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4229B1 - 골 전도용 헤드셋 - Google Patents

골 전도용 헤드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4229B1
KR101934229B1 KR1020180003440A KR20180003440A KR101934229B1 KR 101934229 B1 KR101934229 B1 KR 101934229B1 KR 1020180003440 A KR1020180003440 A KR 1020180003440A KR 20180003440 A KR20180003440 A KR 20180003440A KR 101934229 B1 KR101934229 B1 KR 101934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bone conduction
noise
seating
hook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3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진숙
Original Assignee
허진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진숙 filed Critical 허진숙
Priority to KR1020180003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42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4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4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83Reduction of ambient noi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25Accumulators or arrangements for char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04R5/0335Earpiece support, e.g. headbands or neckre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 전도용 헤드셋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머리 후측을 감싸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양측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사용자의 귀에 걸쳐지기 위한 장착홈부를 형성하는 걸이몸체부; 상기 걸이몸체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사용자의 머리에 밀착되어진동으로 소리를 전달하는 골전도부; 및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상기 안착부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착탈결합이 이루어지는 보조배터리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골 전도용 헤드셋에 사용되는 전원을 장시간동안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휴대용 전자기기를 충전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보조배터리 모듈의 길이방향에 따른 외면 일측에는 연옥(Nephrite jade)을 가공하여 띠 형상으로 제작된 연옥 밴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옥 밴드는 보조배터리 모듈로부터 착탈결합이 가능한 구조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연옥 밴드는 인체의 근육뭉침 완화, 혈액순환에 있어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연옥은 소재의 특성상 빛을 반사하는 야광 효과를 제공하므로 야간 보행시 타인 또는 차량이 골전도 헤드셋 착용자의 위치를 쉽게 판단할 수 있어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골 전도용 헤드셋{HEADSET FOR BONE CONDUCTION}
본 발명은 골 전도용 헤드셋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골전도 방식으로 소리를 전달하며, 주변환경에 따라 골전도부에 전달되는 청취 감도를 향상시키는 것과 아울러 사용자의 안전 및 편의를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골 전도용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의 귀에 들리는 소리는 파동의 형태로 전달된다. 외부 소리는 인간의 외이를 통해 들어와서 고막을 진동시키며, 고막 안쪽의 내이에서 세포들이 자극을 받아 뇌로 전달된다. 인간이 들을 수 있는 소리의 주파수 범위는, 약 20 - 20000Hz이며, 인간이 서로 대화하는 소리의 주파수 범위는, 약 500 - 2000Hz이다.
그러나, 난청자의 경우에는, 소리의 주파수 범위 중, 모든 주파수 또는 일부 주파수의 소리를 듣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두개골의 진동을 통해, 소리를 전달하는 골 전도 방식이 사용된다.
골 전도 방식은, 두개골을 진동시킨 소리가 달팽이관에 전달되며, 청각 신경을 거쳐 뇌로 전달하는 방식이다. 귀 주변의 뼈를 진동시켜 소리를 전달 하므로, 청각 장애인뿐만 아니라, 소음이 심한 곳에서 일하는 사람들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제1 골전도 방식의 헤드셋(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377418호)은 단순히 소리를 전달하는 골전두부의 출력 향상에 대한 기능만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주변 환경변화에 따른 골전도부에 전달되는 청취 감도를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었을 뿐만 아니라 안전 및 편의를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제2 골전도 방식의 헤드셋(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377418호)은 사용자와 골전도 스피커 간의 밀착성을 개선하여 통증을 유발시키거나 그에 따른 음질 왜곡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헤드거치부와 이어밴드부에 대하여 각각의 길이조절부 및 각도조절부를 구성한 기술이 게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제2 골전도 방식의 헤드셋에 적용된 길이조절부는 사용자가 길이조정을 위해 마련된 누름부를 눌러서 매번 그 길이를 직접 조절해야 하는 조작의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제2 골전도 방식의 헤드셋 역시 사용자의 안전과 편의를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377418호(2014.03.1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921524호(2009.10.0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주변 상황에 따라 외부의 소리가 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골전도부에 전달되는 청취 감도를 향상시키고, 장시간 착용에도 불편함이 없으며 길이 및 각조 조절을 위한 조작구성을 배제한 골 전도용 헤드셋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사용자의 안전 및 편의를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골 전도용 헤드셋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골 전도용 헤드셋은, 사용자의 머리 후측을 감싸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양측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사용자의 귀에 걸쳐지기 위한 장착홈부를 형성하는 걸이몸체부; 상기 걸이몸체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사용자의 머리에 밀착되어진동으로 소리를 전달하는 골전도부; 및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상기 안착부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착탈결합이 이루어지는 보조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배터리 모듈은 상기 안착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연장되며 일측에는 상기 안착부를 감싸는 상태로 수용하는 착탈홈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내부에 밀폐수용부를 형성한 하우징과, 상기 밀폐수용부 내에 복수의 단위체 구성으로 연결되는 보조배터리와, 일측 단부가 상기 보조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단부가 상기 착탈홈부로 돌출되는 