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4023B1 -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4023B1
KR101934023B1 KR1020160109823A KR20160109823A KR101934023B1 KR 101934023 B1 KR101934023 B1 KR 101934023B1 KR 1020160109823 A KR1020160109823 A KR 1020160109823A KR 20160109823 A KR20160109823 A KR 20160109823A KR 101934023 B1 KR101934023 B1 KR 101934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portable terminal
clip
coupling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9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4163A (ko
Inventor
김세한
Original Assignee
김세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세한 filed Critical 김세한
Priority to KR1020160109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4023B1/ko
Publication of KR20180024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4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4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4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휴대용 단말기가 놓이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일 측을 지지하는 고정 패드를 갖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놓인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타 측을 지지하는 제1위치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타 측과 소정 거리로 이격된 제2위치간에 직선 이동 가능한 이동패드를 갖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패드의 움직임을 상기 제2위치에서 고정시키는 탄성 플레이트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몸체부에 놓이는 과정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눌러지며, 상기 탄성 플레이트의 상기 이동패드 움직임 고정을 해제하는 버튼 및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집게부를 포함하며, 상기 집게부는 판상인 집게 본체와 상기 집게 본체의 중앙에 형성되는 집게 본체 홀과 상기 집게 본체의 양측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집게 다리 및 상기 집게 다리의 상부에 형성되는 집게 다리 상부 홀을 포함하는 집게 클립과, 상기 집게 본체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결합 본체와 상기 집게 본체 홀에 삽입되는 결합 다리 및 상기 결합 다리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부변이 상기 집게 본체의 하면에 접촉되는 결합 판을 포함하는 결합 클립 및 상기 집게 본체가 안착되는 홀더 본체 및 상기 집게 다리를 감싸는 홀더 다리를 포함하는 집게 홀더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APPARATUS FOR HOLDING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차량 내에서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네비게이션, PMP, PDA, DMB 플레이어, 전자사전, 휴대폰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하면서 사용함은 물론, 차량 내부에 거치하여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소형화되고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차량 내부에서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에 거치하여 사용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대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승하강 홀딩 부재를 눌러 휴대용 단말기를 홀딩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에 운전자의 양손을 필요로 하므로 운전 중에는 단말기 거치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단말기를 거치하거나 빼내는 과정에 다수의 동작을 필요로하므로 과정이 번거롭다.
한편, 상기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는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가 고정되는 몸체부와 이동부 및 휴대용 단말기를 차량에 거치하기 위한 집게부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집게부는 플라스틱 사출 구조물로 형성되는 집게 홀더와 집게 홀더에 결합되는 고정 볼트를 포함하며, 고정 볼트에 의하여 몸체부에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고정 볼트는 별도의 연결 부재에 의하여 집게 홀더와 결합되는데 연결 부재의 형상과 결합 구조가 복잡하여 사출 수지의 충진이 충분하지 않아 집게 홀더의 형상이 불완전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집게 홀더는 강도가 저하되어 사용중에 파손되거나, 고정 볼트와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집게 홀더의 강도와 고정 볼트와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가 놓이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일측을 지지하는 고정 패드를 갖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놓인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1위치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타 측과 소정 거리로 이격된 제2위치간에 직선 이동 가능한 이동 패드를 갖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 패드의 움직임을 상기 제2위치에서 고정시키는 탄성 플레이트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몸체부에 놓이는 과정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눌러지며, 상기 탄성 플레이트의 상기 이동 패드 움직임 고정을 해제하는 버튼 및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집게부를 포함하며, 상기 집게부는 판상인 집게 본체와 상기 집게 본체의 중앙에 형성되는 집게 본체 홀과 상기 집게 본체의 양측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집게 다리 및 상기 집게 다리의 상부에 형성되는 집게 다리 상부 홀을 포함하는 집게 클립과, 상기 집게 본체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결합 본체와 상기 집게 본체 홀에 삽입되는 결합 다리 및 상기 결합 다리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부변이 