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4508B1 - Sis, 재생아스팔트 순환골재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여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Sis, 재생아스팔트 순환골재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여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4508B1
KR101934508B1 KR1020180089558A KR20180089558A KR101934508B1 KR 101934508 B1 KR101934508 B1 KR 101934508B1 KR 1020180089558 A KR1020180089558 A KR 1020180089558A KR 20180089558 A KR20180089558 A KR 20180089558A KR 101934508 B1 KR101934508 B1 KR 101934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asphalt
aggregate
concret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9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케이기술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케이기술연구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케이기술연구소
Priority to KR1020180089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45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4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4508B1/ko
Priority to US16/519,505 priority patent/US1107270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26Bituminous materials, e.g. tar,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5/00Compositions of bituminous materials, e.g. asphalt, tar,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2Cellulos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2Agglomerated materials, e.g. artificial aggreg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076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grain distribu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76Polystyr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36Bituminous materials, e.g. tar,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3/00Compositions of natural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1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bituminous bi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1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bituminous binders
    • E01C7/26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bituminous binders mixed with other materials, e.g. cement, rubber, leather, fib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1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bituminous binders
    • E01C7/26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bituminous binders mixed with other materials, e.g. cement, rubber, leather, fibre
    • E01C7/262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bituminous binders mixed with other materials, e.g. cement, rubber, leather, fibre with fibrous material, e.g. asbestos; with animal or vegetal admixtures, e.g. leather, cork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32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courses of different kind made in situ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75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for road constr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11/27Water resistance, i.e. waterproof or water-repell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2Cellulose; Modified cellulo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55/00Characteristics of bituminous mixtures
    • C08L2555/20Mixtures of bitumen and aggregate defined by their production temperatures, e.g. production of asphalt for road or pavement applications
    • C08L2555/22Asphalt produced above 140°C, e.g. hot melt asphal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55/00Characteristics of bituminous mixtures
    • C08L2555/30Environmental or health characteristics, e.g. energy consumption, recycling or safety issues
    • C08L2555/34Recycled or waste materials, e.g. reclaimed bitumen, asphalt, roads or pathways, recycled roof coverings or shingles, recycled aggregate, recycled tires, crumb rubber, glass or cullet, fly or fuel ash, or sla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55/00Characteristics of bituminous mixtures
    • C08L2555/40Mixtures based upon bitumen or asphalt containing functional additives
    • C08L2555/50Inorganic non-macromolecular ingredients
    • C08L2555/52Aggregate, e.g. crushed stone, sand, gravel or c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55/00Characteristics of bituminous mixtures
    • C08L2555/40Mixtures based upon bitumen or asphalt containing functional additives
    • C08L2555/60Organic non-macromolecular ingredients, e.g. oil, fat, wax or natural dye
    • C08L2555/70Organic non-macromolecular ingredients, e.g. oil, fat, wax or natural dye from natural non-renewable resources
    • C08L2555/74Petrochemicals other than waxes, e.g. synthetic oils, diesel or other fuels, hydrocarbons, halogenated or otherwise functionalized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55/00Characteristics of bituminous mixtures
    • C08L2555/40Mixtures based upon bitumen or asphalt containing functional additives
    • C08L2555/80Macromolecular constituents
    • C08L2555/82Macromolecular constituents from natural renewable resources, e.g. starch, cellulose, saw dust, straw, hair or sh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55/00Characteristics of bituminous mixtures
    • C08L2555/40Mixtures based upon bitumen or asphalt containing functional additives
    • C08L2555/80Macromolecular constituents
    • C08L2555/84Polymers comprising styrene, e.g., polystyrene, styrene-diene copolymers or styrene-butadiene-styrene copoly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5 내지 25중량부; 석유수지 5 내지 15중량부; 재생아스팔트 순환골재 250 내지 1,000중량부; 성능개선제 1 내지 10중량부; 신골재 250 내지 1,000중량부; 미분말 골재 30 내지 150중량부; 및 셀룰로오스 섬유 0.1 내지 2중량부를 포함하는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SIS, 재생아스팔트 순환골재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여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고응집력과 고결합력을 구비하여 방수성이 우수하고, 내구성이 좋고, 소성변형, 노화 및/또는 박리가 쉽게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PG 82-34 등급이며 침투수 및 포트홀을 방지하고, 저비용으로 타설공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SIS, 재생아스팔트 순환골재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여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Asphalt Concrete Composition Which Comprising SIS, Rycycling Asphalt and Aggregate-powder of Improved Grain Size for Improving Waterproof and Constructing Methods Using Thereof}
본 발명은 SIS, 재생아스팔트 순환골재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여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스팔트콘크리트의 물성을 향상시키는 SIS, 재생아스팔트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여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스팔트는 유기화합물과 미량의 무기화합물 등이 포함된 수천 종 이상의 고분자 탄화수소(C-H)가 매우 복잡하게 구성된 흑색 또는 흑갈색 고체 또는 반고체의 열가소성 물질로서 가열하게 되면 서서히 액상으로 변화되는 특성을 갖는다.
