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0958B1 - Method for manufacturing laminated multilayer film - Google Patents

Method for manufacturing laminated multilayer fil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0958B1
KR101930958B1 KR1020120012247A KR20120012247A KR101930958B1 KR 101930958 B1 KR101930958 B1 KR 101930958B1 KR 1020120012247 A KR1020120012247 A KR 1020120012247A KR 20120012247 A KR20120012247 A KR 20120012247A KR 101930958 B1 KR101930958 B1 KR 101930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transparent
resin
adhesive layer
ro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22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90852A (en
Inventor
미에 나까따
노부아끼 이와모또
데쯔로오 다께다
유따까 후지따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23093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2179893A/en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90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08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0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09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70Food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80Medical packag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지 필름과 투명 필름의 사이에 발생하는 기포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다층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지 필름의 한쪽 면에 제1 투명 필름을, 다른 면에 제2 투명 필름을, 접착층 또는 점착층을 개재하여 접합하는 다층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2 투명 필름은 두께가 60㎛ 이상이면서, 또한 인장 탄성률이 2000㎫ 이상이며, 수지 필름과 제1 투명 필름을, 제1 한 쌍의 롤 사이를 통과시킴으로써 압착하여 적층 필름을 형성한 후, 당해 적층 필름을 권취하지 않고서, 당해 적층 필름과 제2 투명 필름을, 제2 한 쌍의 롤 사이를 통과시킴으로써 압착하여 다층 적층 필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 multilayer laminated film capable of effectively suppressing air bubbles generated between a resin film and a transparent film.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producing a multilayer laminated film in which a first transparent film is bonded to one side of a resin film and a second transparent film is bonded to the other side of the resin film via an adhesive layer or an adhesive layer, And a tensile elastic modulus of not less than 2000 MPa. The resin film and the first transparent film are passed through a first pair of rolls to form a laminated film, and then the laminated film is rolled, And then the laminated film and the second transparent film are passed through a space between the second pair of rolls to form a multilayer laminated film.

Description

다층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LAMINATED MULTILAYER FILM}METHOD FOR MANUFACTURING LAMINATED MULTILAYER FILM [0002]

본 발명은 수지 필름의 한쪽 면에 제1 투명 필름을, 다른 면에 제2 투명 필름을, 접착층 또는 점착층을 개재하여 접합하는 다층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multilayer laminated film wherein a first transparent film is bonded to one side of a resin film and a second transparent film is bonded to the other side via an adhesive layer or an adhesive layer.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각종 다층 적층 필름의 제조에 적용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수지 필름으로서 편광 필름을 사용하고, 투명 필름으로서 편광 필름용의 투명 보호 필름을 사용하여, 편광판을 제조하는 방법에서 사용할 수 있다. 그 외, 식품, 의료 기기 등의 포장에 사용되는 다층 적층 필름의 제조에서 적용할 수 있다.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production of various multilayer laminated films, but a method of producing a polarizing plate by using, for example, a polarizing film as a resin film and a transparent protective film for a polarizing film as a transparent film .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production of multilayer laminated films used for packaging of foods, medical devices, and the like.

종래부터 수지 필름의 양면에 투명 필름을 접합하여, 다층 적층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통상 수계 접착제 또는 점착제가 사용되고 있다. 수지 필름의 양면에 투명 필름을 접합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한 쌍의 롤 사이에 수지 필름을 반송함과 함께 그 양면에 투명 필름을 반송해서 투명 필름을 동시에 접합하는 동시 라미네이트법, 한 쌍의 롤 사이에 수지 필름을 반송함과 함께 그 편면에 투명 필름을 반송해서 접합한 후, 계속해서 수지 필름의 다른 편면에 투명 필름을 접합하는 순차 라미네이트법이 채용되고 있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produce a multilayer laminated film by bonding a transparent film to both sides of a resin film, an aqueous adhesive or an adhesive is usually used. As a method of bonding the transparent film to both surfaces of the resin film, there are, for example, a simultaneous lamination method in which a resin film is transported between a pair of rolls and a transparent film is transported to both surfaces thereof, And then the transparent film is transported to one side of the resin film, and then the transparent film is bonded to the other side of the resin film. Thus, a sequential lamination method is employed.

그러나 상기의 라미네이트법에 의해 수지 필름과 투명 필름의 접합을 행하면, 제작한 다층 적층 필름의 수지 필름과 투명 필름의 사이에 기포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when the resin film and the transparent film are bonded by the above-described lamination method, there is a problem that bubbles are generated between the resin film and the transparent film of the produced multilayer laminated film.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이하의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As a method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the following techniques have been proposed.

특허문헌 1에서는, 수지 필름과 투명 필름의 사이에 발생하는 기포를 억제하기 위해서, 수분율 10 내지 60중량%의 수지 필름의 양면에, 수분율 0.5 내지 5중량%의 제1 투명 필름 및 제2 투명 필름을 접착층 또는 점착층을 개재하여 접합하는 다층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수지 필름과 제1 투명 필름을, 제1 금속 롤과 제1 탄성 롤의 한 쌍의 롤 사이를 제1 투명 필름이 제1 금속 롤의 측이 되도록 통과시킴으로써 압착하여 적층 필름을 형성한 후, 당해 적층 필름을 권취하지 않고서, 당해 적층 필름과 제2 투명 필름을, 제2 금속 롤과 제2 탄성 롤의 한 쌍의 롤 사이를 제2 투명 필름이 제2 금속 롤의 측이 되도록 통과시킴으로써 압착하여 다층 적층 필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In Patent Document 1, in order to suppress air bubbles generated between a resin film and a transparent film, on both sides of a resin film having a water content of 10 to 60% by weight, a first transparent film having a moisture content of 0.5 to 5% In which a resin film and a first transparent film are laminated between a pair of rolls of a first metal roll and a first elastic roll, 1 metal roll so as to form a laminated film, and then the laminated film and the second transparent film are laminated on the pair of rolls of the second metal roll and the second elastic roll Is passed between the first metal roll and the second metal roll so that the second transparent film is on the side of the second metal roll, thereby forming a multilayer laminated film.

특허문헌 2에서는, 습윤 필름과 플라스틱 필름의 사이에 발생하는 기포를 억제하기 위해서, 수분율 10 내지 60중량%의 습윤 필름의 편면 또는 양면에, 수분율0.1 내지 5중량%의 플라스틱 필름을, 당해 플라스틱 필름 상에 설치한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한 쌍의 압착 롤에 의해 접합하는 라미네이트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한 쌍의 압착 롤에 의해 습윤 필름과 플라스틱 필름을 접합하는 필름 합류 부분으로부터, 각 압착 롤에 있어서의 각 필름의 도입 부분까지의 각 필름 표면의 동반 공기를, 물에 대한 용해도가 0.1㎤/㎤H20(20℃, 1atm) 이상의 치환 가스에 의해 퍼지하고, 각 필름 표면이 상기 치환 가스로 치환된 상태에서 상기 접합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트 필름의 제조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In Patent Document 2, a plastic film having a moisture content of 0.1 to 5% by weight is applied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a wet film having a water content of 10 to 60% by weight in order to suppress air bubbles generated between the wet film and the plastic film, Wherein the adhesive film is formed by a film joining portion joining the wet film and the plastic film by at least the pair of press rolls, The accompanying air of each film surface up to the introduction portion of each film in the press roll was purged with a substitution gas having a solubility in water of 0.1 cm 3 / cm 3 H 2 O (20 캜, 1 atm) or more, And the bonding is carried out in a state of being substituted with the above-mentioned substitution gas.

