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2061A - 간편한 수간주입기 - Google Patents

간편한 수간주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2061A
KR20170042061A KR1020150141518A KR20150141518A KR20170042061A KR 20170042061 A KR20170042061 A KR 20170042061A KR 1020150141518 A KR1020150141518 A KR 1020150141518A KR 20150141518 A KR20150141518 A KR 20150141518A KR 20170042061 A KR20170042061 A KR 20170042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tube
lid
sealing film
center hol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1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인국
Original Assignee
장인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인국 filed Critical 장인국
Priority to KR1020150141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2061A/ko
Priority to PCT/KR2016/006122 priority patent/WO2017061683A1/ko
Publication of KR20170042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20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01G1/001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Toxicology (AREA)
  • Dentistry (AREA)
  • Zo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여 사용이 간편하고, 수간주입기를 천공에 삽입한 후에도 다른 약액를 사용하거나 재사용 할 수 있으며, 또한 용기 본체에서 뚜껑을 분리할 수 없어 어린아이들이 분리하거나 쉽게 제거할 수 없으며, 나무의 천공에 장착되면 쉽게 제거할 수 없어 사용 시 사용자에게 약액 누출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간편한 수간주입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간편한 수간주입기{A SIMPLE TREE INJECTOR}
본 발명은 수간주입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 및 사용이 간편하고, 유통 및 사용 시 안전을 우선으로 약액이 충진된 본체와 뚜껑이 조립 후 분리되지 않으며, 뚜껑의 중심공 또는 측위공을 통하여 대기압이 유지되어 나무의 천공에 장착한 후 약액이 원활히 주입되며, 상기 뚜껑에 덮개가 형성되어 어린 아이들이 약액을 맛 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쉽게 제거할 수 없어 안전하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간편한 수간주입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각종 산업의 발달에 의한 각종 공해와 병충해로 인하여 수목이 병들기 쉽고, 토양의 오염으로 인해 수목의 성장을 저해하는 각종 오염물질이 토양 내에 함유됨에 따라 수목이 쉽게 쇠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수목의 병충해와 고사를 방지하기 위해 알맞은 치료제나 영양제와 같은 약액을 수목에 적절하게 주입하여야 한다.
소나무와 같은 목재용 또는 펄프용 나무들의 방제를 위하여 종래에는 항공방제를 하였으나, 최근에는 항공방제의 농약을 살포하는 경우 살포지역 주변의 유익한 곤충이나 균을 죽여 환경을 파괴하고, 생태계를 교란시키기 때문에 이를 지양하기 위해 친환경적이며 효율적인 방법들을 개발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수간주사는 큰바늘을 이용하는 경우 사용 시 약액의 주입이 잘 안되고 압력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약액이 나무 밖으로 흘러나와서 활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목에 약액을 처리하는 방법으로는 수목의 잎에 약액을 살포하는 엽면 살포방법, 약액을 물에 희석하여 토양에 바로 주입하는 관주, 수목을 천공하여 약액을 천공을 통해 주입하는 수간주입방법이 있는데, 안전하고 친환경적이며 빠르고 확실한 효과를 위해서 수간주입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자세하게는 경제성이 높은 조경용 나무들을 관리함에 있어서 병충해를 방제하기 위해 살충제나 살균제를 살포하는 경우 입자가 바람에 날려 인축에 해가 됨으로 근래에는 다양한 수간주입기가 개발되어 효과적으로 방제하도록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상기 수간주입에 의한 방제방법은 드릴을 이용하여 수목의 표면에서 소정 깊이 내부로 수목의 표면에 대해 45°정도의 경사로 천공을 형성하여 상기 천공에 약액을 주입하는 것인데, 이 경우 상기 천공에 약액 용기와 연결된 주입관을 꽂아서 약액 용기의 약액이 주입관을 따라 수목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공급된 약액은 수목의 목질부 수관을 통해 수목에 순환 및 흡수하게 된다.
