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1114B1 -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1114B1
KR101931114B1 KR1020120156955A KR20120156955A KR101931114B1 KR 101931114 B1 KR101931114 B1 KR 101931114B1 KR 1020120156955 A KR1020120156955 A KR 1020120156955A KR 20120156955 A KR20120156955 A KR 20120156955A KR 101931114 B1 KR101931114 B1 KR 101931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polyethylene terephthalate
flame retardant
res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6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6442A (ko
Inventor
노다지
이관희
Original Assignee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6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1114B1/ko
Publication of KR20140086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6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1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2Halogenated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esters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수지 9 내지 40중량부; 할로겐계 난연제 15 내지 40 중량부; 안료분산제 0.5 내지 3 중량부; 및 Benzoate계 가교제 1 내지 7 중량부를 포함하여, 본 발명은 우수한 방사성, 촉감 및 난연성을 갖는 가발모에 적용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Polyester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난연 가발모용으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발모용 플라스틱 수지를 제조하는 재료로는 궁극적으로 외관, 감촉 등에서 인모와 유사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인모와 유사한 색상, 컬(Curl) 특성, , 및 난연성을 지녀야 한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요건뿐 아니라 내열성도 요구된다.
한편, 현재까지 가발모용은 크게 두가지로 나뉜다. 자체 난연이 되지 않는 일반 가발사와 자체 난연이 되는 난연가발사 또는 고열사로 나뉘어지고 있다. 일반가발사로 사용되는 수지에는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및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이 있으며 난연가발사로 사용되는 수지에는 PVC, 모다크릴(modacryl)과 최근에 개발된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난연기능이 첨가된 난연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이 있는데, 이 중 PVC와 모다크릴(modacryl)은 분자 구조상 Cl기를 포함하며, 난연 폴리에스테르 수지에는 Br기를 포함하며, 자기소화성에 의한 난연성이 있다.
한편,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제조된 가발모용 수지는 높은 유리전이온도에 의한 우수한 컬(Curl) 특성과 탄성율을 나타내고, 색상 및 광택성이 양호하며, 내열성이 높아 열고찰 후 Curl이 용이하다는 장점 때문에, 다른 가발모용 수지보다 우수한 소재로 평가받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높은 탄성율로 인해 촉감이 나쁘고, 염색이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또한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난연제와 혼용하는 경우, 방사성이 떨어지고, 촉감이 더욱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가발원사의 제조와 관련된 종래의 기술개발 동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본특허 특개 2003-0064622호 및 일본특허 특개 제 2005-76147호에는 반응형 인계 난연제를 공중합시킨 열가소성 공중합 폴리알킬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가발원사를 제조하는 방법이 있지만, 이 방법 역시 가발원사가 요구하는 난연성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인 원자량을 환산하여 5-10중량%의 난연제를 첨가하는데 이 경우 난연성은 개선되지만 섬유 형성이 어렵게 되어 실용적인 방법이라 할 수 없다.