특허문헌 3에서는, 요철이 적은 편광판을 얻기 위해서 편광 필름의 양측에 보호 필름을 배치하고, 상기 편광 필름과 보호 필름을 한 쌍의 롤 사이를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편광 필름과 보호 필름의 층간에 배치된 접착제 액을 개재하고, 편광자의 양면에 보호 필름을 접합하여 편광판을 제조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접착제 액의 점도가 3 내지 20mPa·s(25℃)이며, 또한 상기 편광 필름 및 보호 필름의 롤 사이 통과 속도가 6 내지 25m/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In Patent Document 3, a protective film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a polarizing film in order to obtain a polarizing plate having a small unevenness, and the polarizing film and the protective film are passed between a pair of rolls, A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teps of: (a) providing a polarizing plate having a viscosity of 3 to 20 mPa · s (25 ° C) And a passing velocity between the rolls is 6 to 25 m / min.

특허문헌 4에서는, 편광판에 컬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편광자의 편면에 투명 보호 필름(A), 다른 한쪽의 편면에 투명 보호 필름(B)을 각각 접착제에 의해 접합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이며, 편광자는 수분율이 15 내지 30중량% 이며, 투명 보호 필름(A) 및 투명 보호 필름(B)은 동질 재료이며, 투명 보호 필름(A)의 두께는 투명 보호 필름(B)의 두께보다도 두껍고, 또한 투명 보호 필름(A)의 수분율은 투명 보호 필름(B)의 수분율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Patent Document 4 propos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arizing plate in which a transparent protective film (A) is bonded to one side of a polarizer and a transparent protective film (B) is bonded to another side of the polarizer by an adhesive agent in order to suppress curling of the polarizing plate , The polarizer has a moisture content of 15 to 30 wt% and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A) and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B) are homogeneous materials. The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A) is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B) And the water content of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A) is higher than the water content of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B).

그러나 이들 방법에 의해서도 다층 적층 필름에 있어서의 수지 필름과 투명 필름의 사이에 발생하는 기포는 충분히 억제하지 못하고 있다.However, these methods also fail to sufficiently suppress air bubbles generated between the resin film and the transparent film in the multilayer laminated film.

일본 특허 공개 제2008-37092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8-37092 일본 특허 공개 제2010-125702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0-125702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65432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2-365432 일본 특허 공개 제2008-122790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8-122790

본 발명은 수지 필름에 투명 필름을 접합하는 다층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이며, 수지 필름과 투명 필름의 사이에 발생하는 기포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다층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 multilayer laminated film for bonding a transparent film to a resin film, and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 multilayer laminated film capable of effectively suppressing air bubbles generated between a resin film and a transparent film.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이하에 나타내는 다층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에 의해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As a result of intensive investigation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the above object can be achieved by the following method for producing a multilayer laminated film, and have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수지 필름의 한쪽 면에 제1 투명 필름을, 다른 면에 제2 투명 필름을, 접착층 또는 점착층을 개재하여 접합하는 다층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A method for producing a multilayer laminated film in which a first transparent film is bonded to one side of a resin film and a second transparent film is bonded to another side of the resin film via an adhesive layer or an adhesive layer,

제2 투명 필름은, 두께가 60㎛ 이상이면서, 또한 인장 탄성률이 2000㎫이상이며,The second transparent film has a thickness of 60 탆 or more and a tensile elastic modulus of 2000 MPa or more,

수지 필름과 제1 투명 필름을, 제1 한 쌍의 롤 사이를 통과시킴으로써 압착해서 적층 필름을 형성한 후,The resin film and the first transparent film are passed through between the first pair of rolls to form a laminated film,

당해 적층 필름을 권취하지 않고서, 당해 적층 필름과 제2 투명 필름을, 제2 한 쌍의 롤 사이를 통과시킴으로써 압착해서 다층 적층 필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Layer laminated film characterized in that the laminated film and the second transparent film are passed through a second pair of rolls to form a multilayer laminated film without being wound.

2단계로 나누어서 1매씩 투명 필름을 수지 필름에 라미네이트하는 순차 라미네이트법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롤(1) 사이에 수지 필름(2)을 반송함과 함께 그 편면에 제1 투명 필름(3A)을 반송해서 접합하여 적층 필름(4)을 형성한 후, 계속해서 제2 롤(5) 사이에 적층 필름(4)을 반송함과 함께 적층 필름(4)의 수지 필름(2)의 다른 면에 제2 투명 필름(3B)을 반송해서 접합하여 다층 적층 필름(6)을 제작하는 방법이다.In the sequential lamination method of laminating a transparent film to a resin film one by one in two steps, as shown in Fig. 1, the resin film 2 is transported between the first rolls 1, The laminated film 4 is conveyed between the second rolls 5 after the transparent film 3A is conveyed and joined to form the laminated film 4 and the resin film 2 of the laminated film 4 And the second transparent film 3B is transferred and bonded to the other side of the multilayer laminate film 6 to form the multilayer laminate film 6. [

당해 순차 라미네이트법에 있어서, 2단계째의 라미네이트 공정에서 사용하는 제2 투명 필름(3B)의 강성이 불충분할 경우, 만약 제2 롤에 데미지가 있으면 라미네이트 시에 수지 필름(2)이 데미지를 받게 되고, 그것에 의해 수지 필름(2)과 제2 투명 필름(3B) 사이에 기포가 발생한다고 생각된다. 롤의 데미지는 이물질이 부착되거나 롱런을 하고 있는 동안에 열화되어서 발생한다고 생각된다. 항상 데미지가 없는 롤을 사용하면 기포의 발생은 억제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클리닝 또는 롤 교환의 빈도가 높아지면 생산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When the stiffness of the second transparent film 3B used in the second lamination step is insufficient in the sequential lamination method, if the second roll is damaged, the resin film 2 is damaged during lamination It is considered that air bubbles are generated between the resin film 2 and the second transparent film 3B. It is considered that the damage of the roll is caused by deterioration while foreign matter adheres or during a long run.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use of a roll having no damage at all times can suppress the generation of bubbles, but if the frequency of cleaning or roll replacement increases, the productivity is lowered.

본 발명자들은, 만약 제2 롤에 데미지가 있다고 하더라도, 두께가 60㎛ 이상이면서, 또한 인장 탄성률이 2000㎫ 이상인 제2 투명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수지 필름과 제2 투명 필름의 사이에 발생하는 기포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even if there is damage to the second roll, the second transparent film having a thickness of 60 탆 or more and a tensile elastic modulus of 2,000 MPa or more is used, whereby the air bubbles generated between the resin film and the second transparent film It can be effectively inhibited.

