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1196B1 - 전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전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1196B1
KR101931196B1 KR1020170057484A KR20170057484A KR101931196B1 KR 101931196 B1 KR101931196 B1 KR 101931196B1 KR 1020170057484 A KR1020170057484 A KR 1020170057484A KR 20170057484 A KR20170057484 A KR 20170057484A KR 101931196 B1 KR101931196 B1 KR 101931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indoor
bypass
ai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7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3367A (ko
Inventor
윤현석
Original Assignee
(주)유원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원기술 filed Critical (주)유원기술
Priority to KR1020170057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1196B1/ko
Publication of KR20180123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3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1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air supply to heat-exchangers or bypass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2012/007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 by-pass for bypassing the heat-excha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열교환기가 바이패스 구조 및 전체조립에 있어서 견고성이 높은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어 조립 및 설치 나아가 분리에 있어서 편리성과 안정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전열교환기에 있어서, 사이드커버(111b)에 지지물림결속구조로 각기 결합되는 실내덕트판(113a) 및 실외덕트판(113b), 상기 기본틀판(111) 상부에 이를 덮는 뚜껑(114)으로 구성된 제1케이스(110)와를 구성하고, 상기 제1케이스(110)의 하부에 결합되어 바이패스통로(410)를 형성하는 제2케이스(120)를 구성하고,제1케이스(110)의 실내배기구(312)에 배기송풍팬(331), 외기급기구(322)에 급기송풍팬(332), 상기 실내환기구(321)와 실내배기구(312) 바닥판(111a)에 관통형성된 바이패스입구(421)와 바이패스출구(422), 상기 바이패스입구(421)에 편심바이패스댐퍼(430), 상기 실내환기수용공간(115c)의 전열댐퍼판(441)에 중심전열댐퍼(442)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내부에 수용공간을 분할하는 소자가이드부(220)와 소자가이드부(220)에 의하여 중앙에 지지되어 마름모형상으로 장착되는 전열교환소자(210)를 구성하고, 외기히터(610)와 외기정전필터부를 구성하며,실내환기수용공간(115c) 또는 외기흡기수용공간(115a)에 내부에 발생하는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장치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로 분리된 구조를 가진 몸체로 인하여 실내와 실내공기의 온도차가 심하지 않은 경우 또는 필요에 따라 이루어지는 실내공기의 바이패스 유동시에 바이패스댐퍼와의 간섭 없이 안정적이고 명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바이패스의 설치 및 분리에 있어서 간편한 구조로 인한 편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바이패스통로를 외부로 따로 구성하게 되어 바이패스통로의 청소 및 정비가 쉬워지는 것이다. 또한, 케이스의 조립구조에 있어서 지지물림결속구조로 조립이 이루어지게 되어 내구성을 증가시키며 급기송풍팬과 배기송풍팬의 동작에 따른 전열동작과정에서 진동들을 감소키는 것이다. 또한 내부에 구성된 제습장치로 인하여 전열교환소자에서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온도차로 인하여 결로에 의한 곰팡이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열교환기{Heat Exchanger}
본 발명을 전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열교환기에 있어서, 제2케이스에 의하여 제1케이스와 분리된 바이패스통로를 형성하고, 독립적으로 바이패스통기와 전열통기가 이루어지게 하는 편심바이패스댐퍼와 중심전열댐퍼를 구성하여, 바이패스통기가 안정적이고 명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1케이스의 기본틀판의 사이드커버와 결속되는 실내덕트판과 실외덕트판이 지지물림결속구조에 의하여 결속되게 구성하여서 급기송풍팬과 배기송풍팬의 동작에 따른 전열동작과정에 제1케이스의 울림진동을 최소화하고 실내덕트판과 실외덕트판의 가조립에 의하여 조립성이 향상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습장치를 구성하여 전열과정에 습기 결로로 인한 곰팡이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열교환기는 실내에 신선한 외부 공기를 공급함에 있어 실내공기가 에너지를 유입되는 외부 공기로 전달하여서 외부 공기의 공급으로 인한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전열교환기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전열교환소자, 상기 케이스에 각기 형성되는 외기흡기구와 외기급기구, 실내환기구 및 실내배기구, 상기 외기급기구 측 수용공간에 구성되는 급기송풍팬, 상기 실내배기구 측 수용공간에 구성되는 배기송풍팬, 상기 급기송풍팬과 배기송풍팬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어하는 컨틀로러 및 사용자가 조작신호를 입력할 수 있게 한 리모컨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전열교환기는 사용자의 리모컨 조작에 따라 컨트롤러가 급기송풍팬과 배기송풍팬의 동작을 제어하여서 오염된 실내공기를 실외를 배출시키고 신선한 외부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면서 전열교환소자에 의하여 실내공기와의 간접 접촉에 의하여 실외공기의 온도를 조절하여 