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452U - 골전도 치아 - Google Patents

골전도 치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452U
KR20190001452U KR2020170006317U KR20170006317U KR20190001452U KR 20190001452 U KR20190001452 U KR 20190001452U KR 2020170006317 U KR2020170006317 U KR 2020170006317U KR 20170006317 U KR20170006317 U KR 20170006317U KR 20190001452 U KR20190001452 U KR 2019000145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ring aid
tooth
sound
bone conduction
vib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63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병국
Original Assignee
강병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국 filed Critical 강병국
Priority to KR20201700063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1452U/ko
Publication of KR201900014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45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0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 H04R25/604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of acoustic or vibrational transducers
    • H04R25/606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of acoustic or vibrational transducers acting directly on the eardrum, the ossicles or the skull, e.g. mastoid, tooth, maxillary or mandibular bone, or mechanically stimulating the cochlea, e.g. at the oval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체에 착용하는 보청기에 관한 것에 관한 것으로 소리를 들을 때, 본 고안은 인체의 두부(頭部)뼈에 진동자의 진동을 통하여 음성신호를 자각하여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골전도(骨傳導) 스피커 기술을 이용하여, 보청기를 치아에 착용하는 방법으로 청력이 낮은 사람들을 위하여 치아에 부착하여 겉으로 보이지 않으며, 잃어버리는 일이 일이 없도록 하는 치아에 골전도 보청기이다. 본 고안은 보청기 부분으로는 치아 장착 셀, 베터리, 진동자로 이루어져 있고, 조작부로 마이크와 음량조절 부분, 송신부, 베터리로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골전도 치아{Bone conduction tooth}
보청기를 사용하시는 분들이 좀더 편하고 자신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 한 치아인 것이다.
보청기는 외부의 음성 신호를 마이크로 받아 증폭시켜 귀에 전달하는 기능을 <5> 한다. 디지털신호기술(Digital signal processing, DPS)는 낮은 전력, 낮은 회로잡음, 신호의 안정성, 정확성, 프로그램의 용이성 등을 가능하게 했을 뿐만 아니라 크기도 혁신적으로 줄여 난청자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귀속형 보청기에서 문제가 되었던 하울링음(feedback noise)을 추적하여 제거하거나, 작은 소리도 명확하게 듣기 위하여 출력을 높인 보청기가 많이 나왔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도 보청기(air conduction hearing aid)의 종류에는 상자, 귀걸이, 갑개, 와이도, 고막 보청기가 있다. 각 보청기마다 장단점이 있는데, 마이크가 외부로 드러나야 잡음없이 깨끗한 소리를 얻을 수 있고, 귀에 착용이 쉬울 때는 눈에 잘 띈다는 장점이 있고, 귀에 삽입하는 보청기는 설치와 제거에 어려움이 있다.
치아에 골전기를 착용하여 인체에 착용과 제거가 용이하며 난청자들의 불편함을 곁에 드러나지 않도록 하여 난청자들의 자존심과 활용도를 높여준다.
보청기를 사용하면서 떨어지는 자존감을 눈에 보이지 않게 치아에 착용하여 자존감을 올려줄생각이다.
본 고안에 의한 치아에 착용하는 골전도 보청기는 사용자가 치아에 기기를 착용하였을 시, 조작부의 turn on/off 버튼(b1)을 누르면 작동이 된다. 조작부는 집게(b4)로 되어 옷 혹은 가방에 고정시킬 수 있다. 겉으로 드러나 외부의 소리를 옷, 케이스 등의 장애 없이 전달한다. 마이크의 송신부(b3)가 소리를 받으면 보청기의 수 신부에 전달을 하고 그 신호를 진동으로 바꾸어 치아에 전달한다. 실리콘으로 만든 보청기의 쉘 모양(a1)은, 아래쪽 어금니 두 개에 끼울 수 있는 모양을 하고 있다. 쉘의 안쪽에 진동자(a2)가 있으며, 그 옆쪽으로 수신부 (a3)가 있다. 조작부는 전원 버튼과 음량 조졀 버튼(b2), 그리고 소리가 출력할 때, 저음을 강화하는(Bass boost) 기능을 추가하여(b4) 저음출력을 강화 할 수 있다.
<1> 도 1은 본 고안의 보청기부분 사시도, 투시도이다.
<2> 도 2는 본 고안의 조작부 위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3> 도 3은 본 고안의 조작부의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4> 도 4는 고안의 시스템 체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치아에 착용하는 골전도 보청기는 사용자가 치아에 기기를 착용하였을 시, 조작부의 turn on/off 버튼(b1)을 누르면 작동이 된다. 조작부는 집게(b4)로 되어 옷 혹은 가방에 고정시킬 수 있다. 겉으로 드러나 외부의 소리를 옷, 케이스 등의 장애 없이 전달한다. 마이크의 송신부(b3)가 소리를 받으면 보청기의 수신부에 전달을 하고 그 신호를 진동으로 바꾸어 치아에 전달한다. 실리콘으로 만든 보청기의 쉘 모양(a1)은, 아래쪽 어금니 두 개에 끼울 수 있는 모양을 하고 있다. 쉘의 안쪽에 진동자(a2)가 있으며, 그 옆쪽으로 수신부(a3)가 있다. 조작부는 전원 버튼과 음량 조졀 버튼(b2), 그리고 소리가 출력할 때, 저음을 강화하는(Bass boost) 기능을 추가하여(b4) 저음출력을 강화 할 수 있다.

