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0932A - 이마와 콧등을 이용한 무호흡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이마와 콧등을 이용한 무호흡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0932A
KR20170100932A KR1020160023439A KR20160023439A KR20170100932A KR 20170100932 A KR20170100932 A KR 20170100932A KR 1020160023439 A KR1020160023439 A KR 1020160023439A KR 20160023439 A KR20160023439 A KR 20160023439A KR 20170100932 A KR20170100932 A KR 20170100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snoring
forehead
apnea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3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헌
김경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노스
Priority to KR1020160023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0932A/ko
Publication of KR20170100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09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B5/0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5Measuring impedance of respiratory organs or lung elastic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도마이크부(80);
골도마이크부(80)와 골도스피커(100)가 골도진동 위치에 오도록 결합시키고,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120)를 수용하며 이마와 콧등을 덮도록 기능하는 이마베이스(90);
이마베이스(90)에 추가로 설치되어 코골이 및 무호흡을 중단하도록 자극하는 피부자극수단(110); 및
골도마이크부(80)를 통한 무호흡 및 코골이를 인식하고 피부자극수단(110)이나 골도스피커(100)에 무호흡 방지용신호를 보내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120)을 포함하는 골도마이크를 이용한 코골이 및 무호흡방지장치이다.

Description

이마와 콧등을 이용한 무호흡방지장치{Apnea preventing device with forehead cover}
본 발명은 이미와 콧등을 이용한 무호흡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 전도 스피커(Bone conduction speaker)는 공기전도방식 (Air conduction)의 스피커와는 달리 입력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진동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진동신호는 두개골( Cranialbone) 이나 턱뼈를 통해 외이나 중이를 거치지 않고, 직접 달팽이관으로 전달된 후 청각신경을 통해 뇌로 전달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또한 이소골에 구성된 3개의 뼈를 경유하지 않고 와우에 보내어지므로 고막이나 이소골에 이상이 있는 난청자라도 와우와 청각신경이 정상이라면 골 전도로 명확하게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난청자에게는 보청기 대용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또한 난청장애가 없는 일반인에게는 귀를 막지 않고 사용함으로서 난청예방을 통한 청각보호와 주변소리를 동시에 수신 할 수 있으며 소음공해가 심한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골전도 스피커는 골전도 헤드셋(Bone conduction Headset)에 결합된 형태로 많이 제작되는데, 골전도 헤드셋은 골전도 스피커가 귀 전면부의 얼굴 측면부(관자놀이 부분)나 귀 후면부 및 머리부분의 이마에 착용되면, 입력되는 소리가 고막을 통하지 않고 청신경으로 직접 전달됨으로서, 일반 보청기를 사용할 수 없는 난청자와 전음성난청(외이나 중이에 장애가 있는 경우)자는 물론, 건강한 달팽이관을 가졌음에도 난청으로 고통 받고 있는 중이의 기관들이 손상된 자에게는 다양하고 광범위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아울러 난청 장애우가 아닌 일반인들도 골 전도 헤드셋을 사용 시에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골 전도 스피커를 적용한 휴대폰이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골전도 헤드셋은 기존의 공기전도 방식(Air conduction)의 헤드셋에 비해 소리의 3대 요소인 주파수, 진폭 및 음색이 절대적으로 미흡하며, 소리의 3대 요소를 충족하지 못하는 기술의 한계성으로 인해, 모노신호(MonoSignal)와 스테레오신호 (Stereo Signal)를 처리하는 골전도 스피커(Bone conduction speaker)가 구분되어 보급되고 있다.
모노신호 처리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골전도 스피커가 국내등록특허 제10-586140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특허는 스테레오 신호 처리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아 통신용 등의 제한된 분야에서만 사용되고 있다.
한편, 오디오용으로 적용되는 골전도 스피커(Boneconduction speaker)가 다양한 구조로 개발되고 있으나, 이들 또한 스테레오 신호(StereoSignal)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스피커의 기본인 소리의 3대 요소를 충족하지 못함으로써 오디오 수신용으로서의 제기능을 구현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종래 오디오용 골전도 스피커는 크게 진동판이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하우징 방사형과 진동판이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 내장형으로 구분된다. 하우징 방사형 골전도 스피커의 전형적인 예가 국내공개특허 제10- 2007- 35376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 방사형 골전도 스피커는 진동수단인 진동링에 연결된 쿠션링이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된 형태를 취하여 진동링의 진동이 쿠션링을 통해 청각신경으로 전달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 방사형 골전도 스피커의 구조는 쿠션링을 인체의 뼈에 밀착시켜 사용한다는 점 외에는 종래의 공기전도 방식(Air conduction)의 스피커와 구성 및 원리가 동일하다.
