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3624B1 - 환형 부유체 - Google Patents

환형 부유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3624B1
KR101933624B1 KR1020137022503A KR20137022503A KR101933624B1 KR 101933624 B1 KR101933624 B1 KR 101933624B1 KR 1020137022503 A KR1020137022503 A KR 1020137022503A KR 20137022503 A KR20137022503 A KR 20137022503A KR 101933624 B1 KR101933624 B1 KR 101933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
water
mass
central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2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2376A (ko
Inventor
또마 슈와스네
Original Assignee
이데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올 filed Critical 이데올
Publication of KR20140022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2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3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3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0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single hu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20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wind motors; Masts or towers for wind motors
    • F03D13/25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wind motors; Masts or towers for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offshore instal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6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wind energy into electric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6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using foils acting on ambient water
    • B63B2039/067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using foils acting on ambient water effecting motion dampening by means of fixed or movable resistance bodies, e.g. by bilge k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41/00Design characteristics
    • B63B2241/02Design characterised by particular shapes
    • B63B2241/04Design characterised by particular shapes by particular cross sections
    • B63B2241/06Design characterised by particular shapes by particular cross sections circ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41/00Design characteristics
    • B63B2241/02Design characterised by particular shapes
    • B63B2241/04Design characterised by particular shapes by particular cross sections
    • B63B2241/08Design characterised by particular shapes by particular cross sections polygon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41/00Design characteristics
    • B63B2241/02Design characterised by particular shapes
    • B63B2241/10Design characterised by particular shapes by particular three dimensional shapes
    • B63B2241/12Design characterised by particular shapes by particular three dimensional shapes annular or toroid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2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displacement of masses
    • B63B39/03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displacement of masses by transferring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90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 F05B2240/93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n a structure floating on a liquid su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7Offshore wind 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유체의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중심 문풀(2)을 포함하는 환형 부유체(1)로서, 물에서, 부유체가 상하운동으로 움직이는 동안 너울이 부유체(1)의 고유주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주기를 가지는 상태에서, 너울에 대해 반대 위상으로 중심 문풀(2) 내에서 진동하는 물의 질량(mass of water)에 의해 부유체(1)에 가해지는 수직 힘들은, 너울에 의해 부유체(1)에 가해지는 수직 여기력(vertical excitation forces)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상하도록 이루어지는 환형 부유체(1)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부유체(1)의 고유주기에서 부유체(1)의 상하운동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없애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환형 부유체 {AN ANNULAR BUOYANT BODY}
본 발명은 부유체 및 그러한 부유체의 상하 운동(heave motion)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없애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너울에 의해 영향을 받는 부유체들은 다양한 방향으로 진동한다. "상하운동(heave)"은 너울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유도되는 하나의 진동이다. 부유체들의 다른 진동처럼, 상하운동은 다양한 문제점들을 갖는다. 그러한 상하운동에 영향을 받는 부유체의 선상에서 경험할 수 있는 명백한 불편함 외에, 특히 너울이 부유체의 상하운동 고유주기와 가까운 주기를 가지는 상태에서, 그 운동은 플랫폼 상에서 높은 가속도를 유발한다.
부유체의 상하운동 고유주기 Theave는 다음 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3077400039-pct00001
(1)
여기에서 Theave는 상하운동 고유주기를 나타내고, M은 부유체의 질량(배수량)을 나타내고, ρ는 물의 밀도를 나타내고, g는 중력으로 인한 가속도를 나타내고, S0은 부유체의 수평면 면적을 나타낸다. Ma는 당해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정의되는 바와 같은 부유체의 추가질량을 나타낸다. 추가질량 Ma는 부유체의 형상, 흘수, 너울의 주기 및 또 다른 인자들의 함수로서 변하며, 예를 들어 알려진 회절-방사 코드(diffraction-radiation code)에 의해 연산될 수 있다. 달리 지시되지 않으면, 본 명세서의 방정식들 및 공식들에 있어서 모든 변수들은 국제 단위 체제(SI)의 측정 단위들을 이용한다.
부유체에 가해지는 힘들은, 첫째로 부유체에 의해 교란되지 않은 너울에 의해 야기되는 가변 압력장(variable pressure field)과 관련한 프로우드-크릴로프 힘(Froude-Krylov forces)들과, 둘째로 부유체에 의한 너울의 회절과 관련한 회절력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힘들은 회절-방사 코드에 의해 연산될 수도 있다.
"문풀(moonpool)"을 구비하는 부유체는, 당해 분야, 특히 부유식 드릴링 플랫폼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공지되어 있다. "문풀"은 부유체를 통과하는 한편 수평면과 교차하는 하향-연장된 개구이다. 그 동역학적 거동, 특히 문풀 내의 물의 질량의 수직 진동("피스톤 모드(piston mode)")은 문제가 있음이 인지되었다. "문풀 내에서의 피스톤 및 슬로싱 모드에 관하여(On the piston and sloshing modes in moonpools)" 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비. 몰린(B. Molin)은 부유식 플랫폼 상에서의 그러한 문풀 내에 수용된 물의 질량의 수직 진동의 "피스톤 모드"를 해석하였다. 그렇지만, 너울에 의해 부유체에 가해지는 여기력(excitation forces)들에 대응하기 위해 그 진동을 이용할 것을 제안하지는 않았다.
