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2026U - 치아에 장착 골전도 보청기 - Google Patents

치아에 장착 골전도 보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2026U
KR20080002026U KR2020060031946U KR20060031946U KR20080002026U KR 20080002026 U KR20080002026 U KR 20080002026U KR 2020060031946 U KR2020060031946 U KR 2020060031946U KR 20060031946 U KR20060031946 U KR 20060031946U KR 20080002026 U KR20080002026 U KR 2008000202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ring aid
bone conduction
hearing
sound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19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보미
Original Assignee
김보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보미 filed Critical 김보미
Priority to KR20200600319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2026U/ko
Publication of KR200800020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202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0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 H04R25/604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of acoustic or vibrational transducers
    • H04R25/606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of acoustic or vibrational transducers acting directly on the eardrum, the ossicles or the skull, e.g. mastoid, tooth, maxillary or mandibular bone, or mechanically stimulating the cochlea, e.g. at the oval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48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constructional means for obtaining a desired frequency respon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43Signal processing in hearing aids to enhance the speech intelligi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체에 착용하는 보청기에 관한 것에 관한 것으로 소리를 들을 때, 본 고안은 인체의 두부(頭部)뼈에 진동자의 진동을 통하여 음성신호를 자각하여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골전도(骨傳導) 스피커 기술을 이용하여, 보청기를 치아에 착용하는 방법으로 청력이 낮은 사람들을 위하여 치아에 부착하여 겉으로 보이지 않으며, 잃어버리는 일이 일이 없도록 하는 치아에 골전도 보청기이다. 본 고안은 보청기 부분으로는 치아 장착 셀, 베터리, 진동자로 이루어져 있고, 조작부로 마이크와 음량조절 부분, 송신부, 베터리로 이루어져 있다.
보청기, 골전도, 의치, 무선마이크

Description

치아에 장착 골전도 보청기{teeth wearing hearing aid}
도 1은 본 고안의 보청기부분 사시도, 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조작부 위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조작부의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4는 고안의 시스템 체계이다
보청기는 외부의 음성 신호를 마이크로 받아 증폭시켜 귀에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디지털신호기술(Digital signal processing, DPS)는 낮은 전력, 낮은 회로잡음, 신호의 안정성, 정확성, 프로그램의 용이성 등을 가능하게 했을 뿐만 아니라 크기도 혁신적으로 줄여 난청자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귀속형 보청기에서 문제가 되었던 하울링음(feedback noise)을 추적하여 제거하거나, 작은 소리도 명확하게 듣기 위하여 출력을 높인 보청기가 많이 나왔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도 보청기(air conduction hearing aid)의 종류에는 상자, 귀걸이, 갑개, 와이도, 고막 보청기가 있다. 각 보청기마다 장단점이 있는데, 마이크가 외부로 드러나야 잡음 없이 깨끗한 소리를 얻을 수 있고, 귀에 착용이 쉬울 때는 눈에 잘 띈 다는 장점이 있고, 귀에 삽입하는 보청기는 설치와 제거에 어려움이 있다.
이 발명은 치아에 착용하는 골전도 보청기로 인체에 착용과 제거가 용이하다.. 또한 난청자들의 불편함이었던 겉에 드러나지 않도로 하여 난청자들의 자존심과 활용도를 높여준다. 치아에 착용하는 골전도 보청기는 휴대가 쉽고 분실의 걱정도 줄여 활동이 많은 사람들 에게 유용하다. 골전도로 소리를 듣는 원리는 뼈의 진동을 통해서 소리를 듣는 것인데, 보통 피부가 얇고 뼈가 닿는 귓쪽 관자놀이 근처에 많이 착용하나, 치아에 직접 닿아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한다. 조작부는 마이크와 볼륨 조절 장치가 있어 마이크의 일반 불륨조절이 되어 무선으로 연결된다. FM방식으로 보청기에 소리가 전달되어 골전도 진동자가 작동하면, 소리를 인지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치아에 착용하는 골전도 보청기는 사용자가 치아에 기기를 착용하였을 시, 조작부의 turn on/off 버튼(b1)을 누르면 작동이 된다. 조작부는 집게(b4)로 되어 옷 혹은 가방에 고정시킬 수 있다. 겉으로 드러나 외부의 소리를 옷, 케이스 등의 장애 없이 전달한다. 마이크의 송신부(b3)가 소리를 받으면 보청기의 수신부에 전달을 하고 그 신호를 진동으로 바꾸어 치아에 전달한다. 실리콘으로 만든 보청기의 쉘 모양(a1)은, 아래쪽 어금니 두 개에 끼울 수 있는 모양을 하고 있다. 쉘의 안쪽에 진동자(a2)가 있으며, 그 옆쪽으로 수신부(a3)가 있다. 조작부는 전원 버튼과 음량 조졀 버튼(b2), 그리고 소리가 출력할 때, 저음을 강화하 는(Bass boost) 기능을 추가하여(b4) 저음출력을 강화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치아에 착용하는 골전도 보청기는 사용자가 치아에 기기를 착용하였을 시, 조작부의 turn on/off 버튼(b1)을 누르면 작동이 된다. 조작부는 집게(b4)로 되어 옷 혹은 가방에 고정시킬 수 있다. 겉으로 드러나 외부의 소리를 옷, 케이스 등의 장애 없이 전달한다. 마이크의 송신부(b3)가 소리를 받으면 보청기의 수신부에 전달을 하고 그 신호를 진동으로 바꾸어 치아에 전달한다. 실리콘으로 만든 보청기의 쉘 모양(a1)은, 아래쪽 어금니 두 개에 끼울 수 있는 모양을 하고 있다. 쉘의 안쪽에 진동자(a2)가 있으며, 그 옆쪽으로 수신부(a3)가 있다. 조작부는 전원 버튼과 음량 조졀 버튼(b2), 그리고 소리가 출력할 때, 저음을 강화하는(Bass boost) 기능을 추가하여(b4) 저음출력을 강화 할 수 있다.

