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4087B1 - 복합소재 자동적층용 압착 롤러 장치 - Google Patents

복합소재 자동적층용 압착 롤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4087B1
KR101934087B1 KR1020170100378A KR20170100378A KR101934087B1 KR 101934087 B1 KR101934087 B1 KR 101934087B1 KR 1020170100378 A KR1020170100378 A KR 1020170100378A KR 20170100378 A KR20170100378 A KR 20170100378A KR 101934087 B1 KR101934087 B1 KR 101934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ressure
compartment
roller
compart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0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진
권혜인
김환국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섬유기계융합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섬유기계융합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섬유기계융합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00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40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4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4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4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 B29C70/42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70/44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using isostatic pressure, e.g. pressure difference-moulding, vacuum bag-moulding, autoclave-moulding or expanding rubber-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18Thermoforming apparatus
    • B29C51/20Thermoforming apparatus having movable moulds or moul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02Bending or folding
    • B29C53/04Bending or folding of plates or sheets
    • B29C53/043Bending or folding of plates or sheets using rolls or endless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5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e.g. feeding or storage of prepregs or SMC after impregnation or during age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공기의 출입이 자유로운 복수 개의 에어백 구조의 격실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본체로 이루어진 복합소재 자동적층용 압착 롤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성형품의 성형 시 공기압 조절식 플렉시블 롤러 내에 형성시킨 공기의 출입이 가능한 복수 개의 에어백 구조의 격실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품질이 균일한 다양한 곡면을 갖는 성형품의 제조가 가능하고, 또한 공기압 조절식 플렉시블 롤러를 이용하여 프리프레그층 내에 침투한 공기를 제거하여 다양한 곡면을 갖는 프리프레그층의 적층 구조를 균일하도록 성형함과 동시에 열풍 히터로부터 발산되는 열풍에 의해 프리프레그층이 신속하게 경화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복합소재 자동적층용 압착 롤러 장치{Crimp roller device for composite layer automatic layer}
본 발명은 복합소재 자동적층용 압착 롤러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공기의 출입이 가능한 도우넛 형상인 복수 개의 에어백 구조의 격실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본체로 이루어진 공기압 조절식 플렉시블 롤러로서, 탄소섬유, 유리섬유 또는 부직포 등을 합성수지에 함침시킨 프리프레그(prepreg)를 사용하여 다양한 곡면이 형성되는 성형품의 성형 시 공기압 조절식 플렉시블 롤러의 각 격실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프리프레그층을 압착하여 성형함으로써, 품질이 균일한 성형품의 제조가 가능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 자동적층용 압착 롤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탄소섬유, 유리섬유 또는 부직포 등을 사용하여 제조한 성형품은 그 형상이 평탄한 평면 구조인 성형품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상의 곡면을 갖는 구조의 성형품이 제조되고 있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곡면을 갖는 구조의 성형품의 제조 시에는 특허문헌 1에 제안된 바와 같이 핸드레이업(Hand Lay-up) 공법에 의해 원하는 형상으로 제작된 금형에 이형제를 수차례 도포한 다음 탄소섬유, 유리섬유 또는 부직포 등을 합성수지에 함침시킨 프리프레그(prepreg)를 수작업에 의해 수차례 적층한 후 진공성형에 의해 프리프레그 내에 침투한 공기를 제거하여 성형품을 제조한다.