이러한 원리에 기인하는 골전도스피커는 국내특허등록 제10-0586140호, 국내특허등록 제10-0799428호, 국내특허등록 제10-0872762호로 알려져 있다.
한편 골도마이크는 국내공개특허 제10-2005-0046888호로 알려져 있다.
또한 진동을 발생하는 기술로는 국내특허등록 제 10-0369099호와 국내특허등록 제10-0431718호와 같은 진동모터가 알려져 있다.
또한 30대 이상의 성인들 중에서 코골이를 심하게 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이러한 코골이는 극심한 피로, 비만, 스트레스, 비염, 인후염에 의한 원인으로 꼽고 있다. 문제는 이러한 코골이 중에 수초에서 수 십초 정도 호흡이 중지되는 무호흡증을 일으켜 심한 피로현상을 가져와 생활의 질을 급격히 저하시켜 학습과 일의 효율성을 저하시키고 산업재해와 교통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고 심하면 체내 산소공급 부족으로 인하여 심혈관활동과 뇌 활동의 부전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부정맥, 심근경색, 심부전 등의 심질환자와 뇌경색 및 뇌졸증의 병력을 가진 뇌질환자의 경우에 이러한 수면 무호흡증으로 인한 돌연사와 급사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수면 무호흡증으로 인한 피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 수면 무호흡증을 가진 사람이 스스로 조심하면 되겠지만, 불행하게도 수면 무호흡증은 본인이 자각할 수 없다. 따라서 수면 무호흡증을 옆에 있는 가족들이 말하여 주어야 하지만, 7시간의 수면 중에 20회 이상 호흡이 정지되는 상태가 수면무호흡증인 것을 감안한다면 주위 사람들이 자지 않고 장시간 관찰하는 것도 간단한 것이 아니다.
수면 무호흡으로 인해 아이들에게는 집중력 결여로 인한 산만한 행동, 주간의 과도한 졸리움, 불규칙한 수면 자세, 흉곽 수축(rib cage retraction), 늑골 발적(flaring of the ribs)의 증상들이 나타나게 되며, 학업성적저하, 심리적 또는 정신적인 장애를 유발하기도 한다. 또한, 유아나 신생아들의 수면중 급사의 원인이 되기도한다. 수면 무호흡은 일반적으로 폐쇄성(obstructive), 혼합성(mixed), 중심성(central)의 세 가지로 나뉜다.
이중 폐쇄성 수면 무호흡은 반복적인 상기도(upper airway)의 폐쇄로 특징 지어지고, 임상적으로는 야간 수면중 10초 이상 호흡을 하지않는 증세가 1시간당 5번 이상 나타나거나 7시간의 수면동안 30회 이상 나타나면 수면 무호흡 증후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코골이는 상기도의 연구개(soft palate)가 떨려서 나는 소리로서 수면 무호흡 증후군을 의심할 수 있는 강력한 예측인자(precursor)가 될 수 있다.
음압의 변화를 감지하여 세라믹 압전센서가 등장하고 이러한 세라믹센서 위에 실리콘고무를 코팅하여 표면 압력을 가하면 압력의 변화를 감지한 압전센서는 인체의 흉부에 설치한 신축형 벨트에 결합시키되 신축형 벨트 안쪽에 압력센서를 위치시켜서 호흡시 폐와 횡격막의 위치 변화에 따른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며, 이러한 압전센서를 사용하여 지첨맥파신호를 측정하는 기술이 특허 등록받은바 있다(특허번호 제383459호,"가속도맥파측정장치" ).
또한, 호흡리듬신호를 받을 수 있는 수신장치를 통해서 컴퓨터에 입력하여 호흡리듬신호를 실시간으로 표시하여 감시할 수 있는 수면 무호흡증의 무선 감시 장치가 국내 공개특허 10-2006-0005092호로 알려졌는바, 도 1 과 같이 호흡시 흉부의 움직임에 따라 연동하는 호흡리듬을 감지하기 위하여 압전센서를 부착한 센서장착벨트(10)와 이러한 압전센서에 얻어진 연속적인 호흡리듬신호를 증폭하고 필터링하여 컴퓨터에 송신하는 장치로 구성된 송신부(11), 이러한 송신부가 수면중에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송신장치 장착벨트(12), 호흡리듬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수신부(13)와 호흡리듬신호를 A/D변환장치를 통해서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컴퓨터(14)로 구성된다.