제2 투명 필름의 두께가 60㎛ 미만의 경우에는, 기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없다. 또한, 제2 투명 필름의 인장 탄성률이 2000㎫ 미만의 경우에는, 필름이 휘어지기 쉽기 때문에, 수지 필름에 데미지가 발생하거나, 기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없다.Whe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transparent film is less than 60 mu m, generation of bubbles can not be effectively suppressed. Further, when the second transparent film has a tensile modulus of less than 2000 MPa, the film tends to be warped, so that damage to the resin film or occurrence of bubbles can not be effectively suppressed.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수지 필름은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 필름이며, 투명 필름은 투명 보호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multilayer laminated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in film is preferably a polyvinyl alcohol polarizing film, and the transparent film is preferably a transparent protective film.

또한,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 필름은 수분율이 10 내지 3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 필름의 수분율은 낮은 쪽이 건조 공정에서 건조 효율이 높아지므로 생산성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그러나, 수분율이 10중량% 미만이 되면, 편광 필름의 강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줄무늬 형상의 요철 불균일 등의 데미지를 받기 쉬워지거나, 편광 필름과 투명 보호 필름의 사이에 기포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또한, 편광 필름과 투명 보호 필름이 박리되기 쉬워진다. 한편, 수분율이 30중량%를 초과하면, 장시간의 건조 시간이 필요하게 되므로 과대한 건조 설비가 필요하게 되거나, 생산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The polyvinyl alcohol polarizing film preferably has a water content of 10 to 30% by weight. The lower the water content of the polarizing film is, the higher the drying efficiency in the drying step is, and therefore, the productivity is preferable. However, when the moisture content is less than 10% by weight, the stiffness of the polarizing film becomes high, so that it is likely to suffer damages such as uneven irregularities in stripes or bubbles tend to be generated between the polarizing film and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Further, the polarizing film and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are easily peeled off. On the other hand, if the moisture content exceeds 30% by weight, a long drying time is required, and thus an excessive drying equipment is required, or the productivity is lowered.

또한, 각 롤 사이를 통과시키기 전에, 제1 투명 필름 또는 제2 투명 필름의 수지 필름이 적층되는 면측에,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도포 시공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also preferable to apply an adhesive or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on the side of the first transparent film or the second transparent film on which the resin film is laminated before passing between the rolls.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수지 필름과 투명 필름의 사이에 기포가 없는 외관이 양호한 다층 적층 필름이 얻어진다. 특히,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편광판을 제조할 때에 적합하다. 이러한 편광판은 면내 균일성이 우수하고, 고해상도이며, 또한 고콘트라스트인 액정 표시 장치(LCD),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 장치(ELD) 등의 화상 표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 multilayer laminated film having good bubble-free appearance between the resin film and the transparent film is obtained. In particular,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e for producing a polarizing plate. Such a polarizing plate can realize an image display apparatus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 a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ELD) which has excellent in-plane uniformity, high resolution and high contrast.

도 1은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method for producing a multilayer laminated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것이며, 우선, 수지 필름(2)과 제1 투명 필름(3A)을 제1 한 쌍의 롤(1) 사이를 통과시킴으로써 압착하여 적층 필름(4)을 형성하고 있다. 계속해서, 적층 필름(4)은 권취하지 않고서 당해 적층 필름(4)과 제2 투명 필름(3B)을, 제2 한 쌍의 롤(5) 사이를 통과시킴으로써 압착하여 다층 적층 필름(6)을 형성하고 있다. 다층 적층 필름(6)은, 수지 필름(2)의 양면에 제1 투명 필름(3A) 및 제2 투명 필름(3B)을 갖는다.Hereinafter, a method for producing a multilayer laminated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ig. 1 shows an example of a method for producing a multilayer laminated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 resin film 2 and a first transparent film 3A are passed through a first pair of rolls 1, So that the laminated film 4 is formed. Subsequently, the laminated film 4 is pressed and bonded by passing the laminated film 4 and the second transparent film 3B between the second pair of rolls 5 without taking up the multilayered laminated film 6 . The multilayer laminated film 6 has a first transparent film 3A and a second transparent film 3B on both sides of the resin film 2.

제1 한 쌍의 롤(1) 사이에 있어서, 수지 필름(2)과 제1 투명 필름(3A)을 접착층 또는 점착층(도시하지 않음)을 개재해서 접합한다. 상기 접착층 또는 점착층은, 수지 필름(2)과 제1 투명 필름(3A)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측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고, 또한 수지 필름(2)과 제1 투명 필름(3A)을 접합하기 직전에, 농도나 점도를 조정한 접착제(용액) 또는 점착제(용액)와 함께, 제1 한 쌍의 롤(1) 사이를 통과시킴으로써 설치해도 좋다. 마찬가지로, 제2 한 쌍의 롤(5) 사이에 있어서, 적층 필름(4)과 제2 투명 필름(3B)을 접착층 또는 점착층(도시하지 않음)을 개재해서 접합한다. 상기 접착층 또는 점착층은, 제2 투명 필름(3B)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고, 또한 적층 필름(4)과 제2 투명 필름(3B)을 접합하기 직전에, 농도나 점도를 조정한 접착제(용액) 또는 점착제(용액)와 함께, 제2 한 쌍의 롤(5) 사이를 통과시킴으로써 설치해도 좋다.Between the first pair of rolls 1, the resin film 2 and the first transparent film 3A are bonded to each other via an adhesive layer or an adhesive layer (not shown). The adhesive layer or the adhesive layer may be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resin film 2 and the first transparent film 3A and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resin film 2 and the first transparent film 3A (Solution) or pressure-sensitive adhesive (solution) whose concentration or viscosity has been adjusted by passing through a space between the first pair of rolls 1. Similarly, between the second pair of rolls 5, the laminated film 4 and the second transparent film 3B are bonded to each other via an adhesive layer or an adhesive layer (not shown). The adhesive layer or the adhesive layer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transparent film 3B or may be provided with an adhesive (solution) whose concentration or viscosity has been adjusted just before bonding the laminated film 4 and the second transparent film 3B. Or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olution) between the second pair of rolls 5.

또한, 롤의 재질, 롤 직경, 접합할 때의 반송 속도 등은 적절하게 조정되고,또한 접착층 또는 점착층의 두께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roll, the roll diameter, the conveying speed at the time of bonding and the like are appropriately adjusted, and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or the adhesive layer can also be appropriately adjusted.

제1 롤 및 제2 롤로서는, 예를 들어 금속제의 코어부에 고무층 또는 수지층에서 코팅된 탄성 롤, 철, 스테인리스, 티타늄, 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어지는 금속 롤 등을 들 수 있다. 제1 롤 및 제2 롤은 동일한 것이어도 좋고, 상이한 것이어도 좋다.Examples of the first roll and the second roll include elastic rolls coated with a rubber layer or a resin layer on a metal core, and metal rolls made of iron, stainless steel, titanium, aluminum, and the like. The first roll and the second roll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각 롤의 직경으로서는, 직경이 작을수록 수지 필름과 제1 투명 필름 또는 제2 투명 필름이 접촉하는 면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필름 면에 부가되는 압력이 높아진다. 그로 인해, 롤의 직경으로서는, 250㎜ 이하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00㎜ 이하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단, 이 직경이 너무 작아지면, 롤의 내구성이 약해지기 때문에, 충분한 힘을 부가할 수 없게 되므로, 50㎜ 이상의 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0㎜ 이상의 롤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As the diameter of each roll, the smaller the diameter, the smaller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resin film and the first transparent film or the second transparent film, so that the pressure applied to the film surface relatively increases. Therefore, the diameter of the roll is preferably 250 mm or less, more preferably 200 mm or less. However, if the diameter is too small, the durability of the roll becomes weak, so that a sufficient force can not be add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use rolls of 50 mm or more, more preferably 100 mm or more.

