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9320Y1 -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9320Y1
KR200229320Y1 KR2020010002569U KR20010002569U KR200229320Y1 KR 200229320 Y1 KR200229320 Y1 KR 200229320Y1 KR 2020010002569 U KR2020010002569 U KR 2020010002569U KR 20010002569 U KR20010002569 U KR 20010002569U KR 200229320 Y1 KR200229320 Y1 KR 2002293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coupled
fixed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25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재혁
Original Assignee
노재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재혁 filed Critical 노재혁
Priority to KR20200100025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93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93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9320Y1/ko

Links

Landscapes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검사하고자 하는 부분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켜주는 고정수단과 검사하고자 하는 관절이나 인대에 무리가 가지 않는 범위내에서 압력을 가해주는 압력발생수단을 구비함으로써, 검사부위가 움직이지 않도록하여 관절이나 인대를 보호해줌과 함께 검사하고자 하는 관절이나 인대의 파열상태를 더 정확하게 파악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관절이나 인대의 파열여부를 측정하는 스트레스 검사에 있어서, 기본 골격을 형성함과 함께 양 끝단에 마감부재(110)가 각각 결합된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의 외측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검사부위의 일측을 고정해주는 제1고정수단(200)과, 상기 프레임(100)의 외측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검사부위의 타측을 고정해주는 제2고정수단(300)과, 상기 프레임(100)의 외측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검사하고자 하는 부위에 일정 시간동안 일정압력을 가해주는 압력발생수단(4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EQUIPMENT FOR STRESS EXAMINATION FOR X-RAY}
본 고안은 스트레스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검사하고자 하는 부분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켜주고, 검사하고자 하는 부분에 일정한 압력을 가한 후 엑스레이 촬영을 통하여 관절이나 인대의 파열여부를 측정하도록 해주는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뼈나 인대의 파열은 뼈와 인대에 작용하는 힘과 속도, 방향에 의해 좌우된다. 이러한 뼈나 인대의 파열여부를 알기 위해 시행되고 있는 방사선 검사는 뼈나 인대가 파열되었을 때, 또는 뼈의 파편 등을 포함하는 단순한 손상만을 보여주기 때문에, 인대의 파열유무를 알기 위해서 파열된 부분에 일정시간동안 일정한 힘을 가하여 변형되는 정도에 따라 이상유무를 판단하는 스트레스 검사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상기 스트레스 검사법은 상기와 같이 검사부위에 일정한 힘을 가한 후 엑스레이 촬영을 통해 인대의 변형되는 정도를 파악하여 인대의 파열여부를 판단하는 검사방법이다.
이러한 종래의 스트레스 검사법은 의사나 간호사, 또는 보호자가 검사받고자 하는 사람의 검사부위를 손으로 붙잡고 힘을 가하여 검사를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검사부위에 가해지는 힘의 차이가 발생함과 함께 검사부위가 제대로 고정되지 않아 검사받는 사람으로 하여금 고통을 느끼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정확한 검사가 이루어지지 않는 어려움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검사하고자 하는 부분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켜주는 고정수단과 검사하고자 하는 관절이나 인대에 무리가 가지 않는 범위내에서 압력을 가해주는 압력발생수단을 구비함으로써, 검사부위가 움직이지 않도록하여 관절이나 인대를 보호해줌과 함께 검사하고자 하는 관절이나 인대의 파열상태를 더 정확하게 파악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의 분해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는 본 고안의 압력발생수단을 하방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은 본 고안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00 : 프레임 110 : 마감부재
200 : 제1고정수단 210 : 베이스
220 : 제1지지대 230 : 요홈
231 : 이탈방지부재 240 : 고정홈
250 : 제1고정부 251 : 제1고정부재
252 : 제1고정돌기 260 : 연결부재
261 : 연결돌기 262 : 연결홈
270 : 카세트보관부 300 : 제2고정수단
310 : 제2지지대 320 : 제2고정부
321 : 발고정판 322 : 제2고정돌기
323 : 제1고정축 324 : 압착판
325 : 고정판 326 : 제3고정돌기
327 : 제2고정부재 328 : 제2고정축
329 : 높낮이 조절수단 400 : 압력발생수단
410 : 몸체 411 : 돌출부
412 : 슬라이드부재 413 : 가이드부재
414 : 가이드판 420 : 압력발생부
430 : 조정버튼 440 : 조절부재
441 : 손잡이 450 : 보호부재
460 : 표시부 470 : 전원공급부
