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4437B1 - 덩굴류 식물 제거방법 - Google Patents

덩굴류 식물 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4437B1
KR101934437B1 KR1020180090293A KR20180090293A KR101934437B1 KR 101934437 B1 KR101934437 B1 KR 101934437B1 KR 1020180090293 A KR1020180090293 A KR 1020180090293A KR 20180090293 A KR20180090293 A KR 20180090293A KR 101934437 B1 KR101934437 B1 KR 101934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ver member
vine
urine
absor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0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홍대
전동진
문현철
김용수
권영록
박헌승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80090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44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4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4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1/00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unwanted vegetation, e.g. weeds
    • A01M21/04Apparatus for destruction by steam, chemicals, burning, or electricity
    • A01M21/043Apparatus for destruction by steam, chemicals, burning, or electricity by chemic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4Shaped forms, e.g. sheets, not provided for in any other sub-group of this main group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06Aluminium; Calcium; Magnesium; Compound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덩굴류 식물을 고사시키는 방식으로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칡, 다래덩굴, 으름덩굴, 노박덩굴 등과 같은 덩굴류 식물의 주요 생장점에 해당하는 요두부의 상부 줄기를 절단하여 요두부 절단면을 노출시키고, 고사 약액이 흡수된 커버부재를 절단면이 노출된 요두부에 씌워 덩굴류 식물을 고사시켜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덩굴류 식물 제거방법{Removal method for vine}
본 발명은 덩굴류 식물을 고사시키는 방식으로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칡, 다래덩굴, 으름덩굴, 노박덩굴 등과 같은 덩굴류 식물의 주요 생장점에 해당하는 요두부의 상부 줄기를 절단하여 요두부 절단면을 노출시키고, 고사 약액이 흡수된 커버부재를 절단면이 노출된 요두부에 씌워 덩굴류 식물을 고사시켜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분야이다.
나무줄기를 감으면서 자라나는 각종 덩굴을 그대로 두면 수간이 비대생장하면서 요철이 생겨 형질이 불량하게 되고, 특히 어린나무일 경우 초두부를 감아 줄기가 휘어져 상장 생장에 지장을 주게 되어 곧은 목재를 얻을 수 없게 된다.
또한 덩굴류 식물이 무성하게 되면 어린나무일 경우 완전히 피압 고사하게 되고, 큰 나무라 할지라도 태양광을 차단하고 근계경합을 일으켜 막심한 생장장애를 주게 된다.
이에, 덩굴류 식물은 수시로 제거해주어야 하고, 특히 조림지에는 칡덩굴과 같은 덩굴류 식물의 피해가 극심하여 덩굴제거 작업이 조림지의 필수 작업으로 실시하고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덩굴제거 작업은 일반적으로, ⅰ) 괭이 또는 낫 등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덩굴류 식물의 뿌리를 굴취하고 줄기를 제거하는 인력제거 방법, ⅱ) 덩굴류 식물의 뿌리 일정부분을 잘라내고 비닐랩을 밀봉처리하여 뿌리를 고사시키는 비닐랩 밀봉처리 방법, ⅲ) 뿌리 채취기 또는 절단기를 이용한 기계굴취 방법 또는 ⅳ) 약제를 이용한 화학적 방법 등이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종류의 덩굴제거 작업방법 각각은 인력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상기 ⅰ의 경우), 비닐랩이 쉽게 손상되어 덩굴제거 효과가 떨어지고 비닐랩에 의한 토양오염이 야기되는 문제(상기 ⅱ의 경우), 고가의 전문장비와 전문장비 가동을 위한 전문인력이 소요되는 문제(상기 ⅲ의 경우) 또는 약제에 의한 작업자의 위험 및 토양오염이 야기되는 문제(상기 ⅳ의 경우)가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다음은 덩굴류 식물을 제거하는 방법 중, 약제를 이용한 방법의 대표적인 종래기술이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8-012903호는 약물 도포형 칡 고살기에 관한 것으로서, 액체상태의 약물이 수납되는 용기와; 상하부가 관통되며, 용기의 개방구에 결합되는 용기 뚜껑부와; 용기 뚜껑부 내에 장착되며, 내면에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단에는 또한, 배출공을 갖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결합부재와; 배출공을 관통하도록 삽입되며, 배출공의 내측으로 연장된 단부에는 기울어지는 정도에 따라 걸림턱의 배출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되는 유동원판이 형성되는 개폐핀과; 결합부재 내측 중공부 상에 나사 결합되며, 개폐핀 하부의 유동원판을 상부로 긴밀히 압압 하여서 배출공이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스프링으로 탄설되는 탄성 조절구; 그리고, 개폐핀을 수용한 상태에서 용기 뚜껑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덮개: 를 포함하는 구성을 하였다.