또한, 접합할 때의 반송 속도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통상 2m/분 내지 50m/분 정도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veying speed at the time of bonding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adjusted to about 2 m / minute to 50 m / minute.

또한, 접합할 때의 롤 사이의 라미네이트 압력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절히 설정된다. 라미네이트 압력은 조정의 용이함이나 다층 적층 필름의 생산성의 관점에서, 2㎫ 이상 5㎫ 이하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3㎫ 이상 4㎫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라미네이트 압력이 2㎫보다 작으면 충분한 가압을 할 수 없기 때문에 필름 사이에 기포가 발생한다. 또한 라미네이트 압력이 5㎫보다 크면 롤이나 장치로의 부하가 너무 걸리기 때문에 파손의 원인이 된다. 라미네이트 압력의 측정은, 후지샤신필름사제의 감압지 「프레스케일」을 사용하여, 당해 감압지의 색 변화를 컴퓨터 화상 처리에 의해 2치화하고, 그 발색 면적과 농도에 대해서, 제작된 압력 표준선의 근사식으로부터 구해진다.The lamination pressure between the rolls at the time of bonding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s suitably set. From the viewpoints of ease of adjustment and productivity of the multilayer laminated film, the laminate pressure is preferably about 2 to 5 MPa, more preferably 3 to 4 MPa. If the lamination pressure is less than 2 MPa, bubbles are generated between the films because sufficient pressure can not be applied. If the laminate pressure is more than 5 MPa, the load on the roll or the apparatus is too much, which may cause breakage. The laminate pressure was measured by binarizing the color change of the pressure-sensitive paper using a pressure-sensitive paper "FRESCALE" manufactured by Fuji Shashin Film Co., Ltd., and calculating the approximate value of the pressure standard line .

본 발명의 다층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에 사용하는 수지 필름은, 공지된 것을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투명 필름도 공지된 것을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고, 그것들의 재료는 동일한 것이어도 좋고, 상이한 것이어도 좋다.The resin film used 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multilayer laminated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ny known resin without any particular limitation. Also, the first and second transparent films can be used without any particular limitation, and the materials thereof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이하, 수지 필름으로서 편광 필름을 사용하고, 제1 및 제2 투명 필름으로서 편광 필름용의 제1 및 제2 투명 보호 필름을 사용하고, 접착층 또는 점착층을 개재하여 이들을 접합해서 편광판을 제조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when a polarizing film is used as the resin film, first and second transparent protective films for the polarizing film are used as the first and second transparent films, and a polarizing plate is produced by joining them through an adhesive layer or an adhesive layer Will be described.

편광 필름으로서는, 폴리비닐알코올(PVA)계 필름 등의 중합체 필름에 요오드나 2색성 염료 등의 2색성 물질로 염색해서 1축 연신한 것이 통상 사용된다. 이러한 편광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5 내지 80㎛ 정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5㎛이다. 편광 필름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라미네이트 시에 데미지를 받기 쉬워진다. 한편, 너무 두꺼우면 건조 효율이 나빠지기 때문에 생산성이 떨어진다.As the polarizing film, a polymer film such as a polyvinyl alcohol (PVA) film is usually dyed with a dichroic material such as iodine or a dichroic dye and uniaxially stretched. The thickness of such a polarizing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about 5 to 80 占 퐉, preferably 5 to 40 占 퐉, and more preferably 15 to 35 占 퐉. If 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film is too thin, it is likely to be damaged during lamination. On the other hand, if it is too thick, the drying efficiency deteriorates and the productivity drops.

편광 필름을 형성하는 중합체 필름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여러 종류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PVA)계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계 필름,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계 필름이나, 이것들의 부분 비누화 필름, 셀룰로오스계 필름 등의 친수성 고분자 필름에, PVA의 탈수 처리물이나 폴리염화비닐의 탈염산 처리물 등 폴리엔계 배향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요오드 등의 2색성 물질에 의한 염색성이 우수한 점에서, PVA계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olymer film forming the polarizing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various kinds of polymer films can be used. For example, a hydrophilic polymer film such as a polyvinyl alcohol (PVA) film,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lm, an ethylene / vinyl acetate copolymer film, a partially saponified film thereof, And polyene-based oriented films such as treated products and dehydrochlorinated products of polyvinyl chloride. Among them, it is preferable to use a PVA-based film because of excellent dyability by a dichroic substance such as iodine.

상기 중합체 필름의 재료인 중합체의 중합도는, 일반적으로 500 내지 10,000이며, 1000 내지 600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1400 내지 400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비누화 필름의 경우, 그 비누화도는, 예를 들어 물에 대한 용해성의 관점에서, 75㏖%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8㏖% 이상이며, 98.3 내지 99.8㏖%의 범위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the polymer as the material of the polymer film is generally 500 to 10,000, preferably in the range of 1000 to 6000, and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1400 to 4000. In the case of the saponified film, the degree of saponification thereof is preferably 75 mol% or more, more preferably 98 mol% or more, and 98.3 to 99.8 mol%, for example, from the viewpoint of solubility in water Is more preferable.

상기 중합체 필름으로서 PVA계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 PVA계 필름의 제법으로서는, 물 또는 유기 용매에 용해한 원액을 유연 성막하는 유연법, 캐스트법, 압출법 등 임의의 방법으로 성막된 것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이때의 위상차값은 5㎚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면내 균일한 편광 필름을 얻기 위해서, PVA계 필름면 내의 위상차 편차는 가능한 작은 편이 바람직하고, PVA계 필름의 면내 위상차의 편차는, 측정 파장 1000㎚에 있어서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When the PVA film is used as the polymer film, the PVA film can suitably be formed by any method such as a casting method, an extrusion method, or the like in which a raw liquid dissolved in water or an organic solvent is formed into a flexible film . The retardation value at this time is preferably 5 nm to 100 nm. In order to obtain an in-plane uniform polarizing film, the retardation deviation in the plane of the PVA film is preferably as small as possible. The deviation of the in-plane retardation of the PVA film is preferably 10 nm or less at a measurement wavelength of 1000 nm, Or less.

편광 필름과 투명 보호 필름을 접합할 때의 편광 필름의 수분율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10 내지 3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중량%이다. 편광 필름의 수분율은, 일반적으로 편광 필름 제조 공정 중의 건조 처리의 조건에 의해 조정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별도 조습 처리 공정을 마련하여, 수욕 중으로의 침지나 물방울의 분무, 또는 재차 가열 건조나 감압 건조를 실시해도 된다.The moisture content of the polarizing film at the time of bonding the polarizing film and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10 to 30% by weight, and more preferably 15 to 25% by weight. The moisture content of the polarizing film can generally be adjusted by the conditions of the drying treatment in the polarizing film production process. However, if necessary, a separate humidity treatment process may be provided and sprayed with water or water droplets in a water bath, .