상기 아스팔트는 천연 아스팔트, 석유계 아스팔트 및 포장용 타르와 같은 종류로 나눠지며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유화 아스팔트가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아스팔트는 점착성이 뛰어나고 광물질 재료와의 부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결합재료나 접착재료로 이용되며, 물에 용해되지 않고 불투수성이므로 방수재료로도 이용되며, 사용목적에 따라 점도를 변화시킬 수 있어 그 활용범위가 다양하고 도로 포장용, 방수용, 일반 공업용, 농업용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도로 포장용으로 사용되는 아스팔트는 석유계 아스팔트로 접착성, 신장성(伸張性), 흡투수(吸透水)가 우수한 스트레이트 아스팔트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는 연화점이 낮고, 온도감온성이 크고, 내후성이 약하고, 응집력이 약한 단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고, 사용하는 곳의 특성에 맞도록 다양한 개질재를 첨가하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아스팔트 개질재의 종류로는 고무계열, 열가소성수지계열, 열경화성수지계열, 탄화수소계열, 필러계열, 섬유계열, 산화방지제, 환원제 등이 있으며 고무계열에는 천연고무, Styrene Butadiene Rubber(SBR), 폐타이어(Crumb Rubber) 등을 사용하며, 열가소성수지계열에는 Styrene Butadiene Styrene(SBS), Ethylenevinylacetate(EVA), Polyethylene(PE), Polypropylene(PP), Polyvinyl Chloride(PVC), Polyethylene Terephthalate(PET) 등이 사용되며, 열경화성수지계열에는 에폭시수지, 우레탄수지, 아크릴수지, 페놀수지, 석유수지 등이 이용되며 탄화수소계열에는 천연아스팔트, 길소나이트 등이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개발된 아스팔트 개질재는 사계절의 큰 기온차이에 의하여 시공 후 시간이 지나면 아스팔트가 저온균열과 피로균열에 대한 저항성이 감소되어 나타나는 포장의 균열 및 소성변형에 대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공기와 햇빛에 노출됨으로써 발생되는 아스팔트 산화, 부착력 약화에 의한 골재탈리 등의 문제점이 나타나며 또한, 현장투입식 개질재(Plant-mix type)는 균일한 품질의 확보가 용이하지 않고, 사전혼합식(Pre-mixtype) 개질 아스팔트는 구성물을 균일한 혼합이 쉽지 않고 개질재와 아스팔트 등의 각각의 구성물이 물리적인 결합에 의존하기에 저장성이 떨어져 보존에 어려움이 있다.
특히, 2000년 이후 속경성 시멘트와 폴리머로 콘크리트의 성능을 개선한 개질콘크리트가 개발되었으며, 짧은 경화시간과 높은 투수저항성, 동결융해저항성 등으로 인하여 콘크리트 도로구조물의 보수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개질콘크리트는 다량의 라텍스를 포함하므로 비용이 고가이고, 열반사율이 높아 동절기 초기결빙에 대한 예방효과가 종래 아스팔트 콘크리트보다 미비하며, 열흡수율이 낮아 우리나라와 같이 외기온도변화(일교차, 4계절)가 심한 환경에서는 온도응력으로 인하여 균열, 표면박리, 탈락(포트홀) 등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일부 교량이나 특수지역 중 지/정체가 심하고 중 차량 비율이 높은 교통조건에서는 일반 개질아스팔트(Polymer-modified asphalt: PMA) 포장도 견디기 어려운 곳이 있다.
따라서 매우 강한 아스팔트 포장을 두껍게 시공해야하나 일반 아스팔트 포장의 경우 두꺼운 것뿐만 아니라 자체적으로 탄성(Elasticity), 인성(Toughness) 및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등이 강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강상판(Steel box girder) 교량은 물론 콘크리트 교량 등에도 하부 층의 열화(Deterioration) 방지를 위하여 방수공정이 수반된다.
하지만 방수 층(도막이나 코팅 등)은 구조적 성능은 없으면서도 비용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에 언급한대로 탄성이 우수한 혼합물과 인성과 인장강도가 크면서도 고 부착기능이 수반된 혼합물을 적용한다면 구조적 성능과 내구성을 동시에 발휘하는 아스팔트 포장이 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과다한 교통하중을 견딜 수 있으면서 내구성이 우수한 기능도 함께 수반한 아스팔트 포장이 되므로 시공 상 용이함은 물론 빠른 교통개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기술과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특허출원 제10-2017-0130362호에 균열저감 효과가 우수한 고등급 저온 경화형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방수성 및 내구성이 좋고, 소성변형, 노화 및/또는 박리가 쉽게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침투수 및 포트홀을 방지할 수 있는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5 내지 25중량부;
석유수지 5 내지 15중량부;
재생아스팔트 순환골재 250 내지 1,000중량부;
성능개선제 1 내지 10중량부;
신골재 250 내지 1,000중량부;
미분말 골재 30 내지 150중량부; 및
셀룰로오스 섬유 0.1 내지 2중량부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공하고자 하는 대상면을 정리하는 정리단계;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5 내지 25중량부, 석유수지 5 내지 15중량부, 재생아스팔트 순환골재 250 내지 1,000중량부, 성능개선제 1 내지 10중량부, 신골재 250 내지 2,000중량부, 미분말 골재 30 내지 150중량부, 및 셀룰로오스 섬유 0.1 내지 2중량부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혼합하는 혼합단계;
상기 혼합된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동수단으로 이송시켜 정리단계가 종료된 대상면에 타설하는 타설단계;
상기 타설단계가 종료된 후 다지는 다짐단계; 및
상기 다짐단계가 종료된 후 양생하는 양생단계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SIS, 재생아스팔트 순환골재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여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고응집력과 고결합력을 구비하여 방수성이 우수하고, 내구성이 좋고, 소성변형, 노화 및/또는 박리가 쉽게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PG 82-34 등급이며 침투수 및 포트홀을 방지하고, 저비용으로 타설공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방수 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골재의 입도를 나타낸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 가지 관점에서, 본 발명은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5 내지 25중량부; 석유수지 5 내지 15중량부; 재생아스팔트 순환골재 250 내지 1,000중량부; 성능개선제 1 내지 10중량부; 신골재 250 내지 1,000중량부; 미분말 골재 30 내지 150중량부; 및 셀룰로오스 섬유 0.1 내지 2중량부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시공하고자 하는 대상면을 정리하는 정리단계;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5 내지 25중량부, 석유수지 5 내지 15중량부, 재생아스팔트 순환골재 250 내지 1,000중량부, 성능개선제 1 내지 10중량부, 신골재 250 내지 2,000중량부, 미분말 골재 30 내지 150중량부, 및 셀룰로오스 섬유 0.1 내지 2중량부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혼합하는 혼합단계; 상기 혼합된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동수단으로 이송시켜 정리단계가 종료된 대상면에 타설하는 타설단계; 상기 타설단계가 종료된 후 다지는 다짐단계; 및 상기 