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2386B1 - 프레임 불량 검측장치 및 검측방법 - Google Patents

프레임 불량 검측장치 및 검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2386B1
KR101932386B1 KR1020180076604A KR20180076604A KR101932386B1 KR 101932386 B1 KR101932386 B1 KR 101932386B1 KR 1020180076604 A KR1020180076604 A KR 1020180076604A KR 20180076604 A KR20180076604 A KR 20180076604A KR 101932386 B1 KR101932386 B1 KR 101932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ole
design
irradiated
center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6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학
Original Assignee
이근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학 filed Critical 이근학
Priority to KR1020180076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23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2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2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wo or more coordina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suring distance between sensor and obje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 불량 검측장치 및 검측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불량 검측장치는, 프레임과 이격되고, 표면에 눈금이 설정된 기준대,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고, 상기 기준대에 빛을 조사하는 레이저소자,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어, 상기 홀의 설계 값인 설계홀의 위치를 상기 기준대에 조사하는 이미지프로세스 및 상기 기준대에 조사된 상기 레이저소자의 상기 빛의 위치와 상기 이미지프로세스로부터 조사된 상기 설계홀의 위치를 비교하여 오차를 검측하는 오차검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프레임 불량 검측장치 및 검측방법{THE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DEFECTIVE FRAMES}
본 발명은 프레임 불량 검측장치 및 검측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는 미세한 자극에도 쉽게 반하는 민감한 물질이기에, 외부의 자극에 쉽게 반응하여 불량을 일으킨다.
즉, 반도체는 열과 빛 및 전압 외에도 미세한 진동 및 소음 등에 영향을 받기에, 대부분의 반도체 장비는 철재 구조물인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프레임을 가공하는 순서는 레이저 컷팅, 절단작업, 용접 및 사상작업, 탭 및 홀 작업, 도장작업, 2차 탭작업, 품질검사, 포장 및 납품 순으로 이루어진다.
이 중에서 탭 및 홀작업은 매우 중요하다. 미세한 오차에도 반도체 제품의 떨림이 발생하여 불량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탭 및 홀작업 시 그 위치와 치수가 정확해야 한다.
하지만, 현재 탭 및 홀작업이 이루어진 프레임의 위치 및 치수가 정확한지 판단하는 기술, 프레임의 불량 여부를 쉽게 판단할 수 있는 기술 및 방법이 미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프레임에 형성된 홀의 위치가 설계된 위치와 일치한지 비교 및 검측하여 프레임의 불량 여부를 좀 더 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프레임 불량 검측장치 및 검측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프레임 불량 검측장치 및 검측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불량 검측장치는, 프레임과 이격되고, 표면에 눈금이 설정된 기준대,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고, 상기 기준대에 빛을 조사하는 레이저소자,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어, 상기 홀의 설계 값인 설계홀의 위치를 상기 기준대에 조사하는 이미지프로세스 및 상기 기준대에 조사된 상기 레이저소자의 상기 빛의 위치와 상기 이미지프로세스로부터 조사된 상기 설계홀의 위치를 비교하여 오차를 검측하는 오차검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준대와 상기 프레임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부 및 상기 거리센서부와 연결되며, 측정된 거리에 따라 상기 이미지프로세스에서 조사된 상기 설계홀의 위치를 보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준대는, 반투명의 반사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프로세스는, 상기 프레임에 설계된 상기 설계홀의 위치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불량 검측방법은, 프레임에 형성된 홀에 레이저소자를 삽입하는 삽입단계, 기준대에 상기 홀의 설계 값인 설계홀의 위치를 조사하는 조사단계, 상기 레이저소자로부터 조사된 빛의 위치와 상기 기준대에 조사된 상기 설계홀의 위치를 비교하는 비교단계 및 상기 빛의 위치와 상기 설계홀의 위치를 비교하여 오차를 검측하는 검측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단계 및 상기 조사단계의 중간단계로, 상기 기준대에 눈금을 설정하는 설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사단계 및 상기 비교단계의 중간단계로, 상기 기준대와 상기 프레임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측정단계 및 측정된 거리에 따라 조사된 상기 설계홀의 위치를 보정하는 보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불량 검측장치 및 검측방법은, 프레임에 형성된 홀의 위치와 설계홀의 위치를 비교 및 검측하여 프레임의 불량 여부를 좀 더 쉽게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불량 검측장치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정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프레임 불량 