미국 특허공개 US 2009/126616 A1 및 US 2006/045628 A1 각각은, 부유체의 고유주기가 너울에 대한 주기들의 평균 범위를 넘도록, 부유체의 관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그리고 그에 따라 상하운동 고유주기를 증가시키기 위해, 부유체와 함께 수직으로 구동되는 물의 추가 질량을 증가시키기에 적합한 문풀을 갖는 부유체를 개시한다. 불행하게도, 이것은 너울에 의해 부유체에 가해지는 여기력들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가져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부유체의 상하운동 고유진동수 부근에서 상하운동이 최소화되는 부유체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부유체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 목적은, 상기 부유체가 중심 문풀을 포함하는 환형 부유체이며, 또한 상기 부유체가, 물에서, 부유체가 상하운동으로 움직이는 동안 너울이 부유체의 고유주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주기를 가지는 상태에서, 너울에 대해 반대 위상으로 중심 문풀 내에서 진동하는 물의 질량에 의해 부유체에 가해지는 수직 힘들은, 너울에 의해 부유체에 가해지는 수직 여기력(vertical excitation forces)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상하도록 이루어진다는 사실로 성취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하운동 고유주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주기" 란 반드시 상기 고유주기와 정확히 동일한 주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고유주기에 대해 일정 변동폭, 예컨대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 15%의 변동폭이 허용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부유체의 상하운동을 매우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어떠한 적용분야에 대해서도 추가적인 장점들을 제공한다. 너울에 대해 위상-시프트 방식으로 중심 문풀 내에서 진동하는 물의 질량에 의해 부유체에 가해지는 수직 힘들이 너울에 의해 부유체에 가해지는 수직 힘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부유체의 흘수가 통상적으로 제한되어야 하고, 문풀의 면적이 통상적으로 수평면 면적에 비해 특히 커져야 한다. 비록 이것이 부유체의 용적통수에 비해 부유체의 전체 치수를 증가시키더라도, 그러한 넓은 환형의 형태는, 풍력터빈과 같은 특히 높은 무게중심을 가지는 상부구조물에서조차, 밸러스트 시스템에 대한 요구를 심지어 배제시키는 정도까지, 정적 안정성에도 유리하다.
장점적으로, 부유체 구조의 튼튼함을 보존하면서도, 너울과 부유체의 중심 문풀 내에서 진동하는 물의 질량 사이에서 반대 위상을 얻기 위해서, 중심 문풀 내의 물의 질량의 수직 진동 피스톤 모드의 고유주기 Tpiston은, 부유체가 상하운동으로 움직이는 동안, 1.25 내지 1.55 곱하기 부유체의 고유주기 Theave의 범위 내에 존재한다.
실질적으로 수직인 벽들을 갖는 부유체의 중심 문풀 내의 물의 질량의 진동 피스톤 모드의 고유주기 Tpiston의 근사치를 위하여, 다음 식을 이용할 수 있다:
Figure 112013077400039-pct00002
(2)
이 공식에서, S1은 중심 문풀의 면적을 나타내고, g는 중력으로 인한 가속도이고, k는, 중심 문풀이 동일한 면적을 갖는 사각형 개구와 유사하다면, 비. 몰린(B. Molin)의 "문풀 내에서의 피스톤 및 슬로싱 모드에 관하여(On the piston and sloshing modes in moonpools)" 라는 제목의 기사에 개시된 바와 같이, 0.52와 동일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J. Fluid Mech. (2001), vol. 430, pp. 27-50).
따라서, 부유체가 상하운동으로 움직이는 동안, 중심 문풀 내에서 진동하는 물의 질량의 고유주기 Tpiston과 부유체의 고유주기 Theave 사이의 비는 다음 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3077400039-pct00003
(3)
그러므로, 부유체의 치수와 중심 문풀의 치수는 다음 식에 의해 장점적으로 한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3077400039-pct00004
(4)
여기에서 추가 질량은, 그 형태에 따라서, 통상적으로 0.45 내지 0.85 곱하기 부유체의 질량 M의 범위 내에 존재한다.
