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0890B1 -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0890B1
KR102130890B1 KR1020180085617A KR20180085617A KR102130890B1 KR 102130890 B1 KR102130890 B1 KR 102130890B1 KR 1020180085617 A KR1020180085617 A KR 1020180085617A KR 20180085617 A KR20180085617 A KR 20180085617A KR 102130890 B1 KR102130890 B1 KR 102130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air
coupled
suppor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5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0944A (ko
Inventor
노재혁
Original Assignee
노재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재혁 filed Critical 노재혁
Priority to KR1020180085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890B1/ko
Priority to CN201811059609.0A priority patent/CN110742637A/zh
Publication of KR20200010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0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검사하고자 하는 부분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 상태에 관절이나 인대에 무리가 가지 않는 범위내에서 압력을 가하고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신체 부위에 가해진 가압력을 검출하여 뼈 또는 인대의 손상 여부를 검사하기에 적합한 압력 값을 출력함으로써, 검사 부위가 움직이지 않도록하여 관절이나 인대를 보호해줌과 함께 검사하고자 하는 관절이나 인대의 파열 상태를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는 상호 평행하게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고 양 끝단에 마감 부재가 각각 결합된 한 쌍의 가이드 베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베드의 각 일단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검사 부위의 일측을 고정하는 제1 고정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베드의 각 타단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검사 부위의 타측을 고정하는 제2 고정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베드의 중간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검사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에 일정 시간 동안 힘을 가하는 가압부; 및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신체 부위에 가해진 가압력을 검출하여 뼈 또는 인대의 손상 여부를 검사하기에 적합한 압력 값을 출력하는 압력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EQUIPMENT FOR STRESS EXAMINATION FOR X-RAY}
본 발명은 스트레스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검사하고자 하는 부분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켜주고, 검사하고자 하는 부분에 일정한 압력을 가한 후 엑스레이 촬영을 통하여 관절이나 인대의 파열 여부를 측정하도록 해주는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엑스레이 영상을 촬영할 때에는 정확한 위치의 엑스레이 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환자의 자세 또는 특정 부분이 촬영 영역에 바르게 위치하고 있는 지 확인한 후 엑스레이 촬영을 실시하가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여기서, 환자의 자세는 환자의 인체를 움직이거나 가누는 동작뿐만 아니라 촬영 영역에서 환자의 위치가 조정되게하는 다양한 동작을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뼈나 인대의 파열은 뼈와 인대에 작용하는 힘과 속도, 방향에 의해 좌우된다. 이러한 뼈나 인대의 파열여부를 알기 위해 시행되고 있는 방사선 검사는 뼈나 인대가 파열되었을 때, 또는 뼈의 파편 등을 포함하는 단순한 손상만을 보여주기 때문에, 인대의 파열유무를 알기 위해서 파열된 부분에 일정시간동안 일정한 힘을 가하여 변형되는 정도에 따라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스트레스 검사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상기 스트레스 검사법은 상기와 같이 검사 부위에 일정한 힘을 가한 후 엑스레이 촬영을 통해 인대의 변형되는 정도를 파악하여 인대의 파열여부를 판단하는 검사방법이다.
이러한 종래의 스트레스 검사법은 의사나 간호사, 또는 보호자가 검사받고자 하는 사람의 검사부위를 손으로 붙잡고 힘을 가하여 검사를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검사부위에 가해지는 힘의 차이가 발생함과 함께 검사부위가 제대로 고정되지 않아 검사받는 사람으로 하여금 고통을 느끼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정확한 검사가 이루어지지 않는 어려움도 있었다.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 20-0229320 호{등록일: 2001년 04월 20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검사하고자 하는 부분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 상태에 관절이나 인대에 무리가 가지 않는 범위내에서 압력을 가하고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신체 부위에 가해진 가압력을 검출하여 뼈 또는 인대의 손상 여부를 검사하기에 적합한 압력 값을 출력함으로써, 검사 부위가 움직이지 않도록하여 관절이나 인대를 보호해줌과 함께 검사하고자 하는 관절이나 인대의 파열 상태를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는 상호 평행하게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고 양 끝단에 마감 부재가 각각 결합된 한 쌍의 가이드 베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베드의 각 일단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검사 부위의 일측을 고정하는 제1 고정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베드의 각 타단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검사 부위의 타측을 고정하는 제2 고정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베드의 중간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검사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에 일정 시간 동안 힘을 가하는 가압부; 및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신체 부위에 가해진 가압력을 검출하여 뼈 또는 인대의 손상 여부를 검사하기에 적합한 압력 값을 출력하는 압력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는 각각 상부에는 다수의 고정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베드의 외측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고정 홈에 삽입되어 검사부위의 일측을 고정해주는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지지대의 상부 소정위치에 고정되어 신체를 고정함과 함께 고정되는 신체부위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탄성력을 갖는 원통형 본체; 및 상기 원통형 본체의 하부에 결합됨과 함께 상기 지지대의 상부 소정 위치에 삽입되어 상기 원통형 본체가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도록 하는 제1 돌기를 