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1891B1 - 증기 밸브용 유압 구동 장치, 조합 증기 밸브 및 증기 터빈 - Google Patents

증기 밸브용 유압 구동 장치, 조합 증기 밸브 및 증기 터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1891B1
KR101931891B1 KR1020177003636A KR20177003636A KR101931891B1 KR 101931891 B1 KR101931891 B1 KR 101931891B1 KR 1020177003636 A KR1020177003636 A KR 1020177003636A KR 20177003636 A KR20177003636 A KR 20177003636A KR 101931891 B1 KR101931891 B1 KR 101931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valve
actuator
chamber
hydraulic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3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1180A (ko
Inventor
겐스케 후타하시
가츠히사 하마다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31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1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7/00Regulating or controlling by varying flow
    • F01D17/10Final actuators
    • F01D17/12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 F01D17/14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varying effective cross-sectional area of nozzles or guide conduits
    • F01D17/146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varying effective cross-sectional area of nozzles or guide conduits by throttling the volute inlet of radial machines or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7/00Regulating or controlling by varying flow
    • F01D17/10Final actu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7/00Regulating or controlling by varying flow
    • F01D17/10Final actuators
    • F01D17/12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 F01D17/14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varying effective cross-sectional area of nozzles or guide conduits
    • F01D17/141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varying effective cross-sectional area of nozzles or guide conduits by means of shiftable members or valves obturating part of the flow path
    • F01D17/145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varying effective cross-sectional area of nozzles or guide conduits by means of shiftable members or valves obturating part of the flow path by means of valves, e.g. for steam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1/0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 F15B11/02Systems essentially incorporating 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the speed or actuating force of an output member
    • F15B11/04Systems essentially incorporating 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the speed or actuating force of an output member for controlling the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1/0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 F15B11/02Systems essentially incorporating 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the speed or actuating force of an output member
    • F15B11/04Systems essentially incorporating 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the speed or actuating force of an output member for controlling the speed
    • F15B11/046Systems essentially incorporating 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the speed or actuating force of an output member for controlling the speed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working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20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 F15B15/22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for accelerating or decelerating the str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20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 F15B15/22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for accelerating or decelerating the stroke
    • F15B15/227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for accelerating or decelerating the stroke having an auxiliary cushioning piston within the main piston or the cylinder end 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44Details of seats or valve members of double-sea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44Details of seats or valve members of double-seat valves
    • F16K1/443Details of seats or valve members of double-seat valves the seats being in s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 F16K31/1225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with a plurality of 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20/00Application
    • F05D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D2220/31Application in turbines in steam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 F16K31/1221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one side of the piston being spring-loa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 Control Of Turbine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Lift Valve (AREA)
  • Actuator (AREA)

Abstract

증기 밸브용 유압 구동 장치는, 상기 증기 밸브의 밸브 축을 통해 상기 밸브체에 전달하는 구동력을 생성하는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의 각각은, 실린더와, 피스톤과, 일단이 상기 피스톤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밸브 축에 접속된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 중 주 액추에이터는, 상기 밸브체의 밸브 폐쇄 동작 중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에 대해 제동력이 부여되도록, 상기 실린더와 상기 피스톤에 의해 획정되는 유압실 내의 압유의 흐름을 규제하기 위한 스로틀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 액추에이터 이외의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는, 상기 스로틀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부 액추에이터이고, 상기 부 액추에이터의 상기 유압실은, 상기 주 액추에이터의 상기 유압실에 연통하고 있다.

Description

증기 밸브용 유압 구동 장치, 조합 증기 밸브 및 증기 터빈 {HYDRAULIC DRIVE DEVICE FOR STEAM VALVE, COMBINED STEAM VALVE AND STEAM TURBINE}
본 개시는 증기 밸브용 유압 구동 장치, 조합 증기 밸브 및 증기 터빈에 관한 것이다.
증기 터빈에 있어서, 증기 흐름을 차단하거나 증기 유량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증기 밸브(예를 들어, 스톱 밸브나 가감 밸브 등)를 구동하기 위해, 유압 구동 장치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유압 실린더를 사용한 밸브 구동 기구에 의해 구동되는 스톱 밸브를 포함하는 증기 밸브가 개시되어 있다. 이 증기 밸브에서는, 복수의 유압 실린더의 출력축이 접속 부재를 통해 스톱 밸브의 밸브 축과 접속되어 있고, 스톱 밸브의 밸브체를 작동시키는 밸브 축이 접속 부재를 통해 복수의 유압 실린더에 의해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복수의 유압 실린더 기구는, 제어 장치에 의해 동기하여 구동되도록 제어되어 있다.
국제 공개 제2014/098073호
그런데, 특허문헌 1에 기재되는 증기 밸브에 있어서, 밸브 폐쇄 시에 밸브체와 밸브 시트의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을 저감시키기 위해, 피스톤 및 밸브체에 제동력을 부여하여 완속 정지시키기 위한 댐퍼 기구를 복수의 유압 실린더의 각각에 적용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유압 실린더에 댐퍼 기구를 설치함으로써, 유압 실린더 자체의 구조가 복잡화된다. 또한, 복수의 유압 실린더에 있어서 밸브체에 부여하는 제동력을 균일하게 하기 위해서는, 동기 제어 시스템도 필요해져, 유압 구동 장치가 더욱 복잡화되는 것이 예상된다.
따라서, 간소한 구조로, 복수의 유압 실린더에 있어서 균일한 제동력을 밸브체에 부여할 수 있는 것이 요망된다.
상술한 사정에 비추어,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 형태는, 간소한 구조를 가짐과 함께, 밸브 폐쇄 시에 균일한 제동력을 밸브체에 부여하는 것이 가능한 증기 밸브용 유압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증기 밸브용 유압 구동 장치는,
증기 밸브의 밸브체를 구동하기 위한 유압 구동 장치이며,
상기 증기 밸브의 밸브 축을 통해 상기 밸브체에 전달하는 구동력을 생성하는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는, 각각,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를 왕복 운동 가능하게 구성된 피스톤과, 일단이 상기 피스톤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밸브 축에 접속된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 중 주 액추에이터는, 상기 밸브체의 밸브 폐쇄 동작 중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에 대해 제동력이 부여되도록, 상기 실린더와 상기 피스톤에 의해 획정되는 유압실 내의 압유의 흐름을 규제하기 위한 스로틀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 액추에이터 이외의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는, 상기 스로틀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부 액추에이터이고,
상기 부 액추에이터의 상기 유압실은, 상기 주 액추에이터의 상기 유압실에 연통하고 있다.