외부 공기의 공급으로 실내 온도의 변화를 최소화여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한편, 특허 제10-1117523-0000호에 의하여 공개된 바와 같이 전열교환기는 봄, 가을과 같이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가 심하지 않은 경우 실내공기를 전열교환소자를 통과시키지 않고 별도의 바이패스통로를 통하여 우회시켜서 실내배기구로 배출시킬 수 있게 적용하여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전열교환기는 봄, 가을과 같이 실내와 실내공기의 온도차가 심하지 않은 경우 이루어지는 실내공기의 바이패스 유동이 바이패스댐퍼와의 간섭으로 인한여 안정적이고 명확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구조가 복잡하게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바이패스통로가 장치내부에 함께 있게 되어 바이패스통로의 청소 및 정비에 있어서 장치를 모두 분리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전열교환기는 케이스 조립구조가 피스에 의하여 조립된 구조로 구성되어 내구성이 약하고 급기송풍팬과 배기송풍팬의 동작에 따른 전열동작과정에 울림진동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전열교환기는 전열교환소자에서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온도차로 인하여 결로에 의한 곰팡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10-1117523-0000 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전열교환기가 봄, 가을과 같이 실내와 실내공기의 온도차가 심하지 않은 경우 이루어지는 실내공기의 바이패스 유동이 바이패스댐퍼와의 간섭으로 인하여 안정적이고 명확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구조가 복잡하게 형성되는 문제점과 바이패스댐퍼가 장치내부에 함께 있어 통로의 청소 및 정비의 불편함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케이스 조립구조가 피스에 의하여 조립된 구조로 구성되어 내구성이 약하고 급기송풍팬과 배기송풍팬의 동작에 따른 전열동작과정에 울림진동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 및 전열교환소자에서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온도차로 인하여 결로에 의한 곰팡이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전열교환기에 있어서, 기본틀판의 좌우 사이드커버에 지지물림결속구조로 각기 결합되는 실내 및 실외덕트판, 상기 기본틀판 상부에 이를 덮는 뚜껑으로 구성된 제1케이스와를 구성하고, 상기 제1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어 바이패스통로를 형성하는 제2케이스를 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케이스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분할하는 4개의 소자가이드부와 소자가이드부에 의하여 중앙에 지지되어 마름모형상으로 장착되는 전열교환소자를 구성하고, 상기 실외덕트판 측에 외기흡기구 및 실내배기구를 구성하고, 상기 실내덕트판의 측에 실내환기구 및 외기급기구를 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케이스의 실내배기구 측 실내배기수용공간에 구성되는 배기송풍팬, 상기 제1케이스의 외기급기구 측 외기급기수용공간에 구성되는 급기송풍팬, 상기 실내환기구 측 실내환기수용공간의 제1케이스 바닥판에 관통형성된 바이패스입구, 상기 실내배기구 측 실내배기수용공간의 제1케이스 바닥판에 관통형성된 바이패스출구, 상기 바이패스입구에 개방시 유입된 공기를 바이패스통기되게 하는 편심바이패스댐퍼, 상기 실내환기수용공간의 전열댐퍼판에 구성되는 유입된 공기를 전열통기되게 하는 중심전열댐퍼, 상기 제1케이스의 일측에 컨트롤박스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지지물림결속구조는 실내덕트판 실외덕트판의 상단 덕트지지판의 양단에 덕트지지물림돌기와 덕트지지턱을 구성하고, 상기 사이드커버의 상단 사이드지지판 양단에 덕트지지턱을 지지하는 사이드지지홈, 덕트지지물림돌기를 삽입지지하는 사이드체결삽입홈을 구성하고, 상부 사이드커버 및 하부면 양단에 실내덕트판 실외덕트판의 외면을 지지하여 피스체결되는 사이드체결판과 하부체결판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제2케이스는 하부에 판상으로 형성되는 바이패스본판과 상기 바이패스본판의 테두리를 따라 직각으로 절곡형성한 바이패스사이드판, 상기 바이패스사이드판에서 내측으로 바이패스본판과 수평을 이루게 절곡형성된 케이스결속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제2케이스의 바이패스입구 측 바이패스본판에 바이패스사이드판을 통하여 서랍식으로 결합되는 서랍바이패스필터판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소자가이드부는 수직으로 세워진 판형의 분할판체, 상기 분할판체에 결합되는 바형의 소자가이드바, 상부에 회전동작으로 전열교환소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판형의 소자고정판으로 구성하고, 소자가이드바는 일측 모서리에 전열교환소자를 끼우는 소자가이드홈, 양모서리에 에어필터를 끼우는 필터결합홈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외기히터와 외기정전필터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실내환기수용공간 또는 외기흡기수용공간에 내부에 발생하는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장치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열교환기에 있어서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로 분리된 구조를 가진 몸체로 인하여 실내와 실내공기의 온도차가 심하지 않은 경우 또는 필요에 따라 이루어지는 실내공기의 바이패스 유동시에 바이패스댐퍼와의 간섭 없이 안정적이고 명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바이패스의 설치 및 분리에 있어서 간편한 구조로 인한 편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바이패스통로를 외부로 따로 구성하게 되어 바이패스통로의 청소 및 정비가 쉬워지는 것이다. 또한, 케이스의 조립구조에 있어서 지지물림결속구조로 조립이 이루어지게 되어 내구성을 증가시키며 급기송풍팬과 배기송풍팬의 동작에 따른 전열동작과정에서 진동들을 감소키는 것이다. 