 변화하여, 도 4의 (B)에 나타내는 상태가 되면, 우측 둔부가 찌부러지도록 변형된다. 우측의 고단위중량부(45)는 우측 둔부에 의해 눌리고, 우측으로 이동한다(도 4의 (B)의 화살표 X 참조). 완충 영역(B)의 강성은, 표면 시트(11)의 외측 가장자리(11OE)보다 폭 방향 내측의 영역의 강성보다 낮고, 플랩 시트(15)의 내측 가장자리(15IE)보다 폭 방향 외측의 영역의 강성보다 낮다. 따라서, 고단위중량부(45)가 우측으로 이동하면 완충 영역(B)이 변형된다. 이 때, 완충 영역(B)의 외측 가장자리(플랩 시트(15)의 내측 가장자리(15IE))는 폭 방향 외측으로 거의 이동하지 않고, 완충 영역(B)의 내측 가장자리(표면 시트(11)의 외측 가장자리(11OE))는 폭 방향 외측으로 이동한다. 완충 영역(B)이 좁아지고, 완충 영역(B)에 의해 흡수 코어(31)의 변형(고단위중량부의 이동)을 흡수한다.
또한, 도 4의 (B)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착용자의 신체의 우측이 좌측보다 더욱 아래가 되면, 도 4의 (C)에 나타내는 상태가 된다. 착용자의 신체는 모로 누운 상태이다. 플랩 시트(15)의 외측 가장자리(15OE)는 우측 둔부에 의해 눌리고, 폭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다. 따라서, 고단위중량부(45)가 우측으로 이동하면, 완충 영역(B)이 변형된다. 완충 영역(B)이 더욱 좁아지고, 완충 영역(B)에 의해 고단위중량부(45)의 이동을 흡수한다.
(7) 작용ㆍ효과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흡수성 물품(1)의 힙 플랩(4)에는 완충 영역(B)이 마련된다. 흡수성 물품(1)은, 완충 영역(B)에 의해 흡수 코어(31)의 변형을 흡수할 수 있다. 완충 영역(B)은, 표면 시트(11)가 배치된 영역보다 강성이 낮고, 또한 플랩 시트(15)가 배치된 영역보다 강성이 낮다. 따라서, 고단위중량부(45)가 폭 방향 외측으로 이동했을 때에, 고단위중량부(45)의 폭 방향(W)의 이동을 완충 영역(B)에 의해 흡수할 수 있다. 예컨대, 완충 영역(B)이 없는 구성에서는, 고단위중량부(45)가 폭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고자 하면, 고단위중량부(45)가 다른 부재에 닿는 경우가 있다. 고단위중량부(45)는 다른 부재에 닿아 압축되어, 일부가 딱딱해지거나 일부가 꼬여 버리거나 한다.
그러나, 완충 영역(B)에 의해 고단위중량부(45)의 이동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흡수 코어(31)가 반복하여 압축되는 것을 억제하여, 흡수 코어(31)의 일부가 딱딱해지거나, 흡수 코어(31)의 일부가 꼬여 버리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흡수 코어(31)의 변형에 의한 누설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흡수 코어(31)가 딱딱해지면, 흡수성 물품(1)의 피부 대향면이 딱딱해져 장착감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일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1)에 의하면, 몇번이나 뒤척임을 반복한 후에도 흡수 코어(31)의 일부가 딱딱해지는 것을 억제하여, 흡수성 물품(1)의 피부 대향면이 부드러움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는, 밤새 흡수성 물품(1)을 착용한 경우에도, 흡수성 물품(1)의 부드러움을 계속 느낄 수 있고, 흡수성 물품(1)을 장착하고 있는 것을 잊은 것 같은 폭신폭신한 상쾌한 기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착용자는 뒤척임 등으로 자세를 바꿀 때에 신체를 비트는 움직임을 한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1)에는 비틀리는 방향의 힘이 가해진다. 예컨대, 흡수 코어(31)가 비틀리면, 힘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흡수 코어(31)가 이동하여, 흡수 코어(31)가 딱딱해지거나, 흡수 코어(31)가 절곡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일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1)은, 흡수 코어(31)의 폭 방향 중앙에 제2 저단위중량부(42)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저단위중량부(42)를 사이에 끼운 폭 방향 양측의 흡수 코어(31)의 움직임이 분단되기 쉽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1)에 비틀리는 방향의 힘이 작용한 경우라도, 제2 저단위중량부(42)보다 우측의 흡수 코어(31)와, 제2 저단위중량부(42)보다 좌측의 흡수 코어(31)가 별개로 움직여, 서로 연동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흡수 코어(31)는, 흡수 코어(31)의 폭 방향 양측에 배치된 완충 영역(B)에 의해 움직이기 쉬운 흡수 코어(31)의 고단위중량부(45)가 제2 저단위중량부(42)와 완충 영역(B) 사이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좌우의 고단위중량부(45)가 개별로 움직이기 쉬워진다. 예컨대, 한쪽의 고단위중량부(45)에 착용자의 둔부가 놓인 상태에 있더라도, 고단위중량부(45)의 폭 방향(W)에서의 이동 여유가 있어, 비틀리는 방향의 이동에 추종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의 자세의 변화에 의해 흡수성 물품(1)에 비틀리는 힘이 작용한 경우에도, 흡수 코어(31)의 의도하지 않은 변형이나 치우침(꼬임)을 억제하면서, 신체의 움직임에 추종하여 흡수 코어(31)를 변형시킬 수 있다.