충전단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이몸체부에는 외부 소음을 차단함과 아울러 골전도부로부터 전달되는 청취 감도를 향상시키는 제1 소음방지 마개가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소음방지 마개는 상기 걸이몸체부에 설치되는 전동로터리 모듈과, 상기 전동로터리 모듈에 의해 권취 및 권출 작용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끝단에 설치되는 소음마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골전도부에는 외부 소음을 차단함과 아울러 골전도부로부터 전달되는 청취 감도를 향상시키는 제2 소음방지 마개가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소음방지 마개는 상기 골전도부의 안착홈부 외주둘레에 결합되어 회전운동하는 환형 결합부와, 상기 환형 결합부로부터 외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의 끝단에 설치되는 소음마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환형 결합부의 내주면에는 이탈방지 및 회전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소음마개는 사용자의 귓속으로 인입되는 커널형 마개 또는 사용자의 귀를 덮는 폐쇄형 마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소음마개는 사용자의 귀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밀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합성수지 재질의 Shore A군 5~40 범위의 경도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이몸체부에는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카메라가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와 걸이몸체부 사이에는 상기 카메라를 걸이몸체부로부터 외측으로 이격시켜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각도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접철식 각도조절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이몸체부의 안쪽면에는 사용자의 맥박, 체온, 심박수의 신체정보를 감지하는 신체정보 감지플레이트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체정보 감지플레이트는 표면의 일부가 상기 골전도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전,후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연장 접촉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상기 안착부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착탈결합이 이루어지는 보조배터리 모듈을 구성함으로써, 골 전도용 헤드셋에 사용되는 전원을 장시간동안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휴대용 전자기기를 충전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걸이몸체부 또는 골전도부에는 외부 소음을 차단함과 아울러 골전도부로부터 전달되는 청취 감도를 향상시키는 제1 소음방지 마개 또는 제2 소음방지 마개를 구성함으로써, 외부의 소음이 사용자 귓속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시켜 골전도부에 전달되는 청취 감도를 한층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걸이몸체부에는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카메라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동하는 이동 경로는 물론 주변의 사물을 사용자가 바라보는 1인칭 시점에서 기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걸이몸체부의 안쪽면에는 사용자의 맥박, 체온, 심박수의 신체정보를 감지하는 신체정보 감지플레이트를 구성함으로서, 사용자 건강관리에 도움을 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 전도용 헤드셋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안착부 및 보조배터리 모듈의 구성과 구조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보조배터리 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구성요소 간의 착탈결합 과정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카메라 각도조절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걸이몸체부 안쪽면에 신체정보 감지플레이트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1의 걸이몸체부에 설치되는 제1 소음방지 마개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1의 골전도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골전도부에 설치되는 제2 소음방지 마개의 구성 및 작용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의 돌출걸림부의 외주연에 설치되는 모발정리 흡착부의 작용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 전도용 헤드셋의 제1거리와 제2거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 전도용 헤드셋의 헤드셋의 출력 음향 주파수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 전도용 헤드셋의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골 전도용 헤드셋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와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나타내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은 물론 그 이후에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골 전도용 헤드셋(1)은, 사용자의 머리 후측을 감싸는 안착부(10)와, 안착부(10)의 양측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사용자의 귀에 걸쳐지기 위한 장착홈부(24)를 형성하는 걸이몸체부(20)와, 걸이몸체부(2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사용자의 머리에 밀착되어 진동으로 소리를 전달하는 골전도부(30)와, 상기 안착부(1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착탈결합이 이루어지는 보조배터리 모듈(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안착부(10)는 사용자의 머리 후측을 띠 형상으로 감싸는 기술사상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착부(10)는 안착몸체(12)와 보강부재(14)와 내측돌기부(16)를 포함한다.
안착몸체(12)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성형되며, 사용자의 머리 후측과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밴드 형상이다. 고무나 합성수지로 성형된 안착몸체(12)의 내측에는 보강부재(14)가 설치된다.
상기 보강부재(14)는 안착몸체(12) 내에 결합되며, 금속물질로 성형되어 안착몸체(12)의 구조강성을 보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금속보다 중량이 적게 나가는 고무나 합성수지를 사용해 안착몸체(12)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안착몸체(12)의 내측에 보강부재(14)를 추가 설치해 구조강성을 보강하므로 골 전도용 헤드셋(1)의 중량은 저감시키면서도 구조강성은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내측돌기부(16)는 안착몸체(12) 내에 설치되되, 상기 보강부재(14)와 직접 접촉하는 구조로 배치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재(14)의 일측에는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선(E)이 설치되며, 상기 전선(E)은 후술할 보조배터리 모듈(40), 골전도부(30), 카메라(27) 등에 전기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진다. 아울러. 내측돌기부(16)도 보강부재(14)와 함께 안착부(10)의 구조강성을 높이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안착부(10)의 길이방향 일 지점에는 상기 보조배터리 모듈(40)과 접촉하는 충전 암단자(17)가 형성된다.