구비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고정되어 발의 일측을 고정해주는 발 고정판; 상기 발 고정판의 외측 소정 위치에 결합됨과 함께 상기 지지대의 상부 소정위치에 삽입되어 상기 발 고정판이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도록 하는 제2 고정 돌기; 상기 발 고정판의 외측 소정위치에 고정결합되는 제1 고정축; 및 상기 제1 고정축의 외측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발의 타측을 압착하도록 하여 발이 상기 발 고정판에 고정되도록 해주는 압착판으로 구성된 제2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저면에 결합됨과 함께 상기 지지대의 상부 소정 위치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판이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도록 하는 제3 고정 돌기; 상기 고정판의 측면에 결합되어 신체의 저면이 고정됨 함께 탄성력을 가지는 한 쌍의 원기둥 부재; 상기 고정판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2 고정축; 및 상기 제2 고정축의 외측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됨과 함께 일측에 상기 제2 고정 부재가 결합되어 신체의 상면을 고정하는 높낮이 조절부로 구성된 제3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와 상기 고정 부재 사이에는 상기 지지대에 수직으로 고정됨과 함께 상기 지지대와 상기 고정 부재를 연결함으로써 검사받는 사람의 신체에 따라 상기 고정 부재의 위치를 변화하는 연결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 부재의 일단 저면에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 고정되는 연결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 부재의 타단 상부에는 상기 제1 돌기가 삽입 고정되는 연결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15daN 내지 25daN 압력을 갖는 힘을 가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중간에 제1 구멍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구멍의 일부가 위치하는 내벽에 한 쌍의 제1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구멍의 일부로부터 전방으로 제2 구멍이 형성되고 전후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여 상기 신체 부위에 접근하는 이동 부재;상기 이동 부재의 타측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신체 부위에 가해지는 압력으로부터 상기 신체 부위를 보호하는 보호 부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이동 부재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는 나사산 부재; 상기 한 쌍의 제1 홈에 대응하게 후면에 한 쌍의 제2 홈이 형성되고 한쌍의 스프링이 상기 한 쌍의 제1 홈 및 상기 한 쌍의 제2 홈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홈 및 상기 제2 구멍에 누름 가능하도록 내측 일부가 상기 나사산 부재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이동 부재를 고정하고 누름 동작에 의해 상기 이동 부재의 고정을 해제하는 해제 버튼;상기 나사산 부재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나사산 부재를 회전하여 상기 이동 부재의 직선 운동을 조절하는 회전 부재; 및 상기 이동 부재의 직선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 출력부는 상기 신체 부위에 가해진 가압력을 검출하여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발생하는 로드 셀;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시작 명령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부; 상기 시작 명령 신호의 입력후 설정 시간 내에 상기 로드 셀로부터 전기 신호인 센서 값이 입력되었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센서값을 표시하고 입력되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여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상기 시작 명령 신호에 따라 상기 로드 셀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압력 값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상기 압력 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각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상기 전원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시작 명령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케이스의 표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스프링;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스프링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신체 또는 물체의 근접 여부에 따라 시작 명령 신호를 출력하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는 밧데리 또는 무선 전력 충전식 밧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검사 장치는 정형외과의 스포츠 클리닉에서 뼈의 이상 유무와 ligament(인대)의 이상유무를 확인하여 조기진단 및 치료를 할수 있도록 하며, 선택적으로 MRI 진단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장치이다.
본 발명은 검사하고자 하는 부분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 상태에 관절이나 인대에 무리가 가지 않는 범위내에서 압력을 가하고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신체 부위에 가해진 가압력을 검출하여 뼈 또는 인대의 손상 여부를 검사하기에 적합한 압력 값을 출력함으로써, 검사 부위가 움직이지 않도록하여 관절이나 인대를 보호해줌과 함께 검사하고자 하는 관절이나 인대의 파열 상태를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검사 장치는 뼈의 이상 유무 뿐 아니라 인대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것으로, 오랜 기간 방치 후 반월상 연골 파열 및 비정상적 마모로 인하여 퇴행성 관절염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조기진단 및 치료가 가능하여 비용 부담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지대로부터 분리된 고정 부재 및 연결 부재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지대로부터 분리된 고정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가압부의 가이드 부재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 부재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이동 부재의 내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이동 부재의 내부에 체결되는 나사산 부재, 해제 부재, 스프링을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압력 출력부의 내부 회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압력 출력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값 설정 및 배터리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부학적 구조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2 내지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사 방법을 설명하는 예들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 장치는 한 쌍의 가이드 베드(100), 제1 고정부(200), 제2 고정부(300), 가압부(400), 및 압력 출력부(600)를 포함한다.