도 2는 호흡리듬신호의 측정장치와 송신장치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인데 흉부에 접촉시켜 호흡에 의하여 폐와 횡격막과 흉부의 상하이동에 따른 변화를 감지하는 압전센서(20)와, 이러한 압전센서(20)는 센서장착벨트(10a)에 위치시켜 둘레조정과 탈착이 자유로운 벨트접착부(22)에 의하여 흉부에 고정된다. 압전센서(20)를 통해서 얻어진 호흡리듬신호는 신호전송선(21)을 통해서 송신부(11a)에 전달되고 송신장치 장착벨트(12a)로 허리에 고정되며 송신부(11a)에서 증폭, 변조된 호흡리듬신호는 송신용 안테나(23)를 통해서 무선으로 송출하는 구조를 이룬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센서검출밴드와 송신장치 장착벨트와 같이 2개의 벨트를 사용하는 불편함이 있고, 단순히 무호흡을 감시하는 기능만 가지는 것이어서 무호흡과 코골이를 방지하는 수단이 결여되고, 사용자를 진정으로 무호흡이나 코골이에서 방지하는 기능을 갖지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코골이를 방지하는 기술은 국내실용신안등록 제 20-0315260호로 알려진 바와 같이 도 3 및 도 4로 나타내면, 도 3은 코골이 방지용 제어 블록 구성도로, 제어부(30)는 마이크(40)를 통해 코골이 신호를 받아 아날로그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32)와,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32)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포트(P1)에서 분석하여 코골이 신호 인지를 판단하는 마이컴(33)과, 마이컴(33)의 포트(P2)를 통하여 출력하는 경보 신호를 제공받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키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34)와, 아날로그 변환된 신호를 증폭시키는 앰프(35)와, 앰프(35)를 통해 증폭된 신호를 음성 신호로 출력하는 스피커(36)를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도 4는 일반적인 코골이 신호의 파형 예시도로, 코골이 신호의 여부를 기준치(K1)보다 큰 신호를 일정 구간(T1) 동안 지속할 경우 코골이 신호로 인식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물론 코골이 신호로써 일정구간(T1)은 숨을 들이실 때 들리는 코골이 신호를, 일정 구간(T2)은 숨을 내시는 구간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러한 코골이 방지기술은 단순히 코골이를 방지하는 것이어서 무호흡 발생시나 깊은 잠에 들었을 때 이를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면용 안대는 눈을 가리는 안대와, 양단에 부가되어 눈을 가린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고정대로 이루어지며, 부가기능은 마사지 기능을 부가한 것이 알려져 있으나, 코골이 및 무호흡 방지관련 기능이 결합된 안대는 찾을 수 없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코골이의 인식을 주변의 소음에 영향을 받지않는 골도마이크를 통하여 코골이 여부를 인식하고, 코골이 방지 지시를 골도스피커를 통하여 지시함으로써 주변의 동료나 식구들이 잠을 깨는 것을 막아주고, 필요시 저주파자극을 주어 자세를 바꾸도록 유도하여 주위에 방해를 주는 소음없이 코골이를 방지토록 하는 이마와 콧등을 이용한 무호흡방지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코골이를 인식하는 골도마이크와 코골이방지를 유도하는 골도스피커를 이마와 콧등을 덮는 이마베이스에 설치하고, 이마베이스 내면에는 코골이방지를 유도하는 피부자극수단을 부가하여 이마베이스만 이마에 대면 별다른 수단 없이도 코골이를 방지하고, 무호흡도 방지토록 하며, 이마에만 결합하므로 잠자리 불편을 예방하도록 하는 이마와 콧등을 이용한 무호흡방지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원발명은 골도마이크부;
골도마이크부와 골도스피커가 골도진동 위치에 오도록 결합시키고,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수용하며 이마와 콧등을 덮도록 기능하는 이마베이스;
이마베이스에 추가로 설치되어 코골이 및 무호흡을 중단하도록 자극하는 피부자극수단; 및
골도마이크부를 통한 무호흡 및 코골이를 인식하고 피부자극수단이나 골도스피커에 무호흡 방지용신호를 보내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골도마이크를 이용한 코골이 및 무호흡방지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원발명은 코골이의 인식을 주변의 소음에 영향을 받지않는 골도마이크를 통하여 코골이 여부를 인식하고, 코골이 방지 지시를 골도스피커를 통하여 지시함으로써 주변의 동료나 식구들이 잠을 깨는 것을 막아주고, 필요시 저주파자극을 주어 자세를 바꾸도록 유도하여 주위에 방해를 주는 소음없이 코골이를 방지토록 한다.