상기 집게 본체의 하면에 접촉되는 결합 판을 포함하는 결합 클립 및 상기 집게 본체가 안착되는 홀더 본체 및 상기 집게 다리를 감싸는 홀더 다리를 포함하는 집게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집게 클립은 상기 집게 다리의 하부에서 상기 집게 다리의 일면에서 타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며 수지가 유입되는 집게 다리 하부 홀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클립은 상기 결합 본체에 형성되는 결합 본체 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 본체 홀에 결합되는 고정 볼트에 의하여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판은 상기 결합 다리에서 하부변을 제외한 양측변과 상부변이 절개되고, 하부변을 중심으로 상기 결합 다리의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상부변이 상기 집게 본체의 하면과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게 클립 및 결합 클립은 상기 집게 홀더는 함께 인서트 사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는 집게 홀더와 고정 볼트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의 구조를 간단하여 사출되는 수지 물질이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영역에 용이하게 충진되면서 집게 홀더의 강도 및 고정 볼트와의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는 도 1의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고정 클립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탄성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가 이동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이동 패드가 휴대용 단말기의 폭에 대응하는 지점에 위치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8는 이동 패드가 휴대용 단말기의 폭보다 큰 지점에 위치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의 집게부를 나타내는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10은 집게 클립과 결합 클립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에서 실시예와 첨부한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는 도 1의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고정 클립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탄성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가 이동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이동 패드가 휴대용 단말기의 폭에 대응하는 지점에 위치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8는 이동 패드가 휴대용 단말기의 폭보다 큰 지점에 위치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의 집게부를 나타내는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10은 집게 클립과 결합 클립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10)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차량 내에 장착되며,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10)는 차량 내에서 다양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10)는 차량의 에어컨 송풍구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용 단말기는 차량 탑승자가 휴대 가능한 소형 단말기로, 핸드폰, 스마트폰, 테블릿 PC, 네비게이션, GPS 등을 포함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10)는 몸체부(110), 이동부(130), 탄성 플레이트(150), 버튼(160) 및 집게부(17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110)에는 휴대용 단말기가 놓인다. 상기 이동부(130)는 몸체부(110)에 대해 일 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한 구성으로, 휴대용 단말기가 놓일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휴대용 단말기를 지지한다. 상기 탄성 플레이트(150)는 이동부(130)의 움직임을 고정한다. 상기 버튼(160)은 탄성 플레이트(150)를 눌러 이동부(130)의 움직임 고정을 해제한다. 상기 집게부(170)는 몸체부(110)를 차량 송풍구에 고정시킨다.
상기 몸체부(110)는 몸체(111), 고정 패드(121), 그리고 커버(125)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11)는 휴대용 단말기가 놓이는 주요 영역을 형성한다. 상기 몸체(111)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111)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가이드 홈(112)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홈(112)은 이동부(130)의 이동 방향과 나란하게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홈(112)은 한 쌍이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112)에는 스프링(141)이 놓인다. 상기 몸체(111)의 일 단(111a)은 꺾이어 상부로 돌출된다.
상기 몸체(111)의 일 단에는 고정 패드(121)가 고정 결합한다. 상기 고정 패드(121)는 휴대용 단말기의 일단을 지지한다. 상기 고정 패드(121)는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패드(121)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패드(121)는 부딪힘으로 인한 휴대용 단말기의 손상을 예방한다.
상기 커버(125)는 몸체(111)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다. 상기 커버(125)는 상면이 평평하게 형성되며, 양단에는 체결 돌기(126, 127)가 커버(125)의 아래 방향으로 각각 형성된다. 상기 체결 돌기(126, 127)는 몸체(111)와의 조립 시, 몸체(111)에 형성된 체결 홈(113)에 체결된다. 상기 커버(125)에는 버튼 홀(128)이 형성된다. 상기 버튼 홀(128)은 이동 패드(133)와 인접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커버(125)의 일 측에는 충격감소패드(124)가 결합된다. 상기 충격감소패드(124)는 이동부(130)의 직선이동과정에서 이동 패드(133)와의 충격을 완화한다.
상기 이동부(130)는 이동 베이스(131), 이동 패드(133), 이동 샤프트(135), 스프링(141), 고정 클립(145)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 베이스(131)는 고정 패드(133)로부터 멀리 떨어진 몸체(111)의 타 측에 위치한다. 상기 이동 베이스(131)는 일 단(131a)이 상부로 돌출된다. 상기 이동 베이스(131)의 일 단(131a)은 몸체(111)의 일 단(111a)과 서로 마주한다.
