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5445B1 - 덩굴류 식물의 제거방법 및 도구 - Google Patents

덩굴류 식물의 제거방법 및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5445B1
KR102225445B1 KR1020200093576A KR20200093576A KR102225445B1 KR 102225445 B1 KR102225445 B1 KR 102225445B1 KR 1020200093576 A KR1020200093576 A KR 1020200093576A KR 20200093576 A KR20200093576 A KR 20200093576A KR 102225445 B1 KR102225445 B1 KR 102225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or
injection
solution
vines
with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3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봉진
조회승
조영승
Original Assignee
조봉진
조회승
조영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봉진, 조회승, 조영승 filed Critical 조봉진
Priority to KR1020200093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54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5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5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1/00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unwanted vegetation, e.g. weeds
    • A01M21/04Apparatus for destruction by steam, chemicals, burning, or electricity
    • A01M21/043Apparatus for destruction by steam, chemicals, burning, or electricity by chemic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02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thio analogue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4/0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 B05B14/3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comprising enclosures close to, or in contact with, the object to be sprayed and surrounding or confining the discharged spray or jet but not the object to be spray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1Vats or other containers fo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덩굴류 식물의 제거방법 및 도구에 관한 것으로, 덩굴류 식물의 제거방법은 빙초산이나 빙초산과 물을 배합하는 방식으로 고사액을 만드는 고사액의 제조단계, 주입기의 분출관을 덩굴류 식물의 절개된 주두부 부위에 꽂은 다음, 상기 고사액을 주입기에 일정량만큼 주입하는 고사액의 주입기 주입단계, 및 상기 주입기의 주입통 후방 부위를 밴딩하고 있는 밴드의 제거에 따라 상기 주입통에 주입된 고사액이 삼투압에 의해 덩굴류 식물의 절개된 주두부의 섬유질 내부로 스며들며 덩굴류 식물을 고사되게 하는 고사액의 덩굴류 식물 주입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덩굴류 식물의 제거도구는 고사액이 주입되는 주입통, 상기 주입통의 전단으로부터 돌출되어 덩굴류 식물의 절개된 주두부 부위에 꽂힌 상태로 상기 고사액의 분출이 이루어지는 분출관, 및 상기 분출관의 끝단 양측에 홈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분출관으로 유입된 상기 고사액을 상기 주두부의 섬유질 방향으로 분출되게 하여 상기 섬유질의 내부로 스며들게 유도하는 복수개 이상의 분출공을 포함하는 주입기로 이루어질 수 있는 관계로, 덩굴류 식물의 재생을 방지하는 효율적인 제거 작업과 더불어 작업자의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는 덩굴류 식물의 제거방법 및 도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덩굴류 식물의 제거방법 및 도구{method and tool removing for climbing plant}
본 발명은 덩굴류 식물의 제거방법 및 도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칡, 다래덩굴, 으름덩굴, 노박덩굴 등과 같은 덩굴류 식물의 절개된 주두부 부위에 고사액을 침투시키는 방식으로 주입하여 덩굴류 식물의 조직내부에 고사액이 흡수되면서 덩굴류 식물이 고사되며 제거되는 덩굴류 식물의 제거방법 및 도구에 대한 것이다.
고온다습한 여름철의 계절이 도래하면, 덩굴류 식물들은 왕성하게 번식하는 과정에서 산림과 도심지 외곽 도로 등지에서 산림 경관을 저해하고, 산림 생태계를 훼손하는 등 다양한 피해를 주고 있다.
이러한 대개의 덩굴류 식물들은 번식하는 과정에서 수목을 휘감은 상태로 수목의 성장에 필요한 광합성을 방해하기 때문에, 결국에 수목이 고사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으며, 특히 과수원이나 농장, 혹은 농가 등에서 재배되고 있는 생육목의 고사 피해도 매우 심각하다.
더욱이, 덩굴류 식물들 중 예컨대 칡덩굴의 경우 주변 식물들의 뿌리 주위로 엉키며 성장하기 때문에, 주변 식물들이 칡덩굴에 의해 모든 영양분을 공급받지 못하고 칡덩굴의 엉킴으로 제대로 성장하지 못함으로써, 주벽 식물들의 고사 피해도 막대하다.
이처럼, 덩굴류 식물들의 번식 과정에서 산림 생태계가 파괴되는 문제가 초래되고 있는 관계로, 덩굴류 식물의 제거를 위한 방제방식이 요구되고 있으며, 대개 덩굴류 식물의 효율적인 방제를 위해서는 줄기머리(주두부)를 제거하는 물리적 방제가 보편화되어 있지만, 이러한 물리적 방제는 한계가 있다.
물리적 방제 방식의 일례로서 예컨대 지상에서의 예초 작업 방식으로 덩굴류 식물을 제거하고 있으나, 이는 시간 경과에 따라 덩굴류 식물이 재생되는 비율이 거의 백프로이다.
경우에 따라 예컨대 칡덩굴의 줄기머리 5cm 아래를 자르는 방식으로도 제거하고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도 시간 경과에 따라 칡덩굴이 재발생되는 관계로, 칡덩굴이 근본적으로 제거될 수 없다.
물론, 약제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칡덩굴을 제거하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약제 사용은 우기시 빗물과 함께 흘러내려 가축이 죽거나 토양을 오염화시키는 피해를 주기 때문에, 더 이상 약제 사용을 하지 않는 대신, 칡덩굴의 두주부를 호미나 낫 등을 이용하여 인력으로 제거하고 있으나, 칡덩굴의 뿌리가 살아 있는 관계로 자라면서 여러개의 분근이 형성되고, 줄기에 여러가지의 포복경이 만들어짐에 따라, 오히려 칡덩굴의 개체수가 증가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칡덩굴의 줄기는 하루에도 약 30cm 이상 자랄 정도로 그 성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칡덩굴에 대한 적절한 방제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한편,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 기재된 등록특허 제10-1934437호의 경우 덩굴류 식물 제거방법에 관한 것임을 참고할 수 있다.