또한 내부에 구성된 제습장치로 인하여 전열교환소자에서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온도차로 인하여 결로에 의한 곰팡이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내부구조를 보인 상부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통로를 보이기 위한 하부면을 보인 분해하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통로를 개략적으로 보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필터와 전열교환소자를 분리한 내부 구조를 보인 분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의 구성을 보인 분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편심바이패스댐퍼와 중심전열댐퍼의 동작의 예를 보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급기차단댐퍼를 구비한 실시예를 보인 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물림결속구조를 보이는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케이스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자가이드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및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소자고정판의 동작의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외기히터를 구비한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14, 15 및 16은 본 발명에 따른 굽힘지지판을 갖는 다양한 예를 보인 예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콤프레셔를 갖는 제습장치를 실시한 예를 보인 예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교환장치를 갖는 제습장치를 실시한 예를 보인 예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서랍바이패스필터판을 실시한 예를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전열교환기가 바이패스 구조 및 전체조립에 있어서 견고성이 높은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어 조립 및 설치 나아가 분리에 있어서 편리성과 안정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전열교환기에 있어서, 전열교환을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바닥판(111a)을 갖는 ‘ㄷ’형으로 절곡형성한 기본틀판(111), 기본틀판(111)의 좌우 사이드커버(111b)에 지지물림결속구조로 각기 결합되는 실내덕트판((113a) 및 실외덕트판(113b), 상기 기본틀판(111) 상부에 이를 덮는 뚜껑(114)으로 구성된 제1케이스(110)와 상기 제1케이스(110)의 하부에 결합되어 바이패스통로(410)를 형성하는 제2케이스(120)를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케이스(1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4분할하는 4개의 소자가이드부(220)와 상기 소자가이드부(220)에 의하여 중앙에 지지되어 마름모형상으로 장착되는 전열교환소자(210)를 구성하고, 상기 실외덕트판(113b)의 관통된 2개의 실내덕트홀과 이에 연결된 에어파이프(230) 측에 구성되는 외기흡기구(311) 및 실내배기구(312)와 상기 실내덕트판(113a)의 관통된 2개의 실내덕트홀과 이에 연결된 에어파이프(230) 측에 구성되는 실내환기구(321) 및 외기급기구(322)를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소자가이드부(220)로 인하여 분할된 내부공간은 다음과 같다.
실외덕트판(113b) 방향은 실내공기가 장치내부로 들어가는 실내환기구(321) 측의 실내환기수용공간(115c), 장치내부로 흡기된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하는 외기급기구(322) 측의 외기급기수용공간(115d)으로 구성되고, 실내덕트판(113a) 방향은 실외공기를 장치내부로 흡기하는 외기흡기구(311) 측의 외기흡기수용공간(115a), 장치내부로 흡기된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기하는 실내배기구(312) 측 실내배기수용공간(115b)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케이스(110)의 실내배기구(312) 측 실내배기수용공간(115b)에 구성되는 배기송풍팬(331)을 구성하고, 상기 제1케이스(110)의 외기급기구(322) 측 외기급기수용공간(115d)에 구성되는 급기송풍팬(332)을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내환기구(321) 측 실내환기수용공간(115c)의 제1케이스(110) 바닥판(111a)에 관통형성된 바이패스입구(421)를 구성하고, 상기 실내배기구(312) 측 실내배기수용공간(115b)의 제1케이스(110) 바닥판(111a)에 관통형성된 바이패스출구(422)를 구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바이패스입구(421)에 개방시 실내환기구(321)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를 바이패스입구(421)로 유도하여 바이패스통기되게 하는 편심바이패스댐퍼(430)를 구비하고, 상기 실내환기수용공간(115c)에 사선으로 수직형성된 전열댐퍼판(441)에 구성되는 실내환기구(321)로 유입된 공기를 전열통기되게 하는 중심전열댐퍼(442)를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외기흡기구(311) 측 외기흡기수용공간(115a)에 열을 가하는 외기히터(610) 및 외기정전필터부를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케이스(110)의 일측에 사용자의 리모컨 조작에 따라 전열통기와 바이패스통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장치를 갖는 컨트롤박스(500)로 구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지지물림결속구조는
먼저, 실내덕트판(113a) 및 실외덕트판(113b)의 상단에 절곡형성한 덕트지지판(116), 상기 덕트지지판(116)의 양단에 절개형성한 덕트지지물림돌기(116a)와 상기 덕트지지물림돌기(116a)의 내측에 절개형성한 덕트지지턱(116b)을 구성하고,