상기 충전 암단자(17)는 안착부(10)의 상면에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측면 또는 하면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보조배터리 모듈(40)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상기 안착부(1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착탈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골 전도용 헤드셋(1)에 사용되는 전원을 장시간동안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배터리 모듈(40)은 상기 안착부(1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연장되며 길이방향 일측에는 상기 안착부(10)를 감싸는 상태로 수용하는 착탈홈부(4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내부에 밀폐수용부(42)를 형성한 플랙시블한 소재의 하우징(43)과, 상기 밀폐수용부(42) 내에 복수의 단위체 구성으로 연결되는 보조배터리(45)와, 일측 단부가 상기 보조배터리(4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단부가 상기 착탈홈부(41)로 돌출되는 충전단자(46)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43)는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나 합성수지로 제작하여 탄력적인 착탈결합을 유도함과 아울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보조배터리(45)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충전단자(46)는 다른 휴대용 전자기기와 접속이 가능한 공통규격(5핀,USB)의 단자로 제작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배터리 모듈(40)은 상기 보조배터리(45)를 수용하는 밀폐수용부(42)가 상기 안착부(10)의 외측방향에 위치하는 구조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밀폐수용부(42)가 안착부(10)의 내측에 위치하는 구조로 설계할 수 있다(도 3참조). 이는 밀페수용부(42)의 돌출되는 구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머리 후측과 상기 안착부 사이의 공간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호 면밀한 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골 전도용 헤드셋(1)은 상기 안착부(10)에 대하여 착탈결합이 이루어지는 보조배터리 모듈(40)을 구성함으로써, 장치의 사용시간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른 다른 휴대용 전자기기를 충전시킬 수 있는 통상의 보조배터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걸리몸체부(20)는 상기 안착부(10)의 양측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귀에 걸쳐지기 위한 장착홈부(24)를 형성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걸이몸체부(20)는 연결몸체(22)와 조작제어부(26)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몸체(22)는 안착부(10)와 골전도부(30) 사이를 연결하며 사용자의 귀에 걸쳐지기 위한 장착홈부(24)를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몸체(22)의 일측은 안착몸체(12)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며, 연결몸체(22)의 타측은 골전도부(30)의 단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연결몸체(22)는 하측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으로 장착홈부(24)를 형성하므로 사용자의 귀에 걸린다.
그리고, 상기 연결몸체(22)는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하되, 사용자의 귀에 걸리기 위한 오목한 홈부인 장착홈부(24)를 형성하는 둘레에는 탄성패드(미도시)를 추가적으로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이몸체부(20)에는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카메라(27)가 설치된다.
이는 사용자가 이동하는 이동 경로는 물론 주변의 사물을 사용자가 바라보는 1인칭 시점에서 기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물론 걸이몸체부(20)에는 상기 카메라(27)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카드(미도시)가 설치되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카메라(27)와 걸이몸체부(20) 사이에는 상기 카메라(27)를 걸이몸체부(20)로부터 외측으로 이격시켜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각도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접철식 각도조절부재(27a)를 더 포함한다.
이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카메라를 사용자의 시점과 다른 특정 각도에서도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걸이몸체부(20)의 안쪽면에는 사용자의 맥박, 체온, 심박수의 신체정보를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이용한 신체정보 감지플레이트(28)가 설치된다.
즉, 신체정보 감지플레이트(28)는 최소의 신체 일부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여 신체정보를 감지하고, 이를 무선 송/수신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맥박, 체온, 심박수 등 기타 정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반복적으로 체크 할 수 있도록 사용자 건강관리에 도움을 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신체정보 감지플레이트(28)는 표면의 일부가 상기 골전도부(30)를 향하는 방향으로 전,후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연장 접촉부(28a)가 설치된다.
이는, 사용자 마다 다른 두상 및 모발 형태에 의해 신체정보 감지플레이트(28)가 피부와 원활하게 접촉이 이루어지지 못 할경우 이를 해소하기 위해 상기 신체정보 감지플레이트(28)의 일부분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신체정보 감지플레이트(28)는 상기 연결몸체(22) 내측면 넓이와 동일하거나 작은 사각형 형상이며, 두께는 0.1~0.5mm이고, 압력센서는 LC회로로 구성되는 멤스(MEMS)를 이용하여 초소형 충/방전 베터리 또는 초소형 Super capacitor를 전원부로 사용하는 Active 소자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작제어부(26)는 한 쌍의 연결몸체(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골전도부(30), 카메라(27), 신체정보 감지플레이트(28) 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조작제어부(26)는 음량 제어 키, 전원 키 및 동작 상태 알림 광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음량 제어 키 및 전원 키는, 사용자의 버튼 입력, 터치 입력, 제스쳐 입력, 그리고 음성 입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스위칭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제어부에는 카메라의 줌(zoom)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제어키를 추가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걸이몸체부(20)에는 외부 소음을 차단함과 아울러 골전도부로부터 전달되는 청취 감도를 향상시키는 제1 소음방지 마개(7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소음방지 마개(70)는 상기 연결몸체(22)의 일측에 설치되는 와이어(71)와, 상기 와이어(71)에 메달리는 소음마개(72)로 구성된다.
즉, 주변이 시끄러운 환경에 있을 경우 그 소음이 귓속으로 전달되어 골전도부(30)를 통해 전달되는 청취 감도가 크게 저하됨으로 이때 귓속으로 전달되는 소음은 차단하여 골전도부에 전달되는 청취 감도를 크게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7은 상기 제1 소음방지 마개(70a)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걸이몸체부(20)에 설치되는 전동로터리 모듈(73)과, 상기 전동로터리 모듈(73)에 의해 권취 및 권출 작용하는 와이어(71)와, 상기 와이어(71)의 끝단에 설치되는 소음마개(72)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제1 소음방지 마개(70a)는 상기 와이어(71)가 전동로터리 모듈(73)에 권취 및 권출되는 작용에 의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걸이몸체부(20)에는 핸즈프리 및 보청 기능을 수행하는 음향 수신부(60)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수신부(60)는 골전도부(30)와 이격되는 걸이몸체부(20)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골전도부(30)에서 발생하는 진동음이 상기 음향 수신부로 전달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골전도부(30)는 걸이몸체부(2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사용자의 머리에 밀착되어 진동으로 소리를 전달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골전도부(30)는, 커넥터몸체(31)와 안착홈부(34)와 진동전달부(35)와 진동저감부재(39)를 포함한다.