특허문헌 001: 등록특허 제10-1934437호(등록일자 2018, 12, 26)
전술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덩굴류 식물을 제거하고, 덩굴류 식물의 재발생을 방지하고자 하는 덩굴류 식물의 제거방법 및 도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전술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빙초산이나 빙초산과 물을 배합하는 방식으로 고사액을 만드는 고사액의 제조단계, 주입기의 분출관을 덩굴류 식물의 절개된 주두부 부위에 꽂은 다음, 상기 고사액을 주입기에 일정량만큼 주입하는 고사액의 주입기 주입단계, 및 상기 주입기의 주입통 후방 부위를 밴딩하고 있는 밴드의 제거에 따라 상기 주입통에 주입된 고사액이 삼투압에 의해 덩굴류 식물의 절개된 주두부의 섬유질 내부로 스며들며 덩굴류 식물을 고사되게 하는 고사액의 덩굴류 식물 주입단계를 포함하는 덩굴류 식물의 제거방법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 고사액은 빙초산과 물이 각각 1 : 0.3~1의 배합비로 배합되는 덩굴류 식물의 제거방법에 일 특징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고사액이 주입되는 주입통, 상기 주입통의 전단으로부터 돌출되어 덩굴류 식물의 절개된 주두부 부위에 꽂힌 상태로 상기 고사액의 분출이 이루어지는 분출관, 및 상기 분출관의 끝단 양측에 홈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분출관으로 유입된 상기 고사액을 상기 주두부의 섬유질 방향으로 분출되게 하여 상기 섬유질의 내부로 스며들게 유도하는 복수개 이상의 분출공을 포함하는 주입기인 덩굴류 식물의 제거도구에 다른 일 특징이 있다.
상기 분출공은 상기 분출관의 끝단 방향을 향해 톱니 구조로 통공되는 덩굴류 식물의 제거도구에 다른 일 특징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고사액이 주입되는 주입통, 상기 주입통의 전단으로부터 돌출되어 덩굴류 식물의 절개된 주두부 부위에 꽂힌 상태로 상기 고사액의 분출이 이루어지는 분출관, 상기 분출관의 끝단 양측에 홈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분출관으로 유입된 상기 고사액을 상기 주두부의 섬유질 방향으로 분출되게 하여 상기 섬유질의 내부로 스며들게 유도하는 복수개 이상의 분출공, 및 상기 분출관의 끝단에서부터 직선형 구조로 연장되어 상기 주두부의 내부로 깊숙히 찔러 넣어져 상기 주입기의 고정력을 향상되게 하는 핀을 포함하는 주입기인 덩굴류 식물의 제거도구에 또 다른 일 특징이 있다.
상기 분출공은 상기 분출관의 끝단 방향을 향해 톱니 구조로 통공되는 덩굴류 식물의 제거도구에 또 다른 일 특징이 있다.
상기 분출관에 끼움 방식으로 끼워진 채 볼록한 방패막 구조로 구성되어 바람이나 비로부터 고사액의 유실 및 희석을 막아주는 유실방지부, 및 상기 주입통에 설치되어 고사액의 소진 상태를 실시간 감지하되 상기 고사액의 소진이 비정상일 경우 고사액을 가압하는 방식으로 강제 배출 유도하는 수위감지 가압장치가 더 구비되는 덩굴류 식물의 제거도구에 또 다른 일 특징이 있다.
상기 유실방지부는 종이나 바이오플라스틱의 재질로 제조된 유실방지부가 이용되는 덩굴류 식물의 제거도구에 또 다른 일 특징이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덩굴류 식물의 효과적인 제거와 함께, 덩굴류 식물의 재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덩굴류 식물을 제거함에 있어 제거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덩굴류 식물의 제거 작업 과정에서 고사액으로부터 노출된 작업자들의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예기치 못한 덩굴류 식물의 삼투압 이상 현상이나 섬유질의 유입에 따른 고사액의 막힘 현상시에도 이를 실시간 감지하여 고사액을 자동으로 강제 배출시켜 예기치 못한 덩굴류 식물의 고사 지연 장애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덩굴류 식물의 제거방법에 대한 절차 단계를 순서대로 도시한 블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덩굴류 식물의 제거방법의 절차 단계에서 활용되는 도구로서 제1 실시예의 주입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덩굴류 식물의 제거방법의 절차 단계에서 활용되는 도구로서 제2 실시예의 주입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1,2 실시예의 주입기에 구성된 분출관에 형성된 분출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덩굴류 식물의 제거방법의 절차 단계에서 사용되는 도구로서 제1,2 실시예의 주입기 및 유실방지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1,2 실시예의 주입기에 유실방지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유실방지부의 단면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칡의 주두부 및 뿌리 부위를 나타내기 위한 칡의 사진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제2 실시예의 주입기에 설치된 고사액의 수위감지 가압장치에 대한 회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덩굴류 식물의 제거방법 및 도구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할 수 있되, 도면에 제한되지 않는 기술적 사상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덩굴류 식물의 제거방법 및 도구에 대한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개념적으로 도시된 관계로,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국한되어 해석될 필요가 없을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덩굴류 식물의 제거방법 및 도구에 있어 개별적 구성 요소(구성품)들에 대한 구체적인 상호 결합 관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할 수 없으며, 개별 구성 요소(구성품)들의 자체에 본 발명의 기술적 의미가 있으므로, 이들 개별 구성 요소(구성품)들 간의 상호 결합 관계는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덩굴류 식물의 제거방법 및 도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덩굴류 식물의 제거방법은 도면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사액의 제조단계(S10), 고사액의 주입기 주입단계(S20), 및 고사액의 덩굴류 식물 주입단계(S30)를 포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사액의 제조단계(S10)에서는 빙초산과 물을 일정량만큼의 비율로 배합하는 방식으로 고사액을 제조하는 과정을 의미하는데, 이때 빙초산과 물은 각각 1 : 1 비율로 배합될 수 있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덩굴류 식물의 종류 및 덩굴류 식물의 고사 소요 시간에 따라 그 비율이 각각 다르게 정해진 채로 배합될 수도 있다.