상기 이동 패드(133)는 이동 베이스(131)에 고정 결합한다. 상기 이동 패드(133)는 고정 패드(121)와 조합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지지한다. 상기 이동 패드(133)는 고정 패드(121)와 동일한 형상 및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 패드(133)는 부딪힘으로 인한 휴대용 단말기의 손상을 예방한다.
상기 이동 샤프트(135)는 막대 형상을 가지며, 이동 패드(133)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된다. 이동 샤프트(135)는 일단이 이동 베이스(131)에 고정 결합한다. 예를 들면, 상기 이동 샤프트(135)는 한 쌍 제공되며,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상기 스프링(141)은 가이드 홈(112) 내에 놓이며, 이동 샤프트(135)에 삽입된다. 예를 들면, 상기 스프링(141)은 한 쌍 제공되며, 이동 샤프트(135)들에 각각 삽입된다.
상기 고정 클립(145)은 이동 샤프트(135)의 타단에 고정되며, 스프링(141)이 이동 샤프트(135)에서 빠지는 것을 차단한다. 고정 클립(145)에는 고정 돌기(146)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 돌기(146)는 탄성 플레이트(150)의 걸림부(157)에 걸릴 수 있으며, 이 경우 이동부(130)의 이동이 고정된다. 상기 고정 클립(145)은 제1결합 영역(145a), 제2결합 영역(145b) 및 고정 영역(146c)을 구비한다. 상기 제1결합 영역(145a)과 제2결합 영역(145b)은 각각 이동 샤프트(135)의 타단과 결합하는 영역이다. 상기 고정 영역(145c)은 제1결합 영역(145a)과 제2결합 영역(145b)을 연결하는 영역으로, 고정 돌기(146)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 플레이트(150)는 몸체(111)와 커버(125) 사이에서 몸체(111) 내에 위치한다. 탄성 플레이트(150)는 두께가 얇은 탄성 판으로 제공된다. 탄성 플레이트(150)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탄성 플레이트(150)는 제1영역(151), 제2영역(152) 및 제3영역(153)을 구비한다. 상기 제1영역(151)은 몸체(111)에 밀착 고정되는 영역으로 일 방향으로 길게 제공된다. 상기 제2영역(152)은 제1영역(151)의 일 측으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제3영역(153)은 제2영역(152)의 일 측으로부터 제1영역(151)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3영역(153)은 몸체(111)로부터 소정 거리에 이격하여 위치한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에 의해서, 상기 탄성 플레이트(150)는 제3영역(153)이 제1영역(151)에 대해 회동 가능하다.
상기 탄성 플레이트(150)에는 눌림부(155)와 걸림부(157) 및 삽입공(158)이 형성된다. 상기 눌림부(155), 걸림부(157) 및 삽입공(158)은 제3영역(153)에 형성된다. 상기 눌림부(155)는 버튼(160)의 하단이 놓이는 영역으로, 버튼(160)의 눌림과 함께 아래로 눌려진다. 상기 걸림부(157)는 소정 폭으로 형성된 홀로, 고정 클립(145)의 고정 돌기(146)가 삽입된다. 상기 삽입공(158)은 덮개(125)의 저면에 형성된 체결구(129)가 삽입된다.
상기 버튼(160)은 버튼 홀(128)에 삽입되며, 하단이 탄성 플레이트(150)의 눌림부(155)에 놓이고 상단이 덮개(125)의 상부로 돌출된다. 상기 버튼(160)은 휴대용 단말기가 커버(125)에 놓이는 과정에서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눌러진다.
상기 집게부(170)는 집게 클립(171), 결합 클립(173) 및 집게 홀더(175)를 포함한다. 상기 집게부(170)는 고정 볼트(172)에 의하여 몸체부(110)의 하부에서 몸체(111)와 결합한다. 상기 결합 클립(173)은 고정 볼트(172)에 의하여 몸체(111)에 결합되면서 집게 클립(171)과 집게 홀더(175)를 몸체(111)에 고정한다. 상기 집게 클립(171)은 결합 클립(173)과 결합되어 집게 홀더(175)와 함께 인써트 사출된다.