그렇지만, 장점적으로, 고유주기 Tpiston과 Theave, 소멸주기 Teffort,다양한 부유체들에 가해지는 모든 수직 여기력들, 그리고 너울의 주기의 함수로서의 부유체의 상하운동 응답성을 더욱 정확하게 계산하기 위하여, WAMIT® Principia Diodore™, ANSYS®AQWA 또는 몇몇 다른 소프트웨어와 같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잘 알려져 있는 유체동역학 해석 소프트웨어와 같은 디지탈 도구들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환형 부유체는 적어도 하나의 탑재장비(payload)를 포함한다. 특히,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탑재장비는 풍력터빈과 같이 에너지를 이용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파도, 너울, 조류 또는 해류로부터의 에너지, 바다로부터의 열에너지, 바다로부터의 삼투 에너지, 또는 어떠한 다른 타입의 에너지와 같은 해양 에너지를 이용하기 위한 또 다른 장치들일 수 있다. 풍력터빈들 중에서 당해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모든 타입의 터빈들, 예컨대, 하나 이상의 로터를 갖춘, 그리고 로터와 발전기 사이에 개재되는 기어박스를 갖추거나 갖추지 않은, 또는 소정 개수의 블레이드들을 갖춘, 수평 또는 수직 축 터빈 등이 고려될 수 있다.
부유체가 환형의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적어도 하나의 탑재장비는 부유체에 대해 중심이 벗어나게 위치될 수 있다. 그때 환형 부유체는 탑재장비의 무게를 균형잡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탑재장비 부근에 보다 큰 침수체적(larger immersed volume)을 가질 수 있다.
부유체를 정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해서, 부유체는, 터릿 부이(turret buoy), 고정식-해딩 정박장치(fixed-heading anchoring device), 및 케이블, 체인 또는 몇몇 다른 정박장치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정박장치를 구비할 수도 있다. 게다가, 부유체는, 예를 들어 안티-롤 킬(anti-roll keel), 안티-롤 탱크, 또는 U자형 튜브를 통하여 상호연결된 복수의 안티 롤 탱크 장치 등을 합체하는 적어도 하나의 롤 감쇠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부유체의 동역학적 특성들을 조절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스커트(skirt) 또는 플레이트들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외부 부가물을 부유체에 합체함으로써 수직운동에 있어서 부유체를 추종하는 물의 추가질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중심 문풀 내의 물의 질량이 너울에 대해 반대 위상으로 진동하는 너울 주기 및 상하운동 고유주기 양쪽 모두를 조절하도록 중심 문풀 내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부가물을 부유체에 합체할 수도 있다. 그러한 부가물들로, 부유체와 함께 진동하는 물의 추가 질량 Ma는 0.55 내지 0.85 곱하기 부유체의 질량 M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는 반면, 이들 부가물이 없는 상태에서, 추가 질량 Ma는 0.45 내지 0.65 곱하기 부유체의 질량 M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물의 질량의 슬로싱을 감쇠하는 점성(viscous)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부유체는, 중심 문풀의 주변에 있어서, 중심 문풀과 제한적으로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롤-댐핑 챔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하운동 고유주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주기의 너울에 영향을 받는, 물에서 부유되는 부유체의 상하운동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없애는 방법으로서, 상기 부유체는, 너울에 의해 가해지는 수직 여기력들에 반대되는 수직 힘을 부유체에 작용하기 위해서, 물의 질량이 너울에 대해 반대 위상으로 진동하는 중심 문풀을 구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의하여 도시된 실시형태들의 이어지는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은 잘 이해될 수 있으며 그 장점들은 더욱 명확하게 나타난다.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부유체를 상단에서 본 평면도,
도 1b는 도 1a의 부유체의 측면도,
도 2는, 중심 문풀(contral moonpool)이 없는 부유체와 비교해, 그리고 중심 문풀 내의 물의 질량이 너울에 의해 가해지는 수직 힘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상하도록 구성되지 않은 환형 부유체와 비교해, 너울의 주기의 함수로서 도 1a의 부유체의 상하 응답성(heave response)을 나타내는 비교표,
도 3a는, 너울의 주기의 함수로서, 도 1a의 부유체의 상하 응답성 및 상기 부유체에 가해지는 전체 수직 여기력(vertical excitation forces)의 양쪽 모두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3b는 중심 문풀 내의 물의 질량이 너울에 의해 가해지는 수직여기력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상하도록 구성되지 않은 부유체의 상하 응답성을 나타내는 비교 그래프,
도 4a 및 4b는, 도 1a의 부유체의 운동, 그리고 너울이 부유체의 상하 고유주기에 가깝거나 동일한 상태에서 중심 문풀 내의 물의 질량의 운동을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5a, 5b, 5c 및 5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의 부유체들을 상단에서 본 평면도,
도 6a, 6b 및 6c는 중심 문풀들 내로 돌출하는 수평 플레이트들을 갖는 부유체들의 3가지 상이한 실시형태들을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중심 문풀 주변에 댐핑 챔버들을 갖는 부유체의 실시형태를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안티-롤 킬(anti-toll keels)들을 갖는 부유체의 실시형태를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그리고
도 9는 부유체를 위한 안티-롤 장치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환형 부유체(1)가 도 1a 및 1b에 도시되어 있다. 이 부유체(1)는 정사각 형상이며, 역시 정사각 형상인 중심 문풀(central moonpool)(2)을 구비한다. 또한 부유체(1)는 이 부유체(1) 상에서 중심을 벗어나 위치되는 풍력터빈(3)을 구비한다. 도시된 풍력터빈(3)은 수평-축 로터를 갖는 터빈이지만, 하나 이상의 로터를 가지는, 그리고 로터와 발전기 사이에 개재되는 기어박스를 가지거나 가지지 않는, 또는 소정 개수의 블레이드를 가지는, 수평 또는 수직 축선의, 또 다른 타입의 풍력터빈일 수도 있다. 또한 동일한 부유체 상에 복수개의 풍력터빈들이 설치될 수도 있다. 더욱이, 그리고 대안적으로, 그러한 부유체는, 예를 들어 파도, 너울, 조류 또는 해류로부터의 에너지나, 바다로부터의 열에너지, 바다로부터의 삼투 에너지, 또는 어떠한 다른 타입의 에너지와 같은 해양 에너지를 이용하기 위한 다른 타입의 장치들과 같은 다른 타입의 설치물을 지지하기 위해서도 기능할 수 있다. 또한 부유체(1)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복수의 앵커 라인(4)들을 포함하는 정박장치를 구비한다. 그렇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져 있는 다른 대안적인 정박장치가 고려될 수도 있다.
