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2218B1 - 밸브 안전 장치 - Google Patents

밸브 안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2218B1
KR101932218B1 KR1020160041779A KR20160041779A KR101932218B1 KR 101932218 B1 KR101932218 B1 KR 101932218B1 KR 1020160041779 A KR1020160041779 A KR 1020160041779A KR 20160041779 A KR20160041779 A KR 20160041779A KR 101932218 B1 KR101932218 B1 KR 101932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base
main body
locking
valve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1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4583A (ko
Inventor
서창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츠로머티리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츠로머티리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츠로머티리얼
Priority to KR1020160041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2218B1/ko
Publication of KR20170114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4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2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2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02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to be locked or disconnected by means of a pushing or pulling action
    • F16K35/022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to be locked or disconnected by means of a pushing or pulling action the locking mechanism being actuated by a separate actuat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0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screw-spindle or internally threaded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02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to be locked or disconnected by means of a pushing or pulling action
    • F16K35/022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to be locked or disconnected by means of a pushing or pulling action the locking mechanism being actuated by a separate actuating element
    • F16K35/025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to be locked or disconnected by means of a pushing or pulling action the locking mechanism being actuated by a separate actuating element said actuating element being operated manually (e.g. a push-button located in the valve actu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1/00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venting Unauthorised Actuation Of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브 개방 상태 또는 폐쇄 상태를 잠금 고정시킬 수 있는 밸브 안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가동대를 이동시켜서 밸브를 개폐시킬 수 있는 밸브 개폐 장치; 및 상기 본체를 기준으로 상기 가동대의 위치를 강제로 고정시키는 록킹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 장치는, 상기 본체에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 1 각도 회전시 상기 가동대와 간섭되지 않고, 제 2 각도 회전시 상기 가동대와 간섭되어 상기 가동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토퍼 돌기가 일부분에 형성되는 록킹 샤프트; 및 상기 록킹 샤프트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록킹 샤프트를 상기 제 1 각도에서 상기 제 2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는 록킹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밸브 안전 장치{Locking apparatus for valve}
본 발명은 밸브 안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밸브 개방 상태 또는 폐쇄 상태를 잠금 고정시킬 수 있고 밸브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는 밸브 안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밸브란 유체의 양이나 압력을 제어하는 일종의 제어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밸브 본체 내부에서 움직이는 밸브체를 이용하여 유체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밸브체는 밸브 스탬을 승하강시키는 수동 조작용 레버 이용하여 수동으로 밸브를 개폐시킬 수 있고, 모터나 실린더를 포함하는 다양한 액츄에이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밸브를 개폐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밸브는 각종 공압 및 유압 장치에 널리 사용되고, 게이트 밸브와 같이 반도체 장비에서도 널리 이용되는 필수적인 기계 요소의 일종이다.
한편,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밸브 본체에 가동대를 움직여서 밸브를 개폐시킬 수 있는 구조로서, 밸브 개방 후 개방 상태가 풀리거나 밸브 폐쇄 후 폐쇄 상태가 풀리면 장비에 오동작이 발생되는 것은 물론이고, 레버가 풀리면서 안전 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밸브 개방 상태 또는 밸브 폐쇄 상태를 그대로 견실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가동대를 강제로 고정시키는 잠금 장치가 필요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잠금 장치는 밸브 본체의 측면을 관통하여 가동대의 측면을 강제 고정시키는 고정 나사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가동대의 이동 방향과 고정 나사의 고정 방향이 90도 각도를 이루기 때문에 만약, 사용자가 레버를 조금만 회전시켜도 가동대가 강한 힘으로 승하강되면서 고정 나사가 버티기 어려운 전단력이 집중되어 고정 나사 또는 가동대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고정 나사를 여러 차례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회전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오래 걸리며, 