또한 상기 구성의 고살기는 칡고살용 약물을 칡에 바르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하였으나, 칡에 발라진 약물에 의한 토양 오염 문제가 우려되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8-012903호(1998.06.05.)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5867호(2015.04.2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24003호(2012.03.14.)
본 발명은 덩굴류 식물 제거방법의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 덩굴류 식물 제거방법은 인력이 많이 소모되고, 비닐랩과 같은 밀봉제에 의한 토양오염이 야기되는 문제, 고가의 전문장비와 전문장비 가동을 위한 전문인력이 소요되는 문제 및 약제에 의한 작업자의 위험과 토양오염이 야기되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덩굴류 식물의 요두부 상부의 줄기를 절단하여 제거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 처리된 요두부에 고사 약액이 흡수된 골무 형태의 커버부재를 씌우는 제2단계 및; 상기 제2단계 처리된 커버부재의 하부를 밴드로 묶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덩굴류 식물 제거방법을 제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덩굴류 식물 제거방법은 덩굴류 식물의 주된 생장점인 요두부를 절단하고, 절단된 요두부에 고사 약액이 흡수된 골무 형태의 커버부재를 씌움으로써, 고사 약액이 요두부 절단면으로만 흡수되어 덩굴류 식물이 고사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고사 약액이 흡수된 커버부재가 천연수지 재질의 직물로 구성된 커버와 상기 커버의 외부에 코팅된 외부코팅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커버에 의한 고사 약액의 흡수성, 신축성 및 물리적인 강도를 실현시킬 수 있고, 상기 외부코팅물에 의한 신축성, 고사 약액 증발방지 및 태양광 차단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덩굴류 식물 제거방법의 제1단계에 의하여 요두부가 절단되는 덩굴류 식물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덩굴류 식물 제거방법에 의하여 제거 처리되는 덩굴류 식물을 나타내는 부분 상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덩굴류 식물 제거방법의 커버부재와 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덩굴류 식물 제거방법에 의하여 제거 처리된 덩굴류 식물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덩굴류 식물 제거방법에 의한 커버의 중공에 고사 약액이 흡수된 흡수체가 내입된 경우를 나타내는 부분 상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덩굴류 식물 제거방법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덩굴류 식물 제거방법의 제1단계에 의하여 요두부가 절단되는 칡을 나타내는 사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덩굴류 식물 제거방법의 제3단계 처리된 칡을 나타내는 사진.
본 발명은 덩굴류 식물을 고사시키는 방식으로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덩굴류 식물의 요두부(100) 상부의 줄기를 절단하여 제거하는 제1단계(S100); 상기 제1단계(S100) 처리된 요두부(100)에 고사 약액이 흡수된 골무 형태의 커버부재(10)를 씌우는 제2단계(S200) 및; 상기 제2단계(S200) 처리된 커버부재(10)의 하부를 밴드(20)로 묶는 제3단계(S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덩굴류 식물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덩굴류 식물 제거방법에 의하여 제거되는 덩굴류 식물은 임목의 생장에 피해를 주는 칡, 다래덩굴, 으름덩굴, 노박덩굴 등과 같은 덩굴류 식물에 해당할 수 있고, 종래에 알려진 상기 종류 이외의 다양한 종류의 덩굴류 식물을 더 포함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덩굴류 식물 제거방법은 단순히 덩굴류 식물의 줄기를 절단하여 제거하거나 뿌리를 파내어 제거하는 방식이 아닌, 고사 약액을 이용하여 말려죽이는 고사(枯死) 방식을 이용한다.