상기 특허문헌 1의 방법과 같이 탄소섬유, 유리섬유 또는 부직포 등을 합성수지에 함침시킨 프리프레그를 이용한 성형품의 제조는 프리프레그를 적층한 다음 프리프레그층을 수작업에 의해 평탄하게 형성시킴으로써, 완성된 성형품이 불균일한 적층 구조에 의한 불량품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수작업에 의해 생산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110)와 상기 샤프트(110)의 외주 둘레에 밀착되고 공기 가압에 의해 팽창된 상태의 탄성 튜브(12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롤러(100)를 적용시킬 경우 평면 구조의 프리프레그층을 평탄하게 작업할 수 있지만,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도전성 롤러는 특허문헌 2에 제안된 바와 같이 컴퓨터(computer)나 스캐너(scanner)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신호에 따라 화상신호를 기록매체인 인쇄용지에 가시 화상의 형태로 옮기는 장치로서, 평탄한 구조를 갖거나 또는 일부 완만한 곡면을 갖는 구조의 평탄화 작업은 가능하지만 다양한 곡면을 갖는 성형품을 평탄화하기 위한 작업에는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다양한 곡면이 형성되는 성형품의 제조를 위한 복수 개의 에어백 구조의 격실이 형성된 플렉시블 롤러를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특허문헌 1 :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118687호(2012년 02월 14일 등록) 샌드위치형 복합판재의 제조방법 특허문헌 2 :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25584호(2011년 03월 10일 공개) 도전성 롤러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탄소섬유, 유리섬유 또는 부직포 등을 합성수지에 함침시킨 프리프레그(prepreg)를 사용하여 다양한 곡면이 형성되는 성형품의 성형 시 공기압 조절식 플렉시블 롤러 내에 형성시킨 공기의 출입이 가능한 도우넛 형상인 복수 개의 에어백 구조의 격실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프리프레그층을 압착하여 성형함으로써, 품질이 균일한 다양한 곡면을 갖는 성형품의 제조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 자동적층용 압착 롤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공기압 조절식 플렉시블 롤러를 이용하여 프리프레그층 내에 침투한 공기를 제거하여 다양한 곡면을 갖는 프리프레그층의 적층 구조를 균일하도록 성형함과 동시에 열풍 히터로부터 발산되는 열풍에 의해 프리프레그층이 신속하게 경화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 자동적층용 압착 롤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성형판(M)이 안착되는 안착구가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10);와, 공기압 조절식 플렉시블 롤러(20)가 장착된 압착수단(30);과, 상기 공기압 조절식 플렉시블 롤러(20)의 내부 공기압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0); 및, 상기 공기압 조절식 플렉시블 롤러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펌프(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 자동적층용 압착 롤러 장치를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압착수단(30)은 상부 프레임(310)의 양 끝단에 측면 프레임(320)이 구비되고, 상부 프레임(310)의 상부에 공기압 조절식 플렉시블 롤러가 이동하는 진행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게 후방 프레임(330)이 결합되고, 상기 후방 프레임(330)의 후방 부분에 하부 방향으로 직교되게 열풍 히터(60)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압 조절식 플렉시블 롤러(20)는, 롤러(20)의 중심에 관통설치되고 압착수단의 측면 프레임(320)에 장착되는 파이프 형태의 회전축(210);과, 회전축(210)에 형성된 공기 유입공(230a)과 공기 배출공(230b)을 통해 공기의 이동이 가능하게 회전축(210)을 중심으로 도우넛 형상인 복수 개의 에어백 구조의 격실(220);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210)과 격실(220)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210)은 공기 공급 펌프에 의해 복수 개의 격실 내에 공기가 공급되는 복수 개의 공기공급관(210a, 210b)이 내설되고, 복수 개의 격실(220) 내에는 격실 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240)가 설치되고, 압력센서(240)에 의해 측정된 압력값이 제어부(40)로 전송된다.