드라이버나 렌치 등 별도의 도구가 필요하여 고정 시간 및 고정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현재 밸브의 상태를 나타낼 수 없었기 때문에 작업자가 고정 나사를 조작하여 확인하는 동작이 빈번할 수밖에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동대의 승하강 방향과 일치되는 방향으로 견딜 수 있는 스토퍼 돌기를 이용하여 강한 힘으로 가동대의 승하강 움직임을 견고하게 버틸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제품의 내구성과 작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별도의 도구가 불필요하여 작업 시간 및 작업 비용을 단축시킬 수 있고, 폐쇄 상태는 물론이고 개방 상태도 견고하게 잠금 고정할 수 있으며, 밸브의 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하는 밸브 안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밸브 안전 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가동대를 이동시켜서 밸브를 개폐시킬 수 있는 밸브 개폐 장치; 및 상기 본체를 기준으로 상기 가동대의 위치를 강제로 고정시키는 록킹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 장치는, 상기 본체에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 1 각도 회전시 상기 가동대와 간섭되지 않고, 제 2 각도 회전시 상기 가동대와 간섭되어 상기 가동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토퍼 돌기가 일부분에 형성되는 록킹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록킹 샤프트를 상기 제 1 각도에서 상기 제 2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는 록킹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록킹 부재는 상기 록킹 샤프트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록킹 레버이고, 상기 가동대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스토퍼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록킹 샤프트의 상기 스토퍼 돌기는 상기 록킹 샤프트의 상기 제 1 각도 회전시, 상기 스토퍼 통로를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스토퍼 통로의 형상 보다 작은 형상으로 상기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록킹 샤프트의 상기 제 2 각도 회전시, 상기 스토퍼 돌기가 상기 스토퍼 통로를 벗어나서 상기 길이 방향을 축으로 회전되어 상기 가동대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기가 형성되는 장방향 돌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토퍼 돌기는 전체적으로 타원 기둥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 1 각도와 상기 제 2 각도 사이의 사이 각도는 85도 내지 95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는 내부에 상기 가동대를 수용하고, 상기 가동대가 승하강할 수 있는 승하강 공간이 구획될 수 있도록 수평 분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록킹 샤프트는 상기 수평 분리부까지 하강된 상기 가동대를 상기 스토퍼 돌기의 하면이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평 분리부를 기준으로 상기 스토퍼 돌기의 하면 높이는 상기 가동대의 두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록킹 샤프트는 상기 본체에서 상승된 상기 가동대를 상기 스토퍼 돌기의 상면이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천장면을 기준으로 상기 스토퍼 돌기의 상면 거리는 상기 가동대의 두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밸브 개폐 장치는, 상기 본체에 승하강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가동대; 상기 본체에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동대가 나사 승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가동대에 나사 관통되는 나사봉; 상기 나사봉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조작 레버; 및 상기 조작 레버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조작 레버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동대는 밸브 스탬이 연결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조작 레버의 회전 위치를 표시할 수 있도록 표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토퍼 돌기는 상기 제 1 각도에서 상기 제 2 각도로 회전시 상기 가동대와의 충돌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안내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록킹 장치는, 상기 록킹 샤프트와 상기 록킹 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축지지 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록킹 샤프트를 회전 지지하는 회전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가동대의 승하강 방향과 일치되는 방향으로 견딜 수 있는 스토퍼 돌기를 이용하여 강한 힘으로 가동대의 승하강 움직임을 견고하게 버틸 수 있어서 제품의 내구성과 작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별도의 도구가 불필요하여 작업 시간 및 작업 비용을 단축시킬 수 있고, 밸브 폐쇄 상태 및 밸브 개방 상태도 견고하게 잠금 고정할 수 있어서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밸브의 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밸브 안전 장치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밸브 안전 장치의 풀림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밸브 안전 장치의 록킹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밸브 안전 장치의 록킹 레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밸브 안전 장치의 스토퍼 돌기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밸브 안전 장치의 잠금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밸브 안전 장치의 록킹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밸브 안전 장치의 록킹 레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밸브 안전 장치의 스토퍼 돌기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밸브 안전 장치의 스토퍼 돌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XI-XI 절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막, 영역 또는 기판과 같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연결되어", "적층되어" 또는 "커플링되어" 위치한다고 언급할 때는, 상기 하나의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다른 구성요소 "상에", "연결되어", "적층되어" 또는 "커플링되어" 접촉하거나, 그 사이에 개재되는 또 다른 구성요소들이 존재할 수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반면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직접적으로 상에", "직접 연결되어", 또는 "직접 커플링되어" 위치한다고 언급할 때는, 그 사이에 개재되는 다른 구성요소들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해석된다.