즉, 상기 제1단계(S100)는 덩굴류 식물의 요두부(100) 상부의 줄기를 절단하여 제거하는 과정으로서, 덩굴류 식물의 주된 생장점이 위치되는 요두부(100)를 노출시키는 과정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덩굴류 식물의 요두부(100)는 도 1, 2와 같이 주뿌리에서 덩굴 형태로 자라는 복수 개의 줄기가 자라나는 부분으로써 덩굴류 식물의 주된 생장점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아울러 덩굴류 식물은 일반적으로 요두부(100)가 지면에 인접된 땅속에 위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상기 요두부(100)가 지면에 인접된 땅속에 위치되는 경우를 일실시예로 설명하겠다.
보다 상세하면, 상기 제1단계(S100)는 지상에 퍼져 있는 덩굴류 식물의 줄기를 절단하는 방식으로 정리하고, 지면의 일부를 파내어 요두부(100)를 찾아 요두부(100)의 상부에 해당하는 줄기를 절단함으로써 요두부(100)의 절단면이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덩굴류 식물이 칡인 경우에는 상기 제1단계(S100)는 지상에 위치되는 칡덩굴을 제거한 후 지면으로부터 약 5~10cm를 파내어 칡의 요두부(100)를 외부로 노출시키고, 외부로 노출된 칡 요두부(100)의 상부에 해당하는 줄기를 절단하여 요두부(100) 또는 요두부(100)의 상부에 해당하는 절단면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제2단계(S200)는 상기 제1단계(S100) 처리된 요두부(100)에 고사 약액이 흡수된 골무 형태의 커버부재(10)를 씌우는 과정으로서, 요두부(100)의 절단면에 고사 약액이 침투되어 덩굴류 식물이 고사되도록 하는 과정이다.
즉, 상기 제2단계(S200)의 커버부재(10)는 고사 약액이 흡수되어 요두부(100)의 절단면에 고사 약액이 가해질 수 있음과 동시에, 골무 형태로 구성되어 절단면이 형성된 요두부(100)의 일부분을 감쌀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면 다양한 형태 및 재질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사 약액은 덩굴류 식물을 죽일 수 있는 농약, 고농도의 염분을 가지는 소금물 또는 액상의 고사 약액 조성물 등과 같은 종류의 것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으로 구성되어, 요두부(100)의 절단면에 노출된 덩굴류 식물의 물관 및 체관을 통하여 덩굴류 식물의 주뿌리로 흡수됨으로써 땅속에 위치한 덩굴류 식물을 고사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사 약액은 상기와 같이 공지의 농약을 이용할 수도 있고, 일실시예로는 고농도의 염분을 가지는 액상의 소금물로 이루어지거나, 다른 실시예로는 액상의 고사 약액 조성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고사 약액이 소금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기 소금물은 요두부(100)의 절단면을 통하여 덩굴류 식물의 주뿌리쪽으로 흡수되고, 덩굴류 식물의 주뿌리로 흡수된 소금물은 삼투압작용에 의하여 덩굴류 식물의 주뿌리에서 수분을 빼내어 덩굴류 식물이 고사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고사 약액이 소금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소금물은 고사시키려 하는 덩굴류 식물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농도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0%의 농도를 가지는 소금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소금물의 농도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다시 하겠다.
더불어 상기와 같이 고사 약액이 액상의 고사 약액 조성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액상의 고사 약액 조성물은 고농도의 염분을 가지는 액상의 소금물은 물 100 중량%에 대하여 약 5.26(5.2632) 내지 23.33(23.3333) 중량% 이상의 소금을 함유하는 소금물인 것이 바람직한데, 소금의 함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염도가 낮아 고사 효과를 구현하기 어려우며, 소금의 함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염해로 인한 토양 오염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함량 범위에서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액상의 고사 약액 조성물을 사용할 경우 염도를 낮출 수 있어 염해의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데, 상기 고사 약액 조성물로는 물과 에탄올을 1:1 내지 1:0.5의 중량비로 배합한 용매에 5 내지 10 중량부의 소금을 혼합하여 제조한 소금물 100 중량부에 염화칼슘 10 내지 20 중량부, 빙초산 10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10)는 상기 구성의 고사용액이 흡수된 상태로 요두부(100)의 절단면을 포함한 요두부(100) 일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절단된 요두부(100)에 씌워질 수 있는 구성이면 다양한 형태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일실시예로는, 내부에 요두부(100)가 수용되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사 약액이 흡수되는 천연수지 재질로 직조된 직물로 이루어진 커버(11) 및; 상기 커버(11)의 외부에 코팅된 고무재질의 외부코팅물(12);을 포함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커버부재(10)는 거시적으로 고사 약액이 흡수되는 커버(11) 및 커버(11)의 외부에 코팅된 외부코팅물(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11)는 내부에 요두부(100)가 수용되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사 약액이 흡수되는 천연수지 재질로 직조된 직물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골무 형태 커버부재(10)의 형태를 형성시키는 구성이고, 상기 고사 약액을 흡수시키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구성의 커버(11)는 천연수지 재질로 직조되는 구성을 하기 때문에, 일정량의 고사 약액을 흡수할 수 있는 흡수성을 가지고, 섬유사로 직조되어 일정의 신축성을 가져 다양한 외경을 가지는 요두부(100)를 중공에 내입시키도록 형태 변형될 수 있음과 동시에 일정의 강도를 가져 요두부(100)의 절단면에서 용출되는 수분에 의하여 커버부재(10)가 찢어지거나 터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시킨다.