480 : 점등부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관절이나 인대의 파열여부를 측정하는 스트레스 검사에 있어서, 기본 골격을 형성함과 함께 양 끝단에 마감부재가 각각 결합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외측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검사부위의 일측을 고정해주는 제1고정수단과, 상기 프레임의 외측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검사부위의 타측을 고정해주는 제2고정수단과, 상기 프레임의 외측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검사하고자 하는 부위에 일정시간동안 일정압력을 가해주는 압력발생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의 분해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는 본 고안의 압력발생수단을 하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기본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100)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프레임(100)의 외측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검사부위의 일측을 고정해주는 제1고정수단(200)과, 상기 프레임(100)의 외측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검사부위의 타측을 고정해주는 제2고정수단(300)과, 상기 프레임(100)의 외측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검사하고자 하는 부위에 일정시간동안 일정압력을 가해주는 압력발생수단(4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00)의 양 끝단에는 상기 각 고정수단(200)(300)과 상기 압력발생수단(400)이 상기 프레임(1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해주는 마감부재(110)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고정수단(200)은 상기 프레임(100)의 외측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됨과 함께 양 끝단 저면에 바닥과 접촉되는 베이스(210)가 각각 결합되어 있는 제1지지대(220)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대(220)의 일단에는 상기 프레임(100)이 삽입되어 관통되도록 요홈(2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요홈(230)의 입구에는 상기 프레임(100)이 상기 요홈(230)의 입구쪽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해주는 이탈방지부재(231)가 복수개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대(220)의 상부에는 후술할 제1고정부(250)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해주는 복수개의 고정홈(24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고정홈(240)은 복수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검사받는 사람의 체형에 맞게 상기 제1고정부(250)는 상기 각 고정홈(240)에 선택적으로 고정된다.
상기 제1고정수단(200)은 상기 제1지지대(220)의 상부 소정위치에 고정되어 검사부위의 일측을 고정해주는 제1고정부(250)를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고정부(250)에는 상기 제1지지대(220)의 상부 소정위치에 고정되어신체를 고정해줌과 함께 고정되는 신체부위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탄성력을 갖는 제1고정부재(25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고정부재(251)의 하부에는 상기 제1지지대(220)의 상기 각 고정홈(240)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고정부재(251)가 상기 제1지지대(220)에 고정되도록 해주는 제1고정돌기(252)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2고정수단(300)은 상기 프레임(100)의 외측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됨과 함께 양 끝단 저면에 바닥과 접촉되는 베이스(210)가 각각 결합되어 있는 제2지지대(310)를 포함하고 있다.
이 때, 상기 제2지지대(310)는 상기 제1지지대(22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각 지지대(220)(310)의 저면에는 엑스레이 촬영시 필요한 카세트를 보관하도록 해주는 카세트 보관부(27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카세트 보관부(270)는 상기 각 지지대(220)(310)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형성된 양측면중 어느 한측면이 개방된 형태로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카세트의 장방향과 단방향 모두 삽입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고정수단(300)은 상기 제2지지대(310)의 상부 소정위치에 고정되어 검사부위의 타측을 고정해주는 제2고정부(320)를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2고정부(320)는 상기 제2지지대(310)의 상부에 고정되어 발의 일측을 고정해주는 발고정판(321)과, 상기 발고정판(321)의 외측 소정위치에 각각 결합됨과 함께 상기 제2지지대(3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각 고정홈(240)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발고정판(321)이 상기 제2지지대(310)에 고정되도록 해주는복수개의 제2고정돌기(322)와, 상기 발고정판(321)의 외측 소정위치에 고정결합되는 제1고정축(323)과, 상기 제1고정축(323)의 외측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발의 타측을 압착하도록 하여 발이 상기 발고정판(321)에 고정되도록 해주는 압착판(324)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각 제2고정돌기(322)는 상기 발고정판(321)의 서로 다른 측면에 각각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사람의 발을 고정시키고자 하는 위치에 따라 상기 각 제2고정돌기(322)를 선택적으로 상기 제2지지대(310)에 고정하게 된다.