부유체(1)는, 얕은 흘수(draught)를 가져 얕은 물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작은 양의 건현(freeboard)을 가져 풍력터빈(3)의 유지보수 작업을 위한 접근이 용이하다.
부유체(1) 및 문풀(2)은, 물에서, 너울이 부유체의 상하 고유주기(heave natural period)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주기를 가지는 상태에서, 중심 문풀(2) 내의 물의 질량(mass of water)이 너울과 실질적으로 반대 위상으로 진동하도록 치수가 정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너울에 비해 실질적으로 반대 위상으로 중심 문풀 내에서 진동하는 상기 물의 질량에 의해 부유체에 가해지는 수직 힘들은, 너울에 의해 부유체에 가해지는 수직 여기력(vertical excitation forces)들에 대해 실질적으로 반대 위상으로 된다.
당해 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부유체(1)의 다양한 형태들에 대하여 너울의 주기의 함수로서 중심 문풀(2) 내의 물의 질량의 수직 진동에 의해 그리고 너울에 의해 가해지는 수직 힘들과 부가 질량(added mass) Ma 양쪽 모두를 계산할 수 있는 회절-방사 코드(diffraction-radiation code)를 알고 있으며, 따라서 수직 여기력들을 없애기 위한 고유주기 Theave와 고유주기 Tpiston 사이의 최적비를 알 수 있다. 도 1a 및 1b에 도시된 형태를 갖는 부유체(1)에 대하여, 부가질량은 대략 0.55 곱하기 M인 반면, 너울에 대한 중심 문풀 내의 물의 질량의 반대 위상을 얻기 위한 최적 Tpiston/Theave 비는 1.25 내지 1.55의 범위 내에 있으며, 특히 1.40 정도이다. 이들 값을 식(3)에 대입함으로써, 중심 문풀(2)이 정사각형이면, 중심 문풀(2)의 한 변의 길이 ℓ은 대략 4.0 곱하기 흘수 d 임을 추론할 수 있다. 상기 비는 정사각형 부유체(1)의 변위에 대한 방정식에 있어서 흘수 d 를 대신하여(as a substitute for the draught d) 대입되고:
Figure 112013077400039-pct00005
(5)
다음의 3차 다항식이 얻어진다:
Figure 112013077400039-pct00006
(6)
주어진 변위 M으로부터 그리고 부유체(1)의 주어진 길이 L로부터 시작하여, 너울에 대한 중심 문풀 내의 물의 질량의 반대 위상을 얻을 수 있어 그에 따라 부유체(1)에 가해지는 수직 여기력들의 적어도 부분적인 소멸을 얻을 수 있도록, 중심 문풀(2)의 최적 크기를 계산할 수 있다. 길이 L 및 ℓ로부터 그리고 변위 M으로부터 시작하여, 흘수 d 역시 곧바로 연산될 수 있다.
따라서, 부유체(1)의 상하운동 주기(heave period) Theave에서, 5900 미터톤(t)의 변위 M 및 39 미터(m)의 변 길이 L을 갖는 사각형 부유체(1) 상의 수직 여기력의 적어도 부분적인 소멸을 위하여, 역시 사각형인 중심 문풀(2)의 각각의 변은 23m의 길이 ℓ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치수를 갖는 상태에서, 그리고 입방미터(㎏/㎥)당 대략 1027 킬로그램의 밀도를 갖는 해수에 있어서, 부유체(1)는 5.8m의 흘수 d를 갖는다. 식 (4)에 의해 정의되는 범위 내에서, L = 39m 및 ℓ= 23m를 갖는 정사각형상이 유지된다면, 변형 실시형태들은 4.4m 내지 8.4m의 범위 내에 놓이는 흘수 및 상이한 용적톤수를 갖도록 고려될 수 있다.