가장 실용적인 방법으로 제안된 방법으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혹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난연화하는 방법으로 고분자형 브롬화 에폭시 혹은 페녹시 난연제를 첨가하는 방법이 일본특개소 60-71713호, 소59-129253호, 소 59-149954호, 소 58-101145호에 공지되어 있다. 이들 특허에서는 난연제로 브롬화비스페놀A 디글리시딜에테르와 브롬화비스페놀A를 주성분으로 하여 중합한 반응 생성물을 용융 혼련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으로 난연 폴리에스테르 가발원사를 제조하는 경우 방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열분해 탄화물 발생이 증가하여 노즐 홀이 막히거나 용융수지가 토출되는 노즐 홀 주변에 열분해 탄화물이 쌓이게 되어 곡사 현상으로 인한 사절이 발생하여 연속적인 생산이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 방법의 가발모는 열을 주어 setting을 한 후 시간에 지남에 따라 가발모의 Curl의 형태가 처지게되는 Curl 특성이 저하되는 경향을 띤다. 또한 가발모에 열을 주어 setting 할 시 Curl을 형성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어 생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우수한 내열성을 유지하면서도, 가발모로 제조시 난연성 및 Curl 특성이 우수하게 나타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은 바람직한 제1 구현예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수지 9 내지 40중량부; 할로겐계 난연제 15 내지 40 중량부; 안료분산제 0.5 내지 3 중량부; 및 Benzoate계 가교제 1 내지 7 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수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Dicarbo methoxy benzene sulfonate, SiO2, DMT(Dimethyl terephthalate) 및 TPA(Terephthalate Acid) 중 선택된 1종이 공중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할로겐계 난연제는 브롬화 난연제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안료분산제는 탈크(talc), 유기핵제, 왁스(Wax)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의한 Benzoate계 가교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2109273740-pat00001
여기서, R은 탄소수 1~10의 알킬렌기이고, n은 1~5의 정수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발모용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우수한 Curl 특성 및 내열성을 가발모용 원사의 제조에 관한 산업 분야에 유용하게 응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수지 9 내지 40 중량부; 할로겐계 난연제 15 내지 30 중량부; 안료분산제 0.5 내지 3 중량부; 및 Benzoate계 가교제를 1 내지 7 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가발모용 수지 조성물의 준비에 통상 사용되는 것이면 그 구성의 한정 없이 선택될 수 있으나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방사성 및 최종 제조되는 가발모용 원사의 촉감 등을 고려하여 고유점도가 0.5 내지 1.2 dl/g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고유 점도가 0.5 미만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면 가발사가 끊기고 줄줄 흘러 내리는 등 방사가 되지 않으며 고유 점도가 1.2 초과의 폴레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사용시에는 가발사 가닥 가닥 흙날리는 형태가 아니라 뭉텅이로 뭉쳐져 있어 가발사로써의 기능을 하기 힘들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수지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수지는 유연성 및 촉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수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Dicarbo methoxy benzene sulfonate, SiO2, DMT(Dimethyl terephthalate) 및 TPA(Terephthalate Acid) 중 선택된 1종이 공중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수지는 그 함량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9 내지 40 중량부일 수 있으며, 9 중량부 미만이면 유연성 및 촉감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고, 40 중량부 초과이면 내열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수지는 최종적으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방사성 및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가발모용 원사의 유연성 및 촉감을 고려하여 바람직하게는 이소프탈산를 함유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수지일 수 있다.
상기 이소프탈산을 함유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수지는, 예를 들어, 화학식 2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2109273740-pat00002
여기서, R2과 R6 은 각각 탄소수 하나 이상의 카르복실기이고, R1, R3, R4 및 R5 은 각각 수소 또는 탄소수 하나 이상의 알킬기이다.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수지는 가발모용 원사의 방사성 및 촉감 등을 고려하여 고유점도가 0.5 내지 1.0 dl/g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수지는 고유 점도가 0.5 미만일시 가발사가 끊기고 줄줄 흘러 내리는 등 방사가 되지 않으며 고유 점도가 1.0 초과일시 가발사의 촉감이 뻣뻣한 단점이 있다.
할로겐계 난연제
본 발명의 할로겐계 난연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이 난연 특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하며, 그 함량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15 내지 40 중량부일 수 있으며, 그 함량이 15 중량부 미만이면 충분한 정도의 난연성을 나타내기 어렵고, 40 중량부 초과로 첨가하는 경우 방사성이 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할로겐계 난연제는 할로겐의 함량이 할로겐계 난연제 총함량에 대해 50 내지 80 중량%인 것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할로겐 함량을 갖는 할로겐계 난연제를 사용하는 경우,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충분한 정도의 난연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가발모용 원사로 사용되기에 최적화된 촉감, 유연성 및 방사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할로겐의 함량이 총 난연제 함량에 대해 50 내지 75중량%인 할로겐계 난연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할로겐계 난연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방사성 및 최종 제조되는 가발모용 원사의 촉감을 고려하여 브롬화 난연제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할로겐계 난연제일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12109273740-pat00003
여기서, R은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이고, X1, X2, X3 및 X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브롬기이며, X1, X2, X3 및 X4 중 적어도 하나는 브롬기이다.
구체적인 일 예로서, 할로겐계 난연제는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브롬화 에폭시계 난연제일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112012109273740-pat00004
여기서, R은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이고, n은 4~10의 정수이다.
