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8590B1 - 무릎 및 발목 인대 파열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무릎 및 발목 인대 파열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8590B1
KR101748590B1 KR1020150120824A KR20150120824A KR101748590B1 KR 101748590 B1 KR101748590 B1 KR 101748590B1 KR 1020150120824 A KR1020150120824 A KR 1020150120824A KR 20150120824 A KR20150120824 A KR 20150120824A KR 101748590 B1 KR101748590 B1 KR 101748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ament
base
fixing
lateral dir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0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5026A (ko
Inventor
인충교
Original Assignee
인충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충교 filed Critical 인충교
Priority to KR1020150120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8590B1/ko
Publication of KR20170025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5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Clinical applications
    • A61B6/505Clinical applications involving diagnosis of b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은 인대 파열을 검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에 지지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측 방향의 직각 방향으로 가압하여 인대를 검사하는 인대검사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서 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검사부위의 한 부분을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고정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서 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검사부위의 다른 부분을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및 발목 인대 파열 검사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에 따라, 환자가 편안하게 검사할 수 있고, 검사부위를 거치 및 고정하는 수단의 거리를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인대를 가압하는 수단을 자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무릎 및 발목 인대 파열 검사 장치{Test device for ligament rupture}
본 발명은 인대 파열을 검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뼈나 인대의 파열은 뼈와 인대에 작용하는 힘과 속도, 방향에 의해 좌우된다. 이러한 뼈나 인대의 파열 여부를 알기 위해 시행되고 있는 방사선 검사는 뼈나 인대가 파열되었을 때, 또는 뼈의 파편 등을 포함하는 단순한 손상만을 보여주기 때문에, 인대의 파열유무를 알기 위해서 파열된 부분에 일정시간 동안 일정한 힘을 가하여 변형되는 정도에 따라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스트레스 검사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상기 스트레스 검사법은 상기와 같이 검사부위에 일정한 힘을 가한 후 엑스레이 촬영을 통해 인대의 변형되는 정도를 파악하여 인대의 파열 여부를 판단하는 검사방법이다.
이러한 종래의 스트레스 검사법은 의사나 간호사, 또는 보호자가 검사받고자 하는 사람의 검사부위를 손으로 붙잡고 힘을 가하여 검사를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검사부위에 가해지는 힘의 차이가 발생함과 함께 검사부위가 제대로 고정되지 않아 검사받는 사람으로 하여금 고통을 느끼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정확한 검사가 이루어지지 않는 어려움도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인대를 검사하는 장치가 개발되었는데 기본 베이스 프레임들이 돌출되어 있다.
즉, 다리나 팔을 돌출된 프레임 위에 올려놓고 고정해야 하기 때문에 환자들이 돌출된 프레임으로 인하여 아픔을 호소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게다가 고정하는 과정에서 거치적거리는 부분들이 많아서 부상당한 부위가 재차 상처를 입는 상황도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29320호(2001.04.20)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환자가 편안하게 검사할 수 있고, 검사부위를 거치 및 고정하는 수단의 거리를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인대를 가압하는 수단을 자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무릎 및 발목 인대 파열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닥에 지지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측 방향의 직각 방향으로 가압하여 인대를 검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대검사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서 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검사부위의 한 부분을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고정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서 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검사부위의 다른 부분을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및 발목 인대 파열 검사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서 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검사부위의 또 다른 부분을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베이스부는,
상면에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의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인대검사부, 상기 제1고정부, 상기 제2고정부 및 상기 제3고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안내홈에 끼워져 이동 또는 고정될 수 있다.
또, 상기 인대검사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측 방향으로 이동을 구속 또는 해제하는 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인대검사부는,
베이스부의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몸체 및 상기 이동몸체와 결합하고 상기 베이스부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며 검사부위를 가압하는 가압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인대검사부는,
상기 가압몸체를 작동시키는 동력공급부와, 검사부위의 압력을 검출하여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생성된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동력공급부를 조종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인대검사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생성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휴대단말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안내홈의 상단에 설치되는 보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얇은 평판 플레이트를 이용하기 때문에 검사 부위를 안전하고 편안하게 안착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환자가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다.
또한, 검사부위를 거치 및 고정하는 수단의 위치를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어서 정밀한 검사를 할 수 있다.
또한, 인대를 가압하고 검사하는 수단의 위치를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고, 자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어서 더욱 정밀한 검사를 할 수 있다.