상기 고사액의 주입기 주입단계(S20)에서는 상기 단계(S10)에서 제조된 상기 고사액을 주입기(100)에 주입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물론, 이때 상기 고사액은 상기 주입기(100)에 일정한 주입량으로 주입될 수 있다.
상기 고사액의 덩굴류 식물 주입단계(S30)에서는 상기 고사액이 주입된 상기의 주입기(100)를 덩굴류 식물로서 예컨대 칡덩굴의 절개된 주두부(줄기머리) 부위에 상기 주입통(111)의 선단에 구성된 주입관(112)의 삽입을 통해 고사액이 삼투압에 의해 주두부(줄기머리) 부위로 스며들 수 있다. 칡의 주두부 부위는 도면 8을 참고할 수 있다.
특히, 덩굴류 식물의 주두부(줄기머리)를 고사시키기 위해 주두부(줄기머리)의 단축 지름을 측정하고, 이렇게 측정된 지름별 고사액의 주입량을 측정할 수 있으며, 고사액을 주입할 주두부(줄기머리) 부위의 절개개수의 적정량도 가늠하여, 덩굴류 식물의 고사를 위한 방제의 효율성 향상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주입기(100)는 후술될 덩굴류 식물의 제거도구에 대한 설명 과정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관계로, 제거도구의 설명 내용을 참고로 상기 주입기(100)에 대한 구성은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덩굴류 식물의 제거 작업에 있어서 칡덩굴을 예로 들었으며, 이러한 칡덩굴의 제거 작업 절차에 대한 일례는 하기와 같다.
* 칡덩굴의 제거 작업 절차
① 먼저 칡덩굴의 주두부(줄기머리) 부위가 노출될 수 있게 드러낸 다음, 상기 주입기(10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예컨대 도 8과 같은 칡덩굴의 주두부(줄기머리) 부위를 예리한 칼로 절개한다.
② 상기 주입기(100)의 주입통(111) 선단에 구성된 분출관(112)을 밀폐하고 있는 덮개(113)를 제거한 다음, 분출관(112)이 칡덩굴의 주두부(줄기머리) 절개부위에 꽂아 넣는 방식으로 삽입한다.
③ 칡덩굴의 주두부(줄기머리) 절개부위에 주입기(100)가 고정되지 않을 경우 상기 분출관(112)에 삽입 연결된 유실방지부(130)의 어느 일측편에서 연장된 묶음띠를 주변의 다른 칡덩굴 줄기까지 에워싸는 방식으로 휘돌린 다음 유실방지부(130)의 타측편에 절취된 절취틈에 걸림 구조로 묶어 주입기(100)를 지지해 준다.
물론, 이때 주입기(100)의 더욱 견고한 지지를 위해 주변에 있는 돌이나 나무 등을 받쳐주는 방식으로 주입기(100)를 견고히 고정시켜 지지할 수도 있다.
④ 고정된 주입기(100)의 주입통(111)을 잡은 채로 주입통(111)의 후방 둘레를 밴딩하여 공기투입구(114a)를 차폐하고 있는 밴드(114)를 제거해 준다.
이렇게 밴드(114)가 제거되면 공기투입구(114a)의 방향으로 공기가 투입되고, 칡덩굴의 주두부(줄기머리) 절개부위에 삽입된 분출관(112)을 통해 고사액이 삼투압에 의해 칡덩굴의 주두부(줄기머리) 절개부위로 스며들면서 소정의 시간 경과 후 칡덩굴이 고사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상술된 칡덩굴의 제거 작업 절차에 따른 칡덩굴의 고사 파악을 위한 실험 및 그 결과는 하기와 같다.
* 실험 및 결과
1) 처음에는 주사기에 고사액인 빙초산을 넣은 후 칡덩굴의 줄기와 두주부에 바늘을 꽂은 상태에서 빙초산이 흘러들어가게 함으로써, 덩굴류 식물을 고사시키는 방법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주사기의 바늘이 덩굴류의 섬유질 성분 유입 현상을 통해 막힘으로써, 빙초산이 주입되지 못함에 따라, 40개의 칡덩굴을 이용한 고사 실험을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횟수만큼 실험하였음에도 불구하고, 3개의 칡덩굴에서만 고사를 확인하였고, 나머지의 칡덩굴은 빙초산이 주사기의 몸통 내에 그대로 남아 있기 때문에 제대로 고사되지 않아 이러한 고사 방식이 별다른 효과가 없는 것으로 판명하고 다른 방법을 모색하게 되었다.
2) 덩굴류의 도관부위에 빙초산이 투입되어야 효과적인 방제가 될 수 있을것으로 판단하고 주사기의 밀대 부분에 홈을 판다음 주사기의 몸통 끝과 고무줄로 연결하여 고무줄의 수축작용으로 빙초산을 삽입하는 방법을 시도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뜨거운 열기에 의해 고무줄이 대부분 쉽사리 녹아버리는 관계로, 다른 방식의 실험 방법으로 변경하게 되었다.
3) 이와 같은 두 번의 실험을 통해 칡의 두주부(줄기머리)에 고사액인 빙초산을 직접 주입하는 방법이 가장 효과적임을 깨닫고 호미로 칡의 두주부(줄기머리)가 노출되도록 드러낸 후 예리한 칼로 두주부(줄기머리) 부위를 절개한 다음 본 발명의 덩굴류 식물의 제거도구인 주입기(100)의 주입통(111) 끝을 삽입하였다.
당초에는 10ml과 20ml을 주입해서 실험할 예정이었으나 약제 사용을 최소화 하는 실험에서의 결과를 도출해 보고자 샘플 1번 표지부터 샘플 11번 표지까지는 5ml 내외의 빙초산(약 4~7ml)를 칡의 두주부에 삽입된 주입기(100)의 주입통(111)에 넣었고, 샘플 21번 표지부터 샘플 27번 표지까지는 10ml 내외의 빙초산(약 8~12ml)를 두주부에 삽입된 주입기(100)의 주입통(111)에 넣었다.
실험은 아침 7시에 실시하여 고사액(빙초산)을 주입하고 나니 8:30 분 정도가 되었다.
시간별 효과 측정은 무의미할 것으로 판단하고 12시간 기준으로 관찰할 목적으로 오후 6시~7시 사이에 결과를 관찰한 바, 샘플 1번 표지부터 샘플 11번 표지에 이르는 표지들 중 1개(3번 표지)는 주입통(111) 끝의 고사액 투입구가 막혀 결과를 얻지 못하였고, 나머지 10개의 표지에서는 모두 칡덩굴이 고사되어 가는 과정을 관찰할 수가 있었다. (하기의 표 1 내지 표 11의 사진들을 참조할 수 있음)
또한, 샘플 21번 표지부터 샘플 28번 표지에서도 1개의 표지(24번 표지)에서 고사액이 주입되지 못하고 밖으로 흘러내려 그 결과를 얻을 수 없었으나, 나머지 7개의 표지에서는 모두 칡덩굴이 고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하기의 표 21 내지 표 28의 사진들을 참조할 수 있음)
종합하면, 칡덩굴의 두주부에 고사액을 주입하고 10여 시간이 흐른 후에 관찰 된 바로는 총 18개의 표지 중 무의미한 2개의 표지를 제외한 16개의 표지 모두에서 고사액에 의한 칡덩굴의 고사 제거 방법이 효과적인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사용량은 5ml 정도로도 충분하다고 판단되었으나, 산간등에서 오래된 칡덩굴을 제거하려면 발생빈도등을 파악하여 고사액으로 10~20ml 정도의 빙초산을 사용함이 효과적인 작업 방법이라 판단하였다.
4) 고사액으로서 빙초산에 의한 칡덩굴류 제거의 효과를 관찰하고자 본 실험에선 빙초산 원액을 사용하였으나, 빙초산의 취급에 항상 주의를 기울여야 하고, 사용상 관리의 용이함 등을 고려하여 70%, 50%, 30% 등 빙초산의 농도를 달리하는 실험을 통하여 안전관리와 취급의 용이함 등도 고려해야될 부분이다. 즉, 고사액으로 빙초산과 물의 배합비가 예컨대 1 : 1 이거나, 1 : 0.7 일 수 있으며, 1 : 50 이거나, 혹은 1 : 30 일 수도 있다.
물론, 빙초산과 물의 배합비는 1 : 0.3~1 범위를 포함하는 방식으로도 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배합비(1 : 0.3~1)는 덩굴류 식물의 종류와 덩굴류 식물의 서식처 및 작업자의 고사액 취급안전성에 대한 요인들을 모두 고려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상술된 본 실험에서 사용된 주입기는 작업 이후 방치될 경우 심각한 환경오염과 안전상의 위험이 초래될 수 있는 관계로, 주입기가 눈에 잘 띄며 경고성에 가깝게 위험취급물에 부합될 정도의 적색계열의 색상 그러니까 바람직하게는 주황색상을 입힐 수 있다.
샘플 1번 표지
구분 작업전 작업후
사진
Figure 112020078789982-pat00001