그리고, 상기 사이드커버(111b)의 상단에 절곡형성한 사이드지지판(117), 상기 사이드지지판(117)의 양단에 절개형성하여 덕트지지턱(116b)을 지지하는 사이드지지홈(117a), 상기 사이드지지홈(117a)의 외측으로 단이지게 절개하여 덕트지지물림돌기(116a)를 삽입지지하는 사이드체결삽입홈(117b), 상부 사이드커버(111b)의 양단에 실내덕트판(113a) 및 실외덕트판(113b)의 외면을 지지하여 피스체결되는 사이드체결판(119a), 상기 하부면의 양단에 실내덕트판(113a) 및 실외덕트판(113b)의 외면을 지지하여 피스체결되는 하부체결판(119b)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케이스(120)는 하부에 판상으로 형성되는 바이패스본판(121)과 상기 바이패스본판(121)의 테두리를 따라 직각으로 절곡형성한 바이패스사이드판(122), 상기 바이패스사이드판(122)에서 내측으로 바이패스본판(121)과 수평을 이루게 절곡형성된 케이스결속부(123)로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열교환소자(210)는 전열교환이 이루어지는 몸체인 전열교환통기부(211), 모서리 감싸는 전열코너바(211a), 하부에 바닥부, 상부를 덮는 덮개부(212)와 덮개부(212)를 절개하여 만든 절개손잡이(212a)를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소자가이드부(220)는 내부를 분할하며 테두리를 따라 직각으로 절곡형성한 분할지지판(221a)을 갖는 수직으로 세워진 판형의 분할판체(221), 상기 분할판체(221) 상하 분할지지판(221a)이 돌출된 돌출지지판에 결합되는 바형의 소자가이드바(222), 상기 분할판체 상부에 일측이 축고정되어 회전동작으로 전열교환소자(210)의 이탈을 방지하는 판형의 소자고정판(223)으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소자가이드바(222)는 일측 모서리에 전열교환소자(210)를 끼우기 위해 수직한 두 개의 소자가이드판으로 형성된 소자가이드홈(222a) , 양모서리에 에어필터(213)를 끼우기 위해 상기 소자가이드홈(222a)과 평행하게 돌출된 필터가이드판으로 형성된 필터결합홈(222b)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케이스(110) 내부 안측 및 분할판체(221) 안측에 방열되는 내부방열패드를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외기흡기구(311), 실내배기구(312) 및 실내환기구(321)의 관형의 에어파이프(230) 안측에 역풍방지도어(230a)를 구성하고, 상기 외기급기구(322)의 급기송풍팬(332)과 실내덕트판(113a) 사이에 급기차단댐퍼(332a)를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내환기수용공간(115c) 및 외기흡기수용공간(115a)에 계절에 따라 발생하는 내부습기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제습장치를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상기 제습장치는 실내환기수용공간(115c)에 구성되는 실내환기열교환기(711), 외기흡입수용공간에 구성되는 외기흡기열교환기(712)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상기 제1케이스(110)의 일측에 실내온도에 따른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실내환기열교환기(711) 또는 외기흡기열교환기(712)에 열교환냉매를 공급하는 냉매공급수단으로 구성하고, 상기 냉매공급수단은 스위치밸브를 갖는 제습콤프레셔(721) 또는 열전소자와 그 양면에 열전냉매열교환구를 갖는 열전소자교환장치(722)를 선택적으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물림결속구조는 지지력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상기 서로 맞물리며 지지되는 덕트지지물림돌기(116a)의 모서리 또는 사이드체결삽입홈(117b) 모서리에 절곡형성한 굽힘돌기지지판을 선택적으로 구성하고,상기 서로 맞물리며 지지되는 덕트지지턱(116b)의 모서리 또는 사이드지지지홈 모서리에 절곡형성한 굽힘턱지지판을 선택적으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중심전열댐퍼(442)와 급기차단댐퍼(332a)의 면측에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케이스(120)의 바이패스입구(421) 측 바이패스본판(121)에 바이패스사이드판(122)을 통하여 서랍식으로 결합되는 서랍바이패스필터판(124)을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적용실시에 따른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상기한 바와 같이 내부 수용공간을 4분할하고 중심에 전열교환소자(210)를 마름모형상으로 구비하면,
먼저, 실내공기의 실외배출은 상기 배기송풍팬(331)이 가동되면 실내공기는 실내 -> 실내환기수용공간(115c) -> 전열교환소자(210) -> 실내배기수용공간(115b) -> 실외로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되며, 또한 실외공기의 실내유입은 실외공기는 실외 -> 외기흡기수용공간(115a) -> 전열교환소자(210) ->외기급기수용공간(115d) -> 실내로 이동하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과정의 전열교환소자(210)에서의 전열교환을 통한 전열교환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케이스(110)의 하부에 제2케이스(120)를 구성하고, 실내환기수용공간(115c)과 실내배기수용공간(115b) 바닥에 바이패스입구(421) 및 출구를 구성하고, 실내환기수용공간(115c)에 상기된 전열교환소자(210)로 유도하는 중심전열댐퍼(442)와 바이패스통로(410)로 유도하는 편심바이패스댐퍼(430)를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필요에 따라 전열교환이 없는 환기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1케이스(110)와 구별된 외부에 제2케이스(120)를 구성함으로서 바이패스의 청소 및 정비를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편심바이패스댐퍼(430)에 편심의 위치를 실내공기의 유입보다 멀리있는 쪽에 두어서 댐퍼판이 열릴시에 유입된 공기가 열린 댐퍼판에 부딪혀서 하부로 방향으로 꺾이도록 기류를 유도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바이패스통로(410)를 통한 배출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 급기차단댐퍼(332a)를 구비하여 실시하게되면 장치의 가동외에는 외부공기의 유입을 차단하여 오염공기 및 벌레 기타 오염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고, 또한 실내와 실외의 기압차이로 인한 원치 않는 실외공기의 유입을 예방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상기 외기흡기수용공간(115a)에 열을 가하는 외기히터(610) 및 외기정전필터부를 구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환기의 과정중에 발생하는 열의 손실을 외기히터(610)의 가열을 통해 보충하여 주며, 외부에서 유입되는 먼지를 외기정전필터부가 1차적으로 제거해주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지지물림결속구조는 실내덕트판(113a) 및 실외덕트판(113b)의 상단 덕트지지판(116)의 양단에 덕트지지물림돌기(116a)와 덕트지지턱(116b)을 구성하고, 상기 사이드커버(111b)의 상단 사이드지지판(117) 양단에 덕트지지턱(116b)을 지지하는 사이드지지홈(117a), 덕트지지물림돌기(116a)를 삽입지지하는 사이드체결삽입홈(117b)을 구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실내덕트판(113a) 및 실외덕트판(113b)이 사이드커버(111b)에 견고하게 지지결합하게 되어 장치의 결합시에 밀폐력 및 내구성이 크게 향상되며, 특히 맞물려 지지결합하여 급기송풍팬(332)과 배기송풍팬(331)의 동작에 따른 전열동작과정에서 진동들을 감소하는 것이다.
