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3393B1 -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 및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 및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3393B1
KR101933393B1 KR1020167035113A KR20167035113A KR101933393B1 KR 101933393 B1 KR101933393 B1 KR 101933393B1 KR 1020167035113 A KR1020167035113 A KR 1020167035113A KR 20167035113 A KR20167035113 A KR 20167035113A KR 101933393 B1 KR101933393 B1 KR 101933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sheet
resinous
skin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5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0384A (ko
Inventor
타다토시 단지
Original Assignee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10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0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3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3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20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3/203Making multilayered articles
    • B29C43/206Making multilayered articles by pressing the material between two preformed layers, e.g. deformabl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6Compression moulding under special conditions, e.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723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multi-lay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9/00Combinations of shap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main groups B29C39/00 - B29C67/00, e.g. associations of moulding and joining techniques; Apparatus theref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plastic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layer folded at the edge, e.g. over another layer ;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layer enveloping or enclosing a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32B37/1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at least one layer is extruded and immediately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 B32B37/18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involving the assembly of discrete sheets or panels only
    • B32B37/18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involving the assembly of discrete sheets or panels only one or more of the layers being p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04Cutting, tearing or severing, e.g. bursting; Cutte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8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 B32B38/1858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us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5Interconnection of layers the layers not being connected over the whole surface, e.g. discontinuous connection or patterned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18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ompress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2043/181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ompress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encapsulated
    • B29C2043/18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ompress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encapsulated complete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6Compression moulding under special conditions, e.g. vacuum
    • B29C2043/561Compression moulding under special conditions, e.g. vacuum under vacuum conditions
    • B29C2043/563Compression moulding under special conditions, e.g. vacuum under vacuum conditions combined with mechanical pressure, i.e. mould plates, rams, stam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7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1/00Use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as moulding material
    • B29K2101/12Thermoplast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0Symmetrical or sandwich layers, e.g. ABA, ABCBA, ABCCB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1Glass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6Carbon fibres, e.g. graphit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2Oxide or hydr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4Oxysalt, e.g. carbonate, sulfate, phosphate or nitrat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07Materials belonging to B32B25/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21Vinyl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21Vinyl resin
    • B32B2266/0228Aromatic vinyl resin,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21Vinyl resin
    • B32B2266/0235Vinyl halide,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42Acryl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5Polyolef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57Polyam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64Polyes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85Condensation resins of aldehydes, e.g. with phenols, ureas, melam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92Thermoplastic elastom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4/00Thermoplastic elastome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02Cellular or por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Yield strength; Tensile str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6Flexural strength; Flexion stiff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8Weight, e.g. weight per square me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98/00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B32B2398/20Thermo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 B32B2419/06Roofs, roof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7/00Walls,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외관상의 미관성을 유지하면서, 성형 불량을 일으키는 경우 없이 필요한 강성을 확보 가능한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10)을 제공한다. 2장의 수지제 표피재 시트(12)와, 양 표피재 시트(12) 사이에 끼워지는 형태로 양 표피재 시트(12) 각각과 면접착되는 수지제 심재(13)를 갖는 샌드위치 패널(10)에 있어서, 상기 2장의 수지제 표피재 시트(12)는 서로의 주연부끼리를 접합시킴으로써, 내부에 중공부를 형성하고, 당해 중공부 내에 상기 수지제 심재(13)가 배치되고, 상기 2장의 수지제 표피재 시트(12)에 대해 대향하는 상기 수지제 심재(13)의 표면 중 적어도 일방에는 당해 표면 전체에 걸쳐 둘러 싸인 홈부(93)와, 당해 홈부(93)에 연통하는 요함부(89)가 형성되고, 추가로 상기 2장의 수지제 표피재 시트(12) 중 적어도 일방에는 상기 홈부(93)에 연통하는 대기 개방 관통공(94)이 그 두께 방향으로 형성되며, 이로써, 상기 중공부 내에서 상기 수지제 심재(13) 중 상기 적어도 일방의 표면과 대응하는 상기 수지제 표피재 시트(12)가 면접착될 때, 상기 적어도 일방의 표면과 대응하는 상기 수지제 표피재 시트(12) 사이의 공기가 상기 홈부(93)를 통하여 상기 요함부(89)에 유도됨과 함께, 상기 대기 개방 관통공(94)으로부터 배기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10).

Description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 및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 방법{RESIN SANDWICH PANEL AND RESIN SANDWICH PANEL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관상의 미관성을 유지하면서, 성형 불량을 일으키는 경우 없이 필요한 강성을 확보 가능한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이른바 샌드위치 패널이 자동차, 항공기 등의 수송 기계용, 건재용, 침대의 바닥판용, 전기 기기의 하우징용, 스포츠·레저용 등 다용도로 사용되어 왔다.
샌드위치 패널은 2장의 표피재 시트, 양 표피재 시트 사이에 개재하는 심재를 가지며, 표피재 시트, 심재 및 표피재 시트의 적층 구조가 기본적 형태이지만, 용도에 따라 샌드위치 패널에 요구되는 기능이 바뀐다.
예를 들면, 욕실에 사용되는 내장 패널과 같이 외관상의 미관이 중시되는 반면, 그다지 강도가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는 외관을 나타내는 표면측 표피재 시트에 추가로 화장재가 첩합될 수 있어, 화장재의 표면 성상 혹은 전체 성형 형상이 중시되며, 구조재로서의 용도의 경우에는 외관상의 미관보다 강도가 요구된다.
이 점, 자동차, 항공기 등의 수송 기계의 내장재 부품, 특히 차량용의 카고 플로어 보드, 데크 보드, 리어 파셀 셸프 등은 연비 향상의 관점에서 경량화가 요구됨과 함께 강도가 요구된다는 점에서, 양 표피재 시트 및 심재가 수지제인 수지제의 샌드위치 패널이 많이 사용되어 왔다.
보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수지제의 샌드위치 패널을 자동차의 카고 플로어 리드로서 이용하는 경우, 단지 외관상의 미관뿐만 아니라, 카고 플로어 리드에 중량물의 화물을 재치하는 용도로 사용된다는 점에서, 화물의 중량을 견디는 강성(특히 굽힘 강성)이 필요한 반면, 연비 향상의 관점에서는 경량화가 요구되어, 고강성 및 경량화와 같이 양립시키기 어려운 기술적 과제를 극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이러한 용도를 위한 수지제의 샌드위치 패널로서 표피재 시트로는 영률이 높은 단단한 수지 재료를 채용하고, 한편 심재로는 부피(심재의 두께)를 줄여, 양 표피재 시트의 간격을 가능한 한 넓힘으로써 단면 계수를 증대시키면서, 심재 자체로는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해, 예를 들면, 발포 재료를 채용하거나, 내부에 중공부를 형성하거나 혹은 표면에 다수의 패임을 형성하는 것이 채용되고 있다.
이러한 수지제의 샌드위치 패널에 있어서, 심재에 공극을 형성하여 경량화를 달성하기 위해,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지를 발포시켜 내부에 무수한 기포를 형성하는 경우가 있다.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는 자동차용 데크 보드 혹은 플로어 패널 등의 내장재 패널 전용의 샌드위치 구조체로서 공통이며, 특허문헌 1은 분할 금형 사이에 2장의 용융 상태의 패리슨을 위치 결정하고, 2장의 용융 상태의 패리슨 사이에 미리 성형된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제 심재(13)를 배치하여, 진공 또는 압공에 의해 분할 금형에 가압하여 성형하는 점을 개시한다.
특허문헌 2는 상하의 분할 금형에 있어서, 미리 성형된 이면측 시트 소재를 재가열하여 연화시킨 것을 하부 몰드에 재치하고, 이어서 하부 몰드를 통해 이면측 시트 소재를 진공 흡인함으로써 부형하고, 이어서 이면측 시트 소재 위에 폴리에틸렌 등의 발포 수지를 재치함과 함께, 미리 성형된 앞면측 시트 소재를 재가열하여 연화시킨 것을 발포 수지 위에 재치하고, 이어서 상하부 몰드 각각을 통해 진공 흡인하면서 형조임함으로써, 샌드위치 구조체를 성형하는 점을 개시한다.
이상과 같은 샌드위치 패널에 의하면, 발포에 의한 기포의 형성에 의해 경량화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수지제 심재(13)의 표면과 대향하는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를 용착할 때, 그 사이에는 공기가 존재한다는 점에서, 예기치 못한 위치에 다양한 크기의 공기 저류부가 단일 혹은 복수 형성되는 경우가 있어, 이에 기인하여 이하와 같은 기술적 문제점이 존재한다.
첫번째로,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로서 성형 불량, 나아가서는 강성 부족이 생긴다는 점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예기치 못한 공기 저류부는 수지제 심재(13)의 표면과 대응하는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의 대향면 사이에 형성된다는 점에서 평면적인 확대를 갖지만, 두께는 매우 작기 때문에 용적이 작다.
따라서, 수지제 심재(13)를 끼워 넣도록 분할 금형을 형조임할 때, 금형 내부의 밀폐 공간은 가압된다는 점에서, 수지제 심재(13)의 표면과 대향하는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 사이에 공기 저류부가 존재하면, 형조임에 의한 내압 상승이 용이하게 발생하여 팽창을 일으키면서, 공기 저류부의 영역이 넓어져 수지제 심재(13)의 표면과 대향하는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 사이에 박리를 일으켜 용착 박리가 생기기 쉬워 성형 불량을 일으키거나, 성형 불량이 아니어도 용착 불충분에서 기인하여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 전체의 강성 저하를 일으킨다.
두번째로,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로서의 미적 외관이 손상된다는 점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분할 금형의 형조임에 의해 공기 저류부의 영역이 넓어지면,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의 외표면 가운데, 공기 저류부의 영역에 상당하는 부분이 부분적으로 팽창되어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의 외표면의 평탄성이 없어져,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로서의 미적 외관이 손상된다.
이러한 공기 저류부를 미리 없앤 후에 분할 금형의 형조임을 행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곤란하다.
세번째로, 샌드위치 패널의 성형 방법에서 기인하여 양호한 품질의 샌드위치 패널을 얻는 것이 곤란해진다는 점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와 같이, 발포에 의한 기포의 형성에는 일반적으로 화학 발포 기술 혹은 물리 발포 기술이 이용되지만, 어떤 경우에도 발포시킨다고 해서 심재에 대한 성형 방법에 대한 제약은 없으며, 무발포 심재와 동일하게 압출 성형, 사출 성형, 블로우 성형 혹은 프레스 성형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발포 배율의 증대에 따라 특히 압출 성형 혹은 사출 성형의 경우, 발포 배율의 조정이 곤란해져 원하는 품질을 얻는 것이 곤란해진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33480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4700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52389호
이상 기술적 과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외관상의 미관성을 유지하면서, 성형 불량을 일으키는 경우 없이 필요한 강성을 확보 가능한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은,
2장의 수지제 표피재 시트와, 양 표피재 시트 사이에 끼워지는 형태로 양 표피재 시트 각각과 면접착되는 수지제 심재를 갖는 샌드위치 패널에 있어서,
상기 2장의 수지제 표피재 시트는 서로의 주연부끼리를 접합시킴으로써, 내부에 중공부를 형성하고, 당해 중공부 내에 상기 수지제 심재가 배치되고,
상기 2장의 수지제 표피재 시트에 대해 대향하는 상기 수지제 심재의 표면 중 적어도 일방에는 당해 표면 전체에 걸쳐 둘러 싸인 홈부와, 당해 홈부와 연통하는 요함부가 형성되고,
추가로 상기 2장의 수지제 표피재 시트 중 적어도 일방에는 대기 개방 관통공이 그 두께 방향으로 형성되며,
이로써, 상기 중공부 내에서 상기 수지제 심재 중 상기 적어도 일방의 표면과 대응하는 상기 수지제 표피재 시트가 면접착될 때, 상기 적어도 일방의 표면과 대응하는 상기 수지제 표피재 시트 사이의 공기가 상기 홈부를 통하여 상기 요함부에 유도됨과 함께, 상기 대기 개방 관통공으로부터 배기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에 의하면, 2장의 수지제 표피재 시트에 대해 대향하는 수지제 심재의 표면 중 적어도 일방에 표면 전체에 걸쳐 둘러 싸인 홈부와, 홈부와 연통하는 요함부가 형성된다는 점에서, 홈부측의 수지제 심재의 표면과, 이에 대향하는 수지제 표피재 시트가 면접착될 때, 이들 사이에 예기치 않게 공기 저류부가 형성된다고 해도 공기 저류부 내에 모인 공기가 홈부를 통하여 요함부에 모임과 함께, 홈부를 통하여 대기 개방공으로부터 배기되는 것이 가능하여, 홈부가 공기 제거 기능을 발휘하며, 예를 들면,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을 성형할 때, 공기 저류부가 원인으로서 성형 불량을 일으키거나 혹은 성형 불량이 아니어도 수지제 심재와 수지제 표피재 시트 사이에서 용착 불충분을 일으켜,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 전체의 강성 부족을 일으킬 우려가 없으며, 혹은 공기 저류부의 영역이 넓어져 부분적으로 팽창되어,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로서의 미적 외관을 해치지 않으며, 외관상의 미관성을 유지하면서 성형 불량을 일으키는 경우 없이 필요한 강성을 확보 가능한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요함부란, 수지제 심재의 표면 중 적어도 일방에 있어서 대응하는 수지제 표피재 시트에 의해 폐쇄되는 내부 스페이스로서, 수지제 심재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어도 되고, 관통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상기 요함부는 상기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 개구를 형성하여 안쪽을 향해 연신되고, 또한 대응하는 상기 수지제 표피재 시트에 의해 폐쇄되는 공극을 내부에 구성하며,
상기 개구의 면적은 상기 적어도 일방의 표면과 상기 대응하는 상기 수지제 표피재 시트 사이에서의 면접착이 충분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공극의 용적은 상기 중공부 내에서 상기 수지제 심재 중 상기 적어도 일방의 표면과 대응하는 상기 수지제 표피재 시트가 면접착될 때, 상기 홈부를 통하여 상기 요함부에 유도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공극 내의 내압 상승을 억제하기에 충분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지제 심재는 중실(中實) 형상이며, 상기 요함부는 상기 공극이 중실부에 형성됨으로써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지제 심재는 한 쌍의 열가소성 수지제 판재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요함부는 한 쌍의 열가소성 수지제 판재의 일방의 표면에 개구를 형성하고, 내표면측에서 타방의 열가소성 수지제 판재를 향해 돌출되는 고리형 리브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열가소성 수지제 판재는 내부에 중공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홈부는 단일의 긴 홈이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추가로, 상기 홈부는 복수의 고리형 홈이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적어도 인접하는 홈끼리가 연통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홈부는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지제 심재의 장변에 평행으로 연신되는 제1 홈부군과, 상기 수지제 심재의 단변에 평행으로 연신되는 제2 홈부군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수지제 심재는 소정 발포 배율의 발포제 수지로서, 상기 수지제 심재 중 상기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 대향하는 상기 수지제 표피재 시트는 상기 홈부의 바닥면에 대해 접합되어 있어도 된다.
