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0850B1 - 무릎관절 촬영 보조기구 및 이를 이용한 무릎관절 촬영방법 - Google Patents

무릎관절 촬영 보조기구 및 이를 이용한 무릎관절 촬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0850B1
KR101930850B1 KR1020180056924A KR20180056924A KR101930850B1 KR 101930850 B1 KR101930850 B1 KR 101930850B1 KR 1020180056924 A KR1020180056924 A KR 1020180056924A KR 20180056924 A KR20180056924 A KR 20180056924A KR 101930850 B1 KR101930850 B1 KR 101930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ee
patient
support
knee joint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6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9404A (ko
Inventor
허영범
홍윤기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56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0850B1/ko
Publication of KR20180059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9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0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0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촬영 보조기구는 연결바, 상기 연결바의 일단에 결합되며, 환자의 양측 무릎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무릎을 외측에서 내측으로 지지하는 제1지지부 및 상기 연결바의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환자의 양측 무릎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무릎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지지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릎관절 촬영 보조기구 및 이를 이용한 무릎관절 촬영방법{PHOTOGRAPH AIDING DEVICE AND METOHD FOR KNEE JOINT}
본 발명은 무릎관절 촬영 보조기구 및 이를 이용한 무릎관절 촬영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측 무릎을 동시에 촬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무릎관절 촬영 보조기구 및 이를 이용한 무릎관절 촬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화로 인한 관절염 또는 운동 및 야외활동 시 사고로 인한 무릎 인대 파열 등은 자가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e: MRI) 촬영을 통해 파손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자가공명영상은 촬영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로 비용이 비싸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보다 간편하고 저렴한 가격으로 무릎관절을 검사할 수 있도록 X-Ray를 이용한 무릎 스트레스 검사법이 사용되고 있다.
무릎 스트레스 검사법은 무릎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가압하는 외반슬(VALGUS) 검사 또는 무릎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가압하는 내반슬(VARUS) 검사가 있으며, 무릎을 가압한 후 무릎관절을 촬영하여 무릎이 변형되는 각도에 따라 인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선행문헌(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6-0120781호)에 개시된 내용과 같이, 장치를 이용하여 무릎을 가압하여 무릎관절 즉 인대에 대한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검사장치의 경우 양측 무릎을 각각 따로 가압하여 검사를 진행해야 하므로 소요되는 검사 시간이 길고, 가압하는 방향에 따라 검사장치를 무릎에 고정하고 해제하는 작업이 많아지므로 조작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조작이 간단하고 검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검사장치가 필요할 수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6-0120781호(공개일: 2006.11.28)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양측 무릎을 동시에 가압할 수 있는 무릎관절 촬영 보조기구 및 이를 이용한 무릎관절 촬영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연결바, 상기 연결바의 일단에 결합되며, 환자의 양측 무릎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무릎을 외측에서 내측으로 지지하는 제1지지부 및 상기 연결바의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환자의 양측 무릎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무릎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지지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무릎관절 촬영 보조기구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연결바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 및 상기 연결바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1지지부재 및 상기 제2지지부재와 상기 연결바와의 거리를 조절하는 제1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조절부는 상기 제1지지부재 및 상기 제2지지부재를 상기 연결바에 결합시키는 제1연결부재 및 상기 제1연결부재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제1지지부재 및 상기 제2지지부재에 의하여 상기 환자의 무릎에 가해지는 압력을 제어하는 제1압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자의 무릎은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의 상하면에 결합되는 상기 제1연결부재 사이의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재 및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무릎의 외측에 접촉하는 일면이 곡면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연결바에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바는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연결바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3지지부재와 