나아가, 서로 맞물리며 지지되는 덕트지지물림돌기(116a)의 모서리 또는 사이드체결삽입홈(117b) 모서리에 절곡형성한 굽힘돌기지지판을 선택적으로 구성하고, 서로 맞물리며 지지되는 덕트지지턱(116b)의 모서리 또는 사이드지지지홈 모서리에 절곡형성한 굽힘턱지지판을 선택적으로 구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상기 지지물림결속구조는 면과 면 또는 면과 모서리로 서로 지지하게 되어 지지력이 더욱 증가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부 사이드커버(111b) 및 하부면 양단에 실내덕트판(113a) 및 실외덕트판(113b)의 외면을 지지하여 피스체결되는 사이드체결판(119a)과 하부체결판(119b)을 구성하고, 상기 제2케이스(120)는 판상의 바이패스본판(121)과 바이패스사이드판(122), 케이스결속부(123)로 구성하여 실시하게되면 케이스의 결합 및 제작에 있어서 간편성과 견고성이 증가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전열교환소자(210)는 몸체인 전열교환통기부(211), 모서리 감싸는 전열코너바(211a), 하부에 바닥부, 상부를 덮는 덮개부(212)와 덮개부(212)를 절개하여 만든 절개손잡이(212a)를 구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전열교환통기부(211)를 통해 전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전열교환소자(210)의 탈부착시에 상기 절개손잡이(212a)를 필요에 따라 올려서 잡아 쉽게 탈부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소자가이드부(220)는 수직으로 세워진 판형의 분할판체(221), 상기 분할판체(221)의 돌출지지판에 결합되는 바형의 소자가이드바(222)를 구비하고, 상기 소자가이드바(222)는 일측 모서리에 소자가이드판으로 형성된 소자가이드홈(222a), 양모서리에 필터가이드판으로 형성된 필터결합홈(222b)을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소자가이드홈(222a)을 이용해 전열교환소자(210)를 가이드해 끼울수 있으며, 필터결합홈(222b)을 이용에 필요한 필터를 끼워서 공기를 걸러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소자가이드부(220) 상부에 일축 회전동작하는 판형의 소자고정판(223)으로 구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전열교환소자(210)와 필터의 결합후 회전시켜 그 위를 덮음으로서 전열교환소자(210)와 필터를 제 위치에 고정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실내환기수용공간(115c) 또는 외기흡기수용공간(115a)에 내부에 발생하는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장치를 선택적으로 구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장치내부의 수분발생으로 인한 곰팡이생성 및 세균증식의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중심전열댐퍼(442)와 급기차단댐퍼(332a)의 면측에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구성하여 실시하게되면 실내온도와 실외온도가 일치할 때 바이패스통로(410)를 이용한 1차적인 환기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실내환기수용공간(115c) 및 외기흡기수용공간(115a)에 계절에 따라 발생하는 내부습기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제습장치를 구성하고, 상기 제습장치는 실내환기수용공간(115c)에 구성되는 실내환기열교환기(711), 외기흡입수용공간(115a)에 구성되는 외기흡기열교환기(712)로 구성하고, 이에 열교환냉매를 공급하는 냉매공급수단을 구성하여 실시하게 되면은 실내보다 실외가 온도가 높은 여름과 같은 경우 실내환기수용공간의 실내환기열교환기(711)가 가동하며, 실내보다 실외의 온도가 낮은 겨울과 같은 경우 외기흡기수용공간의 외기흡기열교환기(712)가 가동하여 전열교환소자(210)를 통과하는 공기에 있는 수분을 미리제거하여 전열교환소자(210)에 결로형상을 예방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스(120)의 바이패스입구(421) 측 바이패스본판(121)에 바이패스사이드판(122)을 통하여 서랍식으로 결합되는 서랍바이패스필터판(124)을 구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바이패스통로(410)에 고인 오염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110: 제1케이스
111: 기본틀판 111a: 바닥판 111b: 사이드커버
113a: 실내덕트판 113b: 실외덕트판 114: 뚜껑
(수용공간)
115a:외기흡기수용공간 115b:실내배기수용공간
115c:실내환기수용공간 115d:외기급기수용공간
(지지물림결속구조)
116: 덕트지지판 116a: 덕트지지물림돌기 116b: 덕트지지턱
117: 사이드지지판 117a: 사이드지지홈 117b: 사이드체결삽입홈
118:굽힘지지판
119a: 사이드체결판 119b: 하부체결판
120: 제2케이스
121: 바이패스본판 122: 바이패스사이드판
123: 케이스결속부 124: 서랍바이패스필터판
210: 전열교환소자
211: 전열교환통기부 211a: 전열코너바 212: 덮개부
212a: 절개손잡이 213: 에어필터
220: 소자가이드부
221: 분할판체 221a:분할지지판
222: 소자가이드바
222a: 소자가이드홈 222b: 필터결합홈 223: 소자고정판
230: 에어파이프 230a: 역풍방지도어
311 : 외기흡기구 312 : 실내배기구
321 : 실내환기구 322 : 외기급기구
331 : 배기송풍팬 332 : 급기송풍 332a: 급기차단댐퍼
410 : 바이패스통로 421 : 바이패스입 422 : 바이패스출구
430 : 편심바이패스댐퍼 441 : 전열댐퍼판 442 : 중심전열댐퍼
500 : 컨트롤박스(500) 610 : 외기히터
(제습장치)
711 : 실내환기열교환기 712 : 외기흡기열교환기
721 : 제습콤프레셔 722 : 열전소자교환장치