또한, 안내홈에 연질의 보호부를 장착함으로써 신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를 통신부와 연결하여 정보를 획득하거나 본 발명을 손쉽게 작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릎 및 발목 인대 파열 검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릎 및 발목 인대 파열 검사 장치에서 인대검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릎 및 발목 인대 파열 검사 장치에서 레버가 설치된 부분을 확대한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릎 및 발목 인대 파열 검사 장치에서 제1고정부가 베이스부에 설치된 상태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우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릎 및 발목 인대 파열 검사 장치에서 제3고정부가 적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릎 및 발목 인대 파열 검사 장치는, 베이스부(1), 인대검사부(2), 제1고정부(3) 및 제2고정부(4)를 포함한다. 여기에, 제3고정부(5)를 더 포함한다.
베이스부(1)는, 대략 직사각의 패널 형태로, 양 측단으로 관통되고 상면으로 상면으로 개구되는 대략 측면의 형상이 "ㅗ" 모양의 안내홈(11)이 형성된다. 이때, 안내홈(11)은 4개가 형성되되 설정된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베이스부(1)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베이스부(1)에 검사부위를 올리면 돌출된 부분이 없어서 환자가 편안하게 검사부위를 올려놓을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는 전면의 일 영역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오목한 전면에 요철부(12)가 형성된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는 안내홈(11)의 상단 모서리를 오목하게 형성하고, 여기에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연질의 보호부(13)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서리에 의해서 신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인대검사부(2)는, 검사부위를 가압하고 검사부위의 인대를 검사하는 것으로, 이동몸체(21) 및 가압몸체(22)를 포함한다.
이동몸체(21)는,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에 전단의 일 영역이 상부로 돌출되고, 저면의 일 영역이 하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이동몸체(21)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되어 장착되고, 후단이 가압몸체(22)와 연결되는 나선축(212) 및 한 쌍의 로드(211)가 설치되며, 나선축(212) 및 로드(211)의 전단에 나선축(212) 및 로드(211)를 고정하는 고정편(213)이 설치된다. 이에 따라, 나선축(212)이 회전하면, 이동몸체(21)로부터 나선축(212), 로드(211), 고정편(213) 및 가압몸체(22)가 후방으로 이동한다.
또한, 이동몸체(21)는 후방 저면에 안내홈(11)에 끼워지는 보조안내부(42 54)(미도시)가 마련되며, 저면의 돌출된 부분이 베이스부(1)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베이스부(1)에 장착된다. 이에 따라, 이동몸체(21)는 안내홈(11)을 따라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이동몸체(21)는 저면의 돌출된 부분에 베이스부(1)의 요철부(12)에 삽입 또는 이탈하는 레버(214)가 설치된다. 이때, 레버(214)는 대략 평면의 형상이 대략 "L" 모양으로, 이동몸체(21)에 축 결합되어 회전하고, 리턴스프링(215)에 의해서 작동 후에는 원위치로 복원된다. 즉, 레버(214)를 후방으로 밀면 레버(214)의 끝단이 요철부(12)로부터 이탈하고, 레버(214)를 놓으면 리턴스프링(215)에 의해서 레버(214)의 끝단이 요철부(12)에 끼워진다. 이에 따라, 레버(214)를 밀면 이동몸체(21)는 베이스부(1)로부터 좌우로 이동할 수 있고, 레버(214)를 놓으면 레버(214)의 끝단이 요철부(12)에 물려서 이동몸체(21)는 베이스부(1)에 바로 고정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가압몸체(22)가 검사부위를 가압하는 도중에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안정적으로 검사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몸체(21)는 랙과 전동모터에 의해서 작동하는 피니언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컨트롤부(221) 또는 이용자의 휴대단말기에 의해서 이동몸체(21)의 작동이 조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몸체(21)를 자동으로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고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으며, 가압몸체(22)를 좌우로 미세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서 정밀한 검사를 할 수 있다.
가압몸체(22)는, 검사부위를 가압하고 가압한 상태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24)에 출력시키는 것으로, 대략 우측면의 형상이 "┛" 모양이고, 이동몸체(21)의 상면에 밀착되어 장착되되 나선축(212) 및 로드(211)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이동몸체(21)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면 가압몸체(22)도 함께 이동한다.
또한, 가압몸체(22)는 상면에 컨트롤부(221)가 마련되고,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224), 전원버튼(223) 및 램프(222)가 마련되며, 후면에는 반원통형의 가압부재(225)가 장착된다.
또한, 가압몸체(22)는 내부에 제어부(226), 통신부(227), 센서부(229), 메모리부(230) 및 동력공급부(231)를 포함한다.
전원버튼(223)은, 컨트롤부(221), 디스플레이부(224), 램프(222), 제어부(226), 통신부(227), 센서부(229), 메모리부(230) 및 동력공급부(231)에 전원 공급 또는 해제하는데 사용된다.