다짐단계가 종료된 후 양생하는 양생단계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재아스팔트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아스팔트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추천하기로는 석유계 아스팔트 또는 아스팔트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스팔트 혼합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아스팔트 혼합물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스트레이트(straight) 아스팔트, 트리니다드레이크(Trinidad lake) 아스팔트, 트리니다드에퓨레(Trinidad epure) 아스팔트 또는 이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침입도 20 내지 40의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와 트리니다드레이크 아스팔트 및/또는 트리니다드에퓨레 아스팔트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침입도 20 내지 40의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70 내지 80중량% 및 트리니다드레이크 아스팔트 또는 트리니다드에퓨레 아스팔트 20 내지 30중량%를 혼합한 것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여기서, 상기 스트레이트 아스팔트(straight asphalt)는 석유 아스팔트로 원료를 건류 또는 증류한 잔류물을 정제한 통상의 아스팔트로, 특히 침입도가 20 내지 40인 것이 도로에 시공시 용이성이 있어 더욱 좋다.
상기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는 아스팔트 혼합물에 70 내지 8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7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아스팔트 포장 후 굳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될 수 있고, 연화점이 낮아질 수 있으며, 8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유동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스팔트는 본 발명의 SIS, 재생아스팔트 순환골재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여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유동성 개선과 더불어 변형저항, 미끄럼저항 및 마찰저항 등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아스팔트는 트리니다드레이크(trinidad lake) 아스팔트 및/또는 트리니다드에퓨레(Trinidad epure) 아스팔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스팔트는 아스팔트 혼합물에 20 내지 3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이 2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유동성, 변형저항, 미끄럼저항 및 마찰저항의 개선효과가 미미하며, 3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본 발명의 아스팔트가 연질화되고 연화점이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SIS, 재생아스팔트 순환골재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여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구성하는 신재아스팔트 외 나머지 성분들의 함량은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stylene isoprene stylene; SIS)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특정적으로 SIS, 재생아스팔트 순환골재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여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균열 발생을 억제하고, 포트홀을 방지할 뿐 아니라, 점결력을 제공하는 동시에 강도를 향상시킨다.
바람직한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의 사용량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 가능하지만, 추천하기로는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의 5 내지 25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석유수지는 점착성 및 방수성 등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석유수지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용융온도가 100℃ 이상이고 침입도가 3dmm이하, 140℃에서 점도(이하 140℃ 점도)가 50내지 500cps인 석유 수지가 적합하지만, 추천하기로는 용융온도가 110℃ 내지 140℃이고 침입도가 0.5 내지 2dmm, 140℃ 점도가 50 내지 300cps인 지방족 C-5석유수지가 좋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석유수지의 용융온도가 100℃ 이하이면 온도가 높을 시 상호 달라붙거나 덩어리가 형성되어 불량 제품이 될 수 있어 좋지 않고, 침입도가 0.5dmm 이하이면 너무 물러 아스팔트의 고온 물성 개선을 하는데 문제가 된다.
또한, 석유수지의 140℃ 점도가 500cps 이상이면 아스팔트 보다 점도가 높아 제조 시간이 너무 길어지게 된다.
바람직한 석유수지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추천하기로는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15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재생아스팔트 순환골재는 폐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 도로의 폐부산물, 예를 들면 통상의 도로포장에 사용된 아스팔트의 폐기물을 재생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아스팔트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폐아스팔트를 분쇄하여 재생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재생아스팔트 순환골재에 포함된 폐아스팔트는 죠크라샤를 이용하여 1차 파쇄하고,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더블 죠크라샤로 2차 파쇄하고, 콘크라샤로 3차 파쇄하여 크기별로 선별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그 크기의 선별은 10 내지 25mm, 0.08 내지 10mm 로서 각각 선별함이 바람직하나 이를 반드시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그 사용량은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250 내지 1000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성능개선제는 재생아스팔트에서 부족한 성분을 보충하여 아스팔트의 물성을 복원하는 작용을 할 뿐만 아니라 중유에 함유된 유황성분의 가황작용에 의해 아스팔트의 물성을 더욱 개선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성능첨가제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그 사용량은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성능개선제로는 비닐아세테이트 모노머-파라핀오일 90 내지 99.5중량% 및 과산화벤조일 0.5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비닐아세테이트 모노머-파라핀오일은 비닐아세테이트 모노머 5 내지 25중량% 및 파라핀 오일 75 내지 95중량%가 혼합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신골재는 아스팔트, 석유수지 및/또는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등과 같은 결합재에 의하여 뭉쳐져서 한 덩어리를 이룰 수 있는 건설용 광물질 재료이며, 화학적으로 안정하다.