상기 (1)의 구성에서는, 밸브 폐쇄 동작 중에 밸브체에 대해 제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스로틀부를,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 중 주 액추에이터에만 형성함과 함께, 부 액추에이터의 유압실은 주 액추에이터의 유압실에 연통하도록 하였다. 이 경우, 주 액추에이터의 유압실에는 스로틀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밸브 폐쇄 동작 중에 있어서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주 액추에이터의 유압실의 압력이 상승한다. 이것에 수반하여, 주 액추에이터의 유압실에 연통하고 있는 부 액추에이터의 유압실의 압력도 상승한다. 이와 같이, 밸브 폐쇄 동작 중에 있어서 모든 액추에이터의 유압실의 압력이 상승하므로, 밸브 폐쇄 동작 중에 밸브체에 대해 제동력을 부여할 수 있다. 즉, 주 액추에이터의 유압실에 형성된 스로틀부가, 모든 액추에이터의 유압실에 댐퍼 기능을 불러오므로, 유압 구동 장치의 구조를 간소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부 액추에이터의 유압실은 주 액추에이터의 유압실에 연통하고 있으므로, 정상 상태에 있어서 각 유압실의 압력은 동등하다. 이로 인해,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에 있어서 균일한 제동력을 발현시켜, 이들 제동력을 하나의 밸브체에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2) 몇 가지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1)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주 액추에이터의 상기 유압실은,
상기 피스톤에 면하는 제1 챔버와,
상기 스로틀부를 통해 상기 제1 챔버에 연통함과 함께, 오일 탱크를 포함하는 외부 유압 회로에 접속되는 제2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 액추에이터의 상기 유압실은, 상기 주 액추에이터의 상기 유압실의 상기 제1 챔버에 연통하고 있다.
상기 (2)의 구성에서는, 주 액추에이터에 있어서, 밸브체의 밸브 폐쇄 동작 중에, 제1 챔버와 제2 챔버 사이의 스로틀부에 의해 제1 챔버로부터 제2 챔버로의 작동유의 흐름이 교축됨으로써, 제1 챔버 내의 압력이 상승하여 밸브체에 제동력이 부여된다. 또한, 부 액추에이터의 유압실은, 주 액추에이터의 제1 챔버에 연통하고 있으므로, 밸브 폐쇄 동작 중에 있어서, 부 액추에이터의 유압실의 압력은 주 액추에이터의 제1 챔버의 압력 상승에 수반하여 증가한다. 따라서, 주 액추에이터의 유압실에 형성된 스로틀부에 의해,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에 있어서 균일한 제동력을 발현시켜, 이들 제동력을 하나의 밸브체에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3) 몇 가지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1) 또는 (2)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 액추에이터의 상기 유압실을, 각각, 상기 주 액추에이터의 상기 유압실에 접속하는 적어도 1개의 연통관을 더 구비한다.
상기 (3)의 구성에서는, 각 부 액추에이터의 유압실과 주 액추에이터의 유압실을 직접 연통관에 의해 접속하였으므로, 각 부 액추에이터에 있어서, 주 액추에이터의 유압실의 압력의 변화에 따라서 즉시 압력이 변화된다. 따라서, 주 액추에이터의 유압실에 형성된 스로틀부에 의해,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에 있어서 균일한 제동력을 발현시켜, 이들 제동력을 하나의 밸브체에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4) 몇 가지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1) 또는 (2)의 구성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상기 부 액추에이터의 상기 유압실이, 상기 주 액추에이터의 상기 유압실에 대해 직렬로 접속된다.
상기 (4)의 구성에서는, 복수의 부 액추에이터의 유압실이, 주 액추에이터의 유압실에 대해 직렬로 접속되도록 하였으므로, 서로의 거리가 가까운 유압 액추에이터끼리를 접속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유압 구동 장치의 설치나 시공이 용이해진다.
(5) 몇 가지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의 상기 유압실끼리를 접속하는 적어도 1개의 연통관과,
상기 주 액추에이터의 상기 유압실 내의 압유를 오일 탱크에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배출관의 직경은, 상기 연통관의 직경보다 크다.
상기 (5)의 구성에서는, 주 액추에이터에 배출관을 설치하였으므로, 주 액추에이터의 유압실 및 이것에 연통하는 부 액추에이터의 유압실로부터 배출관을 통해 압유를 유압 탱크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배출관의 직경이 연통관의 직경 이하인 경우, 배출관에 있어서의 압유의 유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어, 밸브체의 밸브 폐쇄 시에 압유의 배출이 정체될 가능성이 있어, 신속한 밸브 폐쇄를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 점에서, 상기 (5)의 구성에서는, 배출관의 직경을 연통관의 직경보다 크게 하였으므로, 각 유압 액추에이터의 유압실의 압유를, 배출관을 통해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어, 밸브체를 신속하게 밸브 폐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6) 몇 가지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주 액추에이터의 상기 유압실에 압유를 공급하고, 상기 피스톤에 대해 밸브 개방 방향으로의 유압을 작용시키도록 구성된 압유원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 액추에이터의 상기 피스톤은, 상기 주 액추에이터의 상기 유압실을 통해 상기 압유원에 의한 상기 압유를 받도록 구성된다.
상기 (6)의 구성에 따르면, 주 액추에이터의 유압실에 압유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압유원에 의해, 주 액추에이터의 유압실을 통해, 부 액추에이터의 유압실에도 압유가 공급된다. 따라서, 모든 유압 액추에이터의 압유원을 공통화할 수 있어, 유압 구동 장치의 구성이 간소한 것으로 된다.
(7)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조합 증기 밸브는,
밸브실과,
상기 밸브실 내에 설치되는 가감 밸브와,
상기 밸브실 내에 설치되는 스톱 밸브를 구비하는 조합 증기 밸브이며,
상기 스톱 밸브는,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을 갖는 유압 구동 장치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7)의 구성에서는, 밸브 폐쇄 동작 중에 밸브체에 대해 제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스로틀부를,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 중 주 액추에이터에만 형성함과 함께, 부 액추에이터의 유압실은 주 액추에이터의 유압실에 연통하도록 하였다. 이 경우, 주 액추에이터의 유압실에는 스로틀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밸브 폐쇄 동작 중에 있어서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주 액추에이터의 유압실의 압력이 상승한다. 이것에 수반하여, 주 액추에이터의 유압실에 연통하고 있는 부 액추에이터의 유압실의 압력도 상승한다. 이와 같이, 밸브 폐쇄 동작 중에 있어서 모든 액추에이터의 유압실의 압력이 상승하므로, 밸브 폐쇄 동작 중에 밸브체에 대해 제동력을 부여할 수 있다. 즉, 주 액추에이터의 유압실에 형성된 스로틀부가, 모든 액추에이터의 유압실에 댐퍼 기능을 불러오므로, 유압 구동 장치의 구조를 간소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부 액추에이터의 유압실은 주 액추에이터의 유압실에 연통하고 있으므로, 정상 상태에 있어서 각 유압실의 압력은 동등하다. 이로 인해,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에 있어서 균일한 제동력을 발현시켜, 이들 제동력을 하나의 밸브체에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8)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증기 터빈은, 상기 (7)의 구성을 갖는 조합 증기 밸브를 구비한다.