Figure 112020078789982-pat00002

내용 고사액 주입전 고사액 주입 72시간 경과후
참고
자료
우측 상단 칡덩굴은 다른 개체임
샘플 2번 표지
구분 작업전 작업후
사진
Figure 112020078789982-pat00003


Figure 112020078789982-pat00004

내용 고사액 주입전 고사액 주입 72시간 경과후
참고
자료
하단 식물은 나팔꽃
샘플 3번 표지
구분 작업전 작업후
사진
Figure 112020078789982-pat00005


Figure 112020078789982-pat00006

내용 고사액 주입전 고사액 주입 10시간 경과후
(72시간 자료없음)
참고
자료
주사기 주입구 막혀
고사액 투입되지 못함
샘플 4번 표지
구분 작업전 작업후
사진
Figure 112020078789982-pat00007


Figure 112020078789982-pat00008

내용 고사액 주입전 고사액 주입 72시간 경과후
참고
자료
샘플 5번 표지
구분 작업전 작업후
사진
Figure 112020078789982-pat00009


Figure 112020078789982-pat00010

내용 고사액 주입전 고사액 주입 72시간 경과후
참고
자료
샘플 6번 표지
구분 작업전 작업후
사진
Figure 112020078789982-pat00011


Figure 112020078789982-pat00012

내용 고사액 주입전 고사액 주입 72시간 경과후
참고
자료
샘플 7번 표지
구분 작업전 작업후
사진
Figure 112020078789982-pat00013


Figure 112020078789982-pat00014

내용 고사액 주입전 고사액 주입 72시간 경과후
참고
자료
돌위에 누워있는 주사기는
고사액 주입용임
샘플 8번 표지
구분 작업전 작업후
사진
Figure 112020078789982-pat00015


Figure 112020078789982-pat00016

내용 고사액 주입전 고사액 주입 72시간 경과후
참고
자료
우측 하단은 고구마 순임
샘플 9번 표지
구분 작업전 작업후
사진
Figure 112020078789982-pat00017


Figure 112020078789982-pat00018

내용 고사액 주입전 고사액 주입 72시간 경과후
참고
자료
샘플 10번 표지
구분 작업전 작업후
사진
Figure 112020078789982-pat00019


Figure 112020078789982-pat00020

내용 고사액 주입전 고사액 주입 72시간 경과후
참고
자료
좌측 식물은 고구마 순임
샘플 11번 표지
구분 작업전 작업후
사진
Figure 112020078789982-pat00021


Figure 112020078789982-pat00022

내용 고사액 주입전 고사액 주입 72시간 경과후
참고
자료
샘플 21번 표지
구분 작업전 작업후
사진
Figure 112020078789982-pat00023