상기 신골재는 모래, 자갈, 현무암, 오석, 바잘트, 기타 이와 비슷한 재료를 지칭한다.
특정적으로, 상기 신골재로서 약 0.7%의 흡수율을 갖는 염기성 맥암 및/또는 약 5.40%의 흡수율을 갖는 보크사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신골재의 입도는 0.08 내지 13mm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한 신골재의 사용량은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250 내지 1,000중량부인 것이 좋고, 바람직하게는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입도가 0.08 내지 2.49mm인 신골재 2.5 내지 100중량부, 입도가 2.5 내지 5.99mm인 신골재 25 내지 100중량부, 입도가 6 내지 9.99mm인 신골재 22.5 내지 200중량부, 입도가 10 내지 12.99mm인 신골재 100 내지 300중량부, 및 입도가 13mm인 신골재 100 내지 300중량부를 포함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은데, 이는 골재들 간에 서로 공극을 채워줌으로써 방수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분말 골재는 상기 신골재 및 재생아스팔트 순환골재들 사이의 공극에 충진되어 방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필러라고도 칭하며,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사용하는 미분말 골재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바람직한 미분말 골재의 크기는 적어도 0.08mm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0.0799mm의 입도를 갖는 것을 추천하고, 그 사용량은 신재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30 내지 150중량부인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방수아스팔트에 사용되는 미분말 골재는 그 크기가 특별히 한정되어 사용되지 않는 실정이며, 그 사용량도 미분말 골재의 크기가 한정되지 않으므로 미분발 골재와 골재가 혼합되어 사용되는 바,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30중량부 이하로 사용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를 개선하여 미분말 골재의 입도를 한정하여 방수성능을 보다 극대화 하도록 한 것으로써, [도 1]에 나타난바와 같이, 방수 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미분말 골재는 입도 그래프상에 체통과 중량백분율의 그래프가 기존입도의 상한선 및 하한선을 초과하게 나타나게 되어, 방수아스팔트에 적합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분말 골재는 석분 미분말, 석회석 미분말, 모래 미분말, 자갈 미분말, 현무암 미분말, 오석 미분말, 바잘트 미분말, 기타 이와 비슷한 재료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셀룰로오스 섬유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로 형성된 교면의 종-횡 방향으로 가해지는 응력에 의한 인장력 및/또는 경량성 등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셀룰로오스 섬유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천연 셀룰로오즈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그 사용량은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2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하기의 특정 양태로 실시되는 부가물을 1종 또는 1종 이상 더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특정적으로 SIS, 재생아스팔트 순환골재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여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결합성 및 내구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3 내지 15중량부의 실란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란화합물은 퍼플루오로메톡시실란, 퍼플루오로에톡시실란 등의 퍼플루오로알콕시실란 또는 테트라메톡시실란, 테트라 에톡시실란 등의 테트라알콕시실란을 사용하고, 실록산 올리고머로는 트리알콕시실란, 테트라알콕시실란, 디알콕시실란 또는 이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시공시 필요 이상의 유동성을 갖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의 흐름방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흐름방지제는 스테아린산 아연, 스테아린산 칼슘, 스테아린산 또는 이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조성물의 소성변형을 감소시기키 위하여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2 내지 15중량부의 변형방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림직한 변형방지제는 폴리에틸렌,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폴리뷰텐, 하임팩트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추천한다.
이때, 상기 변형방지제의 사용량이 2중량부 미만이면 변형을 방지하는 효과가 미미하고, 15중량부를 초과하면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조할 경우 다른 구성성분과의 혼합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고온 또는 저온에서 변화하는 점도변화를 감속시키기 위하여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3 내지 20중량부의 점도지수 향상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점도지수 향상제는 폴리-이소-부틸렌(Poly-iso-Butylene), 올레핀 공중합체(Olefin Copolymer),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Ethylene-Propylene Copolymer),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Stylene-Butadiene Copolymer), 스티렌-말레익산 에스테르 공중합체(Stylene-maleic acid-ester Copolimer) 및/또는 폴리-메타크릴레이트(Polymethacrylate)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중성화된 콘크리트 구조체의 알카리성을 회복시켜 콘크리트 중성화에 의한 철근 부식을 억제 및 방지하며, 콘크리트 구조체가 대기중의 탄산가스와 접촉하여 탄산칼슘과 물로 전환되면서, 열화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3 내지 10중량부의 규산리튬(Li2O-nSiO2-xH2O)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그 함량이 3중량부 미만이 첨가되면, 콘크리트 구조체의 알칼리화 효과가 저하되고, 8중량부가 초과되면, 알칼리화 효과는 어느 정도 향상되지만 그 효과는 크지 않으며, 제품의 원가만 상승시키게 된다.
상기 규산리튬은 규산리튬에 존재하는 +1가의 리튬이 이온결합을 통해 CO3를 치환하며, 중성화가 진행된 콘크리트 구조체의 pH를 11 내지 12로 향상시켜 강알칼리화 시키고, 이온결합을 통해 콘크리트 구조체 내부의 유리된 시멘트 성분과 가교결합을 함으로써 콘크리트의 표면과 내부의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 다른 특정양태로서, 본발명에 따른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점도증진 및 부착력 강화를 위하여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10중량부의 알긴산 나트륨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그 함량이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5중량부 미만이면 소수성이 저하되고, 함량이 10중량부를 초과하면 과도하게 점도가 상승되어 좋지 않다.