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 1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 2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상의" 또는 "위의" 및 "하의" 또는 "아래의"와 같은 상대적인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도해되는 것처럼 다른 요소들에 대한 어떤 요소들의 관계를 기술하기 위해 여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대적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묘사되는 방향에 추가하여 소자의 다른 방향들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고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들에서 소자가 뒤집어 진다면, 다른 요소들의 상부의 면 상에 존재하는 것으로 묘사되는 요소들은 상기 다른 요소들의 하부의 면 상에 방향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예로써 든 "상의"라는 용어는, 도면의 특정한 방향에 의존하여 "하의" 및 "상의" 방향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소자가 다른 방향으로 향한다면(다른 방향에 대하여 90도 회전),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상대적인 설명들은 이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tolerance)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밸브 안전 장치(100)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밸브 안전 장치(100)의 풀림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밸브 안전 장치(100)의 록킹 장치(3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밸브 안전 장치(100)의 록킹 레버(32)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밸브 안전 장치(100)의 스토퍼 돌기(ST)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밸브 안전 장치(100)는, 크게 본체(10)와, 밸브 개폐 장치(20) 및 록킹 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는 상기 밸브 개폐 장치(20) 및 상기 록킹 장치(30)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고, 이들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적당한 강도와 내구성을 갖는 구조체일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러한 상기 본체(10)의 하방에 각종 밸브 본체 및 밸브체들이 연동될 수 있고, 도면에서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의 상기 본체(10)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반드시 국한되지 않고 사각통, 다각통, 타원통, 각종 기하학적인 형태 등 다양한 형태의 하우징들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상기 밸브 개폐 장치(20)는 상기 본체(10)에 설치되고, 가동대(21)를 이동시켜서 밸브를 개폐시킬 수 있는 장치로서, 도 1 내지 도 5에서는 상기 가동대(21)를 승하강시킬 수 있는 가동대 승하강 장치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 개폐 장치(20)는, 상기 본체(10)에 승하강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가동대(21)와, 상기 본체(10)에 설치되는 베어링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동대(21)가 나사 승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가동대(21)에 나사 관통되는 나사봉(22)과, 상기 나사봉(22)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조작 레버(23) 및 상기 조작 레버(23)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조작 레버(23)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핸들(24)을 포함하는 수동 방식의 조작 장치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동 방식에 반드시 국한되지 않고 상기 밸브 개폐 장치(20)는 모터나 실린더 등 각종 액츄에이터와 연결되어 상기 가동대(21)를 자동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는 자동 방식의 밸브 개폐 장치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상기 가동대(21)는 밸브 스탬(25)이 연결되어 밸브체(미도시)를 승하강시켜서 밸브를 개방하거나 폐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핸들(24)을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면 상기 조작 레버(23)가 상기 나사봉(22)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면서 상기 나사봉(22)이 나사 회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나사봉(22)에 의해 나사 관통된 상기 가동대(21)가 상기 본체(10)의 승하강 공간을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상기 핸들(24)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돌려서 상기 가동대(21)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상기 밸브 스탬(25)과 연결된 밸브체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면서 밸브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 장치(30)는 상기 본체(10)를 기준으로 상기 가동대(21)의 위치를 강제로 고정시키는 장치로서, 록킹 샤프트(31) 및 록킹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록킹 부재는 상기 록킹 샤프트(31)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록킹 레버(3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 샤프트(31)는 상기 본체(10)에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 1 각도 회전시 상기 가동대(21)와 간섭되지 않고, 제 2 각도 회전시 상기 가동대(21)와 간섭되어 상기 가동대(21)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토퍼 돌기(ST)가 일부분에 형성되는 일종의 회전축 구조체일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 레버(32)는 상기 록킹 샤프트(31)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록킹 샤프트(31)를 상기 제 1 각도에서 상기 제 2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는 막대 형태의 구조체일 수 있다.