수간주입기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미국특허 US 8,677,683B2,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370955호 및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849863호에는 나무 원줄기(trunk)에 지상으로부터 적절한 높이(30~50cm 정도)에 드릴로 구멍을 뚫고 상기 천공 안에 약액을 직접 주입하거나 플러그 또는 약액 통이 부착된 주입기 시스템으로 주입하는 기술이 소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선행기술 중에서 주입기를 사용하여 직접 주입하는 방법은 주입되는 약액 양이 많은 경우 천공을 크고 깊게 뚫거나, 여러 개의 천공을 형성시켜 나무를 손상시키거나, 또는 높은 압력으로 약액이 근래에 형성된 목질부 물관(sap wood xylem) 부근에 주입되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 중 스크류 타입 수간주사기(등록특허 제10-1370955호)는 약액 충진을 위한 개폐장치가 복잡하고, 연결부위에 오링(O-ring)이 사용되지 않아 약액이 용기 밖으로 누출될 수 있으며, 약액을 담는 본체와 뚜껑이 분리될 수 있어서 공원, 아파트, 가로수 등의 조경수에 사용하는 경우, 호기심이 많은 어린아이들이 주입기를 뽑아 뚜껑을 열고 쉽게 분해해 볼 수 있는 바, 현재 사용되는 대부분 약액들은 독성이 강하고 위험한 살충제 또는 살균제들로서 피부에 닿을 경우 큰 해가 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써 대한민국특허출원: 10-2014-0169504에 개시된 안전한 스크류 타입 수간주입기는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으나 조립이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선행기술 중 압력형 수간주입기(등록특허 제10-0849863호)의 경우 주입관이 주입기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주입 시 아이들이 주입기 본체를 제거하는 경우 본체에 남아있는 농약이 아이들 손에 묻어 해를 줄 수 있고, 압력 주입 시 압력에 의하여 천공 밖으로 약액이 튀어나올 수도 있다.
다른 선행기술로 등록실용신안 제20-0414545호 '식물용 수간 주사 용액의 용기'에는 밀봉된 주입관을 천공을 삽입하기 전 주입관 끝부분을 간단히 절단하여 천공에 끼우는 기술에 대하여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플라스틱 용기에 구멍을 내어 용기 안의 압력이 대기압과 비슷하게 유지되어야 하는데, 플라스틱 용기에 구멍을 뚫는 일이 힘들고, 또 천공에 삽입하면 천공 속의 공기가 기포를 형성하여 주입관을 막을 수 있으며, 또한 나무에 드릴로 천공을 생성할 때 형성된 나무가루나 조각이 약액 유출구를 막아 약액이 주입통에 남는 경우가 발생하고 용기가 쉽게 제거되어 안전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아울러 본체와 뚜껑이 나사로 밀폐되어 약액이 스며 나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수간주입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여 사용이 간편하고, 수간주입기를 나무에 형성된 천공에 삽입하여 다 사용한 후에도 동일 또는 다른 약제를 충진하여 재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뚜껑을 본체에서 분리할 수 없어 어린 아이들이 장난으로 쉽게 뚜껑을 열거나 제거할 수 없으며, 나무의 천공에 장착하면 쉽게 빠지지 않아 사용 시 사용자 또는 어린 아이들에게 약액 누출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간편한 수간주입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간편한 수간주입기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내부의 빈 공간에 약액을 저장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 개구부에서 연장 형성된 지붕으로부터 나무의 천공과 대응된 직경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되어 끝이 막힌 주입관;상기 몸체의 타측 개구부를 밀봉하도록 부착되며, 상기 주입관과 중심이 일치되는 중앙에는 중심공 표시선이 인쇄되고 상기 중심공 표시선의 둘레에는 다수의 측위공 표시선이 인쇄되어, 상기 중심공 표시선 또는 측위공 표시선을 꼬챙이로 뚫어 몸체 내로 대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밀봉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밀봉막측 개구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상기 나사산과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형성되는 대응나사산과, 상기 중심공 표시선과 측위공 표시선에 대응되도록 관통형성된 중심공과 다수의 측위공, 그리고 상기 밀봉막이 안착되어 상기 나사산과 대응나사산을 통해 나사결합시 상기 밀봉막을 상기 