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2730B1 - 방사선 검사용 후족부 자세 보조기 - Google Patents

방사선 검사용 후족부 자세 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2730B1
KR102412730B1 KR1020200092731A KR20200092731A KR102412730B1 KR 102412730 B1 KR102412730 B1 KR 102412730B1 KR 1020200092731 A KR1020200092731 A KR 1020200092731A KR 20200092731 A KR20200092731 A KR 20200092731A KR 102412730 B1 KR102412730 B1 KR 102412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ing plate
actuator
seating
plate
hind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2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4409A (ko
Inventor
김상현
Original Assignee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92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2730B1/ko
Publication of KR20220014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4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61B6/0407Supports, e.g. tables or beds, for the body or part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7Measuring of profi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61B6/0487Motor-assisted positio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지부동, 만곡증과 같은 질환이 있는 피측정자의 자세를 방사선 검사에 최적화된 자세가 되도록 보조하여 보다 객관적이고 신뢰도가 높은 방사선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자세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사선 검사용 후족부 자세 보조기{POSTURE ASSIST DEVICE FOR RADIOGRAPHY}
본 발명은 방사선 검사용 후족부 자세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사선 검사시 후족부 만곡증이나 하지부동이 있는 피측정자의 후족부 자세를 안정적으로 보조하는 자세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하지나 척추의 정렬을 평가하는 것은 정형의과의 진단적 영역뿐만 아니라, 수술을 계획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하지나 척추의 정확한 정렬 상태를 평가해야 하는 질환들로는 다양한 선천성 질환(선천성 편측 비대중, 선천성 만곡족, 구루병, 골형성 부전중 등) 및 후천성 질환(만곡족, 외반족과 같은 족부변형 등)이 있으며, 전 연령층에서 나타난다.
이러한 질환들의 진단과 치료 계획을 세우는 데는 변형의 정도에 대하여 정확한 평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는 측정된 변형의 정도를 기반으로 수술적으로 얼마만큼의 교정을 얻을지 계획을 세워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확한 평가를 위해 표준적이고 재촬영(reproducibility)이 가능한 정량적 촬영법이 반드시 필요하다. 기존의 스캐노그램(scanogram) 촬영시처럼 피측정자가 체중을 양쪽 발에 균등하게 주지 못하거나, 똑바로 서지 않고 비스듬히 선다면, 측정시마다 피측정자의 자세가 달라지고 정렬 각도가 달라질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올바른 질병의 진단과 치료 계획을 세우기 위해, 하중부하에 따른 후족부 정렬을 평가하여, 족관절의 장애 및 후족부의 외반(Valgus), 내반(Varus) 정도 등을 평가하는데 중요한 방사선학적 검사방법인 후족부 정렬 뷰(hindfoot alignment view)를 이용한다.
그런데, 후족부 정렬뷰에 따른 검사시, 방사선사의 경험에 의하여 양쪽 발에 균등하게 체중 부하를 줬을 것으로 판단하여 검사가 시행되므로, 후족부 정렬측정의 신뢰도가 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피측정자의 양쪽 발에 균등한 체중을 주어 자세를 일정하게 할 수 있는 기술(공개특허 10-2018-0124652, 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이 개시된 바 잇다.