추가로, 상기 홈부는 상기 수지제 심재의 각각의 표면 위에 형성되고,
상기 요함부는 상기 수지제 심재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2장의 수지제 표피재 시트 중 적어도 일방에는 상기 홈부에 연통하는 대기 개방 관통공이 그 두께 방향으로 추가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대기 개방 관통공은 상기 2장의 수지제 표피재 시트 중 적어도 일방에 바늘침침을 관통시킴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요함부는 상기 수지제 심재 중 상기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 있어서, 상기 대기 개방 관통공에 대응하는 부위에 바늘침침과의 간섭을 회피하기에 충분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2장의 수지제 표피재 시트는 서로의 주연부끼리를 접합시킴으로써, 상기 수지제 심재의 주위에 외주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홈부는 상기 수지제 심재의 외부 가장자리로 빠지도록 형성되고, 이로써,
상기 홈부는 상기 외주 공간부와 연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대기 개방 관통공은 상기 2장의 수지제 표피재 시트 중 적어도 일방의 상기 외주 공간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바늘침침을 관통시킴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대기 개방 관통공은 상기 2장의 수지제 표피재 시트 중 적어도 일방에 바늘침침을 관통시킴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수지제 심재 중 상기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 있어서, 상기 대기 개방 관통공에 대응하는 부위에 바늘침침과의 간섭을 회피하기에 충분한 스페이스를 갖는 오목부가 상기 홈부를 통하여 상기 요함부와 연통하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추가로, 상기 대기 개방 관통공은 상기 홈부의 유로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홈부는 상기 수지제 심재 중 상기 적어도 일방의 표면과 대응하는 상기 수지제 표피재 시트가 면접착됨으로써 소실되지 않는 영구 홈으로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2장의 수지제 표피재 시트는 서로의 주연부끼리를 접합시킴으로써, 상기 수지제 심재의 주위에 외주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홈부는 상기 수지제 심재의 외부 가장자리로 빠지는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로써, 상기 격자 형상의 홈부는 상기 외주 공간부와 연통해도 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은,
2장의 수지제 표피재 시트와, 양 표피재 시트 사이에 끼워지는 형태로 양 표피재 시트 각각과 면접착되는 수지제 심재를 갖는 샌드위치 패널에 있어서,
상기 2장의 수지제 표피재 시트는 서로의 주연부끼리를 접합시킴으로써, 당해 수지제 심재의 주위에 외주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2장의 수지제 표피재 시트에 대해 대향하는 상기 수지제 심재의 표면 중 적어도 일방에, 당해 수지제 심재의 외부 가장자리로 빠지는 격자 형상의 홈부가 형성되며,
이로써, 상기 격자 형상의 홈부는 상기 외주 공간부와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을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에 의하면, 양 표피재 시트 사이에 끼워지는 형태로 양 표피재 시트 각각과 면접착되는 수지제 심재에 있어서, 2장의 수지제 표피재 시트는 서로의 주연부끼리를 접합시킴으로써, 수지제 심재의 주위에 외주 공간부를 형성하고, 2장의 수지제 표피재 시트에 대해 대향하는 수지제 심재의 표면 중 적어도 일방에, 수지제 심재의 외부 가장자리로 빠지는 격자 형상의 홈부가 형성되며, 이로써, 격자 형상의 홈부가 외주 공간부와 연통한다는 점에서, 격자 형상의 홈부측의 수지제 심재의 표면과 이에 대향하는 수지제 표피재 시트가 면접착될 때, 이들 사이에 예기치 않게 공기 저류부가 형성된다고 해도 공기 저류부 내에 모인 공기가 격자 형상의 홈부를 통하여 외주 공간부에 분산되는 것이 가능하고, 외주 공간부는 그 자체로서 공기 저류부가 되지만, 수지제 심재 위의 공기 저류부에 비해, 용착성의 문제 및 팽창에 의한 외관상의 문제가 작은 반면, 수지제 심재 위의 공기 저류부에 비해 용적이 크다는 점에서, 격자 형상의 홈부가 공기 제거 기능을 발휘하여, 예를 들면,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을 성형할 때, 공기 저류부가 원인으로서 성형 불량을 일으키거나 혹은 성형 불량이 아니어도 수지제 심재와 수지제 표피재 시트 사이에서 용착 불충분을 일으켜,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 전체의 강성 부족을 일으킬 우려가 없으며, 혹은 공기 저류부의 영역이 넓어져 부분적으로 팽창되어,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로서의 미적 외관을 해치지 않고, 외관상의 미관성을 유지하면서, 성형 불량을 일으키는 경우 없이 필요한 강성을 확보 가능한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외주 공간부는 밀폐 고리형 공간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지제 심재는 소정 발포 배율의 발포제 수지로서, 상기 2장의 수지제 표피재 시트 중 적어도 일방은 상기 홈부의 바닥면에 대해 접합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격자 형상의 홈부는 상기 수지제 심재의 2장의 수지제 표피재 시트의 각각에 대향하는 표면 위에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격자 형상의 홈부는 상기 수지제 심재의 장변에 평행으로 연신되는 제1 홈부군과, 상기 수지제 심재의 단변에 평행으로 연신되는 제2 홈부군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제1 홈부군 및 상기 제2 홈부군 각각의 홈부는 상기 수지제 심재의 외주연에 빠지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추가로, 상기 2장의 수지제 표피재 시트 중 적어도 일방에는 상기 격자 형상의 홈부에 연통하는 대기 개방 관통공이 그 두께 방향으로 연신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2장의 수지제 표피재 시트에 대해 대향하는 상기 수지제 심재의 표면 중 적어도 일방에는 상기 홈부와 연통하는 요함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함부는 상기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 개구를 형성하여 안쪽을 향해 연신되고, 또한 대응하는 상기 수지제 표피재 시트에 의해 폐쇄되는 공극을 내부에 구성하며,
상기 개구의 면적은 상기 적어도 일방의 표면과 상기 대응하는 상기 수지제 표피재 시트 사이에서의 면접착이 충분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공극의 용적은 상기 중공부 내에서 상기 수지제 심재 중 상기 적어도 일방의 표면과 대응하는 상기 수지제 표피재 시트가 면접착될 때, 상기 홈부를 통하여 상기 요함부에 유도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공극 내의 내압 상승을 억제하기에 충분하도록 설정되며,
이로써, 상기 수지제 심재 중 상기 적어도 일방의 표면과 대응하는 상기 수지제 표피재 시트가 면접착될 때, 상기 적어도 일방의 표면과 대응하는 상기 수지제 표피재 시트 사이의 공기가 상기 홈부를 통하여 상기 요함부에 유도되어도 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의 성형 방법은,
2장의 수지제 표피재 시트 사이에 끼워지는 수지제 심재를 갖는 샌드위치 패널의 성형 방법으로서,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 당해 수지제 심재의 외부 가장자리로 빠지는 격자 형상의 홈부가 형성된 수지제 심재를 미리 준비하는 단계와,
한 쌍의 분할 형식의 금형 각각의 캐비티의 주연부에 형성된 고리형의 핀치 오프부의 주위에 비어져 나오는 형태로, 2장의 용융 상태의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를 한 쌍의 분할 형식의 금형 사이에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일방의 금형과 대응하는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 사이에 밀폐 공간을 형성해, 당해 밀폐 공간으로부터 공기를 감압함으로써,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를 흡인해 캐비티를 따라 부형하는 단계와,
2장의 용융 상태의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 사이에 상기 수지제 심재를 끼워 넣도록 상기 한 쌍의 분할 금형을 형조임 위치까지 이동시킴으로써, 2장의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의 내표면끼리를 한 쌍의 분할 금형의 핀치 오프부를 따라 용착시키고, 2장의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의 주연부끼리를 일체화시켜, 당해 수지제 심재의 주위에 외주 공간부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격자 형상의 홈부를 통하여 상기 수지제 표피재 시트와 상기 수지제 심재 사이의 공기 제거를 행하면서, 대응하는 수지제 표피재 시트를 상기 수지제 심재에 면접착하는 단계를 갖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수지제 심재는 상기 한 쌍의 분할 금형의 형조임 전에 상기 흡인에 의해 성형된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의 내면에 대해 가압하여 용착시켜도 된다.
추가로, 상기 일방 및/또는 상기 타방의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는 미리 예비 성형되고, 재가열하여 용융 상태로 되어도 된다.
추가로, 상기 일방 및 상기 타방의 용융 상태의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를 하방에 늘어지는 형태로, 상기 한 쌍의 분할 금형 사이를 향해 압출하는 단계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는 용융 상태의 통형상 패리슨을 짓눌러 시트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는 용융 상태의 통형상 패리슨을 압출하고, 압출 중에 적어도 2지점에 있어서 통형상 패리슨을 압출 방향에 따라 깊이 절단하여 2장의 시트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감압 단계는 상기 적어도 일방의 분할 금형의 주연에 대해 형조임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외측에 감합하는 외측 프레임을 대응하는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의 외표면을 향해 이동시키는 단계를 갖고, 상기 대응하는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의 외표면, 상기 외측 프레임의 내주면 및 상기 한 쌍의 분할 금형의 각각의 캐비티에 의해 밀폐 공간을 구성해도 된다.
추가로, 상기 2장의 수지제 표피재 시트 중 적어도 일방에는 상기 격자 형상의 홈부에 연통하는 대기 개방 관통공을 그 두께 방향으로 연신되도록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갖는 것이어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10)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B-B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선A-A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10)의 변형예의 도 2와 동일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10)의 성형 공정 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1, P2) 사이에 수지제 심재(13)를 배치하고 있는 상황을 나타내는 개략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10)의 성형 공정 에 있어서, 분할 금형(73)을 형 조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10)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10)의 홈부의 도 3과 동일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10)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10)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선C-C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10)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10)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10)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10)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10)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10)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8 실시형태에 따른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10)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8 실시형태에 따른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10)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선A-A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10)의 성형 장치의 개략을 나타냄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10)의 성형 공정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1, P2)를 분할 형식의 금형 사이에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10)의 성형 공정 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1)를 부형하고 있는 상황을 나타내는 개략 부분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10)의 성형 공정 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1, P2) 사이에 수지제 심재를 배치하고 있는 상황을 나타내는 개략 부분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10)의 성형 공정 에 있어서, 분할 금형(73)을 형 조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10)의 성형 공정 에 있어서, 분할 금형(73)을 형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9 실시형태에 따른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10)의 평면도이며, 도 19와 동일한 도면이다.
도 27은 도 26의 선B-B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형태에 따른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10)의 평면도이며, 도 19와 동일한 도면이다.
본 발명을 따른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 및 이러한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 방법 각각의 제1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10)은 자동차용, 항공기용, 차량·선박용, 건재용, 각종 전기 기기의 하우징용, 침대의 바닥판용, 스포츠·레저용의 휨 강성 또는 굽힘 좌굴에 강한 구조 부재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자동차 등의 구조 부재로서 경량화의 관점에서 연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카고 플로어 보드, 데크 보드, 리어 파셀 셸프, 루프 패널, 도어 트림 등의 내장 패널, 그 밖에 도어 이너 패널, 플랫폼, 하드톱, 선루프, 보닛, 범퍼, 플로어 스페이서, 티비아 패드 등의 구조 부재로서 경량화에 공헌하는 것으로, 샌드위치 패널(10)의 형상은 제품의 목적에 따라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샌드위치 패널(10)로서 경량화 및 고강성이 요구되는 자동차의 카고 플로어 리드에 사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이하에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러한 샌드위치 패널(10)은 앞면측 표피재 시트(12A)와, 이면측 표피재 시트(12B)와, 양 표피재 시트(12A, B) 사이에 개재하는 발포성의 수지제 심재(13)와, 앞면측 표피재 시트(12A)의 외표면에 첩합된 화장재 시트(14)로 구성되고, 샌드위치 패널(10)은 화장재 시트(14), 앞면측 표피재 시트(12A), 수지제 심재(13) 및 이면측 표피재 시트(12B)의 적층 구조물이다.