Claims (5)

  1. 전열교환기에 있어서,
    전열교환을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바닥판(111a)을 갖는 ‘ㄷ’형으로 절곡형성한 기본틀판(111), 기본틀판(111)의 좌우 사이드커버(111b)에 지지물림결속구조로 각기 결합되는 실내덕트판(113a) 및 실외덕트판(113b), 상기 기본틀판(111) 상부에 이를 덮는 뚜껑(114)으로 구성된 제1케이스(110)와; 상기 제1케이스(110)의 하부에 결합되어 바이패스통로(410)를 형성하는 제2케이스(120);

    상기 제1케이스(110)에 내부에 수용공간을 4분할하는 4개의 소자가이드부(220)와 상기 소자가이드부(220)에 의하여 중앙에 지지되어 마름모형상으로 장착되는 전열교환소자(210);
    상기 실외덕트판(113b)의 관통된 2개의 실내덕트홀과 이에 연결된 에어파이프(230) 측에 구성되는 외기흡기구(311) 및 실내배기구(312); 상기 실내덕트판(113a)의 관통된 2개의 실내덕트홀과 이에 연결된 에어파이프(230) 측에 구성되는 실내환기구(321) 및 외기급기구(322);

    상기 제1케이스(110)의 실내배기구(312) 측 실내배기수용공간(115b)에 구성되는 배기송풍팬(331); 상기 제1케이스(110)의 외기급기구(322) 측 외기급기수용공간(115d)에 구성되는 급기송풍팬(332);