상기 종래기술은 피측정자의 양쪽 다리 길이가 달라 균형자세를 취하지 못하더라도, 높이 조절기들에 의해 체중계들의 높이를 조절하여 다리 길이를 보상함으로써, 피측정자가 균형 자세를 취할 수 있게 하여 방사선 검사에서 검사 정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단순히, 양 다리길이가 다른 피측정자에 대해서만 적용 가능하고, 만곡족, 외반족과 같은 후족부 만곡변형을 동반한 질환을 가지는 환자에 대해서는 적용이 힘들고, 정확한 검사 결과를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공개특허 10-2018-0124652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하지부동, 만곡증과 같은 질환이 있는 피측정자의 자세를 방사선 검사에 최적화된 자세가 되도록 보조하여 보다 객관적이고 신뢰도가 높은 방사선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자세 보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후족부가 안착되는 한 쌍의 안착판; 상기 안착판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안착판 각각을 상하, 좌우, 전후 방향으로 경사이동시켜 기울기를 조절하는 엑츄에이터; 상기 한 쌍의 안착판 각각에 내장되며 상기 안착판과 후족부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압센서; 및 상기 엑츄에이터의 구동에 따라 경사이동된 안착판의 높이와 기울기를 측정하는 각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센서에 의해 측정된 안착판의 높이와 기울기를 도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엑츄에이터는, 상기 안착판의 전방 좌측 모서리 부분에 배치되는 제1 엑츄에이터; 상기 안착판의 전방 우측 모서리 부분에 배치되는 제2 엑츄에이터; 상기 안착판의 후방 좌측 모서리 부분에 배치되는 제3 엑츄에이터; 및 상기 안착판의 후방 우측 모서리 부분에 배치되는 제4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2, 3, 4 엑츄에이터가 각각 개별 동작해 후족부의 만곡정도에 따라 안착판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센서는, 상기 제1 엑츄에이터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안착판의 전방 좌측 모서리와의 제1 거리를 측정하는 제1 각센서; 상기 제2 엑츄에이터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안착판의 전방 우측 모서리와의 제2 거리를 측정하는 제2 각센서; 상기 제3 엑츄에이터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안착판의 후방 좌측 모서리와의 제3 거리를 측정하는 제3 각센서; 및 상기 제4 엑츄에이터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안착판의 후방 우측 모서리와의 제4 거리를 측정하는 제4 각센서;를 포함하며, 측정된 제1, 2, 3, 4 거리를 근거로 상기 안착판의 기울기가 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압센서는, 상기 안착판의 전방 좌측에 배치되는 제1 압센서; 상기 안착판의 전방 우측에 배치되는 제2 압센서; 및 상기 안착판의 후방 중앙에 배치되는 제3 압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하지부동이 있거나, 만곡증과 같은 질환이 있는 피측정자의 자세를 방사선 검사에 최적화된 자세가 되도록 보조하여 보다 객관적이고 신뢰도가 높은 방사선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둘째, 제1, 2, 3, 4 엑츄에이터 각각이 개별 동작해 안착판을 경사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후족부의 만곡을 동반하지 않은 상태에서 단순히 하지부동이 있는 피측정자는 물론이고, 전후, 좌우 방향의 후족부 만곡이 복합적으로 있는 피측정자에 대해서도 안착판을 신체상황에 맞게 탄력적으로 조절해 사용할 수 있다.
셋째, 압센서를 통해 후족부가 안착판에 균일하게 접촉되었는지의 여부를 제공하여 검사시 피측정자의 올바른 자세고정을 가능케 하고, 필요에 따라 안착판의 위치를 수정할 수 있도록 해 정확하고 객관적인 방사선 영상이 획득될 수 있도록 보조한다.
넷째, 각센서를 통해 안착판의 이동량을 수치적으로 측정하여 안착판에 안착된 후족부의 만곡 정도, 하지부동의 양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세 보조기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자세 보조기의 요부 구성에 따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구성들의 분해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안착판 일부분의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한 쌍의 안착판이 상하 높이차를 두고 세팅된 상태의 요부 구성을 정면 기준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안착판이 전후 방향으로 경사이동된 상태의 요부 구성을 우측면 기준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안착판이 좌우 방향으로 경사이동된 상태의 요부 구성을 정면 기준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안착판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측정그리드가 전개된 상태의 자세 보조기 외관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세 보조기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자세 보조기의 요부 구성에 따른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구성들의 분해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안착판 일부분의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한 쌍의 안착판이 상하 높이차를 두고 세팅된 상태의 요부 구성을 정면 기준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안착판이 전후 방향으로 경사이동된 상태의 요부 구성을 우측면 기준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안착판이 좌우 방향으로 경사이동된 상태의 요부 구성을 정면 기준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안착판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측정그리드가 전개된 상태의 자세 보조기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발명의 설명에 앞서, 엄밀하지 않는 방향기준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도 1에 도시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상하(y), 좌우(x), 전후(z)를 나누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설명에서도 이 기준에 따라 방향기준을 특정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자세 보조기의 전방과 후방에는 방사선기기가 배치될 수 있으며, 피측정자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세 보조기에 올라 자세를 취한 뒤 방사선기기에 의해 방사선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세 보조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후족부가 안착되는 한 쌍의 안착판(20), 상기 안착판(2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안착판(20) 각각을 상하, 좌우, 전후 방향으로 경사이동시켜 기울기를 조절하는 엑츄에이터(30), 상기 한 쌍의 안착판(20) 각각에 내장되며 상기 안착판(20)과 후족부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압센서(40) 및 상기 엑츄에이터(30)의 구동에 따라 경사이동된 안착판(20)의 높이와 기울기를 측정하는 각센서(5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자세 보조기는 자세 보조기의 외관을 구성하는 케이스(1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케이스(10)는 상면이 개방된 함체 형태로 구성되고, 내부로 상기 안착판(20), 엑츄에이터(30) 등의 구성들을 수용한다. 특히, 케이스(10)의 개방된 상면으로는 안착판(20)이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10)에는 피측정자가 올라 서서 손으로 집을 수 있는 손잡이(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피측정자는 상기 손잡이(11)를 잡고 안착판(20) 위에서 균형을 잡을 수 있다.