상기 압력발생수단(400)은 상기 프레임(100)의 외측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몸체(410)와, 상기 몸체(410)의 상부 소정위치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압력을 발생하여 검사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에 일정한 압력을 가해주는 압력발생부(420)와, 상기 몸체(410)의 상부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압력발생부(420)의 작동을 조정해주는 조정버튼(430)과, 상기 몸체(410)의 일단을 관통함과 함께 상기 압력발생부(420)의 일측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압력발생부(420)의 이동을 조절해줌과 함께 일단 외측면에 손잡이(441)가 결합되어 있는 조절부재(440)와, 상기 몸체(410)의 하부를 관통하여 상기 압력발생부(420)의 하부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압력발생부(420)의 이동을 가이드해주는 복수개의 가이드부재(413)와, 상기 각 가이드부재(413)의 일단에 결합됨과 함께 상기 조절부재(440)의 일단이 관통되는 가이드판(414)과, 상기 압력발생부(420)의 타측에 고정결합되어 신체에 접촉됨과 함께 신체에 가해지는 압력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해주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보호부재(450)를 포함하고 있다.
이 때, 상기 몸체(410)의 하부에는 상기 프레임(100)이 삽입되도록 하방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는 두 개의 돌출부(411)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어느 하나의 돌출부(411) 하부에는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이 고정되도록 단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다른 돌출부(411)에는 상기 프레임(100)의 저면 중심부로 이동하여 상기 프레임(100)의 타측을 고정해는 슬라이드부재(412)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압력발생부(420)의 외측 소정위치에는 상기 압력발생부(420)에서 발생되는 압력을 수치로 표시해주는 표시부(46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압력발생부(420)의 외측 소정위치에는 외부로부터 전원 입력단자가 삽입되어 전원이 입력되는 전원공급부(470)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압력발생부(420)는 외부로부터 상기 전원공급부(470)를 통해 직접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압력발생부(420) 내측 소정위치에 충전이 가능한 밧데리(미도시)를 구비하여 내부에서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압력발생부(420)의 외측 소정위치에는 불빛이 점등 또는 점멸됨에 따라 상기 압력발생부(420)에 전원이 공급되었는지의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해주는 점등부재(480)가 설치되어 있다.
도 4는 본 고안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지지대(220)와 상기 제1고정부(250)사이에는 상기 제1지지대(220)에 수직으로 고정됨과 함께 상기제1지지대(220)와 상기 제1고정부(250)를 연결해주어 검사받는 사람의 신체에 따라 상기 제1고정부(250)의 위치를 변화시켜주는 연결부재(26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260)의 일단 저면에는 상기 고정홈(240)에 삽입고정되는 연결돌기(26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 상부에는 상기 제1고정돌기(252)가 삽입고정되는 연결홈(262)이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본고안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고정부(320)는 상기 제2지지대(310)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판(325)과, 상기 고정판(325)의 저면에 결합됨과 함께 상기 제2지지대(310)의 상부 소정위치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판(325)이 상기 제2지지대(310)에 고정되도록 해주는 제3고정돌기(326)와, 상기 고정판(325)의 측면에 결합되어 신체의 저면이 고정됨과 함께 탄성력을 가지는 제2고정부재(327)와, 상기 고정판(325)의 상면에 결합되어 있는 제2고정축(328)과, 상기 제2고정축(328)의 외측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됨과 함께 일측에 상기 제2고정부재(327)가 결합되어 신체의 상면을 고정해주는 높낮이 조절수단(329)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검사하고자 하는 신체부위에 따라 상기 프레임(100)의 외측에 상기 각 고정수단(200)(300)을 적절하게 배열한 후, 검사하고자 하는 신체부위를 상기 각 고정수단(200)(300)에 고정시킨다.
즉, 상기 각 고정부(250)(320)를 상기 각 지지대(220)(3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복수개의 고정홈(240)에 검사하고자 하는 신체부위에 맞게 선택적으로 삽입고정시키고, 상기 각 고정수단(200)(300)을 검사하고자 하는 신체의 길이에 맞게 상기 프레임(100)의 외측면을 따라 이동시킨 후 고정시킨다.
그리고나서, 상기 압력발생수단(400)을 상기 프레임(100)의 외측면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검사부위에 정확하게 위치시킨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압력발생수단(400)의 몸체(410)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돌출부(411)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412)를 상기 프레임(100)의 저면 중심부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압력발생수단(400)은 상기 프레임(100)에 고정된다.
상기 각 고정수단(200)(300)과 상기 압력발생수단(400)은 상기 각 마감부재(110)에 의해 상기 프레임(1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 압력발생수단(400)이 위치하게 되면, 상기 조절부재(440)를 조절하여 상기 보호부재(450)가 검사받고자 하는 신체부위에 접촉되게 한 후, 상기 압력발생수단(400)의 상기 조정버튼(430)을 눌러 상기 압력발생부(420)로부터 일정 시간동안 일정 압력을 발생시킨다.