상기 골전도부(30)의 외측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성형되며, 사용자의 머리에 밀착되도록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의 머리에 골전도부(30)가 밀착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골전도부(30)는 사용자의 머리 좌측과 우측에 각각 밀착되어 진동으로 소리를 전송한다.
상기 커넥터몸체(31)는 연결몸체(22)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탄성을 갖는 재질로 성형된다. 커넥터몸체(31)의 단부에서 돌출된 커넥터돌기(33)는 걸이몸체부(20)의 연결몸체(22)의 내측으로 삽입된 후 볼트에 의해 체결된다.
따라서 연결몸체(22)의 양측에 커넥터몸체(31)가 연결된다. 걸이몸체부(20)와 마주하는 커넥터몸체(31)의 외측에는 주름부(32)가 형성되며, 주름부(32)를 중심으로 골전도부(30)가 사용자의 머리를 향한 방향으로 휘어진다. 따라서 골전도부(30)가 사용자의 머리에 접하면서 외측으로 벌어질 때 주름부(32)를 중심으로 커넥터몸체(31)가 회전되므로 골전도부(30)가 안정적으로 사용자의 머리에 밀착될 수 있다. 이때 골전도부(30)는 휘어지는 성질이 용이한 고무나 수지로 사출 성형되므로, 사용자의 머리 굴곡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커넥터몸체(31)의 형상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커넥터돌기(33)가 걸이몸체부(20)의 단부에 구비된 홈으로 삽입되어 결합될 때, 커넥터돌기(33)와 걸이몸체부(20)의 홈부에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전도체가 각각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커넥터돌기(33)가 걸이몸체부(20)의 단부에 구비된 홈부에 끼워지는 작업만으로, 골전도부(30)와 걸임몸체부의 기계적 연결과 전기적 연결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골전도부(30)의 커넥터몸체(31)는 사용자의 머리 방향으로 오목한 곡면 형상을 형성한다. 이로 인하여 커넥터몸체(31)의 안착홈부(34)에 장착된 진동전달부(35)가 사용자의 머리에 밀착되므로, 골 전도용 헤드셋(1)의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향상된 음질을 전달할 수 있다. 만약 진동전달부(35)와 사용자 머리와의 밀착감이 저하되면, 음질의 중주파 대역이나 고주파 대역의 전송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부(34)는 커넥터몸체(31)에서 사용자의 머리를 향하여 돌출되며, 내측에는 진동전달부(35)가 설치되기 위한 홈부를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홈부(34)는 사용자의 머리와 마주하는 커넥터몸체(31)의 측면에서 파이프 형상으로 돌출되는 보호격벽을 구비한다. 보호격벽을 형성하는 이유는, 진동전달부(35)가 안착홈부(34)에 장착될 때 안정적으로 고정 및 안착되도록 안내하며,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진동전달부(35)를 보호하기 위함이다.
일 예로, 보호격벽의 높이는, 진동전달부(35)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또는 진동전달부(35)의 두께보다 더 낮을 수 있다. 그 이유는, 진동전달부(35)가 사용자의 머리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진동에 의한 음질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진동전달부(35)는, 안착홈부(34)에 진동전달부(35)가 결합될때, 안착홈부(34)으로부터 일부 돌출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진동전달부(35)가 사용자의 머리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진동에 의한 음질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안착홈부(34)에 진동전달부(35)가 결합될 때, 안착홈부(34)으로부터 돌출되는 진동전달부(35)의 돌출 영역은, 사용자의 머리에 밀착되도록 폴리머 재질이나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진동전달부(35)는 안착홈부(34)의 내측에 삽입되며, 오디오 신호에 상응하는 진동을 발생시켜 사용자의 머리에 진동을 전달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골 전도 발생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전달부(35)는 진동전달몸체(36)와 돌출걸림부(37)와 진동저감홀(38)을 포함한다.
상기 진동전달몸체(36)는 골 전도용 진동자의 외측을 감싸며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탄성체로 성형된 진동전달몸체(36)는 안착홈부(34)의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안착홈부(34)의 바닥면과 마주하는 진동전달몸체(36)의 내측에는 진동자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전선이 설치된다. 연결전선은 진동전달몸체(36)의 내측과 안착홈부(34)의 바닥면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진동전달몸체(36)와 안착홈부(34)가 각각 탄성 재질로 성형되므로, 진동전달몸체(36)는 안착홈부(34)의 내측에 억지끼움으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만약 진동전달몸체(36)가 직접 사용자의 외이골에 접촉한 상태이면, 골전도 진동자의 진동이 진동전달몸체(36)를 통해 사용자 외이골에 직접 전달되며, 조작제어부(26)에서는 이를 고려하여 오디오 신호 기준치에 따라 진동 증폭여부를 결정하여 오디오 신호에 상응하는 진동을 발생시킨다.