안착판(20)은 피측정자가 올라 서게 되는 부분으로, 평평한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피측정자의 내반, 외반 등의 후족부 만곡형태에 대응되도록 자체가 경사이동되어 일정 기울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안착판(20)은 피측정자의 양 다리를 각각 지지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안착판(20) 각각의 경사도를 개별 제어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안착판(20)의 상면에는 안착된 후족부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논슬립패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엑츄에이터(30)는 안착판(20)을 지지한 채로 제어신호에 따라 안착판(20)을 경사이동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본 설명에서의 엑츄에이터(30)는 전자제어가 가능한 공지의 유, 공압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의 안착판(20) 각각을 한 쌍의 엑츄에이터(30) 그룹이 개별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편측 엑츄에이터(30) 그룹에 대해서만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안착판(20)이 사각형 형태일 때 엑츄에이터(30)는 사각형 안착판(20)의 각 모서리부분에 위치하여 안착판(20)을 경사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엑츄에이터(3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판(20)의 전방 좌측 모서리 부분에 배치되는 제1 엑츄에이터(30-1), 안착판(20)의 전방 우측 모서리 부분에 배치되는 제2 엑츄에이터(30-2), 안착판(20)의 후방 좌측 모서리 부분에 배치되는 제3 엑츄에이터(30-3) 및 상기 안착판(20)의 후방 우측 모서리 부분에 배치되는 제4 엑츄에이터(30-4)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제1, 2, 3, 4 엑츄에이터(30-1,30-2,30-3,30-4) 각각은 제어신호를 통해 서로 개별 제어되어 안착판(20)을 경사이동시킬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평형 상태의 안착판(20) 자체를 상, 하로 평행이동시킬 수도 있다.
예컨대, 후족부의 만곡을 동반하지 않은 상태에서 단순히 하지부동이 있는 피측정자의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 3, 4 엑츄에이터(30-1,30-2,30-3,30-4)를 동시에 신장 또는 압축되도록 제어하여 안착판(20)의 상하 높낮이만 조절해 피측정자의 자세를 보조할 수 있다.
만일, 후족부의 만곡이 있는 피측정자의 경우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2, 3, 4 엑츄에이터(30-1,30-2,30-3,30-4)를 각각 개별 동작해 후족부의 만곡정도에 따라 안착판(20)을 경사이동시켜 피측정자를 안착판(20)에 올라서게 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피측정자를 안착판(20)에 올라서게 한 상태에서 안착판(20)을 경사이동시킬 수도 있다.
피측정자가 전후 방향의 후족부 만곡만 있을 경우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측 엑츄에이터(제1, 2 엑츄에이터) 또는 후방측 엑츄에이터(제3, 4 엑츄에이터)만 제어하여 안착판(20)을 전후 방향으로 경사이동시킬 수 있다.
또는, 피측정자가 좌우 방향의 만곡만 있을 경우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엑츄에이터(제1, 3 엑츄에이터) 또는 우측 엑츄에이터(제2, 4 엑츄에이터)만 제어하여 안착판(20)을 좌우 방향으로 경사이동시킬 수 있다.
전후, 좌우 만곡이 복합적으로 동반된 후족부에 대해서도, 제1, 2, 3, 4 엑츄에이터(30-1,30-2,30-3,30-4)가 각각 개별 동작해 안착판(20)을 경사이동시킬 수 있다.
제1, 2, 3, 4 엑츄에이터(30-1,30-2,30-3,30-4) 각각은 서로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이하 제1 엑츄에이터(30-1)의 구성에 대해서만 간략하게 설명한다.