한 쌍의 가이드 베드(100)는 상호 평행하게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고 양 끝단에 마감 부재가 각각 결합된다.
제1 고정부(200)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베드(100)의 각 일단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검사 부위의 일측을 고정한다. 제2 고정부(300)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베드(100)의 각 타단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검사 부위의 타측을 고정한다.
상기 제1 고정부(200) 및 제2 고정부(300)는 각각 상부에는 다수의 고정 홈(240)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베드(100)의 외측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 또는 제2 지지대(220 또는 310); 및 상기 제1 또는 제2 지지대(220 또는 310)의 고정 홈(240)에 삽입되어 검사 부위의 일측을 고정해주는 고정 부재(250, 320, 340)로 구성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지대로부터 분리된 고정 부재 및 연결 부재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지지대의 상부 소정위치에 고정되어 신체를 고정해줌과 함께 고정되는 신체부위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탄성력을 갖는 원통형 본체(251); 및 상기 제1 원통형 본체의 하부에 결합됨과 함께 상기 지지대(220)의 상부 소정 위치에 삽입되어 상기 원통형 본체(251)가 상기 지지대(220)에 고정되도록 해주는 제1 돌기(252)를 구비하는 고정 부재(25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 부재(250)는 상기 제2 지지대(310)의 상부에 고정되어 발의 일측을 고정해주는 발 고정판(321); 상기 발 고정판(321)의 외측 소정 위치에 결합됨과 함께 상기 제2 지지대(310)의 상부 소정위치에 삽입되어 상기 발 고정판(321)이 상기 제2 지지대(310)에 고정되도록 해주는 제2 고정 돌기(322); 상기 발 고정판(321)의 외측 소정 위치에 고정 결합되는 제1 고정축(323); 및 상기 제1 고정축(323)의 외측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발의 타측을 압착하도록 하여 발이 상기 발 고정판(321)에 고정되도록 하는 압착판(324)으로 구성된 제2 고정 부재(320)를 포함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 지지대로부터 분리된 고정 부재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제2 지지대(310)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판(345); 상기 고정판(345)의 저면에 결합됨과 함께 상기 제2 지지대(310)의 상부 소정위치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판(345)이 상기 제2 지지대(310)에 고정되도록 해주는 제3 고정 돌기(346); 상기 고정판(345)의 측면에 결합되어 신체의 저면이 고정됨 함께 탄성력을 가지는 한 쌍의 원기둥 부재(347); 상기 고정판(345)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2 고정축(348); 및 상기 제2 고정축(348)의 외측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됨과 함께 일측에 상기 한 쌍의 원기둥 부재(347)의 하나가 결합되어 신체의 상면을 고정하는 높낮이 조절부(349)로 구성된 제3 고정 부재(34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220)와 상기 고정 부재(250) 사이에는 상기 지지대(220)에 수직으로 고정됨과 함께 상기 지지대(220)와 상기 고정 부재(250)를 연결해주어 검사받는 사람의 신체에 따라 상기 고정 부재(250)의 위치를 변화하는 연결 부재(260)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 부재(260)의 일단 저면에는 상기 고정홈(240)에 삽입 고정되는 연결 돌기(26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 부재(260)의 타단 상부에는 상기 제1 돌기(252)가 삽입 고정되는 연결 홈(262)이 형성되어 있다.
가압부(400)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베드(100)의 중간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검사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에 일정 시간 동안 힘을 가한다. 상기 가압부(400)는 15daN 내지 25daN 압력을 갖는 힘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5daN 내지 25daN 압력을 갖는 힘을 가하는 이유는 슬관절, 스포츠 인대 촬영시 손상된 인대를 촬영하기 위한 최적 압력으로 손상된 쪽, 정상인 쪽 인대를 비교 판독하기 위한 최적 압력으로 15daN 보다 작으면 판독이 어렵고 25daN을 초과하면 과대 압력으로 촬영에 의한 인대 파열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가압부(400)의 가이드 부재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 부재(410)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이동 부재(410)의 내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도 6은 도 4에 도시된 이동 부재(410)의 내부에 체결되는 나사산 부재, 해제 부재, 스프링을 나타낸 분해도이다.