제1 및 제2 투명 보호 필름으로서는, 편광 필름의 보호를 목적으로 하기 위해서,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등방성 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투명 보호 필름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1 내지 300㎛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0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00㎛이다. 한편, 제2 투명 보호 필름의 두께는 60㎛ 이상인 것이 필요하고,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20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00㎛이다. 단, 제1 및 제2 투명 보호 필름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지면 건조 효율이 저하해서 생산성이 저하하기 때문에, 2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편광 특성이나 내구성 및 접착 특성 향상 등의 점에서, 투명 보호 필름 표면을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프레임 처리, 오존 처리, 프라이머 처리, 글로우 처리, 비누화 처리에 의해 표면 개질 처리를 행해도 좋다. 이들 표면 개질 처리 중에서도 알칼리 등으로 비누화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and second transparent protective films are preferably excellent in transparency, mechanical strength, thermal stability, isotropy and the like in order to protect the polarizing film. The thickness of the first transparent protective film is generally about 1 to 300 mu m, preferably 20 to 200 mu m, and more preferably 30 to 100 mu m. On the other h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transparent protective film is required to be 60 탆 or more, preferably 60 to 200 탆, and more preferably 60 to 100 탆. However, if the thickness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parent protective films is too thick, the drying efficiency is lowered and the productivity is lowered.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may be subjected to surface modification treatment by corona treatment, plasma treatment, frame treatment, ozone treatment, primer treatment, glow treatment or saponification treatment, in view of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durability and adhesion properties. Among these surface modification treatments, saponification treatment with alkali or the like is preferable.

제1 및 제2 투명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 디아세틸셀룰로오스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중합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중합체, 폴리스티렌이나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AS 수지) 등의 스티렌계 중합체, 폴리카르보네이트계 중합체를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시클로계 내지는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와 같은 폴리올레핀계 중합체, 염화비닐계 중합체, 나일론이나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중합체, 이미드계 중합체, 술폰계 중합체, 폴리에테르술폰계 중합체,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중합체, 폴리페닐렌술피드계 중합체, 비닐알코올계 중합체, 염화 비닐리덴계 중합체, 비닐 부티랄계 중합체, 아릴레이트계 중합체, 폴리옥시메틸렌계 중합체, 에폭시계 중합체 또는 상기 중합체의 블렌드물 등도 상기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중합체의 예로서 들 수 있다. 투명 보호 필름 중에는 임의의 적절한 첨가제가 1종류 이상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어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활제, 가소제, 이형제, 착색 방지제, 난연제, 핵제, 대전 방지제, 안료, 착색제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first and second transparent protective films include polyester polymer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ethylene naphthalate, cellulose polymers such as diacetylcellulose and triacetylcellulose, Styrene polymers such as polystyrene and acrylonitrile-styrene copolymer (AS resin), and polycarbonate-based polymers. Examples of the polymer include polyolefin polymers such as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olefin having a cyclo or norbornene structure, ethylene / propylene copolymer, amide polymers such as vinyl chloride polymers, nylon and aromatic polyamides, imide polymers, Based polymers, polyether sulfone-based polymers, polyether sulfone-based polymers, polyether ether ketone-based polymers, polyphenylene sulfide-based polymers, vinyl alcohol polymers, vinylidene chloride polymers, vinyl butyral polymers, Epoxy-based polymers or blends of the above-mentioned polymers may also be mentioned as examples of the polymer forming the protective film.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may contain one or more optional additives. Examples of the additives include ultraviolet absorbers, antioxidants, lubricants, plasticizers, mold release agents, coloring inhibitors, flame retardants, nucleating agents, antistatic agents, pigments, colorants and the like.

제1 투명 보호 필름의 인장 탄성률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1000 내지 1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 투명 보호 필름의 인장 탄성률은 2000㎫ 이상인 것이 필요하고,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700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5000㎫이다. 단, 제2 투명 보호 필름의 인장 탄성률이 너무 높아지면 반송성이 저하하기 때문에, 10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tensile modulus of elasticity of the first transparent protective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1000 to 10000 MPa. On the other hand, the tensile modulus of elasticity of the second transparent protective film is required to be 2000 MPa or more, preferably 2000 to 7000 MPa, and more preferably 2000 to 5000 MPa. However, if the tensile modulus of elasticity of the second transparent protective film is too high, the transportability is lowered, and therefore, it is preferably 10000 MPa or less.

투명 보호 필름의 인장 탄성률은, 주원료인 중합체의 종류나, 가소제 및 고무 등의 첨가제의 종류 및 첨가량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범위로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 원료로서 아릴레이트계 중합체를 사용하는 경우, 아크릴계 고무를 필요량 첨가함으로써 투명 보호 필름의 인장 탄성률을 원하는 범위로 조정할 수 있다.The tensile modulus of elasticity of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can be adjusted to a desired range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kind of the polymer as the main raw material, the kind of plasticizer and additives such as rubber and the like. For example, when an arylate polymer is used as a main raw material, the tensile modulus of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can be adjusted to a desired range by adding a necessary amount of acrylic rubber.

제1 및 제2 투명 보호 필름으로서는, 셀룰로오스 수지(중합체),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중합체), 환상 폴리올레핀 수지(시클로계 내지는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및 (메트)아크릴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the first and second transparent protective films, at least (at least)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cellulose resin (polymer), a polycarbonate resin (polymer), a cyclic polyolefin resin (polyolefin having a cyclic system or a norbornene structure) It is preferable to use either one.

상기 편광 필름과 제1 및 제2 투명 보호 필름의 접합에 사용하는 접착층 또는 점착층은 광학적으로 투명하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수계, 용제계, 핫 멜트계, 라디칼 경화형의 각종 형태의 것이 사용되지만, 수계 접착제 또는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가 적합하다.The adhesive layer or the adhesive layer used for bonding the polarizing film to the first and second transparent protective film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far as it is optically transparent, and various types of water-based, solvent-based, hot melt or radical- Water-based adhesives or radical-curing adhesives are suitable.

상기 편광 필름의 양면에 제1 및 제2 투명 보호 필름을 접착층 또는 점착층을 개재하여 접합함으로써, 편광판이 얻어지지만, 접착층 또는 점착층과, 제1 및 제2 투명 보호 필름 또는 편광 필름의 사이에는 하도층이나 접착 용이화 처리층 등을 설치해도 좋다.A polarizing plate is obtained by bonding the first and second transparent protective films to both surfaces of the polarizing film with an adhesive layer or an adhesive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However, a polarizing plate is obtained between the adhesive layer or the adhesive layer and the first and second transparent protective films or polarizing films An undercoating layer, an adhesion facilitating treatment layer, or the like may be provided.