Figure 112020078789982-pat00024

내용 고사액 주입전 고사액 주입 72시간 경과후
참고
자료
(사진 흐림)
샘플 22번 표지
구분 작업전 작업후
사진
Figure 112020078789982-pat00025


Figure 112020078789982-pat00026

내용 고사액 주입전 고사액 주입 72시간 경과후
참고
자료
(사진 흐림)
샘플 23번 표지
구분 작업전 작업후
사진
Figure 112020078789982-pat00027


Figure 112020078789982-pat00028

내용 고사액 주입전 고사액 주입 72시간 경과후
참고
자료
(사진 흐림)
샘플 24번 표지
구분 작업전 작업후
사진
Figure 112020078789982-pat00029


Figure 112020078789982-pat00030

내용 고사액 주입전 고사액 주입 72시간 경과후
참고
자료
(사진 흐림) 분출구 막혀 고사액이 투입되지 못함
샘플 25번 표지
구분 작업전 작업후
사진
Figure 112020078789982-pat00031


Figure 112020078789982-pat00032

내용 고사액 주입전 고사액 주입 72시간 경과후
참고
자료
(사진 흐림)
샘플 26번 표지
구분 작업전 작업후
사진
Figure 112020078789982-pat00033


Figure 112020078789982-pat00034

내용 고사액 주입전 고사액 주입 72시간 경과후
참고
자료
샘플 27번 표지
구분 작업전 작업후
사진
Figure 112020078789982-pat00035


Figure 112020078789982-pat00036

내용 고사액 주입전 고사액 주입 72시간 경과후
참고
자료
샘플 28번 표지
구분 작업전 작업후
사진
Figure 112020078789982-pat00037