도 2는, 부유체(1)의 응답성(response), 중심 문풀을 가지지만 부유체의 상하운동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최적화되지 않은 중심 문풀을 구비하는 또 다른 부유체의 응답성, 그리고 중심 문풀을 구비하지 않은 부유체의 응답성을 나타낸다. 곡선 201은 부유체(1)의 상하운동의 진폭과 너울의 진폭 사이의 전달함수(transfer function) RAOheave (상하운동 응답성-진폭 연산자들(heave response-amplitude operators))를 나타낸다. 비교를 위해, 곡선 202는 비-최적화된 환형 부유체의 진폭과 너울의 진폭 사이의 전달함수를 나타내고, 곡선 203은 중심 문풀을 구비하지 않은 부유체에 상응하는 전달함수를 나타낸다.
곡선 20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중심 문풀을 구비하지 않은 부유체는 대략 8.5 초(s)의 고유주기를 가지며, 이때 전달함수 RAOheave 는 1.08의 최대값에 도달한다. 곡선 202로 나타낸 응답성을 갖는 비-최적화된 환형 부유체는 대략 9.5초의 고유주기에서 거의 1.4의 보다 뚜렷한 최대값을 갖는다. 역으로, 환형 부유체(1)의 제1 실시형태에 상응하는 곡선 201은 그러한 최대값을 갖지 않으며, 1의 값을 초과하지 않는다.
이것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5.8s인 부유체(1)의 상하운동 고유주기 Theave가 물에 의해 부유체(1)에 가해지는 수직 여기력의 진폭에 있어서 최대값에 대략 대응된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도 3a에 있어서, 곡선 201은 부유체(1)에 대한 모든 수직 여기력들의 진폭과 너울의 진폭 사이의 전달함수 RAOeffort (힘 응답성-진폭 연산자들(force response-amplitude operators))를 나타내는 곡선 301에 중첩되고, 어떻게 이 곡선 301이 부유체(1)의 고유주기 Theave 에 매우 가까운, 본 실시예에 있어서 6.1s인 주기 Teffort 에서 최소값을 갖는지를 알 수 있다. 이것은, 너울에 대해 위상-시프트(phase-shifted)되는, 그리고 도 4a 및 4b에 도식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주기 Teffort 에서 그리고 그에 가까운 주기들에서 너울에 의해 부유체(1)에 가해지는 여기력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없애는, 중심 문풀(2) 내의 물의 질량의 수직 진동에 의해 야기된다.
그때 중심 문풀(2) 내에 수용된 물의 질량의 피스톤-모드 수직 진동은 너울에 비해 반대 위상이다. 이러한 물의 질량의 유입 및 유출은 부유체(1)에 대한 너울의 압력 필드(pressure field)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상해 가는 부유체(1) 주위의 진동 유동(oscillating flow)을 발생시킨다. 또한 이것은 부유체 상에 가해지는 회절력(diffraction forces)들과 프로우드-크릴로프 힘(Froude-Krylov forces)들 사이의 반대 위상으로 표현될 수 있다.
적절하게 효과적인 장치를 위하여, 피스톤-모드 고유주기 Tpiston 은 부유체의 상하운동 고유주기 Theave 보다 커야한다. 일반적으로, 여기력들의 소멸 주기는, 피스톤-모드 고유주기 Tpiston 와 부유체의 상하운동 고유주기 Theave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Theave < Teffort < Tpiston 이다.
비교를 위해, 도 3b에 있어서, 비-최적화된 환형 부유체의 응답성 RAOheave 의 곡선 202가, 너울의 진폭과 비-최적화된 환형 부유체에 대한 수직 여기력들의 진폭 사이의 전달함수 RAOeffort 를 나타내며 9.5s의 상하운동 고유주기 Theave 를 갖는 곡선 302 상에 중첩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주기 Theave 가 주기 Teffort 와 가깝지 않기 때문에, 너울에 의해 비-최적화된 부유체에 가해지는 여기력들은 중심 문풀 내의 물의 질량의 수직 진동에 의해 크게 감소되지 않는다. 역으로, 상하운동 응답성은 중심 문풀을 구비하지 않는 부유체에 대해서보다 실제로 나쁘게 만들어진다.