접착층이 수계 접착제 등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접착층의 두께는 30 내지 3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층의 두께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250㎚이다. 한편, 접착층이 경화형 접착제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접착층의 두께는, 0.1 내지 2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0㎛,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이다.When the adhesive layer is formed of an aqueous adhesive or the like,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is preferably 30 to 300 nm.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is more preferably 60 to 250 nm. On the other hand, when the adhesive layer is formed by a curing adhesive,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is preferably 0.1 to 200 mu m. More preferably 0.5 to 50 占 퐉, and still more preferably 0.5 to 10 占 퐉.

본 발명의 편광판은, 실용 시에 다른 광학층과 적층한 광학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 광학층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예를 들어 반사판이나 반투과판, 위상차판(1/2이나 1/4 등의 파장판을 포함), 시각 보상 필름 등의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형성에 사용되는 경우가 있는 광학층을 1층 또는 2층 이상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편광판에 추가로 반사판 또는 반투과 반사판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반사형 편광판 또는 반투과형 편광판, 편광판에 추가로 위상차판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타원 편광판 또는 원편광판, 편광판에 추가로 시각 보상 필름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광시야각 편광판, 혹은 편광판에 추가로 휘도 향상 필름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편광판이 바람직하다.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n optical film laminated with another optical layer in practical use. The optical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it is used for form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such as a reflection plate, a transflective plate, a retardation plate (including a wave plate of 1/2 or 1/4) Or one or more optical layers may be used. Particularly, a reflection type polarizing plate or a transflective polarizing plate in which a reflection plate or a transflective reflection plate is further laminated on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liptically polarizing plate or a circular polarizing plate in which a retardation plate is laminated in addition to the polarizing plate, Or a polarizing plate in which a brightness enhancement film is laminated on a polarizing plate.

편광판에 상기 광학층을 적층한 광학 필름은, 액정 표시 장치 등의 제조 과정에서 순차적으로 별개로 적층하는 방식으로도 형성할 수 있지만, 미리 적층해서 광학 필름으로 한 것은, 품질의 안정성이나 조립 작업 등이 우수하여 액정 표시 장치 등의 제조 공정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적층에는 점착층 등의 적절한 접착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편광판이나 그 밖의 광학 필름의 접착 시에, 그러한 광학축은 목적으로 하는 위상차 특성 등에 따라 적절한 배치 각도로 할 수 있다.The optical film obtained by laminating the above optical layers on the polarizing plate can be formed by sequentially laminating them separately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r the like. Is advantageous in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the like can be improved. Appropriate adhesion means such as an adhesive layer can be used for the lamination. When the polarizing plate or other optical film is adhered, such an optical axis can be set at a proper arrangement angle in accordance with a desired retardation property or the like.

본 발명의 편광판 또는 광학 필름은 액정 표시 장치 등의 각종 장치의 형성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의 형성은, 종래에 준해서 행할 수 있다. 즉 액정 표시 장치는 일반적으로, 액정 셀과 편광판 또는 광학 필름 및 필요에 따른 조명 시스템 등의 구성 부품을 적절하게 조립해서 구동 회로를 내장하는 것 등에 의해 형성되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의한 편광판 또는 광학 필름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 특별히 한정은 없고, 종래에 준할 수 있다. 액정 셀에 대해서도, 예를 들어 TN형이나 STN형, π형 등의 임의의 타입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The polarizing plate or optical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itably used for forming various devices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ormation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an be performed in a conventional manner. That i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generally formed by appropriately assembling components such as a liquid crystal cell, a polarizing plate or an optical film, and an illumination system as needed, and incorporating a driving circuit. In the present invention, Or an optical film is used, an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and it is possible to comply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For the liquid crystal cell, any type of TN type, STN type, or π type, for example, can be used.

액정 셀의 편측 또는 양측에 편광판 또는 광학 필름을 배치한 액정 표시 장치나, 조명 시스템에 백라이트 혹은 반사판을 사용한 것 등의 적당한 액정 표시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그 경우, 본 발명에 의한 편광판 또는 광학 필름은 액정 셀의 편측 또는 양측에 설치할 수 있다. 양측에 편광판 또는 광학 필름을 설치하는 경우, 그것들은 동일한 것이어도 좋고, 상이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의 형성 시에는 예를 들어 확산판, 안티글레어층, 반사 방지막, 보호판, 프리즘 어레이, 렌즈 어레이 시트, 광확산판, 백라이트 등의 적당한 부품을 적당한 위치에 1층 또는 2층 이상 배치할 수 있다.A suitabl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 which a polarizing plate or an optical film is dispos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liquid crystal cell or a backlight or a reflector is used in the illumination system. In this case, the polarizing plate or optical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liquid crystal cell. When polarizing plates or optical films are provided on both sides, they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Whe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formed, a suitable part such as a diffusion plate, an anti-glare layer, an antireflection film, a protective plate, a prism array, a lens array sheet, a light diffusion plate or a backlight, Can be deployed.

[실시예][Example]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사용해서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인장 탄성률의 측정 방법)(Method of measuring tensile modulus of elasticity)

투명 보호 필름의 인장 탄성률은, JIS K7161의 인장 시험법에 준하여 측정하였다.The tensile modulus of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was measured in accordance with the tensile test method of JIS K7161.

(편광 필름의 수분율 측정 방법)(Method of measuring moisture content of polarizing film)

얻어진 편광 필름으로부터, 180㎜×500㎜의 샘플을 잘라내고, 그 초기 중량(W(g))을 측정하였다. 그 샘플을 120℃의 건조기 내에서 2시간 방치한 후, 건조 후 중량(D(g))을 측정하였다. 이들의 측정값으로부터 하기식에 의해 수분율을 구했다.From the obtained polarizing film, a sample of 180 mm x 500 mm was cut out and its initial weight (W (g)) was measured. The sample was allowed to stand in a dryer at 120 캜 for 2 hours, and then the weight (D (g)) after drying was measured. From these measured values, the water content was determined by the following formula.

수분율(%)={(W-D)/W}×100Moisture content (%) = {(W-D) / W} x 100

[제조예 1][Production Example 1]

(편광 필름의 제작)(Production of polarizing film)

두께 75㎛의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주)구라레제: VF-PS7500, 폭 1000㎜)을 사용하여, 30℃의 순수 중에 60초간 침지하면서 연신 배율 2.5배까지 연신하고, 30℃의 요오드 수용액(중량비: 순수/요오드(I)/요오드화칼륨(KI)=100/0.01/1) 중에서 45초간 염색하고, 4중량% 붕산 수용액 내에서 연신 배율이 5.8배가 되도록 연신하고, 순수 중에 10초간 침지한 후, 필름의 장력을 유지한 채 40℃에서 3분간 건조해서 편광 필름을 얻었다. 이 편광 필름의 두께는 25㎛, 수분율은 25중량%이었다.Using a polyvinyl alcohol film having a thickness of 75 占 퐉 (VR-PS7500, manufactured by Kuraray Co., Ltd., width 1000 mm), the film was immersed in pure water at 30 占 폚 for 60 seconds to stretch the film to 2.5 times the stretching magnification, (I) / potassium iodide (KI) = 100 / 0.01 / 1) for 45 seconds and stretched so as to have a draw magnification of 5.8 in a 4 wt% boric acid aqueous solution. After immersing in pure water for 10 seconds , And dried at 40 캜 for 3 minutes while maintaining the tension of the film to obtain a polarizing film. 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film was 25 탆, and the water content was 25% by weight.