본 발명은 코골이를 인식하는 골도마이크와 코골이방지를 유도하는 골도스피커를 이마와 콧등을 덮는 이마베이스에 설치하고, 이마베이스 내면에는 코골이방지를 유도하는 피부자극수단을 부가하여 이마베이스만 이마에 대면 별다른 수단 없이도 코골이를 방지하고, 무호흡도 방지토록 하며, 이마에만 결합하므로 잠자리 불편을 예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코골이를 인식하는 골도마이크와 코골이방지를 유도하는 골도스피커를 이마와 콧등을 덮는 이마베이스에 설치하고, 콧등은 언경코받침 같은 코받침으로 위치되도록 하여 정위치를 유지하도록 하고, 좌우 요동을 방지하여, 항상 일정한 마이크 인식값과 스피커 출력을 인식하여 데이타 비교시 정확한 비교가 가능하여 신뢰성이 높은 코골이 및 무호흡 방지를 가능토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수면무호흡증의 무선감시장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사시도,
도 3은 코골이방지장치 기능의 블럭 구성도,
도 4는 일반적인 코골이 상태를 나타내는 파형도,
도 5는 본 발명의 무호흡방지장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의 골도스피커 측면도,
도 7은 도 6의 A-A 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어블록도이다.
이하 본원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원발명은 골도마이크부(80);
골도마이크부(80)와 골도스피커(100)가 골도진동 위치에 오도록 결합시키고,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120)를 수용하며 이마와 콧등을 덮도록 기능하는 이마베이스(90);
이마베이스(90)에 추가로 설치되어 코골이 및 무호흡을 중단하도록 자극하는 피부자극수단(110); 및
골도마이크부(80)를 통한 무호흡 및 코골이를 인식하고 피부자극수단(110)이나 골도스피커(100)에 무호흡 방지용신호를 보내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12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이마베이스(90)는 수면안대 기능을 더하도록 이마에서 눈 까지 덮는 폭으로 구성하고,
상기, 이마베이스(90)에는 콧등의 곡면을 덮는 코받침(94)을 부가하여 좌우요동방지와 정위치를 안내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피부자극수단(110)은 저주파패드(111)이나, 진동모터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골도마이크부(80)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중심부와 코드 인출선(59) 및 콘넥터(58)가 안치되기 위한 소정 형상의 공간부를 갖으며, 골도 마이크부(80)의 측벽 및 하부를 형성하는 하부 케이스(50)를 포함한다. 하부 케이스(50)의 원통형의 중심부의 측벽 상부에는 계단형상의 턱(53)이 구비된다.
하부케이스(50)의 턱(53)에는 중간 케이스(60)가 안치된다. 중간 케이스(6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중간 케이스(60)의 내측으로는 원통형의 마이크 가이드(56)가 안치되며, 마이크 가이드(56)의 내부에 고감도의 마이크(57)가 삽입된다. 여기서, 중간케이스(60)의 측면 내부에는 마이크 가이드(56)와의 사이는 일정간격 이격된 측면 차음공간(S2)을 형성하여 차음 효과를 얻게 된다.