몸체의 밀봉막측 개구부 테두리에 가압하여 밀착시키는 환형 눌림턱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뚜껑;을 추가로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봉막은 접착제, 고주파, 초음파 또는 열융착에 의하여 몸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입관 끝부분의 외주면 일측에는 주입관의 지름보다 크게 돌출된 차양돌기가 형성되어 주입관이 천공의 연한 목질부에 박혔을 때 쉽게 빠지지 않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입관의 끝부분에는 주입관의 둘레를 따라 주변의 두께보다 얇은 환형 절단홈이 형성되어 주입관의 끝부분을 수직방향으로 가압하면 절단되어 약액 유출구를 형성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입관에 형성된 환형 절단홈에는 주입관의 기부쪽 길이방향으로 주입관의 두께보다 얇고 환형 절단홈보다는 두꺼운 장방형의 측면 절단홈이 형성되어, 주입관의 끝부분을 수직방향으로 가압하면 환형 절단홈의 절단에 이어 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단되어 주입관의 끝부분 측면으로도 약액 유출구를 형성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뚜껑의 밀폐면 외측 가장자리에 내향단턱진 상태로 환형으로 돌출되어 일측에 측벽 절개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테두리에 외향단턱이 형성된 보호덮개 안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뚜껑에 힌지로 연결되어 상기 보호덮개 안착부를 밀폐하도록 둘러싸는 보호덮개가 착탈식으로 설치되되, 상기 보호덮개의 내주면에 상기 외향단턱과 맞물리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보호덮개의 측벽 일측에는 상기 밀폐면측벽 절개부와 대응되어 공기를 연통시키는 덮개측벽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덮개와 뚜껑을 연결하는 힌지에는 하나 이상의 절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덮개측벽 절개부와 밀폐면측벽 절개부를 통해 중심공 및 측위공으로 공기유입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덮개의 결합시 보호덮개의 테두리가 밀착되는 뚜껑의 내향단턱 부위와 보호덮개 중 일측 또는 양측에는 손톱은 들어가지 않으면서 끝이 뾰족하거나 예리한 보조기구를 끼워 보호덮개를 밀어올려 개방할 수 있는 크기의 작은 개방용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간주입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밀봉막의 분리사시도, (b)는 밀봉막의 결합사시도, (c)는 주입관 끝단부의 확대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뚜껑이 설치되는 수간주입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간주입기의 조립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수간주입기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간주입기의 주입관 절단단계를 나타내는 요부확대단면도
도 6은 도3에 도시된 수간주입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뚜껑에 보호덮개를 추가로 설치한 수간주입구의 요부사시도
도 8은 도 7의 보호덮개를 닫은 상태의 A-A단면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간주입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의 (a)는 밀봉막의 분리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1의 (b)는 밀봉막의 결합사시도를 나타내며, 도 1의 (c)는 약액 유출구용 절단홈을 설명하기 위한 주입관의 확대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간주입기(100)는 속이 비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약액이 저장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나무 표면의 천공에 박혀 상기 몸체(110)에 충진된 약액을 천공에 주입할 수 있도록 돌출된 주입관(130)이 형성된 지붕(1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붕(120)은 상기 몸체(110)의 개구된 일측을 밀폐하면서 몸체(110) 내에 충진된 약액이 주입관(130)으로 잘 흘러나갈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입관(130)은 나무 표면에 형성하는 천공에 박혀 몸체(110) 내의 약액이 나무의 천공으로 흘러들어 갈 수 있도록 유도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나무에 형성하는 천공에 대응되는 직경과 길이의 가늘고 긴 원통형 관으로 형성된다.