상기 복수 개의 에어백 구조의 격실(220)은 탄성을 갖는 합성고무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착수단(30)은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일측과 압착수단(30)의 상부 프레임(310) 중심부에 결합된 다관절 로봇암(70)의 작동에 의해 성형판(M)에 적층시킨 프리프레그층을 압착하면서 이동하고, 상기 다관절 로봇암(70)은 복수 개의 관절(710)이 힌지(72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로서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탄소섬유, 유리섬유 또는 부직포 등을 합성수지에 함침시킨 프리프레그(prepreg)를 사용하여 다양한 곡면이 형성되는 성형품의 성형 시 공기압 조절식 플렉시블 롤러 내에 형성시킨 공기의 출입이 가능한 도우넛 형상인 복수 개의 에어백 구조의 격실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프리프레그층을 압착하여 성형함으로써, 품질이 균일한 다양한 곡면을 갖는 성형품의 제조가 가능하고, 또한 공기압 조절식 플렉시블 롤러를 이용하여 프리프레그층 내에 침투한 공기를 제거하여 다양한 곡면을 갖는 프리프레그층의 적층 구조가 균일하도록 성형함과 동시에 열풍 히터로부터 발산되는 열풍에 의해 프리프레그층이 신속하게 경화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핸드레이업(Hand Lay-up) 공법에 의해 금형에 프리프레그를 적층시킨 상태를 찍은 사진.
도 2는 종래의 공기 가압에 의해 팽창된 상태의 탄성 튜브가 구비된 도전성 롤러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복합소재 자동적층용 압착 롤러 장치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복합소재 자동적층용 압착 롤러 장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복합소재 자동적층용 압착 롤러 장치의 정면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복합소재 자동적층용 압착 롤러 장치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기압 조절식 플렉시블 롤러가 프리프레그층을 압착하는 상태를 내부 구조를 정면에서 절단하여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기압 조절식 플렉시블 롤러의 내부 구조를 측면으로 절단하여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기압 조절식 플렉시블 롤러에 공기가 공급 및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복합소재 자동적층용 압착 롤러 장치에 의해 제조된 곡면이 형성된 성형품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시한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이 기술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도면의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소재 자동적층용 압착 롤러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곡면이 형성되는 성형품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판(M)에 탄소섬유, 유리섬유 또는 부직포 등을 합성수지에 함침시킨 프리프레그(prepreg)를 적층한 다음 공기 공급 펌프(50)를 이용하여 공기압 조절식 플렉시블 롤러(20)의 복수 개의 격실 내에 공기를 공급하고, 제어부(40)에 의해 각 격실의 압력을 균일하게 제어하여 곡면이 형성된 성형판(M)에 적층시킨 프리프레그(prepreg)에 압력을 가하여, 품질이 균일한 다양한 곡면을 갖는 성형품의 제조가 가능하고, 또한 공기압 조절식 플렉시블 롤러를 이용하여 프리프레그층(P) 내에 침투한 공기를 제거하여 프리프레그층(P)의 적층 구조가 균일하도록 성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복합소재 자동적층용 압착 롤러 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의 내용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소재 자동적층용 압착 롤러 장치는 도 4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판(M)이 안착되는 안착구가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10);와, 공기압 조절식 플렉시블 롤러(20)가 장착된 압착수단(30);과, 상기 공기압 조절식 플렉시블 롤러(20)의 내부 공기압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0); 및, 상기 공기압 조절식 플렉시블 롤러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펌프(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압착수단(30)은 도면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310)의 양 끝단에 측면 프레임(320)이 구비되고, 상부 프레임(310)의 상부에 공기압 조절식 플렉시블 롤러가 이동하는 진행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게 후방 프레임(330)이 결합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후방 프레임(330)의 후방 부분에는 하부 방향으로 후방 프레임(330)을 관통하여 직교되게 열풍 히터(60)가 장착된다.
따라서, 압착수단(30)이 성형판(M)의 상부에 탄소섬유, 유리섬유 또는 부직포 등을 합성수지에 함침시킨 프리프레그를 적층한 층의 상부를 공기압 조절식 플렉시블 롤러(20)를 이용하여 압력을 가하여 이동시 프리프레그층(P) 내에 침투한 공기를 제거하여 다양한 곡면을 갖는 프리프레그층(P)의 적층 구조가 균일하게 성형되면서, 공기압 조절식 플렉시블 롤러가 진행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에 구비된 열풍 히터(60)로부터 발산되는 열풍에 의해 프리프레그층(P)을 신속하게 경화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공기압 조절식 플렉시블 롤러(20)는, 롤러(20)의 중심에 관통설치되고 압착수단의 측면 프레임(320)에 장착되는 파이프 형태의 회전축(210);과, 회전축(210)에 형성된 공기 유입공(230a)과 공기 배출공(230b)을 통해 공기의 이동이 가능하게 회전축(210)을 중심으로 도면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우넛 형상인 복수 개의 에어백 구조의 격실(220);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210)과 격실(220)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210)은 공기 공급 펌프에 의해 복수 개의 격실 내에 공기가 공급되는 복수 개의 공기공급관(210a, 210b)이 내설된다.