제4지지부재 및 상기 연결바의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3지지부재 및 상기 제4지지부재와 상기 연결바와의 거리를 조절하는 제2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조절부는 상기 제3지지부재 및 상기 제4지지부재를 상기 연결바에 결합시키는 제2연결부재 및 상기 제2연결부재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제3지지부재 및 상기 제4지지부재에 의하여 상기 환자의 무릎에 가해지는 압력을 제어하는 제2압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지지부재 및 상기 제4지지부재는 상기 무릎의 내측과 접촉하는 일면이 곡면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연결바의 일단과 상기 제1지지부 사이에 상기 환자의 무릎을 배치시키는 제1결합단계, 상기 제1지지부를 상기 연결바를 향해 이동시켜 상기 환자의 양측 무릎의 외측을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무릎을 촬영하는 외반슬검사단계, 상기 제1지지부를 상기 무릎으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연결바의 타단과 상기 제2지지부를 상기 환자의 무릎 사이에 배치시키는 제2결합단계 및 상기 제2지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의 양측 무릎의 내측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무릎을 촬영하는 내반슬검사단계를 포함하는 무릎관절 촬영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외반슬검사단계에서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환자의 양측 발목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발목의 내측을 지지하고, 상기 내발슬검사단계에서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환자의 양측 발목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발목의 외측을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연결바, 상기 연결바의 일단에 결합되며, 환자의 무릎의 후면을 지지하며, 상기 무릎을 중심으로 상하부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는 제1접촉부재 및 상기 연결바의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환자의 무릎의 전면을 지지하는 제2접촉부재를 포함하는 무릎관절 촬영 보조기구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연결바의 길이 조절에 따라 상기 제1접촉부재 및 상기 제2접촉부재에 의하여 상기 무릎의 전후면에 가해지는 압력이 가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연결바의 일단과 타단이 각각 상기 환자의 무릎의 후면과 전면에 위치하도록 배치하는 기구배치단계, 상기 제1접촉부재 및 상기 제2접촉부재가 상기 무릎의 후면 및 전면을 향해 이동하도록 상기 연결바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단계 및 상기 제1접촉부재와 상기 제2접촉부재에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변형된 상기 무릎을 촬영하는 촬영단계를 포함하는 무릎관절 촬영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촬영 보조기구 및 이를 이용한 무릎관절 촬영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양측 무릎을 동시에 가압할 수 있어 촬영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둘째, 양측 무릎에 힘을 동일하게 가함으로써 검사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셋째,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내반슬 검사 및 외반슬 검사를 모두 진행할 수 있으며 조작이 간편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촬영 보조기구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촬영 보조기구를 이용한 외반슬 검사 및 내반슬 검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촬영 보조기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촬영 보조기구를 이용한 외반슬 검사 및 내반슬 검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촬영 보조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촬영 보조기구를 이용한 외반슬 검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촬영 보조기구를 이용한 무릎관절 촬영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촬영 보조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촬영 보조기구를 이용한 무릎 전후면에 대한 검사를 진행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그리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촬영 보조기구를 이용한 무릎관절 촬영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촬영 보조기구는 환자의 양측 무릎에 대하여 동시에 검사를 진행하기 위한 발명으로 제1지지부(200)를 이용하여 무릎관절에 대한 외반슬 검사를 진행하고, 제2지지부(300)를 이용하여 무릎관절에 대한 내반슬 검사를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촬영 보조기구에 대하여 설명하고,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촬영 보조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촬영 보조기구에 대하여 설명하며,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촬영 보조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무릎관절 촬영 보조기구의 구성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촬영 보조기구는 연결바(100), 제1지지부(200) 및 제2지지부(300)를 포함한다.
연결바(100)는 환자의 다리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제1지지부(200)는 연결바(100)의 일단(100a)에 결합되며, 환자의 양측 무릎(50)의 외측(B)에 배치되고, 무릎(50)을 외측(B)에서 내측(A)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2지지부(300)는 연결바(100)의 타단(100b)에 결합되며, 환자의 양측 무릎(50) 사이에 배치되고, 무릎(50)을 내측(A)에서 외측(B)으로 지지할 수 있다.
우선,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촬영 보조기구에 포함되는 제1지지부(200)에 대하여 살펴본다.