검측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지지대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지지대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지지대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불량 검측장치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을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불량 검측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불량 검측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평행감지단계에 따른 레이저소자가 기준대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의 중심계산단계에 따른 소자중심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0의 중심홀매칭단계에 따른 설계중심점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불량 검측장치에 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을 정면에서 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프레임 불량 검측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불량 검측장치(1000)는, 기준대(100), 레이저소자(20), 이미지프로세스(230), 오차검측부(240), 거리센서부(220) 및 제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은 회전이 가능한 스테이지(1)의 상면에 위치될 수 있다. 프레임(10)이 놓여진 스테이지(1)는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준대(100)를 프레임(10)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시키지 않고도, 스테이지(1)의 회전으로 프레임(10)을 회전시켜 프레임(10)의 전, 후, 좌, 우측면에 형성된 홀(12)의 위치를 검측할 수 있다.
프레임(10)은 하나 이상의 개구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부(11)의 테두리에는 다수개의 홀(12)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홀(12)에는 레이저소자(20)가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홀(12)의 설계 값인 설계홀(231)의 위치와 실제 제작된 프레임(10)에 형성된 홀(12)의 위치를 비교 및 검측하는 것이 프레임 불량 검측장치(1000)이다. 이에 따라, 프레임(10)의 불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기준대(100)는 프레임(10)과 이격되고, 표면에 눈금(110)이 설정된 것이다. 예를 들면, 기준대(100)는 프레임(10)의 전방에 설치될 수 있다.
기준대(100)는 양측 하단에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대(10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대(101)는 기준대(100)의 임의 쓰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기준대(100)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지지대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지지대(101)에는 기준대(100)가 설치되는 설치면에서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는 흡수패드(10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흡수패드(102)는 설치면과 면접촉되는 지지대(101)의 저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대(101)는 기준대(100)의 임의 쓰러짐을 방지하면서도 기준대(100)의 임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도 1의 지지대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지지대(101)에는 흡수패드(10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흡수패드(102)는 기준대(100)의 높이방향으로 내장된 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흡수패드(102)는 좌우 방향으로 가지친 형태(103)일 수 있다. 그러면, 지지대(101)는 기준대(100)의 임의 쓰러짐을 방지하면서도 기준대(100)의 임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고, 흡수패드(102)로 흡수된 진동 및 충격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도 1의 지지대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불량 검측장치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지지대(101)는 조절부(104) 및 모터부(105)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부(104)는 기준대(100)의 양측에서 하방으로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절부(104)는 나사일 수 있다.
모터부(105)는 조절부(104)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모터부(105)에는 조절부(104)가 삽입될 수 있다.
모터부(105)는 제어부(200)와 연결되고, 제어부(200)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구동될 수 있다. 모터부(105)가 구동되면, 조절부(104)가 회전하면서, 모터부(105)에 삽입된 조절부(104)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터부(105)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조절부(104)가 상승할 수 있고, 반대로 모터부(105)가 타방향으로 회전하면, 조절부(105)가 하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미지프로세스(230)에서 기준대(100)로 조사된 설계홀(231)의 위치에서, 눈금(110)에 대한 수평이 맞지 않지 않았을 때, 제어부(200)에서 기준대(100)의 양측에 배치된 모터부(105) 중 하나 이상에 신호를 보낼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200)가 구동되면서 조절부(104)의 높이가 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준대(100)의 기울기 또는 높이가 조정되면서 설계홀(231)의 위치가 눈금(110)에 대해 수평을 맞출 수 있다. 따라서, 기준대(100)로 조사된 설계홀(231)의 위치를 눈금(110)에 대해 수평을 맞출 수 있어 정확한 측정할 수 있다.