특히 도 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입관(130)의 끝부분에는 수간주입기(100)의 사용시 주입관(130)의 끝부분을 용이하게 개봉하여 약액 유출구를 형성하기 위한 절단용 홈으로서, 주입관(130)의 단부를 절단하기 위한 환형 절단홈(140)과 주입관(130)의 측부를 절단하기 위한 측면 절단홈(14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환형 절단홈(140)은 주입관(130)의 끝부분에서 외측 둘레를 따라 주변의 두께보다 얇게 환형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몸체(110)나 지붕(120)측 주입관(130)을 잡고 주입관(130)의 끝부분을 측면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환형 절단홈(140)이 주변의 주입관(13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환형 절단홈(140)을 기준으로 주입관(130)의 끝부분이 절단되어 개봉됨으로써, 주입관(130)의 끝부분에 약액 유출구가 형성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주입관(130)의 끝부분에 형성한 환형 절단홈(140)과 함께, 상기 환형 절단홈(140)에서 주입관(130)의 기부방향으로 장방형의 측면 절단홈(14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 절단홈(142)은 상기 주입관(130)의 두께보다 얇으면서 상기 환형 절단홈(140)보다는 두껍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환형 절단홈(140)을 기준으로 주입관(130)의 끝부분을 가압하여 절단할 때 환형 절단홈(140) 중에서 측면 절단홈(142)과 연결되는 부위는 절단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고, 이어 환형 절단홈(140)에서 잘려진 주입관(130)의 끝부분을 주입관(130)의 기부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주입관(130)의 측면으로도 절개됨으로써, 주입관(130)의 단부와 측면에 약액 유출구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주입관(130)의 측면에도 약액 유출구를 형성하게 되면 주입관(130)의 단부가 천공 끝에 막히거나 이물질이 유입되어 막히더라도 약액이 주입관(130)의 측면을 통해 천공으로 유출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주입관(130)의 외주면에는 주입관(130)의 지름보다 큰 차양돌기(132)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차양돌기(132)는 주입관(130)의 끝단 방향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천공의 연한 목질부(Sap wood)에 박혔을 때 호기심이 많은 어린아이들이 주입관(130)을 빼내려 해도 차양돌기(132)의 후방측 턱이 목질부에 걸려 수간주입기(100)가 쉽게 빠지지 않아 제거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몸체(110)에서 상기 주입관(130)의 대향측 개구부는 몸체(110) 내에 약액을 충진하기 위한 약액투입구로서, 몸체(110) 내에 약액을 충진한 다음에 밀봉하기 위하여 밀봉막(150)이 부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몸체(110)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으로 형성하는 한편, 상기 몸체(110)의 약액투입용 개구부를 밀폐하는 밀봉막(150)은 이에 상응하여 접착이 가능한 폴리에틸렌막을 라미네이트한 알루미늄 포일 막으로 형성하여, 상기 밀봉막(150)을 몸체(110)의 약액 투입구측 개구부에 접착제로 부착하거나, 고주파, 초음파 또는 열융착에 의해 부착되어 밀봉막(150)의 폴리에틸렌 막과 몸체(110)의 폴리에틸렌 표면이 녹아 접착되어 누액이 발생되지 않고 완전히 밀폐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밀봉막(150)의 외측 표면에는 상기 주입관(130)의 길이방향 중심과 일치되는 중앙 부위에 중심공 표시선(152)이 인쇄되고 상기 중심공 표시선(152)의 둘레에는 중심공 표시선과 같은 크기로 다수의 측위공 표시선(154)이 인쇄되어 있다. 상기 중심공 표시선(152)과 측위공 표시선(154)은 본 수간주입기(100)와 함께 제공될 수 있는 견고한 나무나 금속 또는 수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꼬챙이로 뚫을 구멍의 위치를 표시한 것으로, 이러한 구멍은 몸체(110) 내로 대기가 유입되어 몸체(110) 내의 약액에 대기압이 유지됨으로써 약액이 주입관(130)을 통해 나무에 형성한 천공으로 잘 흘러 들어갈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밀봉막(150)은 견고한 재질의 꼬챙이로 구멍을 뚫을 수 있는 정도의 연질의 재질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몸체(110)에서 밀봉막(150)이 부착되는 단부에 뚜껑(200)이 추가로 설치되는 구조를 나타낸다.