제1지지부(200)
제1지지부(200)는 제1지지부재(210), 제2지지부재(220) 및 제1조절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부재(210) 및 제2지지부재(220)는 연결바(100)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지지부재(210) 및 제2지지부재(220)는 연결바(100)의 일단(100a)을 중심으로 양측에 이격 배치되며, 환자의 양측 무릎(50)은 연결바(100)와 제1지지부재(210) 사이 및 연결바(100)와 제2지지부재(220) 사이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조절부(230)는 연결바(100)의 일단(100a)에 결합되며, 제1지지부재(210) 및 제2지지부재(220)와 연결바(100)와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지지부재(210) 및 제2지지부재(220)를 연결바(100)에 대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제1조절부(230)는 제1연결부재(260) 및 제1압력수단(2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부재(260)는 제1지지부재(210) 및 제2지지부재(220)를 연결바(1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1연결부재(260)는 제1지지부재(210)와 제2지지부재(220)의 상하면에 각각 결합되거나 저면(200a)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연결부재(260)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부재(210)와 제2지지부재(220)의 상하면에 각각 결합되거나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부재(210)와 제2지지부재(220)의 저면(200a)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우선, 제1연결부재(260)가 제1지지부재(210)와 제2지지부재(220)의 상하면에 결합될 경우 제1연결부재(260)는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환자의 무릎(50)은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부재(210)와 제2지지부재(220)의 상하면에 결합되는 제1연결부재(260) 사이의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제1압력수단(250)은 제1연결부재(260)의 길이를 조절하여 제1지지부재(210) 및 제2지지부재(220)에 의하여 환자의 무릎(50)에 가해지는 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내용과 같이, 제1연결부재(260)가 와이어로 형성될 경우 제1압력수단(250)은 제1연결부재(26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보아다이얼(Boa Dial)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압력수단(250)을 이용하여 제1지지부재(210)와 제2지지부재(220)의 상하면에 각각 위치하는 제1연결부재(260)의 길이는 동일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지지부재(210) 및 제2지지부재(220)가 동일선상에서 환자의 무릎(50)의 외측(B)에서 내측(A)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으므로, 환자의 양측 무릎(50)에 가해지는 힘이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1지지부재(210) 및 제2지지부재(220)는 무릎(50)의 외측(B)과 접촉하는 일면(S1)이 곡면을 이룰 수 있다.
즉, 곡면을 통해 환자의 무릎(50) 외측(B)에 힘을 전달하고, 또한, 외반슬 검사 과정에서 환자의 무릎(50)이 외측으로 변형되는 과정에 제1지지부재(210) 및 제2지지부재(220)에 의하여 무릎(50)의 변형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촬영 보조기구에서 제1연결부재(260)는 제1지지부재(210)와 제2지지부재(220)의 저면(200a)에 각각 결합될 수 있으며, 이 때, 길이 가변을 위하여 피스톤(Piston) 또는 텔레스코프(Telescope)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연결부재(260)가 피스톤 또는 텔레스코프 형태로 형성될 경우 제1압력수단(250)은 모터와 같은 구동수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촬영 보조기구의 제1연결부재(260)와 제1압력수단(250)은 이상에서 설명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촬영 보조기구는 제1지지부(200)를 이용하여 환자의 무릎(50)에 대한 외반슬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촬영 보조기구의 제2지지부(300)에 대하여 살펴본다.
제2지지부(300)
도 1 내디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촬영 보조기구의 제2지지부(300)는 환자의 무릎(50)을 내측(A)에서 외측(B)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무릎(50)에 대한 내반슬 검사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촬영 보조기구의 제2지지부(300)는 연결바(100)에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다양한 길이의 제1조조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환자의 무릎(50) 파열 정도에 따라 무릎(50)이 내측(A)에서 외측(B)으로 변형되는 정도가 다르므로 서로 다른 길이의 제2지지부(300)를 이용하여 무릎(50)을 지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2지지부(300)의 길이를 단계별로 증가하여 연결바(100)에 결합시켜 환자의 무릎(50)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촬영 보조기구는 길이가 가변이 되는 제2지지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지지부(300)는 제3지지부재(310), 제4지지부재(320) 및 제2조절부(3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지지부재(310) 및 제4지지부재(320)는 연결바(100)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지지부재(310) 및 제4지지부재(320)는 무릎(50)의 내면(A)과 접촉하는 일면(S2)이 곡면을 이룰 수 있다.