상기 (8)의 구성에서는, 밸브 폐쇄 동작 중에 밸브체에 대해 제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스로틀부를,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 중 주 액추에이터에만 형성함과 함께, 부 액추에이터의 유압실은 주 액추에이터의 유압실에 연통하도록 하였다. 이 경우, 주 액추에이터의 유압실에는 스로틀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밸브 폐쇄 동작 중에 있어서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주 액추에이터의 유압실의 압력이 상승한다. 이것에 수반하여, 주 액추에이터의 유압실에 연통하고 있는 부 액추에이터의 유압실의 압력도 상승한다. 이와 같이, 밸브 폐쇄 동작 중에 있어서 모든 액추에이터의 유압실의 압력이 상승하므로, 밸브 폐쇄 동작 중에 밸브체에 대해 제동력을 부여할 수 있다. 즉, 주 액추에이터의 유압실에 형성된 스로틀부가, 모든 액추에이터의 유압실에 댐퍼 기능을 불러오므로, 유압 구동 장치의 구조를 간소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부 액추에이터의 유압실은 주 액추에이터의 유압실에 연통하고 있으므로, 정상 상태에 있어서 각 유압실의 압력은 동등하다. 이로 인해,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에 있어서 균일한 제동력을 발현시켜, 이들 제동력을 하나의 밸브체에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간소한 구조를 가짐과 함께, 밸브 폐쇄 시에 균일한 제동력을 밸브체에 부여하는 것이 가능한 증기 밸브용 유압 구동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유압 구동 장치가 적용되는 증기 밸브를 포함하는 증기 터빈을 구비한 발전 시스템의 개략 계통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증기 밸브의 종단면 및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유압 구동 장치의 구성의 개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증기 밸브 및 유압 구동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유압 액추에이터 및 외부 유압 회로의 구성의 개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유압 구동 장치의 구성의 개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유압 구동 장치의 구성의 개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유압 구동 장치의 구성의 개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유압 구동 장치의 구성의 개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 가지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단, 실시 형태로서 기재되어 있거나, 또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 부품의 치수, 재질, 형상, 그 상대적 배치 등은, 본 발명의 범위를 이것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며, 단순한 설명예에 지나지 않는다.
먼저,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유압 구동 장치가 적용되는 발전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유압 구동 장치가 적용되는 증기 밸브를 포함하는 증기 터빈을 구비한 발전 시스템의 개략 계통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전 시스템(1)은, 증기를 생성하기 위한 보일러(2)와, 보일러(2)로부터의 증기의 압력을 회전 에너지로 변환하는 증기 터빈(4)과, 증기 터빈(4)의 회전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6)를 포함한다.
증기 터빈(4)은, 고압 증기 터빈(8)과, 중압 증기 터빈(10)과, 저압 증기 터빈(12)을 포함하고, 고압 증기 터빈(8)과 중압 증기 터빈(10) 사이에는, 재열기(14)가 설치된다. 고압 증기 터빈(8)으로부터 배출된 증기는, 재열기(14)에 의해 재가열되어, 중압 증기 터빈(10)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중압 증기 터빈(10)으로부터 배출된 증기는, 저압 증기 터빈(12)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보일러(2)와 고압 증기 터빈(8)은, 주 증기 공급 배관(3)을 통해 접속되어 있고, 주 증기 공급 배관(3)에는, 스톱 밸브(30)와 가감 밸브(40)를 포함하는 증기 밸브(16)가 설치되어 있다. 스톱 밸브(30)를 폐쇄함으로써, 보일러(2)로부터 고압 증기 터빈(8)에 공급되는 증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가감 밸브(40)의 개방도를 조절함으로써, 보일러(2)로부터 고압 증기 터빈(8)에 공급되는 증기의 유량을 조절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재열기(14)와 중압 증기 터빈(10)을 접속하는 배관에는 스톱 밸브(22) 및 가감 밸브(24)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스톱 밸브(22) 및 가감 밸브(24)에 의해, 중압 증기 터빈(10)에 공급되는 증기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증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유압 구동 장치가 적용되는 증기 밸브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증기 밸브의 종단면 및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유압 구동 장치의 구성의 개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하는 증기 밸브(16)는, 증기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스톱 밸브(30)와, 증기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가감 밸브(40)가 조합하여 구성된 조합 증기 밸브이다.
증기 밸브(16)는, 케이스 본체(18)와 덮개부(19)를 포함하는 밸브 케이스(20)를 갖고, 스톱 밸브(30)의 밸브체(스톱 밸브 밸브체)(32)와, 가감 밸브의 밸브체(가감 밸브 밸브체)(42)는, 케이스 본체(18)와 덮개부(19)로 둘러싸여 형성되는 밸브실(23)에 수용된다. 또한, 도 2는 증기 밸브(16)를 구성하는 스톱 밸브(30) 및 가감 밸브(40)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밸브 케이스(20)에는, 주 증기 공급 배관(3)(도 1 참조)의 상류측에 연통하는 입구부(25)와, 하류측에 연통하는 출구부(26)가 형성된다. 주 증기 공급 배관(3)을 통해 보일러(2)로부터 공급되는 증기(부호 S로 나타냄)는, 입구부(25)를 통해 증기 밸브(16)로 유입되고, 출구부(26)를 통해 하류측의 예를 들어 증기 터빈(4)(도 1 참조)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스톱 밸브 밸브체(32) 및 가감 밸브 밸브체(42)는, 밸브실(23)의 내부에 있어서 입구부(25)와 출구부(26) 사이에 배치되어, 밸브 케이스(20)에 의해 형성되는 밸브 시트(28)에 맞닿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스톱 밸브(30) 또는 가감 밸브(40)가 개폐 구동됨으로써, 입구부(25)로부터 출구부(26)로의 증기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또는 증기의 유량을 조절하거나 하도록 되어 있다.
스톱 밸브(30)는, 스톱 밸브 밸브체(32)와, 스톱 밸브 밸브체(32)를 구동하기 위한 스톱 밸브 밸브 축(34)을 포함한다. 스톱 밸브 밸브 축(34)은, 밸브 케이스(20)의 덮개부(19)에 형성된 관통 구멍(17)을 통해 밸브 케이스(20)의 외부로 연장되어 있고, 밸브 케이스(20)의 외부에 있어서, 접속 부재(36)를 통해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52)를 포함하는 유압 구동 장치(50)와 접속된다.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52)에 의해 생성되는 구동력은, 스톱 밸브 밸브 축(34)을 통해 스톱 밸브 밸브체(32)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고, 스톱 밸브 밸브체(32)는 스톱 밸브 밸브 축(34)과 함께, 스톱 밸브 밸브 축(34)의 축방향을 따라 개폐 구동된다. 유압 구동 장치(50)를 사용하여 스톱 밸브(30)를 폐쇄함으로써, 입구부(25)로부터 출구부(26)로의 증기의 흐름이 차단된다. 스톱 밸브 밸브 축(34)은, 중공관 구조를 갖고, 중공부에 구술하는 가감 밸브 밸브 축(44)이 관통하도록 되어 있다.