상기 격실에 유입되고, 배출되는 공기는 역류하지 않도록 공기 유입공(230a)과 공기 배출공(230b)에는 각각 체크밸브가 장착되진다.
그리고 복수 개의 격실(220) 내에는 격실 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240)가 설치되고, 압력센서(240)에 의해 측정된 압력값이 제어부(40)로 전송된다. 격실(220) 내에 설치되는 압력센서(240)는 격실(220)과 회전축(210)이 접촉되는 부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격실(220) 내의 압력센서(240)를 설치하는 장소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곡면이 형성된 성형판(M)에 적층시킨 프리프레그를 적층시킨 층(P)을 복합소재 자동적층용 압착 롤러 장치를 사용하여 압착시킬 때, 예를 들면, 상기 격실(220)은 도면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압 조절식 플렉시블 롤러의 격실(220a) 면이 곡면이 볼록하게 형성된 프리프레그층(F)과 접촉할 경우에는 격실(220a)의 부피(V1)이 줄어들면서 격실(220a) 내의 압력(P1)이 높아지면 격실(200a) 내에 설치된 압력센서(240)가 높아지는 압력을 감지하여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공기 배출공(230b)이 열리면서 격실(200a) 내의 공기가 공기 배출공(230b)을 통해 회전축(210)의 빈 공간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진다.
그리고 롤러의 격실(220b) 면이 곡면이 오목하게 형성된 프리프레그층(F)과 접촉할 경우에는 격실(220b)의 부피(V2)가 인접한 격실(220a)의 부피(V1)에 비해 상대적으로 증가하면서 격실(220b) 내의 압력(P2)이 인접한 격실(220a) 내의 압력(P1)에 낮아지는 압력을 감지하여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공기 유입공(230a)이 열리면서 공기 공급 펌프(50)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가 회전축(210)에 내설된 공기 공급관(210a)을 통해 격실(220b) 내에 공급되면서 격실(220a)와 인접한 격실(220b)는 제어부(40)에 의해 항상 일정한 공기압을 유지하게 된다.
즉, 성형판(M)에 적층된 프리프레그층(P)의 다양한 곡면이 공기압 조절식 플렉시블 롤러의 면에 밀착되면, 곡면의 형상에 따라 롤러의 면이 압축되면서 각 격실(220) 내에 유입된 공기의 압력(P1 내지 P4)가 상이하게 되고, 각 격실(220) 내의 압력을 감지한 압력센서(240)가 측정한 압력을 제어부(40)로 전송하면, 제어부(40)에서는 격실 내의 압력센서(240)에 의해 측정된 공기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40)에 의해 격실 내에 공기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격실(220) 내의 공기 압력이 낮을 경우에는 공기 공급 펌프(50)를 이용하여 공기공급관(210a, 210b)을 통해 공기 유입공(230a)을 통해 격실 내에 공기가 공급되고, 격실(220) 내의 공기 압력이 높을 경우에는 공기 배출공(230b)을 통해 회전축(210)의 내부 공간을 통해 외기로 배출되어진다.