램프(222)는, 전원이 들어온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점멸되거나 발광한다.
컨트롤부(221)는, 디스플레이부(224)에 출력된 메뉴를 통해서 가압몸체(22)를 조정하는데 사용된다. 즉, 컨트롤부(221)에 의해서 가압몸체(22)를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고, 통신부(227)를 통해서 휴대단말기와 연결시킬 수 있으며, 메모리부(230)에 저장된 정보를 삭제하거나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컨트롤부(221)에 의해서 압력값을 설정하거나 가압몸체(22)의 이동속도를 설정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224)는, 컨트롤부(221)로 선택할 수 있는 메뉴가 표시되고, 통신부(227), 센서부(229), 메모리부(230) 및 동력공급부(231)에 해당하는 정보가 표시되며, 제어부(226)와 연결된다.
통신부(227)는, 공지 또는 주지된 휴대단말기와 연결되는 USB 등의 유선통신 또는 블루투스, WiFi, NFC 등의 무선통신이 이용될 수 있고, 메모리부(230)에 저장된 정보를 휴대단말기로 전송하거나 휴대단말기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제어부(226)와 연결된다. 즉, 통신부(227)를 통해서 휴대단말기와 연결되면, 휴대단말기에서 가압몸체(22)를 조정할 수도 있다.
센서부(229)는, 공지 또는 주지된 압력센서 등이 사용되고, 가압부위에 압력이 가해지면 압력센서에서 정보가 생성된다.
메모리부(230)는, 센서부(229)로부터 생성된 정보가 저장되고, 제어부(226)와 연결된다.
동력공급부(231)는, 주지 또는 공지된 전동모터박스 등이 사용되고, 제어부(226) 및 나선축(212)과 연결된다. 이에 따라, 동력공급부(231)가 작동하면, 나선축(212)이 회전하고, 나선축(212), 로드(211), 고정편(213) 및 가압몸체(22)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한다.
제어부(226)는, 컨트롤부(221)를 통해서 통신부(227), 디스플레이부(224), 센서부(229), 메모리부(230) 및 동력공급부(231)를 제어한다.
제1고정부(3)는, 대략 외면이 스펀지, 발포수지, 고무 및 실리콘 등의 연질로 형성된 원통형으로, 하단에는 안내홈(11)에 대응하는 가이드부(31)가 나사 결합되고, 가이드부(31)가 안내홈(11)에 끼워지며, 검사부위 즉, 다리, 발, 발목, 무릎, 팔 등을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이에 따라, 제1고정부(3)를 풀면 안내홈(11)에 끼워진 가이드부(31)가 느슨해져서 제1고정부(3)가 안내홈(11)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제1고정부(3)를 조이면, 가이드부(31)가 안내홈(11)에 밀착되어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체형에 맞춰서 제1고정부(3)를 전,후,좌,우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제1고정부(3)를 전후로는 안내홈(11)의 간격에 대응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좌우로는 미세하게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더욱 정밀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제2고정부(4)는, 주로 발뒤꿈치를 고정하는 것으로, 발고정부(41), 가이드부(미도시), 보조안내부(42), 이탈방지부(43) 및 결합나사(44)를 포함한다.
발고정부(41)는, 상면이 대략 "T" 모양으로 돌출되고, 좌측면의 모양이 대략 "L" 모양으로 돌출되며, 우측면은 좌측면과 대칭으로 형성되며, 상면에 파이프가 설치된다.
가이드부는, 제1고정부(3)의 가이드부(31)와 동일하고, 발고정부(41)의 저면에 설치되며, 발고정부(41)의 상단에 설치된 결합나사(44)와 연결된다.
보조안내부(42)는, 가이드부(31)와 동일하게 형성되되 발고정부(41)의 후면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보조안내부(42)를 안내홈(11)에 끼움으로써, 제2고정부(4)를 베이스부(1)에 눕혀서 장착시킬 수 있으며, 제2고정부(4)가 베이스부(1)로부터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안내부(42)는 발고정부(41)가 안내홈(11)으로부터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발고정부(41)의 저면에 더 설치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43)는, 파이프의 상단에 설치되고, 결합나사(44)에 의해 고정 또는 해제된다.