즉, 상기 커버(11)는 천연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섬유사를 중공이 형성되는 형태로 직조한 직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정의 신축성을 가질 수 있고, 그 결과 다양한 외경을 가지는 덩굴류 식물의 요두부(100)에 커버(11)가 신축되며 씌워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아울러 상기 구성의 커버(11)는 일반적인 비닐 필름보다 더 우수한 신축성을 가지는 직물이므로, 덩굴류 식물의 고사시에 요두부(100)의 절단면에서 용출되는 수분에 의한 커버(11)의 확장력에 대향할 수 있는 기계적인 강도를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커버(11)의 중공에 채워지는 상기 용출 수분으로 인한 커버(11)의 찢어짐 및 터짐을 방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실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코팅물(12)은 상기 커버(11)의 외부에 코팅된 고무재질의 구성으로서, 요두부(100)에 씌워지는 상기 커버(11)의 신축과 함께 신축되며 커버(11)에 흡수된 고사 약액의 증발을 방지시키고, 태양광을 차단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외부코팅물(12)은 일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재질의 것으로 구성되어 상기 커버(11)의 신축과 함께 신축되어 커버부재(10)의 확장에 의한 찢어짐 및 터짐을 방지시키기 위한 보조적인 물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일정의 수밀성을 가져 외부코팅물(12)의 내부에 위치된 커버(11)에 흡수된 고사 약액의 증발을 방지시킨다.
더불어 상기 외부코팅물(12)은 외부에 대한 상기 커버(11)의 노출을 차단시켜 태양광이 커버(11)의 중공에 내입된 요두부(100)에 미치지 않도록 하고, 그 결과 덩굴류 식물에 대한 태양광을 차단하여, 덩굴류 식물의 생장을 중단되어 고사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커버(11)의 중공에, 상기 고사 약액이 흡수된 탈지면 또는 천연수지 직물과 같은 흡수체(13)를 내입시키고, 상기 커버(11)에는 고사 약액이 비흡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흡수체(13)는 고사 약액을 흡수할 수 있는 흡수력을 가지는 탈지면 또는 천연수지 직물과 같은 재질의 것으로 구성되고, 상기 덩굴류 식물의 요두부(100)의 절단면에 집중적으로 고사 약액이 흡수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와 같이 흡수체(13)가 커버(11)의 중공에 내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커버(11)에는 고사 용액이 흡수될 수도 있고 비흡수될 수도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구성와 같이 커버(11)와 외부코팅물(12)로 구성되는 커버부재(10)는 자원재활용의 측면에서 공장 제조 중에 발생한 불량품의 폐면장갑의 손가락 부분을 절단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커버부재(10)는 외부에 상기 외부코팅물(12)이 코팅된 폐면장갑의 손가락 부분을 절단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단계(S300)는 상기 제2단계(S200) 처리된 커버부재(10)의 하부를 밴드(20)로 묶는 과정으로서, 덩굴류 식물의 요두부(100)에 씌워진 커버부재(10)가 요두부(100)에서 외력에 의하여 빠지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밴드(20)는 커버부재(10) 하부의 외주를 일정의 파지력으로 감싸서 커버부재(10)가 요두부(1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면 천연수지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다양한 종류의 것을 이용할 수 있고, 일실시예로는 도 3과 같이‘케이블타이’라 불리는 밴드(20)를 이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제3단계(S300) 처리된 커버부재(10)가 씌워진 요두부(100)는 다시 흙으로 매립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지만, 노출된 상태로 유지되어 공기 및 태양열에 의한 더욱 빠르고 효과적으로 고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커버부재(10)는 덩굴류 식물이 고사된 이후에 요두부(100)에서 제거될 수도 있고, 미제거될 수도 있다.