앞면측 표피재 시트(12A)와 이면측 표피재 시트(12B)는 서로의 주연부(82)끼리를 접합시킴으로써, 밀폐 공간부(84)를 내부에 형성하고, 주연부(82)와 밀폐 공간부(84) 내의 수지제 심재(13)의 외주연부(86) 사이에는 고리형 스페이스(88)가 형성된다. 여기서, 고리형 스페이스(88)는 앞면측 표피재 시트(12A)와 이면측 표피재 시트(12B)의 재료인 용융 상태의 열가소성 수지 시트를 성형할 때, 주연부(82)에 의해 형성되는 샌드위치 패널(10)의 둘레벽이 수지제 심재(13)와 부착되어 성형 불량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관점에서 소극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수지제 심재(13)는 발포제를 첨가한 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수지제 심재(13)를 형성하는 수지로는 에틸렌, 프로필렌, 부텐, 이소프렌펜텐, 메틸펜텐 등의 올레핀류의 단독 중합체 혹은 공중합체인 폴리올레핀(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아미드,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 유도체, 폴리카보네이트,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등의 초산비닐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에틸렌-프로필렌-디엔류 등의 터폴리머,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ABS 수지,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아세탈, 페놀 수지, 폴리메타크릴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은 한 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두 종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특히, 수지제 심재(13)와 표피재 시트(12)를 동일 재질로 함으로써 열 용착에 의해 용제 등을 사용하지 않고 접착시킬 수 있다. 수지제 심재(13)는 첨가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되고, 그 첨가제로는 실리카, 마이카, 탤크, 탄산칼슘, 유리 섬유, 카본 섬유 등의 무기 필러, 가소제, 안정제, 착색제, 대전 방지제, 난연제, 발포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발포제로는 물리 발포제, 화학 발포제 및 그 혼합물 중 어느 것을 사용해도 된다. 물리 발포제로는 공기, 탄산 가스, 질소 가스, 물 등의 무기계 물리 발포제 및 부탄, 펜탄, 헥산,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등의 유기계 물리 발포제, 추가로 이들의 초임계 유체를 사용할 수 있다. 초임계 유체로는 이산화탄소, 질소 등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질소이면 임계 온도 149.1℃, 임계 압력 3.4MPa 이상, 이산화탄소이면 임계 온도 31℃, 임계 압력 7.4MPa 이상으로 함으로써 얻어진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제 심재(13)의 2장의 수지제 표피재 시트(12) 각각에 대향하는 표면(69, 71) 위에 격자 형상의 홈부(93)가 형성된다.
수지제 심재(13)의 양 표면(69, 71)에 형성되는 홈부(93)는 동일한 구조이기 때문에, 일방의 표면(69)에 형성되는 홈부(93)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격자 형상의 홈부(93)는 수지제 심재(13)의 장변에 평행으로 연신되는 제1 홈부군과, 수지제 심재(13)의 단변에 평행으로 연신되는 제2 홈부군에 의해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홈부(93)는 홈부(93A 내지 93G) 7개가 형성되고, 홈부(93A, B)는 수지제 심재(13)의 장변에 평행으로, 한편 홈부(93C 내지 G)는 수지제 심재(13)의 단변에 평행으로 각각 형성된다.
홈부(93A 내지 93G) 각각에 있어서, 각 단은 수지제 심재(13)의 주연부(86)까지 연신되지 않고, 홈부(93)는 고리형 스페이스(88)와 연통되어 있지 않다.
이 경우, 수지제 표피재 시트(12)와 수지제 심재(13) 사이의 어딘가에 어떠한 크기의 공기 저류부(A)가 몇 개 형성될지 미리 예상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점에서, 공기 저류부(A)가 어디에 형성되더라도 이에 모이는 공기가 홈부(93)를 통하여 요함부(89)(뒤에 설명)에 모임과 함께, 홈부(93)를 통하여 대기 개방공(뒤에 설명)으로부터 배기되는 것이 가능해지도록 격자 형상의 홈부(93)의 밀도를 높게 하여, 예기치 않게 형성되는 공기 저류부(A)에 홈부(93)가 연통하도록 해 둘 필요가 있다.
도 1에 있어서, 임의 형상의 사선 형상으로 나타내는 폐쇄 영역이 어디에 생길지 불분명한 공기 저류부(A)를 나타낸다.
인접하는 홈부(93)끼리의 간격(격자폭)은 이러한 관점에서 결정하면 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부(93)의 단면 형상은 편평한 사다리꼴 형상이며, 폭(L), 깊이(D) 및 경사 각도(α)는 뒤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샌드위치 패널의 성형시에 있어서, 분할 금형을 형조임할 때, 공기 저류부(A)에 모인 공기가 홈부(93)를 통하여 요함부(89)(뒤에 설명)에 모임과 함께, 홈부(93)를 통하여 대기 개방공(뒤에 설명)으로부터 배기되는 것이 가능해지는 관점에서 결정하면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뒤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샌드위치 패널의 성형시에 있어서, 분할 금형을 형조임할 때 홈부(93)가 소실되지 않도록, 영구 홈으로서 형성되도록 정한다.
표피재 시트(12)는 폴리프로필렌,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올레핀계 수지 등으로 형성된 시트로 이루어진다. 수지제 심재(13)의 양측에 형성되는 표피재 시트(12) 사이의 간격, 즉 수지제 심재(13)의 부피(두께)를 확보함으로써, 샌드위치 패널(10) 전체로서의 강성, 특히 굽힘 강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표피재 시트(12)의 강성으로는 적어도 수지제 심재(13)의 강성보다 높은 재질이 요구된다. 표피재 시트(12)는 샌드위치 패널(10)의 상면벽 및 하면벽을 구성하고, 바람직하게는 샌드위치 패널(10)의 외주에 있어서 표피재 시트(12A)와 표피재 시트(12B)의 말단을 핀치 오프부에 의해 용착 일체화하여 측벽을 구성한다. 샌드위치 패널(10)의 외주의 측벽과 수지제 심재(13)의 외주에는 간극(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고, 이로써 성형 후의 표피재 시트(12)와 수지제 심재(13)의 열수축의 차이에 의해 샌드위치 패널(1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표피재 시트(12)는 드로우 다운, 넥 인 등에 의해 두께의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용융 장력이 높은 수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한편 금형에 대한 전사성, 추종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유동성이 높은 수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에틸렌, 프로필렌, 부텐, 이소프렌펜텐, 메틸펜텐 등의 올레핀류의 단독 중합체 혹은 공중합체인 폴리올레핀(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고밀도 폴리에틸렌)이며, 230℃에 있어서의 MFR(JIS K-7210에 준하여 시험 온도 230℃, 시험 하중 2.16㎏으로 측정)이 3.0g/10분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3∼1.5g/10분인 것, 또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고충격 폴리스티렌(HIPS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AS 수지) 등의 비정성 수지로서, 200℃에 있어서의 MFR(JIS K-7210에 준하여 시험 온도 200℃, 시험 하중 2.16㎏으로 측정)이 3.0∼60g/10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30∼50g/10분이고, 또한, 230℃에 있어서의 멜트 텐션(주식회사 도요 정기 제작소 제조 멜트 텐션 테스터를 이용해 여열 온도 230℃, 압출 속도 5.7㎜/분으로, 직경 2.095㎜, 길이 8㎜의 오리피스로부터 스트랜드를 압출하고, 이 스트랜드를 직경 50㎜의 롤러에 권취 속도 100rpm으로 권취했을 때의 장력을 나타낸다)이 50mN 이상, 바람직하게는 120mN 이상인 것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또한, 표피재 시트(12)에는 충격에 의해 균열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소 첨가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30wt% 미만, 바람직하게는 15wt% 미만의 범위로 첨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수소 첨가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수첨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및 그 혼합물이 바람직하고, 스티렌 함유량이 30wt% 미만, 바람직하게는 20wt% 미만이고, 230℃에 있어서의 MFR(JIS K-7210에 준하여 시험 온도 230℃, 시험 하중 2.16㎏으로 측정)은 1.0∼10g/10분, 바람직하게는 5.0g/10분 이하이며, 또한 1.0g/10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로, 표피재 시트(12)에는 수지제 심재(13)와 동일하게 첨가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되고, 그 첨가제로는 실리카, 마이카, 탤크, 탄산칼슘, 유리 섬유, 카본 섬유 등의 무기 필러, 가소제, 안정제, 착색제, 대전 방지제, 난연제, 발포제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리카, 마이카, 유리 섬유 등을 성형 수지에 대해 50wt% 이하, 바람직하게는 30∼40wt% 첨가한다.
표피재 시트(12)의 표면에 화장재 시트(14)를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화장재 시트(14)란, 외관성 향상, 장식성, 성형품과 접촉하는 물건(예를 들면, 카고 플로어 보드의 경우, 보드 상면에 재치되는 화물 등)의 보호를 목적으로 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화장재 시트(14)의 재질은 섬유 표피재 시트상 표피재, 필름상 표피재 등이 적용된다. 이러한 섬유 표피재의 소재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아크릴, 비닐론 등의 합성 섬유, 아세테이트, 레이온 등의 반합성 섬유, 비스코스 레이온, 구리암모니아 레이온 등의 재생 섬유, 면, 마, 양모, 실크 등의 천연 섬유, 또는 이들의 블렌드 섬유를 들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서 요함부(89)에 대해 설명하면, 요함부(89)는 홈부(93)의 교차부에 형성되며, 2개의 홈부(93A, G)와 연통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요함부(89)는 수지제 심재(13)의 각 표면에 개구를 형성하여 안쪽을 향해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연신되는 원주상의 관통공을 형성하고, 대응하는 수지제 표피재 시트(12)에 의해 폐쇄되는 공극을 내부에 구성한다.
이로써, 수지제 심재(13)의 어느 쪽의 표면에 공기 저류부(A)가 형성되는 경우에도, 그곳으로부터 홈부(93)를 통하여 요함부(89)에 공기를 모으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개구의 면적은 수지제 심재(13)의 각 표면과 대응하는 수지제 표피재 시트(12) 사이에서의 면접착이 충분하도록 설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개구 면적이 지나치게 큼으로써, 접착 면적이 부족하여 면접착이 불충분해지지 않도록 한다.
한편, 공극의 용적은 중공부 내에서 수지제 심재(13)의 각 표면과 대응하는 수지제 표피재 시트(12)가 면접착될 때, 홈부(93)를 통하여 요함부(89)에 유도되는 공기에 의해, 공극 내의 내압 상승을 억제하기에 충분하도록 설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공극의 용적이 지나치게 작음으로써, 공극 내의 내압 상승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공극의 용적은 요함부(89)의 개구의 크기와, 수지제 심재(13)의 두께로 결정되는 결과, 상정되는 공기 저류부(A)의 용적에 따라, 필요한 공극의 용적을 결정해 면접착의 확보의 관점에서 결정되는 개구의 최대 허용 면적에 대해, 수지제 심재(13)의 두께를 결정해도 되고, 혹은 샌드위치 패널(10)의 사양으로서 수지제 심재(13)의 두께가 미리 결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에 따라 요함부(89)의 개구의 크기를 결정하고, 이것이 개구의 최대 허용 면적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요함부(89)를 복수 형성하여 면접착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서로 충분히 떨어진 위치에 형성해도 된다.
또한, 변형예로서 홈부(93)를 수지제 심재(13)의 표면의 일방에 형성하면서, 요함부(89)를 복수 형성하는 경우에는 각 요함부(89)는 수지제 심재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하지 않고, 홈부(93)를 형성하는 측의 수지제 심재(13)의 표면에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중실 형상의 수지제 심재(13)에 대해, 비관통공을 형성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수지제 심재(13)를 두께 방향으로 변형시킴으로써, 타방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양태로 일방의 표면에 각각의 요함부(89)를 형성해도 된다(도 4 참조).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피재 시트(12B)의 홈부(93)의 유로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시트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대기 개방공(94)이 형성되어, 홈부(93)와 연통한다. 대기 개방공(94)의 직경은 홈부(93)의 폭보다 작고, 대기 개방공(94)을 형성하는 위치, 특히, 요함부(89)와의 위치 관계는 이하의 관점에서 결정하면 된다.
즉, 공기 저류부(A)에 모인 공기를 홈부(93)를 통하여 요함부(89)에 모음과 함께, 대기 개방공(94)으로부터 배기할 때, 표피재 시트(12B)에 대기 개방공(94)을 형성하는 타이밍으로는 뒤에 설명하는 분할 금형의 형조임에 의한 수지제 심재(13)와 표피재 시트(12B)의 면용착의 전후를 고려할 수 있고, 용착 전에 예를 들면, 바늘침에 의해 표피재 시트(12B)에 대기 개방공(94)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용착시에 공기 저류부(A)가 형성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한편, 용착 후에 동일한 방법으로 대기 개방공(94)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용착시에 형성되는 공기 저류부(A)를 사후적으로 처리하게 된다.
이 경우, 용착 전이면 대기 개방공(94)은 홈부(93)와 연통하는 한 임의의 위치이면 되고, 용착 후이면 요함부(89)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하면 된다.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성형된 발포 심재(13)를 이용하여, 발포 심재(13)를 끼워 넣도록 표피재 시트(12A, B)의 주연부(82)를 용착시키도록 하여 샌드위치 패널(10)을 성형할 때, 앞면측 표피재 시트(12A)와 이면측 표피재 시트(12B)에 있어서, 서로의 주연부(82)끼리를 접합시킴으로써, 밀폐 공간부(84)를 내부에 형성하고, 주연부(82)와 밀폐 공간부(84) 내의 발포 심재(13)의 외주연부(86) 사이에 고리형 스페이스(88)를 적극적으로 형성함과 함께, 수지제 심재(13)의 2장의 수지제 표피재 시트(12)의 각각에 대향하는 표면(69, 71) 위에, 수지제 심재(13)의 외주연(86)에 빠지는 격자 형상의 홈부(93)를 형성해도 된다.