점착부(60)는, 힙 플랩(4)에서, 표면 시트(11)의 외측 가장자리(11OE)와 플랩 시트(15)의 내측 가장자리(15IE) 사이의 영역(완충 영역(B))에 배치되지 않아도 좋다. 속옷으로부터 흡수성 물품(1)에 가해지는 힘은, 속옷과 흡수성 물품(1)을 고정하는 점착부(60)를 통해 전달된다. 완충 영역(B)은, 점착부(60)를 통해 속옷에 고정되지 않고, 흡수성 물품(1)의 변형시에 신체의 움직임에 추종하여 변형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흡수 코어 등의 이동을 완충 영역(B)에 의해 흡수하기 쉬워져, 흡수 코어(31)의 일부가 딱딱해지거나, 흡수 코어(31)의 일부가 꼬여 버리거나 하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점착부(60)는, 플랩 시트(15)에 중복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플랩 시트(15)에 중복되어 점착부(60)가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플랩 시트(15)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은 속옷에 고정된다. 예를 들면, 착용자가 뒤척였을 때에, 플랩 시트(15)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도 흡수 코어(31)와 함께 폭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면, 흡수성 물품 전체의 위치가 틀어져 옆으로 샐 우려가 있다. 그러나, 플랩 시트(15)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이 속옷에 고정되어, 착용자의 신체를 계속 따르고 있다. 따라서, 완충 영역(B)보다 폭 방향 외측의 영역을 신체를 따르게 하면서, 완충 영역(B)보다 폭 방향 내측의 영역 및 완충 영역(B)을 신체의 움직임에 따라서 변형시킬 수 있다. 따라서, 흡수 코어(31)의 의도하지 않은 변형을 억제하고, 또한 그것에 따라 흡수 코어(31)의 꼬임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저단위중량부(42)는, 흡수성 물품(1)의 두께 방향(T)으로 흡수 코어(31)를 관통한 슬릿이어도 좋다. 제2 저단위중량부(42)가 슬릿이므로, 고단위중량부(45)에 체압이 가해졌을 때에, 제2 저단위중량부(42)에 흡수 재료가 배치되어 있는 구성과 비교하여, 제2 저단위중량부(42)를 기점으로 보다 변형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좌측 둔부와 우측 둔부 사이의 함몰을 따라서 흡수 코어(31)가 배치되기 쉬워진다. 신체의 움직임에 대하여 흡수 코어(31)가 보다 추종하기 쉬워져, 체액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저단위중량부(42)가 슬릿인 것에 의해, 흡수 코어(31)를 유연하게 변형시킬 수 있어, 흡수성 물품(1)의 피부 대향면의 부드러움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저단위중량부(42)가 슬릿인 것에 의해, 제2 저단위중량부(42)를 사이에 두고 폭 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흡수 코어(31)의 움직임을 분단할 수 있다. 따라서, 우측의 흡수 코어(31)와 좌측의 흡수 코어(31)를 서로 연동시키지 않고 별개로 움직이게 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1)에 비틀리는 방향의 힘이 작용한 경우에도, 좌우의 흡수 코어(31)에 가해지는 힘을 제2 저단위중량부(42)로 분단하고, 좌우의 흡수 코어를 별개로 이동시켜, 비틀림에 의한 흡수 코어(31)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흡수 코어(31)가 꼬이기 어렵기 때문에, 신체(둔부)의 함몰을 따르는 형상을 보다 유지하기 쉽다. 위화감이 보다 발생하기 어려워져, 피부에 대한 부드러움, 좋은 장착 느낌을 유지할 수 있다.