상기 가압부(400)는 중간에 제1 구멍(412)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구멍(412)의 일부가 위치하는 내벽(414)에 한 쌍의 제1 홈(416)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구멍(412)의 일부로부터 전방으로 제2 구멍이 형성되고 전후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여 상기 신체 부위에 접근하는 이동 부재(410); 상기 이동 부재(410)의 상면에 설치되는 케이스(420); 상기 이동 부재(410)의 타측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신체 부위에 가해지는 압력으로부터 상기 신체 부위를 보호하는 보호 부재(450);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이동 부재(410)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는 나사산 부재(440); 상기 한 쌍의 제1 홈(416)에 대응하게 후면에 한 쌍의 제2 홈(432)이 형성되고 한쌍의 스프링(434)이 상기 한쌍의 제1 홈(416) 및 상기 한 쌍의 제1 홈(432)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홈(416) 및 상기 제2 구멍(418)에 누름 가능하도록 내측 일부가 상기 나사산 부재(440)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이동 부재(410)를 고정하고 누름 동작에 의해 상기 이동 부재(410)의 고정을 해제하는 해제 버튼(430); 상기 나사산 부재(440)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나사산 부재(440)를 회전하여 상기 이동 부재의 직선 운동을 조절하는 회전 부재(441); 및 상기 이동 부재(410)의 직선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413)를 포함한다.
압력 출력부(600)는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신체 부위에 가해진 가압력을 검출하여 뼈 또는 인대의 손상 여부를 검사하기에 적합한 압력 값을 출력한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압력 출력부의 내부 회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압력 출력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값 설정 및 배터리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압력 출력부(600)는 상기 신체 부위에 가해진 가압력을 검출하여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발생하는 로드 셀(610); 상기 이동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는 케이스(420);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시작 명령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부(615); 상기 시작 명령 신호의 입력후 설정 시간 1분내에 상기 로드 셀로부터 전기 신호인 센서 값이 입력되었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센서값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입력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여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입력부(615)로부터의 상기 시작 명령 신호에 따라 상기 로드 셀(510)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압력 값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어부(650); 상기 제어부(650)로부터의 상기 압력 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660); 및 각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670)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615)는 상기 케이스(420)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시작 명령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620)을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615)는 상기 케이스(420)의 내부에 상기 케이스(420)의 표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스프링(630); 및 상기 케이스(420)의 내부에 상기 스프링(630)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신체 또는 물체의 근접 여부에 따라 시작 명령 신호를 출력하는 근접 센서(640)를 포함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용전원(AC 220 V, 60Hz)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아 전원부(AC-DC 아답터)인 전원 공급부(670)를 거쳐 DC 5V (max. 1A)를 본체에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670)를 통해 공급받은 DC전원이 제어부(650)내에 회로(레귤레이터)를 통해 DC8V, DC 5V로 변환되어 로드 셀(610) 및 MCU, 입력부 등에 전원을 공급한다. 입력 버튼(key)을 통해 입력된 신호을 감지하여 DC 전압 인가한다. 외부 압력을 Load Cell 센서로 측정하여 FND에 표시한다. 상기 전원 공급부(670)는 밧데리 또는 무선 전력 충전식 밧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터치 키로 전원을 켜면
Figure 112018072788263-pat00001
의 표시 후,
Figure 112018072788263-pat00002
의 우측 점 깜박인다. 그후, 전원 켠후 센서 값이 60초 이상 입력되지 않으면 전원을 자동 정지한다. 한편, 전원 켠후 센서 값이 60초 이내에 입력되면, 예를 들면
Figure 112018072788263-pat00003
와 같이 센서 값을 표시한다. 센서 값 표시중 키 1을 누르면
Figure 112018072788263-pat00004
을 표시한다. 이때, 키 2를 눌러 20 내지 30 중 하나를 선택한 후 키 1을 눌러 현재 센서 값을 설정한다. 센서 값 표시중 키 1 및 키 2를 동시에 누르면, (S E)가 표시되고 센서 값이 출고시 값으로 리셋된다.
사용 중 LED가 적색으로 깜박거리면 충전기를 이용하여 충전 후 사용해야 한다. 어댑터 연결후 LED가 적색이면 현재 충전 중이다. 어댑터 연결후 LED가 녹색이면 현재 완충 상태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부학적 구조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부학적 구조를 설명한다.
(A) 무릎
도 10을 참조하면, Medial collateral ligament[MCL]은 외력, 외전등의 외반력에 반발한다. Lateral collateral ligament[LCL]은 내력, 내전 등의 내반력에 반발한다. Anterior cruciate ligament[ACL]은 관절의 전방 전위를 막아준다. Posterior cruciate ligament[PCL]은 관절의 후방 전위를 막아준다.