즉, 몸체(110)에서 밀봉막(150)이 부착되는 단부의 외주면에는 나사산(160)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160)에 뚜껑(200)이 나사 결합된다. 이를 위해 뚜껑(200)의 내주면에는 상기 나사산(160)에 체결되는 대응나사산(260)이 형성되고, 뚜껑(200)의 밀폐면에는 상기 중심공 표시선(152)과 측위공 표시선(154)에 대응되는 위치에 중심공(210)과 다수의 뚜껑측 측위공(21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200)을 몸체(110)에 나사결합할 때 뚜껑(200)에서 몸체(110)의 테두리에 접착되는 면에는 환형 눌림턱(2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환형 눌림턱(220)은 밀봉막(150)을 몸체(110)의 개구부에 부착할 때 밀봉막(150)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뚜껑(200)을 몸체(110)에 나사체결하면 상기 밀봉막(150)을 상기 몸체(110)의 개구부 테두리에 가압하여 밀착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특히 상기 밀봉막(150)은 뚜껑(200)에 안착시킨 상태로 몸체(110)에 나사체결하여 부착할 때 접착제를 도포하여 부착하거나, 혹은 뚜껑(200)을 몸체(110)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고주파, 초음파 또는 열융착을 통해 부착함으로써 몸체(110) 내의 약액이 누출되지 않도록 완전하게 부착할 수 있고, 또한 몸체(110)의 나사산(160)과 뚜껑(200)의 대응나사산(260)에도 접착제를 도포하여 체결함으로써 뚜껑(200)이 몸체(110)에 결합한 상태에서 영구히 열리지 않도록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뚜껑(200)의 밀폐면에 형성되는 중심공(210)과 측위공(211)은 사용시 몸체(110)측에 부착되어 있는 밀봉막(150)을 뚫어 몸체(110) 내부와 외부의 대기를 연통시켜 몸체(110) 내부를 대기압으로 유지시킴으로써 몸체(110) 내의 약액이 나무의 천공으로 원활하게 흘러들어갈 수 있게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몸체(110)와 뚜껑(200)은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에서 나사결합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슬라이드 방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조립될 수 있으며, 단지 접착부위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영구히 열리지 않도록 체결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액이 들어있는 밀폐된 수간주입기(100)는 사용 전 주입관(130) 끝부분의 환형 절단홈(140)과 측면 절단홈(142)을 절단하여 약액 유출구를 형성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무의 준비된 천공에 주입관(130)을 삽입한 후, 뚜껑(200)측 중심공(210)을 통하여 예컨대 3mm 내외 직경의 끝이 뾰족한 꼬챙이(400)로 밀봉막(150)에 구멍을 내어 약액이 천공으로 유입되게 한다. 만일 주입관(130)에 공기기포가 발생되어 있거나 드릴로 나무에 천공을 낼 때 생성된 나무 톱밥 등이 주입관(130) 내로 유입되어 있다면 꼬챙이를 주입관(130) 끝까지 밀어 넣어 약액 유출구 밖으로 밀어내어 약액의 유입이 원활하도록 한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뚜껑에 보호덮개를 추가로 설치한 수간주입구의 요부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8은 도 7의 보호덮개를 닫은 상태의 A-A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200)의 밀폐면에는 몸체(110)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켜 몸체(110) 내부의 압력을 대기압과 동일하게 유지시킴으로써 몸체(110)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약액이 원활하게 주입관(130)을 통해 나무로 흘러들어가게 하기 위한 중심공(210) 및 측위공(211)이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호기심 많은 어린이들이 상기 중심공(210) 및 측위공(211)에 꼬챙이를 넣어 약액을 묻혀서 맛보려 할 수 있는데 이경우 상기 약액은 독성이 강하여 어린이들에게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으므로 어린이들이 약액에 접촉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중심공(210) 및 측위공(211)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중심공(210) 및 측위공(21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보호덮개(300)를 설치한 것이다.
즉, 뚜껑(200)의 후방으로 환형의 보호덮개 안착부(320)를 연장형성하고 뚜껑(200)에 힌지(310)로 연결된 보호덮개(300)로 상기 보호덮개 안착부(320)를 폐쇄하여 상기 중심공(210) 및 측위공(21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보호덮개 안착부(320)의 외경은 뚜껑(20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보호덮개 안착부(320)가 뚜껑(200)의 후방에서 내향단턱(326)이 형성되는 상태로 돌출되는데, 이는 보호덮개(300)로 상기 보호덮개 안착부(320)를 덮었을 때 보호덮개(300)의 외주면과 뚜껑(200)의 외주면이 일치되도록 하여 외관을 수려하게 하면서 보호덮개(300)를 열 수 있는 돌출부위가 형성되지 않아 쉽게 개방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보호덮개 안착부(320)에는 일측이 소정 크기로 절개된 밀폐면측벽 절개부(324)가 형성되어 있어서 중심공(210) 및 측위공(211)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보호덮개 안착부(320)의 테두리에는 외향단턱(322)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바와 같이 보호덮개 안착부(320)를 닫고 있는 보호덮개(30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걸림홈(302)과 맞물려 쉽게 개방되지 않도록 이루어져 있다.