기준대(100)는 일측에 ON/OFF 스위치(SW)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기준대(100)는 ON/OFF 스위치(SW)에 의해 표면에 눈금(110)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준대(100)는 도광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ON/OFF 스위치(SW)가 OFF일 경우에, 기준대(100)는 무색의 투명한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기준대(100)는 구동부(210)로부터 구동될 수 있고, 이러한 구동에 의해 표면에 눈금(110)이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대(100)에 눈금(110)이 표시될 수 있다.
기준대(100)는 반투명의 반사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반투명의 반사판에 의해, 레이저소자(20)로부터 기준대(100)를 향해 조사된 빛(21)이 선명하게 나타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레이저소자(20)는 프레임(10)에 형성된 홀(12)에 삽입될 수 있는 것으로, 프레임(10)에 형성된 홀(12)에 삽입되어, 기준대(100)를 향해 빛(21)을 조사할 수 있다. 이러한 레이저소자(20)는 프레임(10)에 형성된 홀(12)에 탈부착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레이저소자(20)는 LED일 수 있으며, 내부에 볼록렌즈(2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레이저소자(20)는 볼록렌즈(20b)에 의해 빛(21)을 한곳으로 집광시킬 수 있고, 이렇게 집광된 빛(21)을 조사할 수 있다.
이미지프로세스(230)는 홀(12)의 설계 값인 설계홀(231)의 위치를 기준대(100)에 조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미지프로세스(230)는 프레임(10)의 상단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미지프로세스(230)는 프레임(10)의 상단부가 아닌 설계홀(231)의 위치를 기준대(100)에 조사할 수 있는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이미지프로세스(230)는 홀(12)의 설계 값인 설계홀(231)이 데이터로 저장된 저장부(230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230a)에 저장된 데이터에 맞게 이미지프로세스(230)가 기준대(100)로 설계홀(231)의 위치를 조사할 수 있다.
이미지프로세스(230)는 촬영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는 레이저소자(20)로부터 조사된 빛(21)의 위치와 기준대(100)에 조사된 설계홀(231)의 위치를 동시에 촬영할 수 있다. 이미지프로세스(230)는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아날로그 영상을 이미지 센서인 CCD 또는 CMOS를 통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오차검측부(2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설계홀(231)과 홀(12)의 보다 정확한 오차 여부를 검측할 수 있다.
오차검측부(240)는 기준대(10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오차검측부(240)는 기준대(100)에 조사된 레이저소자(20)의 빛(21)의 위치와 이미지프로세스(230)로부터 조사된 설계홀(231)의 위치를 비교하여 오차를 검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미지프로세스(230)로부터 받은 영상인 디지털신호로부터 홀(12)의 위치에 오차가 있는지 그 여부를 검측할 수 있다.
즉, 기준대(100)에 조사된 레이저소자(20)의 빛(21)의 위치와 이미지프로세스(230)의 설계홀(231)의 위치를 비교하고, 빛(21)의 위치와 설계홀(231)의 위치가 일치한지 검측하고, 빛(21)의 위치와 설계홀(231)의 위치의 오차를 계산할 수 있다.