(B) 발목
도 11을 참조하면, 외측 인대(fibulo calcanear ligament)는 발목의 내전을 반발하고 talofibula, tibiocalcaneal ligament로 구성된다. 내측 인대( deltoid ligament)는 발목의 외전을 반발하고 tibionavicular, tibiocalcaneal ligament로 구성된다. 경비 인대(tibiofibular anterius ligament)는 저굴(plantoflexion)을 담당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사 장치를 이용하여 인체를 검사하는 방법을 환자의 선택적 MRI 진단 여부 결정 가능 형상 및 구조개요를 통하여 설명한다.
1) 무릎 인대 평행 측면 자세 검사
(1) Examination of the medial collateral ligament of the knee( MCL )
(2) Examination of the lateral collateral ligament of the knee( LCL )
A. Knee Stress Abduction/Adduction
도 12 내지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사 방법을 설명하는 예들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가압부(400)를 두 개의 제1 고정 부재(250) 사이 중간에 설치한다. 검사 측 다리를 도 11(Knee Stress Valgus(MCL)) 또는 도 13(Knee Stress Varus(LCL))과 같이 펴서 놓는다. 보호 부재(450)인 전면의 쿠션패드를 articular Space에 놓이게 한다. 루틴 검사에 있어서 압력은 15 daN 정도 가한다.
B. Knee Stress Valgus/Varus (15°
도 16 및 도 17(Knee Stress Valgus(MCL)), 및 도 18 및 도 19(Knee Stress Varus(LCL))을 참조하면, 가압부(400)를 두 개의 제1 고정 부재(250) 사이 중간에 설치한다. 보호 부재(450)인 전면의 쿠션패드(Cushion Pad)를 articular Space에 놓이게 한다. Routine 검사를 위해서 환자를 앉히고 적어도 15°무릎을 굽힌다. (30°이상은 안된다.). 루틴 검사에 있어서 Pressure는 15 daN 정도 준다.
C. Instructions for diagnostics
- Articular space의 너비 측정
- 15mm이상 뚜렷이 보인다.
- 10mm이상 X-ray비교 필요,
- 3mm 이상 병리학적 병변
2) 전방 십자인대의 검사 - Lachman test
Examination of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 ACL )
A. Knee Stress Lachman Anterior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환자를 스트레스 장치 위에 검사 측 무릎 조인트의 외측을 대고 양측 condyle(관절구)의 겹침(true lateral) 상태에서 10° 내지 20° 굽힌다. 기구를 이용하여 대퇴부 관절(femur condylus) 및 발목 부위의 앞을 고정하고 압력 쿠션 패드를 오금(tibia tuberositats level 후방, 무릎 뒤) 7Cm 아래 부위를 15kp 정도 압박한다. 간단한 근육 손상인 경우에는 20kp 정도 압박한다. Tibia plateau (media와 lateral의 평행된 상태에서 후방 테두리와 femur condylar를 최대한 가깝게 위치시켜서 측정한다.
B. Instructions for diagnostics
Backdrawer values가 10mm이상인 경우에 ACL 파열됨
3) 후방 십자인대 검사 - Lachman test
Examination of the posterior cruciate ligament ( PCL )
Knee Stress Lachman Posterior (도 21)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환자를 Stress Device 위에 검사 측 무릎 조인트의 외측을 대고 양측 condyle(관절구)의 겹침(true lateral) 상태에서 10°내지 20° 굽힌다. 기구를 이용하여 대퇴부 관절(femur condylus) 및 발목의 뒷부분을 지지하고 pressure cushion pad를 오금(tibia tuberositats level 후방, 무릎 뒤) 7cm 아래부위를 15kp 정도 압박한다. 간단한 근육 손상인 경우에는 20kp 정도 압박한다. Tibia plateau (media와 lateral의 평행된 상태에서 rear edge와 femur condylar를 최대한 가깝게 위치시켜서 측정한다.
B. Instructions for diagnostics
Backdrawer values가 10mm 이상인 경우에 ACL 파열된다. 만약 필요하다면 Both knee joint를 추가적으로 검사한다.
4) 전방 십자인대의 검사 (90도)
Examination of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90°)
A. Knee Stress Lachman Anterior(도 24 및 도 25)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면, 환자의 자세는 무릎을 90° 굽혀서 위치시키고 압력장치를 patella위 정확하게 위치시킨다. 기본적인 진단에 대해서는 압력장치의 눈금을 15Kp 정도로 사용. 발목에 작은 샌드백을 놓아 둠으로 해서 표면으로부터 tibia를 평행하게 위치시킨다.(femur condylar의 이중영상을 피하기 위해서 (true lateral)).