[제조예 2][Production Example 2]

(투명 보호 필름의 제작)(Production of transparent protective film)

(아크릴계 필름 A의 제작)(Production of acrylic film A)

아크릴계 수지로서, 미쯔비시 레이온(주)제 「아크리페트 VH」(Tg=113℃)를 사용하여, 이하의 방법으로 아크릴계 필름 A를 제작하였다.Acrylic film A was produced by the following method using "Acryphet VH" (Tg = 113 ° C) manufactured by Mitsubishi Rayon Co., Ltd. as an acrylic resin.

아크리페트 VH를 100℃에서 진공 건조하고, 수분 및 용존 산소를 탈기하였다. 당해 아크리페트 VH 100중량부에 아크릴 고무(닛폰제온사제, AR12) 30중량부를 첨가한 혼합물을, 원료 호퍼로부터 압출기까지를 질소 치환한, 도시바키카이제의 2축 압출기 「TEM35B」에 공급하고, 실린더 세트 온도 230 내지 270℃로 용융하여, 펠릿화해서 원료 펠릿을 얻었다.Acryphet VH was vacuum dried at 100 ° C and dehydrated water and dissolved oxygen. A mixture obtained by adding 30 parts by weight of an acrylic rubber (AR12, manufactured by Nippon Zeon Co., Ltd.)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ryphet VH was fed to a twin screw extruder "TEM35B", which had been purged with nitrogen from a raw hopper to an extruder, Melted at a cylinder set temperature of 230 to 270 캜, and pelletized to obtain raw material pellets.

원료 펠릿을 100℃에서 진공 건조하고, 원료 호퍼로부터 압출기까지를 질소 치환한 도시바키카이제의 단축 압출기 「SE-65」에 공급하고, 실린더 세트 온도 230 내지 270℃로 용융하여, 코트 행어 타입의 T다이를 통과시켜, 120℃의 크롬 도금제 캐스팅 롤 및 90℃의 냉각 크롬 도금제 캐스팅 롤에서 냉각한 뒤, 필름 권취 장치에서 아크릴계 필름 A(두께 30㎛, 50㎛, 60㎛ 또는 80㎛)를 제작하였다. 아크릴계 필름 A의 인장 탄성률은 1684㎫이었다.The raw pellets were vacuum-dried at 100 占 폚 and supplied to a single-screw extruder "SE-65" manufactured by Toshiba Kikkaz Corporation from a raw hopper to an extruder by nitrogen purging and melted at a cylinder set temperature of 230 to 270 占 폚, After passing through a die, the film was cooled in a casting roll made of chrome plated at 120 DEG C and a casting roll made of chrome plated at 90 DEG C, and then an acrylic film A (thickness 30 mu m, 50 mu m, 60 mu m or 80 mu m thick) Respectively. The tensile modulus of the acrylic film A was 1684 MPa.

(아크릴계 필름 B의 제작)(Production of acrylic film B)

아크릴 고무의 첨가량을 30중량부에서 20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는 상기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아크릴계 필름 B(두께 30㎛, 40㎛, 50㎛, 60㎛ 또는 80㎛)를 제작하였다. 아크릴계 필름 B의 인장 탄성률은 2171㎫이었다.Acrylic film B (thickness 30 占 퐉, 40 占 퐉, 50 占 퐉, 60 占 퐉 or 80 占 퐉)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above except that the addition amount of acrylic rubber was changed from 30 parts by weight to 20 parts by weight. The tensile modulus of the acrylic film B was 2171 MPa.

(아크릴계 필름 C의 제작)(Production of acrylic film C)

아크릴 고무를 첨가하지 않은 것 이외는 상기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아크릴계 필름 C(두께 30㎛, 40㎛, 50㎛, 60㎛ 또는 80㎛)를 제작하였다. 아크릴계 필름 C의 인장 탄성률은 3147㎫이었다.Acrylic film C (thickness 30 占 퐉, 40 占 퐉, 50 占 퐉, 60 占 퐉, or 80 占 퐉)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above except that no acrylic rubber was added. The tensile modulus of the acrylic film C was 3147 MPa.

제조예 3Production Example 3

(접착층 부착 투명 보호 필름의 제작)(Production of transparent protective film with adhesive layer)

PVA 수지(닛폰고세이가가꾸고교(주)제: 고세놀) 100중량부와 가교제(다이니폰잉크가가꾸고교(주)제: 워터졸) 35중량부를 순수 3760중량부 중에 용해해서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이 접착제를, 상기 아크릴계 필름 A 내지 C의 편면측에 슬롯다이에서 도포 후, 85℃에서 1분간 건조하여, 두께 0.1㎛의 접착층을 갖는 접착층 부착 아크릴계 필름 A 내지 C를 제작하였다.100 parts by weight of a PVA resin (GOSENOL CO., LTD. Manufactured by Nippon Gosei Chemical Industry Co., Ltd.) and 35 parts by weight of a cross-linking agent (Dainippon Ink and Chemicals Inc.: Water Sol) were dissolved in 3760 parts by weight of pure water to prepare an adhesive . This adhesive was applied on one side of the acrylic films A to C by a slot die and then dried at 85 캜 for one minute to prepare acrylic films A to C with an adhesive layer having an adhesive layer with a thickness of 0.1 탆.

[실시예 1][Example 1]

(편광판의 제작)(Production of polarizing plate)

도 1에 도시하는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제1 롤 사이에 상기 편광 필름을 반송함과 함께 그 편면에 접착층 부착 아크릴계 필름 C(제1 투명 보호 필름)를 반송해서 접합하여 적층 필름을 형성한 후, 계속해서, 제2 롤 사이에 적층 필름을 반송함과 함께 적층 필름의 편광 필름측에 다른 접착층 부착 아크릴계 필름 C(제2 투명 보호 필름)를 반송해서 접합하여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각 필름의 반송 속도는 20m/분이었다. 얻어진 편광판은 접합 후에 80℃에서 2분간 건조했다.A polarizing plate was produced by the method shown in Fig. The polarizing film is transported between the first rolls and the acrylic film C (first transparent protective film) with an adhesive layer is transported and bonded to one side of the first rolls to form a laminated film. Thereafter, And another acrylic film C (second transparent protective film) with another adhesive layer was carried and bonded to the polarizing film side of the laminated film to prepare a polarizing plate. The conveying speed of each film was 20 m / min. The obtained polarizing plate was dried at 80 DEG C for 2 minutes after bonding.