한편, 거리센서부(220)는 기준대(100)와 프레임(1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거리센서부(220)는 이미지프로세스(230)와 시스템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거리측정방법으로 레이저 오토 포커스의 원리가 적용될 수 있다. 거리센서부(220) 및 이미지프로센스는 구동부(210)에 의해 구동될 수 있고, 제어부(200)에 의해 각 기능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00)는 프레임(10)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설계홀(231)의 위치 값을 보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람이 레이저소자(20)로부터 조사된 빛(21)의 위치와 이미지프로세스(230)로부터 조사된 설계홀(231)의 위치를 기준대(100)에 설정된 눈금(110)을 통해 육안으로 비교 및 검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00)는 거리센서부(220)와 연결될 수 있으며, 거리센서부(220)에서 측정된 거리에 따라 이미지프로세스(230)에서 기준대(100)로 조사된 설계홀(231)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이미지프로세스(230)에 보정된 설계홀(231)의 위치를 기준대(100)에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00)는 프레임(10)의 크기와 형태뿐만 아니라 기준대(100)와 프레임(10) 사이의 거리에 따라 변동되는 설계홀(231)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프레임(10)의 불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프레임 불량 검측장치(1000)가 프레임(10)에 형성된 홀(12)의 위치를 검측하기 위하여, 프레임(10)은 스테이지(1)의 상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0)의 전, 후, 좌, 우측에는 프레임(10)과 이격거리를 갖는 복수 개의 기준대(100)가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 개의 기준대(100)는 근접한 기준대(100)끼리 서로 끼움결합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스테이지(1)의 양 끝 모서리에 걸쳐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기준대(100)가 서로 지지시킬 수 있으며, 스테이지(1)가 임의로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거리센서부(220)는 회전이 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레이저소자(20)가 프레임(10)의 사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홀(12)에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거리센서부(220)의 회전에 의해, 프레임(10)과 프레임(10)의 전, 후, 좌, 우측에 위치한 기준대(100) 사이의 거리를 각각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거리센서부(220)로부터 측정된 거리를 적용하여 설계홀(231)의 위치를 보정하고, 이미지프로세스(230)에 명령을 내려 보정된 설계홀(231)의 위치를 기준대(100)에 조사할 수 있다.
한편, 이미지프로세스(230)는 회전이 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미지프로세스(230)의 촬영부는 프레임(10)의 사면에 각각 위치된 레이저소자(20)로부터 조사된 빛(21)의 위치와 기준대(100)에 조사된 설계홀(231)의 위치를 각각 촬영할 수 있다.
이미지프로세스(230)는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아날로그영상을 이미지센서인 CCD 혹은 CMOS를 통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오차검측부(2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오차검측부(240)는 이미지프로세스(230)에서 전송된 디지털신호로부터 설계홀(231)의 위치와 홀(12)의 위치에 오차가 있는지 여부를 검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프레임 불량 검측장치를 이용하여 프레임의 불량을 검측하는 검측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도 1을 측면에서 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불량 검측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우선적으로, 프레임(10)에 형성된 홀(12)에 레이저소자(20)를 삽입하는 삽입단계(S100)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레이저소자(20)는 기준대(100)에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프로세스(230)는 프레임(10)의 상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미지프로세스(230)에는 프레임(10)에 형성된 홀(12)의 설계값인 설계홀(231)이 데이터로 저장되어 있으며, 이를 기준대(100)에 조사할 수 있다. 즉, 기준대(100)에 홀의 설계값인 설계홀(231)의 위치를 조사하는 조사단계(S200)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삽입단계(S100) 및 조사단계(S200)의 중간단계로, 기준대(100)에 눈금(110)을 설정하는 설정단계(S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눈금(110)이 설정된 기준대(100)를 사용할 수 있지만, ON/OFF 스위치(SW)에 의하여 눈금(110)이 설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스위치(SW)가 OFF일 경우에, 기준대(100)는 무색의 투명한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다음, 기준대(100)에 레이저소자(20)로부터 조사된 빛(21)의 위치와 이미지프로세스(230)로부터 조사된 설계홀(231)의 위치를 비교하는 비교단계(S300)가 이루어질 수 있다. 좀 더 정확한 비교를 위하여, 기준대(100)와 프레임(1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측정단계(S210) 및 측정된 거리에 따라 조사된 설계홀(231)의 위치를 보정하는 보정단계(S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준대(100)와 프레임(10) 사이의 거리는 거리센서부(220)에 의해 측정되며, 거리측정방법으로 레이저 오토 포커스의 원리가 적용될 수 있다. 설계홀(231)의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는 제어부(20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레이저소자(20)로부터 조사된 빛(21)의 위치와 설계홀(231)의 위치를 비교하여 오차를 검측하는 검측단계(S400)는 오차검측부(24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레이저소자(20)는 프레임(10)에 형성된 홀(12)에 삽입된 것으로, 레이저소자(20)로부터 조사된 빛(21)의 위치는 프레임(10)에 형성된 홀(12)의 위치와 같다.