이 때, 상기 압력발생부(420)로부터 발생되는 압력은 상기 표시부(460)를 통해 수치로 환산되어 표시된다.
상기 압력발생부(420)로부터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검사받고자 하는 신체부위가 눌려지면 엑스레이 촬영을 하게 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고정수단(200)에는 상기 제1지지대(220)와 상기 제1고정부(250)를 연결해주는 연결부재(260)가 구비됨에 따라, 검사받고자 하는 사람의 신체에 맞게 상기 제1고정부(250)를 상기 제1지지대(220)와 수직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이동시켜 고정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검사장치의 작용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고정부(320)는 상기 제2지지대(3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고정홈(240)에 선택적으로 삽입고정됨에 따라, 검사받고자 하는 신체의 타측을 고정해준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검사장치의 작용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본 명세서와 예시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그 기술사상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에 따르면, 검사하고자 하는 부분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켜주는 고정수단과 검사하고자 하는 관절이나 인대에 무리가 가지 않는 범위내에서 압력을 가해주는 압력발생수단을 구비함으로써, 검사받고자 하는 신체부위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여 검사받고자 하는 부분 즉, 관절이나 인대를 보호하도록 해줌과 함께 관절이나 인대의 파열상태를 더 정확하게 파악하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관절이나 인대의 파열여부를 측정하는 스트레스 검사에 있어서,
    기본 골격을 형성함과 함께 양 끝단에 마감부재가 각각 결합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외측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검사부위의 일측을 고정해주는 제1고정수단과,
    상기 프레임의 외측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검사부위의 타측을 고정해주는 제2고정수단과,
    상기 프레임의 외측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검사하고자 하는 부위에 일정시간동안 일정압력을 가해주는 압력발생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외측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됨과 함께 양 끝단 저면에 바닥과 접촉되는 베이스가 각각 결합된 제1지지대와,
    상기 제1지지대의 상부 소정위치에 고정되어 검사부위의 일측을 고정해주는 제1고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제1지지대의 상부 소정위치에 고정되어 신체를 고정해줌과 함께 고정되는 신체부위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탄성력을 갖는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1고정부재의 하부에 결합됨과 함께 상기 제1지지대의 상부 소정위치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제1지지대에 고정되도록 해주는 제1고정돌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대와 상기 제1고정부 사이에는 상기 제1지지대에 수직으로 고정됨과 함께 상기 제1지지대와 상기 제1고정부를 연결해주어 검사받는 사람의 신체에 따라 상기 제1고정부의 위치를 변화시켜주는 연결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외측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됨과 함께 양 끝단 저면에 바닥과 접촉되는 베이스가 각각 결합된 제2지지대와,
    상기 제2지지대의 상부 소정위치에 고정되어 검사부위의 타측을 고정해주는 제2고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제2지지대의 상부에 고정되어 발의 일측을 고정해주는 발고정판과,
    상기 발고정판의 외측 소정위치에 결합됨과 함께 상기 제2지지대의 상부 소정위치에 삽입되어 상기 발고정판이 상기 제2지지대에 고정되도록 해주는 복수개의 제2고정돌기와,
    상기 발고정판의 외측 소정위치에 고정결합되는 제1고정축과,
    상기 제1고정축의 외측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발의 타측을 압착하도록 하여 발이 상기 발고정판에 고정되도록 해주는 압착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제2지지대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저면에 결합됨과 함께 상기 제2지지대의 상부 소정위치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판이 상기 제2지지대에 고정되도록 해주는 제3고정돌기와,
    상기 고정판의 측면에 결합되어 신체의 저면이 고정됨 함께 탄성력을 가지는 제2고정부재와,
    상기 고정판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2고정축과,
    상기 제2고정축의 외측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됨과 함께 일측에 상기 제2고정부재가 결합되어 신체의 상면을 고정해주는 높낮이 조절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발생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외측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 소정위치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압력을 발생해주는 압력발생부와,
    상기 몸체의 상부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압력발생부의 작동을 조정해주는 조정버튼과,
    상기 몸체의 일단을 관통함과 함께 상기 압력발생부의 일측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압력발생부의 이동을 조절해줌과 함께 일단 외측면에 손잡이가 결합된 조절부재와,
    상기 몸체의 하부를 관통하여 상기 압력발생부의 하부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압력발생부의 이동을 가이드해주는 복수개의 가이드부재와,
    상기 각 가이드부재의 일단에 결합됨과 함께 상기 조절부재의 일단이 관통되는 가이드판과,