상기 집게 클립(171)은 집게 본체(171a)와 집게 본체 홀(171b)과 집게 다리(171c)와 집게 다리 상부 홀(171d) 및 집게 다리 하부 홀(171e)을 포함한다.
상기 집게 본체(171a)는 판상이며,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집게 본체(171a)는 결합 클립(173)과 결합되어 집게 클립(171)이 결합 클립(173)과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집게 본체 홀(171b)은 집게 본체(171a)의 중앙에 형성된다. 상기 집게 본체 홀(171b)은 결합 클립(173)이 결합되는 경로를 제공한다.
상기 집게 다리(171c)는 집게 본체(171a)의 양측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집게 다리(171c)는 집게 클럽(171)이 집게 홀더(175)와 분리되지 않는데 필요한 결합 강도를 갖도록 소정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집게 다리(171c)는 바람직하게는 2개로 형성되며 서로 대칭으로 형성된다.
상기 집게 다리 상부 홀(171d)은 집게 다리(171c)에서 집게 본체(171a)와 상측에서 집게 다리(171c)의 일면에서 타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집게 다리 상부 홀(171d)은 집게 홀더(175)의 사출 과정에서 집게 홀더(175)의 수지 물질이 유입되는 경로를 제공한다. 상기 집게 다리 상부 홀(171d)은 집게 홀더(175)가 집게 클립(171)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집게 다리 하부 홀(171e)은 집게 다리(171c)에서 집게 다리 체결 홀(171d)보다 하부의 위치에서 집게 다리(171c)의 일면에서 타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집게 다시 하부 홀(171e)은 집게 홀더(175)의 사출 과정에서 집게 홀더(175)의 수지 물질이 유입되는 경로를 제공한다. 상기 집게 다리 하부 홀(171e)은 집게 홀더(175)가 집게 클립(171)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결합 클립(173)은 결합 본체(173a)와 결합 본체 홀(173b)과 결합 다리(173c) 및 결합 판(173d)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합 클립(173)은 결합 탄성 돌기(173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클립(173)은 결합 다리(173c)가 집게 클립(171)의 집게 본체 홀(171b)에 삽입되고 결합 판(173d)이 집게 다리 상부 홀(171d)에 삽입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결합 다리(173c)는 탄성적으로 결합 본체(173a)에 결합되므로 집게 본체 홀(171b)에 삽입될 때는 내측으로 변형되고 삽입이 완료된 때에 외측으로 변형된다. 상기 결합 판(173d)은 집게 다리(171c)가 외측으로 변형되면서 상부변이 집게 본체(171a)의 하면과 접촉되어 결합 클립(173)을 집게 클립(171)에 고정한다. 또한, 상기 결합 클립(173)은 결합 본체(173a)의 하면이 집게 본체(171a)의 상면과 접촉되도록 집게 클립(171)에 결합된다. 상기 결합 클립(173)은 결합 판(173d)이 집게 본체 홀(171b)에 결합되어 집게 클립(171)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상기 결합 본체(173a)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 본체(173a)는 고정 볼트(172)에 의하여 몸체(111)에 결합된다. 상기 결합 본체(173a)는 결합 클립(173)이 집게 클립(171)에 결합될 때 집게 본체(171a)의 상면에 안착된다.
상기 결합 본체 홀(173b)은 결합 본체(173a)의 중앙에 형성된다. 상기 결합 본체 홀(173b)은 집게 본체 홀(171b)과 동일 중심축 상에 위치한다. 상기 결합 본체 홀(173b)은 집게부(170)를 몸체(111)에 결합시키는 고정 볼트(172)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경로를 제공한다. 상기 결합 본체 홀(173b)은 고정 볼트(172)의 머리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 볼트(172)는 볼트 머리가 결합 본체(173a)의 하면에 안착되도록 결합 본체 홀(173b)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고정 볼트(172)는 결합 클립(173)을 몸체(111)에 결합시킨다.