오차검측부(240)는 홀(12)의 위치와 설계홀(231)의 위치의 오차 유/무(S500)를 비교, 검측하여 프레임을 불량(S510)과 재고(S520)로 나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불량 검측장치(1000) 및 검측방법은, 프레임(10)에 형성된 홀(12)의 위치와 설계홀(231)의 위치를 비교할 수 있고, 오차를 검측하여 프레임(10)의 불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른 실시예의 프레임 불량 검측장치를 이용하여 프레임의 불량을 검측하는 검측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불량 검측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프레임 불량 검측방법은 평행감지단계(S101)와, 소자중심계산단계(S111)와, 중심점매칭단계(2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평행감지단계(S101)는 삽입단계(S100) 및 설정단계(S110)의 중간단계로, 프레임(10)과 기준대(100)와의 평행인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의 평행감지단계에 따른 레이저소자가 기준대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레이저소자(20)는 빛(21)에 감지되는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레이저 거리 측정 센서일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레이저소자(20)는 홀(12)에 삽입된 상태에서, 기준대(100)와의 거리를 각각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 개의 레이저소자(20)가 측정한 기준대(100)와의 거리는 모두 일치하면, 레이저소자(20)의 빛(21)의 색상 또는 밝기가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람이 기준대(100)에 조사된 빛(21)의 동일한 색상 또는 밝기를 보고 기준대(100)와 프레임(10) 전면이 서로 평행인 위치에 배치되어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복수 개의 레이저소자(20)가 측정한 기준대(100)와의 거*가 서로 불일치하면, 레이저소자())의 빛(21)의 색상 또는 밝기가 불일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람이 기준대(100)에 조사된 불일치한 빛(21)의 색상 또는 밝기를 보고 기준대(100)와 프레임(10) 전면이 서로 평행하지 않음을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사람이 기준대(100)와 프레임(10)이 서로 평행인 위치에 배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서로 평행인 위치에 배치되도록 재배치 할 수 있다.
소자중심계산단계(S111)는 설정단계(S110)와 조사단계(S200)의 중간단계로, 설계홀(231)의 위치가 기준대(100)에 조사되기 전에 기준대(100)에 소자중심점(21c)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0의 중심계산단계에 따른 소자중심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개구부(11)의 테두리에 배치된 레이저소자(20)를 이용하여 개구부(11)의 중심점을 나타낼 수 있다.
각 개구부(11)의 테두리에 배치된 레이저소자(20)가 기준대(100)에 조사한 빛(21) 중, 서로 점 대칭하는 위치에 배치된 빛(21)은 가상의 선(22)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가상의 선(22)은 한점에서 만날 수 있고, 이러한 한 점을 소자중심점(21c)이라 할 수 있다.
소자중심점(21c)은 개구부(11)의 테두리에 배치된 복수 개의 레이저소자(20) 위치의 중심점으로, 개구부(11)의 중심점과 일치할 수 있다. 이러한 소자중심점(21c)은 가상의 선(22)이 적어도 3개 이상일 때, 구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될 설계중심점(231c)에 대응될 소자중심점(21c)이 기준대(100)에 표시될 수 있다.
중심점매칭단계(201)는 소자중심점(21c)과 설계중심점(231c)을 일치시키는 단계로, 조사단계(S200) 이후에 진행될 수 있다.
도 13은 도 10의 중심점매칭단계에 따른 설계중심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기준대(100)에 설계중심점(231c)이 조사될 수 있다.