물론 커버부재(10)가 고사된 덩굴류 식물의 요두부(100)에서 미제거되는 경우에는 상기 커버부재(10)를 구성하는 커버(11) 및 외부코팅물(12)(천연고무인 경우)이 모두 천연 재질의 것으로 구성되어 토양오염을 유발하지 않아야 함은 자명할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에 의한 덩굴류 식물 제거방법에 의하여 칡덩굴을 제거하는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실시예에 의한 칡덩굴의 제거상태를 나타내는 표 1이다.
[실시예 1]
1. 제1단계
도 7과 같이 지상에 위치한 칡덩굴의 줄기들을 걷어내고, 지면에서 5cm의 깊이로 흙을 파내어 요두부를 찾아내어, 요두부 상부에 해당하는 줄기를 절단하여 요두부에 절단면이 형성되도록 한다.
2. 제2단계
절단면이 형성된 요두부에 3%의 염도를 가지는 소금물에 함침되어 있던 골무 형태의 커버부재를 씌운다.
이때, 상기 커버부재(10)는 중공이 형성된 커버는 면 재질의 직물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의 외부에는 고무 재질의 외부코팅물이 형성된 상태이다.
3. 제3단계
도 8과 같이 요두부에 씌워진 커버부재의 하부에 밴드를 감싸아 커버부재가 요두부 하부에 견고히 묶일 수 있도록 파지시킨다.
4. 고사 확인 및 커버부재 제거
상기 제3단계 처리된 이후, 칡의 고사 상태를 확인한 후 칡의 요두부에서 커버부재 및 밴드를 제거한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제1단계, 제2단계, 제3단계 및 고사 확인 및 커버부재 제거 과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되, 상기 제2단계의 소금물을 농도만을 5%의 것을 이용하여 칡 제거방법을 수행한다.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제1단계, 제2단계, 제3단계 및 고사 확인 및 커버부재 제거 과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되, 상기 제2단계의 소금물을 농도만을 10%(실시예 3), 30%(실시예 4), 50%(실시예 5), 70%(실시예 6), 75%(실시예 7)의 것을 이용하여 칡 제거방법을 수행한다.
[실시예 8]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제1단계, 제2단계, 제3단계 및 고사 확인 및 커버부재 제거 과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되, 상기 제2단계의 소금물을 대신하여 액상의 고사 약액 조성물에 커버부재를 함침시키고, 액상의 고사 약액 조성물이 흡수된 커버부재를 이용하여 칡 제거 방법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액상의 고사 약액 조성물은 물 1,000g과 에탄올 700g을 혼합한 용매에 소금 120g을 혼합하여 소금물을 만들고, 상기 소금물 1,820g에 염화칼슘 275g과 빙초산 275g을 교반 혼합하여 만들어진다.
[실시예 9] 내지 [실시예 14]
1. 제1단계
도 7과 같이 지상에 위치한 칡덩굴의 줄기들을 걷어내고, 지면에서 5cm의 깊이로 흙을 파내어 요두부를 찾아내어, 요두부 상부에 해당하는 줄기를 절단하여 요두부에 절단면이 형성되도록 한다.
2. 제2단계
중공이 형성된 커버는 면 재질의 직물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의 외부에는 고무 재질의 외부코팅물이 형성된 커버부재(10)의 중공에, 3%(실시예 9), 5%(실시예 10), 10%(실시예 11), 30%(실시예 12), 50%(실시예 13), 70%(실시예 14), 75%(실시예 15)의 염도를 가지는 소금물에 함침되어 있던 탈지면을 각각 내입시키고, 절단면이 형성된 요두부에 골무 형태의 커버부재를 씌운다.
이때, 상기 커버부재(10)는 중공이 형성된 커버는 면 재질의 직물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의 외부에는 고무 재질의 외부코팅물이 형성된 상태이다.