플랩 시트(15)의 외측 가장자리(15OE)는, 힙 플랩(4)의 외측 가장자리에 위치해도 좋다. 예컨대, 플랩 시트(15)의 외측 가장자리가 힙 플랩(4)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면, 힙 플랩(4)의 외측 가장자리의 강성이 낮아지고, 둔부의 변형에 따라서 힙 플랩(4)의 외측 가장자리가 꼬여, 옆으로 샐 우려가 있다. 그러나, 플랩 시트(15)에 의해 힙 플랩(4)의 외측 가장자리의 강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힙 플랩(4)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완충 영역(B)에 이르기까지의 영역이 신체에 계속 추종하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옆으로 새는 것을 억제하면서, 완충 영역(B)의 변형에 의해 흡수 코어(31)의 의도하지 않은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플랩 시트(15)의 외측 가장자리(15OE)가 힙 플랩(4)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면, 플랩 시트(15)가 배치된 영역(플랩 시트(15)의 외측 가장자리(15OE)보다 폭 방향 내측의 영역)과, 플랩 시트(15)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플랩 시트(15)의 외측 가장자리(15OE)와 힙 플랩(4)의 외측 가장자리 사이의 영역)에 강성차가 생긴다. 힙 플랩(4)에 강성차가 생기면, 강성차가 생기는 개소를 기점으로 힙 플랩(4)의 측가장자리가 젖혀져 버릴 우려가 있다. 플랩 시트(15)의 외측 가장자리(15OE)가 힙 플랩(4)의 외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것에 의해, 힙 플랩(4)의 강성차를 적게 하여, 힙 플랩(4)의 강성차에 의해 젖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저단위중량부(42)보다 폭 방향 외측에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제3 저단위중량부(43)가 마련되고, 제3 저단위중량부(43)가 굴곡부를 구성해도 좋다. 굴곡부인 제3 저단위중량부(43)에 의해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변형 기점이 형성된다. 제3 저단위중량부(43)는, 전후 방향(L)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후측 영역(S3)에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변형 기점이 형성된다. 후측 영역(S3)에는, 착용자의 둔부가 닿아 있고, 누워 있는 상태의 착용자가 일어설 때에 둔부의 피부의 신축에 따라 전후 방향(L)으로 신축하는 힘이 가해진다. 후측 영역(S3)의 흡수 코어(31)는, 전후 방향(L)으로 인장되거나, 전후 방향(L)을 따라서 움직이거나, 전후 방향(L)으로 압축되거나 한다. 이 때, 제3 저단위중량부(43)가 흡수 코어(31)의 움직임을 흡수하는 완충하는 영역으로서 기능한다. 제3 저단위중량부(43)에 의해, 흡수 코어(31)의 신축 등에 의한 꼬임을 억제할 수 있고, 흡수 코어(31)를 신체에 계속 피트시켜, 위화감을 억제한 상태를 유지하기 쉽다.
또한, 제3 저단위중량부(43)가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후측 영역(S3)의 흡수 코어(31)가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기점에서 변형될 수 있어, 후측 영역(S3)의 흡수 코어(31)가 신체(둔부)의 라운딩을 따르기 쉬워진다. 따라서, 흡수 코어(31)가 보다 신체에 피트되어, 체액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표면 시트(11)의 외측 가장자리(11OE)와 플랩 시트(15)의 내측 가장자리(15IE) 사이의 영역(완충 영역(B))의 두께는, 표면 시트(11)의 외측 가장자리(11OE)보다 폭 방향 내측의 영역의 두께보다 얇아도 좋고, 또한 플랩 시트(15)의 내측 가장자리(15IE)보다 폭 방향 외측의 영역의 두께보다 얇아도 좋다. 완충 영역(B)은, 비교적 두께가 얇고 변형되기 쉽다. 그 때문에, 뒤척임 등으로 고단위중량부(45)가 폭 방향 외측으로 이동했을 때에, 완충 영역(B)에 의해 고단위중량부(45)의 이동을 흡수하기 쉬워져, 흡수체(30)의 의도하지 않은 변형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제2 저단위중량부(42)는, 힙 플랩(4)의 최대 폭의 위치(P1)로부터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가상선 상에 걸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제2 저단위중량부(42)가 힙 플랩(4)의 최대 폭의 위치보다 전방으로부터 후방에 걸쳐 배치된다. 힙 플랩(4)의 최대 폭의 위치는, 흡수성 물품(1)에서 가장 폭 방향(W)의 길이가 길어, 흡수성 물품(1)에 힘이 가해졌을 때에 힘을 분산시키기 쉽다. 제2 저단위중량부(42)는, 힙 플랩(4) 최대 폭의 위치(P1)로부터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가상선 상에 걸쳐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흡수성 물품(1)에 비틀리는 방향의 힘이 가해졌을 때에 넓은 면에서 힘을 분산시킬 수 있어, 힙 플랩(4)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다.