이로써, 공기 저류부(A) 내에 모인 공기가 홈부(93)를 통하여 요함부(89)에 모임과 함께, 홈부(93)를 통하여 대기 개방공(94)으로부터 배기되는 한편, 발포 심재(13)의 표면에 형성되는 홈부(93)가 발포 심재(13)의 외주연부(86)까지 연신되어, 고리형 스페이스(88)에 연통함으로써, 금형의 형조임시에 발포 심재(13)와 표피재 시트(12A, B) 사이에 형성되는 경우가 있는 공기 저류부(A)가 고리형 스페이스(88)에 분산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샌드위치 패널(10)의 성형 장치(60)는 압출 장치(62)와, 압출 장치(62)의 하방에 배치된 형조임 장치(64)를 갖고, 압출 장치(62)로부터 압출된 용융 상태의 패리슨(P)을 형조임 장치(64)에 보내, 형조임 장치(64)에 의해 용융 상태의 패리슨(P)을 성형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형조임 장치(64)도 압출 장치(62)와 동일하게 종래 알려진 타입으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2개의 분할 형식의 금형(73)과, 금형(73)을 용융 상태의 시트상 패리슨(P)의 공급 방향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 이동시켜 금형 구동 장치를 갖는다.
2개의 분할 형식의 금형(73)은 캐비티(74)를 대향시킨 상태로 배치되고, 각각 캐비티(74)가 대략 연직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각각의 캐비티(74)의 표면에는 보다 정확하게는 뒤에 설명하는 고리형의 핀치 오프부(76)의 내측에는 용융 상태의 시트상 패리슨(P)에 기초하여 성형되는 표피재 시트(12)의 외형 및 표면 형상에 따라 요철부가 형성된다.
2개의 분할 형식의 금형(73) 각각에 있어서, 캐비티(74) 주위에는 핀치 오프부(76)가 형성되고, 이 핀치 오프부(76)는 캐비티(74) 주위에 고리형으로 형성되어 대향하는 금형(73)을 향해 돌출된다. 이로써, 2개의 분할 형식의 금형(73)을 형조임할 때, 각각의 핀치 오프부(76)의 선단부가 맞닿아, 용융 상태의 패리슨(P)의 주연에 파팅 라인(PL)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2개의 분할 형식의 금형(73) 사이에는 한 쌍의 금형(73)과 상자식으로 캐비티(74)와 대략 평행으로 한 쌍의 프레임 부재(75)가 배치되고, 한 쌍의 프레임 부재(75)는 각각 개구를 갖고, 도시하지 않는 프레임 부재 구동 장치에 의해 한 쌍의 프레임 부재(75)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로써, 한 쌍의 프레임 부재(75) 각각을 대응하는 용융 상태의 패리슨(P)을 향해 이동시켜, 패리슨(P)을 유지하고, 그 상태로 역방향으로 대응하는 금형(73)의 핀치 오프부(76)의 선단이 개구를 통해 패리슨(P)의 표면에 맞닿을 때까지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금형 구동 장치에 대해서는 종래와 동일한 것으로, 그 설명은 생략하지만 2개의 분할 형식의 금형(73)은 각각 금형 구동 장치에 의해 구동되고, 개방 위치에 있어서, 2개의 분할 금형(73) 사이에 2장의 용융 상태의 시트상 패리슨(P)이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한편 폐쇄 위치에 있어서, 2개의 분할 금형(73)의 핀치 오프부(76)가 맞닿고, 고리형의 핀치 오프부(76)가 서로 맞닿음으로써, 2개의 분할 금형(73) 내에 밀폐 공간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도 5에 있어서, 참조 번호 77은 통기 접촉면, 참조 번호 78은 진공 챔버, 참조 번호 79는 블로우 핀이다.
다음으로, 상기 서술한 성형 장치를 사용한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10)의 성형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미리, 수지제 심재(13)를 준비해 둠과 함께, 화장재(14)를 캐비티(74B)에 배치해 둔다.
한편, 수지제 심재(13)의 성형 방법에 대해서는 종래와 같이 발포 비즈를 금형 내에 도입해 가열에 의해 융착 고정시켜도 되고, 블로우 성형, 진공 성형, 프레스 성형, 경우에 따라 사출 성형이어도 되고, 수지제 심재(13)로는 각 표면에 홈부 및 홈부에 연통하는 요함부(89)를 형성하는 한, 통형상 패리슨에 의한 중실 타입, 2장 시트에 의한 중공 타입이어도 된다.
또한, 수지제 심재(13)의 배치 타이밍은 형개방 후에서 형조임까지이면 언제여도 된다.
이어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융 상태의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1, 2)를 대응하는 다이 슬릿으로부터 연직 하방에 압출하여, 2장의 연속 시트상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1, 2)를 대응하는 핀치 오프부(76)에서 비어져 나오는 형태로 2개의 분할 금형(73) 사이에 공급한다.
이어서, 분할 금형(73A)의 형틀(75A)을 분할 금형(73A)에 대해,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1)를 향해 이동시켜,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1)의 측면(83)에 맞닿게 한다. 이로써,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1)의 측면(83), 형틀(75A)의 내주면 및 캐비티(73A)에 의해 밀폐 공간이 형성된다.
이어서, 밀폐 공간 내의 공기를 진공 흡인실로부터 흡인공을 통하여 흡인함으로써,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1)는 캐비티(74A)에 대해 흡착되고, 이로써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1)는 캐비티(74A)의 표면을 따른 형상으로 부형된다.
이어서, 수지제 심재(13)를 2장의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1, 2) 사이에 양 시트에 평행으로 배치하고, 수지제 심재(13)의 표면을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1)의 내표면에 대해 가압하여 용착 고정시킨다. 이 때, 수지제 심재(13)의 반대측의 표면은 개방되어 있다는 점에서, 수지제 심재(13)와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1)의 내표면 사이의 공기를 격자 형상의 홈부(93) 및 요함부(89)를 통하여 빠져나가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어서,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1)의 홈부(93)의 유로에 대응하는 위치에 예를 들면, 바늘침에 의해 시트의 두께 방향으로 대기 개방공을 관통시켜 둔다.
이어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1)의 외표면(83)에 맞닿는 형틀(75)을 그 위치에 그대로 유지한 상태로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1)를 흡인 유지한 상태로 각각의 고리형의 핀치 오프부(76A, B)끼리가 맞닿을 때까지 양 금형(73A, B)을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형조임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분할 금형(73)을 형조임 위치까지 이동시켜, 2장의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1, 2)의 내표면끼리를 한 쌍의 금형(73)의 핀치 오프부(76)를 따라 용착시킴으로써, 2장의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1, P2)의 주연부끼리를 일체화시킨다.
이로써, 금형(73) 내의 내압이 높아지는 결과, 수지제 표피재 시트(P2)의 내표면과, 수지제 심재(13)의 표면(69) 사이의 어딘가에 형성되는 공기 저류부(A) 내의 공기가 격자 형상의 홈부(93)를 통하여 요함부(89)에 모임과 함께, 홈부(93)를 통하여 대기 개방공(94)으로부터 배기되는 한편, 2장의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1 P2)의 각각의 내면에 대해, 수지제 심재(13)를 용착 일체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화장재(14)도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2)에 용착된다.
또한, 이러한 분할 금형(73)의 형조임시의 공기 제거 효과는 수지제 심재(13)의 표면(71)과 수지제 표피재 시트(P1) 사이여도 동일하다.
아울러, 압출되는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는 용융 상태의 통형상 패리슨을 짓눌러 시트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되고, 또한, 용융 상태의 통형상 패리슨을 압출하고, 압출 중에 적어도 2지점에 있어서 통형상 패리슨을 압출 방향에 따라 절단하여 2장의 시트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이어서, 2개의 분할 금형(73)을 형개방하고, 완성된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10)을 캐비티(74)로부터 이간시켜, 파팅 라인(PL) 주위에 형성된 버를 제거한다.
이상으로,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10)의 성형이 완료된다.
이상과 같이, 용융 상태의 열가소성 수지를 간헐적으로 압출할 때마다 이상과 같은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10)을 차례대로 효율적으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며, 압출 성형에 의해 간헐적으로 용융 상태의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1, P2)로서 압출하고, 압출된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1, P2)를 금형(73)을 이용해 소정의 형상으로 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10)에 의하면, 2장의 수지제 표피재 시트(12)에 대해 대향하는 수지제 심재(13)의 표면의 각각에 표면 전체에 걸쳐 둘러 싸인 홈부(93)와, 홈부(93)와 연통하는 요함부(89)가 형성된다는 점에서, 홈부(93)측의 수지제 심재(13)의 표면과, 이에 대향하는 수지제 표피재 시트(12)가 면접착될 때, 이들 사이에 예기치 않게 공기 저류부가 형성된다고 해도 공기 저류부 내에 모인 공기가 홈부(93)를 통하여 요함부(89)에 모임과 함께, 홈부(93)를 통하여 대기 개방공(94)으로부터 배기되는 것이 가능하고, 홈부(93)가 공기 제거 기능을 발휘하여, 예를 들면,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10)을 성형할 때, 공기 저류부가 원인으로서 성형 불량을 일으키거나 혹은 성형 불량이 아니어도 수지제 심재(13)와 수지제 표피재 시트 사이에서 용착 불충분을 일으켜,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10) 전체의 강성 부족을 일으킬 우려가 없으며, 혹은 공기 저류부의 영역이 넓어져 부분적으로 팽창되어,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10)로서의 미적 외관을 해치지 않고, 외관상의 미관성을 유지하면서, 성형 불량을 일으키는 경우 없이 필요한 강성을 확보 가능한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10)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해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임으로써 그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특징 부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 내지 제4 실시형태의 특징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표피재 시트(12)에 대기 개방공(94)을 홈부(93)에 연통하도록 형성하고, 이로써, 공기 저류부 내에 모인 공기가 홈부(93)를 통하여 요함부(89)에 모일 뿐만 아니라, 추가로 대기 개방공(94)을 통하여 공기 제거 기능을 발휘하도록 한 점에서는 공통이지만, 샌드위치 패널(10)의 성형시에 표피재 시트(12)를 구성하는 용융 상태의 수지 시트에 대해 바늘침을 두께 방향으로 통과시킴으로써 대기 개방공(94)을 형성하지만, 제2 실시형태 내지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표피재 시트(12)에 대해 대기 개방공(94)을 형성하는 위치가 각각 상이하고, 이에 기인하여 홈부(93)의 형태 혹은 심재(13)의 표면 형태가 상이하다.
본 실시형태의 특징 부분은 대기 개방공(94)을 수지제 표피재 시트(12)에 형성한 점과, 이에 따른 홈부(93)의 양태에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첫번째로, 바늘침에 의해 표피재 시트(12)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시켜 대기 개방공(94)을 형성하면서, 바늘침의 선단이 수지제 심재(13)의 표면에 닿지 않도록 바늘침을 위치 결정 제어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곤란한 점에서, 수지제 심재(13)의 대기 개방공(94)에 상당하는 부위에는 바늘침의 회피 스페이스를 형성하고, 이 때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함부(89)를 바늘침의 회피 스페이스로서 이용하고 있다.
이 경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수지제 심재(13)와 대응하는 표피재 시트(12)의 면용착시에 요함부(89)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의 크기는 면접착이 충분하도록 결정되는 한편, 요함부(89)에 의해 형성되는 공극부의 용적은 홈부(93)를 통하여 유도되는 공기에 의한 공극 내의 내압 상승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결정되는 반면, 대기 개방공(94)에 요구되는 개구 면적은 공극부와 대기가 통기하면 충분한 점에서, 요함부(89)가 바늘침의 회피 스페이스로서 유효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대기 개방공(94)의 개구 면적을 결정하여, 이에 따라 바늘침의 굵기를 결정하면 된다.