3. 제3단계
도 8과 같이 요두부에 씌워진 커버부재의 하부에 밴드를 감싸아 커버부재가 요두부 하부에 견고히 묶일 수 있도록 파지시킨다.
4. 고사 확인 및 커버부재 제거
상기 제3단계 처리된 이후, 칡의 고사 상태를 확인한 후 칡의 요두부에서 커버부재 및 밴드를 제거한다.
구분 염분농도 칡의 고사상태 참고
실시예 1 3 비고사
실시예 2 5 고사
실시예 3 10 고사
실시예 4 30 고사
실시예 5 50 고사
실시예 6 70 고사
실시예 7 75 고사
실시예 8 - 고사 고사 용액 조성물
실시예 9 3 고사
실시예 10 5 고사
실시예 11 10 고사
실시예 12 30 고사
실시예 13 50 고사
실시예 14 70 고사
실시예 15 75 고사
[결과]
상기의 표 1과 같이 덩굴류 식물이 칡일 경우, 커버부재(10)에 흡수된 고사 약액이 소금물이고, 상기 소금물의 농도가 5% 미만일 경우에는 소금물의 농도가 다소 낮아 칡덩굴의 고사가 다소 미흡하게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고, 5% 이상 농도의 소금물은 칡덩굴의 고사가 완벽하게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소금물의 농도가 70%를 초과한 경우에는 고농도의 소금물로 인한 염해가 발생하여 주변 토양이 오염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소금물의 농도는 5 내지 70%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고사 약액이 액상의 고사 약액 조성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실시예 2 내지 7과 비교하여 고사 약액 조성물에 소금의 조성비가 더 낮게 포함되어 염분에 의한 토양 오염은 줄이되, 염화칼슘 및 빙초산에 의한 영향으로 칡에 대한 삼투압 현상은 더 촉진시켜, 칡이 완벽하게 고사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커버부재(10)의 커버(11)에는 소금물이 흡수되지 않고, 커버(11)의 중공에 소금물이 흡수된 탈지면을 내입시킨 실시예 9 내지 15의 경우에는, 실시예 9와 같이 소금물의 농도가 3%를 가지더라도 칡덩굴이 고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소금물이 흡수된 탈지면이 요두부(100)의 절단면에 직접 맞닿아 소금물이 보다 효율적을 요두부(100)의 절단면에 가해짐으로써 칡덩굴의 제거 효율성이 향상되었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커버부재
11 : 커버
12 : 외부코팅물
13 : 흡수체
20 : 밴드
100 : 요두부
S100 : 제1단계
S200 : 제2단계
S300 : 제3단계

Claims (8)

  1. 덩굴류 식물의 요두부(100) 상부의 줄기를 절단하여 제거하는 제1단계(S100);
    상기 제1단계(S100) 처리된 요두부(100)에 고사 약액이 흡수된 골무 형태의 커버부재(10)를 씌우는 제2단계(S200) 및;
    상기 제2단계(S200) 처리된 커버부재(10)의 하부를 밴드(20)로 묶는 제3단계(S300);를 포함하고
    상기 고사 약액은,
    물과 에탄올을 1:1 내지 1:0.5의 중량비로 배합한 용매에 5 내지 10 중량부의 소금을 혼합하여 제조한 소금물 100 중량부에 염화칼슘 10 내지 20 중량부, 빙초산 10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액상의 고사 약액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덩굴류 식물 제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사 약액은,
    5 내지 70%의 농도를 가지는 소금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덩굴류 식물 제거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10)는,
    내부에 요두부(100)가 수용되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사 약액이 흡수되는 천연수지 재질로 직조된 직물로 이루어진 커버(11) 및;
    상기 커버(11)의 외부에 코팅된 고무재질의 외부코팅물(1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덩굴류 식물 제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1)의 중공에는,
    상기 고사 약액이 흡수된 탈지면 또는 천연수지 직물과 같은 흡수체(13)가 내입되고,
    상기 커버(11)에는 고사 약액이 비흡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덩굴류 식물 제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사 약액은,
    3 내지 70%의 농도를 가지는 소금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덩굴류 식물 제거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10)는,
    외부에 상기 외부코팅물(12)이 코팅된 폐면장갑의 손가락 부분을 절단하여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덩굴류 식물 제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10)는,
    덩굴류 식물이 고사된 이후 요두부(100)에서 제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덩굴류 식물 제거방법.