하부 케이스(50)의 상단에는 골도 마이크부(80)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 케이스(70)가 결합되며, 상부 케이스(70)의 내측으로는 사람의 두개골 피부와 접촉된 상부 케이스(70)로부터 전달된 진동에 의하여 상하 진동하는 진동판(54)이 상부 케이스(70) 의 상부로 돌출 형성되며, 이 진동판(54)은 상부케이스(70)의 내측 마이크가이드(56) 내의 마이크(57)의 상부에 형성된다. 진동판(54)이 상부케이스(70)의 상부로 돌출 형성됨으로서 진동판(54)의 내부에는 소리증폭공간(S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 케이스(70)와 진동판(54)사이에는 외부 소음을 차단할 수 있는 신축성 있는 재질의 봉인재(55)를 형성하여 외부의 소음에 의한 상부 및 하부 케이스(70)(50)의 진동이 진동판(54)에 그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한다. (90)은 콜렉터(58)의 코드인출선(59)과 결합하는 결합실드, (30)은 콘넥터하우징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어블록도로,
제어부(120)는 골도마이크부(80)와 인출선(59)으로 연결되는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82);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82)를 통한 디지탈 값을 입력단(I1)으로 받아 인식하는 제어부(121);
제어부(121)의 일 출력단(P1)을 통한 코골이 방지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탈아날로그변환기(102); 및
제어부(121)의 일 출력단(P1)을 통한 코골이 방지 신호를 받아 피부자극수단(110)을 구동하는 출력모드를 선정하는 구동부(114)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제어부(120)는 디지탈아날로그변환기(102)의 출력을 받아 골도로 출력을 인가하는 골도스피커(100); 및
구동부(114)의 구동 신호에 연동하여 출력하는 저주파패드(111) 나 진동모터(113)로 이루어진 피부자극수단과 결합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원발명은 코골이 방지를 위하여 사용자가 코골이를 하는 것을 인식하는 수단이 일반적인 마이크를 사용하거나 압전센서를 사용하는 방식이 아니고, 골도마이크부(80)를 사용하므로 외부 잡음이 마이크에 섞이지 않아 정확한 코골이 인식을 가능토록 한다. 골도마이크부(80) 자체는 알려진 기술이므로 작동원리나 동작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골도마이크부(80)를 이마베이스(90)의 이면에 결합하고, 도 8에 보인 제어수단(120)의 제어구성은 이마베이스(90)의 일개소에 설치하거나 골도마이크부(80)에 부가적으로 구성할 수도 있는바, 이는 인쇄회로기판이 요즘은 플렉시블 기판도 구현 가능하므로 설치가능한 공간에 형성하면 된다. 물론 구동 전원(+)은 바테리를 사용할 수도 있고, 상용전원을 사용하는 어댑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골도마이크부(80)를 통하여 인식되는 소위 도 4 와 같은 코골이 신호가 들어오면 이를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82)에서 디지탈 값으로 변환하여 입력단(I1)으로 제어부(121)에 인가한다. 제어부는 설정한 코골이나 무호흡 여부를 인식하여 출력단(P1)으로 코골이나 무호흡 하고 외치도록 내장된 디지탈 음원을 출력하면. 디지탈아날로그변환기(102)에서는 이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골도스피커(100)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인하도록 하여 코골이나 무호흡을 방지하도록 한다.
동시에 또는 출력단(P1)으로의 출력 후에 출력단(P2)을 통하여 피부자극수단(110)을 구동하도록 지령한다.
출력단(P2)을 통한 피부자극수단(110)은 구동부(114)의 내장 모드나 저장 파형에 기초하여 저주파패드(111)를 통한 이마 자극으로 강제로 사용자의 몸을 움직이게하여 코골이나 무호흡을 방지하도록 한다. 저주파 자극 자체는 알려진 기술이므로 이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피부자극수단(110)은 진동모터를 통한 진동력을 이마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강제로 인식하도록 하는바, 강한 자극으로 인하여 실제로 사용효과가 가장 좋다. 진동모터는 휴대폰 등의 진동모드를 구현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아울러 본원발명은 이마베이스(90)가 사용자의 눈을 덮는 폭으로 구성하였기에 수면용 안대로 사용 가능하고, 코받침(94)이 안경코받침 처럼 콧등을 덮는 형태이므로 정위치 유지에 유리하고, 눈과 이마만 덮는 형태이므로 옆으로 누어 자도 자는데 불편함이 없고, 사용이 편리하다. 물론 착용시에는 이마베이스(90)를 프렉시블한 탄성밴드(94)로 머리를 감아 착용하면 정위치를 유지하며 착용시 불편함이 없다.