두번째로, 특히 홈부(93)의 깊이(D) 및 경사 각도(α)에 대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할 금형을 형조임할 때, 홈부(93)가 부서져 더욱 편평화되어, 이면측 표피재 시트(12B)가 홈부(93)의 바닥면(92)에 대해 접합해, 이로써, 이면측 표피재 시트(12B)와 수지제 심재(13)의 충분한 접합을 확보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수지제 심재(13)의 홈부(93)를 부숨으로써, 홈부(93)가 더욱 편평화되어, 수지제 표피재 시트(P2)가 홈부(90)의 바닥면(92)에 대해 접합해, 이로써, 수지제 표피재 시트(P2)와 수지제 심재(13)의 충분한 접합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함과 함께, 수지제 표피재 시트(P2)와 수지제 심재(13)의 면용착시에 공기 저류부(A)의 공기가 홈부(93)를 통하여 요함부(89), 이렇게 하여 대기 개방공(94)에 유도될 때, 홈부(93)가 부서짐으로써 공기를 요함부(89)를 향해 몰아넣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소실 홈부(93)를 채용하는 점은 제2 실시형태 내지 제4 실시형태 및 제6 실시형태에 있어서 공통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위치에 공기 저류부(A)가 형성되는 경우, 공기 저류부(A)에 격자 형상의 홈부(93) 중 어느 것이 연통하고 있다는 점에서, 샌드위치 패널(10)의 성형시에 공기 저류부(A)로부터 홈부(93)를 통하여 대기 개방공(94)을 통해 공기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분할 금형의 형조임시에 금형 내의 밀폐 공간의 압력이 높아지는 결과, 공기 저류부(A)에 모인 공기가 대기 개방공(94)으로부터 외기로 빠지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수지제 표피재 시트(12)와 수지제 심재(13) 사이의 어딘가에 어떠한 크기의 공기 저류부(A)가 몇 개 형성될지 미리 예상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점에서, 공기 저류부(A)가 어디에 형성되어도 이에 모이는 공기를 대기 개방공(94)을 통하여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표면(69) 위에 있어서의 격자 형상의 홈부(93)의 밀도를 높게 하여, 예기치 않게 형성되는 공기 저류부(A)에 홈부(93)가 연통하도록 해 둘 필요가 있다는 점에 있어서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샌드위치 패널(10)의 성형 방법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이하에,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대해 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임으로써 그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특징 부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특징 부분은 제2 실시형태와는 달리, 대기 개방공(94)을 심재(13)의 표면에 상당하는 표피재 시트(12)의 부분에 형성하지 않고, 심재(13)와 표피재 시트(12) 사이에 형성되는 고리형 스페이스(88)의 부위에 대기 개방공(94)을 형성하고, 이에 따라 홈부(93)를 심재(13)의 외주연부(86)에 빠지도록 형성해 고리형 스페이스(88)와 연통시키고 있는 점에 있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10)에 의하면, 양 표피재 시트(12) 사이에 끼워지는 형태로 양 표피재 시트(12) 각각과 면접착되는 수지제 심재(13)에 있어서, 고리형 스페이스(88)는 그 자체로서 공기 저류부(A)가 되지만, 수지제 심재(13) 위에 형성되는 공기 저류부(A)에 비해, 수지제 심재(13)와 양 표피재 시트(12) 사이의 용착성의 문제가 없고, 팽창에 의한 외관상의 문제가 작은 반면, 수지제 심재(13) 위의 공기 저류부(A)에 비해 용적이 크다는 점에서 성형 상의 관점에서 소극적으로 형성하지 않을 수 없는 고리형 스페이스(88)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수지제 심재(13) 위에 모인 공기를 배기시키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2장의 수지제 표피재 시트(12)는 서로의 주연부끼리를 접합시킴으로써, 수지제 심재(13)의 주위에 고리형 스페이스(88)를 형성하고, 2장의 수지제 표피재 시트(12)에 대해 대향하는 수지제 심재(13)의 표면 중 적어도 일방에 수지제 심재(13)의 외부 가장자리로 빠지는 격자 형상의 홈부(93)가 형성되고, 이로써, 격자 형상의 홈부(93)가 고리형 스페이스(88)와 연통한다는 점에서, 격자 형상의 홈부(93)측의 수지제 심재(13)의 표면과, 이에 대향하는 수지제 표피재 시트(12)가 면접착될 때, 이들 사이에 예기치 않게 공기 저류부가 형성된다고 해도 공기 저류부 내에 모인 공기가 격자 형상의 홈부(93)를 통하여, 요함부(89) 및 고리형 스페이스(88)에 분산되는 것이 가능하고, 고리형 스페이스(88)는 그 자체로서 공기 저류부(A)가 되지만, 수지제 심재(13) 위의 공기 저류부(A)에 비해, 용착성의 문제 및 팽창에 의한 외관상의 문제가 작은 반면, 수지제 심재(13) 위의 공기 저류부(A)에 비해 용적이 크다는 점에서, 격자 형상의 홈부(93)가 공기 제거 기능을 발휘하여, 예를 들면,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10)을 성형할 때, 공기 저류부(A)가 원인으로서 성형 불량을 일으키거나 혹은 성형 불량이 아니어도 수지제 심재(13)와 수지제 표피재 시트(12) 사이에서 용착 불충분을 일으켜,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10) 전체의 강성 부족을 일으킬 우려가 없으며, 혹은 공기 저류부(A)의 영역이 넓어져 부분적으로 팽창되어,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10)로서의 미적 외관을 해치지 않고, 외관상의 미관성을 유지하면서, 성형 불량을 일으키는 경우 없이 필요한 강성을 확보 가능한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10)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대해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임으로써 그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특징 부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특징 부분은 대기 개방공(94)을 심재(13)의 표면에 상당하는 표피재 시트(12)의 부분에 형성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제2 실시형태와 공통이지만,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심재(13)의 표면에 있어서 요함부(89)를 형성하는 위치에 맞추어, 대기 개방공(94)을 형성하고, 이로써, 요함부(89) 자체를 바늘침의 회피 스페이스로서 이용하고 있었지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대기 개방공(94)을 심재(13)의 표면에 있어서 요함부(89)를 형성하는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에 형성하여, 이로써, 요함부(89)와는 별도로 바늘침의 회피 스페이스를 심재(13)의 표면에 형성한 점에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기 개방공(94)을 홈부(93)의 교차부에 상당하는 표피재 시트(12)의 부위에 형성하고, 이에 따라 바늘침의 회피 스페이스(50)를 홈부(93)의 교차부에 형성하고 있다.
즉, 수지제 심재(13)에 있어서, 표피재 시트(12)의 대기 개방공(94)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바늘침이 접촉하지 않을 정도의 크기의 스페이스인 회피 스페이스(50)가 수지제 심재(13)의 두께 방향에 걸쳐 형성된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다 구체적으로는 회피 스페이스(50)의 형상은 원주상이고, 원주의 축선은 이면측 표피재 시트(12B)에 대해 직교하도록 형성되고, 회피 스페이스(50)의 형상은 바늘침의 형상에 따라 결정하면 되고, 바늘침의 선단이 수지제 심재(13)의 표면에 닿음으로써, 수지제 심재(13)의 표면에 구멍이 형성되고, 이에 기인하여 파손되기 쉬워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한다는 관점에서 결정하면 된다.
또한, 변형예로서 홈부(93)를 수지제 심재(13)의 일방의 표면에만 형성하는 경우에는, 대기 개방공(94)을 일방의 표면에 대응하는 표피재 시트(12)에 형성하면 된다는 점에서, 회피 스페이스(50)로는 수지제 심재(13)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할 필요는 없고, 일방의 표면에 개구하는 오목부로서 형성해도 된다.
이하에,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대해 도 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임으로써 그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특징 부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특징 부분은 홈부(93)의 형태이며, 홈부(93)가 영구 홈인 점은 제1 실시형태와 공통이지만,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홈부(93)는 격자 형상이지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단일의 만곡 형상 긴 홈(100)이 수지제 심재(13)의 표면 전체에 걸친 양태로 사행상(蛇行狀)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이 경우,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요함부(89)를 홈부(93)의 교차부에 형성하고 있었지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홈부(93)의 교차부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요함부(89)는 만곡 형상 긴 홈(100)의 도중에 만곡 형상 긴 홈(100)에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홈부(93)는 수지제 심재(13)의 표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한, 홈부(93)의 형태는 다양한 것이 가능하고, 변형예로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영구 홈 형태의 고리형 홈(101)이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인접하는 고리형 홈(101)끼리가 연통로(103)를 통하여 서로 연통되어도 되고, 이 경우, 요함부(89)는 상자 형상 중 어느 고리형 홈(101)의 도중에 형성하면 된다.
이하에,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대해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임으로써 그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특징 부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성형시에 수지제 심재(13)의 표면과 표피재 시트(12A, B) 사이에 형성되는 예기치 못한 공기 저류부(A)로부터 공기를 제거하기 위해, 심재(13)의 표면에 요함부(89)를 형성함과 함께, 요함부(89)에 연통하는 홈부(93)를 형성하는 점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지만, 본 실시형태의 특징 부분은 요함부(89) 및 홈부(93)의 양태에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함부(89)에 대해 수지제 심재(13)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원주상의 관통공이고, 성형시에 표피재 시트(12A)에 상당하는 수지제 시트의 요함부(89)에 상당하는 부위의 외표면으로부터 수지제 심재(13)를 향해 바늘침(202)을 찔러, 요함부(89)에 모이는 공기를 바늘침(202)을 통하여 제거하기 위해, 그 직경은 바늘침(202)의 선단이 표피재 시트(12A)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해, 요함부(89)의 두께 방향의 도중에 들어가 바늘침(202)과 접촉하지 않도록 적어도 바늘침(202)의 외경보다 크게 설정된다. 또한, 바늘침(202)은 선단에 이르는 중공부(203)를 갖고, 성형에 있어서의 금형(73)의 형조임시에 수지제 심재(13)와 대향하는 수지제 시트가 면용착됨과 함께, 금형(73) 내의 압력이 높아지는 결과, 형조임 직후에 바늘침(202)을 찌름으로써, 요함부(89)에 모이는 공기가 바늘침(202)을 통해 배기되거나 또는 찌른 바늘침(202)을 제거함으로써, 요함부(89)에 연통하는 표피재 시트(12A)에 형성되는 대기 개방공을 통해 배기되는 것이 가능하다.
홈부(93)에 대해, 한 쌍의 표피재 시트(12)끼리의 주연부(82)와 수지제 심재(13)의 주연부(86) 사이에 형성되는 고리형 스페이스(88)에 연통하는 점은 제1 실시형태와 공통이지만, 영구 홈으로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홈부(93)는 수지제 심재(13)의 각 면에 있어서, 표면 전체에 걸쳐 둘러지도록 격자 형상이며, 격자점 위에 요함부(89)가 형성된다. 홈부(93)의 깊이, 폭 및 인접하는 홈부(93)끼리의 피치는 샌드위치 패널 제품(10)의 용도에 따라 결정되고, 특히 제품 개관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폭이 좁고, 깊이를 얕게, 예를 들면, 폭을 4밀리 이하, 깊이를 1밀리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제1 실시형태와 달리, 금형(73)의 형조임시에 홈부(93)가 소실됨으로써, 공기를 홈부(93)를 통하여 요함부(89)에 몰아넣는 효과가 없는 반면, 홈부(93) 자체가 영구 홈으로서 요함부(89)와 동일하게 적극적인 공기 저류부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함부(89)의 각 단부를 추가로 확경(204A, 204B)해 둠으로써, 바늘침(202)을 찌를 때 바늘침(202)의 선단이 요함부(89)에 접촉하여, 수지제 심재(13)를 손상시킬 리스크를 저감시킴과 함께, 요함부(89)의 용적을 증대시켜, 적극적인 일시적 공기 저류부로서의 기능을 완전히 달성하는 것이 가능해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 14에 있어서, 요함부(89)의 하단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함부(89)의 하단부의 확경부(204B)에 들어갈 수 있도록, 대응하는 수지제 시트에 안쪽에 대한 돌출부(205)를 형성해 바늘침(202)을 수지제 시트의 외표면을 수지제 심재(13)를 향해 찌르는 경우의 표지가 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성형시에 예기치 못한 공기 저류부(A)로부터 공기를 영구 홈 및 고리형 스페이스(88)를 통하여 요함부(89)에, 또는 영구 홈을 통하여 직접 요함부(89)에 빠지게 해, 표피재 시트(12A)에 상당하는 수지제 시트의 요함부(89)에 상당하는 부위의 외표면으로부터 바늘침(202)을 찔러, 바늘침(202)을 통해 배기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에 대해 도 1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임으로써 그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특징 부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성형시에 수지제 심재(13)의 표면과 표피재 시트(12) 사이에 형성되는 예기치 못한 공기 저류부(A)로부터 공기를 제거하기 위해, 수지제 심재(13)의 표면에 요함부(89)를 형성함과 함께, 요함부(89)에 연통하는 홈부(93)를 형성하는 점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지만, 본 실시형태의 특징 부분은 요함부(89) 및 홈부(93)의 양태에 있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함부(89)에 대해 수지제 심재(13)의 두께 방향으로 연신되는 거의 원뿔대 형상의 비관통공으로, 수지제 심재(13)의 주연부(86)의 근방에 형성되고, 성형시에 표피재 시트(12A)에 상당하는 수지제 시트의 요함부(89)에 상당하는 부위의 외표면으로부터 수지제 심재(13)를 향해 바늘침(202)을 찔러, 요함부(89)에 모이는 공기를 바늘침(202)을 통하여 빠지도록 하기 위해, 그 직경은 바늘침(202)의 선단이 표피재 시트(12A)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요함부(89)의 두께 방향의 도중에 들어가 바늘침(202)과 접촉하지 않도록 적어도 바늘침(202)의 외경보다 크게 설정된다. 여기서, 바늘침(202)은 선단에 이르는 중공부(203)를 갖고, 성형에 있어서의 금형(73)의 형조임시에 수지제 심재(13)와 대향하는 수지제 시트가 면용착됨과 함께, 금형(73) 내의 압력이 높아지는 결과, 형조임 직후에 바늘침(202)을 찌름으로써, 요함부(89)에 모이는 공기가 바늘침(202)을 통해 배기되거나 또는 찌른 바늘침(202)을 제거함으로써, 요함부(89)에 연통하는 표피재 시트(12A)에 형성되는 대기 개방공을 통해 배기되는 것이 가능하다.