    상기 압력발생부의 타측에 고정결합되어 신체에 가해지는 압력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해주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보호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하부에는 상기 프레임이 삽입되도록 하방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는 두개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어느 하나의 돌출부의 하부에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이 고정되도록 단턱을 형성하고, 상기 다른 돌출부에는 상기 프레임의 타측이 고정되도록 상기 돌출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드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
KR2020010002569U 2001-02-03 2001-02-03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 KR2002293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569U KR200229320Y1 (ko) 2001-02-03 2001-02-03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569U KR200229320Y1 (ko) 2001-02-03 2001-02-03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9320Y1 true KR200229320Y1 (ko) 2001-07-19

Family

ID=73095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2569U KR200229320Y1 (ko) 2001-02-03 2001-02-03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9320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170B1 (ko) * 2012-07-06 2013-09-11 (주)디알젬 이동형 촬영기기 거치용 스탠드의 암
KR20170025026A (ko) 2015-08-27 2017-03-08 인충교 무릎 및 발목 인대 파열 검사 장치
KR20190061819A (ko) 2017-11-28 2019-06-05 인충교 듀얼 무릎 및 발목 인대 파열 검사 장치
KR20190092678A (ko) 2018-01-31 2019-08-08 인충교 검사 정보의 자동 저장이 가능한 듀얼 무릎 및 발목 인대 파열 검사 장치
KR20200010944A (ko) 2018-07-23 2020-01-31 대승의료기기(주)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170B1 (ko) * 2012-07-06 2013-09-11 (주)디알젬 이동형 촬영기기 거치용 스탠드의 암
KR20170025026A (ko) 2015-08-27 2017-03-08 인충교 무릎 및 발목 인대 파열 검사 장치
KR101748590B1 (ko) 2015-08-27 2017-06-19 인충교 무릎 및 발목 인대 파열 검사 장치
KR20190061819A (ko) 2017-11-28 2019-06-05 인충교 듀얼 무릎 및 발목 인대 파열 검사 장치
KR20190092678A (ko) 2018-01-31 2019-08-08 인충교 검사 정보의 자동 저장이 가능한 듀얼 무릎 및 발목 인대 파열 검사 장치
KR20200010944A (ko) 2018-07-23 2020-01-31 대승의료기기(주)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
CN110742637A (zh) * 2018-07-23 2020-02-04 大胜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用于x光片的压力检测设备
KR102130890B1 (ko) * 2018-07-23 2020-08-05 노재혁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733261T2 (de) Tragbares materialprüfgerät
Askew et al. Isometric elbow strength in normal individuals.
Jurist et al. Anteroposterior tibiofemoral displacements during isometric extension efforts: the roles of external load and knee flexion angle
US496989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tension on a ligament graft
US20110213275A1 (en) Device for determining the stability of a knee joint
Kowalk et al.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measuring capabilities of the KT-1000 knee ligament arthrometer
US5673708A (en) Articular cartilage evaluator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EP0760621A1 (en) Articular cartilage evaluator and method for use
JPS63502966A (ja) ひざの前方十字靭帯のゆるみ及び被膜安定度の測定装置
Howe et al. Arthroscopic strain gauge measurement of the normal anterior cruciate ligament
WO2009127654A1 (en) Device and method for knee ligament strain measurement
KR200229320Y1 (ko)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
Torzilli et al. Measurement reproducibility of two commercial knee test devices
EP0293372B1 (en) Non-invasive quantitative knee joint in vivo instability analyzer
US5911695A (en) Shoulder tester
EP3251589B1 (en) Robotic knee testing apparatus and patient and apparatus set-up methods
RU2294132C2 (ru) Офтальмолог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ения натяжения тканей
MARKOLF et al. The clinical relevance of instrumented testing for ACL insufficiency: experience with the UCLA clinical knee testing apparatus
US5662121A (en) Medical diagnostic device for applying controlled stress to joints
US6790186B1 (en) Device for evaluating the dynamic, mechanical properties of materials
KR20060120781A (ko) 인대 검사를 위한 다리의 지지 및 고정장치
KR20180059404A (ko) 무릎관절 촬영 보조기구 및 이를 이용한 무릎관절 촬영방법
CN210185591U (zh) 一种关节应力位检查仪
KR102130890B1 (ko)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
KR970032758A (ko) 뼈 평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1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