스톱 밸브 밸브체(32)는, 원통 형상을 갖는 원통부(33)를 갖고 있어도 되고, 밸브실(23) 내에 있어서 원통부(33)의 외주측에 있어서 원통부(33)와 동일한 축을 갖도록 설치된 안내부(35)에 의해, 원통부(33)가 스톱 밸브 밸브 축(34)의 축방향으로 안내되어 스톱 밸브(30)가 개폐 구동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원통부(33)의 외주면에는 O링(31)이 설치되어, 원통부(33)와 안내부(35) 사이에서 증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안내부(35)는, 플랜지부(37)를 갖고, 플랜지부(37)에 있어서 볼트 등의 체결 부재에 의해 덮개부(19)에 고정되어도 된다.
가감 밸브(40)는, 가감 밸브 밸브체(42)와, 가감 밸브 밸브체(42)를 구동하기 위한 가감 밸브 밸브 축(44)을 포함한다. 가감 밸브 밸브 축(44)은, 스톱 밸브 밸브 축(34)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밸브 케이스(20)의 덮개부(19)에 형성된 관통 구멍(17) 및 스톱 밸브 밸브 축(34)의 중공부를 통해 밸브 케이스(20)의 외부로 연장되어 있어, 밸브 케이스(20)의 외부에 있어서, 유압 액추에이터(92)와 접속된다. 유압 액추에이터(92)에 의해 생성되는 구동력은, 가감 밸브 밸브 축(44)을 통해 가감 밸브 밸브체(42)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고, 가감 밸브 밸브체(42)는 가감 밸브 밸브 축(44)과 함께, 가감 밸브 밸브 축(44)의 축방향을 따라 개폐 구동된다. 유압 액추에이터(92)를 사용하여 가감 밸브(40)의 개방도를 조절함으로써, 그 개방도에 따른 유량의 증기가 증기 터빈(4)으로 유입되어, 증기 터빈을 구동한다. 가감 밸브(40)의 개방도를 증기 터빈(4)의 부하에 대응시켜 조정함으로써, 증기 터빈(4)에의 증기의 유입량이 제어된다.
가감 밸브 밸브체(42)는, 원통 형상을 갖는 원통부(43)를 갖고 있어도 되고, 밸브실(23) 내에 있어서 원통부(43)의 외주측에 있어서 원통부(43)와 동일한 축을 갖도록 설치된 안내부(45)에 의해, 원통부(43)가 가감 밸브 밸브 축(44)의 축방향으로 안내되어 가감 밸브(40)가 개폐 구동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원통부(43)의 외주면에는 O링(41)이 설치되어, 원통부(43)와 안내부(45) 사이로부터 증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에서는, 스톱 밸브 밸브체(32)의 원통부(33)가 가감 밸브(40)의 원통부(43)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45)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가감 밸브 밸브체(42)의 원통부(43)의 외주측에, 스톱 밸브 밸브체(32)의 원통부(33)와는 다른 안내부(45)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다음으로, 도 2∼도 8을 참조하여, 몇 가지의 실시 형태에 관한 유압 구동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증기 밸브 및 유압 구동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유압 액추에이터 및 외부 유압 회로의 구성의 개략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5∼도 8은 각각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유압 구동 장치의 구성의 개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증기 밸브용 유압 구동 장치는, 증기 밸브(16)의 스톱 밸브 밸브체(32)를 구동하기 위한 유압 구동 장치(50)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압 구동 장치(50)는, 복수(여기서는 3개)의 유압 액추에이터(52)를 구비한다. 후술하는 실린더나 피스톤 등의 유압 액추에이터(52)의 구성 요소는, 도 3에 도시하는 케이싱(51)에 수용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3 이외의 도면에 있어서는, 케이싱(51)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각 유압 액추에이터(52)의 출력축인 로드(54)의 각각은, 접속 부재(36)를 통해 스톱 밸브 밸브 축(34)에 접속된다. 각 유압 액추에이터(52)에서는 스톱 밸브 밸브체(32)에 전달하는 구동력이 생성되어, 생성된 구동력은, 각 로드(54)를 통해 출력되고, 접속 부재(36) 및 스톱 밸브 밸브 축(34)을 통해 스톱 밸브 밸브체(32)에 전달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톱 밸브 밸브체(32)를 구동하기 위한 유압 구동 장치(50)를 구성하는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52)는, 가감 밸브 밸브체(42)를 구동하기 위한 유압 액추에이터(92)의 주위에, 주위 형상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또한, 유압 액추에이터(92)의 구성 요소는, 케이싱(91)에 수용되어도 된다.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52)는, 후술하는 연통관을 통해 접속되지만,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 도 3에는 도시되지 않는다.
유압 구동 장치(50)가 구비하는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52)는, 후술하는 스로틀부(60)가 형성된 주 액추에이터(52A)와, 스로틀부(60)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부 액추에이터(52B)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 액추에이터(52A) 및 부 액추에이터(52B)를 포함하는 각 유압 액추에이터(52(52A, 52B))는 각각, 실린더(56)와, 실린더(56) 내를 왕복 운동 가능하게 구성된 피스톤(58)과, 로드(54)를 포함한다. 로드(54)의 일단은 피스톤(58)에 접속되고, 타단은 스톱 밸브 밸브 축(34)에 접속되어 있다. 실린더(56)와 피스톤(58)에 의해 획정되는 유압실(64)(주 액추에이터(52A)의 유압실(64A), 부 액추에이터(52B)의 유압실(64B))에는 압유가 공급되고, 압유의 압력에 따라서 피스톤(58)이 실린더(56) 내를 움직이도록 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58)의 외주면에는 O링(59)이 설치되어, 유압실 외부로 압유가 누출되지 않도록 밀봉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유압 액추에이터(52(52A, 52B))는 스프링(68)과, 로드(54)에 설치된 지지판(69)을 갖고, 스프링(68)이 지지판(69)과 실린더(56) 사이에서 지지됨과 함께, 스프링(68)의 가압력이 지지판(69) 및 실린더(56)에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유압 액추에이터(52(52A, 52B))에서는, 유압실(64(64A, 64B))의 내부에 압유가 공급되어, 유압실(64(64A, 64B))의 압력이 상승하면, 피스톤이 압유에 밀려, 밸브체로부터 이격되는 방향, 즉, 밸브 개방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유압실(64)로부터 압유가 배출되어 유압실(64(64A, 64B))의 압력이 저하되면, 피스톤은 밸브체를 향하는 방향, 즉, 밸브 폐쇄 방향으로 이동한다.