즉, 제3지지부재(310) 및 제4지지부재(320)는 연결바(100)의 타단(100b)을 중심으로 양측에 이격 배치되며, 환자의 양측 무릎(50) 사이에 위치하여 환자의 무릎(50) 내면(A)으로부터 외면(B)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제1지지부(200)는 환자의 발목의 외면을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조절부(330)는 연결바(100)의 타단(100b)에 결합되며, 제3지지부재(310) 및 제4지지부재(320)와 연결바(100)와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제2조절부(330)에 의하여 제2지지부(300)와 연결바(100)와의 거리가 조절됨에 따라 제2지지부(300)와 환자의 무릎(50) 내면(A) 사이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조절부(330)는 제2연결부재(360)과 제2압력수단(3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연결부재(360)는 제3지지부재(310) 및 제4지지부재(320)와 각각 연결되며,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제2연결부재(360)는 앞서 설명한 제1연결부재(260)와 같이 피스톤(Piston) 또는 텔레스코프(Telescope)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연결부재(26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압력수단(350)은 제2연결부재(360)의 길이를 조절하여 제3지지부재(310) 및 제4지지부재(320)에 의하여 환자의 무릎(50)에 가해지는 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압력수단(350)에 의하여 제2연결부재(360)의 길이가 가변됨에 따라 제3지지부재(310)와 제4지지부재(320)가 환자의 무릎(50) 내측(A)에서 외측(B)으로 이동하여 환자의 무릎(50)을 가압함으로써 내반슬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촬영 보조기구는 제1지지부(200) 및 제2지지부(300)을 이용하여 무릎관절에 대한 스트레스 검사법 중 외반슬 검사 및 내반슬 검사를 각각 진행할 수 있다.
무릎관절 촬영 보조기구를 이용한 무릎관절 촬영방법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촬영 보조기구를 이용한 무릎관절 촬영방법은 제1결합단계(S100), 외반슬검사단계(S200), 제2결합단계(S300) 및 내반슬검사단계(S400)를 포함한다.
제1결합단계(S100)는 연결바(100)의 일단(100a)과 제1지지부(200) 사이에 환자의 무릎(50)을 배치하는 단계로, 양측 무릎(50)이 각각 제1지지부(200)와 연결바(100)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이어서, 외반슬검사단계(S200)는 제1지지부(200)를 연결바(100)를 향해 이동시켜 환자의 양측 무릎(50)의 외측(B)을 가압한 상태에서 무릎(50)을 촬영하는 단계이다.
즉, 제1지지부(200)를 이용하여 무릎(50)의 외측(B)을 가압하면 환자의 무릎(50)이 변형되며, 변형된 상태의 무릎(50)을 촬영하여 무릎(50) 인대 파열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제2지지부(300)는 환자의 양측 발목 사이에 배치되어 환자의 발목의 내측을 지지할 수 있다.
이어서, 제2결합단계(S300)에서는 제1지지부(200)를 무릎(50)으로부터 분리하고, 연결바(100)의 타단(100b)과 제2지지부(300)를 환자의 무릎(50) 사이에 배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지지부(300)에 의하여 환자의 무릎(50) 내측(A)이 지지될 수 있다.
이 때, 제1지지부(200)는 환자의 양측 발목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지지부(300)를 이용하여 환자의 무릎(50)을 가압하는 과정에 환자의 다리를 지지할 수 있다.
제2지지부(300)를 이용하여 환자의 양측 무릎(50)의 내측(A)을 지지한 상태에서 내반슬검사단계(S400)를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단계들을 통하여 환자의 무릎(50)에 대한 외반슬 검사와 내반슬 검사를 각각 진행함으로써 환자의 무릎(50) 인대 파열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제4실시예
한편,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촬영 보조기구는 연결바(100), 제1접촉부재(400) 및 제2접촉부재(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촬영 보조기구는 연결바(100)가 타단(100b)과 일단(100a)이 각각 무릎(50)의 전후면(CD)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접촉부재(400)는 연결바(100)의 일단(100a)에 결합되며, 환자의 무릎(50)의 후면(D)을 지지하며, 무릎(50)을 중심으로 상하부에 각각 하나씩 구비될 수 있다.
제2접촉부재(500)는 연결바(100)의 타단(100b)에 결합되며, 환자의 무릎(50)의 전면(C)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연결바(10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연결바(100)의 길이 조절에 따라 제1접촉부재(400)와 제2접촉부재(500)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며, 이에 따라, 제1접촉부재(400)와 제2접촉부재(500)에 의하여 환자의 무릎(50)의 전후면(CD)에 가해지는 압력이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제1접촉부재(400)와 제2접촉부재(500)는 무릎(50)과 접촉하는 일면(S3)이 곡면을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촬영 보조기구를 이용하여 환자의 무릎(50)의 전면(C) 인대 파열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무릎관절 촬영 보조기구를 이용한 무릎관절 촬영방법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촬영 보조기구를 이용한 무릎관절 촬영방법은 기구배치단계(SS100), 길이조절단계(SS200) 및 촬영단계(SS300)를 포함한다.