상기 돌출걸림부(37)는 진동전달몸체(36)에서 연장되어 안착홈부(34)의 외측에 걸리며, 사용자의 머리와 직접 접촉되는 부분이다. 돌출걸림부(37)와 진동전달몸체(36)는 일체로 성형하되, 상기 돌출걸림부(37)는 딱딱한 경질의 소재로 제작하고 상기 진동전달몸체(36)는 돌출걸림부(37) 보다 소프트한 고무와 같은 연질의 소재로 성형하는 것이 좋다. 이는 경질의 돌출걸림부(37)를 통해 진동에 의한 소리의 명료함을 향상키고, 연질의 진동전달몸체(36)는 외부의 진동 소음이 상기 돌출걸림부(37)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감쇄시켜 돌출걸림부에 대한 청취 감도가 한층 명료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원통형으로 성형되는 진동전달몸체(36)의 단부에 연결되는 돌출걸림부(37)의 테두리는 진동전달몸체(36)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안착홈부(34)의 단부에 걸린다.
진동전달몸체(36)의 적어도 어느 한 부분에는 진동저감홀(38)이 설치된다. 진동저감홀(38)은 진동전달부(35)의 내부 공기 진동으로 형성된 진동전달부(35)의 내부 음파를 진동전달몸체(36)의 외부로 유출시키는데 사용하며, 진동전달몸체(36)의 진동으로 진동전달몸체(36)의 외부로 밀린 공기가 누음 음파와 간섭을 일으켜, 누음 음파의 진폭을 감소시킨다.
골전도부(30)의 에너지 변환 장치(미도시)가 진동판을 진동시키면, 진동전달몸체(36)도 에너지 변환 장치를 따라 진동하며 외부 공기를 밀어내고, 이로 인해 공기 중에 전파되는 누음 음파가 형성된다.
진동전달몸체(36)의 내부 공기가 밀려 형성되는 진동전달몸체(36)의 내부 음파를 진동저감홀(38)을 통해 진동전달몸체(36)의 외부로 내보내고, 누음 음파와 간섭을 일으켜 골 전도용 헤드셋(1)의 누음을 억제한다.
진저감부재(39)는 진동전달부(35)와 마주하는 안착홈부(34)의 내측에 위치하며, 진동전달부(35)에서 발생된 진동을 저감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스폰지와 같은 완충부재가 사용된다.
한편, 상기 골전도부(30)에는 외부 소음을 차단함과 아울러 골전도부로부터 전달되는 청취 감도를 향상시키는 제2 소음방지 마개(80)가 설치된다.
상기 제2 소음방지 마개(80)는 앞서 설명한 제1 소음방지 마개(70)를 대신하는 것으로, 그 구성 및 구조가 다른 실시예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소음방지 마개(80)는 상기 골전도부(30)의 안착홈부(34) 외주둘레에 결합되어 회전운동하는 환형 결합부(81)와, 상기 환형 결합부(81)로부터 외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로드부(82)와, 상기 로드부(82)의 끝단에 설치되는 소음마개(83)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제2 소음방지 마개(80)는 골전도부(30)에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귓속을 막기 위한 동작을 한층 편리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환형 결합부(81)의 내주면에는 이탈방지 및 회전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홈(81a)이 형성되며, 상기 소음마개(83)는 사용자의 귓속으로 인입되는 커널형 마개(a) 또는 사용자의 귀를 덮는 폐쇄형 마개(b)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음마개(83)는 사용자의 귀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밀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연질의 재질로 제작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연질은 산업분야에서 합성수지 재질의 경도를 공통규격으로 정한 Shore A군의 약 5~40 범위로 제작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소음마개(83) 중 커널형 마개(a)의 경우 상기 로드부(82)를 통해 상기 진동전달부(35)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이 커널형 마개(a)에 전달되고, 이때 커널형 마개의 진동은 사용자의 귓속에 밀착된 상태이므로 귓속 주변의 뼈를 진동시켜 소리를 전달할 수 있게 되므로 소음이 심한 곳에서 일하는 사람들 또는 청각 장애인에 대한 골전도의 청취 감도를 한층 명료하게 전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소음마개(83)의 커널형 마개(a)에는 진동전달부(35)에서 발생하는 음향 신호가 사용자의 귓속을 통해 고막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소리를 안내하는 음향통공(831)을 추가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돌출걸림부(37)의 외주연에는 탄성소재의 모발정리 흡착부(90)가 형성된다.
상기 모발정리 흡착부(90)는 상기 골전도부(30)가 사용자의 머리에 접촉하는 과정에서 그 접촉부위의 모발을 바깥쪽으로 밀어내어 모발 간섭에 의한 음향 증폭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모발정리 흡착부(90)는 골 전도용 헤드셋(1)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골전도부(30)가 감싸는 상태로 보호할 수 있어 이물질 침입에 의해 오염되거나 외부의 충격에 대하여 한층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가를 제공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몸체부(20)는, 안착부(10)에서 골전도부(30) 방향으로 트위스트(twist)되는 트위스트 바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걸이몸체부(20)에 체결되는 골전도부(30)가 사용자의 머리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걸이몸체부(20)는, 안착부(10)에서 골전도부(30)를 향한 방향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골전도부(30)는 사용자의 머리 중 귀 주변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안착부(10) 일측(도 11기준 좌측)과 걸이몸체부(20) 사이에 위치한 수직 가상선을 제1기준선(L1)이라 하며, 안착부(10) 타측(도 11기준 우측)과 걸이몸체부(20) 사이에 위치한 수직 가상선을 제4기준선(L4)이라 한다.