주 액추에이터(52A)의 유압실(64A)은, 유압실(64A)에 압유를 공급하기 위한 압유원(78)과, 유압실(64A)로부터 배출되는 압유가 저류되는 오일 탱크(74)를 포함하는 외부 유압 회로(80)에 접속된다. 압유원(78)은, 주 액추에이터(52A)의 유압실(64A)에 압유를 공급하여, 주 액추에이터(52A)의 피스톤(58)에 대해 스톱 밸브(30)의 밸브 개방 방향으로의 유압을 작용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주 액추에이터(52A)의 유압실(64)에 배출관(72)이 접속되어, 유압실(64A) 내의 압유를 배출관(72)을 통해 오일 탱크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주 액추에이터(52A)의 유압실(64A)과 접속되는 외부 유압 회로(8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압실(64A)에 압유를 공급하기 위한 압유원(78)과, 유압실(64A)로부터 배출되는 압유가 저류되는 오일 탱크(74)를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는, 외부 유압 회로(80)는 압력 제어 밸브(82)와, 위급 밸브(76)를 더 포함한다. 압력 제어 밸브(82)는, 유압실(64A)과 압유원(78)을 접속하는 공급 라인(75) 상이며, 또한 유압실(64A)과 오일 탱크(74)를 접속하는 배출 라인(73) 상인 위치에 배치된다. 위급 밸브(76)는, 배출 라인(73)에 있어서, 압력 제어 밸브(82)와 병렬로 배치된다.
스톱 밸브(30)를 개방 상태로 할 때에는, 압유원(78)으로부터 압력 제어 밸브(82)를 통해 유압실(64A)에 압유가 공급된다. 압유원(78)으로부터 유압실(64A)에 공급되는 압유는, 압력 제어 밸브(82)에 의해 그 압력이 제어되고, 제어된 압력에 따라서, 스톱 밸브(30)가 스톱 밸브 밸브 축(34)을 통해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스톱 밸브(30)를 폐쇄 상태로 하는 경우에는, 압유원(78)으로부터의 작동유에 의해 압력 제어 밸브(82)를 작동시켜, 압력 제어 밸브(82) 및 배출 라인(73)을 통해, 유압실(64A)로부터 오일 탱크(74)로 배출시킴으로써, 유압실(64A) 내의 압력을 감소시킨다.
일 실시 형태에서는, 외부 유압 회로(80)는, 압력 제어 밸브(82) 및 위급 밸브(76)에 접속되는 트립용 라인(84)을 갖는다. 증기 터빈(4)을 긴급 정지시키는 경우 등, 증기 터빈(4)의 트립 시에는, 압력 제어 밸브(82)의 파일럿 포트에 트립용 라인(84)으로부터 작동유가 공급된다. 이에 의해, 압력 제어 밸브(82)가 작동하여, 압력 제어 밸브(82)의 배출 라인(73)측의 포트를 통해 유압실(64A)의 압유가 오일 탱크(74)로 배출됨으로써, 유압실(64A) 내의 압력이 감소하여, 스톱 밸브(30)가 폐쇄된다. 또한, 증기 터빈(4)의 트립 시에는, 위급 밸브(76)의 파일럿 포트에 트립용 라인(84)으로부터 작동유가 공급된다. 이에 의해 위급 밸브(76)가 작동하여 밸브 개방 상태로 되고, 위급 밸브(76)를 통해 유압실(64A)의 압유가 오일 탱크(74)로 배출됨으로써, 유압실(64A) 내의 압력이 감소하여, 스톱 밸브(30)가 폐쇄된다. 압력 제어 밸브(82)가 고장 등에 의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라도, 상술한 바와 같은 위급 밸브(76)를 설치해 둠으로써, 트립 시에 확실하게 유압실(64A) 내의 압유를 오일 탱크(74)로 배출시켜, 스톱 밸브(30)를 밸브 폐쇄시킬 수 있다.
주 액추에이터(52A)에 있어서, 로드(54)는, 실린더(56)의 축방향을 따라 직경이 피스톤(58)에 근접함에 따라 커지는 원뿔대부(55)를 갖고 있다. 또한, 주 액추에이터(52A)에는, 실린더(56)의 내벽으로부터 실린더(56)의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플랜지부(6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로드(54)의 원뿔대부(55)와 플랜지부(62) 사이에 스로틀부(60)가 형성되어 있고, 피스톤(58)이 밸브 폐쇄 방향으로 이동하면, 원뿔대부(55)와 플랜지부(62)로 형성되는 스로틀부(60)의 유로의 개구 면적이 서서히 감소하도록 되어 있다. 즉, 스톱 밸브 밸브체(32)의 밸브 폐쇄 동작 중, 밸브체가 밸브 폐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따라서, 유로가 스로틀부에 의해 좁혀지므로, 압유의 흐름이 규제되어 유압실(64A)의 압력이 상승한다. 또한, 이 때의 압유의 흐름의 방향을, 도 4 중의 화살표로 나타낸다.
이와 같이, 스로틀부(60)에 의해, 피스톤(58)의 밸브 폐쇄 방향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유압실(64A) 내의 압유의 흐름이 규제됨으로써, 스톱 밸브 밸브체(32)의 밸브 폐쇄 동작 중에 있어서 스톱 밸브 밸브체(32)에 대해 제동력이 부여된다. 이에 의해, 스톱 밸브(30)가 폐쇄될 때에 폐쇄되는 개방도 부근(예를 들어, 개방도가 10∼20% 정도)에 있어서, 스톱 밸브 밸브체(32)의 속도를 느리게 하여, 밸브 시트(28)에 완만하게 착좌시킬 수 있다. 이러한 댐퍼 기능에 의해, 스톱 밸브 밸브체(32)와 밸브 시트(28)가 급속하게 충돌하여 부서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부 액추에이터(52B)는, 주 액추에이터(52A)와는 달리, 스로틀부(60)를 갖지 않는다. 그리고, 부 액추에이터의 유압실(64B)과 주 액추에이터(52A)의 유압실(64A)은, 연통관(70)에 의해 접속되어, 서로 연통하고 있다.
이 구성에서는, 주 액추에이터(52A)의 유압실(64A)에는 스로틀부(6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톱 밸브(30)의 밸브 폐쇄 동작 중에 있어서 피스톤(58)의 이동에 의해 주 액추에이터(52A)의 유압실(64A)의 압력이 상승한다. 이것에 수반하여, 주 액추에이터(62A)의 유압실(64A)에 연통하고 있는 부 액추에이터(52B)의 유압실(64B)의 압력도 상승한다. 이와 같이, 스톱 밸브(30)의 밸브 폐쇄 동작 중에 있어서 모든 유압 액추에이터(52)의 유압실(64)의 압력이 상승하므로, 밸브 폐쇄 동작 중에 스톱 밸브 밸브체(32)에 대해 제동력을 부여할 수 있다. 즉, 주 액추에이터(52A)의 유압실(64A)에 형성된 스로틀부(60)가, 모든 유압 액추에이터(52)의 유압실(64)에 댐퍼 기능을 불러오므로, 유압 구동 장치(50)의 구조를 간소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부 액추에이터(52B)의 유압실(64B)은 주 액추에이터(52A)의 유압실(64A)에 연통하고 있으므로, 정상 상태에 있어서 각 유압실(64(64A, 64B))의 압력은 동등하다. 이로 인해,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52(52A, 52B))에 있어서 균일한 제동력을 발현시켜, 이들 제동력을 하나의 스톱 밸브 밸브체(32)에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 실시 형태에서는, 부 액추에이터(52B)의 피스톤(58)은, 주 액추에이터(52A)의 유압실(64A)을 통해 압유원(78)에 의한 압유를 받도록 구성된다.