상기와 같은 화학식 3 또는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브롬화 난연제를 전술한 바와 같은 중량비율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첨가하는 경우, 가발모용으로 사용되기에 적합한 정도의 난연성을 나타낼 수 있음과 동시에, 가발모용 원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정도의 우수한 촉감, 컬감, 및 색감 등을 나타내고, 또한 우수한 유연성, 강도를 나타낼 수 있다.
안료 분산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안료분산제는 가발모용 수지 조성물 내에 포함되는 안료들의 분산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하며,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방사성을 떨어뜨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5 내지 3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안료분산제의 함량이 0.5 중량부 미만이면, 안료분산제 첨가에 따른 안료들의 분산효과가 미미하게 나타나며, 3 중량부를 초과하면 수지 조성물의 방사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안료분산제는 탈크(talc), 유기 핵제, 왁스(WAX)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용이하게 입수 가능한 안료분산제라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Benzoate계 가교제
본 발명의 Benzoate계 가교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열적 특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폴리에스테르 수지 사슬에 Bulk한 Benzoate가 가교제로서 투입되어 이를 방해하여 DSC상의 열적 Peak 형태를 변화시킨다. 이 때 변경된 열적 Peak 형태가 가발사상의 Curl을 형성시키는 온도 (220℃) 보다 높은 영역에 Tm Peak 를 존재하게 하며 이로 인하여 가발사가 un-melting 된 상태에서 Curl을 형성하여 Curl 형성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1 내지 7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Benzoate계 가교제의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이면 효과가 미미하며, 7 중량부 이상일때는 가공시 가교제가 migration 되어 생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분자량에 따라서도 효과가 달라진다. 분자량이 300내지 3000사이에서 curl 특성을 향상시키며 분자량이 300 이하인 경우는 압출시 가교제가 migration되며, 3000이상일 경우에는 curl 특성의 효과가 오히려 반감된다. 구체적으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Bezoate계 가교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용이하게 입수 가능한 가교제라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1
Figure 112012109273740-pat00005
여기서, R은 탄소수 1~10개 이하의 알킬기이고, n은 1~5 인 정수이다.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Bezoate계 가교제 분자량은 300~3000일 수 있으며, 분자량이 300내지 3000사이에서 curl 특성을 향상시키며 분자량이 300 이하인 경우는 압출시 가교제가 migration되며, 3000이상 일 시에는 curl 특성의 효과가 오히려 반감된다.
기타 첨가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열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열안정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열안정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내에서 산화 방지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열안정제로는 하이드록시 페닐계 화합물, 힌더드 아민 화합물, 황계 화합물 및 인계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통상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내에서 산화방지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열안정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방사성 및 가발모용 원사의 촉감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수지 조성물의 열안정성을 나타내기 위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100 중량부에 대해 0.1 내지 0.5 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은 가발모용 원사로 제조하기 적합하도록 우수한 방사성을 나타내며, 또한 난연성 또한 우수하게 나타난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275℃, 전단율 6000/sec하에서 측정한 용융점도가 7,000 내지 12,000 Poise이다. 이와 같은 용융점도를 나타내기에, 가발모용 원사로 제작하는 경우에도 방사된 원사의 처짐 등이 나타나지 않고, 용이하게 가발모용 원사의 방사가 가능하다.