본 발명에서 에어백 구조의 격실(220)은 탄성을 갖는 합성고무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며, 격실(220)을 보호하기 위하여 공기압 조절식 플렉시블 롤러(20)의 외부 탄성 특성을 갖는 합성고무 소재의 커버를 씌워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격실 소재로 사용하는 합성고무는 구체적으로 스틸렌부타디엔고무(SBR),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고무(NBR), 클로로프렌고무(CR), 부타디엔고무(BR), 이피디엠고무(EPDM), 실리콘고무 등과 같은 합성고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에서 한정한 종류의 합성고무 이외에도 동등한 성능을 갖는 합성고무일 경우에는 사용에 제한을 받지 아니한다.
상기 압착수단(30)은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일측과 압착수단(30)의 상부 프레임(310) 중심부에 결합된 다관절 로봇암(70)의 작동에 의해 성형판(M)에 적층시킨 프리프레그층(P)을 압착하면서 이동하고, 상기 다관절 로봇암(70)은 복수 개의 관절(710)이 힌지(72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로서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어진다.
이때, 상기 다관절 로봇암(70)은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압착수단(30)이 성형하고자 하는 성형재료로 사용되는 프리프레그층(P)의 특성에 따라 관절의 꺽임을 힌지(720)의 회전에 의해 조절하면서 프리프레그층(P)의 상부에 가하는 압력을 조절하고, 이동 속도가 제어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다관절 로봇암(70)은 복합소재 자동적층용 압착 롤러 장치의 규모에 따라 큰 장치가 사용될 경우에는 복수 개의 다관절 로봇암(70)이 장착되어 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소재 자동적층용 압착 롤러 장치는 탄소섬유, 유리섬유 또는 부직포 등을 합성수지에 함침시킨 프리프레그(prepreg)를 사용하여 다양한 곡면이 형성되는 성형품의 성형 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품질이 균일한 다양한 곡면을 갖는 성형품(S)의 제조가 가능하고, 동시에 열풍 히터(60)로부터 발산되는 열풍에 의해 프리프레그층(P)이 신속하게 경화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소재 자동적층용 압착 롤러 장치를 상기한 설명에 따라 도면을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베이스 플레이트
20 : 공기압 조절식 플렉시블 롤러
210 : 회전축
220 : 격실
230a : 공기 유입공
230b : 공기 배출공
30 : 압착수단
310 : 상부 프레임
320 : 측면 프레임
330 : 후방 프레임
40 : 제어부
50 : 공기 공급 펌프
60 : 열풍 히터
70 : 다관절 로봇암
710 : 관절
720 : 힌지
M : 성형판
P : 프리프레그층

Claims (6)

  1. 곡면이 형성되는 성형품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판(M)이 안착되는 안착구가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10);와,
    공기압 조절식 플렉시블 롤러(20)가 장착된 압착수단(30);과,
    상기 공기압 조절식 플렉시블 롤러(20)의 내부 공기압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0); 및 ,
    상기 공기압 조절식 플렉시블 롤러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펌프(50);로 이루어지되,
    상기 압착수단(30)은,
    상부 프레임(310)의 양 끝단에 측면 프레임(320)이 구비되고, 상부 프레임(310)의 상부에 공기압 조절식 플렉시블 롤러가 이동하는 진행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게 후방 프레임(330)이 결합되며, 상기 후방 프레임(330)의 후방 부분에 하부 방향으로 직교되게 열풍 히터(60)가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일측과 압착수단(30)의 상부 프레임(310) 중심부에 결합된 다관절 로봇암(70)의 작동에 의해 성형판(M)에 적층시킨 프리프레그층을 압착하면서 이동하고, 상기 다관절 로봇암(70)은 복수 개의 관절(710)이 힌지(72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로서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며,
    상기 공기압 조절식 플렉시블 롤러(20)는,
    롤러(20)의 중심에 관통설치되고 압착수단의 측면 프레임(320)에 장착되는 파이프 형태의 회전축(210);과, 회전축(210)에 형성된 공기 유입공(230a)과 공기 배출공(230b)을 통해 공기의 이동이 가능하게 회전축(210)을 중심으로 도우넛 형상인 복수 개의 에어백 구조의 격실(220);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210)과 격실(220)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축(210)은 공기 공급 펌프에 의해 복수 개의 격실 내에 공기가 공급되는 복수 개의 공기공급관(210a, 210b)이 내설되고,
    복수 개의 격실(220) 내에는 격실 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240)가 설치되고, 압력센서(240)에 의해 측정된 압력값이 제어부(40)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 자동적층용 압착 롤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에어백 구조의 격실(220)은 탄성을 갖는 합성고무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 자동적층용 압착 롤러 장치.