여기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록킹 레버(32) 대신 상기 록킹 샤프트(31)에 모터나 실린더 등을 포함하는 각종 록킹 부재의 일종인 액츄에이터를 연결하여 상기 록킹 샤프트(31)를 자동으로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가동대(21)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스토퍼 통로(P)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록킹 샤프트(31)의 상기 스토퍼 돌기(ST)는 상기 록킹 샤프트(31)의 상기 제 1 각도 회전시, 상기 스토퍼 통로(P)를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스토퍼 통로(P)의 형상 보다 작은 형상으로 상기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록킹 샤프트(31)의 상기 제 2 각도 회전시, 상기 스토퍼 돌기(ST)가 상기 스토퍼 통로(P)를 벗어나서 상기 길이 방향을 축으로 회전되어 상기 가동대(21)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기가 형성되는 장방향 돌기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스토퍼 돌기(ST)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타원 기둥 형태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스토퍼 돌기(ST)는 이러한 타원 기둥 형태에 반드시 국한되지 않고 각종 다각 기둥이나 별모양 기둥 등 각회전시 바닥면에 투영되는 형태가 처음과 달라지는 각종 기하학적인 기둥의 형태가 모두 가능하다.
또한, 상기 타원 기둥 형태의 스토퍼 돌기(ST)는 상기 스토퍼 통로(P)의 방향과 일치되어 승하강이 자유롭다가 90도 각도로 회전되면 가장 많은 면적이 상기 스토퍼 통로(P)와 간섭될 수 있고, 90도 이상으로 회전되면 간섭되는 면적이 오히려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상술된 상기 제 1 각도와 상기 제 2 각도 사이의 사이 각도는 90도 이거나 85도 내지 95도일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는 내부에 상기 가동대(21)를 수용하고, 상기 가동대(21)가 승하강할 수 있는 승하강 공간이 구획될 수 있도록 수평 분리부(11)가 형성되고, 상기 록킹 샤프트(31)는 상기 수평 분리부(11)까지 하강된 상기 가동대(21)를 상기 스토퍼 돌기(ST)의 하면이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평 분리부(11)를 기준으로 상기 스토퍼 돌기(ST)의 하면 높이(H1)는 상기 가동대(21)의 두께(T1)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록킹 샤프트(31)는 상기 본체(10)에서 상승된 상기 가동대(21)를 상기 스토퍼 돌기(ST)의 상면이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천장면을 기준으로 상기 스토퍼 돌기(ST)의 상면 거리(L1)는 상기 가동대(21)의 두께(T1)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 장치(30)는, 상기 록킹 샤프트(31)와 상기 록킹 레버(32)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10)의 축지지 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록킹 샤프트(31)를 회전 지지하는 회전판(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회전판(33)은 상기 록킹 샤프트(31)의 상단 하중을 분산시켜서 부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록킹 레버(32)의 회동이 부드럽고 치밀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본체(10)와의 접촉 면적을 넓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밸브 안전 장치(100)는 상기 스토퍼 돌기(ST)의 하면을 이용하여 상기 가동대(21)를 가압하고, 이를 통해 상기 가동대(21)가 하강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상기 스토퍼 돌기(ST)의 상면을 이용하여 상기 가동대(21)를 가압하고, 이를 통해 상기 가동대(21)가 상승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다. 즉, 핸들이 의도치 않게 돌아가면서 밸브 개방 상태 및 밸브 폐쇄 상태가 풀리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는 상면에 작업자가 밸브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록킹 레버(32)의 회전 위치를 표시하는 지시부(도 1에서 "LOCK" 및 "UNLOCK")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시부 이외에도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사이 표시부는 "OPEN", "CLOSE" 등 다양하게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록킹 레버(32)의 위치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하여 현재 밸브의 상태, 즉 고정 상태인지 아닌지를 쉽게 판단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밸브 안전 장치(100)의 잠금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밸브 안전 장치(100)의 록킹 장치(3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의 밸브 안전 장치(100)의 록킹 레버(32)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6의 밸브 안전 장치(100)의 스토퍼 돌기(ST)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여기서, 상술된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밸브 안전 장치(100)의 풀림 상태를 나타내고, 도 6 내지 도 9는 상기 밸브 안전 장치(100)의 잠김 상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밸브 안전 장치(10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 샤프트(31)의 상기 스토퍼 돌기(ST)가 상기 록킹 샤프트(31)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각도로 회전된 상태에서는 상기 스토퍼 돌기(ST)가 상기 스토퍼 통로(P)를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가동대(21)는 아무런 간섭이 없이 상기 본체(10)의 내부의 승하강 공간을 따라 승하강이 자유로운 상태일 수 있다.