아울러, 골 전도용 헤드셋(1)의 일측에 위치한 걸이몸체부(20)와 골전도부(30) 사이에 위치한 수직 가상선을 제2기준선(L2)이라 하며, 골 전도용 헤드셋(1)의 타측에 위치한 걸이몸체부(20)와 골전도부(30) 사이에 위치한 수직 가상선을 제3기준선(L3)이라 한다.
제1기준선(L1)과 제4기준선(L4) 사이의 간격을 제2거리(P2)라 하며, 제2기준선(L2)과 제3기준선(L3) 사이의 거리를 제1거리(P1)라 한다.
제2거리(P2)보다 제1거리(P1)의 길이가 짧게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걸이몸체부(20)가 안착부(10)와 연결되는 부분의 좌우 길이보다 걸이몸체부(20)가 골전도부(30)와 연결되는 부분의 좌우 길이가 짧게 형성되므로, 골전도부(30)가 사용자의 머리에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안착부(10)의 양측 끝단 사이의 거리보다 한 쌍의 골전도부(30) 사이의 거리를 더 좁게 배치하므로, 골전도부(30)가 사용자의 머리에 안정적으로 밀착되어 사용자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골 전도용 헤드셋(1)은, 저주파, 중주파 및 고주파 대역의 음향 출력이 기존에 비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중주파 대역과 고주파 대역의 음향 출력이 기존에 비해 노이즈가 감소하여 음질이 더욱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골전도부(30)가 사용자의 머리에 밀착되는 밀착성이 향상되도록, 헤드셋의 안착부(10), 걸이몸체부(20) 및 골전도부(30)의 배치 관계를 제어하므로 사용자에게 우수한 품질의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P)는 조작제어부(26)와 무선으로 연결되며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단말기(P)에 설치된 앱을 제어하여 조작제어부(26)와 골전도부(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동작감지부(50)는 안착부(10)와 걸이몸체부(20)와 골전도부(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조작제어부(26)로 측정값을 전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걷거나 뛰는 동작을 하면, 이를 감지하여 조작제어부(26)로 측정값을 전달하므로 사용자의 운동량을 용이하게 측정 및 분석할 수 있다.
음향수신부(60), 카메라(27) 및 신체정보 감지플레이트(28)는 걸이몸체부(20)에 설치되며, 소리, 영상 및 신체정보를 조작제어부(26)로 전달한다. 음향수신부(60)를 통해 측정된 소리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증폭된 소리를 전달하는 보청기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 전도용 헤드셋(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골 전도용 헤드셋(1)의 걸이몸체부(20)나 안착부(10)에는 충전용 잭이 구비되어 필요시 충전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안착부(10)에는 그 길이방향에 대하여 착탈결합이 이루어지는 보조배터리 모듈(40)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조작제어부(26)에 구비된 버튼을 조작하여 전원을 키는 동시에 블루투스, 카메라(27), 신체정보 감지플레이트(28) 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주변의 핸드폰이나 전자기기와 페어링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근거리 무선 네트워킹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골 전도용 헤드셋(1)이 보청기 기능을 겸할 경우, 음향수신부(60)를 통하여 외부의 소리를 측정한 후 조작제어부(26)로 측정값을 보내며, 조작제어부(26)는 골전도부(30)를 동작시키는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소리를 전달한다.
또한 골 전도용 헤드셋(1)의 내부에 설치된 동작감지부(50)와 신체정보 감지플레이트를 통해 사용자가 뛰거나 걷는 여부와 운동량을 측정하여 단말기(P)를 통해 표시하므로 사용자의 운동량 및 신체정보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는 휴대폰을 포함한 단말기(P)의 어플이나 앱을 통해 골 전도용 헤드셋(1)을 제어할 수 있으며, 각종 출력값이 단말기(P)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안착부(10)와 걸이몸체부(20)와 골전도부(30)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품 파손시 해당 부품만 교체가 가능하므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상기 안착부(1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착탈결합이 이루어지는 보조배터리 모듈(40)을 구성함으로써 골 전도용 헤드셋(1)에 사용되는 전원을 장시간동안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머리에 진동을 전달하는 골전도 방식으로 소리를 전달하므로 장시간 헤드셋 착용에도 불편함이 가중되지 않으며, 청력을 보호할 수 있고, 탄성을 갖는 재질로 성형되는 골전도부(30)가 사용자의 머리에 접하면서 탄성 변형되므로, 골전도부(30)가 사용자의 머리에 부드럽게 밀착되어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골전도부(30)에는 제1 또는 제2 소음방지 마개(70,80)를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골전도부(30)에 전달되는 청취 감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걸이몸체부(20)에 설치되는 음향 수신부(60)를 통해 측정된 값을 바탕으로 골전도부(30)가 동작되어 보청기 기능을 수행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골전도부의 진동음이 상기 음향 수신부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걸이몸체부(20)에는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카메라(27)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동하는 이동 경로는 물론 주변의 사물을 사용자가 바라보는 1인칭 시점으로 기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신체정보 감지플레이트(28) 및 사용자가 걷거나 뛰는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감지부(50)를 통하여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산출하고 이를 단말기(P)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건강상태와 운동량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골 전도용 헤드셋 10: 안착부
12: 안착몸체 14: 보강부재
16: 내측돌기부 20: 걸이몸체부
22: 연결몸체 24: 장착홈부
26: 조작제어부 30: 골전도부
31: 커넥터몸체 32: 주름부
33: 커넥터돌기 34: 안착홈부
35: 진동전달부 36: 진동전달몸체
37: 돌출걸림부 38: 진동저감홀
39: 진동저감부재 40: 보조배터리 모듈
50: 동작감지부 60: 음향수신부
70: 제1 소음방지 마개 80: 제2 소음방지 마개
90: 모발정리 흡착부

Claims (9)