기구배치단계(SS100)에서는 연결바(100)의 일단(100a)과 타단(100b)이 각각 환자의 무릎(50)의 후면(D)과 전면(C)에 위치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어서, 길이조절단계(SS200)에서는 제1접촉부재(400) 및 제2접촉부재(500)가 무릎(50)의 후면(D) 및 전면(C)을 향해 이동하도록 연결바(1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연결바(100)의 길이 조절을 통해 제1접촉부재(400)와 제2접촉부재(50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무릎(50)에 가해지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어서, 제1접촉부재(400)와 제2접촉부재(500)에 의하여 전후(CD)방향으로 변형된 무릎(50)을 촬영할 수 있다(SS30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른 무릎관절 촬영 보조기구 및 이를 이용한 무릎관절 촬영방법은 하나의 기구를 이용하여 외반슬 검사와 내반슬 검사를 진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측 무릎(50)을 동시에 검사할 수 있어 검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양측 무릎(50)에 가해지는 압력이 동일하여 검사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50: 무릎 100: 연결바
100a: 일단 100b: 타단
200: 제1지지부 200a: 저면
210: 제1지지부재 220: 제2지지부재
230: 제1조절부 250: 제1압력수단
260: 제1연결부재 300: 제2지지부
310: 제3지지부재 320: 제4지지부재
330: 제2조절부 350: 제2압력수단
360: 제2연결부재 400: 제1접촉부재
500: 제2접촉부재 A: 내측
B: 외측 C: 전면
D: 후면 S1, S2, S3: 일면
S100: 제1결합단계
S200: 외반슬검사단계
S300: 제2결합단계
S400: 내반슬검사단계
SS100: 기구배치단계
SS200: 길이조절단계
SS300: 촬영단계

Claims (12)

  1. 연결바;
    상기 연결바의 일단에 결합되며, 환자의 양측 무릎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무릎을 외측에서 내측으로 지지하는 제1지지부; 및
    상기 연결바의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환자의 양측 무릎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무릎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지지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연결바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 및
    상기 연결바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1지지부재 및 상기 제2지지부재와 상기 연결바와의 거리를 조절하는 제1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조절부는,
    상기 제1지지부재 및 상기 제2지지부재를 상기 연결바에 결합시키는 제1연결부재; 및
    상기 제1연결부재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제1지지부재 및 상기 제2지지부재에 의하여 상기 환자의 무릎에 가해지는 압력을 제어하는 제1압력수단;
    을 포함하는 무릎관절 촬영 보조기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무릎은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의 상하면에 결합되는 상기 제1연결부재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무릎관절 촬영 보조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재 및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무릎의 외측에 접촉하는 일면이 곡면을 이루는 무릎관절 촬영 보조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연결바에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무릎관절 촬영 보조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는 길이가 가변되는 무릎관절 촬영 보조기구.