홈부(93)에 대해, 한 쌍의 표피재 시트(12)끼리의 주연부(82)와 수지제 심재(13)의 주연부(86) 사이에 형성되는 고리형 스페이스(88)에 연통하는 점은 제1 실시형태와 공통이지만, 영구 홈으로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홈부(93)는 수지제 심재(13)의 일방의 면에 있어서, 수지제 심재(13)의 주연부(86)의 근방에 형성되는 요함부(89)와 고리형 스페이스(88)를 연통하는 단일홈으로서 형성된다. 홈부(93)의 깊이 및 폭은 샌드위치 패널 제품(10)의 용도에 따라 결정되고, 특히 제품 개관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폭이 좁고, 깊이를 얕게, 예를 들면, 폭을 4밀리 이하, 깊이를 1밀리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성형시에 고리형 스페이스(88)를 적극적인 공기 저류부로서 활용해, 고리형 스페이스(88)에 모이는 공기를 영구 홈을 통하여 요함부(89)에 빠지게 하고, 표피재 시트(12A)에 상당하는 수지제 시트의 요함부(89)에 상당하는 부위의 외표면으로부터 바늘침(202)을 찔러, 바늘침(202)을 통해 배기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을 따른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 및 이러한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 방법 각각의 제8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따른 샌드위치 패널(10)은 자동차용, 항공기용, 차량·선박용, 건재용, 각종 전기 기기의 하우징용, 침대의 바닥판용, 스포츠·레저용의 휨 강성 또는 굽힘 좌굴에 강한 구조 부재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자동차 등의 구조 부재로서 경량화의 관점에서 연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카고 플로어 보드, 데크 보드, 리어 파셀 셸프, 루프 패널, 도어 트림 등의 내장 패널, 그 밖에 도어 이너 패널, 플랫폼, 하드톱, 선루프, 보닛, 범퍼, 플로어 스페이서, 티비아 패드 등의 구조 부재로서 경량화에 공헌하는 것으로, 샌드위치 패널(10)의 형상은 제품의 목적에 따라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샌드위치 패널(10)로서 경량화 및 고강성이 요구되는 자동차의 카고 플로어 리드에 사용되는 경우를 예로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러한 샌드위치 패널(10)은 앞면측 표피재 시트(12A)와, 이면측 표피재 시트(12B)와, 양 표피재 시트(12A, B) 사이에 개재하는 발포성의 발포 심재(13)와, 앞면측 표피재 시트(12A)의 외표면에 첩합된 화장재 시트(14)로 구성되고, 샌드위치 패널(10)은 화장재 시트(14), 앞면측 표피재 시트(12A), 발포 심재(13) 및 이면측 표피재 시트(12B)의 적층 구조물이다.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면측 표피재 시트(12A)와 이면측 표피재 시트(12B)는 서로의 주연부(82)끼리를 접합시킴으로써, 밀폐 공간부(84)를 내부에 형성하고, 주연부(82)와 밀폐 공간부(84) 내의 발포 심재(13)의 외주연부(86) 사이에는 고리형 스페이스(88)가 형성된다. 여기서, 고리형 스페이스(88)는 앞면측 표피재 시트(12A)와 이면측 표피재 시트(12B)의 재료인 용융 상태의 열가소성 수지 시트를 성형할 때, 주연부(82)에 의해 형성되는 샌드위치 패널(10)의 둘레벽이 발포 심재(13)와 부착되어 성형 불량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관점에서 소극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로써, 뒤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기성형된 발포 심재(13)를 사용하여, 발포 심재(13)를 끼워 넣도록 표피재 시트(12A, B)의 주연부(82)를 용착시키도록 하여 샌드위치 패널(10)을 성형할 때, 뒤에 설명하는 발포 심재(13)의 표면에 형성하는 홈부가 발포 심재(13)의 외주연부(86)까지 연신되어, 고리형 스페이스(88)에 연통해, 금형의 형조임시에 발포 심재(13)와 표피재 시트(12A, B) 사이에 형성되는 경우가 있는 공기 저류부가 고리형 스페이스(88)에 분산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제 심재(13)의 2장의 수지제 표피재 시트(12)의 각각에 대향하는 표면(69, 71) 위에, 수지제 심재(13)의 외주연(91)에 빠지는 격자 형상의 홈부(93)가 형성된다.
수지제 심재(13)의 양 표면(69, 71)에 형성되는 홈부(93)는 동일한 구조라는 점에서, 일방의 표면(69)에 형성되는 홈부(93)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격자 형상의 홈부(93)는 수지제 심재(13)의 장변에 평행으로 연신되는 제1 홈부군과, 수지제 심재(13)의 단변에 평행으로 연신되는 제2 홈부군에 의해 구성되며, 제1 홈부군 및 제2 홈부군 각각의 홈부는 수지제 심재(13)의 외주연(86)에 빠지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홈부(93)는 홈부(93A∼93G) 7개가 형성되고 홈부(93A, B)는 수지제 심재(13)의 장변에 평행으로, 한편 홈부(93C∼G)는 수지제 심재(13)의 단변에 평행으로 각각 형성되고, 모두 수지제 심재(13)의 외주연(86)에 빠지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수지제 표피재 시트(12)와 수지제 심재(13) 사이의 어딘가에 어떠한 크기의 공기 저류부(A)가 몇 개 형성될지 미리 예상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점에서, 공기 저류부(A)가 어디에 형성되어도 이에 모이는 공기를 고리형 스페이스(88)에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격자 형상의 홈부(93)의 밀도를 높게 하여, 예기치 않게 형성되는 공기 저류부(A)에 홈부(93)가 연통하도록 해 둘 필요가 있다.
도 19에 있어서, 임의 형상의 사선 형상으로 나타내는 폐쇄 영역이 어디에 생길지 불분명한 공기 저류부(A)를 나타낸다.
인접하는 홈부(93)끼리의 간격(격자폭)은 이러한 관점에서 결정하면 된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부(93)의 단면 형상은 편평한 사다리꼴 형상으로, 폭(L), 깊이(D) 및 경사 각도(α)는 뒤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샌드위치 패널의 성형시에 있어서 분할 금형을 형조임할 때, 공기 저류부(A)에 모인 공기를 홈부(93)를 통하여 분산시키는 관점에서 결정하면 된다.
특히, 깊이(D) 및 경사 각도(α)에 대해서는 도 2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뒤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분할 금형을 형조임할 때, 홈부(93)가 부서져, 더욱 편평화되어, 이면측 표피재 시트(12B)가 홈부(93)의 바닥면(92)에 대해 접합해, 이로써, 이면측 표피재 시트(12B)와 수지제 심재(13)의 충분한 접합을 확보한다는 관점에서 결정할 필요도 있다.
다음으로, 이상의 구성을 갖는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10)을 금형을 사용하여 성형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10)의 성형 장치(60)는 압출 장치(62)와, 압출 장치(62)의 하방에 배치된 형조임 장치(64)를 갖고, 압출 장치(62)로부터 압출된 용융 상태의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를 형조임 장치(64)에 보내, 형조임 장치(64)에 의해 용융 상태의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를 성형하도록 되어 있다.
압출 장치(62)는 종래 알려진 타입으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호퍼(65)가 부설된 실린더(66)와, 실린더(66) 내에 형성된 스크루(도시하지 않음)와, 스크루에 연결된 유압 모터(68)와, 실린더(66)와 내부가 연통한 어큐뮬레이터(70)와, 어큐뮬레이터(70) 내에 형성된 플런저(72)를 갖고, 호퍼(65)로부터 투입된 수지 펠릿이 실린더(66) 내에서 유압 모터(68)에 의한 스크루의 회전에 의해 용융, 혼련되고, 용융 상태의 수지가 어큐뮬레이터실에 이송되어 일정량 저류되고, 플런저(72)의 구동에 의해 T다이(71)를 향해 용융 수지를 보내, 다이 슬릿(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연속적인 시트상의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가 압출되고,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롤러(79)에 의해 협압되면서 하방을 향해 보내져 분할 금형(73) 사이에 늘어뜨려진다. 이로써, 시트상의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는 주름 또는 처짐이 없이 팽팽해진 상태로 분할 금형(73) 사이에 배치된다.
압출 장치(62)의 압출 능력은 성형하는 앞면측 표피재 시트(12A) 및 이면측 표피재 시트(12B)의 크기,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의 드로우 다운 발생 방지의 관점에서 적절히 선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용적인 관점에서, 다이 슬릿으로부터의 수지의 압출 속도는 수백㎏/시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0㎏/시 이상이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의 드로우 다운 발생 방지의 관점에서,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의 압출 공정은 가능한 한 짧은 것이 바람직하고, 수지의 종류, MFR 값에 의존하지만, 일반적으로 압출 공정은 40초 이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초 이내에 완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열가소성 수지의 다이 슬릿으로부터의 단위 면적, 단위 시간당 압출량은 50㎏/시㎠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시㎠ 이상이다.
다이 슬릿(75)은 연직 하향으로 배치되고, 다이 슬릿(75)으로부터 압출된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는 그대로 다이 슬릿(75)으로부터 늘어지는 형태로, 연직 하향으로 보내지도록 되어 있다. 다이 슬릿은 그 폭을 가변으로 함으로써, 연속 시트상의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의 두께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형조임 장치(64)도 압출 장치(62)와 동일하게 종래 알려진 타입으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2개의 분할 형식의 금형(73)과, 금형(73)을 용융 상태의 시트상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의 공급 방향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 이동시키는 금형 구동 장치를 갖는다.
2개의 분할 형식의 금형(73)은 캐비티(74)를 대향시킨 상태로 배치되고, 각각 캐비티(74)가 대략 연직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각각의 캐비티(74)의 표면에는 용융 상태의 시트상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에 기초하여 성형되는 앞면측 표피재 시트(12A) 및 이면측 표피재 시트(12B)의 외형 및 표면 형상에 따라 요철부가 형성된다.
2개의 분할 형식의 금형(73) 각각에 있어서, 캐비티(74)의 주위에는 핀치 오프부(76)가 형성되고, 이 핀치 오프부(76)는 캐비티(74)의 주위에 고리형으로 형성되어 대향하는 금형(73)을 향해 돌출된다. 이로써, 2개의 분할 형식의 금형(73)을 형조임할 때, 각각의 핀치 오프부(76)의 선단부가 맞닿아, 용융 상태의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의 주연에 파팅 라인(PL)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분할 금형(73A)의 외주부에는 형틀(81A)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외부 감합하고, 도시하지 않는 형틀 이동 장치에 의해, 형틀(81A)이 금형(73A)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형틀(81A)은 금형(73A)에 대해 금형(73B)을 향해 돌출됨으로써, 금형(73) 사이에 배치된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1)의 일방의 측면(83)에 맞닿을 수 있다.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할 금형(73A)의 내부에는 진공 흡인실(85)이 형성되고, 진공 흡인실(85)은 흡인공(87)을 통하여 캐비티(74A)에 연통되고, 진공 흡인실(85)로부터 흡인공(87)을 통하여 흡인함으로써, 캐비티(74A)를 향해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1)를 흡착시켜, 캐비티(74A)의 외표면을 따른 형상으로 부형하도록 하고 있다.
금형 구동 장치에 대해서는 종래와 동일한 것으로, 그 설명은 생략하지만, 2개의 분할 형식의 금형(73)은 각각 금형 구동 장치에 의해 구동되고, 개방 위치에 있어서 2개의 분할 금형(73) 사이에 2장의 용융 상태의 연속 시트상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1, 2)가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한편 폐쇄 위치에 있어서, 2개의 분할 금형(73)의 핀치 오프부(76)가 맞닿고, 고리형의 핀치 오프부(76)가 서로 맞닿음으로써, 2개의 분할 금형(73) 내에 밀폐 공간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에 대한 각 금형(73)의 이동에 대해, 폐쇄 위치는 2장의 용융 상태의 연속 시트상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1, 2)의 중심선의 위치로 하고, 각 금형(73)이 금형 구동 장치에 의해 구동되어 그 위치를 향해 이동하도록 하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서술한 성형 장치를 이용한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10)의 성형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미리, 발포 심재(13)를 준비해 둠과 함께, 화장재(14)를 캐비티(74B)에 배치해 둔다.
한편, 발포 심재(13)의 성형 방법에 대해서는 종래와 같이, 발포 비즈를 금형 내에 도입해 가열에 의해 융착 고정시켜도 되고, 블로우 성형, 진공 성형, 프레스 성형, 경우에 따라 사출 성형이어도 되며, 발포 심재(13)로는 통형상 패리슨에 의한 중실 타입, 2장 시트에 의한 중공 타입이어도 바람직하다. 여기서, 발포 심재(13)의 배치 타이밍은 형개방 후에서 형조임까지이면 언제여도 된다.
이어서,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융 상태의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1, 2)를 대응하는 다이 슬릿(75)으로부터 연직 하방에 압출하여, 2장의 연속 시트상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1, 2)를 대응하는 핀치 오프부(76)에서 비어져 나오는 형태로 2개의 분할 금형(73) 사이에 공급한다.
이어서,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할 금형(73A)의 형틀(81A)을 분할 금형(73A)에 대해,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1)를 향해 이동시켜,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1)의 측면(83)에 맞닿게 한다. 이로써,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1)의 측면(83), 형틀(81A)의 내주면(102) 및 캐비티(73A)에 의해, 밀폐 공간(84)이 형성된다.
이어서,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밀폐 공간(84) 내의 공기를 진공 흡인실(85)로부터 흡인공(87)을 통하여 흡인함으로써,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1)는 캐비티(74A)에 대해 흡착해, 이로써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1)는 캐비티(74A)의 표면을 따른 형상으로 부형된다.
이어서, 발포 심재(13)를 2장의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1, 2) 사이에 양시트에 평행으로 배치하고, 발포 심재(13)의 표면을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1)의 내표면에 대해 가압하여 용착 고정시킨다. 이 때, 발포 심재(13)와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1)의 내표면 사이의 공기를 격자 형상의 홈부(93)를 통하여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어서,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1)의 외표면(83)에 맞닿는 형틀(81)을 그 위치에 그대로 유지한 상태로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1)를 흡인 유지한 상태에서 각각의 고리형의 핀치 오프부(76A, B)끼리가 맞닿을 때까지 양 금형(73A, B)을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형조임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분할 금형(73)을 형조임 위치까지 이동시켜, 2장의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1, 2)의 내표면끼리를 한 쌍의 금형(73)의 핀치 오프부를 따라 용착시킴으로써, 2장의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1, P2)의 주연부끼리를 일체화시킨다.
이로써, 금형(73) 내의 내압이 높아지는 결과, 수지제 표피재 시트(P2)의 내표면과, 수지제 심재(13)의 표면(69) 사이의 어딘가에 형성되는 공기 저류부(A) 내의 공기를 격자 형상의 홈부(93) 및 수지제 심재(13)의 주연부(86)를 통하여 고리형 스페이스(88)에 분산시킴과 함께, 2장의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1, P2)의 각각의 내면에 대해 수지제 심재(13)를 용착 일체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화장재(14)도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2)에 용착된다.
이 경우, 수지제 심재(13)의 홈부(93)를 부숨으로써(도 20(B) 참조), 홈부(93)가 더욱 편평화되어, 수지제 표피재 시트(P2)가 홈부(90)의 바닥면(92)에 대해 접합해, 이로써, 수지제 표피재 시트(P2)와 수지제 심재(13)의 충분한 접합을 확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분할 금형(73)의 형조임시의 공기 제거 효과는 수지제 심재(13)의 표면(71)과 수지제 표피재 시트(P1) 사이에서도 동일하다.