상기 결합 다리(173c)는 결합 본체(173a)의 양측변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 다리(173c)는 결합 클립(173)이 집게 클립(171)에 결합될 때 집게 다리 상부 홀(171d)의 하변보다 낮은 위치에 하단부가 위치하도록 소정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 다리(173c)는 집게 다리 상부 홀(171d)의 폭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 다리(173c)는 집게 본체 홀(171b)에 삽입된다. 상기 결합 다리(173c)는 외측면이 집게 다리(171c)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결합 판(173d)은 사각 판상으로 형성되며, 하부변이 결합 다리(173c)에 결합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결합 판(173d)은 결합 다리(173c)에서 하부변을 제외한 양측변과 상부변이 절개되고, 하부변을 중심으로 결합 다리(173c)의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 판(173d)은 결합 다리(173c)의 외측을 하부변에서 상부변으로 갈수록 더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결합 판(173d)은 상부변이 집게 본체(171a)의 하면과 접촉되어 결합 클립(173)을 집게 클립(171)에 고정한다. 상기 결합 판(173d)은 결합 클립(173)이 집게 클립(171)에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결합 탄성 돌기(173e)는 결합 본체(173a)의 양측에서 결합 본체(173a)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결합 탄성 돌기(173c)는 탄성력에 의하여 결합 본체(173a)가 고정 볼트(172)에 의하여 몸체(111)에 결합된 후에 고정 볼트(172)가 다시 풀리지 않도록 한다.
상기 집게 홀더(175)는 홀더 본체(175a)와 홀더 다리(175c)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홀더 본체(175a)와 홀더 다리(175c)는 탄성이 있는 고무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집게 홀더(175)는 집게 클립(171)과 결합 클립(173)이 결합된 상태에서 인서트 몰딩에 의하여 집게 클립(171)의 집게 다리(171c)와 결합 클립(173)의 결합 다리(173c)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상기 홀더 본체(175a)는 평면 형상이 원형인 블록 형상이며, 집게 본체(171a)의 면적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홀더 본체(175a)는 집게부(170)가 몸체(111)에 결합될 때 몸체(111)의 일부가 삽입되는 홀더 본체 홈(175b)이 상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홀더 본체 홈(175b)은 몸체(111)의 하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홀더 본체(175a)는 집게 본체(171a)의 측면과 하면 및 집게 다리(171c)의 상부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홀더 본체(175a)는 고정 볼트(172)의 머리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상기 홀더 본체 홈(175b)의 바닥면에서는 집게 클립(171)의 집게 본체(171a)의 상면과 결합 클립(173)의 결합 본체(173a)가 노출된다.
상기 홀더 다리(175c)는 홀더 본체(175a)의 하면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홀더 다리(175c)는 2개로 형성되며 홀더 본체(175a)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면서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홀더 다리(175c)는 집게 다리(171c)를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집게 다리(171c)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홀더 다리(175c)는 차량의 에어컨 송풍구에 결합되어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를 차량에 고정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M)를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10)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운전자는 차량의 정차 또는 운행 중에 휴대용 단말기(M)를 거치하는 데,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10)를 이용할 경우, 한 손만을 사용하여 휴대용 단말기(M)를 거치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집게부(170)를 차량의 에어컨 입구에 설치된 바에 결합시켜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를 고정한다.
상기 이동 패드(133)는 제1위치(P1)와 제2위치(P2) 사이를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위치(P1)는 이동 패드(133)와 고정 패드(121)와의 사이 간격이 휴대용 단말기(M)의 일 방향 폭에 대응하는 위치이다. 상기 이동 패드(133)는 제1위치(P1)에서 고정 패드(121)와 조합하여 휴대용 단말기(M)를 거치한다. 상기 제2위치(P2)는 이동 패드(133)와 고정 패드(121)와의 사이 간격이 휴대용 단말기(M)의 일 방향 폭보다 큰 위치이다.