설계중심점(231c)은 프레임(10) 설계과정에서 개구부(11)의 중심점으로, 이미지프로세스(230)의 저장부(230a) 에 설계홀(231)과 함께 저장될 수 있다. 그러면, 조사단계(S200)에서는, 설계홀(231)의 위치와 함께 설계중심점(231c)의 위치가 기준대(100)에 조사될 수 있다.
이러한 조사단계(S200) 이후, 중심점매칭단계(201)가 진행될 수 있다.
중심점매칭단계(201)에서는 기준대(100)에 표시된 소자중심점(21c)과 설계중심점(231c)의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자중심점(21c)과 설계중심점(231c)이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일치되도록 프레임(10) 또는 기준대(100)의 배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소자중심점(21c)과 설계중심점(231c)이 매칭되면, 개구부(11)의 중심을 기준으로 프레임(10)의 홀(12)이 설계홀(231)에 맞게 형성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즉, 프레임(10) 설계시의 개구부(11)의 중심과, 실제 제작된 개구부(11)의 중심을 서로 일치시킨 후, 설계홀(231)과 실제 제작된 홀(12)의 위치를 비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설계홀(231)에 대한 프레임(10)의 홀(12)의 정확한 검측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1000: 프레임 불량 검측장치
1: 스테이지 10: 프레임
11: 개구부 12: 홀
20: 레이저소자 20a: 삽입부
20b: 볼록렌즈 21: 빛
100: 기준대 101: 지지대
110: 눈금 200: 제어부
210: 구동부 220: 거리센서부
230: 이미지프로세스 230a: 저장부
231: 설계홀 240: 오차검측부
SW: ON/OFF 스위치 22: 가상의 선
21c: 소자중심점 231c: 설계중심점

Claims (7)

  1. 프레임과 이격되고, 표면에 눈금이 설정된 기준대;
    상기 프레임의 개구부 테두리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타단에 연결되어 빛을 한곳으로 집광시켜 상기 빛을 상기 기준대에 조사하는 볼록렌즈를 가지는 레이저소자;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홀의 설계 값인 설계홀의 위치 및 상기 개구부의 설계중심점의 위치를 상기 기준대에 조사하는 이미지프로세스; 및
    상기 기준대는,
    상기 개구부를 중심에 두고 이격된 각각의 상기 레이저소자에서 조사된 상기 빛 위치의 중심인 소자중심점을 표시하고,
    상기 기준대에 조사된 상기 빛의 위치와 상기 이미지프로세스로부터 조사된 상기 설계홀의 위치를 비교하고, 상기 소자중심점과 상기 설계중심점의 위치를 비교하여, 상기 홀의 위치 오차를 검측하는 오차검측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불량 검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대와 상기 프레임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부; 및
    상기 거리센서부와 연결되며, 측정된 거리에 따라 상기 이미지프로세스에서 조사된 상기 설계홀의 위치를 보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불량 검측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대는,
    반투명의 반사판을 포함하는 프레임 불량 검측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프로세스는,
    상기 프레임에 설계된 상기 설계홀의 위치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불량 검측장치.
  5. 프레임의 개구부 테두리에 형성된 홀에 레이저소자의 삽입부를 삽입하는 삽입단계;
    상기 개구부를 중심에 두고 이격된 각각의 상기 레이저소자에서 기준대에 빛을 조사하는 단계;
    상기 조사된 빛의 위치의 중심점인 소자중심점을 계산하는 소자중심계산단계;
    상기 기준대에 상기 홀의 설계 값인 설계홀의 위치를 조사하는 단계;
    상기 개구부의 설계중심점 및 상기 소자중심점을 일치시키는 중심점매칭단계;
    상기 레이저소자로부터 조사된 빛의 위치와 상기 기준대에 조사된 상기 설계홀의 위치를 비교하는 비교단계; 및
    상기 빛의 위치와 상기 설계홀의 위치를 비교하여 오차를 검측하는 검측단계를 포함하는 프레임 불량 검측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단계 및 상기 소자중심계산단계의 중간단계로,
    상기 기준대에 눈금을 설정하는 설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프레임 불량 검측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점매칭단계 및 상기 비교단계의 중간단계로,
    상기 기준대와 상기 프레임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측정단계; 및
    상기 측정된 거리에 따라 조사된 상기 설계홀의 위치를 보정하는 보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프레임 불량 검측방법.