제1 엑츄에이터(30-1)는 실린더 본체(31), 상기 실린더 본체(31)에서 신장 또는 압축되는 로드(32) 및 상기 로드(32)의 상단에 형성되는 구 형태의 피벗볼(3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안착판(20)의 하면에는 상기 피벗볼(33)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2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부(21)에는 상기 피벗볼(33)이 수용되도록 피벗볼(33)과 상보적인 피벗홀(22)이 형성될 수 있다.
로드(32)가 신장 또는 압축될 때 상기 상기 피벗홀(22) 내에서 피벗볼(33)이 구름 가능하게 작동하기 때문에 안착판(20)의 경사이동이 무리 없이 허용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엑츄에이터(30)와 안착판(20)은 안착판(20)의 경사이동을 무리 없이 허용할 수 있는 선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음을 밝힌다.
한편, 안착판(20)의 최외곽 모서리 지점에는 가이드홀(23)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홀(23)로 가이드봉(25)이 장착될 수 있다.
가이드봉(25)은 케이스(10)의 저면에서부터 상부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봉형 부재로, 안착판(20)에 피측정자가 올라섰을 때 안착판(20)이 피측정자의 하중에 의해 흔들리거나 요동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안착판(20)은 상기 가이드봉(25)에 의해 가이드되어 경사이동 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가이드봉(25)과 가이드홀(23) 모두 원형 단면을 가진 형태로 예시될 때 가이드봉(25)의 직경은 가이드홀(23)의 직경보다 작도록 구성되는 것이 안착판(20)이 경사이동될 때 가이드봉(25)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필요에 따라 도 4의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홀(23)의 상단과 하단에 라운드 형태의 베벨(24)을 형성하여 안착판(20)이 경사이동되었을 때 가이드봉(25)에 가이드홀(23)이 간섭되는 것을 최소화시키는 구조를 갖춘다.
다음으로, 압센서(40)는 안착판(20)에 안착된 후족부를 감지하여 안착신호를 생성한다. 압센서(40)는 후족부가 정확하게 안착판(20)에 안착되었는지를 판단해내기 위한 수단으로, 만일, 후족부가 안착판(20)에 정확히 안착되지 않은 상태로 자세 보조기에서 자세를 취해 방사선 검사를 진행할 경우 검사 정확도가 낮아짐은 당연하다.
더욱이, 평평한 안착판(20)과 달리 후족부 밑면은 해부학적으로 만곡지게 형성된다는 점에서 안착판(20)에 후족부 밑면이 균일하게 접촉될 수 없다.
즉, 피측정자가 안착판(20)에 올라서면 후족부 밑면 부위에서는 발가락의 복측과 발가락의 기부에서 바깥쪽 가장자리 및 발뒤꿈치의 전면만이 안착판(20)에 접촉한다. 그리고, 밑면 내측부는 거의 타원형으로 평면에서 떨어지게 되며, 이 부분을 발바닥의 장심이라고 부른다.
그러므로, 체중의 반은 뒤꿈치에, 나머지 반은 밀면 바닥의 전단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압센서(40)가 후족부의 밑면 발뒤꿈치 부분과 밀면 발가락을 향하는 전단부 부분에 접촉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압센서(40)를 마련한다.
예컨대, 압센서(40)는 상기 안착판(20)의 전방 좌측에 배치되는 제1 압센서(40-1), 안착판(20)의 전방 우측에 배치되는 제2 압센서(40-2) 및 안착판(20)의 후방 중앙에 배치되는 제3 압센서(40-3)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만일, 피측정자의 후족부가 안착판(20)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제1, 2, 3 압센서(40-1,40-2,40-3)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안착신호가 누락될 경우엔 피측정자의 후족부가 안착판(20)에 정확하게 안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피측정자의 자세를 수정하거나, 엑츄에이터(30)를 통해 안착판(20)의 위치를 수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각센서(50)는 엑츄에이터(30)에 의해 경사이동 또는 평행이동된 안착판(20)의 이동량을 수치적으로 측정하여 안착판(20)에 안착된 후족부의 만곡 정도, 하지부동의 양 등을 파악하는데 활용한다.