B. Instructions for diagnostics
X-선 영상에 의해서 tibia head의 수직적 변위를 진단하는 것으로 3mm 이상인 경우 비정상으로 간주한다. 2mm 정도인 경우에는 임상적으로 rupture로 생각한다.
5) 후방 십자인대의 검사 (90도) - Special accessory Examination of the posterior cruciate ligament (90°position )
A. Knee Stress Lachman Posterior(도 26 및 도 27)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면, 무릎을 90° 구부린다. femur condylus위에 엑세서리를 놓는다. 가압부(400)의 보호 부재(450)인 쿠션 패드를 tibia 2cm 아래에 놓는다. 기본 검사의 압력은 15daN을 확인한다. 발목 아래 작은 모래주머니를 받치고 테이블과 tibia를 평행하게 놓는다.
6) 전방 거비 인대 측면 자세 검사:
Anterior ankle joint in lateral position for x-ray
Examination of ligamentum fibulo talare anterius.
A. Ankle Stress Anterior(도 28 및 도 29)
도 28 및 도 29를 참조하면, 가이드 베드(100)의 Ball bearing guide에 제2 고정 부재(320)를 고정한다. 가이드 베드(100)의 뒤쪽 Drill bush guide에 제1 고정 부재(250)를 고정한다. 도 27과 같이 환자는 측면 자세로 기구에 다리를 올려 놓고 무릎을 30° 구부린다. 뒤꿈치는 발 고정 장치의 중간부분에 측면자세로 놓는다. 가압부(400)의 앞 쿠션인 보호 부재(450)는 안쪽 malleolus(복사뼈)보다 높은 2Cm 높이에 놓는다. 검사는 압력장치의 눈금으로 통상 15kp로 한다. 압력을 가한 후 1분 이내에 X-ray촬영을 한다.
B. Instructions for diagnostics(도 29)
도 29를 참조하면, 거골면과 경골면의 거리가 10mm보다 크면 아탈구 증상 7) 삼각 인대 검사 및 종비 인대 검사
A. Anterior ankle joint in A.P. position for x-ray
Examination of the delta ligament.
B. Anterior ankle joint in A.P. position for x-ray
Examination of ligamentum fibulo calcaneare.
a. Ankle Stress Valgus(도 30) b. Ankle Stress Varus(도 32)
도 30 및 도 32를 참조하면, 가이드 베드(100)의 Ball bearing guide에 제2 고정 부재(320)를 고정하고 15° 정도 기울인다. 반대쪽 Frame의 Ball bearing guide에 제1 고정 부재(250)를 고정한다. 환자는 앉은 자세에서 무릎을 20° 정도 구부리고, 발 뒤꿈치는 발 고정 장치의 중간 부분에 놓는다. (무릎 밑에 wedge를 놓는다) 환자의 발 고정 장치로부터 움직임이 없어야 한다. 따라서 fixation support에 압력을 가한 후 fastening screw를 잠근다. 압력장치의 전면 쿠션은 비골 tip(Valgus) 또는 안쪽 malleolus보다 5cm의 높이에 위치하게 한다. 통상 검사는 15kp로 압력으로 한다.
C. Instructions for diagnostics
도 31 및 도 33을 참조하면, 경골과 거골 사이의 각도를 측정한다. 10도 이상은 이상소견, 5도 이상 10이하는 x-ray 비교가 필요하다.
8) 배측 종입방 인대 검사
A. Examination of the collateral Chopart’joint
- ligamentum calcaneo - cuboideum dorsale
도 34를 참조하면, 주상골 근위부를 압력 장치에 놓는다. 환자는 앉은 자세에서 무릎을 90°구부린다. 통상 25kp의 압력 장치의 압력을 가한다.
B. Instructions for diagnostics(도 33)
Collateral articular space의 너비 측정. 2. 5 mm 이상 열려져 보일 경우 : 뚜렷하게 발견할 수 있다. X-ray 비교시 2 mm 이상의 간격: 병리학적인 병변.