사용자는 이동부(130)를 이동시켜 이동 패드(133)를 제2위치(P2)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휴대용 단말기(M)를 몸체부(110)에 올려놓는다. 상기 제2위치(P2)에서 이동 패드(133)와 고정 패드(121)의 사이 간격이 휴대용 단말기(M)의 폭보다 크므로, 사용자는 이동 패드(133)와 고정 패드(121)와의 간섭 없이 휴대용 단말기(M)를 몸체부(110)에 올려놓을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부(130)를 잡고 이동 패드(133)를 제2위치(P2)로 이동시킬 경우에 이동 샤프트(135)는 이동 베이스(131)에 딸려 몸체부(110) 외부로 이동하고, 일부가 몸체부(110) 내부에 위치한다. 이 과정에서 고정 클립(145)도 이동 샤프트(135)에 딸려 이동되고, 스프링(141)이 압축된다. 상기 고정 클립(145)은 걸림부(157)의 위치까지 이동 가능하며, 걸림 돌기(146)가 걸림부(157)에 걸려 이동부(130)의 이동이 제한된다. 사용자가 이동부(130)에서 손을 놓더라도, 걸림 돌기(146)가 걸림부(157)에 걸리므로 이동부(130)는 제1위치(P1)로 돌아가지 않으며, 스프링(141)은 압축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사용자가 이동부(130)를 제2위치(P2)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휴대용 단말기(M)를 몸체부(110)에 올려놓는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M)가 커버(125)의 상면에 놓이는 과정에서 버튼(160)은 휴대용 단말기(M)에 의해 눌러지며, 버튼(160)은 하단에 놓인 탄성 플레이트(150)의 눌림부(155)를 누른다. 상기 탄성 플레이트(150)의 눌림부(155)가 아래로 눌러짐으로 인해, 걸림부(157)가 아래로 이동하여 걸림 돌기(146)의 걸림이 해제된다. 상기 걸림 돌기(146)의 걸림 해제로, 스프링(141)의 탄성력이 고정 클립(145)에 전달된다. 상기 스프링(141)의 탄성력은 고정 클립(145)을 고정 패드(121) 측으로 이동시키며, 이 과정에서 이동 샤프트(135), 이동 베이스(131), 이동 패드(133)도 함께 딸려 이동한다. 상기 이동 패드(133)는 제1위치(P2)로 이동하여 휴대용 단말기(M)의 일 측부를 고정한다.
사용자가 한 손으로 이동부(130)를 잡고 일 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이동 과정에서 걸림 돌기(146)가 걸림부(157)에 걸려 이동부(130)가 제2위치(P2)에서 자동 고정된다. 이처럼 이동부(130)를 고정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별도 동작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한 손으로도 조작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M)를 덮개(1125) 위에 올려 놓는 것만으로, 휴대용 단말기(M)에 의해 버튼(160)이 눌러져 이동부(130)가 제1위치(P1)로 이동 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130)를 이동시키기 위한 동작, 예컨대 사용자가 손으로 해제 버튼을 누르는 등의 동작이 별도로 요구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한 손으로도 충분히 휴대용 단말기(M)를 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130)는 이동 과정에서 휴대용 단말기(M)를 거치하므로, 휴대용 단말기(M)가 거치되는 제1위치(P1)는 휴대용 단말기(M)의 사이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10)는 다양한 사이즈의 휴대용 단말기(M)를 거치할 수 있다.
10: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
110: 몸체부 111: 몸체
121: 고정 패드 125: 커버
130: 이동부 131: 이동 베이스
133: 이동 패드 135: 이동 샤프트
141: 스프링 145: 고정 클립
150: 탄성 플레이트 160: 버튼
170: 집게부 171: 집게 클립
175: 홀더 177: 집게 다리

Claims (5)

  1. 휴대용 단말기가 놓이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일측을 지지하는 고정 패드를 갖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놓인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1위치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타 측과 소정 거리로 이격된 제2위치간에 직선 이동 가능한 이동 패드를 갖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 패드의 움직임을 상기 제2위치에서 고정시키는 탄성 플레이트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몸체부에 놓이는 과정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눌러지며, 상기 탄성 플레이트의 상기 이동 패드 움직임 고정을 해제하는 버튼 및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집게부를 포함하며,
    상기 집게부는
    판상인 집게 본체와 상기 집게 본체의 중앙에 형성되는 집게 본체 홀과 상기 집게 본체의 양측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집게 다리 및 상기 집게 다리의 상부에 형성되는 집게 다리 상부 홀을 포함하는 집게 클립과,
    상기 집게 본체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결합 본체와 상기 집게 본체 홀에 삽입되는 결합 다리 및 상기 결합 다리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부변이 상기 집게 본체의 하면에 접촉되는 결합 판을 포함하는 결합 클립 및
    상기 집게 본체가 안착되는 홀더 본체 및 상기 집게 다리를 감싸는 홀더 다리를 포함하는 집게 홀더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부는
    막대 형상을 가지며, 상기 이동 패드의 이동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한 쌍의 이동 샤프트와, 상기 한 쌍의 이동 샤프트에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스프링과, 상기 한 쌍의 이동 샤프트와 결합하는 제1 결합 영역 및 제2 결합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제1 결합 영역과 상기 제2 결합 영역을 연결하는 영역으로 고정 돌기가 형성되는 고정 영역을 구비하는 고정 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플레이트는