  1. 사용자의 머리 후측을 감싸며 길이방향의 상면 일 지점에 충전 암단자를 구비한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양측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사용자의 귀에 걸쳐지기 위한 장착홈부를 형성하는 걸이몸체부;
    상기 걸이몸체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사용자의 머리에 밀착되어진동으로 소리를 전달하는 골전도부; 및,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상기 안착부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착탈결합이 이루어지는 보조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배터리 모듈은 상기 안착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연장되며 일측에는 상기 안착부를 감싸는 상태로 수용하는 착탈홈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내부에 밀폐수용부를 형성한 플랙시블한 소재의 하우징과, 상기 밀폐수용부 내에 복수의 단위체 구성으로 연결되는 보조배터리와, 일측 단부가 상기 보조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단부가 상기 착탈홈부로 돌출되는 충전단자로 구성되며,
    상기 걸이몸체부의 안쪽면에는 사용자의 맥박, 체온, 심박수의 신체정보를 감지하는 신체정보 감지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신체정보 감지플레이트는 표면의 일부가 상기 골전도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전,후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연장 접촉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전도용 헤드셋.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몸체부에는 외부 소음을 차단함과 아울러 골전도부로부터 전달되는 청취 감도를 향상시키는 제1 소음방지 마개가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전도용 헤드셋.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음방지 마개는,
    상기 걸이몸체부에 설치되는 전동로터리 모듈과,
    상기 전동로터리 모듈에 의해 권취 및 권출 작용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끝단에 설치되는 소음마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전도용 헤드셋.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전도부에는 외부 소음을 차단함과 아울러 골전도부로부터 전달되는 청취 감도를 향상시키는 제2 소음방지 마개가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전도용 헤드셋.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소음방지 마개는,
    상기 골전도부의 안착홈부 외주둘레에 결합되어 회전운동하는 환형 결합부와,
    상기 환형 결합부로부터 외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의 끝단에 설치되는 소음마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전도용 헤드셋.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결합부의 내주면에는 이탈방지 및 회전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소음마개는 사용자의 귓속으로 인입되는 커널형 마개 또는 사용자의 귀를 덮는 폐쇄형 마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소음마개는 사용자의 귀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밀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합성수지 재질의 Shore A군 5~40 범위의 경도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전도용 헤드셋.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몸체부에는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카메라가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와 걸이몸체부 사이에는 상기 카메라를 걸이몸체부로부터 외측으로 이격시켜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각도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접철식 각도조절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전도용 헤드셋.
  8. 삭제
  9. 삭제
KR1020180003440A 2018-01-10 2018-01-10 골 전도용 헤드셋 KR101934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440A KR101934229B1 (ko) 2018-01-10 2018-01-10 골 전도용 헤드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440A KR101934229B1 (ko) 2018-01-10 2018-01-10 골 전도용 헤드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4229B1 true KR101934229B1 (ko) 2018-12-31

Family

ID=64959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3440A KR101934229B1 (ko) 2018-01-10 2018-01-10 골 전도용 헤드셋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4229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96213A (zh) * 2019-12-26 2020-04-10 徐州嘉安健康产业有限公司 一种智能骨传导医护耳机
WO2020140461A1 (zh) * 2019-01-05 2020-07-09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扬声器装置
WO2020140462A1 (zh) * 2019-01-05 2020-07-09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扬声器装置
WO2020140447A1 (zh) * 2019-01-05 2020-07-09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扬声器装置
WO2020241915A1 (ko) * 2019-05-29 2020-12-03 이대훈 골전도 블루투스 모노 이어셋
US11159877B2 (en) 2019-01-05 2021-10-26 Shenzhen Voxtech Co., Ltd. Speaker device
US11350207B2 (en) 2018-06-15 2022-05-31 Shenzhen Shokz Co., Ltd. Apparatus and methods for bone conduction speaker
US11363362B2 (en) 2018-06-15 2022-06-14 Shenzhen Shokz Co., Ltd. Speaker device
US11463814B2 (en) 2011-12-23 2022-10-04 Shenzhen Shokz Co., Ltd. Bone conduction speaker and compound vibration device thereof
US11570550B2 (en) 2018-06-15 2023-01-31 Shenzhen Shokz Co., Ltd. Bone conduction speaker and earphone