상기 알긴산 나트륨은(C6H8O6)n으로 표시되는 다당류의 하나로서 카르복실기를 가지고 있으며, 다시마류를 소다회 처리하여 만들 수 있는데, 알긴산 나트륨 자체에 점성을 갖고 있어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혼입되면 점도증진 및 부착력을 강화하게 된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조성물의 내구성 및 내알칼리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의 아크릴니트릴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그 사용량이 1중량부 보다 적을 경우에는 내구성 및 내알칼리성 개선 효과가 미미하며, 1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점도가 높아져 작업성을 저하 시킬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아스팔트 콘크리트에 존재하는 유해 성분들이 외부로 용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15중량부의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고, 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부틸글리시딜에테르(Butyl glycidyl ether)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그 사용량이 1중량부 미만이면 점도 조절 및 부착성 향상의 효과가 미미하며, 5중량부를 초과하면 경화가 지연되고 표면의 경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조성물의 내수성 및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신재아스팔트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붕산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붕산 화합물로는 오르토붕산, 메타붕산, 사붕산, 붕산 메틸, 붕산에틸 등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오르토붕산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조성물의 경화 촉진 및 부식방지를 위하여 신재아스팔트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산화아연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그 사용량이 1중량부 미만이면 부식방지성이 떨어지고, 5중량부를 초과하면 조성물의 급격한 반응으로 부착성이 떨어지고, 크랙이 발생하여 좋지 않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조성물의 경도를 향상시키고 표면오염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자외선을 흡수하고 크랙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하이드라진 페닐 트리아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조성물의 흡수성, 투과성 및 보습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음이온 변성스타치의 일종인 스타치 포스페이트 에스테르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그 사용량은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2중량부가 좋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조성물의 잠탄성을 높이기 위하여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1중량부의 소듐 벤조 에이트(sodium benzoate)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소듐 벤조 에이트가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0.1중량부 보다 적을 경우 효과가 미미하며, 1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과량이 되어 물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조성물의 용해를 빠르게 촉진시켜 초기의 반응열을 높게 하여 응결경화를 빠르게 함으로써 초기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칼륨인산염을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5중량부를 초과하면 급결성능에 의해 수축되어 균열이 발생할 수 있고, 1중량부 미만이면 가수분해 속도가 저하되어 강도가 저하되어 좋지 않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조성물의 점도를 높이고 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CMC)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그 사용량은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가 좋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테트라에틸렌펜타민(Tetraethylenepentamine; TEPA)을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2 내지 8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는데, 테트라에틸렌펜타민은 폴리아민의 일종으로서,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경화속도 및 점도 조절의 역할을 하며, 그 사용량이 2중량부 이하 일 때는 효과가 미미하며, 8중량부 이상일 경우에는 그 양이 과도하여 경제적이지 못하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신속한 경화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하여 옥틸페놀 에톡실레이트를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충진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암모늄 노니페놀 에테르설페이트(ammonium nonylphenol ether sulfate)를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혼합시 급격한 반응을 억제하여 반응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중탄산나트륨을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응집력과 재료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수지를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실온에서 효과적으로 경화하고 내열성, 저온 성능, 내화학성, 내용매성 및 내유성과 같은 개선된 특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아미노기 함유 실록산(Aminofunctional siloxan)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미노기 함유 실록산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일례로서 아미노메틸폴리디메틸실록산을 들 수 있으며, 그 사용량은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3 내지 10중량부인 것을 추천한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의 진크 설페이트(zinc sulphat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진크 셀페이트는 알카리부여제로서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 진크 설페이트가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에 포함되면 조성물이 도포되는 도로 등의 알카리성을 회복시키며, 표면에 비활성막을 생성함으로써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겔화를 위하여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의 폴리인돌로카바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조성물의 내산성, 내알칼리성, 내후성, 난연성, 향균성, 방음성, 내마모성 및 내충격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3 내지 15중량부의 미세 중공체(microscopic hollow sphere) 분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세중공체 분말은 알루미늄 실리케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30 내지 100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미세 중공을 갖는 분말이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내화학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20중량부의 아크릴폴리머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조성물의 방수성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하소포졸라나(calcinated pozzolana)를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는데, 하소포졸라나는 주로 세립의 적색의 화산성 흙으로 구성되는 천연 포졸라나에 칼슘을 첨가하여 제조되며, 특히, 상기 하소포졸라나는 천연 포졸라나 100중량부에 칼슘 1 내지 20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1000 내지 1200℃의 온도범위에서 0.5 내지 1시간 소성한 후 평균입도가 10 내지 20㎛가 되도록 분쇄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조성물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이 도포되는 포장 대상면의 공극을 충전하기 위하여 폴리메틸실세스키옥산(polymetylsilsesquioxane)을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내투수 저항성이 탁월하여 방수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이 도포되는 포장 대상면으로 우수 등이 침투하는 것을 최소화 할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테트라에틸오소실리케이트(tetraethyl orthosilicate:TEOS)를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이 안정적으로 분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수분을 흡수 팽윤하여 방수층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 pyrrolidone)을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20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열안정성 