KR1020180076604A 2018-07-02 2018-07-02 프레임 불량 검측장치 및 검측방법 KR101932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604A KR101932386B1 (ko) 2018-07-02 2018-07-02 프레임 불량 검측장치 및 검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604A KR101932386B1 (ko) 2018-07-02 2018-07-02 프레임 불량 검측장치 및 검측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2386B1 true KR101932386B1 (ko) 2018-12-24

Family

ID=65010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6604A KR101932386B1 (ko) 2018-07-02 2018-07-02 프레임 불량 검측장치 및 검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23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1598B1 (ko) * 2019-06-11 2020-10-29 정무돈 정밀도가 향상된 챔버 프레임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186B1 (ko) * 2011-11-23 2013-01-02 한국과학기술원 구조물 변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295058B1 (ko) * 2010-12-30 2013-08-08 국방과학연구소 오차측정장치, 이를 구비한 오차측정시스템 및 오차측정장치를 이용한 오차측정방법
KR101733228B1 (ko) * 2016-04-28 2017-05-08 주식회사 메디트 구조광을 이용한 3차원 스캐닝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058B1 (ko) * 2010-12-30 2013-08-08 국방과학연구소 오차측정장치, 이를 구비한 오차측정시스템 및 오차측정장치를 이용한 오차측정방법
KR101217186B1 (ko) * 2011-11-23 2013-01-02 한국과학기술원 구조물 변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733228B1 (ko) * 2016-04-28 2017-05-08 주식회사 메디트 구조광을 이용한 3차원 스캐닝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1598B1 (ko) * 2019-06-11 2020-10-29 정무돈 정밀도가 향상된 챔버 프레임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60395B (zh) 平整度檢測裝置及其檢測方法
CN104457609A (zh) 坐标测量设备
US4541721A (en) Optical check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1932386B1 (ko) 프레임 불량 검측장치 및 검측방법
KR101245622B1 (ko) 스테레오 비전과 격자 무늬를 이용한 비전검사장치
US5078490A (en) 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the aim of a vehicle headlamp
KR20100094510A (ko) 인쇄회로보드들에 콘택 핀들을 설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TW201315965A (zh) 發光二極體元件的三維視覺檢查方法及三維視覺檢查裝置
JPH07202495A (ja) 実装機における部品認識方法および同装置
KR101720009B1 (ko) 백라이트유닛 검사장치
JP2010256151A (ja) 形状測定方法
KR101032175B1 (ko) 스테이지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5172813A (ja) 試片検査装置の基準値設定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基準値設定方法
US20080094087A1 (en) Device for detecting chip location and method of detecting chip location using the device
JP5702634B2 (ja) カメラ解像度自動測定方法及び自動調節方法並びに画像検査方法及び装置
CN114222915A (zh) X射线自动化校准和监测
KR20140122943A (ko) 결정화 시료 검사 장치
TW201727202A (zh) 發光強度檢測裝置及發光強度檢測方法
KR20230022725A (ko) 머신비전용 조명모듈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머신비전용 조명모듈 검사방법
JP4712175B2 (ja) 基準計測方法
JP6252178B2 (ja) 形状測定装置、姿勢制御装置、構造物製造システム、及び、形状測定方法
KR100355898B1 (ko) 부품의 방향ㆍ위치 식별, 부품의 공면성 시험 및 부품의 결합부 분리 시험용 장치 및 방법
JPH07161783A (ja) 半導体測定装置及びその測定状態設定方法
KR102350924B1 (ko) 부품 실장기용 조명광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0805962B1 (ko) 시야각을 이용한 백라이트유닛 검사방법 및 검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