이 구성에서는, 주 액추에이터(52A)의 유압실(64A)에 압유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압유원(78)에 의해, 주 액추에이터(52A)의 유압실(64A)을 통해, 부 액추에이터(52B)의 유압실(64B)에도 압유가 공급된다. 따라서, 주 액추에이터(52A) 및 부 액추에이터(52B)를 포함하는 모든 유압 액추에이터(52)의 압유원을 공통화할 수 있어, 유압 구동 장치(50)의 구성이 간소한 것으로 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 액추에이터(52A)의 유압실(64A)은, 피스톤(58)에 면하는 제1 챔버(65)와, 스로틀부(60)를 통해 제1 챔버(65)에 연통하는 제2 챔버(66)를 포함하고, 제2 챔버(66)는 오일 탱크(74)를 포함하는 외부 유압 회로(80)에 접속된다. 그리고, 부 액추에이터(52B)의 유압실(64B)은, 주 액추에이터(52A)의 유압실(64A)의 제1 챔버(65)에 연통하고 있다.
주 액추에이터(52A)에 있어서, 스톱 밸브(30)의 밸브 폐쇄 동작 중에, 제1 챔버(65)와 제2 챔버(66) 사이의 스로틀부(60)에 의해 제1 챔버(65)로부터 제2 챔버(66)로의 작동유의 흐름이 교축됨으로써, 제1 챔버(65) 내의 압력이 상승하여 스톱 밸브 밸브체(32)에 제동력이 부여된다. 또한, 부 액추에이터(52B)의 유압실(64B)은, 주 액추에이터(52A)의 제1 챔버(65)에 연통하고 있으므로, 스톱 밸브(30)의 밸브 폐쇄 동작 중에 있어서, 부 액추에이터(52B)의 유압실(64B)의 압력은 주 액추에이터(52A)의 제1 챔버(65)의 압력 상승에 수반하여 증가한다. 따라서, 주 액추에이터(52A)의 유압실(64A)에 형성된 스로틀부(60)에 의해, 주 액추에이터(52A) 및 부 액추에이터(52B)를 포함하는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52)에 있어서 균일한 제동력을 발현시켜, 이들 제동력을 하나의 스톱 밸브 밸브체(32)에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몇 가지의 실시 형태에 관한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52)의 접속의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및 도 6, 및 도 7 및 도 8에는, 각각 동일 실시 형태에 관한 유압 구동 장치(50)의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52)의 접속 형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5 및 도 7은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52)를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이고, 도 6 및 도 8은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를 측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 액추에이터(52A)의 유압실(64A)과, 각 부 액추에이터(52B)(도 5 및 도 6에서는 2개의 부 액추에이터(52B))의 유압실(64B)은 연통관(70)을 통해 접속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주 액추에이터(52A)의 유압실(64A)의 제1 챔버(65)와, 각 부 액추에이터(52B)의 유압실(64B)은, 연통관(70)을 통해 접속된다.
이와 같이, 각 부 액추에이터(52B)의 유압실(64B)과 주 액추에이터(52A)의 유압실(64A)을 직접 연통관에 의해 접속함으로써, 각 부 액추에이터(52B)에 있어서, 주 액추에이터(52A)의 유압실(64A)의 압력의 변화에 따라서 즉시 압력이 변화된다. 따라서, 주 액추에이터(52A)의 유압실(64A)에 형성된 스로틀부(60)에 의해,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52(52A, 52B))에 있어서 균일한 제동력을 발현시켜, 이들 제동력을 하나의 스톱 밸브 밸브체(32)에 부여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부 액추에이터(52B)(도 7 및 도 8에 있어서는 2개의 부 액추에이터(52B))의 유압실(64B)이, 연통관(70)을 통해, 주 액추에이터(52A)의 유압실(64A)에 대해 직렬로 접속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2개 이상의 부 액추에이터(52B)의 유압실(64B)이, 주 액추에이터(52A)의 유압실(64A)에 대해 직렬로 접속된다. 즉,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 액추에이터(52B)의 수가 2개인 경우, 주 액추에이터(52A)의 유압실(64A)에는 1개의 부 액추에이터(52B)의 유압실(64B)이 접속된다. 그리고, 당해 부 액추에이터(52B)의 유압실(64B)에, 다른 하나의 부 액추에이터(52B)의 유압실(64B)이 접속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부 액추에이터(52B)의 유압실(64B)이, 주 액추에이터(52A)의 유압실(64A)에 대해 직렬로 접속되도록 함으로써, 서로의 거리가 가까운 유압 액추에이터(52(52A, 52B))끼리를 접속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유압 구동 장치(50)의 설치나 시공이 용이해진다.
일 실시 형태에서는, 주 액추에이터(52A)의 유압실(64A) 내의 압유를 오일 탱크(74)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72)의 직경은, 유압 액추에이터(52(52A, 52B))의 유압실(64(64A, 64B))끼리를 접속하는 연통관(70)보다 크다. 예를 들어, 배출관(72)의 직경은, 연통관(70)의 직경의 2배 이상이어도 된다.
배출관(72)의 직경이 연통관(70)의 직경 이하인 경우, 배출관(72)에 있어서의 압유의 유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어, 스톱 밸브 밸브체(32)의 밸브 폐쇄 시에 압유의 배출이 정체될 가능성이 있어, 신속한 밸브 폐쇄를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 점에서, 배출관(72)의 직경이 연통관(70)의 직경보다 크면, 각 유압 액추에이터(52(52A, 52B))의 유압실(64(64A, 64B))의 압유를, 배출관(72)을 통해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어, 스톱 밸브 밸브체(32)를 신속하게 밸브 폐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상술한 실시 형태에 변형을 가한 형태나, 이들 형태를 적절하게 조합한 형태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52)를 구비하는 유압 구동 장치(50)가 스톱 밸브(30)를 구동하는 경우의 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52)를 구비하는 유압 구동 장치(50)는 가감 밸브(40)를 구동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가감 밸브 밸브체(42)가 스톱 밸브 밸브체(32)의 외주측에 위치하여, 가감 밸브 밸브 축(44)이 접속 부재(36)를 통해 가는 수의 유압 액추에이터(52)에 접속됨과 함께, 스톱 밸브 밸브 축(34)이 가감 밸브 밸브 축(44)의 중공부를 통해 밸브 케이스(20)의 외부로 연장되어, 밸브 케이스(20)의 외부에 있어서, 유압 액추에이터(92)와 접속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어느 방향으로」, 「어느 방향을 따라」, 「평행」, 「직교」, 「중심」, 「동심」 혹은 「동축」 등의 상대적 혹은 절대적인 배치를 나타내는 표현은, 엄밀하게 그러한 배치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혹은 동일한 기능이 얻어지는 정도의 각도나 거리를 갖고 상대적으로 변위하고 있는 상태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동일」, 「동등하다」 및 「균질」 등의 사물이 동등한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표현은, 엄밀하게 동등한 상태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혹은 동일한 기능이 얻어지는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고 있는 상태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사각 형상이나 원통 형상 등의 형상을 나타내는 표현은, 기하학적으로 엄밀한 의미에서의 사각 형상이나 원통 형상 등의 형상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범위에서, 요철부나 모따기부 등을 포함하는 형상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한편, 하나의 구성 요소를 「구비한다」, 「포함한다」, 또는, 「갖는다」라고 하는 표현은, 다른 구성 요소의 존재를 제외하는 배타적인 표현은 아니다.