폭 저단위중량부로서의 제3 저단위중량부(43)는, 힙 플랩(4)의 최대 폭의 위치(P1)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선 상에 걸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제3 저단위중량부(43)가 힙 플랩(4)의 최대 폭의 위치보다 전방으로부터 후방에 걸쳐 배치된다. 흡수성 물품(1)에 비틀리는 방향의 힘이 가해지고, 제3 저단위중량부(43)를 변형의 기점으로서 착용자의 둔부의 라운딩을 따라서 변형될 때에, 흡수성 물품(1)에서 가장 폭 방향(W)의 길이가 긴 부분이 변형되어, 힙 플랩(4)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착용자의 뒤척임 등에 의해 고단위중량부(45)가 폭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면 완충 영역(B)에 의해 상기 변형을 흡수한다. 고단위중량부(45)가 대폭 폭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면, 완충 영역(B)이 변형을 완전히 흡수할 수 없어, 표면 시트(11)의 외측 가장자리(11OE)와 플랩 시트(15)의 내측 가장자리(15IE)가 충돌하는 경우가 있다. 표면 시트의 굽힘 강성이 플랩 시트(15)의 굽힘 강성보다 높기 때문에, 표면 시트(11)의 외측 가장자리(11OE)와 플랩 시트(15)의 내측 가장자리(15IE)가 충돌했을 때에 플랩 시트(15)가 변형되고, 표면 시트(11) 및 표면 시트(11)에 의해 덮이는 흡수 코어(31)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전술한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관해 상세히 설명했지만, 당업자에게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중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분명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 양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하여 전혀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다.
또, 2015년 11월 9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5-219153호의 모든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삽입된다.
뒤척임 등으로 착용자의 자세가 반복하여 변화했을 때에 흡수체의 의도하지 않은 변형을 억제하여, 누설의 발생 및 장착감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1 : 흡수성 물품
10 : 피부면 시트
11 : 표면 시트
12 : 사이드 시트
15 : 플랩 시트
20 : 비피부면 시트
30 : 흡수체
31 : 흡수 코어
32 : 코어 랩
321 : 제1 코어 랩
322 : 제2 코어 랩
41 : 제1 저단위중량부
42 : 제2 저단위중량부
43 : 제3 저단위중량부
45 : 고단위중량부
61 : 제1 본체 점착부
62 : 제2 본체 점착부
63 : 윙 점착부
64 : 힙 플랩 점착부
81 : 전측 압착부
82 : 긴 압착부
84 : 후측 압착부
L : 전후 방향
W : 폭 방향
T : 두께 방향
S1 : 가랑이 영역
S2 : 전측 영역
S3 : 후측 영역
CL : 중심선

Claims (12)

  1. 서로 직교하는 전후 방향 및 폭 방향과,
    착용자의 가랑이에 배치되는 가랑이 영역과,
    상기 가랑이 영역의 후측에 위치하는 후측 영역과,
    상기 가랑이 영역과 상기 후측 영역에 배치되는 흡수 코어와,
    상기 후측 영역에서, 상기 가랑이 영역의 상기 흡수 코어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힙 플랩을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 코어는, 상기 후측 영역에서 상기 흡수 코어의 폭 방향 중앙에 위치하는 저단위중량부와, 상기 저단위중량부보다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저단위중량부보다 단위중량이 높은 고단위중량부를 가지며,
    상기 저단위중량부와 상기 고단위중량부를 덮는 표면 시트와,
    상기 힙 플랩에 배치되는 플랩 시트를 가지며,
    상기 표면 시트의 외측 가장자리는 상기 플랩 시트의 내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저단위중량부는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저단위중량부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흡수 코어를 관통한 슬릿인 흡수성 물품.