여기서, 압출되는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는 용융 상태의 통형상 패리슨을 짓눌러 시트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되고, 또한, 용융 상태의 통형상 패리슨을 압출하고, 압출 중에 적어도 2지점에 있어서 통형상 패리슨을 압출 방향에 따라 절단하여 2장의 시트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이어서,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분할 금형(73)을 형개방하고, 완성된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10)을 캐비티(74)로부터 이간시켜, 파팅 라인(PL) 주위에 형성된 버를 제거한다.
이상으로,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10)의 성형이 완료된다.
이상과 같이, 용융 상태의 열가소성 수지를 간헐적으로 압출할 때마다 이상과 같은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10)을 차례대로 효율적으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고, 압출 성형에 의해 간헐적으로 용융 상태의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1, P2)로서 압출하고, 압출된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1, P2)를 금형(73)을 이용해 소정의 형상으로 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10)에 의하면, 양 표피재 시트(12) 사이에 끼워지는 형태로 양 표피재 시트 각각과 면접착되는 수지제 심재(13)에 있어서, 고리형 스페이스(88)는 그 자체로서 공기 저류부가 되지만, 수지제 심재(13) 위에 형성되는 공기 저류부에 비해, 수지제 심재(13)와 양 표피재 시트(12) 사이의 용착성의 문제가 없고, 팽창에 의한 외관상의 문제가 작은 반면, 수지제 심재(13) 위의 공기 저류부에 비해 용적이 크다는 점에서, 성형상의 관점에서 소극적으로 형성하지 않을 수 없는 고리형 스페이스(88)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수지제 심재(13) 위에 모인 공기를 분산시키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2장의 수지제 표피재 시트(12)는 서로의 주연부끼리를 접합시킴으로써, 수지제 심재(13)의 주위에 고리형 스페이스(88)를 형성하고, 2장의 수지제 표피재 시트(12)에 대해 대향하는 수지제 심재(13)의 표면 중 적어도 일방에, 수지제 심재(13)의 외부 가장자리로 빠지는 격자 형상의 홈부(93)가 형성되고, 이로써, 격자 형상의 홈부(93)가 고리형 스페이스(88)와 연통한다는 점에서, 격자 형상의 홈부(93)측의 수지제 심재(13)의 표면과 이에 대향하는 수지제 표피재 시트(12)가 면접착될 때, 이들 사이에 예기치 않게 공기 저류부가 형성된다고 해도 공기 저류부 내에 모인 공기가 격자 형상의 홈부(93)를 통하여 고리형 스페이스(88)에 분산되는 것이 가능하고, 고리형 스페이스(88)는 그 자체로서 공기 저류부가 되지만, 수지제 심재(13) 위의 공기 저류부에 비해, 용착성의 문제 및 팽창에 의한 외관상의 문제가 작은 반면, 수지제 심재 위의 공기 저류부에 비해 용적이 크다는 점에서, 격자 형상의 홈부가 공기 제거 기능을 발휘하여, 예를 들면,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10)을 성형할 때, 공기 저류부(A)가 원인으로서 성형 불량을 일으키거나 혹은 성형 불량이 아니어도 수지제 심재(13)와 수지제 표피재 시트(12) 사이에서 용착 불충분을 일으켜,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10) 전체의 강성 부족을 일으킬 우려가 없으며, 혹은 공기 저류부(A)의 영역이 넓어져 부분적으로 팽창되어,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10)로서의 미적 외관을 해치지 않고, 외관상의 미관성을 유지하면서, 성형 불량을 일으키는 경우 없이 필요한 강성을 확보 가능한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 본 발명의 제9 실시형태에 대해 도 26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제8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임으로써 그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특징 부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특징 부분은 대기 개방공(90)을 수지제 표피재 시트(12)에 형성한 점 및 이에 따른 홈부(93)의 양태에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제 표피재 시트(12)에 형성하는 대기 개방공(90)은 수지제 표피재 시트(12)의 수지제 심재(13)와의 접착부, 즉, 수지제 심재(13)의 표면에 대향하는 수지제 표피재 시트(12)의 부분임과 함께 고리형 스페이스(88)에 상당하는 위치이며, 대기 개방공(90)을 2개 형성하고 있다.
한편, 홈부(93)의 양태에 대해, 제8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격자 형상의 홈부(93)가 수지제 심재(13)의 외주연(86)까지 연신되어 외주연(86)에 빠지는데 대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부(93)가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점은 공통이지만, 격자 형상의 홈부(93)가 수지제 심재(13)의 외주연(86)까지 연신되어 외주연(86)에 빠짐과 함께 수지제 심재(13)의 내주연(97)까지 연신되어 내주연(97)에 빠지는 점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제 심재(13)의 대기 개방공(90)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대기 개방공(90)에 연통하도록, 수지제 심재(13)의 두께에 걸쳐 관통하는 관통공(99)이 형성되고, 홈부(93)가 관통공(99)의 내주연(97)까지 연신되어 내주연(97)에 빠진다.
관통공(99)의 형상 및 크기는 대기 개방공(90)에 연통하는 한, 임의이지만, 샌드위치 패널의 강성 확보의 관점에서, 형상은 원통 형상이고, 크기는 가능한 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도 26에 나타내는 위치에 공기 저류부(A)가 형성되는 경우, 공기 저류부(A)에 격자 형상의 홈부(93) 중 어느 것이 연통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8 실시형태에서는 모인 공기를 고리형 스페이스(88)에 분산시키고 있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샌드위치 패널의 성형시에 공기 저류부(A)로부터 홈부(93)를 통하여 대기 개방공(90)을 통해 공기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분할 금형의 형조임시에 금형 내의 밀폐 공간의 압력이 높아지는 결과, 공기 저류부(A)에 모인 공기가 홈부(93B 또는 93C, A)를 통하여 관통공(99)으로 제거되고, 또한, 관통공(99)과 연통하는 대기 개방공(90), 혹은 고리형 스페이스(88)에 상당하는 위치에 형성한 대기 개방공(90)으로부터 외기에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수지제 표피재 시트(12)와 수지제 심재(13) 사이의 어딘가에 어떠한 크기의 공기 저류부(A)가 몇 개 형성될지 미리 예상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점에서, 공기 저류부(A)가 어디에 형성되어도 이에 모이는 공기를 대기 개방공(90)을 통하여 제거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도록, 표면(69) 위에 있어서의 격자 형상의 홈부(93)의 밀도를 높게 하여, 예기치 않게 형성되는 공기 저류부(A)에 홈부(93)가 연통하도록 해 둘 필요가 있다는 점에 있어서는 제8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샌드위치 패널의 성형 방법에 대해서는 제8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이하에, 본 발명의 제10 실시형태에 대해 도 2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제8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임으로써 그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특징 부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특징 부분은 홈부(93)의 교차부에 요함부(89)를 추가로 형성한 점에 있다.
요함부(89)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홈부(93)의 교차부에 형성되고, 종횡의 홈부(93)와 연통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요함부(89)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수지제 심재(13)의 각 표면에 개구를 형성하여 안쪽을 향해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연신되는 원주상의 관통공을 형성하고, 대응하는 수지제 표피재 시트(12)에 의해 폐쇄되는 공극을 내부에 구성한다. 이로써, 수지제 심재(13) 중 어느 쪽의 표면에 공기 저류부(A)가 형성되는 경우에도 공기 저류부(A) 내에 모인 공기가 격자 형상의 홈부(93)를 통하여 고리형 스페이스(88)에 분산됨과 함께, 홈부(93)를 통하여 요함부(89)에 공기를 모으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당업자이면 각종 수정 혹은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격자 형상의 홈부(93)를 단일의 만곡 형상 긴 홈 혹은 복수의 고리형 홈을 상자 형상으로 형성하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실시형태 내지 제4 실시형태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격자 형상의 홈부(93)를 단일의 만곡 형상 긴 홈 혹은 복수의 고리형 홈을 상자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격자 형상의 홈부(93)가 전부 심재(13)의 외주연까지 이르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리형 스페이스(88)와 공기 저류부(A)가 홈부(93)를 통하여 연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한, 일부가 심재(13)의 외주연까지 이르러도 된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압출 슬릿으로부터 압출된 용융 상태의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1, P2)를 직접 성형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방 및/또는 타방의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1, P2)는 미리 예비 성형되고, 재가열하여 용융 상태로 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8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격자 형상의 홈부를 형성하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기 저류부(A)에 모이는 공기를 외기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한, 십자 형상으로 형성한 홈부여도 된다.
예를 들면, 제8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압출 슬릿으로부터 압출된 용융 상태의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1, P2)를 직접 성형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방 및/또는 타방의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P1, P2)는 미리 예비 성형되고, 재가열하여 용융 상태로 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A: 공기 저류부, P: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 PL: 파팅 라인, L: 홈부(93)의 폭, D: 홈부(93)의 깊이, α: 홈부(93)의 경사 각도, 10: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 12A: 앞면측 표피재 시트, 12B: 이면측 표피재 시트, 13: 수지제 심재, 14: 화장재, 41: 외표면, 43: 내표면, 45: 용착면, 47: 외표면, 48: 오목부, 50: 회피 스페이스, 60: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의 성형 장치, 62: 압출 장치, 64: 형조임 장치, 65: 호퍼, 66: 실린더, 68: 유압 모터, 69: 표면, 70: 어큐뮬레이터, 71: 표면, 72: 플런저, 73: 금형, 74: 캐비티, 76: 핀치 오프부, 75: 다이 슬릿, 80 돌기체, 81: 형틀, 82: 주연부, 84: 밀폐 공간부, 85: 진공 흡인실, 86: 주연부, 87: 흡인공, 88: 고리형 스페이스, 89: 요함부, 90: 관통공, 91: 가장자리부, 92: 바닥면, 93: 홈부, 94: 대기 개방공, 97: 내주연, 99: 관통공 100: 만곡 형상 긴 홈, 101: 고리형 홈, 103: 연통로, 202: 바늘침, 203: 중공부, 205: 확대부

Claims (29)

  1. 2장의 수지제 표피재 시트와, 양 표피재 시트 사이에 끼워지는 형태로 양 표피재 시트 각각과 면접착되는 수지제 심재를 갖는 샌드위치 패널에 있어서,
    상기 2장의 수지제 표피재 시트는 서로의 주연부끼리를 접합시킴으로써, 내부에 중공부를 형성하고, 당해 중공부 내에 상기 수지제 심재가 배치되고,
    상기 2장의 수지제 표피재 시트에 대해 대향하는 상기 수지제 심재의 표면 중 적어도 일방에는 당해 표면 전체에 걸쳐 둘러 싸인 홈부와, 당해 홈부와 연통하는 요함부가 형성되고,
    추가로 상기 2장의 수지제 표피재 시트 중 적어도 일방에는 대기 개방 관통공이 그 두께 방향으로 형성되며,
    이로써, 상기 중공부 내에서 상기 수지제 심재 중 상기 적어도 일방의 표면과 대응하는 상기 수지제 표피재 시트가 면접착될 때, 상기 적어도 일방의 표면과 대응하는 상기 수지제 표피재 시트 사이의 공기가 상기 홈부를 통하여 상기 요함부에 유도됨과 함께, 상기 대기 개방 관통공으로부터 배기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함부는 상기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 개구를 형성하여 안쪽을 향해 연신되고, 또한 대응하는 상기 수지제 표피재 시트에 의해 폐쇄되는 공극을 내부에 구성하며,
    상기 개구의 면적은 상기 적어도 일방의 표면과 상기 대응하는 상기 수지제 표피재 시트 사이에서의 면접착이 가능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공극의 용적은 상기 중공부 내에서 상기 수지제 심재 중 상기 적어도 일방의 표면과 대응하는 상기 수지제 표피재 시트가 면접착될 때, 상기 홈부를 통하여 상기 요함부에 유도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공극 내의 내압 상승을 억제할 수 있도록 설정되는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제 심재는 중실 형상이며, 상기 요함부는 상기 공극이 중실부에 형성됨으로써 구성되는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제 심재는 한 쌍의 열가소성 수지제 판재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요함부는 한 쌍의 열가소성 수지제 판재의 일방의 표면에 개구를 형성하고, 내표면측에서 타방의 열가소성 수지제 판재를 향해 돌출되는 고리형 리브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열가소성 수지제 판재는 내부에 중공부를 형성하는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단일의 긴 홈이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복수의 고리형 홈이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적어도 인접하는 홈끼리가 연통하는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지제 심재의 장변에 평행으로 연신되는 제1 홈부군과, 상기 수지제 심재의 단변에 평행으로 연신되는 제2 홈부군에 의해 구성되는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제 심재는 소정 발포 배율의 발포제 수지로서, 상기 수지제 심재 중 상기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 대향하는 상기 수지제 표피재 시트는 상기 홈부의 바닥면에 대해 접합되어 있는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수지제 심재의 각각의 표면 위에 형성되고,
    상기 요함부는 상기 수지제 심재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개방 관통공은 상기 2장의 수지제 표피재 시트 중 적어도 일방에 바늘침을 관통시킴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요함부는 상기 수지제 심재 중 상기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 있어서, 상기 대기 개방 관통공에 대응하는 부위에 바늘침과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장의 수지제 표피재 시트는 서로의 주연부끼리를 접합시킴으로써, 상기 수지제 심재의 주위에 외주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홈부는 상기 수지제 심재의 외부 가장자리로 빠지도록 형성되고, 이로써, 상기 홈부는 상기 외주 공간부와 연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대기 개방 관통공은 상기 2장의 수지제 표피재 시트 중 적어도 일방의 상기 외주 공간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바늘침을 관통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개방 관통공은 상기 2장의 수지제 표피재 시트 중 적어도 일방에 바늘침을 관통시킴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수지제 심재 중 상기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 있어서, 상기 대기 개방 관통공에 대응하는 부위에 바늘침과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는 스페이스를 갖는 오목부가 상기 홈부를 통하여 상기 요함부와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개방 관통공은 상기 홈부의 유로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홈부는 상기 수지제 심재 중 상기 적어도 일방의 표면과 대응하는 상기 수지제 표피재 시트가 면접착됨으로써 소실되지 않는 영구 홈으로서 형성되는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장의 수지제 표피재 시트는 서로의 주연부끼리를 접합시킴으로써, 상기 수지제 심재의 주위에 외주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홈부는 상기 수지제 심재의 외부 가장자리로 빠지는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로써, 상기 격자 형상의 홈부는 상기 외주 공간부와 연통하는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