100 : 가이드 베드
200 : 제1 고정부
220 : 지지대
240 : 고정홈
250 : 제1 고정 부재
252 : 제1 돌기
260 : 연결 부재
261 : 연결 돌기
262 : 연결 홈
300 : 제2 고정부
310 : 지지대
320 : 제2 고정 부재
321 : 발 고정판
322 : 제2 고정 돌기
323 : 제1 고정축
324 : 압착판
340 : 제3 고정 부재
345 : 고정판
346 : 제3 고정 돌기
347 : 원기둥 부재
348 : 제2 고정축
349 : 높낮이 조절부
400 : 가압부
410 : 이동 부재
412 : 제1 구멍
414 : 내벽
416 : 제1 홈
420 : 케이스
430 : 해제 버튼
440 : 나사산 부재
441 : 회전 부재
450 : 보호 부재
600 : 압력 출력부
610 : 로드 셀
615 : 입력부
620 : 스위치
630 : 스프링
640 : 근접 센서
650 : 제어부
660 : 표시부
670 : 전원 공급부

Claims (13)

  1. 상호 평행하게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고 양 끝단에 마감 부재가 각각 결합된 한 쌍의 가이드 베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베드의 각 일단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검사 부위의 일측을 고정하는 제1 고정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베드의 각 타단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검사 부위의 타측을 고정하는 제2 고정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베드의 중간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검사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에 일정 시간 동안 힘을 가하는 가압부; 및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신체 부위에 가해진 가압력을 검출하여 뼈 또는 인대의 손상 여부를 검사하기에 적합한 압력 값을 출력하는 압력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는
    중간에 제1 구멍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구멍의 일부가 위치하는 내벽에 한 쌍의 제1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구멍의 일부로부터 전방으로 제2 구멍이 형성되고 전후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여 상기 신체 부위에 접근하는 이동 부재;
    상기 이동 부재의 타측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신체 부위에 가해지는 압력으로부터 상기 신체 부위를 보호하는 보호 부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이동 부재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는 나사산 부재;
    상기 한 쌍의 제1 홈에 대응하게 후면에 한 쌍의 제2 홈이 형성되고 한쌍의 스프링이 상기 한 쌍의 제1 홈 및 상기 한 쌍의 제2 홈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홈 및 상기 제2 구멍에 누름 가능하도록 내측 일부가 상기 나사산 부재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이동 부재를 고정하고 누름 동작에 의해 상기 이동 부재의 고정을 해제하는 해제 버튼;
    상기 나사산 부재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나사산 부재를 회전하여 상기 이동 부재의 직선 운동을 조절하는 회전 부재; 및
    상기 이동 부재의 직선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는 각각
    상부에는 다수의 고정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베드의 외측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고정 홈에 삽입되어 검사부위의 일측을 고정해주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지지대의 상부 소정위치에 고정되어 신체를 고정함과 함께 고정되는 신체부위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탄성력을 갖는 원통형 본체; 및
    상기 원통형 본체의 하부에 결합됨과 함께 상기 지지대의 상부 소정 위치에 삽입되어 상기 원통형 본체가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도록 하는 제1 돌기를 구비하는 제1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고정되어 발의 일측을 고정해주는 발 고정판;
    상기 발 고정판의 외측 소정 위치에 결합됨과 함께 상기 지지대의 상부 소정위치에 삽입되어 상기 발 고정판이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도록 하는 제2 고정 돌기;
    상기 발 고정판의 외측 소정위치에 고정결합되는 제1 고정축; 및
    상기 제1 고정축의 외측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발의 타측을 압착하도록 하여 발이 상기 발 고정판에 고정되도록 해주는 압착판으로 구성된 제2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저면에 결합됨과 함께 상기 지지대의 상부 소정 위치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판이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도록 하는 제3 고정 돌기;
    상기 고정판의 측면에 결합되어 신체의 저면이 고정됨 함께 탄성력을 가지는 한 쌍의 원기둥 부재;
    상기 고정판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2 고정축; 및
    상기 제2 고정축의 외측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됨과 함께 일측에 상기 한 쌍의 원기둥 부재의 하나가 결합되어 신체의 상면을 고정하는 높낮이 조절부로 구성된 제3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와 상기 고정 부재 사이에는 상기 지지대에 수직으로 고정됨과 함께 상기 지지대와 상기 고정 부재를 연결함으로써 검사받는 사람의 신체에 따라 상기 고정 부재의 위치를 변화하는 연결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 부재의 일단 저면에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 고정되는 연결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 부재의 타단 상부에는 상기 제1 돌기가 삽입 고정되는 연결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15daN 내지 25daN 압력을 갖는 힘을 가하는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출력부는
    상기 신체 부위에 가해진 가압력을 검출하여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발생하는 로드 셀;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시작 명령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부;
    상기 시작 명령 신호의 입력후 설정 시간 내에 상기 로드 셀로부터 전기 신호인 센서 값이 입력되었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센서값을 표시하고 입력되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여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상기 시작 명령 신호에 따라 상기 로드 셀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압력 값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상기 압력 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각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상기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케이스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시작 명령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케이스의 표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스프링;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스프링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신체 또는 물체의 근접 여부에 따라 시작 명령 신호를 출력하는 근접 센서를 포함하는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밧데리 또는 무선 전력 충전식 밧데리를 포함하는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