Claims (2)

  1. 외부에서 들리는 소리를 인체의 치아에 착용한 진동자롤 통하여 소리를 인지 할 수 있는 보청기에 있어서
    인체의 왼쪽 아래 어금니 2개에 기기를 착용함과,
    골전도 기술을 응용하여 소리를 전달하는 보청기,
    외부 마이크를 사용하여 무선으로 수신하는 기능,
    저음 강화기능을 넣어 또렷하게 소리를 인지 할 수 있는 기능
  2. 제 1 항에 있어서 보청기의 작동 회로부는 기기에 작동 버튼을 눌러 기기가 동작 되도록 하는 치아 탈착 골전도 보청기.
KR2020060031946U 2006-12-18 2006-12-18 치아에 장착 골전도 보청기 KR2008000202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946U KR20080002026U (ko) 2006-12-18 2006-12-18 치아에 장착 골전도 보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946U KR20080002026U (ko) 2006-12-18 2006-12-18 치아에 장착 골전도 보청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026U true KR20080002026U (ko) 2008-06-23

Family

ID=41325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1946U KR20080002026U (ko) 2006-12-18 2006-12-18 치아에 장착 골전도 보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2026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90395A2 (ko) * 2009-02-03 2010-08-12 (주)알고코이아 귓속형 골도 디지털 보청기
WO2015108238A1 (ko) * 2014-01-20 2015-07-23 김병건 무선통신용 임플란트 치아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
CN113709645A (zh) * 2021-09-02 2021-11-26 声佗医疗科技(上海)有限公司 助听器及其口内机、体外机、控制方法和控制装置、存储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90395A2 (ko) * 2009-02-03 2010-08-12 (주)알고코이아 귓속형 골도 디지털 보청기
WO2010090395A3 (ko) * 2009-02-03 2010-10-21 (주)알고코이아 귓속형 골도 디지털 보청기
WO2015108238A1 (ko) * 2014-01-20 2015-07-23 김병건 무선통신용 임플란트 치아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
CN113709645A (zh) * 2021-09-02 2021-11-26 声佗医疗科技(上海)有限公司 助听器及其口内机、体外机、控制方法和控制装置、存储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86467B2 (ja) オープンイヤー骨伝導聴取デバイス
US8433083B2 (en) Dental bone conduction hearing appliance
US8340335B1 (en) Hearing device with semipermanent canal receiver module
US8325963B2 (en) Bone-conduction microphone built-in headset
BR9205478A (pt) Aparelho (de audicao auxiliar) apropriado para emprego no meato acustico externo e aparelho para surdez
CA2713350A1 (en) Headset systems and methods
GB2467053A (en) Dental bone/tooth conduction hearing appliance
WO2011150394A1 (en) Intra-oral tissue conduction microphone
JP2011528535A (ja) 口腔内ベースの通信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80002026U (ko) 치아에 장착 골전도 보청기
KR20170100932A (ko) 이마와 콧등을 이용한 무호흡방지장치
DK2393310T3 (da) Dyb-ørekanal-høreinstrument
JP2002369295A (ja) 集音器とイヤホン用カバー
JP2016517223A (ja) 耳掛け補聴器
CN111956181A (zh) 具有听力器的听力系统
US8189838B1 (en) Oral hearing aid device and method of use thereof
WO2004093493A1 (ja) 骨伝導型補聴器
CN210093555U (zh) 一种新型振子结构的骨传导助听器
KR20080056438A (ko) 치아에 장착 골전도 보청기
KR20190001452U (ko) 골전도 치아
CN220545143U (zh) 一种声波迭加结合的助听耳机
CN217591092U (zh) 一种耳道式骨传导助听器
JP3187151U (ja) 対話聴力補助器
WO2009072107A2 (en) Apparatus for imparting hearing ability to babies, children and adults
JP3863813B2 (ja) パイプ型補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