뚜껑(200)에 보호덮개(300)를 연결하는 힌지(310)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보호덮개(300)가 힌지(310)를 중심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힌지(310)에는 뚜껑(200)에서 보호덮개(300)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절결홈(312)이 형성되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중심공(210) 및 측위공(211)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보호덮개(300)의 내주면에는 보호덮개 안착부(320)에 덮은 상태에서 상기 외향단턱(322)과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홈(302)이 형성되며 외향단턱(322)과 맞물림으로써 보호덮개(300)가 보호덮개 안착부(320)를 덮은 상태에서 쉽게 개방되지 않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보호덮개(300)의 측벽 일측에는 상기 뚜껑의 밀폐면 측벽 절개부(324)와 대응되어 공기를 연통시키는 덮개측벽 절개부(30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보호덮개(300)가 보호덮개 안착부(320)를 덮은 상태에서도 대기의 공기가 힌지(320)의 절결홈(312)과 보호덮개(300)의 덮개측벽 절개부(304) 및 뚜껑(200)의 밀폐면 측벽 절개부(324)를 통해 중심공(210) 및 측위공(211)으로 유입되어 몸체(1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대기의 공기는 힌지(310)와 뚜껑의 밀폐면 측벽 절개부(324) 사이에 형성되는 유격공간을 통해서도 중심공(210) 및 측위공(211)으로 유입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보호덮개(300)의 결합시 보호덮개(300)의 테두리가 밀착되는 뚜껑(200)의 내향단턱(326) 부위나 보호덮개(300) 중 일측 또는 양측에는 끝이 뾰족하거나 예리한 보조기구를 끼워 보호덮개(300)를 밀어올려 개방할 수 있도록 작은 개방용 홈(3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방용 홈(330)은 뚜껑(200)에서 상기 힌지(310)와 반대측에 형성하면서 손가락이나 손톱이 들어갈 수 없는 작은 크기로 형성하여 어린이들이 손가락을 넣어 인위적으로 열지 못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수간주입기(100)에 있어서, 약액이 충진된 수간주입기(100)의 유통과정에서 부주의 또는 사고로 충격을 받아 상기 주입관 끝이 부러지는 것을 막기 위하여 주입관 끝에 형성되어 있는 절단부를 별도의 캡(도시되지 않음)으로 씌워 부러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다음에는 본 발명에 의한 수간주입기(100)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약액을 몸체(110) 내에 충진하는 단계로, 상기 몸체(110)에 밀봉막(150)을 부착하기 전 또는 몸체(110)에 뚜껑(200)을 체결하기 전 상태에서 상기 몸체(110) 내부에 형성된 빈 공간으로 소정량의 약액을 충진시킨다.
이 후 상기 밀봉막(150)을 부착하거나, 밀봉막(150)이 장착된 뚜껑(200)을 상기 몸체(11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몸체(110)의 나사산(160)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나사산(160)에 맞게 뚜껑(200)을 회전하여 밀봉막(150)에 눌림턱(220)의 압력이 가해지도록 한 후, 고주파, 초음파 또는 열선을 사용하여 밀봉막(150)을 몸체(110)의 개구된 약액 투입구에 접착시켜 밀봉한다.
이 후 약액을 주입하고자 하는 나무에, 예컨대 지상부 50cm 이하에 수직방향으로 30-45도 각도로 2-4cm 깊이의 적절한 직경의 천공을 뚫고, 끝이 절단된 주입관(130)을 천공에 삽입한다.