WO2023237098A1 (zh) * 2022-06-10 2023-12-14 苏州索迩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颈戴线及骨传导耳机
CN117412212A (zh) * 2023-08-28 2024-01-16 东莞市惟动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耳屏内侧混合传导耳机装置及其设计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159B1 (ko) * 2009-04-27 2010-01-15 박의봉 골전도 헤드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159B1 (ko) * 2009-04-27 2010-01-15 박의봉 골전도 헤드폰

Cited B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63814B2 (en) 2011-12-23 2022-10-04 Shenzhen Shokz Co., Ltd. Bone conduction speaker and compound vibration device thereof
US11350207B2 (en) 2018-06-15 2022-05-31 Shenzhen Shokz Co., Ltd. Apparatus and methods for bone conduction speaker
US11974091B2 (en) 2018-06-15 2024-04-30 Shenzhen Shokz Co., Ltd. Apparatus and methods for bone conduction speaker
US11825259B2 (en) 2018-06-15 2023-11-21 Shenzhen Shokz Co., Ltd. Speaker device
US11641538B2 (en) 2018-06-15 2023-05-02 Shenzhen Shokz Co., Ltd. Speaker device
US11570550B2 (en) 2018-06-15 2023-01-31 Shenzhen Shokz Co., Ltd. Bone conduction speaker and earphone
US11363362B2 (en) 2018-06-15 2022-06-14 Shenzhen Shokz Co., Ltd. Speaker device
US11159877B2 (en) 2019-01-05 2021-10-26 Shenzhen Voxtech Co., Ltd. Speaker device
WO2020140447A1 (zh) * 2019-01-05 2020-07-09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扬声器装置
US11303987B2 (en) 2019-01-05 2022-04-12 Shenzhen Shokz Co., Ltd. Loudspeaker apparatus
US11336988B2 (en) 2019-01-05 2022-05-17 Shenzhen Shokz Co., Ltd. Loudspeaker apparatus
US11336991B2 (en) 2019-01-05 2022-05-17 Shenzhen Shokz Co., Ltd. Loudspeaker apparatus
WO2020140461A1 (zh) * 2019-01-05 2020-07-09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扬声器装置
CN114615603A (zh) * 2019-01-05 2022-06-10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骨传导扬声装置
US11109142B2 (en) 2019-01-05 2021-08-31 Shenzhen Voxtech Co., Ltd Loudspeaker device
US11363365B2 (en) 2019-01-05 2022-06-14 Shenzhen Shokz Co., Ltd. Loudspeaker apparatus
US11438689B2 (en) 2019-01-05 2022-09-06 Shenzhen Shokz Co., Ltd. Loudspeaker apparatus
US11968494B2 (en) 2019-01-05 2024-04-23 Shenzhen Shokz Co., Ltd. Loudspeaker apparatus
US11197086B2 (en) 2019-01-05 2021-12-07 Shenzhen Voxtech Co., Ltd. Speaker device
US11617033B2 (en) 2019-01-05 2023-03-28 Shenzhen Shokz Co., Ltd. Loudspeaker apparatus
WO2020140460A1 (zh) * 2019-01-05 2020-07-09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扬声器装置
US11736852B2 (en) 2019-01-05 2023-08-22 Shenzhen Shokz Co., Ltd. Loudspeaker apparatus
US11805354B2 (en) 2019-01-05 2023-10-31 Shenzhen Shokz Co., Ltd. Loudspeaker apparatus
WO2020140462A1 (zh) * 2019-01-05 2020-07-09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扬声器装置
CN114615603B (zh) * 2019-01-05 2023-11-24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骨传导扬声装置
US11917358B2 (en) 2019-01-05 2024-02-27 Shenzhen Shokz Co., Ltd. Loudspeaker apparatus
WO2020241915A1 (ko) * 2019-05-29 2020-12-03 이대훈 골전도 블루투스 모노 이어셋
CN110996213A (zh) * 2019-12-26 2020-04-10 徐州嘉安健康产业有限公司 一种智能骨传导医护耳机
WO2023237098A1 (zh) * 2022-06-10 2023-12-14 苏州索迩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颈戴线及骨传导耳机
CN117412212A (zh) * 2023-08-28 2024-01-16 东莞市惟动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耳屏内侧混合传导耳机装置及其设计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4229B1 (ko) 골 전도용 헤드셋
KR101849041B1 (ko) 골 전도용 헤드셋
US10382861B2 (en) Earphone device with optical sensor
US8325963B2 (en) Bone-conduction microphone built-in headset
KR100937159B1 (ko) 골전도 헤드폰
JPWO2018079576A1 (ja) 骨伝導ヘッドセット
JP2012515574A (ja) 歯用骨伝導聴覚装置
US20160050477A1 (en) In-the-ear earphone, (its variantions) and methods of wearing
CN207826050U (zh) 带扬声器的汽车主驾驶座椅
CN111294717A (zh) 可配置的听力设备
CN108156567B (zh) 无线听力设备
EP3094105A1 (en) Audio capture and transmission device having sound attenuation
US11317185B2 (en) Earphone
KR20170100932A (ko) 이마와 콧등을 이용한 무호흡방지장치
JP3535143B2 (ja) 耳装着型の音情報伝達器
KR102115271B1 (ko) 듀얼 마이크를 구비한 골 전도용 헤드셋
KR200460404Y1 (ko) 골전도 진동자를 이용한 조종사용 헬멧
CN106899906A (zh) 包括心率测量单元的耳机
US20170264993A1 (en) Head set and head set apparatus
CN111147970B (zh) 用于听力设备的耳机和生产耳机的方法
JP2019146275A (ja) イヤホン
KR20080002026U (ko) 치아에 장착 골전도 보청기
CN212163703U (zh) 一种新型颈挂式助听器
JP3434970B2 (ja) 耳装着型の音情報伝達器
CN216960136U (zh) 一种骨传导头戴式蓝牙耳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