    상기 실내환기구(321) 측 실내환기수용공간(115c)의 제1케이스(110) 바닥판(111a)에 관통형성된 바이패스입구(421); 상기 실내배기구(312) 측 실내배기수용공간(115b)의 제1케이스(110) 바닥판(111a)에 관통형성된 바이패스출구(422);

    상기 바이패스입구(421)에 개방시 실내환기구(321)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를 바이패스입구(421)로 유도하여 바이패스통기되게 하는 편심바이패스댐퍼(430); 상기 실내환기수용공간(115c)에 사선으로 수직형성된 전열댐퍼판(441)에 구성되는 실내환기구(321)로 유입된 공기를 전열통기되게 하는 중심전열댐퍼(442) 및;

    상기 제1케이스(110)의 일측에 사용자의 리모컨 조작에 따라 전열통기와 바이패스통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장치를 갖는 컨트롤박스(500)로 구성하고,

    상기 지지물림결속구조는
    실내덕트판(113a) 및 실외덕트판(113b)의 상단에 절곡형성한 덕트지지판(116), 상기 덕트지지판(116)의 양단에 절개형성한 덕트지지물림돌기(116a)와 상기 덕트지지물림돌기(116a)의 내측에 절개형성한 덕트지지턱(116b);

    상기 사이드커버(111b)의 상단에 절곡형성한 사이드지지판(117), 상기 사이드지지판(117)의 양단에 절개형성하여 덕트지지턱(116b)을 지지하는 사이드지지홈(117a), 상기 사이드지지홈(117a)의 외측으로 단이지게 절개하여 덕트지지물림돌기(116a)를 삽입지지하는 사이드체결삽입홈(117b), 상부 사이드커버(111b)의 양단에 실내덕트판(113a) 및 실외덕트판(113b)의 외면을 지지하여 피스체결되는 사이드체결판(119a), ; 하부면의 양단에 실내덕트판(113a) 및 실외덕트판(113b)의 외면을 지지하여 피스체결되는 하부체결판(119b)으로 구성하고,

    상기 제2케이스(120)는 하부에 판상으로 형성되는 바이패스본판(121)과 상기 바이패스본판(121)의 테두리를 따라 직각으로 절곡형성한 바이패스사이드판(122), 상기 바이패스사이드판(122)에서 내측으로 바이패스본판(121)과 수평을 이루게 절곡형성된 케이스결속부(123)로 구성하며;

    상기 전열교환소자(210)는 전열교환이 이루어지는 몸체인 전열교환통기부(211), 모서리 감싸는 전열코너바(211a), 하부에 바닥부, 상부를 덮는 덮개부(212)와 덮개부(212)를 절개하여 만든 절개손잡이(212a)를 구성하고,

    상기 소자가이드부(220)는 내부를 분할하며 테두리를 따라 직각으로 절곡형성한 분할지지판(221a)을 갖는 수직으로 세워진 판형의 분할판체(221), 상기 분할판체(221)의 상하 분할지지판(221a)이 돌출된 돌출지지판에 결합되는 바형의 소자가이드바(222), 상기 분할판체 상부에 일측이 축고정되어 회전동작으로 전열교환소자(210) 및 에어필터(213)의 이탈을 방지하는 판형의 소자고정판(223)으로 구성하고,

    상기 소자가이드바(222)는 일측 모서리에 전열교환소자(210)를 끼우기 위해 수직한 두 개의 소자가이드판으로 형성된 소자가이드홈(222a) , 양모서리에 에어필터(213)를 끼우기 위해 상기 소자가이드홈(222a)과 평행하게 돌출된 필터가이드판으로 형성된 필터결합홈(222b) 구성하고,

    상기 외기흡기구(311) 측 외기흡기수용공간(115a)에 열을 가하는 외기히터(610) 및 외기정전필터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1케이스(110) 내부 안측 및 분할판체(221) 안측에 방열되는 내부방열패드를 구성하고,

    상기 외기흡기구(311), 실내배기구(312) 및 실내환기구(321)의 관형의 에어파이프(230) 안측에 역풍방지도어(230a)를 구성하고, 상기 외기급기구(322)의 급기송풍팬(332)과 실내덕트판(113a) 사이에 급기차단댐퍼(332a)를 구성하며;

    상기 실내환기수용공간(115c) 및 외기흡기수용공간(115a)에 내부습기를 제거하는 제습장치를 구성하고,

    상기 제습장치는 실내환기수용공간(115c)에 구성되는 실내환기열교환기(711), 외기흡입수용공간에 구성되는 외기흡기열교환기(712)로 구성하고,

    상기 제1케이스(110)의 일측에 실내온도에 따른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실내환기열교환기(711) 또는 외기흡기열교환기(712)에 열교환냉매를 공급하는 냉매공급수단으로 구성하고,

    상기 냉매공급수단은 스위치밸브를 갖는 제습콤프레셔(721) 또는 열전소자와 그 양면에 열전냉매열교환구를 갖는 열전소자교환장치(722)를 선택적으로 구성하며;
    상기 지지물림결속구조의
    상기 서로 맞물리며 지지되는 덕트지지물림돌기(116a)의 모서리 또는 사이드체결삽입홈(117b) 모서리에 절곡형성한 굽힘지지판(118)을 선택적으로 구성하고,

    상기 중심전열댐퍼(442)와 급기차단댐퍼(332a)의 면측에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구성하고,