이와 같이 주입관(130)을 나무의 천공에 삽입한 후 몸체(110)의 후방을 고무방망이로 가볍게 두드려 차양돌기(132)가 연한 목질부(sap wood)에 박히게 한다
상기 주입관(130)이 천공을 완전히 밀폐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몸체(110)의 밀봉막(150)을 뚜껑(200)의 중심공(210)을 통하여 꼬챙이(400)로 뚫으면 몸체(110) 내부의 공간이 대기압과 같아지게 되어 중력에 의해 약액이 천공 안으로 흘러 들어가게 된다.
약액이 모두 나무에 흡수된 후 같은 약액을 더 충진하거나 다른 약제를 충진하여 사용하려면 상기 중심공(210) 또는 측위공(211)을 통하여 상기 몸체(110) 내부의 빈 공간에 충진함으로써 본 발명의 수간주입기(100)를 재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수간주입기(100)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수간주입기 110 : 몸체
120 : 지붕 130 : 주입관
132 : 차양돌기 140 : 환형 절단홈
142 : 측면 절단홈 150 : 밀봉막
152 : 중심공 표시선 154 : 측위공 표시선
160 : 나사산 200 : 뚜껑
210 : 중심공 211 : 측위공
220 : 눌림턱 260 : 대응나사산
300 : 보호덮개 302 : 걸림홈
304 : 절개부 310 : 힌지
312 : 절결홈 320 : 안착부
322: 외향단턱 324 : 절개부
326 : 내향단턱 330 : 개방용 홈
400 : 꼬챙이

Claims (9)

  1.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내부의 빈 공간에 약액을 저장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 개구부에서 연장 형성된 지붕으로부터 나무의 천공과 대응된 직경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되어 끝이 막힌 주입관;
    상기 몸체의 타측 개구부를 밀봉하도록 부착되며, 상기 주입관과 중심이 일치되는 중앙에는 중심공 표시선이 인쇄되고 상기 중심공 표시선의 둘레에는 다수의 측위공 표시선이 인쇄되어, 상기 중심공 표시선 또는 측위공 표시선을 꼬챙이로 뚫어 몸체 내로 대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밀봉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간편한 수간주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밀봉막측 개구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상기 나사산과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형성되는 대응나사산과, 상기 중심공 표시선과 측위공 표시선에 대응되도록 관통형성된 중심공과 다수의 측위공, 그리고 상기 밀봉막이 안착되어 상기 나사산과 대응나사산을 통해 나사결합시 상기 밀봉막을 상기 몸체의 밀봉막측 개구부 테두리에 가압하여 밀착시키는 환형 눌림턱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뚜껑;을 추가로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한 수간주입기.
  3.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막은 접착제, 고주파, 초음파 또는 열융착에 의하여 몸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한 수간주입기.
  4.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관 끝부분의 외주면 일측에는 주입관의 지름보다 크게 돌출된 차양돌기가 형성되어 주입관이 천공의 연한 목질부에 박혔을 때 쉽게 빠지지 않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한 수간주입기.
  5.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관의 끝부분에는 주입관의 둘레를 따라 주변의 두께보다 얇은 환형 절단홈이 형성되어 주입관의 끝부분을 수직방향으로 가압하면 절단되어 약액 유출구를 형성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한 수간주입기.
  6.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관에 형성된 환형 절단홈에는 주입관의 기부쪽 길이방향으로 주입관의 두께보다 얇고 환형 절단홈보다는 두꺼운 장방형의 측면 절단홈이 형성되어, 주입관의 끝부분을 수직방향으로 가압하면 환형 절단홈의 절단에 이어 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단되어 주입관의 끝부분 측면으로도 약액 유출구를 형성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한 수간주입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밀폐면 외측 가장자리에 내향단턱진 상태로 환형으로 돌출되어 일측에 측벽 절개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테두리에 외향단턱이 형성된 보호덮개 안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뚜껑에 힌지로 연결되어 상기 보호덮개 안착부를 밀폐하도록 둘러싸는 보호덮개가 착탈식으로 설치되되, 상기 보호덮개의 내주면에 상기 외향단턱과 맞물리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보호덮개의 측벽 일측에는 상기 밀폐면측벽 절개부와 대응되어 공기를 연통시키는 덮개측벽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한 수간 주입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덮개와 뚜껑을 연결하는 힌지에는 하나 이상의 절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덮개측벽 절개부와 밀폐면측벽 절개부를 통해 중심공 및 측위공으로 공기유입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한 수간 주입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덮개의 결합시 보호덮개의 테두리가 밀착되는 뚜껑의 내향단턱 부위와 보호덮개 중 일측 또는 양측에는 손톱은 들어가지 않으면서 끝이 뾰족하거나 예리한 보조기구를 끼워 보호덮개를 밀어올려 개방할 수 있는 크기의 작은 개방용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한 수간 주입기.