이어서,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핸들(24)을 잡고 상기 조작 레버(23)를 정회전시키면 상기 나사봉(22)이 정회전되면서 상기 가동대(21)가 상기 본체(10)의 승하강 공간의 최저 위치로 하강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상기 록킹 장치(30)의 상기 록킹 레버(32)를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면 상기 록킹 샤프트(31)가 상기 제 2 각도 회전되면서, 상기 스토퍼 돌기(ST)가 상기 가동대(21)와 간섭되게 상기 스토퍼 통로(P)를 벗어나서 상기 스토퍼 돌기(ST)의 하면이 상기 가동대(21)의 상승을 방해하고 그 위치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가동대(21)의 승하강 방향과 일치되는 방향으로 견딜 수 있는 상기 스토퍼 돌기(ST)를 이용하여 강한 힘으로 상기 가동대(21)의 승하강 움직임을 견고하게 버틸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제품의 내구성과 작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별도의 도구가 불필요하여 작업 시간 및 작업 비용을 단축시킬 수 있고,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밸브 폐쇄 상태는 물론이고 밸브 개방 상태도 견고하게 잠금 고정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밸브 안전 장치의 스토퍼 돌기(ST)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스토퍼 돌기(ST)의 XI-XI 절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 돌기(ST)는 상기 제 1 각도에서 상기 제 2 각도로 회전시 상기 가동대(21)와의 충돌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안내 경사면(F)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안내 경사면(F)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진 경사면일 수 있고, 이외에도 라운드형상의 곡면 등 다양한 형태 및 각도의 경사면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동대(21)는 상기 스토퍼 돌기(ST)의 안내 경사면(F)과 충돌되면서 상기 스토퍼 돌기(ST)가 회전됨에 따라 점점 가압력이 커질 수 있어서 부품들 간의 작동을 원활하게 하고 잠금 압력을 순차적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본체
20: 밸브 개폐 장치
21: 가동대
22: 나사봉
23: 조작 레버
24: 핸들
25: 밸브 스탬
30: 록킹 장치
31: 록킹 샤프트
32: 록킹 레버
33: 회전판
100: 밸브 안전 장치

Claims (10)

  1.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가동대를 이동시켜서 밸브를 개폐시킬 수 있는 밸브 개폐 장치; 및
    상기 본체를 기준으로 상기 가동대의 위치를 강제로 고정시키는 록킹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 장치는,
    상기 본체에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 1 각도 회전시 상기 가동대와 간섭되지 않고, 제 2 각도 회전시 상기 가동대와 간섭되어 상기 가동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토퍼 돌기가 일부분에 형성되는 록킹 샤프트;
    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 샤프트를 상기 제 1 각도에서 상기 제 2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는 록킹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록킹 부재는 상기 록킹 샤프트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록킹 레버이고,
    상기 가동대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스토퍼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록킹 샤프트의 상기 스토퍼 돌기는
    상기 록킹 샤프트의 상기 제 1 각도 회전시, 상기 스토퍼 통로를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스토퍼 통로의 형상 보다 작은 형상으로 상기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록킹 샤프트의 상기 제 2 각도 회전시, 상기 스토퍼 돌기가 상기 스토퍼 통로를 벗어나서 상기 길이 방향을 축으로 회전되어 상기 가동대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기가 형성되는 장방향 돌기인, 밸브 안전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돌기는 전체적으로 타원 기둥 형태인, 밸브 안전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각도와 상기 제 2 각도 사이의 사이 각도는 85도 내지 95도인, 밸브 안전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내부에 상기 가동대를 수용하고, 상기 가동대가 승하강할 수 있는 승하강 공간이 구획될 수 있도록 수평 분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 샤프트의 상기 스토퍼 돌기의 위치는, 상기 스토퍼 돌기의 하면이 상기 수평 분리부까지 하강된 상기 가동대를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평 분리부 내부 저면에서 상기 스토퍼 돌기의 하면까지의 높이가 상기 가동대의 두께 이상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인, 밸브 안전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샤프트의 상기 스토퍼 돌기의 위치는, 상기 스토퍼 돌기의 상면이 상기 본체에서 상승된 상기 가동대를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 천장면에서 상기 스토퍼 돌기의 상면까지의 높이가 상기 가동대의 두께 이상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인, 밸브 안전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개폐 장치는,