Figure 112020078789982-pat00038

내용 고사액 주입전 고사액 주입 72시간 경과후
참고
자료
상술된 표 1 내지 표 11 및 표 21 내지 표 28에서도 알 수 있듯이, 칡덩굴에 고사액인 빙초산을 주입하기 전의 칡덩굴 사진에서는 칡덩굴이 살아 있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지만, 빙초산 주입후 72시간 경과후의 칡덩굴 사진에서는 칡덩굴이 고사되어 있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물론, 빙초산을 주입한 다음 72시간에 이르기까지 칡덩굴이 고사 진행되고 있는 상태는 추정 가능하므로, 빙초산 주입후 72시간 이르는 사이의 칡덩굴 고사 진행 사진들은 자료가 너무 방대하므로 생략되었음을 참고할 수 있다.
이러한 빙초산은 초산 농도에 따라 화상이나 중독사고의 위험이 높아 취급에 각별히 주의를 요하는 고사액이다. 그러므로 안전한 용기에 보관함과 아울러 사용시 주의를 기울인다면 빙초산을 이용한 덩굴류 식물을 고사하는 방식의 제거는 그 효과가 크다.
또한, 빙초산은 덩굴류 식물에 침투하여 덩굴류 식물을 고사시키고 나면 자연적으로 공중으로 휘발되는 관계로, 토양 오염 및 가축 등의 피해가 방지될 수 있으나, 다른 약제를 사용하거나 염류 등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덩굴류 식물을 제거할 경우 사용된 다른 약제는 휘발성이 약하여 그대로 토양에 잔존함에 따라 토양오염과 가축 등의 피해가 지속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사액을 칡의 주두부(줄기머리)에 주입하기 위한 용도로 마련된 도구는 도면 3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주사기형 타입의 주입기(10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주입기(100)는 예컨대 제1 실시예의 주입기(110)와 제2 실시예의 주입기(120)로 실시될 수 있으며, 제1 실시예의 주입기(110)는 예컨대 도 2에서와 같이 고사액 그러니까 빙초산을 담을 수 있는 주입통(111), 상기 주입통(111)의 선단에서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된 분출관(112), 상기 주입통(111)의 후방 부위에 형성된 공기투입구(114a)를 밀폐하기 위해 상기 공기투입구가 위치된 주입통(111)의 후방 둘레를 밴딩하고 있는 밴드(11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주입통(111)은 고사액을 담기 위해 예컨대 원통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되, 이러한 원통형 구조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상기 분출관(112)에는 고사액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뚜껑 구조의 덮개(113)가 더 구비되어 상기 분출관(112)의 입구를 밀폐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분출관(112)에는 그 끝단의 양측 부위에서 홈을 내는 형태의 분출공(N1,N2)들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상기 분출공(N1,N2)들은 고사액이 칡덩굴의 주두부(줄기머리)로 스며들 수 있게 고사액이 분출되는 홀들인 것이다.
이러한 상기 분출공(N1,N2)들은 상기 분출관(112)의 양끝단을 향해 톱니 모양으로 통공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관계로, 칡덩굴의 섬유질이 첨예한 톱니의 간섭 방해로 상기의 분출공(N1,N2) 내부로 유입되기 어려운 구조이고, 이러한 칡덩굴의 섬유질 유입이 차단됨으로써 상기의 분출공(N1,N2) 막힘 현상이 방지되고, 이로 인해 고사액은 상기 분출공(N1,N2)들을 통해 분출되면서 절개된 칡덩굴의 주두부에 원활하게 스며들 수 있음에 따라, 칡덩굴이 시간 경과에 따라 고사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제1 실시예의 주입기(110)는 칡덩굴의 절개된 두주부 부위에 분출관(112)의 삽입 및 공기투입구의 밴드(114) 제거에 따라, 빙초산이 삼투압에 의해 칡덩굴의 섬유질 부분에 흡수되는 방식으로 칡덩굴을 고사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실시예의 주입기(120)는 예컨대 도 3에서와 같이 고사액을 담고 있는 주입통(121), 상기 주입통(121)의 선단에서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된 분출관(122), 상기 주입통(121)의 후방 부위에 형성된 공기투입구(124a)를 밀폐하기 위해 상기 공기투입구가 위치된 주입통(121)의 후방 둘레를 밴딩하고 있는 밴드(12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되, 상기 분출관(122)에는 덩굴류의 식물 종류에 따라 줄기 부위에 깊숙이 찔러 넣을 수 있는 핀(122a)이 더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2 실시예의 주입기(120) 역시도 상기 분출관(122)을 밀폐하기 위한 덮개(123)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분출관(122)의 양끝단에도 상기 분출공(N1,N2)들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제2 실시예의 주입기(120)는 칡덩굴의 절개된 두주부 부위에 핀(122a)을 깊숙히 찔러 고정하는 방식으로 공기투입구의 밴드(114) 제거에 따라, 빙초산이 삼투압에 의해 칡덩굴의 섬유질 부분에 흡수되는 방식으로 칡덩굴을 고사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술된 제1,2 실시예의 주입기(110,120)에 있어서, 주입통(111)(121)의 선단으로 돌출된 분출관(112)(122)에는 도 4에서와 같이 복수개 이상의 분출공(N1,N2)들이 형성되어 있는 관계로, 고사액이 막힘 없이 상기 분출공(N1,N2)들을 통하여 분출되면서 칡덩굴의 절개된 주두부(줄기머리)의 내부로 삼투압에 의해 원활하게 스며들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상기의 분출공(N1,N2)들은 상기 분출관(112)(122)의 끝단 양쪽 부위에서 홈을 내는 형태이되, 상기 분출관(112)(122)의 끝단을 향해 톱니 모양으로 홈이 형성되어 있는 관계로, 칡덩굴의 섬유질이 첨예한 톱니의 간섭 방해로 상기의 분출공(N1,N2)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한다.
따라서, 칡덩굴의 섬유질 유입이 차단됨으로써 상기의 분출공(N1,N2) 막힘이 방지될 수 있으며, 이는 결국 고사액이 분출관(112)(122)을 거쳐 상기의 분출공(N1,N2)들을 통해 원활하게 분출되면서 삼투압에 의해 칡덩굴의 절개된 주두부(줄기머리)의 내부로 원활히 스며들며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제1,2 실시예의 주입기(110)(120)는 덩굴류의 고사 작업 이후 방치되는 과정에서 환경오염 및 안전상의 위험이 초래될 수 있는 관계로 눈에 잘 띄며 위험취급물에 부합될 정도의 적색계열이나 혹은 주황색계열로 색상을 입힐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분출관(112)(122)에는 강한 바람이나 비가 오는 상황에 따라 예컨대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유실방지부(130)가 더 삽입될 수 있는데, 이러한 상기 유실방지부(130)는 바람이나 비에 의해 주입통(111)(121)에 주입된 고사액의 유실을 방지하는 방패막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유실방지부(130)는 도 5 내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구(130a), 투명판(130b), 커버체(130c), 및 흡수재(130d)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유실방지부(130)는 커버체(130c)의 구성을 통해 고사액이 작업자와 접촉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관계로, 덩굴류 식물의 고사 작업 과정에서의 작업자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다.
상기 끼움구(130a)는 상기 분출관(112)(122)으로 끼워질 수 있게 그 중앙 부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투명판(130b)은 상기 끼움구(130a)에서 외측을 향해 평평한 구조로 연장되되 상기의 분출공(N1,N2)을 통해 고사액의 분출을 확인할 수 있게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체(130c)는 상기 투명판(130b)에서 외측을 향해 볼록한 구조로 연장되어 비나 바람을 막아주어 주입통(111)(121)에 주입된 고사액의 유실 방지와 함께 고사액이 작업자와 접촉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흡수재(130d)는 상기 커버체(130c)의 내부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덧대어진 구조로 결합되어 칡덩굴의 절개된 주두부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자칫 외부로 흘러내리는 고사액을 흡수하여 주변 다른 곳으로 고사액의 흘림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재(130d)는 자연친화적인 재료로서 예컨대 톱밥이 이용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커버체(130c)의 가장자리 일측에는 미도시되었으나 경우에 따라 묶음띠가 더 연장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묶음띠는 주변의 식물 줄기를 밴딩하는 방식으로 상기 커버체(130c)의 가장자리 타측에 형성된 절취홈에 걸착되는 구조로 결합되어 주입기(110)(120)의 약한 고정력을 보완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유실방지부(130)는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면서도 내부의 고사액 주입 상황도 파악하며 작업자의 안전성도 함께 확보할 수 있는 투명재의 바이오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투명판(130b)은 바이오플라스틱재보다 더욱 연질성을 갖는 투명재의 