각센서(50)는 각각의 엑츄에이터(제1, 2, 3, 4 엑츄에이터)에서 로드(32)가 신장 또는 압축됨에 따라 이와 연동하는 안착판(20)의 모서리 부분의 상대 높이를 측정하는 공지의 적외선 또는 초음파 거리측정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센서(50)는 각각의 엑츄에이터(30) 일측에 설치되어 안착판(20)의 모서리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이를 위해, 각센서(50)는 제1 엑츄에이터(30-1)의 일측에 설치되어 안착판(20)의 전방 좌측 모서리와의 제1 거리를 측정하는 제1 각센서(50-1), 제2 엑츄에이터(30-2)의 일측에 설치되어 안착판(20)의 전방 우측 모서리와의 제2 거리를 측정하는 제2 각센서(50-2), 제3 엑츄에이터(30-3)의 일측에 설치되어 안착판(20)의 후방 좌측 모서리와의 제3 거리를 측정하는 제3 각센서(50-3) 및 제4 엑츄에이터(30-4)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안착판(20)의 후방 우측 모서리와의 제4 거리를 측정하는 제4 각센서(50-4)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즉, 측정된 제1, 2, 3, 4 거리를 근거로 상기 안착판(20)의 기울기와 높이가 도출될 수 있다.
예컨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이 들린 상태로 경사이동된 안착판(20)의 경우 각센서(50)에 의해 측정된 제1 거리와 제2 거리가 같고 제3 거리와 제4 거리가 이보다 크게 측정된 기울기를 가지며,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이 들린 상태로 경사이동된 안착판(20)의 경우 제1 거리와 제3 거리가 같고 제2 거리와 제4 거리가 이보다 크게 측정된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즉, 안착판(20)의 기울기는 각각의 각센서(50)에서부터 안착판(20)까지의 거리를 이용해 계산될 수 있다.
이렇게 각센서(50)에 의해 측정된 거리는 안착판(20)의 위치좌표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각각의 거리는 피측정자의 만곡정보로서 별도 기록될 수 있다.
불측의 사유로 재검을 해야할 경우 최초 검사시 자세 보조기에 기록된 피측정자의 만곡정보를 호출해 안착판(20)을 피측정자의 후족부의 만곡상태와 일치되게 세팅할 수 있다.
또한, 피측정자가 후족부 만곡증을 치료하고 있는 경우 만곡정보를 시계열적으로 기록함으로써 이를 피측정자의 후족부 만곡증의 개선정도를 객관적으로 판단하는 지표로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세 보조기는 각센서(50)에 의해 측정된 안착판(20)의 높이와 기울기를 도시하는 디스플레이부(7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디스플레이부(70)는 케이스(10)의 전면에 설치되도록 하여 측정자가 피측정자의 해부학적인 후족부 상태를 수치적 또는 추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0)는 모니터와 같은 수단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70)에는 상기 압센서에 의한 센싱정보도 도시될 수 있다.
예컨대, 피측정자의 후족부가 안착판(20)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제1, 2, 3 압센서(40-1,40-2,40-3)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안착신호가 누락될 경우엔 안착신호가 누락된 압센서(40)를 디스플레이부(70)에 도시할 수 있다.
측정자는 디스플레이부(70)에 도시된 압센서(40)의 센싱정보를 참고해 엑츄에이터(30)를 조작하여 안착판(20)에 피측정자의 후족부 밑면이 균일하게 접촉되게끔 안착판(20)의 상하 높이 및 경사도를 조절한다거나 피측정자의 자세수정을 요청할 수 있다.
모든 압센서(40)에 안착신호가 출력되면 디스플레이부(70)는 촬영개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케이스(10)의 후면에는 방사선 비투과물질로 이루어진 측정그리드(60)가 설치될 수 있다.