  15. 2장의 수지제 표피재 시트와, 양 표피재 시트 사이에 끼워지는 형태로 양 표피재 시트 각각과 면접착되는 수지제 심재를 갖는 샌드위치 패널에 있어서,
    상기 2장의 수지제 표피재 시트는 서로의 주연부끼리를 접합시킴으로써, 당해 수지제 심재의 주위에 외주 공간부인 중공부를 형성하고,
    상기 2장의 수지제 표피재 시트에 대해 대향하는 상기 수지제 심재의 표면 중 적어도 일방에, 당해 수지제 심재의 외부 가장자리로 빠지는 격자 형상의 홈부가 형성되며,
    이로써, 상기 격자 형상의 홈부는 상기 중공부와 연통하고, 추가로, 상기 중공부와 연통하는 대기 개방 관통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 공간부는 밀폐 고리형 공간부를 구성하는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제 심재는 소정 발포 배율의 발포제 수지로서, 상기 2장의 수지제 표피재 시트 중 적어도 일방은 상기 홈부의 바닥면에 대해 접합되어 있는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 형상의 홈부는 상기 수지제 심재의 2장의 수지제 표피재 시트의 각각에 대향하는 표면 위에 형성되는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 형상의 홈부는 상기 수지제 심재의 장변에 평행으로 연신되는 제1 홈부군과, 상기 수지제 심재의 단변에 평행으로 연신되는 제2 홈부군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제1 홈부군 및 상기 제2 홈부군 각각의 홈부는 상기 수지제 심재의 외주연에 빠지도록 형성되는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
  20. 제 15 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2장의 수지제 표피재 시트 중 적어도 일방에는 상기 격자 형상의 홈부에 연통하는 대기 개방 관통공이 그 두께 방향으로 연신되도록 형성되는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
  21. 2장의 수지제 표피재 시트 사이에 끼워지는 수지제 심재를 갖는 샌드위치 패널의 성형 방법으로서,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 당해 수지제 심재의 외부 가장자리로 빠지는 격자 형상의 홈부가 형성된 수지제 심재를 미리 준비하는 단계와,
    한 쌍의 분할 형식의 금형 각각의 캐비티의 주연부에 형성된 고리형의 핀치 오프부의 주위에 비어져 나오는 형태로, 2장의 용융 상태의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를 한 쌍의 분할 형식의 금형 사이에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일방의 금형과 대응하는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 사이에 밀폐 공간을 형성해, 당해 밀폐 공간으로부터 공기를 감압함으로써,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를 흡인해 캐비티를 따라 부형하는 단계와,
    2장의 용융 상태의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 사이에 상기 수지제 심재를 끼워 넣도록 상기 한 쌍의 분할 금형을 형조임 위치까지 이동시킴으로써, 2장의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의 내표면끼리를 한 쌍의 분할 금형의 핀치 오프부를 따라 용착시키고, 2장의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의 주연부끼리를 일체화시켜, 당해 수지제 심재의 주위에 외주 공간부인 중공부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격자 형상의 홈부를 통하여 상기 수지제 표피재 시트와 상기 수지제 심재 사이의 공기 제거를 행하면서, 대응하는 수지제 표피재 시트를 상기 수지제 심재에 면접착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제 심재는 상기 한 쌍의 분할 금형의 형조임 전에 상기 흡인에 의해 성형된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의 내면에 대해 가압하여 용착시키는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 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 또는 상기 일방과는 다른 쪽의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는 미리 예비 성형되고, 재가열하여 용융 상태로 되는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 방법.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 및 상기 일방과는 다른 쪽의 용융 상태의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를 하방에 늘어지는 형태로, 상기 한 쌍의 분할 금형 사이를 향해 압출하는 단계를 갖는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 방법.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는 용융 상태의 통형상 패리슨을 짓눌러 시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 방법.
  26.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는 용융 상태의 통형상 패리슨을 압출하고, 압출 중에 적어도 2지점에 있어서 통형상 패리슨을 압출 방향에 따라 절단하여 2장의 시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 방법.
  27.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형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일방의 분할 금형의 주연에 대해 형조임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외측에 감합하는 외측 프레임을 대응하는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의 외표면을 향해 이동시키는 단계를 갖고, 상기 대응하는 열가소성 수지제 시트의 외표면, 상기 외측 프레임의 내주면 및 상기 한 쌍의 분할 금형의 각각의 캐비티에 의해 밀폐 공간을 구성하는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 방법.
  28. 제 21 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2장의 수지제 표피재 시트 중 적어도 일방에는 상기 격자 형상의 홈부에 연통하는 대기 개방 관통공을 그 두께 방향으로 연신되도록 형성하는 단계를 갖는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 방법.
  2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2장의 수지제 표피재 시트에 대해 대향하는 상기 수지제 심재의 표면 중 적어도 일방에는 상기 홈부와 연통하는 요함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함부는 상기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 개구를 형성하여 안쪽을 향해 연신되고, 또한 대응하는 상기 수지제 표피재 시트에 의해 폐쇄되는 공극을 내부에 구성하며,
    상기 개구의 면적은 상기 적어도 일방의 표면과 상기 대응하는 상기 수지제 표피재 시트 사이에서의 면접착이 가능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공극의 용적은 상기 요함부 내에서 상기 수지제 심재 중 상기 적어도 일방의 표면과 대응하는 상기 수지제 표피재 시트가 면접착될 때,
    상기 홈부를 통하여 상기 요함부에 유도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공극 내의 내압 상승을 억제할 수 있도록 설정되며,
    이로써, 상기 수지제 심재 중 상기 적어도 일방의 표면과 대응하는 상기 수지제 표피재 시트가 면접착될 때, 상기 적어도 일방의 표면과 대응하는 상기 수지제 표피재 시트 사이의 공기가 상기 홈부를 통하여 상기 요함부에 유도되는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
KR1020167035113A 2014-06-19 2015-05-30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 및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 방법 KR1019333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25999A JP6489399B2 (ja) 2014-06-19 2014-06-19 樹脂製サンドイッチパネル
JPJP-P-2014-125999 2014-06-19
PCT/JP2015/065699 WO2015194349A1 (ja) 2014-06-19 2015-05-30 樹脂製サンドイッチパネルおよび樹脂製サンドイ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0384A KR20170010384A (ko) 2017-01-31
KR101933393B1 true KR101933393B1 (ko) 2018-12-28

Family

ID=54935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5113A KR101933393B1 (ko) 2014-06-19 2015-05-30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 및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232584B2 (ko)
EP (1) EP3159154B1 (ko)
JP (1) JP6489399B2 (ko)
KR (1) KR101933393B1 (ko)
CN (1) CN106457742B (ko)
WO (1) WO20151943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24653B2 (ja) * 2015-02-02 2018-11-21 キョーラク株式会社 樹脂製パネル
US10532537B2 (en) 2015-12-28 2020-01-14 Toray Industries, Inc. Sandwich structure, shaped product, and production processes therefor
US9969338B1 (en) * 2017-03-08 2018-05-15 Howa Kasei Co., Ltd. Interior component
JP6908846B2 (ja) * 2017-07-31 2021-07-28 キョーラク株式会社 構造体及び製造方法
JP6187718B1 (ja) * 2017-05-09 2017-08-3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真空断熱材用外包材、真空断熱材、および真空断熱材付き物品
GB2566752B (en) * 2017-09-26 2020-09-16 Univ Cranfield Method of manufacturing a moulded article
US11842836B2 (en) * 2018-01-17 2023-12-12 Tamura Corporation Reactor
JP6997374B2 (ja) * 2018-02-28 2022-01-17 キョーラク株式会社 樹脂製パネル
RU2680670C1 (ru) * 2018-03-16 2019-02-25 Российская Федерация, от имени которой выступает ФОНД ПЕРСПЕКТИВНЫХ ИССЛЕДОВАНИЙ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чувствительного элемента электроакустического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я на основе пьезоактивной пленки из поливинилиденфторида (ПВДФ)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клейки чувствительного элемента
EP3907068A1 (en) * 2020-05-06 2021-11-10 ZAAC S.r.l. Production method of a panel for furniture based on a polypropylene alveolar core, top, bottom and edge films
CN112318899B (zh) * 2020-09-25 2022-10-21 北京机科国创轻量化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生产增强型热塑性复合材料的生产线以及加工方法
CN113829631B (zh) * 2021-09-25 2023-05-12 东莞市瑞利箱包有限公司 一种医疗用头枕制备工艺及其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5921A (en) 1980-07-03 1982-01-27 Tokai Kasei Kogyo Kk Manufacture of composite product through vacuum molding processing
JPH02231125A (ja) * 1989-03-04 1990-09-13 Toyoda Gosei Co Ltd 真空成形方法
JPH07246673A (ja) * 1994-03-11 1995-09-26 Inoac Corp 積層成形品の表皮と積層成形品と積層成形品の製造方法
JP2967862B2 (ja) 1995-05-29 1999-10-25 宇部興産株式会社 貼り合わせブロー成形方法
US5804127A (en) 1995-05-29 1998-09-08 Ube Industries, Ltd. Blow molding method
JP4270625B2 (ja) * 1999-01-29 2009-06-03 キョーラク株式会社 パネルのブロー成形方法
JP2004045867A (ja) 2002-07-12 2004-02-12 Nishikawa Kasei Co Ltd 浮出し表示部を有する真空成形体及びその成形方法
US7048986B2 (en) * 2003-06-12 2006-05-23 Northrop Grumman Corporation End gaps of filled honeycomb
JP4764072B2 (ja) 2005-05-31 2011-08-31 キョーラク株式会社 樹脂製パネルの製造方法
JP2007098607A (ja) * 2005-09-30 2007-04-19 Sekisui Plastics Co Ltd 表皮シート付き発泡樹脂成形品とその製造方法
JP5603534B2 (ja) 2007-03-30 2014-10-08 盟和産業株式会社 積層板の製造方法
JP2009119728A (ja) 2007-11-15 2009-06-04 Yoshida Industry Co Ltd 樹脂シート被覆製品の製造方法及び樹脂シート被覆製品
WO2009136489A1 (ja) * 2008-04-30 2009-11-12 キョーラク株式会社 サンドイッチパネル用芯材およびサンドイッチパネル用芯材の成形方法、ならびにサンドイッチパネルおよびサンドイッチパネルの成形方法
JP5385568B2 (ja) 2008-08-29 2014-01-08 盟和産業株式会社 積層板及びその製造方法
EP2343185B1 (en) * 2008-10-31 2016-03-02 Kyoraku CO., LTD Sandwich panel and method of forming the sandwich panel
KR101046244B1 (ko) 2009-07-31 2011-07-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집적 회로의 클럭 생성 장치
DE102009048000A1 (de) 2009-10-01 2011-09-15 Bayer Materialscience Ag Verbundwerkstoff aus offenzelligem Hartschaum
JP6003009B2 (ja) * 2012-10-14 2016-10-05 キョーラク株式会社 樹脂製サンドイッチパネルおよび樹脂製サンドイ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
JP5971073B2 (ja) * 2012-10-14 2016-08-17 キョーラク株式会社 樹脂製サンドイッチパネルおよび樹脂製サンドイ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
JP6252749B2 (ja) * 2013-12-01 2017-12-27 キョーラク株式会社 樹脂製サンドイッチパネルおよび樹脂製サンドイ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457742A (zh) 2017-02-22
CN106457742B (zh) 2019-05-03
JP6489399B2 (ja) 2019-03-27
EP3159154B1 (en) 2020-08-19
JP2016002744A (ja) 2016-01-12
WO2015194349A1 (ja) 2015-12-23
US20170151747A1 (en) 2017-06-01
US10232584B2 (en) 2019-03-19
EP3159154A4 (en) 2018-01-03
EP3159154A1 (en) 2017-04-26
KR20170010384A (ko) 2017-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3393B1 (ko)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 및 수지제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 방법
KR101579520B1 (ko) 수지 적층판의 제조 방법
KR102082989B1 (ko) 수지로 제조된 패널 및 성형 방법
JP6003009B2 (ja) 樹脂製サンドイッチパネルおよび樹脂製サンドイ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
JP5532522B2 (ja) サンドイッチパネルおよびサンドイッチパネル用芯材の成形方法、ならびにサンドイッチパネルの成形方法
JP5971073B2 (ja) 樹脂製サンドイッチパネルおよび樹脂製サンドイ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
JP6252749B2 (ja) 樹脂製サンドイッチパネルおよび樹脂製サンドイ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
JP6015921B2 (ja) 樹脂製サンドイッチパネルおよび樹脂製サンドイ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
WO2013002366A1 (ja) 樹脂積層板
JP6206555B2 (ja) 樹脂製サンドイッチパネルおよび樹脂製サンドイ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
JP6268427B2 (ja) 樹脂製パネル及び成形方法
JP5720439B2 (ja) 樹脂積層板の製造方法及び樹脂積層板の成形金型
JP6424653B2 (ja) 樹脂製パネル
JP5871689B2 (ja) 樹脂製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4058059A1 (ja) 樹脂製サンドイッチパネルおよび樹脂製サンドイ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
US10611113B2 (en) Resin panel and forming method
JP5880926B2 (ja) 車両用内装材の製造方法
KR102598813B1 (ko) 트렁크 보드
JP7165301B2 (ja) 荷室ボード
JP6281216B2 (ja) 樹脂製パネル及び成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