또한, 그리고, 본 발명의 상술한 구현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충분한 정도의 난연성도 나타내는데, 구체적으로 한계 산소 지수(Limited Oxygen Index, LOI)값이 24이상으로서, 가발모용 원사로 적용하기에 적합한 난연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때, 한계산소지수란 가연물을 수직으로 한 상태에서 가장 윗부분에 착화하였을 때 연소를 계속 유지시킬 수 있는 산소의 최저체적농도로 연소성 및 난연성을 측정하는 척도이다. LOI 값이 24 이상인 경우, 난연성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가발 원사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가발 원사는 충분한 염색성, 색감, 강도를 가지면서도 우수한 난연성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가발모용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에스테르 원사의 제조 방법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수지 9 내지 40 중량부, 할로겐계 난연제 15 내지 40 중량부, 및 안료분산제 0.5 내지 3 중량부, Benzoate계 가교제를 1 내지 7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조성물을 용융 방사하는 단계; 및 상기 용융 방사물을 연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준비는 열용융 혼련을 통해 진행할 수 있으며, 상기 용융 방사는 방사구금을 통해 용융 방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신 단계는 원사의 연신에 통상 사용되는 연신롤 등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으며, 상술한 구체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 다음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지,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250℃ 내지 280℃로 가열된 이축 압출기를 이용해 1차 원료 투입구로 고유 점도가 1.2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코오롱인더스트리의 KP192N)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고유점도가 0.6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수지(이소프탈산을 포함하는 공중합체)(코오롱인더스트리) 20 중량부, 내열제로 송녹스(송원산업) 0.3 중량부, 유기핵제(Bruggenmann Chemical) 1 중량부, Benzoate계 가교제(Unitex Chemical Corporation)를 2중량부 투입하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브롬화에폭시계 난연제(우진고분자의 CXB-3000H) 30 중량부를 실린더 중간에 위치하는 2차 투입구로 투입하면서, 열용융 혼련공정을 통해 폴리에스테르 수지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이후, 160 ℃에서 7시간 동안 제습형 건조기를 사용하여 상기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건조하였다. 건조된 입상의 펠렛을 통상의 압출기에서 용융시킨 후 방사구금을 통해 용융방사하였다. 압출된 실은 가이드 롤을 경유하여 연신롤을 거지면서 연신시킨 후 귄취하여 가발모용 섬유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3>
표 1에 기재된 바에 따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브롬화에폭시계 난연제, Benzoate 가교제의 함량만을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6>
표 1에 기재된 바에 따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수지, 브롬화에폭시계 난연제, Benzoate 가교제의 함량만을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조성 (단위: 중량부)
PET 수지(주) PET공중합체 수지(주) 브롬화에폭시계
난연제
Benzoate계 가교제 유기 핵제
실시예 1 100 20 30 3 1
실시예 2 100 10 30 1 0.7
실시예 3 100 20 25 6 1
비교예 1 100 20 30 10 1
비교예 2 100 20 30 0 1.5
비교예 3 100 30 25 2 0.2
비교예 4 100 30 25 2 5
비교예 5 100 30 10 1 3
비교예 6 100 30 20 0.9 0.5
(주)
PET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PET 공중합체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수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아래와 같은 시험방법으로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상의 열적 엔트로피로 결정화도 및 가발사 상의 Curl 특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방법>
1. 결정화도 측정방법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사출한 시편을, DSC (Mattler社)를 이용하여 1분에 20℃씩 승온시켜, 결정화도 DSC 열량을 측정하였다. 이와 같은 측정으로 나온 Tm의 열량으로 결정화도를 유추한다. Tm이 열량 엔탈피가 높을수록 결정화도가 높은 것으로 간주한다. 상기 시편은 덤벨 모양의 가로 1.45cm 내지 1.55cm, 세로 21cm 내지 22cm, 두께 1/8”이다.
2. Curl 특성의 평가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방사하고 열처리 한 다음 고온(180~220℃)의 고데기로 setting시 Curl 형성 및 시간이 지남에 따라 Curl 형태의 변형에 따른 가발모의 처짐 길이를 측정하였다. 20cm의 가발모에 고데기로 setting하여 (Setting 후 길이: 15cm) Curl 형성 후 1시간이 경과한 후 가발모의 길이를 측정하여 Curl특성을 평가하였다.
3. 방사성 평가 방법
실제 방사하였을 때의 방사구의 막힘이나 처짐이 없어 방사성이 좋은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지 조성물의 용융점도 평가를 통하여 정량화하였다. 일반적인 방사조건과 유사한 조건인 275℃, 전단율(shear rate) 6000/sec에서의 용융점도를 평가하였다. 용융점도(Shear Viscosity)가 7,000 Poise 미만인 경우 처짐으로 인한 방사성의 저하가 나타나게 되고 용융점도 12,000 초과인 경우에는 섬유의 형성이 불량하기 때문에 상기 조건에서의 용융점도가 7,000 내지 12,000 Poise일 때 방사공정에 문제가 없다고 할 수 있다.