측정그리드(60)는 피측정자의 하지부동 양을 방사선 영상에서도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 통상의 눈금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측정그리드(60)는 필요한 경우에만 케이스(10)의 상부로 연장시킬 수 있도록 다수 회 접혀지는 관절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측정그리드(60)는 눈금이 형성된 복수의 그리드부재(61) 및 상기 복수의 그리드부재(61) 각각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회동축(62)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측정그리드(60)를 상부로 전개시킨 다음 방사선 검사를 진행하게 되면, 방사선 영상에 측정그리드(60)가 후족부와 함께 나타나면서 예컨대, 하지부동이 있는 경우, 하지부동 양을 측정자가 방사선 영상만 보고서도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세 보조기는 하지부동이 있거나, 만곡증과 같은 질환이 있는 피측정자의 자세를 방사선 검사에 최적화된 자세가 되도록 보조하여 보다 객관적이고 신뢰도가 높은 방사선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1, 2, 3, 4 엑츄에이터 각각이 개별 동작해 안착판을 경사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후족부의 만곡을 동반하지 않은 상태에서 단순히 하지부동이 있는 피측정자는 물론이고, 전후, 좌우 방향의 후족부 만곡이 복합적으로 있는 피측정자에 대해서도 안착판을 신체상황에 맞게 탄력적으로 조절해 사용할 수 있다.
또, 압센서를 통해 후족부가 안착판에 균일하게 접촉되었는지의 여부를 제공하여 검사시 피측정자의 올바른 자세고정을 가능케 하고, 필요에 따라 안착판의 위치를 수정할 수 있도록 해 정확하고 객관적인 방사선 영상이 획득될 수 있도록 보조한다.
또한, 각센서를 통해 안착판의 이동량을 수치적으로 측정하여 안착판에 안착된 후족부의 만곡 정도, 하지부동의 양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케이스
20: 안착판
30: 엑츄에이터
40: 압센서
50: 각센서

Claims (5)

  1. 후족부가 안착되는 한 쌍의 안착판;
    상기 안착판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안착판 각각을 상하, 좌우, 전후 방향으로 경사이동시켜 기울기를 조절하는 엑츄에이터; 및
    상기 엑츄에이터의 구동에 따라 경사이동된 안착판의 높이와 기울기를 측정하는 각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각센서에 의해 측정된 안착판의 높이와 기울기를 도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엑츄에이터는,
    상기 안착판의 전방 좌측 모서리 부분에 배치되는 제1 엑츄에이터;
    상기 안착판의 전방 우측 모서리 부분에 배치되는 제2 엑츄에이터;
    상기 안착판의 후방 좌측 모서리 부분에 배치되는 제3 엑츄에이터; 및
    상기 안착판의 후방 우측 모서리 부분에 배치되는 제4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2, 3, 4 엑츄에이터는 각각 개별 동작해 후족부의 만곡정도에 따라 안착판을 경사이동시켜 기울기를 조절하거나, 각각 동시에 신장 또는 압축되어 평형상태의 안착판을 상, 하로 평행이동시켜 상, 하 높낮이를 조절하며,
    상기 각센서는,
    상기 제1 엑츄에이터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안착판의 전방 좌측 모서리와의 제1 거리를 측정하는 제1 각센서;
    상기 제2 엑츄에이터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안착판의 전방 우측 모서리와의 제2 거리를 측정하는 제2 각센서;
    상기 제3 엑츄에이터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안착판의 후방 좌측 모서리와의 제3 거리를 측정하는 제3 각센서; 및
    상기 제4 엑츄에이터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안착판의 후방 우측 모서리와의 제4 거리를 측정하는 제4 각센서;를 포함하며,
    측정된 제1, 2, 3, 4 거리를 근거로 상기 안착판의 기울기가 도출되며,
    상기 한 쌍의 안착판 각각에 내장되며 상기 안착판과 후족부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압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압센서는,
    상기 안착판의 전방 좌측에 배치되는 제1 압센서;
    상기 안착판의 전방 우측에 배치되는 제2 압센서; 및
    상기 안착판의 후방 중앙에 배치되는 제3 압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액츄에이터는,
    실린더 본체;
    상기 실린더 본체에서 신장 또는 압축되는 로드; 및
    상기 로드의 상단에 형성되는 구 형태의 피벗볼;을 포함하며,
    상기 안착판의 하면에는 상기 피벗볼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피벗볼이 수용되도록 피벗볼과 상보적인 피벗홀이 형성되며,
    상면이 개방된 함체 형태로 구성되고, 내부로 상기 안착판, 엑츄에이터를 수용하되 개방된 상면으로는 안착판이 노출되도록 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착판의 최외곽 모서리 지점에는 가이드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로는 케이스의 저면에서부터 상부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봉형의 가이드봉이 장착되어 상기 안착판이 경사이동 또는 상하 방향으로 평행이동시 가이드봉에 가이드되며,
    상기 가이드봉과 가이드홀은 원형 단면을 가진 형태로 형성되고 가이드봉의 직경은 가이드홀의 직경보다 작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홀의 상단과 하단에는 라운드 형태의 베벨이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각센서는 각각의 엑츄에이터에서 로드가 신장 또는 압축됨에 따라 이와 연동하는 안착판의 모서리 부분의 상대 높이를 측정하는 거리측정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는 방사선 비투과물질로 이루어진 측정그리드가 설치되며,
    상기 측정그리드는 눈금이 형성된 복수의 그리드부재; 및