    소정의 폭으로 홀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 돌기가 삽입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면이 개방되어 내부에 상기 이동부의 이동 방향과 나란하게 일 방향으로 길게 한 쌍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스프링이 놓이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클립은
    상기 결합 본체에 형성되는 결합 본체 홀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 본체 홀에 결합되는 고정 볼트에 의하여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면서 상기 집게 클립과 상기 집게 홀더를 상기 몸체에 고정하고,
    상기 결합 판은 상기 결합 다리에서 하부변을 제외한 양측변과 상부변이 절개되고, 하부변을 중심으로 상기 결합 다리의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상부변이 상기 집게 본체의 하면과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 클립은
    상기 집게 다리의 하부에서 상기 집게 다리의 일면에서 타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집게 홀더의 수지 물질이 유입되는 집게 다리 하부 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 클립 및 결합 클립은 상기 집게 홀더와 함께 인서트 사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160109823A 2016-08-29 2016-08-29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 KR101934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823A KR101934023B1 (ko) 2016-08-29 2016-08-29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823A KR101934023B1 (ko) 2016-08-29 2016-08-29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163A KR20180024163A (ko) 2018-03-08
KR101934023B1 true KR101934023B1 (ko) 2019-01-16

Family

ID=61725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9823A KR101934023B1 (ko) 2016-08-29 2016-08-29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40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3463B1 (ko) * 2021-07-30 2023-08-31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전등스위치용 원격제어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56239A (ja) 2012-06-13 2013-12-26 Napolex Co 自動車用携帯機器ホルダ
KR101566660B1 (ko) 2015-05-08 2015-11-05 김세한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62281B2 (en) * 2002-02-22 2007-01-09 Dong Joo Kim Mobile phone holder
ITTV20080083A1 (it) * 2008-06-06 2009-12-07 Am Teknostampi Srl Dispositivo d'attacco d'una apparecchiatura elettronica portatile con dispositivo d'ancoraggio provvisto di un supporto magnetico
BR112015018915A8 (pt) * 2013-05-17 2019-11-05 Kenu Inc suporte de dispositivo portátil ajustáve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56239A (ja) 2012-06-13 2013-12-26 Napolex Co 自動車用携帯機器ホルダ
KR101566660B1 (ko) 2015-05-08 2015-11-05 김세한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163A (ko)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6660B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
EP1415863A1 (en) Fastener for attaching floor carpet and wire harness to a rocker panel
US7661648B2 (en) Sucker device for a fixing support
GB2436960A (en) Battery Pack
JP5822096B2 (ja) 部品の取付構造
US7052035B2 (en) Assembly unit having an airbag module and a vehicle steering wheel
JP2000022341A (ja) 携帯機器用ホルダ
KR101934023B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
CN109927666B (zh) 安全带装置的带扣
US6243463B1 (en) Portable phone cradle having a locking module for a vehicle
KR101650766B1 (ko) 마운팅 부재
US20100084310A1 (en) Chip card holder
US8107237B2 (en) Electronic device with latching assembly
CN109616797B (zh) 连接器组件及其扣持装置
JP6190918B1 (ja) 配線保持具
KR101756172B1 (ko) 마운팅 부재
KR101859705B1 (ko) 차량용 아웃트리거 장치
US20060005366A1 (en) Brake clip removal tool
WO2008007053A2 (en) A holder for a vessel having a base and a stem
KR20090084481A (ko) 파이프 고정클립 및 그 체결기구
KR0117617Y1 (ko) 휴대폰의 차량용 거치대
CN220027086U (zh) 试管夹紧装置和具有其的磁力架
CN212654285U (zh) 一种装载支架及其支撑机构
JP2001090868A (ja) 線状体固定具
AU2021454211B2 (en) Controll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