  8. 제1항의 무릎관절 촬영 보조기구를 이용한 무릎관절 촬영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의 일단과 상기 제1지지부 사이에 상기 환자의 무릎을 배치시키는 제1결합단계;
    상기 제1지지부를 상기 연결바를 향해 이동시켜 상기 환자의 양측 무릎의 외측을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무릎을 촬영하는 외반슬검사단계;
    상기 제1지지부를 상기 무릎으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연결바의 타단과 상기 제2지지부를 상기 환자의 무릎 사이에 배치시키는 제2결합단계; 및
    상기 제2지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의 양측 무릎의 내측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무릎을 촬영하는 내반슬검사단계;
    를 포함하는 무릎관절 촬영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반슬검사단계에서,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환자의 양측 발목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발목의 내측을 지지하고,
    상기 내반슬검사단계에서,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환자의 양측 발목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발목의 외측을 지지하는 무릎관절 촬영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80056924A 2018-05-18 2018-05-18 무릎관절 촬영 보조기구 및 이를 이용한 무릎관절 촬영방법 KR101930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924A KR101930850B1 (ko) 2018-05-18 2018-05-18 무릎관절 촬영 보조기구 및 이를 이용한 무릎관절 촬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924A KR101930850B1 (ko) 2018-05-18 2018-05-18 무릎관절 촬영 보조기구 및 이를 이용한 무릎관절 촬영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8017A Division KR101861115B1 (ko) 2016-11-25 2016-11-25 무릎관절 촬영 보조기구 및 이를 이용한 무릎관절 촬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404A KR20180059404A (ko) 2018-06-04
KR101930850B1 true KR101930850B1 (ko) 2019-03-11

Family

ID=62628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6924A KR101930850B1 (ko) 2018-05-18 2018-05-18 무릎관절 촬영 보조기구 및 이를 이용한 무릎관절 촬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08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74485A (zh) * 2019-01-31 2019-04-26 中南大学湘雅医院 一种膝关节x线影像检测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349639B1 (ko) 2020-01-08 2022-01-10 학교법인 건국대학교 거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릎 촬영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55211A1 (en) 2008-06-17 2009-12-23 Civco Medical Instruments Co., Inc. Patient positioning system
JP2010042290A (ja) 2009-11-20 2010-02-25 Univ Of Tokyo 骨検査システムおよび下腿支持装置
KR101569284B1 (ko) * 2014-07-25 2015-11-16 권대철 의료영상검사용 신체부위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9539A (ko) * 2004-12-17 2006-06-21 이영호 슬관절 퇴행성 관절염으로 인한 통증 완화 및 오형으로변형된 다리 교정과 관절염 예방을 위한 보조장치
KR20060120781A (ko) 2005-05-23 2006-11-28 메딕스얼라인 주식회사 인대 검사를 위한 다리의 지지 및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55211A1 (en) 2008-06-17 2009-12-23 Civco Medical Instruments Co., Inc. Patient positioning system
JP2010042290A (ja) 2009-11-20 2010-02-25 Univ Of Tokyo 骨検査システムおよび下腿支持装置
KR101569284B1 (ko) * 2014-07-25 2015-11-16 권대철 의료영상검사용 신체부위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404A (ko) 2018-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5519B2 (en) Robotic knee testing (RKT) device having decoupled drive capability and systems and methods providing the same
KR101930850B1 (ko) 무릎관절 촬영 보조기구 및 이를 이용한 무릎관절 촬영방법
US8840570B2 (en) Multi-section limb and ligament evalu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for using same
US7976482B2 (en) Device and method for knee ligament strain measurement
KR101310530B1 (ko) 맥 측정 장치 및 그의 맥 측정 방법
US6499484B1 (en) Crucial ligaments loading device
JP2000000223A (ja) Mri用垂直マグネット装置およびmri装置
US5427116A (en) Device for maintaining a desired load on a joint during observation under magnetic resonance imaging
KR101861115B1 (ko) 무릎관절 촬영 보조기구 및 이를 이용한 무릎관절 촬영방법
JP2011101662A (ja) 膝関節撮像用架台
US5662121A (en) Medical diagnostic device for applying controlled stress to joints
KR200229320Y1 (ko)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
JP4917397B2 (ja) 身体固定補助装置
JP2006296447A (ja) 関節用画像診断補助具
JP2017104538A (ja) X線撮影装置
KR101748590B1 (ko) 무릎 및 발목 인대 파열 검사 장치
KR102612786B1 (ko) 과간와 후전축방향 방사선 촬영용 지지기구
CN219229923U (zh) 一种膝关节的推力施加装置
CN219397311U (zh) 一种卧式下肢负重模拟装置及ct摄片系统
CN117158976B (zh) 一种新型膝关节前向松弛度测量仪
CN110742637A (zh) 用于x光片的压力检测设备
KR102509017B1 (ko) 인체부하제공장치, 인체부하제공시스템, 인체부하제공방법 및 신체검사방법
JP2020081743A (ja) 下肢荷重位誘導装置
KR20190092678A (ko) 검사 정보의 자동 저장이 가능한 듀얼 무릎 및 발목 인대 파열 검사 장치
KR102412730B1 (ko) 방사선 검사용 후족부 자세 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