10,10a;센서장착밴드 11,11a;송신부 12,12a;송신장치장착벨트 13;수신부 14;컴퓨터 20;압전센서 21;전선 23;송신용안테나 30;제어부 32;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 33;마이컴 34;디지탈아날로그변환기 35;증폭기 36;스피커 40;마이크 50;하부케이스 53;턱 54;진동판 55;봉인재 56;마이크가이드 57;마이크 58;콘넥터 59;인출선 60;중간케이스 70;상부케이스 80;골도마이크부 82;아날로그디자탈변환기 90;이마베이스 93;밴드 94;코받침 100;골도스피커 102;디지탈아날로그변환기 110;피부자극수단 111;저주파패드 112;쿠션재 114;구동부 120;제어수단 121;제어부

Claims (3)

  1. 골도마이크부(80);
    골도마이크부(80)와 골도스피커(100)가 골도진동 위치에 오도록 결합시키고,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120)를 수용하며 이마와 콧등을 덮도록 기능하는 이마베이스(90);
    이마베이스(90)에 추가로 설치되어 코골이 및 무호흡을 중단하도록 자극하는 피부자극수단(110); 및
    골도마이크부(80)를 통한 무호흡 및 코골이를 인식하고 피부자극수단(110)이나 골도스피커(100)에 무호흡 방지용신호를 보내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120)을 포함하는 골도마이크를 이용한 코골이 및 무호흡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이마베이스(90)는 수면안대 기능을 더하도록 이마에서 논 까지 덮는 폭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이마와 콧등을 이용한 무호흡방지장치.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이마베이스(90)에는 콧등의 곡면을 덮는 코받침(94)을 부가하여 좌우요동방지와 정위치를 안내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마와 콧등을 이용한 무호흡방지장치.
KR1020160023439A 2016-02-26 2016-02-26 이마와 콧등을 이용한 무호흡방지장치 KR201701009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439A KR20170100932A (ko) 2016-02-26 2016-02-26 이마와 콧등을 이용한 무호흡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439A KR20170100932A (ko) 2016-02-26 2016-02-26 이마와 콧등을 이용한 무호흡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0932A true KR20170100932A (ko) 2017-09-05

Family

ID=59924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3439A KR20170100932A (ko) 2016-02-26 2016-02-26 이마와 콧등을 이용한 무호흡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093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39980B2 (en) 2019-09-22 2021-06-22 Third Wave Therapeutics, Inc. Applying predetermined sound to provide therapy
KR20210108724A (ko) 2020-02-26 2021-09-03 이형렬 전기자극을 이용한 코골이 방지장치
WO2021152151A3 (en) * 2020-01-31 2021-10-14 Kuartismed Medikal Ltd. Sti.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feeding maturation
CN117137719A (zh) * 2023-05-26 2023-12-01 青岛海尔益康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健康监测安眠眼罩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39980B2 (en) 2019-09-22 2021-06-22 Third Wave Therapeutics, Inc. Applying predetermined sound to provide therapy
WO2021152151A3 (en) * 2020-01-31 2021-10-14 Kuartismed Medikal Ltd. Sti.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feeding maturation
KR20210108724A (ko) 2020-02-26 2021-09-03 이형렬 전기자극을 이용한 코골이 방지장치
CN117137719A (zh) * 2023-05-26 2023-12-01 青岛海尔益康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健康监测安眠眼罩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72940B (zh) 用于颈部背面的感官刺激或监视装置
US10870003B2 (en) Wearable alarm system for a prosthetic hearing implant
US8325963B2 (en) Bone-conduction microphone built-in headset
JP5586467B2 (ja) オープンイヤー骨伝導聴取デバイス
CA2653922C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udio signals
CA2749928C (en) Dental bone conduction hearing appliance
US20160323679A1 (en) Intraoral appliance for sound transmission via bone conduction
US20110319021A1 (en) Intra-oral tissue conduction microphone
US8867994B2 (en) Signal transmission via body conduction
KR100958106B1 (ko) 골전도 스피커 및 넥마이크를 구비한 다기능 헤드셋
JP2005535233A (ja) 娯楽用の骨伝導オーディオ装置及びシステム
JP7262850B2 (ja) 乳様突起及び耳介を同時に刺激する耳鳴り治療専用の骨伝導ヘッドセット
KR20170100932A (ko) 이마와 콧등을 이용한 무호흡방지장치
US20120243714A9 (en) Microphone placement for oral applications
EP3021599A1 (en) Hearing device having several modes
KR20170133823A (ko) 이갈이 방지 장치 및 방법
KR20170100931A (ko) 골도마이크를 이용한 코골이 및 무호흡방지장치
CN111988696A (zh) 耳机
KR20100014752A (ko) 골전도 스피커 및 넥마이크를 구비한 다기능 헤드셋
KR20080002026U (ko) 치아에 장착 골전도 보청기
US20240244385A1 (en) Bone Conduction Hearing Aid
WO2009072107A2 (en) Apparatus for imparting hearing ability to babies, children and adults
JP2023155101A (ja) 骨伝導補聴器
TW201640917A (zh) 聽覺輔助裝置與聽覺輔助運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