1 : 발전 시스템
2 : 보일러
3 : 주 증기 공급 배관
4 : 증기 터빈
6 : 발전기
8 : 고압 증기 터빈
10 : 중압 증기 터빈
12 : 저압 증기 터빈
14 : 재열기
16 : 증기 밸브
17 : 관통 구멍
18 : 케이스 본체
19 : 덮개부
20 : 밸브 케이스
22 : 스톱 밸브
23 : 밸브실
24 : 가감 밸브
25 : 입구부
26 : 출구부
28 : 밸브 시트
30 : 스톱 밸브
31 : O링
32 : 스톱 밸브 밸브체
33 : 원통부
34 : 스톱 밸브 밸브 축
35 : 안내부
36 : 접속 부재
37 : 플랜지부
40 : 가감 밸브
41 : O링
42 : 가감 밸브 밸브체
43 : 원통부
44 : 가감 밸브 밸브 축
45 : 안내부
50 : 유압 구동 장치
51 : 케이싱
52 : 유압 액추에이터
52A : 주 액추에이터
52B : 부 액추에이터
54 : 로드
55 : 원뿔대부
56 : 실린더
58 : 피스톤
59 : O링
60 : 스로틀부
62 : 플랜지부
62A : 주 액추에이터
64 : 유압실
64A : 유압실
64B : 유압실
65 : 제1 챔버
66 : 제2 챔버
68 : 스프링
69 : 지지판
70 : 연통관
72 : 배출관
73 : 배출 라인
74 : 오일 탱크
75 : 공급 라인
76 : 위급 밸브
78 : 압유원
80 : 외부 유압 회로
82 : 압력 제어 밸브
84 : 트립용 라인
91 : 케이싱
92 : 유압 액추에이터

Claims (8)

  1. 증기 밸브의 밸브체를 구동하기 위한 유압 구동 장치이며,
    상기 증기 밸브의 밸브 축을 통해 상기 밸브체에 전달하는 구동력을 생성하는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는, 각각,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를 왕복 운동 가능하게 구성된 피스톤과, 일단이 상기 피스톤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밸브 축에 접속된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 중 주 액추에이터는, 상기 밸브체의 밸브 폐쇄 동작 중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에 대해 제동력이 부여되도록, 상기 실린더와 상기 피스톤에 의해 획정되는 유압실 내의 압유의 흐름을 규제하기 위한 스로틀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 액추에이터 이외의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는, 상기 스로틀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부 액추에이터이고,
    상기 부 액추에이터의 상기 유압실은, 상기 주 액추에이터의 상기 유압실에 연통하고,
    상기 스로틀부는 상기 피스톤 및 상기 실린더에 의해 상기 로드 측에 형성된 상기 유압실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밸브용 유압 구동 장치.
  2. 증기 밸브의 밸브체를 구동하기 위한 유압 구동 장치이며,
    상기 증기 밸브의 밸브 축을 통해 상기 밸브체에 전달하는 구동력을 생성하는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는, 각각,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를 왕복 운동 가능하게 구성된 피스톤과, 일단이 상기 피스톤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밸브 축에 접속된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 중 주 액추에이터는, 상기 밸브체의 밸브 폐쇄 동작 중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에 대해 제동력이 부여되도록, 상기 실린더와 상기 피스톤에 의해 획정되는 유압실 내의 압유의 흐름을 규제하기 위한 스로틀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 액추에이터 이외의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는, 상기 스로틀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부 액추에이터이고,
    상기 부 액추에이터의 상기 유압실은, 상기 주 액추에이터의 상기 유압실에 연통하고,
    상기 주 액추에이터의 상기 유압실은,
    상기 피스톤에 면하는 제1 챔버와,
    상기 스로틀부를 통해 상기 제1 챔버에 연통함과 함께, 오일 탱크를 포함하는 외부 유압 회로에 접속되는 제2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 액추에이터의 상기 유압실은, 상기 주 액추에이터의 상기 유압실의 상기 제1 챔버에 연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밸브용 유압 구동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 액추에이터의 상기 유압실을, 각각, 상기 주 액추에이터의 상기 유압실에 접속하는 적어도 1개의 연통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밸브용 유압 구동 장치.
  4. 증기 밸브의 밸브체를 구동하기 위한 유압 구동 장치이며,
    상기 증기 밸브의 밸브 축을 통해 상기 밸브체에 전달하는 구동력을 생성하는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는, 각각,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를 왕복 운동 가능하게 구성된 피스톤과, 일단이 상기 피스톤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밸브 축에 접속된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 중 주 액추에이터는, 상기 밸브체의 밸브 폐쇄 동작 중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에 대해 제동력이 부여되도록, 상기 실린더와 상기 피스톤에 의해 획정되는 유압실 내의 압유의 흐름을 규제하기 위한 스로틀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 액추에이터 이외의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는, 상기 스로틀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부 액추에이터이고,
    상기 부 액추에이터의 상기 유압실은, 상기 주 액추에이터의 상기 유압실에 연통하고,
    2개 이상의 상기 부 액추에이터의 상기 유압실이, 상기 주 액추에이터의 상기 유압실에 대해 직렬로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밸브용 유압 구동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압 액추에이터의 상기 유압실끼리를 접속하는 적어도 1개의 연통관과,
    상기 주 액추에이터의 상기 유압실 내의 압유를 오일 탱크에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배출관의 직경은, 상기 연통관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밸브용 유압 구동 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액추에이터의 상기 유압실에 압유를 공급하고, 상기 피스톤에 대해 밸브 개방 방향으로의 유압을 작용시키도록 구성된 압유원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 액추에이터의 상기 피스톤은, 상기 주 액추에이터의 상기 유압실을 통해 상기 압유원에 의한 상기 압유를 받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밸브용 유압 구동 장치.
  7. 밸브실과,
    상기 밸브실 내에 설치되는 가감 밸브와,
    상기 밸브실 내에 설치되는 스톱 밸브를 구비하는 조합 증기 밸브이며,
    상기 스톱 밸브는,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압 구동 장치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증기 밸브.
  8. 제7항에 기재된 조합 증기 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터빈.