부유체(1)를 균형잡기 위해서 그리고 풍력터빈(3)의 무게를 보상하기 위해서, 부유체(1)는 상기 풍력터빈(3)으로부터 반대쪽에 밸러스트를 맞춘다. 그렇지만, 도 5a에 도시된 변형 실시형태에 있어서, 밸러스트 웨이트는 물에 잠긴 침수체적(immersed volume)을 증가시켜 풍력터빈(3) 부근에서 부유체(1)를 변형시킴으로써 최소화될 수 있다. 게다가, 다른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부유체(1)는 제1 실시형태의 정사각형상과는 다른 형상들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도 5b에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부유체(1)가 원형상을 갖고, 도 5c 및 5d에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삼각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른 부유체들은, 예를 들어 강철과 같은 철금속(ferrous metal) 재료, 알루미늄 또는 그 합금과 같은 비철금속 재료, 콘크리트와 같은 무기물 재료, 복합재료를 포함하는 합성재료, 뿐만 아니라 그러한 복수의 상이한 재료들의 조합과 같은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게다가, 수직운동시 부유체를 동반하는 부가된 물의 질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및/또는 중심 문풀 내의 물의 질량의 진동의 피스톤 모드의 고유주기 Tpiston 을 변화시키기 위해서, 실시형태들 중 어떤 하나의 부유체라도 그 외측 주변 둘레에 및/또는 중심 문풀 내에 부가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a, 6b, 및 6c는 고유주기 Tpiston을 조절하기 위해서 그러한 부유체(1)의 중심 문풀(2)의 주변 둘레에 설치된 수평 플레이트(5)들에 대한 3가지 가능한 형태들을 나타낸다. 중심 문풀(2) 내의 물의 슬로싱을 감쇠시키기 위해서, 문풀은 주위 둘레에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통과할 수 있는 오리피스(8)들을 가지는 벽체(7)들에 의해 중심 문풀(2)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댐핑 챔버(6)들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안티-롤 킬(anti-roll keels)들과 같은 롤-감쇠 장치들이나 능동(active) 또는 수동(passive) 안티-롤 탱크 장치들이 부유체 내에 합체될 수도 있다. 도 8은 유체동역학적 저항이 부유체의 롤 진동을 감쇠시키는 안티-롤 킬(9)들을 갖는 부유체(1)를 나타낸다. 수동 안티-롤 탱크는 액체의 슬로싱이 롤을 감쇠시키도록 액체의 질량을 수용하고 치수가 정해진 탱크이다. 도 9에 도시된, 능동 안티-롤 탱크 장치는, U자형 튜브(11)를 경유하여 그 바닥을 통해 상호연결되고 액체의 질량으로 충전된 2개의 안티-롤 탱크(10A 및 10B)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에, 롤은, 탱크(10A 및 10B)들 사이에서, 튜브(11)를 통한 액체의 변위를 유도한다. 액체의 유동에 대한 튜브(11)의 저항에 의해, 롤을 감쇠시킬 수 있다. 또한 튜브(11)는 유동에 대한 저항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특정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청구항들에 의해 한정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범주를 넘어감 없이 다양한 수정들과 변형들이 이들 실시예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은 한정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예시를 부여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1: (환형) 부유체
2: 중심 문풀
3: 풍력터빈
4: 앵커 라인
5: 부가물로서의 수평 플레이트
6: (롤) 댐핑 챔버
7: 벽체
8: 오리피스
9: (안티-롤) 킬(keel)
10A, 10B: 안티-롤 탱크
11: 튜브

Claims (14)

  1. 중심 문풀(2)을 포함하는 환형 부유체(1)로서,
    물에서, 부유체가 상하운동으로 움직이는 동안 너울이 부유체(1)의 고유주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주기를 가지는 상태에서, 너울에 대해 반대 위상으로 중심 문풀(2) 내에서 진동하는 물의 질량(mass of water)에 의해 부유체(1)에 가해지는 수직 힘들은, 너울에 의해 부유체(1)에 가해지는 수직 여기력(vertical excitation forces)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상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형 부유체(1).
  2. 청구항 1에 있어서,
    중심 문풀(2) 내의 물의 질량의 수직 진동 피스톤 모드(vertical oscillation piston mode)의 고유주기 Tpiston은, 부유체가 상하운동으로 움직이는 동안, 부유체(1)의 고유주기 Theave 곱하기 1.25 내지 1.55의 범위 내에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환형 부유체(1).
  3. 청구항 2에 있어서,
    아래 식으로 정의되는 바와 같은 수평면 면적 S0, 수평면에서의 중심 문풀의 면적 S1, 흘수 d 및 질량 M을 가지며,
    Figure 112013077400039-pct00007

    여기에서 ρ는 물의 밀도이고 Ma는 부유체(1)와 함께 위상으로 진동하며 부유체의 질량 M 곱하기 0.45 내지 0.85의 범위 내에 상응하는 물의 추가 질량인 환형 부유체(1).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탑재장비(payload)를 포함하는 환형 부유체(1).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탑재장비는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이용 장치(energy harnessing device)를 포함하는 환형 부유체(1).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탑재장비는 부유체(1)에 대해 중심이 어긋나게 위치되는 환형 부유체(1).
  7. 청구항 6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탑재장비의 부근에 보다 큰 침수체적(larger immersed volume)을 갖는 환형 부유체(1).
  8.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정박장치를 더 포함하는 환형 부유체(1).
  9.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롤-감쇠 장치를 더 포함하는 환형 부유체(1).
  10. 청구항 1에 있어서,
    부유체의 유체동역학적 특성들을 조절하기 위해서 중심 문풀의 외부 및/또는 내부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물을 더 포함하는 환형 부유체(1).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중심 문풀의 주변에, 중심 문풀(2)과 제한적으로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롤 댐핑 챔버를 더 포함하는 환형 부유체(1).