KR1020150141518A 2015-10-08 2015-10-08 간편한 수간주입기 KR2017004206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518A KR20170042061A (ko) 2015-10-08 2015-10-08 간편한 수간주입기
PCT/KR2016/006122 WO2017061683A1 (ko) 2015-10-08 2016-06-09 간편한 수간주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518A KR20170042061A (ko) 2015-10-08 2015-10-08 간편한 수간주입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524U Division KR200486008Y1 (ko) 2017-10-26 2017-10-26 간편한 수간주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2061A true KR20170042061A (ko) 2017-04-18

Family

ID=58487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1518A KR20170042061A (ko) 2015-10-08 2015-10-08 간편한 수간주입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70042061A (ko)
WO (1) WO201706168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5445B1 (ko) * 2020-07-28 2021-03-12 조봉진 덩굴류 식물의 제거방법 및 도구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06161A (en) * 1970-11-16 1972-12-19 Clark E Jenson Tree medication capsule
JPH0923749A (ja) * 1995-07-11 1997-01-28 Toppan Printing Co Ltd 樹幹注入剤用の注入容器
JP2000041486A (ja) * 1998-07-28 2000-02-15 Nippon Saianamiddo Kk 樹幹注入薬液容器用ノズルキャップ
US6311429B1 (en) * 2000-07-25 2001-11-06 Bryan K. Wolfe Tree implant device
CN103314941A (zh) * 2012-03-23 2013-09-25 蹇永训 植入式树木注药器及其注药方法
KR101250910B1 (ko) * 2012-12-05 2013-04-05 송근태 압력식 수간 주입기
KR101370955B1 (ko) * 2013-09-10 2014-03-12 아그리젠토 주식회사 스크류타입 수간주사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5445B1 (ko) * 2020-07-28 2021-03-12 조봉진 덩굴류 식물의 제거방법 및 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61683A1 (ko) 2017-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04125C2 (ru) Контейнер в сборе и связанный с ним способ
JP2022033364A (ja) ペンニードル用滅菌バリア、およびそのための保管容器
US4989366A (en) Tree injecting device
KR200486008Y1 (ko) 간편한 수간주입기
KR101416661B1 (ko) 압력식 수간 주입기
KR101250910B1 (ko) 압력식 수간 주입기
KR20170042061A (ko) 간편한 수간주입기
KR101525228B1 (ko) 수간 주사기
US10342181B2 (en) Tree treatment capsule
KR101594998B1 (ko) 밀폐형 압력식 수간 주입기
KR200414545Y1 (ko) 식물용 수간 주사 용액의 용기
KR101723548B1 (ko) 안전한 수간주입기
US11606948B2 (en) Chemical applicator for plant material
US20120266534A1 (en) Device for injecting at least one chemical substance and/or preparation into trees and/or palmaceae and application method thereof
KR102007654B1 (ko) 외부 압력식 수간 주입기
RU19180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ничтожения насекомых
WO2016089038A1 (ko) 안전한 수간주입기
JP2000041486A (ja) 樹幹注入薬液容器用ノズルキャップ
JPH046531Y2 (ko)
KR20160047961A (ko) 수간 주사바늘 및 수간 주사기 키트
US20120047798A1 (en) Herbicide Delivery Apparatus and Method
NZ717916B2 (en) Tree treatment capsule
BR102017006953A2 (pt) Improvements introduced in catheter for insertion in plant head and injection of fertilizers and / or defensive
KR200357847Y1 (ko) 수목용 약제 공급용기
KR100689994B1 (ko) 액체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WICV Withdrawal of application forming a basis of a converted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