  6. 삭제
KR1020170100378A 2017-08-08 2017-08-08 복합소재 자동적층용 압착 롤러 장치 KR101934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378A KR101934087B1 (ko) 2017-08-08 2017-08-08 복합소재 자동적층용 압착 롤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378A KR101934087B1 (ko) 2017-08-08 2017-08-08 복합소재 자동적층용 압착 롤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4087B1 true KR101934087B1 (ko) 2018-12-31

Family

ID=64959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0378A KR101934087B1 (ko) 2017-08-08 2017-08-08 복합소재 자동적층용 압착 롤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40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3797B1 (ko) * 2019-10-10 2020-06-17 주식회사 연우케미칼 부표 제조장치
CN115008785A (zh) * 2022-06-27 2022-09-06 中航复合材料有限责任公司 一种适用于z形复合材料机身隔框毛坯的压实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9593A (ja) * 2004-05-19 2005-12-02 Fuji Heavy Ind Ltd 自動積層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9593A (ja) * 2004-05-19 2005-12-02 Fuji Heavy Ind Ltd 自動積層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3797B1 (ko) * 2019-10-10 2020-06-17 주식회사 연우케미칼 부표 제조장치
CN115008785A (zh) * 2022-06-27 2022-09-06 中航复合材料有限责任公司 一种适用于z形复合材料机身隔框毛坯的压实装置
CN115008785B (zh) * 2022-06-27 2023-08-22 中航复合材料有限责任公司 一种适用于z形复合材料机身隔框毛坯的压实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4087B1 (ko) 복합소재 자동적층용 압착 롤러 장치
JP6634378B2 (ja) アームエンドツーリング
US6406659B1 (en) Composite molding method and apparatus
US8741208B2 (en) Manufacturing a composite component
US8916073B2 (en) Method of making a natural rubber vacuum bag by spray processes, natural rubber vacuum bag made using spray process, and method for using natural rubber bag made using spray process
CA2092822C (en) Method for producing multilayer molded article
CN109895489A (zh) 制造楼面覆盖层产品的方法和设备以及楼面覆盖层产品
WO2014192601A1 (ja)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2003525141A (ja) 均等圧力を使った強化材料の真空補助樹脂含浸方法
CA244871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lding composite articles
JP6582429B2 (ja) サンドイッチ成形体およびその成形方法ならびに成形装置
CN2320066Y (zh) 柔性压辊
JPH0825303A (ja) 化粧板の製造方法及び装置及び化粧部材
CN113226691B (zh) 用于生产诸如车辆座椅之类的用于人体的支承元件的模制单元
CN107415455B (zh) 一种印刷机
US11130273B2 (en) Composite automated debulk machine for large scale parts
CN1777506B (zh) 车辆用表皮材料、车辆用座席以及该车辆用座席的制造装置
JP2919318B2 (ja) バケット形自動車用マットの製造方法
EP0992336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resin impregnated reinforced article
JP4190313B2 (ja) 熱可塑性樹脂成形品の製造装置
JP3810910B2 (ja) 分割型成形型による樹脂成形方法
KR102065996B1 (ko) 호일 워터 데칼 전사물 제작 방법
KR102077598B1 (ko) 호일 워터 데칼 전사물 및 그 제작 시스템
CN216423762U (zh) 一种覆黑膜无气泡的复合机
WO2022024359A1 (ja) 賦形装置および賦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