바이오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들은 상기 투명판(130b)을 통해 분출공(N1,N2)으로부터 분출되는 고사액의 분출 상황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유실방지부(130)는 볼록한 구조의 방패막 용도로 활용 가능한 적정한 강도의 플랙시블(flexible)한 바이오플라스틱재 이용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투명판(130b)은 바이오필름으로서 예컨대 옥수수, 우유 단백질 카제인, 사탕수수, 우유, 및 해조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추출된 원료로부터 가공된 고분자물질을 이용해 제조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옥수수의 경우 100℃ 이상의 이산화황과 물속에 옥수수 알갱이들을 넣으면 내부 결합이 끊어질 수 있고, 이틀 후에 옥수수 알갱이들을 갈아 기름으로부터 분리되어 추출된 녹말에 시트르산을 넣어 고분자물질이 형성되게 한후, 이를 가열해 성형하는 방식으로 바이오 투명필름의 투명판(130b)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우유 단백질 카제인에 레몬, 라임껍질에서 추출된 팩틴을 넣어 비닐과 유사한 바이오 투명필름의 투명판(130b)이 제조될 수 있으며, 이러한 필름은 산소 유입의 차단 가능에 따라 고사액의 변질 가능성도 방지할 수 있고, 사탕수수에서 추출된 에틸렌으로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으로 제조된 바이오 투명필름의 투명판(130b)도 제조될 수 있다.
해조류는 미생물 발효과정을 거치며 섬유질로부터 지방산을 만들고, 이들이 글리세롤과 결합하여 지방이 되는데, 이러한 발효과정에서 효소를 이용한 중쇄카르복실산으로 제조된 바이오 투명필름의 투명판(130b)도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실방지부(130)는 겉표면 및 내표면에 풀칠로 건조된 코팅층이 더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코팅층은 특히 무더운 여름철 내린 빗물에 녹는 과정에서 끈적한 점질성 특성상 고사액을 붙잡아 두는 작용을 하여, 빗물에 고사액이 주변의 다른 장소로 휩쓸려 내려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제2 실시예의 주입기(120)의 주입통(121) 내부에 설치된 수위감지 가압장치(200)는 도 9에서와 같이 마이컴(210), 수위센서(220), 타이머(230), 릴레이(240), 및 전원부(250)와 미니에어펌프(260), 및 가압패드(미도시)를 포함하는 구성품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수위감지 가압장치(200)는 도 3에서 주입기(120)의 주입통(121) 내부에 설치되는 개념적 구조로 도시되어 있으나, 일부의 구성품들 중 예컨대 미니에어펌프(260)는 주입통(121)의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주입기(121)의 활용 조건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변경 가능하므로, 상기 수위감지 가압장치(200)에 대한 설치 구조는 도 3에 도시된 제2 실시예의 주입기(120)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수위감지 가압장치(200)의 구성품들은 그 구조 및 설치보다 기능적 측면에 주안을 둔 관계로, 상기 수위감지 가압장치(200)의 구성품들이 기능적인 위주로 설명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수위감지 가압장치(200)의 구성품들에 대한 기재 불비의 사유가 될 수 없을 것이다.
상기 마이컴(210)은 전자 회로칩들로 구성된 아두이노용 보드의 구조로서 초소형 마이크로 프로세서 이면서 타이머(230) 및 수위센서(220)로부터 실시간 전송되는 데이터를 읽어 처리하는 중앙처리부이다.
상기 수위센서(220)는 주입통(120)에 주입된 고사액이 삼투압으로 분출되는 과정에서 고사액에 대한 수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상기 마이컴(210)에 전송할 수 있고, 상기 타이머(230)는 주입통(120)에 주입된 고사액의 소진에 이르기까지 시간을 카운팅하는 실시간 소요시간 데이터를 상기 마이컴(21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릴레이(240)는 전원부(250)와 연결되어 상기 마이컴(210)으로부터 전송되는 지시신호에 의거해 미니에어펌프(260)의 작동을 지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릴레이(240)의 지시에 따라 상기 미니에어펌프(260)가 공기압을 가압패드(미도시)에게 공급할 수 있고, 이렇게 공급되는 공기압을 통해 가압패드(미도시)는 팽창되는 방식으로 소진되지 못하고 있는 고사액을 가압하여 고사액을 분출공(N1,N2)으로부터 강제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가압패드는 주입통(120)의 내부에서 삼투압의 이상 현상이나 섬유질 성분의 막힘 현상에 대비하여 소진되지 못하는 고사액에 대한 효율적인 가압을 위해 팽창주름 구조에 적합한 자라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물론 상기 가압패드는 상기 주입통(121)의 내부에서 밀착되며 자라바 형태로 팽창되는 동작에 적합한 구조적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마이컴(210)은 상기 타이머(230)로부터 전송된 소요시간 데이터 및 상기 수위센서(220)로부터 전송된 수위 데이터 정보를 분석하여 이미 세팅된 고사액의 소요시간 임계데이터(임계값1) 대비 고사액의 수위 임계데이터(임계값2)과 비교하여 이들 임계값에 미치지 못할 경우 미니에어펌프(260)의 작동에 필요한 지시신호를 릴레이(240)에 보냄에 따라, 소진되지 못하는 고사액이 팽창되는 가압패드에 의해 분출공으로부터 강제 배출되어 칡의 주두부 섬유질 내부로 스며들 수도 있다.
즉, 상기 마이컴(210)은 전송된 소요시간 데이터 및 수위 데이터가 상기의 입계데이터(임계값1,2)에 미치지 못하는 분석 결과를 도출할 경우 현재 주입통(120)에 주입된 고사액이 비정상적 삼투압 작용이나 섬유질 성분의 막힘으로 정상적 분출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지시신호를 릴레이(240)에 전송하게 되고, 이렇게 전송된 지신신호에 근거하여 릴레이(240)는 미니에어펌프(260)의 작동에 필요한 전기를 인가함으로써, 고사액이 미니에어펌프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압을 통한 가압패드의 팽창으로 분출공(N1,N2)에서 강제 배출될 수 있으며, 이는 결국 비정상적 삼투압 작용이나 섬유질 성분의 막힘 현상에 대비할 수 있다.
이때, 마이컴(210)에 이미 설정되어 세팅된 고사액의 소요시간 임계값과 고사액의 수위 임계값은 덩굴류 식물의 정상적인 삼투압 작용을 통해 고사액의 정상적인 소진에 소요되는 소요시간 범위와 소진량 범위를 포함하는 축적된 DB 정보 내에서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분출공(N1,N2)이 분출관(122)의 끝단 방향을 향해 톱니 구조의 형태로 구성될 경우에도 불구하고, 섬유질(섬유질의 마이크로미터 고형물)의 유입에 따른 고사액의 예상치 못한 막힘 현상 마저도 상술된 수위감지 가압장치(200) 구성품들의 유기적인 작동을 통해 방지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가압패드는 상기 주입통(121)의 내부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데, 공기압 공급에 따른 가압패드의 팽창으로 고사액을 가압하는 과정에서 고사액의 가압력보다 상기 가압패드의 억지 끼움에 의한 상기 가압패드의 고정력이 더 강하게 작용할 수 있는 끼움력 구조로 상기 주입통(121)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으며, 물론 이러한 끼움력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요철형 구조로도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주입기(100: 110,120)
주입통(111)(121) 분출관(112)(122)
덮개(113)(123) 밴드(114)(124)
핀(122a) 분출공(N1,N2)
유실방지부(130) 수위감지 가압장치(200)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고사액이 주입되는 주입통; 상기 주입통의 전단으로부터 돌출되어 덩굴류 식물의 절개된 주두부 부위에 꽂힌 상태로 상기 고사액의 분출이 이루어지는 분출관; 상기 분출관의 끝단 양측에 홈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분출관으로 유입된 상기 고사액을 상기 주두부의 섬유질 방향으로 분출되게 하여 상기 섬유질의 내부로 스며들게 유도하는 복수개 이상의 분출공; 및 상기 분출관의 끝단에서부터 직선형 구조로 연장되어 상기 주두부의 내부로 깊숙히 찔러 넣어져 주입기의 고정력을 향상되게 하는 핀; 을 포함하는 주입기이고, 상기 분출공은 상기 분출관의 끝단 방향을 향해 톱니 구조로 통공되며,
    상기 분출관에 끼움 방식으로 끼워진 채 볼록한 방패막 구조로 구성되어 바람이나 비로부터 고사액의 유실을 막아주는 유실방지부; 및
    상기 주입통에 설치되어 고사액의 소진 상태를 실시간 감지하되 상기 고사액의 소진이 비정상일 경우 고사액을 가압하는 방식으로 강제 배출 유도하는 수위감지 가압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덩굴류 식물의 제거도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실방지부는 바이오플라스틱의 재질로 제조된 유실방지부가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덩굴류 식물의 제거도구.
KR1020200093576A 2020-07-28 2020-07-28 덩굴류 식물의 제거방법 및 도구 KR102225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576A KR102225445B1 (ko) 2020-07-28 2020-07-28 덩굴류 식물의 제거방법 및 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576A KR102225445B1 (ko) 2020-07-28 2020-07-28 덩굴류 식물의 제거방법 및 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5445B1 true KR102225445B1 (ko) 2021-03-12