즉, 결합나사(44)를 풀면 이탈방지부(43) 및 가이드부가 느슨해져서 제2고정부(4)가 안내홈(11)으로부터 좌우로 이동 가능하고, 이탈방지부(43)는 파이프로부터 회전 가능하며, 결합나사(44)를 조이면 제2고정부(4)가 안내홈(11)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이탈방지부(43) 또한 파이프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술한, 가이드부(31)의 작동방식은 공지 또는 주지된 방식을 이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3고정부(5)는, 검사부위 즉, 주로 무릎을 고정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지지몸체(51), 승강부(56), 고정부재(52), 가이드부(53), 보조안내부(54) 및 결합나사(55)를 포함한다.
지지몸체(51)는, 대략 직육면체로 상면에는 사각기둥이 마련된다.
승강부(56)는, 대략 상단 하단이 개구된 박스형태로, 사각기둥에 끼워져 상하로 이동하고, 나사에 의해서 위치가 고정된다.
고정부재(52)는, 대략 원통형으로 제1고정부(3)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고, 지지몸체(51)의 우측면과, 승강부(56)의 우측면에 각각 설치된다.
가이드부(53)는, 지지몸체(51)의 저면에 설치되고, 지지몸체(51)의 상면에 마련된 결합나사(55)와 연결된다. 이에 따른 설명은 상술한 제2고정부(4)의 가이드부 및 결합나사(44)에 대응하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보조안내부(54)는, 가이드부(53)의 우측에 배치되고 지지몸체(51)의 저면에 설치된다. 즉, 가이드부(53) 및 보조안내부(54)가 안내홈(11)에 끼워짐으로써, 제3고정부(5)는 베이스부(1)로부터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안내부(54)는 상술한 제2고정부(4)의 보조안내부(42)에 대응하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제1고정부(3), 제2고정부(4) 및 제3고정부(5)는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2개가 대칭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2개의 베이스부(1)가 측 방향으로 서로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는 연결수단(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인대검사부(2), 제1고정부(3), 제2고정부(4) 및 제3고정부(5)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복수로 설치될 수 있도록 베이스부(미도시)가 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2개의 검사부위를 동시에 검사할 수 있어서 검사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수단은 공지 또는 주지된 기술을 이용하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전원 또는 배터리 전원에 의해서 작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설명은 당업계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릎 및 발목 인대 파열 검사 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검사부위에 따라, 제1고정부(3), 제2고정부(4) 및 제3고정부(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안내홈(11)에 끼우고, 체형에 따라 위치를 조절하여 고정한다.
고정부가 고정되면, 레버(214)를 통해서 인대검사부(2)의 위치를 조절하여 베이스부(1)에 고정한다.
이후, 환자의 검사부위를 베이스부(1)의 상면에 올려놓고 검사부위를 고정부에 고정시킨다.
검사부위가 고정되면 인대검사부(2)를 작동시킨다.
인대검사부(2)가 작동하면, 가압몸체(22)가 후방으로 이동하고, 가압부재(225)가 검사부위에 밀착된다.
계속해서 가압몸체(22)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가압부재(225)가 검사부위를 가압한다.
여기서, 센서부(229)에서 검출된 값이 허용압력을 벗어나면, 환자를 보호하기 위해서 가압몸체(22)는 자동으로 멈출 수 있다.
가압몸체(22)가 검사부위를 설정된 힘으로 밀고 있는 상태에서 검사부위를 엑스레이 촬영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납작한 베이스부에 신체를 올려놓고 검사하기 때문에 신체에 눌리는 부분이 없어서 환자가 편안상태에서 검사할 수 있다. 또한, 모서리 부분을 보호부로 처리하여 신체가 긁히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인대검사부를 자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어서 손으로 직접 이동시키는 방식에 비해 정밀한 검사가 가능하다. 게다가, 검사부위를 밀어내는 힘이 허용치를 벗어나면 자동으로 멈춤으로써, 환자가 2차적으로 사고가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그 실시 예가 상이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것 외에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만으로도 쉽게 상기 실시 예와 동일 범주 내의 다른 형태의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영역의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베이스부
11; 안내홈
12; 요철부
13; 보호부
2; 인대검사부
21; 이동몸체
211; 로드
212; 나선축
213; 고정편
214; 레버
215; 리턴스프링
22; 가압몸체
221; 컨트롤부
222; 램프
223; 전원버튼
224; 디스플레이부
225; 가압부재
226; 제어부
227; 통신부
229; 센서부
230; 메모리부
231; 동력공급부
3; 제1고정부
31, 53; 가이드부
4; 제2고정부
41; 발고정부
42, 54; 보조안내부
43; 이탈방지부
44, 55; 결합나사
5; 제3고정부
51; 지지몸체
52; 고정부재
56; 승강부

Claims (8)

  1. 상면에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의 안내홈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안내홈과 형행한 요철부가 형성되며 바닥에 지지되는 베이스부;
    상기 안내홈들 중 어느 하나의 안내홈에 끼워져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측 방향의 직각 방향으로 가압하여 인대를 검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대검사부;
    상기 안내홈들 중 어느 하나의 안내홈에 끼워져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서 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검사부위의 한 부분을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고정부;
    상기 안내홈들 중 어느 하나의 안내홈에 끼워져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서 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검사부위의 다른 부분을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고정부; 및
    상기 안내홈들 중 어느 하나의 안내홈에 끼워져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서 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검사부위의 또 다른 부분을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안내홈의 상단에 설치되는 보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대검사부는, 상기 요철부에 끼워지거나 해제됨으로써 상기 베이스부의 측 방향으로 이동을 구속 또는 해제하는 레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부, 상기 제2고정부 및 상기 제3고정부는 상기 안내홈에 끼워져 이동 또는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및 발목 인대 파열 검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대검사부는,
    베이스부의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몸체; 및
    상기 이동몸체와 결합하고 상기 베이스부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며 검사부위를 가압하는 가압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및 발목 인대 파열 검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대검사부는,
    상기 가압몸체를 작동시키는 동력공급부;
    검사부위의 압력을 검출하여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생성된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동력공급부를 조종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및 발목 인대 파열 검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대검사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생성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휴대단말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및 발목 인대 파열 검사 장치.