  2. 서로 직교하는 전후 방향 및 폭 방향과,
    착용자의 가랑이에 배치되는 가랑이 영역과,
    상기 가랑이 영역의 후측에 위치하는 후측 영역과,
    상기 가랑이 영역과 상기 후측 영역에 배치되는 흡수 코어와,
    상기 후측 영역에서, 상기 가랑이 영역의 상기 흡수 코어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힙 플랩을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 코어는, 상기 후측 영역에서 상기 흡수 코어의 폭 방향 중앙에 위치하는 저단위중량부와, 상기 저단위중량부보다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저단위중량부보다 단위중량이 높은 고단위중량부를 가지며,
    상기 저단위중량부와 상기 고단위중량부를 덮는 표면 시트와,
    상기 힙 플랩에 배치되는 플랩 시트를 가지며,
    상기 표면 시트의 외측 가장자리는 상기 플랩 시트의 내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저단위중량부는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저단위중량부보다 폭 방향 외측에는, 상기 흡수성 물품이 두께 방향으로 굴곡될 수 있도록 구성된 굴곡부가 배치되고,
    상기 굴곡부는 상기 폭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흡수성 물품.
  3. 서로 직교하는 전후 방향 및 폭 방향과,
    착용자의 가랑이에 배치되는 가랑이 영역과,
    상기 가랑이 영역의 후측에 위치하는 후측 영역과,
    상기 가랑이 영역과 상기 후측 영역에 배치되는 흡수 코어와,
    상기 후측 영역에서, 상기 가랑이 영역의 상기 흡수 코어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힙 플랩을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 코어는, 상기 후측 영역에서 상기 흡수 코어의 폭 방향 중앙에 위치하는 저단위중량부와, 상기 저단위중량부보다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저단위중량부보다 단위중량이 높은 고단위중량부를 가지며,
    상기 저단위중량부와 상기 고단위중량부를 덮는 표면 시트와,
    상기 힙 플랩에 배치되는 플랩 시트를 가지며,
    상기 표면 시트의 외측 가장자리는 상기 플랩 시트의 내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후측 영역에는,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주위의 흡수 코어보다 단위중량이 낮은 폭 저단위중량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폭 저단위중량부는, 상기 힙 플랩의 최대 폭의 위치로부터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선 상에 걸쳐 배치되는 흡수성 물품.
  4. 서로 직교하는 전후 방향 및 폭 방향과,
    착용자의 가랑이에 배치되는 가랑이 영역과,
    상기 가랑이 영역의 후측에 위치하는 후측 영역과,
    상기 가랑이 영역과 상기 후측 영역에 배치되는 흡수 코어와,
    상기 후측 영역에서, 상기 가랑이 영역의 상기 흡수 코어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힙 플랩을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 코어는, 상기 후측 영역에서 상기 흡수 코어의 폭 방향 중앙에 위치하는 저단위중량부와, 상기 저단위중량부보다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저단위중량부보다 단위중량이 높은 고단위중량부를 가지며,
    상기 저단위중량부와 상기 고단위중량부를 덮는 표면 시트와,
    상기 힙 플랩에 배치되는 플랩 시트를 가지며,
    상기 표면 시트의 외측 가장자리는 상기 플랩 시트의 내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표면 시트의 굽힘 강성은 상기 플랩 시트의 굽힘 강성보다 높은 흡수성 물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 시트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위치하는 비피부면 시트와,
    상기 비피부면 시트에 마련되고, 상기 흡수성 물품을 속옷에 고정하기 위한 점착제를 갖는 점착부를 가지며,
    상기 점착부는, 상기 힙 플랩에서, 상기 표면 시트의 외측 가장자리와 상기 플랩 시트의 내측 가장자리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지 않은 흡수성 물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는 상기 플랩 시트에 중복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흡수성 물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단위중량부는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점착부는 상기 저단위중량부에 중복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지 않은 흡수성 물품.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 시트의 외측 가장자리는 상기 힙 플랩의 외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흡수성 물품.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의 외측 가장자리와 상기 플랩 시트의 내측 가장자리 사이의 영역의 두께는, 상기 표면 시트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 내측의 영역의 두께보다 얇고, 또한 상기 플랩 시트의 내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 외측의 영역의 두께보다 얇은 흡수성 물품.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단위중량부는 상기 전후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저단위중량부는, 상기 힙 플랩의 최대 폭의 위치로부터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선 상에 걸쳐 배치되는 흡수성 물품.