    상기 제2케이스(120)의 바이패스입구(421) 측 바이패스본판(121)에 바이패스사이드판(122)을 통하여 서랍식으로 결합되는 서랍바이패스필터판(124)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교환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057484A 2017-05-08 2017-05-08 전열교환기 KR101931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484A KR101931196B1 (ko) 2017-05-08 2017-05-08 전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484A KR101931196B1 (ko) 2017-05-08 2017-05-08 전열교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3367A KR20180123367A (ko) 2018-11-16
KR101931196B1 true KR101931196B1 (ko) 2019-03-13

Family

ID=64565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7484A KR101931196B1 (ko) 2017-05-08 2017-05-08 전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11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9445A (ko) 2020-12-21 2022-06-28 주식회사 다온에이치씨 제습 기능을 갖는 전열교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9989B1 (ko) * 2019-04-04 2019-11-18 주식회사 티엠아이 냉온풍 키트
KR102636812B1 (ko) * 2019-06-20 2024-02-15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환기장치
KR102452634B1 (ko) * 2020-07-23 2022-11-10 주식회사 제이알이엔지 냉온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
KR102211840B1 (ko) * 2020-09-11 2021-02-03 주식회사 제이알이엔지 냉온 장치를 제어하는 시스템
KR102317245B1 (ko) * 2021-01-12 2021-10-26 오충록 원통형 광촉매 장치가 구비된 전열교환기
KR102418895B1 (ko) * 2021-02-10 2022-07-07 김재환 실내공기 환기 장치용 공기 가열 기구
KR102460287B1 (ko) 2021-03-29 2022-10-31 주식회사 제일테크 소형환기장치
KR102598340B1 (ko) * 2021-06-18 2023-11-06 주식회사 티젠 무덕트 외기순환형 공기청정기
KR102631034B1 (ko) * 2022-01-07 2024-01-30 주식회사 에어엔 열교환기능을 갖는 공기순환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368B1 (ko) * 2007-11-21 2008-04-22 민찬기 환기유니트의 열교환소자용 고정구
KR101117523B1 (ko) * 2010-08-31 2012-03-09 은성화학(주) 전열교환기
KR101280661B1 (ko) * 2013-01-24 2013-07-05 (주)새한공조 하이브리드 공조 방식을 갖는 실내기, 그리고 이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공조 시스템
KR101513650B1 (ko) * 2014-09-12 2015-04-21 은성화학(주) 결로방지와 화재연동이 가능한 열회수형 환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578528B1 (ko) * 2015-07-31 2015-12-18 은성화학(주) 바이패스 유로를 별도로 구비한 열회수 환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4125U (ko) * 2009-10-20 2011-04-27 최동식 공조환기장치의 전열교환 엘리먼트용 케이스
KR101658644B1 (ko) * 2014-06-25 2016-09-22 강광옥 바이패스터널을 구비한 전열교환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368B1 (ko) * 2007-11-21 2008-04-22 민찬기 환기유니트의 열교환소자용 고정구
KR101117523B1 (ko) * 2010-08-31 2012-03-09 은성화학(주) 전열교환기
KR101280661B1 (ko) * 2013-01-24 2013-07-05 (주)새한공조 하이브리드 공조 방식을 갖는 실내기, 그리고 이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공조 시스템
KR101513650B1 (ko) * 2014-09-12 2015-04-21 은성화학(주) 결로방지와 화재연동이 가능한 열회수형 환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578528B1 (ko) * 2015-07-31 2015-12-18 은성화학(주) 바이패스 유로를 별도로 구비한 열회수 환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9445A (ko) 2020-12-21 2022-06-28 주식회사 다온에이치씨 제습 기능을 갖는 전열교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3367A (ko) 201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1196B1 (ko) 전열교환기
RU2688382C1 (ru) Кондиционер
EP3056826B1 (en) Dehumidifier
CN105992917B (zh) 空调的室外单元
KR102106702B1 (ko) 전열교환기
CN111219796B (zh) 包括热电模块的空气净化器
KR101852800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JP2013520223A (ja) 温熱機能を有するスプリングタイプマットレス
KR20150067918A (ko) 제습기
CN107588458A (zh) 立式空调室内机
KR102434462B1 (ko) 창문형 열교환 환기장치
KR101581198B1 (ko) 바이패스 유닛을 구비하는 전열교환장치
CN106949586B (zh) 一种无水加湿装置及空调器
JP6113989B2 (ja) 室外機
CN219494376U (zh) 一种显热换热器的安装结构以及变频除湿机
KR20190064053A (ko) 온풍기 겸용 환풍기
CN219367810U (zh) 壁挂式空调室内机
KR20150133549A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WO2023134645A1 (zh) 一种过滤支架、线屑过滤装置及衣物处理装置
JP5790615B2 (ja) 室外機
KR102165466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4812852B2 (ja) 給湯室外機及び給湯空気調和機
JP4544410B2 (ja) 空気調和機
KR100296794B1 (ko) 공기조화기
KR100484936B1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