KR1020177003636A 2014-11-26 2015-11-24 증기 밸브용 유압 구동 장치, 조합 증기 밸브 및 증기 터빈 KR1019318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38523A JP6352781B2 (ja) 2014-11-26 2014-11-26 蒸気弁用の油圧駆動装置、組合せ蒸気弁及び蒸気タービン
JPJP-P-2014-238523 2014-11-26
PCT/JP2015/082917 WO2016084793A1 (ja) 2014-11-26 2015-11-24 蒸気弁用の油圧駆動装置、組合せ蒸気弁及び蒸気タービ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180A KR20170031180A (ko) 2017-03-20
KR101931891B1 true KR101931891B1 (ko) 2018-12-21

Family

ID=56074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3636A KR101931891B1 (ko) 2014-11-26 2015-11-24 증기 밸브용 유압 구동 장치, 조합 증기 밸브 및 증기 터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605116B2 (ko)
JP (1) JP6352781B2 (ko)
KR (1) KR101931891B1 (ko)
CN (1) CN106715923B (ko)
DE (1) DE112015003698B4 (ko)
WO (1) WO20160847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06407B2 (ja) 2015-11-12 2019-11-13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蒸気弁及び蒸気タービンシステム
JP6980378B2 (ja) 2016-12-20 2021-12-15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混合防止弁
JP7207999B2 (ja) * 2018-12-28 2023-01-1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蒸気弁、発電システム、及び蒸気弁の検査方法
CN109826887B (zh) * 2019-03-13 2020-08-28 郑州科技学院 制动器、液压机构及智能移动车辆
JP7227845B2 (ja) 2019-05-14 2023-02-22 株式会社東芝 蒸気弁駆動装置、蒸気弁装置および蒸気タービンプラント
JP7379184B2 (ja) * 2020-01-28 2023-11-14 三菱重工コンプレッサ株式会社 弁駆動装置及び蒸気タービンシステム
JP7449752B2 (ja) 2020-03-30 2024-03-14 ナブテスコ株式会社 応荷重弁及び鉄道車両
CN114673815B (zh) * 2022-03-24 2023-03-24 浙江大学 一种主蒸汽阀站加速泄压装置及超压保护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98073A1 (ja) * 2012-12-21 2014-06-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蒸気弁及び蒸気タービン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785226C3 (de) * 1968-08-28 1974-04-11 Gebr. Schell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7332 Eislingen Flache Kulierwirkmaschine, System Cotton, mit einer hydraulischen Dämpfungseinrichtung
JPS57199792A (en) * 1981-05-30 1982-12-07 Kayaba Industry Co Ltd Hydraulic safety device for elevator
EP0127027B1 (de) * 1983-05-30 1988-03-09 BBC Brown Boveri AG Elektrohydraulischer Stellantrieb für Turbinenventile
NL9200589A (nl) * 1992-03-30 1993-10-18 Meijer Sjoerd Hydraulische inrichting met gelijklopende vijzels.
JP3626230B2 (ja) 1994-12-15 2005-03-02 株式会社東芝 蒸気タービン弁と蒸気タービン弁の開度制御装置
JPH09280006A (ja) 1996-04-15 1997-10-28 Mitsubishi Heavy Ind Ltd 弁の急閉装置
DE59709519D1 (de) * 1996-09-26 2003-04-17 Siemens Ag Ventil einer turbine
JP2002097903A (ja) 2000-09-27 2002-04-05 Mitsubishi Heavy Ind Ltd 蒸気弁
US7356990B2 (en) 2005-08-29 2008-04-15 Woodward Governor Company Electro hydraulic actuator with spring energized accumulators
JP2010180973A (ja) 2009-02-06 2010-08-19 Ihi Corp 複数油圧シリンダの同期方法及び装置
CN201991879U (zh) 2011-04-20 2011-09-28 江苏技术师范学院 一种液压缸缓冲装置
CN202789850U (zh) 2012-09-11 2013-03-13 苏州同大机械有限公司 塑料制品成型机械用的缓冲油缸
CN102996563A (zh) 2012-12-07 2013-03-27 合肥长源液压股份有限公司 能实现同步运动的油缸组
JP6033404B2 (ja) * 2013-03-22 2016-11-30 三菱重工コンプレッサ株式会社 蒸気タービン
JP6222599B2 (ja) * 2013-08-30 2017-11-01 三菱重工コンプレッサ株式会社 調整弁駆動機構、蒸気タービン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98073A1 (ja) * 2012-12-21 2014-06-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蒸気弁及び蒸気タービ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5003698B4 (de) 2021-02-18
US10605116B2 (en) 2020-03-31
CN106715923A (zh) 2017-05-24
DE112015003698T5 (de) 2017-05-04
JP2016098969A (ja) 2016-05-30
KR20170031180A (ko) 2017-03-20
US20180216486A1 (en) 2018-08-02
JP6352781B2 (ja) 2018-07-04
WO2016084793A1 (ja) 2016-06-02
CN106715923B (zh) 2018-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1891B1 (ko) 증기 밸브용 유압 구동 장치, 조합 증기 밸브 및 증기 터빈
KR101915349B1 (ko) 증기밸브 및 증기터빈
JP5539900B2 (ja) スプール・バルブ用アクチュエータ
CN113700676B (zh) 一种自引气控制的燃气轮机压气机导叶调节驱动机构
US20170268659A1 (en) Hydraulic Control Device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CA272455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fluid flow
KR100928545B1 (ko) 하나 이상의 피스톤-실린더 장치들을 가진 공압 시스템
JP6951081B2 (ja) 蒸気弁及び蒸気タービン設備
JP5675640B2 (ja) 増圧器及びダイカスト装置
US10473128B2 (en) Actuating drive for a control valve, in particular steam turbine control valv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6223774B1 (en) Redundant regulation valve
US20120273067A1 (en) Valve arrangement
US20160333824A1 (en) Hydraulic control for a thrust reverser of a turbojet engine, including a variable-displacement machine
US20210293344A1 (en) Electromagnetic actuating device particularly for opening and closing a valve device, valve device having an actuating device of this kind, controllable vibration damper comprising an actuating device of this kind and motor vehicle having a vibration damper of this kind
EP2871371B1 (en) Switching unit, hydraulic machine and power generating apparatus
EP2873870B1 (en) Spool valve assembly, hydraulic machine and power generating apparatus
EP2778371B1 (en) Fuel system and respective method
US10422360B2 (en) Displacement control unit
CN112112992A (zh) 闸阀
CN216554613U (zh) 一种压气机导叶调节驱动机构
CN103502578B (zh) 具有一体化的预启设计的组合的蒸汽轮机阀
EP2333345A2 (en) System for controlling the thrust affecting a shaft
US20130269349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irculating a vented fuel to a fuel delivery system
JP2010209745A (ja) 内燃機関の電子制御式弁駆動装置
EP1074750A2 (en) Pressure fluid actuator with damping and speed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