  11.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힙 플랩의 바깥 가장자리는 다수의 볼록부를 갖는 파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12. 삭제
KR1020187014144A 2015-11-09 2016-08-10 흡수성 물품 KR1019352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19153A JP6080935B1 (ja) 2015-11-09 2015-11-09 吸収性物品
JPJP-P-2015-219153 2015-11-09
PCT/JP2016/073554 WO2017081899A1 (ja) 2015-11-09 2016-08-10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327A KR20180063327A (ko) 2018-06-11
KR101935221B1 true KR101935221B1 (ko) 2019-01-03

Family

ID=58043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4144A KR101935221B1 (ko) 2015-11-09 2016-08-10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080935B1 (ko)
KR (1) KR101935221B1 (ko)
CN (1) CN108348366B (ko)
TW (1) TWI612946B (ko)
WO (1) WO20170818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46713B (zh) * 2019-11-26 2021-10-29 福建恒安集团有限公司 一种弹性贴合的一次性卫生巾
US20210393452A1 (en) * 2020-06-23 2021-12-23 Katrina Marie Arceo-Yap Feminine pad with large petal desig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312631A1 (en) 2005-07-12 2008-12-18 Kao Corporation Disposable Diaper and Process of Producing the Same
JP2013255550A (ja) 2012-06-11 2013-12-26 Kao Corp 吸収性物品
US20150065973A1 (en) 2013-08-27 2015-03-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11830B2 (ja) * 2001-04-04 2012-04-04 ピジョン株式会社 吸収性製品
JP4476563B2 (ja) * 2003-05-29 2010-06-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CN101065086B (zh) 2004-11-30 2011-03-16 宝洁公司 用于增强保护的具有外凸纵向中心槽的吸收制品
JP5452960B2 (ja) * 2009-03-31 2014-03-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6141008B2 (ja) * 2012-07-19 2017-06-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992381B2 (ja) * 2013-09-04 2016-09-14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080262B2 (ja) * 2013-11-20 2017-02-15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312631A1 (en) 2005-07-12 2008-12-18 Kao Corporation Disposable Diaper and Process of Producing the Same
JP2013255550A (ja) 2012-06-11 2013-12-26 Kao Corp 吸収性物品
US20150065973A1 (en) 2013-08-27 2015-03-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12946B (zh) 2018-02-01
CN108348366A (zh) 2018-07-31
JP2017086382A (ja) 2017-05-25
CN108348366B (zh) 2020-10-30
KR20180063327A (ko) 2018-06-11
WO2017081899A1 (ja) 2017-05-18
TW201722382A (zh) 2017-07-01
JP6080935B1 (ja) 201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49361B2 (ja) 吸収性物品
JP6080263B2 (ja) 吸収性物品
KR20130137621A (ko) 흡수성 물품 및 생리대
KR102569786B1 (ko) 흡수성 물품
CN106999308B (zh) 吸收性物品
KR102508046B1 (ko) 흡수성 물품
KR101964977B1 (ko) 흡수성 물품
TW201609062A (zh) 吸收性物品
JP4679300B2 (ja) 吸収性物品の吸収体
KR101935221B1 (ko) 흡수성 물품
JP6257283B2 (ja) 吸収性物品
CN111542291B (zh) 短裤型吸收性物品
JP2015188714A (ja) 男性用失禁パッド
KR102570212B1 (ko) 흡수성 물품
CN108697553B (zh) 吸收垫
JP6385395B2 (ja) 吸収性物品
JP6226947B2 (ja) 吸収性物品
JP7105147B2 (ja) 吸収性物品
JP2017060781A (ja) 吸収性物品
JP5406963B2 (ja) 吸収性物品
JP6645818B2 (ja) 吸収パッド
JP6705839B2 (ja) 吸収性物品
JP6901854B2 (ja) 男性用吸収性物品
JP2019217000A (ja) 吸収性物品
JP7514638B2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