  13. 삭제
KR1020180085617A 2018-07-23 2018-07-23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 KR102130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617A KR102130890B1 (ko) 2018-07-23 2018-07-23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
CN201811059609.0A CN110742637A (zh) 2018-07-23 2018-09-12 用于x光片的压力检测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617A KR102130890B1 (ko) 2018-07-23 2018-07-23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0944A KR20200010944A (ko) 2020-01-31
KR102130890B1 true KR102130890B1 (ko) 2020-08-05

Family

ID=69275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5617A KR102130890B1 (ko) 2018-07-23 2018-07-23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30890B1 (ko)
CN (1) CN1107426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4797A (ko) 2022-01-24 2023-08-02 민병찬 편의성이 향상된 인대 검사용 스트레스 검사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320Y1 (ko) * 2001-02-03 2001-07-19 노재혁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096941B1 (ko) * 1970-07-09 1973-01-12 Stephanois Rech
DE3131472C2 (de) * 1981-08-08 1984-09-20 Olaf 6103 Griesheim Tulaszewski Haltevorrichtung für die gehaltene Röntgenaufnahme des Beines
KR20060120781A (ko) * 2005-05-23 2006-11-28 메딕스얼라인 주식회사 인대 검사를 위한 다리의 지지 및 고정장치
KR101895610B1 (ko) * 2011-01-07 2018-10-16 주식회사 레이언스 X-선 촬영 장치
CN103637812A (zh) * 2013-12-11 2014-03-19 孟辉 一种膝关节韧带应力检查器
KR101748590B1 (ko) * 2015-08-27 2017-06-19 인충교 무릎 및 발목 인대 파열 검사 장치
CN107303180A (zh) * 2016-04-23 2017-10-31 长沙跃胜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人体膝关节抽屉试验检测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320Y1 (ko) * 2001-02-03 2001-07-19 노재혁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4797A (ko) 2022-01-24 2023-08-02 민병찬 편의성이 향상된 인대 검사용 스트레스 검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0944A (ko) 2020-01-31
CN110742637A (zh) 2020-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3591B2 (en) Robotic knee testing device, subjective patient input device and method for using same
Markolf et al. In vivo knee stability. A quantitative assessment using an instrumented clinical testing apparatus.
CA2949507C (en) Multi-section limb and ligament evalu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for using same
Jurist et al. Anteroposterior tibiofemoral displacements during isometric extension efforts: the roles of external load and knee flexion angle
US11484254B2 (en) Floating patella sensor, knee stabilizer with same and robotic knee testing apparatus with same
US10470700B2 (en) Multi-joint device for objective measurement of laxity and cartilage damage
KR20130108239A (ko) 무릎 이완 측정 장치
Torzilli et al. Measurement reproducibility of two commercial knee test devices
US20210077012A1 (en) Robotic joint testing apparatus and coordinate systems for joint evaluation and testing
Jonsson et al. Laxity after cruciate ligament injury in 94 knees: the KT-1000 arthrometer versus roentgen stereophotogrammetry
CA2968167C (en) Robotic knee testing apparatus and patient and apparatus set-up methods
Friden et al. Laxity and graft fixation after reconstruction of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a roentgen stereophotogrammetric analysis of 11 patients
KR102130890B1 (ko)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
US20210251566A1 (en) Multi-axial joint laxity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US20190365329A1 (en) Analysis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joint equilibrium position
Emery et al. Reliability of force/displacement measures in a clinical device designed to measure ligamentous laxity at the knee
KR200450657Y1 (ko) 무릎관절 이완 측정용 의자
US20220409142A1 (en) Multi-axial joint laxity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096970B1 (ko) 슬관절 동요 측정용 의자
Lin A knee arthrometer for measuring varus, valgus, and rotation
Stäubli et al. Our current technique of stressradiography near extension
Neumann et al. Design, Repeatability, and Comparison to Literature Data of a New Noninvasive Device Called “Rotameter” to Measure Rotational Knee Laxity
Neumann et al. Research Article Design, Repeatability, and Comparison to Literature Data of a New Noninvasive Device Called (Rotameter) to Measure Rotational Knee Laxity
Hemmerich Rotational laxity of the knee following reconstruction of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using single vs double-bundle surgery
Stäubli et al. Anterior subluxation in knees with chronic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sufficiency: a comparison of arthrometry and stressradiograph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