  12. 상하운동 고유주기와 동일한 주기의 너울에 영향을 받는, 물에서 부유되는 부유체(1)의 상하운동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없애는 방법으로서,
    상기 부유체(1)는, 너울에 의해 가해지는 수직 여기력들에 반대되는 수직 힘을 부유체에 작용하기 위해서, 물의 질량이 너울에 대해 반대 위상으로 진동하는 중심 문풀(2)을 구비하는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중심 문풀(2) 내의 물의 질량의 수직 진동 피스톤 모드의 고유주기 Tpiston은, 부유체가 상하운동으로 움직이는 동안, 부유체(1)의 고유주기 Theave 곱하기 1.25 내지 1.55의 범위 내에 있는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부유체는, 아래 식으로 정의되는 바와 같은 수평면 면적 S0, 수평면에서의 중심 문풀의 면적 S1, 흘수 d 및 질량 M을 가지며,
    Figure 112013077621786-pct00025

    여기에서 ρ는 물의 밀도이고 Ma는 부유체(1)와 함께 위상으로 진동하며 부유체의 질량 M 곱하기 0.45 내지 0.85의 범위 내에 상응하는 물의 추가 질량인 방법.
KR1020137022503A 2011-01-25 2012-01-25 환형 부유체 KR1019336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150570A FR2970696B1 (fr) 2011-01-25 2011-01-25 Corps flottant annulaire
FR1150570 2011-01-25
PCT/FR2012/050163 WO2012101383A1 (fr) 2011-01-25 2012-01-25 Corps flottant annulai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2376A KR20140022376A (ko) 2014-02-24
KR101933624B1 true KR101933624B1 (ko) 2018-12-28

Family

ID=45755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2503A KR101933624B1 (ko) 2011-01-25 2012-01-25 환형 부유체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9120542B2 (ko)
EP (1) EP2668090B1 (ko)
JP (1) JP6138697B2 (ko)
KR (1) KR101933624B1 (ko)
CN (1) CN103402865B (ko)
BR (1) BR112013018704B1 (ko)
DK (1) DK2668090T3 (ko)
ES (1) ES2730945T3 (ko)
FR (1) FR2970696B1 (ko)
PL (1) PL2668090T3 (ko)
PT (1) PT2668090T (ko)
SG (1) SG191929A1 (ko)
TR (1) TR201908277T4 (ko)
WO (1) WO20121013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540169B2 (es) * 2014-06-26 2015-12-15 Enrique GONZÁLEZ BLANCO Plataforma flotante inmovilizada mediante captura de agua
CN104743076B (zh) * 2015-04-08 2018-03-06 江苏科技大学 减小海洋工程结构物月池中液体晃荡的装置
FR3067047B1 (fr) 2017-06-06 2019-07-26 Ideol Procede de mise a l'eau
HRP20201510T4 (hr) 2017-11-14 2024-02-16 Parkwind Nv Radna platforma vjetroturbine
CN108246663A (zh) * 2017-12-08 2018-07-06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〇九研究所 一种自动清理海洋生物的防污装置
EP4060123A4 (en) 2019-11-12 2023-10-11 Beridi Maritime S.L. STRUCTURE FOR SUPPORTING VESSEL FACILITIES AND METHODS FOR THEIR EXECUTION
ES2868361A1 (es) * 2020-04-20 2021-10-21 Bluenewables S L Dispositivo de cimentacion para torre eolica y metodo de montaje
CN112177859A (zh) * 2020-09-08 2021-01-05 上海交通大学 一种带月池圆筒型浮式风机平台
NL2026717B1 (en) 2020-10-20 2022-06-16 Gustomsc B V Wind turbine offshore support structure
FR3117553B1 (fr) 2020-12-10 2022-11-04 Bourbon Offshore Gaia Procédé d’assemblage d’un parc éolien offshore flottant
DK202170169A1 (en) * 2021-04-12 2022-10-19 Stiesdal Offshore As Offshore wind turbine with a floating platform
AU2022263178A1 (en) * 2021-04-21 2023-11-16 Seatrium (Sg) Pte. Ltd. Floating structure
NO347477B1 (en) * 2021-07-05 2023-11-13 Gfms As Off-shore wind turbine support system, off-shore wind far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uch wind farm
EP4373735A1 (fr) 2021-07-22 2024-05-29 Dolfines Procédés pour manipuler une charge, notamment pour le montage ou le demontage d'une pale sur une éolienne en mer et dispositifs pour la mise en ?uvre de tels procédés
FR3125504A1 (fr) 2021-07-22 2023-01-27 Dolfines Procédé pour le montage ou le démontage d’une pale sur une éolienne en mer et plateforme équipée pour la mise en œuvre d’un tel procédé.