[실시예 2 내지 7, 비교예 1 내지 9][Examples 2 to 7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9]

표 1에 기재된 제1 및 제2 투명 보호 필름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또한, 표 1에 있어서, TAC 필름이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이며, 제오노아 필름이란 노르보르넨계 수지 필름(제온사제)이며, 상기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각 필름의 편면에 두께 0.1㎛의 접착층을 설치하였다.A polarizing plate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first and second transparent protective films shown in Table 1 were used. In Table 1, the triacetylcellulose film as the TAC film and the norbornene resin film (manufactured by Zeon Corporation) as the Zeonoa film were provided with an adhesiv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0.1 mu m on one side of each film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편광판에 대해 하기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The polarizers produc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evaluated as follows.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기포의 확인)(Confirmation of bubble)

얻어진 편광판으로부터 1000㎜×300㎜의 샘플을 잘라내어, 편광 필름과 제2 투명 보호 필름 사이의 기포의 수를 확인하였다.A sample of 1000 mm x 300 mm was cut out from the obtained polarizing plate to confirm the number of bubbles between the polarizing film and the second transparent protective film.

Figure 112012009850199-pat00001
Figure 112012009850199-pat00001

1: 제1 롤
2: 수지 필름
3A: 제1 투명 필름
3B: 제2 투명 필름
4: 적층 필름
5: 제2 롤
6: 다층 적층 필름
1: first roll
2: Resin film
3A: first transparent film
3B: second transparent film
4: laminated film
5: Second roll
6: multilayer laminated film

Claims (4)

수지 필름의 한쪽 면에 제1 투명 필름을, 다른 면에 제2 투명 필름을, 접착층 또는 점착층을 개재하여 접합하는 다층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2 투명 필름은, 두께가 60㎛ 이상이면서, 또한 인장 탄성률이 2000㎫ 이상 3147㎫ 이하의 단층의 (메트)아크릴계 필름이며,
수지 필름과 제1 투명 필름을, 제1 한 쌍의 롤 사이를 통과시킴으로써 압착해서 적층 필름을 형성한 후,
당해 적층 필름을 권취하지 않고서, 당해 적층 필름과 제2 투명 필름을, 제2 한 쌍의 롤 사이를 통과시킴으로써 압착해서 다층 적층 필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A method for producing a multilayer laminated film in which a first transparent film is bonded to one side of a resin film and a second transparent film is bonded to the other side via an adhesive layer or an adhesive layer,
The second transparent film is a single-layered (meth) acrylic film having a thickness of 60 탆 or more and a tensile elastic modulus of 2000 MPa to 3147 MPa,
The resin film and the first transparent film are passed through between the first pair of rolls to form a laminated film,
Layer laminated film is formed by passing the laminated film and the second transparent film through a space between the second pair of rolls without winding the laminated film to form a multilayer laminated film.
제1항에 있어서, 수지 필름은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 필름이며, 투명 필름은 투명 보호 필름인 다층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The method for producing a multilayer laminated fil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sin film is a polyvinyl alcohol polarizing film and the transparent film is a transparent protective film. 제2항에 있어서,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 필름은 수분율이 10 내지 30중량%인 다층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The method for producing a multilayer laminated film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polyvinyl alcohol polarizing film has a water content of 10 to 30% by weigh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 롤 사이를 통과시키기 전에, 제1 투명 필름 또는 제2 투명 필름의 수지 필름이 적층되는 면측에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도포 시공하는 다층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The method for producing a multilayer laminated film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n adhesive or an adhesive is applied to the side of the first transparent film or the second transparent film on which the resin film is laminated before passing between the rolls.
KR1020120012247A 2011-02-08 2012-02-07 Method for manufacturing laminated multilayer film KR10193095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24999 2011-02-08
JP2011024999 2011-02-08
JP2011230931A JP2012179893A (en) 2011-02-08 2011-10-20 Method for manufacturing laminated multilayer film
JPJP-P-2011-230931 2011-10-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0852A KR20120090852A (en) 2012-08-17
KR101930958B1 true KR101930958B1 (en) 2018-12-19

Family

ID=46617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2247A KR101930958B1 (en) 2011-02-08 2012-02-07 Method for manufacturing laminated multilayer film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30958B1 (en)
CN (1) CN102632680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18183A (en) * 2014-07-11 2016-02-01 住友化学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05824068A (en) * 2015-01-06 2016-08-03 厦门三德信电子科技有限公司 Polarization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equipment for implementing same
CN106032065A (en) * 2015-03-17 2016-10-19 鼎基化学工业股份有限公司 Film adhering manufacturing method and film adhering manufacturing apparatus
KR102475404B1 (en) * 2015-07-16 2022-12-07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Polyvinyl alcohol-based film and polarizing film
WO2017138449A1 (en) * 2016-02-08 2017-08-17 住友化学株式会社 Method for manufacturing layered optical film
KR101734776B1 (en) * 2016-06-22 2017-05-11 주식회사 엘지화학 The manufacturing method of optical film and optical fil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18266A (en) 2005-10-26 2007-05-17 Toray Ind Inc Acrylic fil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2007256475A (en) * 2006-03-22 2007-10-04 Nippon Zeon Co Ltd Polarizing plate for liquid crystal display,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8003423A (en) 2006-06-23 2008-01-10 Nippon Zeon Co Ltd Polarizing plate for liquid crystal display
JP2008037092A (en) * 2006-07-12 2008-02-21 Nitto Denko Corp Method for producing multilayer laminated fil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21155B2 (en) * 2002-09-24 2007-05-30 日東電工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plate
JP4335901B2 (en) * 2006-11-14 2009-09-30 日東電工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plate
CN101932960B (en) * 2008-02-04 2013-03-13 住友化学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optical memb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5051916B2 (en) * 2008-11-27 2012-10-17 日東電工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laminate fil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18266A (en) 2005-10-26 2007-05-17 Toray Ind Inc Acrylic fil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2007256475A (en) * 2006-03-22 2007-10-04 Nippon Zeon Co Ltd Polarizing plate for liquid crystal display,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8003423A (en) 2006-06-23 2008-01-10 Nippon Zeon Co Ltd Polarizing plate for liquid crystal display
JP2008037092A (en) * 2006-07-12 2008-02-21 Nitto Denko Corp Method for producing multilayer laminated 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632680A (en) 2012-08-15
CN102632680B (en) 2016-08-24
KR20120090852A (en) 201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97964B2 (en) Polarizer manufacturing method and cleaning apparatus
US9151882B2 (en) Optical display unit, and sheet material and roll for use therein
US9400406B2 (en)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KR101930958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laminated multilayer film
KR20160069479A (en) Method for producing phase-difference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laminated polarizing plate
JP5051916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laminate film
KR10177224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bricating optical film
WO2015159679A1 (en) Polarizing plate,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liquid-crystal display,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KR20180105604A (en) Method of manufacturing polarizer
JP2009014873A (en) Method for producing polarizer, polarizer, polarizing plate, image display device,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120188638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CN106199809B (en) Laminated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laminated film
JP2012228820A (en) Method of producing laminated film
JP2012179893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laminated multilayer film
JP2019211640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film roll
KR101156842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image display device
JP6772402B1 (e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olarizer,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olarizing film,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laminated polarizing film,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image display pane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image display device.
CN115113317A (en) Optical laminate,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image display device
TW202248021A (en) Circular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same
WO2018212112A1 (en) Circularly polarizing film, circularly polarizing film with adhesive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KR20110126352A (en) Method for preparing polarizing plate and polarizing plate
KR20130023097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ariz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