  8. 삭제
KR1020150120824A 2015-08-27 2015-08-27 무릎 및 발목 인대 파열 검사 장치 KR101748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0824A KR101748590B1 (ko) 2015-08-27 2015-08-27 무릎 및 발목 인대 파열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0824A KR101748590B1 (ko) 2015-08-27 2015-08-27 무릎 및 발목 인대 파열 검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026A KR20170025026A (ko) 2017-03-08
KR101748590B1 true KR101748590B1 (ko) 2017-06-19

Family

ID=58404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0824A KR101748590B1 (ko) 2015-08-27 2015-08-27 무릎 및 발목 인대 파열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85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890B1 (ko) * 2018-07-23 2020-08-05 노재혁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320Y1 (ko) 2001-02-03 2001-07-19 노재혁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
US6419645B1 (en) 2000-11-02 2002-07-16 Arie M. Rijke Device and method for evaluating injuries to ligaments
KR101249274B1 (ko) 2011-08-24 2013-11-11 주식회사 디지엔스 스마트폰을 이용한 생체신호 자가진단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19645B1 (en) 2000-11-02 2002-07-16 Arie M. Rijke Device and method for evaluating injuries to ligaments
KR200229320Y1 (ko) 2001-02-03 2001-07-19 노재혁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
KR101249274B1 (ko) 2011-08-24 2013-11-11 주식회사 디지엔스 스마트폰을 이용한 생체신호 자가진단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026A (ko) 201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32358B (zh) 骨牵拉装置和包括此的骨折复位系统
JP6376708B2 (ja) 可動ボックス自動化された心肺蘇生術デバイス
EP3064138B1 (en) Switch device, and x-ray imaging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WO2004033041A8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arget position verification
KR101507809B1 (ko) 의료 기기용 사용자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 기기
US20180116612A1 (en) Fixture fitting device
KR101748590B1 (ko) 무릎 및 발목 인대 파열 검사 장치
US20220040021A1 (en) Spinal deformity correction and fusion surgery supporting device
KR20190061819A (ko) 듀얼 무릎 및 발목 인대 파열 검사 장치
US20210251566A1 (en) Multi-axial joint laxity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8036279A (ja) 乳房x線撮影装置
KR20190092678A (ko) 검사 정보의 자동 저장이 가능한 듀얼 무릎 및 발목 인대 파열 검사 장치
CN209474590U (zh) 用于人体关节应力检查的施力装置
KR20060120781A (ko) 인대 검사를 위한 다리의 지지 및 고정장치
KR20180059404A (ko) 무릎관절 촬영 보조기구 및 이를 이용한 무릎관절 촬영방법
CN209474639U (zh) 用于辅助对人体关节进行应力检查的压力装置
KR200229320Y1 (ko)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
CN212037526U (zh) 一种用于足部模拟负重ct时的足底压力采集装置
US11317876B2 (en) Weightbearing simulation assembly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to image a subject
KR102130890B1 (ko)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
KR20220114447A (ko) 안전센서를 포함하는 마사지 장치
US20150061679A1 (en) Patient Support Apparatus
KR101292718B1 (ko) 주사액 토출기 테스트용 지그
KR101949840B1 (ko) 스마트 체중계
JP2020116187A (ja) X線撮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