및 가소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Dioctyl TerePhthalate, DOTP)를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분산성 향상 및 조성물의 혼합 후에도 다시 엉김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로진산 나트륨을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항균작용 및 방청작용 효과를 부여하기 위하여 니켈분말과 크롬분말이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니켈크롬분말을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3 내 10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는데, 니켈분말 및 크롬분말은 모두 200메쉬 이하여 분말을 사용하며, 니켈분말과 크롬분말이 1:1의 중량비로 사용되는 것은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슬러리 상태시 균질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함으로 비중이 높은 니켈분말에 비중이 낮은 크롬분말을 1:1로 혼합하여 항균작용 및 방청작용을 부여함과 동시에 슬러리 상태에서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함이고, 또한, 니켈크롬분말의 혼합중량비율은 그 사용량이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3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기능성 부여 효과가 미약하고,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슬러리 상태의 혼합물에서 재료의 균일한 분산성이 감소하게 되어 좋지 않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SIS, 재생아스팔트 순환골재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여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시공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하기 시공방법은 SIS, 재생아스팔트 순환골재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여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일 실시양태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계의 통상적인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특정적으로 SIS, 재생아스팔트 순환골재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여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시공방법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한 가지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SIS, 재생아스팔트 순환골재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여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시공방법은시공하고자 하는 대상면을 정리하는 정리단계;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5 내지 25중량부, 석유수지 5 내지 15중량부, 재생아스팔트 순환골재 250 내지 1,000중량부, 성능개선제 1 내지 10중량부, 신골재 250 내지 1,000중량부, 미분말 골재 30 내지 150중량부, 및 셀룰로오스 섬유 0.1 내지 2중량부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혼합하는 혼합단계;
상기 혼합된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동수단으로 이송시켜 정리단계가 종료된 대상면에 타설하는 타설단계;
상기 타설단계가 종료된 후 다지는 다짐단계; 및
상기 다짐단계가 종료된 후 양생하는 양생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타설단계의 이동수단은 덤프트럭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침입도 30의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100g(신재아스팔트),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15g, 140℃ 점도가 130cps인 지방족 C-5석유수지 10g, 크기가 15 내지 20mm인 페아스팔트로 이루어진 새생아스팔트 순환골재 600g, 비닐아세테이트 모노머-파라핀오일 95중량% 및 과산화벤조일 5중량%로 이루어진 성능개선제 5g, 입도가 약 3mm인 자갈과 입도가 약 5mm인 자갈이 5:5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신골재 600g, 입도가 약 0.03mm인 석회석으로 이루어진 미분말 골재 80g, 및 천연 셀룰로오스 섬유 1g을 혼합하여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입도가 약 3mm인 자갈과 입도가 약 5mm인 자갈이 5:5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신골재 600g 대신에, 입도가 0.09mm인 신골재 25g, 입도가 3mm인 신골재 75g, 입도가 6mm인 신골재 100g, 입도가 10mm인 신골재 200g, 입도가 13mm인 신골재 200g을 혼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퍼플루오로메톡시실란 8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스테아린산 아연 5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폴리뷰텐 8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폴리-이소-부틸렌 1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규산리튬 7g를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알긴산 나트륨 7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아크릴니트릴 5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0]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10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부틸글리시딜에테르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오르토붕산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산화아연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하이드라진 페닐 트리아진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6]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스타치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1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7]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소듐 벤조 에이트 0.5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8]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칼륨인산염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9]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0]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테트라에틸렌펜타민 5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옥틸페놀 에톡실레이트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암모늄 노니페놀 에테르설페이트 5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중탄산나트륨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수지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아미노메틸폴리디메틸실록산 7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6]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진크 설페이트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7]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폴리인돌로카바졸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8]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약 50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미세 중공을 갖는 분말 10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9]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천연 포졸라나 100g에 칼슘 10g을 혼합한 후, 1100℃에서 0.5시간 소성하여 분쇄한 평균입도가 15㎛인 하소포졸라나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0]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폴리메틸실세스키옥산 4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테트라에틸오소실리케이트 5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폴리비닐피롤리돈 7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로진산 나트륨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니켈분말과 크롬분말이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니켈크롬분말 6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6]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실시예1에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35에 부가된 부가물을 함께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 험]
실시예들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을 이용하여 약 60mm 두께의 아스팔트 콘크리트층을 제조한 후 방수성, 저온(at -10℃) 경화성, 균열성, 동적안정도, 간접인장강도, 변형강도, 압축강도 등을 측정하여 표 1로 나타냈다.