Claims (1)

  1. 외부에서 들리는 소리를 인체의 치아에 착용한 진동자롤 통하여 소리를 인지 할 수 있는 보청기에 있어서 인체의 왼쪽 아래 어금니 2개에 기기를 착용함과, 골전도 기술을 응용하여 소리를 전달하는 보청기, 외부 마이크를 사용하여 무선으로 수신하는 기능, 저음 강화기능을 넣어 또렷하게 소리를 인지 할 수 있는 기능
KR2020170006317U 2017-12-09 2017-12-09 골전도 치아 KR2019000145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317U KR20190001452U (ko) 2017-12-09 2017-12-09 골전도 치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317U KR20190001452U (ko) 2017-12-09 2017-12-09 골전도 치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452U true KR20190001452U (ko) 2019-06-19

Family

ID=67002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6317U KR20190001452U (ko) 2017-12-09 2017-12-09 골전도 치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1452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9811B1 (ko) 안경에 탈부착되는 무선형 헤드셋
US20070058831A1 (en) Ear ring type two way wireless mini-ear piece
US20100208924A1 (en) Power direct bone conduction hearing aid system
BR9205478A (pt) Aparelho (de audicao auxiliar) apropriado para emprego no meato acustico externo e aparelho para surdez
EP1197123A1 (en) Earphone without impulse noise and surroundings blockade
US8411890B2 (en) Hearing aid
TWI577193B (zh) 耳膜助聽器
CN202721821U (zh) 一种助听器
JP3200299U (ja) 電気式発声補助装置
JP2002369295A (ja) 集音器とイヤホン用カバー
DK1377119T3 (da) Akustikmodul til et höreapparat
CN209299467U (zh) 一种骨传导耳机
KR102100845B1 (ko) 마이크를 외장한 난청 보상 장치
KR20080002026U (ko) 치아에 장착 골전도 보청기
KR200426390Y1 (ko)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폰
KR20190001452U (ko) 골전도 치아
JP6880862B2 (ja) ヘッドフォン
KR101067387B1 (ko) 무선 광통신을 이용한 보청 시스템
WO2004093493A1 (ja) 骨伝導型補聴器
KR20040066765A (ko) 지향성 조절을 향상시킨 양이 귓속형 디지털 보청기 구조설계
JP3187151U (ja) 対話聴力補助器
JP4134551B2 (ja) 聴覚補助装置
CN220545143U (zh) 一种声波迭加结合的助听耳机
KR101748167B1 (ko) 마이크로폰 겸용 손잡이 기능을 갖는 초소형 보청기
KR20180136167A (ko) 골전도 안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