KR1020180090293A 2018-08-02 2018-08-02 덩굴류 식물 제거방법 KR101934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293A KR101934437B1 (ko) 2018-08-02 2018-08-02 덩굴류 식물 제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293A KR101934437B1 (ko) 2018-08-02 2018-08-02 덩굴류 식물 제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4437B1 true KR101934437B1 (ko) 2019-01-02

Family

ID=65021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0293A KR101934437B1 (ko) 2018-08-02 2018-08-02 덩굴류 식물 제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443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2103A (ko) * 2018-12-28 2020-07-08 주식회사 오리온햄프로 칡 제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칡 제거방법
KR102225445B1 (ko) 2020-07-28 2021-03-12 조봉진 덩굴류 식물의 제거방법 및 도구
KR102474276B1 (ko) 2022-07-29 2022-12-06 김헌중 넝쿨류 식물 제거를 위한 고사제 제조방법 및 도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385Y1 (ko) 2001-08-29 2001-11-24 최영근 식물 건조방지 캡
KR101515867B1 (ko) 2014-11-05 2015-05-04 (주)에이에이치씨시스템 마그네트론을 이용한 칡 제거 장치
KR101681023B1 (ko) * 2016-07-20 2016-12-01 에코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칡넝쿨 등 간섭식물 제거용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간섭식물 제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385Y1 (ko) 2001-08-29 2001-11-24 최영근 식물 건조방지 캡
KR101515867B1 (ko) 2014-11-05 2015-05-04 (주)에이에이치씨시스템 마그네트론을 이용한 칡 제거 장치
KR101681023B1 (ko) * 2016-07-20 2016-12-01 에코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칡넝쿨 등 간섭식물 제거용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간섭식물 제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2103A (ko) * 2018-12-28 2020-07-08 주식회사 오리온햄프로 칡 제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칡 제거방법
KR102221081B1 (ko) 2018-12-28 2021-02-26 주식회사 오리온햄프로 칡 제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칡 제거방법
KR102225445B1 (ko) 2020-07-28 2021-03-12 조봉진 덩굴류 식물의 제거방법 및 도구
KR102474276B1 (ko) 2022-07-29 2022-12-06 김헌중 넝쿨류 식물 제거를 위한 고사제 제조방법 및 도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4437B1 (ko) 덩굴류 식물 제거방법
CN104770272B (zh) 百年以上古银杏树的移植方法
US6202348B1 (en) Plant-growing method and apparatus
KR20140018070A (ko) 나무를 빠르게 성장시키는 방법
CN105900775A (zh) 一种毛桃种植时提高产量和品质的方法
CN104584884A (zh) 核桃野外嫁接方法
JP2007014204A (ja) 樹木の移植方法および樹木の移植用根鉢
CN106134775A (zh) 一种野生山核桃的嫁接方法
CN105103994B (zh) 截干树木修剪方法
KR102047931B1 (ko) 기능성 물질 함유 수목보호용 황토 조성물 및 이것으로 도포된 흡착포
JPS6115626A (ja) 樹木の栽培育成工法
US7726068B2 (en) Hydromulch root ball
CN107182334B (zh) 一种无公害无花果的病虫害综合防治方法
Guillaumin Apricot Root Rot, Armillariella mellea (Vahl.) Karst.
US5728740A (en) Method and composition for treating bacterial infections in plants
Williams et al. First-year survival and growth of bareroot and container water oak and willow oak seedlings grown at different levels of mineral nutrition
CN108684369B (zh) 一种园林树木大枝疏除截口处理的方法
JP2000157050A (ja) 切枝に着生したままの葉を溶液中につけることによる切枝の長期管理育成とその発根、接木への応用。
JPS61195634A (ja) 虫除け用テ−プ
CN105613144A (zh) 黄栌枯萎病的防治方法
JP4357582B1 (ja) 切開断面に処理剤等を塗付して植物を処理する方法とその鋏。
KR200185731Y1 (ko) 숯가루가 첨가된 과실보호용 봉투
JP2000333543A (ja) 樹木に使う補修.保護材の製造法
CN211960662U (zh) 一种防治病树伐桩病虫害的保护膜
Marshall Care of damaged shade tre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