여기서, 동적안정도는 소성변형 저항성 평가로 Kim Test에 의한 변형강도 시험과 시험을 통해 측정하고, 간접인강도는 균열 저항성을 평가하기 위해 진행되었고, 압축강도는 아스팔트 압축강도시험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방수성 겔화/1hr
(at -10℃)
균열
정도
동적안정도
(pass/mm)
간접인장강도
(ITS)
변형강도
(Mpa)
압축강도(MPa)
7일간 28일간
실시예 1 98% 65 없음 1865 0.89 5.82 32.3 86
실시예 2 99% 66 없음 1863 0.87 5.81 32.1 87
실시예 3 98% 65 없음 1864 0.89 5.82 32.3 87
실시예 4 99% 67 없음 1855 0.88 5.79 31.1 86
실시예 5 99% 67 없음 1882 0.85 5.85 31.2 82
실시예 6 99% 68 없음 1883 0.88 5.79 31.1 87
실시예 7 99% 67 없음 1847 0.88 5.72 34.4 81
실시예 8 99% 65 없음 1864 0.88 5.64 31.3 82
실시예 9 98% 64 없음 1875 0.87 5.71 33.2 83
실시예 10 98% 65 없음 1888 0.87 5.94 31.7 85
실시예 11 98% 69 없음 1868 0.85 5.77 32.2 81
실시예 12 98% 63 없음 1865 0.84 5.80 32.7 83
실시예 13 99% 67 없음 1855 0.87 5.82 31.5 84
실시예 14 99% 67 없음 1840 0.86 5.81 32.2 86
실시예 15 99% 65 없음 1841 0.87 5.80 32.4 85
실시예 16 99% 68 없음 1866 0.89 5.78 31.1 86
실시예 17 99% 67 없음 1886 0.89 5.78 31.3 82
실시예 18 98% 68 없음 1868 0.89 5.82 33.5 84
실시예 19 99% 65 없음 1849 0.88 5.78 32.4 86
실시예 20 99% 68 없음 1849 0.88 5.69 31.1 88
실시예 21 99% 67 없음 1849 0.88 5.80 31.2 88
실시예 22 99% 67 없음 1848 0.89 5.78 33.7 88
실시예 23 98% 67 없음 1858 0.88 5.79 33.4 86
실시예 24 99% 67 없음 1885 0.87 5.82 31.3 86
실시예 25 98% 67 없음 1868 0.88 5.80 33.5 85
실시예 26 98% 69 없음 1857 0.87 5.78 32.4 86
실시예 27 99% 68 없음 1887 0.87 5.69 32.5 87
실시예 28 98% 69 없음 1877 0.89 5.83 33.2 87
실시예 29 99% 67 없음 1876 0.87 5.84 32.4 88
실시예 30 98% 67 없음 1877 0.89 5.79 32.4 87
실시예 31 99% 67 없음 1886 0.87 5.82 32.5 87
실시예 32 99% 68 없음 1885 0.88 5.80 33.5 87
실시예 33 98% 68 없음 1884 0.88 5.77 32.4 86
실시예 34 99% 67 없음 1883 0.87 5.78 32.6 87
실시예 35 98% 68 없음 1886 0.88 5.82 32.3 88
실시예 36 98% 68 없음 1884 0.89 5.81 32.4 88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SIS, 재생아스팔트 순환골재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여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6의 방수성, 동적안정도, 간접인장강도 및 변형강도가 좋고, 저온에서 겔화가 진행되어 경화가 신속히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균열이 없고, 압축강도는 28일이 경과한 시점에서 75메가파스칼 이상으로서, 상시 실시예의 모든 콘크리트 조성물이 고강도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두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5 내지 25중량부;
    140℃ 점도가 130cps인 지방족 C-5석유수지 5 내지 15중량부;
    재생아스팔트 순환골재 250 내지 1,000중량부;
    성능개선제 1 내지 10중량부;
    신골재 250 내지 1,000중량부;
    미분말 골재 30 내지 150중량부; 및
    셀룰로오스 섬유 0.1 내지 2중량부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에,
    규산리튬을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3 내지 10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를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15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붕산 화합물을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를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하이드라진 페닐 트리아진을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칼륨인산염을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를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옥틸페놀 에톡실레이트를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암모늄 노니페놀 에테르설페이트를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중탄산나트륨을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수지를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아미노기 함유 실록산을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3 내지 10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진크 설페이트를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폴리인돌로카바졸을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하소포졸라나를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폴리메틸실세스키옥산을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테트라에틸오소실리케이트를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폴리비닐피롤리돈을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20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로진산 나트륨을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니켈분말과 크롬분말이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니켈크롬분말을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3 내지 10중량부로 더 포함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골재는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입도가 0.08 내지 2.49mm인 신골재 2.5 내지 100중량부, 입도가 2.5 내지 5.99mm인 신골재 2.5 내지 100중량부, 입도가 6 내지 9.99mm인 신골재 22.5 내지 200중량부, 입도가 10 내지 12.99mm인 신골재 100 내지 300중량부, 및 입도가 13mm인 신골재 100 내지 300중량부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분말 골재의 입도는 0.001 내지 0.0799mm인 것을 포함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4. 삭제
  5. 시공하고자 하는 대상면을 정리하는 정리단계;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5 내지 25중량부, 140℃ 점도가 130cps인 지방족 C-5석유수지 5 내지 15중량부, 재생아스팔트 순환골재 250 내지 1,000중량부, 성능개선제 1 내지 10중량부, 신골재 250 내지 1,000중량부, 미분말 골재 30 내지 150중량부, 및 셀룰로오스 섬유 0.1 내지 2중량부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에, 규산리튬을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3 내지 10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를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15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붕산 화합물을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를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하이드라진 페닐 트리아진을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칼륨인산염을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를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옥틸페놀 에톡실레이트를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암모늄 노니페놀 에테르설페이트를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중탄산나트륨을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수지를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아미노기 함유 실록산을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3 내지 10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진크 설페이트를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폴리인돌로카바졸을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하소포졸라나를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폴리메틸실세스키옥산을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테트라에틸오소실리케이트를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폴리비닐피롤리돈을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20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로진산 나트륨을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니켈분말과 크롬분말이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니켈크롬분말을 신재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3 내지 10중량부로 더 포함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혼합하는 혼합단계;
    상기 혼합된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동수단으로 이송시켜 정리단계가 종료된 대상면에 타설하는 타설단계;
    상기 타설단계가 종료된 후 다지는 다짐단계; 및
    상기 다짐단계가 종료된 후 양생하는 양생단계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시공방법.