Family

ID=75177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576A KR102225445B1 (ko) 2020-07-28 2020-07-28 덩굴류 식물의 제거방법 및 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54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4276B1 (ko) 2022-07-29 2022-12-06 김헌중 넝쿨류 식물 제거를 위한 고사제 제조방법 및 도구
KR102561080B1 (ko) 2023-02-07 2023-07-28 이명호 유해 식물 고사제용 주입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3640A (ko) * 2008-03-28 2009-10-01 주식회사 덕우메디칼 수목용 약제 주입 카데터
KR20120024003A (ko) * 2010-09-03 2012-03-14 차연선 약제처리기
US8671614B1 (en) * 2011-08-15 2014-03-18 Glayne Doolittle Injection tip for use with an injector for injecting liquid chemical into a tree
KR101525228B1 (ko) * 2014-12-02 2015-06-04 아그리젠토 주식회사 수간 주사기
KR20170042061A (ko) * 2015-10-08 2017-04-18 장인국 간편한 수간주입기
KR101934437B1 (ko) 2018-08-02 2019-01-02 대한민국 덩굴류 식물 제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3640A (ko) * 2008-03-28 2009-10-01 주식회사 덕우메디칼 수목용 약제 주입 카데터
KR20120024003A (ko) * 2010-09-03 2012-03-14 차연선 약제처리기
US8671614B1 (en) * 2011-08-15 2014-03-18 Glayne Doolittle Injection tip for use with an injector for injecting liquid chemical into a tree
KR101525228B1 (ko) * 2014-12-02 2015-06-04 아그리젠토 주식회사 수간 주사기
KR20170042061A (ko) * 2015-10-08 2017-04-18 장인국 간편한 수간주입기
KR101934437B1 (ko) 2018-08-02 2019-01-02 대한민국 덩굴류 식물 제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4276B1 (ko) 2022-07-29 2022-12-06 김헌중 넝쿨류 식물 제거를 위한 고사제 제조방법 및 도구
KR102561080B1 (ko) 2023-02-07 2023-07-28 이명호 유해 식물 고사제용 주입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5445B1 (ko) 덩굴류 식물의 제거방법 및 도구
CN105230353B (zh) 一种多年生实生核桃树的嫁接与树体整形方法
ES2441292A1 (es) Procedimiento para cultivar rápidamente un árbol
CN106376387A (zh) 一种罗汉松的扦插繁殖方法
CA2789513C (en) Vegetation element for greening artificial or natural surfaces having low and/or high plant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vegetation element
Sartori et al. Comparison of mechanical and manual cane pruning operations on three varieties of grape (Cabernet Sauvignon, Merlot, and Prosecco) in Italy
CN105103994B (zh) 截干树木修剪方法
CN109691372A (zh) 一种槲蕨人工繁殖方法
CN105900626A (zh) 石斛种植方法
CN104222009B (zh) 一种人工大量生产瓢虫、草蛉的方法
KR200295452Y1 (ko) 멀칭 비닐수거기
CN104488584A (zh) 一种烧伤树木的保护性修复方法
US20210309399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line production of plant growth medium pots or bags
CN212138505U (zh) 一种防治蛀干害虫的注射器
Korda A brief overview of technologies used for controlling invasive alien plant species
US7055302B2 (en) Traveling device, mounted on a vehicle, removing and reducing the size of trees growing a row
JP2004033158A (ja) 竹又は竹林の永久的処分方法及び除竹剤
CN216163900U (zh) 一种地膜松边工具
RU2308826C2 (ru) Способ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лесных насаждений
US20020157141A1 (en) Growth medium and process for making wine
JP2007006847A (ja) 農作物の栽培、収穫、調整方法
Hayes et al. Development of a Mechanical Undercutting System to Minimize SweetpotatoSkinning during Harvest
SU1501975A1 (ru) Способ восстановлени леса на вырубках
CN219305479U (zh) 一种果树高位嫁接装置
RU2530160C2 (ru) Способ создания непрерывнодействующей полезащитной лесной полос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