WO2023046586A1 (en) 2021-09-24 2023-03-30 École Polytechnique Fédérale De Lausanne (Epfl) Floating platform for a wind turbine
ES2938666B2 (es) * 2021-10-07 2023-11-22 Sener Ing & Sist Plataforma flotante semisumergible para aerogenerador marin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45628A1 (en) * 2004-09-02 2006-03-02 Petroleo Brasileiro S.A. - Petrobras Floating structure
US20090126616A1 (en) * 2007-01-01 2009-05-21 Nagan Srinivasan Offshore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vessel for use in ice-covered and clear water appl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069975B1 (ko) 1969-12-18 1974-11-15 Georgii Hans
CA1075092A (en) * 1976-01-19 1980-04-08 Seatek (A California Partnership) Method and apparatus for stabilization of a floating semi-submersible structure
JPS61155287U (ko) * 1985-03-20 1986-09-26
JPS62279185A (ja) * 1986-05-26 1987-12-04 Nippon Kokan Kk <Nkk> 船体ム−ンプ−ル構造
US5098226A (en) * 1990-01-30 1992-03-24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Apparatus and method for damping low frequency perturbations of marine structures
JP2564424Y2 (ja) * 1992-07-30 1998-03-0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ウェル開口急速調整型浮遊式海洋構造物
JP2001165032A (ja) * 1999-12-07 2001-06-19 Mitsubishi Heavy Ind Ltd 風力発電装置
JP4078006B2 (ja) * 2000-01-21 2008-04-2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耐波型大型浮体
JP4358456B2 (ja) * 2000-05-16 2009-11-0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浮体の動揺低減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浮体
JP2004019470A (ja) * 2002-06-12 2004-01-22 Mitsubishi Heavy Ind Ltd 浮体式大型風力発電装置
JP4448972B2 (ja) * 2003-08-22 2010-04-14 富治 渡部 浮体型波力発電装置
PT1719697E (pt) * 2004-02-24 2014-08-25 Mitsubishi Heavy Ind Ltd Dispositivo para reduzir movimento de estrutura marinha
KR100885990B1 (ko) * 2006-05-11 2009-03-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문풀 유동 억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45628A1 (en) * 2004-09-02 2006-03-02 Petroleo Brasileiro S.A. - Petrobras Floating structure
US20090126616A1 (en) * 2007-01-01 2009-05-21 Nagan Srinivasan Offshore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vessel for use in ice-covered and clear water appli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2668090T3 (da) 2019-06-11
PT2668090T (pt) 2019-06-19
US9120542B2 (en) 2015-09-01
SG191929A1 (en) 2013-08-30
CN103402865A (zh) 2013-11-20
BR112013018704B1 (pt) 2021-10-26
KR20140022376A (ko) 2014-02-24
EP2668090A1 (fr) 2013-12-04
FR2970696A1 (fr) 2012-07-27
TR201908277T4 (tr) 2019-06-21
FR2970696B1 (fr) 2013-02-08
CN103402865B (zh) 2016-07-13
BR112013018704A2 (pt) 2016-10-25
JP2014503424A (ja) 2014-02-13
WO2012101383A1 (fr) 2012-08-02
EP2668090B1 (fr) 2019-03-13
US20140060411A1 (en) 2014-03-06
ES2730945T3 (es) 2019-11-13
PL2668090T3 (pl) 2019-09-30
JP6138697B2 (ja) 2017-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3624B1 (ko) 환형 부유체
CA2589614C (en) Damping of oscillations in wind turbines
JP5689485B2 (ja) 内部反動質量及びバネを用いた波力エネルギ変換器
KR101660695B1 (ko) 에너지 생산을 위한 부유식 정박시설
CN103708004A (zh) 减摇装置、浮动基础和海上风力发电机
CN103189639A (zh) 海浪发电站
KR900005914B1 (ko) 가요성 해양 플랫포옴(Flexible Offshore Platform)
US20100200348A1 (en) Liquid damper for reducing vertical and/or horizontal vibrations in a building or machine structure
CN105822509A (zh) 风力发电设备的振动缓冲器及其安装方法和风力发电设备
AU2004324515B8 (en) Oscillation suppression and control system for a floating platform
KR20190017276A (ko)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운동 저감 장치
KR20200104319A (ko) 바다의 파동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시스템
AU2011244255B2 (en) System for generating energy from ocean wave movement
KR20150008284A (ko) 가변수주 진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력 발전 장치
KR100545914B1 (ko) 감쇠력 자동조절기능이 있는 질량이동형 횡동요 감쇠장치
KR101400003B1 (ko) 해양구조물의 동요 저감 장치
US509822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amping low frequency perturbations of marine structures
Spillane et al. Vibration absorbers for deepwater TLP’s
CN103124846A (zh) 波浪能量转换器
JPS6257558B2 (ko)
Rijken et al. Vibration absorber technology and conceptual design of vibration absorber for TLP in ultradeep water
JP3097439U (ja) スクリューで制御する主動式同調液柱ダンパー
CN115817741A (zh) 一种具有节点浮箱的浮式基础
Kobayashi et al. Suppression characteristics of sloshing in vessels by a bulkhead
CN116084267A (zh) 一种多向超低频调谐质量阻尼器及其参数设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