KR1020180089558A 2018-07-31 2018-07-31 Sis, 재생아스팔트 순환골재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여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34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558A KR101934508B1 (ko) 2018-07-31 2018-07-31 Sis, 재생아스팔트 순환골재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여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US16/519,505 US11072708B2 (en) 2018-07-31 2019-07-23 Asphalt concrete composition having improved waterproof performance by comprising SIS, recycled asphalt aggregate, and fine powder aggregate with improved particle siz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558A KR101934508B1 (ko) 2018-07-31 2018-07-31 Sis, 재생아스팔트 순환골재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여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4508B1 true KR101934508B1 (ko) 2019-01-02

Family

ID=65021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9558A KR101934508B1 (ko) 2018-07-31 2018-07-31 Sis, 재생아스팔트 순환골재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여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072708B2 (ko)
KR (1) KR1019345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28016A (zh) * 2021-07-06 2021-10-22 重庆交通大学 一种用于大孔隙沥青混凝土路面结构的沥青恢复性养护、裂纹路面修复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36686B2 (en) 2008-04-28 2014-01-28 Ethicon Endo-Surgery, Inc. Surgical access device
EP3541996B1 (en) * 2016-11-21 2020-07-01 Amomatic Oy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asphalt pavement road for recycling purposes, and use of briquettes obtainable by such method
EP4069783A1 (en) * 2019-12-06 2022-10-12 Bmic Llc Compatibilizer precursor, methods, systems, and uses thereof, and formulations including the same
CN113045248B (zh) * 2021-03-09 2023-03-28 中路高科(北京)公路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长大纵坡的功能复合沥青混合料及其制备方法
CN113149534A (zh) * 2021-05-17 2021-07-23 四川统揽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抗车辙沥青及其制备方法
CN113354339A (zh) * 2021-07-06 2021-09-07 上海繁荣道路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环保型厂拌热再生沥青混合料及其制备方法
CN114479496B (zh) * 2022-02-15 2023-03-31 天津城建大学 一种脱硫橡胶改性沥青的制备方法
CN117408928B (zh) * 2023-12-15 2024-03-01 安徽省交通规划设计研究总院股份有限公司 基于图像处理的透水混凝土路面结构确定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9965A (ja) * 2004-02-05 2005-08-18 Yamaguchi Technology Licensing Organization Ltd 舗装用アスファルト改質剤、及び舗装用バインダー組成物、並びにアスファルト舗装工法
KR101773927B1 (ko) * 2017-02-16 2017-09-01 주식회사 한국도로기술 고등급 저소음 배수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792617B1 (ko) 2017-06-27 2017-11-20 주식회사 지케이기술연구소 Sis 및 crm을 포함하는 고등급 방수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5131B1 (ko) * 2015-05-14 2015-11-02 주식회사 지케이기술연구소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661309B1 (ko) * 2015-09-25 2016-10-04 주식회사 드림아스콘 분말 또는 입상형 재생 아스팔트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
KR101712921B1 (ko) * 2016-10-11 2017-03-08 주식회사 지케이기술연구소 고등급 구스 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835081B1 (ko) 2017-10-11 2018-04-19 주식회사 한국도로기술 균열저감 효과가 우수한 고등급 저온 경화형 방수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9965A (ja) * 2004-02-05 2005-08-18 Yamaguchi Technology Licensing Organization Ltd 舗装用アスファルト改質剤、及び舗装用バインダー組成物、並びにアスファルト舗装工法
KR101773927B1 (ko) * 2017-02-16 2017-09-01 주식회사 한국도로기술 고등급 저소음 배수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792617B1 (ko) 2017-06-27 2017-11-20 주식회사 지케이기술연구소 Sis 및 crm을 포함하는 고등급 방수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28016A (zh) * 2021-07-06 2021-10-22 重庆交通大学 一种用于大孔隙沥青混凝土路面结构的沥青恢复性养护、裂纹路面修复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40186A1 (en) 2020-02-06
US11072708B2 (en) 202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4508B1 (ko) Sis, 재생아스팔트 순환골재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여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34505B1 (ko) Sis, sbs, 재생아스팔트 순환골재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여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24799B1 (ko) Sis, sbs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여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중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77053B1 (ko) 철도용 개질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99969B1 (ko) Sis를 포함하는 불투수성 방수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 조성물과 믹싱 시스템 투입 장비를 이용한 일체형 불투수성 방수 아스팔트 콘크리트 시공방법
KR101977586B1 (ko) Sis를 이용한 중온 개질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54232B1 (ko) 재생아스팔트 순환골재, sis, sbs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여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포장식 다짐구스방수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99964B1 (ko) Sis 및 재생고무분말을 이용한 개질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93792B1 (ko) Ldpe 및 sis를 포함하는 개질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24794B1 (ko) Sis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여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중온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40532B1 (ko) 수소가 첨가된 석유수지 및 sis를 이용한 도로 포장용 개질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34500B1 (ko) Sis, sbs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여 방수성능을 향상시킨 포장용 구스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93794B1 (ko) Ldpe 및 sis를 포함하는 방수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77583B1 (ko) Sis를 이용한 중온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바인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999968B1 (ko) Sis 및 sbs를 포함하는 현장재생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59643B1 (ko) 폐타이어 분말을 포함하는 고등급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52402B1 (ko) 수소가 첨가된 석유수지 및 sis를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바인더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54820B1 (ko) 수소가 첨가된 석유수지, sis 및 sbs를 이용한 교면포장용 방수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일체형 교면 균열부 보수공법
KR101961272B1 (ko) Sis, sbs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는 저소음 배수성 복층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07052B1 (ko) Sebs를 포함하는 도로용 개질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58674B1 (ko) 개질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77051B1 (ko) Sis를 이용한 중온 고분자 개질 쇄석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psma)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58680B1 (ko) 방수성을 향상시킨 개질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54243B1 (ko) Sis, sbs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는 저소음 배수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69252B1 (ko) 재생아스팔트를 이용하여 현장타설이 용이한 도로용 고등급 개질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