    상기 본체에 승하강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가동대;
    상기 본체에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동대가 나사 승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가동대에 나사 관통되는 나사봉;
    상기 나사봉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조작 레버; 및
    상기 조작 레버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조작 레버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핸들;
    을 포함하는, 밸브 안전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대에는 밸브 스탬이 연결되고,
    상기 본체는 상기 가동대를 승하강 조작할 수 있는 조작 레버의 회전 위치를 표시할 수 있도록 표시부가 형성되는, 밸브 안전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돌기에는 상기 제 1 각도에서 상기 제 2 각도로 회전시 상기 가동대와의 충돌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안내 경사면이 형성되는, 밸브 안전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장치는,
    상기 록킹 샤프트와 상기 록킹 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축지지 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록킹 샤프트를 회전 지지하는 회전판;
    을 더 포함하는, 밸브 안전 장치.
KR1020160041779A 2016-04-05 2016-04-05 밸브 안전 장치 KR101932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779A KR101932218B1 (ko) 2016-04-05 2016-04-05 밸브 안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779A KR101932218B1 (ko) 2016-04-05 2016-04-05 밸브 안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583A KR20170114583A (ko) 2017-10-16
KR101932218B1 true KR101932218B1 (ko) 2019-03-20

Family

ID=60295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1779A KR101932218B1 (ko) 2016-04-05 2016-04-05 밸브 안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22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57071A (zh) * 2018-12-07 2019-02-19 天津国际机械有限公司 一种由介质压力控制的球阀锁定机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5711A (ja) * 2009-04-23 2010-11-11 Okm:Kk 着脱式バルブ操作装置、及びその取付構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2438B1 (ko) * 2003-01-10 2005-07-20 (주)알코 유로전환밸브
KR101202819B1 (ko) * 2010-04-01 2012-11-20 변권식 체크 밸브 일체형 스톱 밸브
KR200464255Y1 (ko) * 2010-12-16 2012-12-21 (주)지에스티산업 풀림 방지용 밸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5711A (ja) * 2009-04-23 2010-11-11 Okm:Kk 着脱式バルブ操作装置、及びその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583A (ko) 2017-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15872B2 (ja) キャスター及びキャスター付きホワイトボード
AU2005200020B2 (en) Screw jack
CA2966633C (en) Container sealing assembly
JP5943980B2 (ja) 電気式のフィードバック装置
KR101932218B1 (ko) 밸브 안전 장치
US20080173834A1 (en) Malfunction Prevention Manual Valve
JP4908298B2 (ja) バルブ組立用治具
CN104968598A (zh) 千斤顶和支撑装置
JP7462016B2 (ja) ロックアウトタグアウト装置及びバルブ
KR20160012171A (ko) 가압 유체 용기
CN204936880U (zh) 一种升降旋转底座
US10352461B2 (en) Valve device having a rotating support member for converting rotational displacement into linear displacement of a valve
KR101498212B1 (ko) 선박 건조용 캐리어
KR20160064635A (ko) 공작 기계의 조작반 높이 조절 장치
KR102122661B1 (ko) 안전 사다리
EP2999915B1 (en) A pressurizse fluid cylinder with a lever
GB2427396A (en) Screw jack
KR101340832B1 (ko) 수평대
KR101743542B1 (ko) 힌지 모듈을 사용하여 리드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US20140326913A1 (en) Arrangement for operating a shut-off valve having a tapered plug
KR20170085212A (ko) 해치커버 조립체
US1057226A (en) Valve.
CN104633251B (zh) 采用偏心轮离合装置的外挂式手轮机构
KR101822745B1 (ko)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오토바이 핸들
JP6037704B2 (ja) ストッパー付スリップ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