    상기 복수의 그리드부재 각각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회동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검사용 후족부 자세 보조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092731A 2020-07-27 2020-07-27 방사선 검사용 후족부 자세 보조기 KR102412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731A KR102412730B1 (ko) 2020-07-27 2020-07-27 방사선 검사용 후족부 자세 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731A KR102412730B1 (ko) 2020-07-27 2020-07-27 방사선 검사용 후족부 자세 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409A KR20220014409A (ko) 2022-02-07
KR102412730B1 true KR102412730B1 (ko) 2022-06-24

Family

ID=80253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2731A KR102412730B1 (ko) 2020-07-27 2020-07-27 방사선 검사용 후족부 자세 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273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17098A (ja) 2005-11-24 2009-04-30 スイスレイ・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X線写真を撮影するために起立者を位置決めするための装置
KR101138012B1 (ko) * 2010-10-25 2012-04-2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복수 개의 측정 자세에서 사용자의 균형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15211797A (ja) 2014-05-07 2015-11-26 清 菊川 片足立ち運動装置
JP2019130047A (ja) * 2018-01-31 2019-08-08 株式会社Micotoテクノロジー バランス運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1688B1 (ko) 2017-05-12 2019-01-23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사선 촬영용 균형자세 보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17098A (ja) 2005-11-24 2009-04-30 スイスレイ・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X線写真を撮影するために起立者を位置決めするための装置
KR101138012B1 (ko) * 2010-10-25 2012-04-2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복수 개의 측정 자세에서 사용자의 균형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15211797A (ja) 2014-05-07 2015-11-26 清 菊川 片足立ち運動装置
JP2019130047A (ja) * 2018-01-31 2019-08-08 株式会社Micotoテクノロジー バランス運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409A (ko) 2022-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0739B2 (en) Method for determining relative mobility of regions of an object
US7617068B2 (en) Method for determining relative mobility or regions of an object
CA2949507C (en) Multi-section limb and ligament evalu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for using same
Cheung et al. Freehand three-dimensional ultrasound system for assessment of scoliosis
US6565519B2 (en) Machine and method for measuring skeletal misalignments in the human body
WO2013081030A1 (ja) 脊椎側弯症の評価システムおよび同システムに適用される評価用器具
US79272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ucing and detecting ankle torsion
KR100726700B1 (ko) 인체에 대한 평형 위치 평가를 위한 장치
EP2578155A1 (en) X-ray calibration device
US11484254B2 (en) Floating patella sensor, knee stabilizer with same and robotic knee testing apparatus with same
KR101941688B1 (ko) 방사선 촬영용 균형자세 보조장치
US20210077012A1 (en) Robotic joint testing apparatus and coordinate systems for joint evaluation and testing
US10782181B2 (en) Radiograph stand with weigh scale
KR102001722B1 (ko) 척추 측만증 진단 장치 및 모니터링 방법
KR102412730B1 (ko) 방사선 검사용 후족부 자세 보조기
EP4173563A1 (en) Body composition analysis system having image scanning function
US11317876B2 (en) Weightbearing simulation assembly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to image a subject
CN212037526U (zh) 一种用于足部模拟负重ct时的足底压力采集装置
Rome et al. Ultrasonic heel pad thickness measurements: a preliminary study.
KR101031785B1 (ko) 채형장치
US20200214639A1 (en) Medical device for applying pressure to a human joint segment, corresponding system, associated method and uses
KR102619006B1 (ko) 비체중부하 상태의 발바닥 압력 및 강성측정을 위한 인덴터 장치
WO2024059568A1 (en) Weightbearing simulation assembly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to image a subject
JP2020081743A (ja) 下肢荷重位誘導装置
CN113842137A (zh) 一种腰椎活动度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