방사성 평가:
용융점도
(103 poise)
결정화도 Curl 특성 비고
실시예 1 우수 (10.6) 32.5 17
실시예 2 우수(10.2) 32.37 17
실시예 3 우수 (10.4) 33.53 16
비교예 1 불량 (6.2) 35.83 15.6 생산성 부족
비교예 2 보통(9.5) 31.2 21.2 부족, Curl 특성 부족
비교예 3 보통(9.8) 31.30 19.4 , Curl 특성 부족
비교예 4 불량(6.8) 32.16 18.7 방사성이 떨어짐
비교예 5 우수(10.8) 28.76 25.6 난연성 불량, Curl 특성 부족
비교예 6 우수(10.1) 30.92 20.3 난연성 부족, , Curl 특성 부족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과 같이 실시한 조성에서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의 결정화도 DSC 열량이 높아 난연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으며, 또한, 가발모의 처짐 현상이 적어 Curl 특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비교예들의 조성으로 제조된 가발모용 원사의 경우, 방사성이 떨어지거나, 난연성이 떨어지거나, Curl특성 등이 나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실험결과로부터, 실시예에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가발모용 원사의 제조에 관한 산업 분야에 유용하게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5)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수지 9 내지 40중량부;
    할로겐계 난연제 15 내지 40 중량부;
    안료분산제 0.5 내지 3 중량부; 및
    Benzoate계 가교제 1 내지 7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Benzoate계 가교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이며, 분자량이 300 내지 3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9500669011-pat00007

    여기서, R은 탄소수 1~10의 알킬렌기이고, n은 1~5의 정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수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Dicarbo methoxy benzene sulfonate, SiO2, DMT(Dimethyl terephthalate) 및 TPA(Terephthalate Acid) 중 선택된 1종이 공중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할로겐계 난연제는 브롬화 난연제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분산제는 탈크(talc), 유기핵제, 왁스(Wax)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5. 삭제
KR1020120156955A 2012-12-28 2012-12-28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101931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955A KR101931114B1 (ko) 2012-12-28 2012-12-28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955A KR101931114B1 (ko) 2012-12-28 2012-12-28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6442A KR20140086442A (ko) 2014-07-08
KR101931114B1 true KR101931114B1 (ko) 2019-03-13

Family

ID=51735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6955A KR101931114B1 (ko) 2012-12-28 2012-12-28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1114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4657B1 (ko) * 1994-10-12 1998-04-20 박홍기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KR101737010B1 (ko) * 2010-12-31 2017-05-30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가발모용 원사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6442A (ko) 2014-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63817B (en) Dope dyed flame retardant polyester fibers, textile products therefrom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JP4313312B2 (ja) ポリ(トリメ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複合繊維
KR20080048080A (ko) 고권축성 2성분 섬유
JPWO2005100650A1 (ja) 難燃性ポリエステル系人工毛髪
EP1728900A1 (en) Flame-retardant artificial polyester hair
KR101035603B1 (ko) 난연성 폴리에스테르계 인공 모발 섬유 및 그 제조 방법
WO2014105669A1 (en)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based flame retardant compositions
KR20110108974A (ko) 난연성이 우수한 가발모용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가발모용 원사
KR101931114B1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JPH08269850A (ja) 建築資材用ネットおよびメッシュ
KR101737010B1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가발모용 원사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78893A (ko) 폴리에텔렌나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KR101865396B1 (ko) 시스코어 복합방사로 제조된 원착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복합 섬유
US5853878A (en) Elastic fiber, process for the same and polyester elastomer used thereof
JP2005273072A (ja) 難燃性ポリエステル系人工毛髪
JPH03137255A (ja) 安全ネット
JP2005325504A (ja) 難燃性ポリエステル系人工毛髪
KR100616185B1 (ko) 난연성이 우수한 가발모용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20130078769A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20210063093A (ko) 열수축이 우수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필라멘트 섬유 제조 방법
KR20200114398A (ko) 고강도 난연 복합사
JP2011106060A (ja) ポリアリーレンスルフィド繊維
KR20080062863A (ko) 난연성 폴리에스터 이형단면사 및 그 제조방법
KR102554218B1 (ko) 복합 필라멘트용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필라멘트
KR101231602B1 (ko) 인공 모발용 인계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및 이로부터 인공 모발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