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0625B1 - 유회수기 - Google Patents

유회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0625B1
KR101930625B1 KR1020170036742A KR20170036742A KR101930625B1 KR 101930625 B1 KR101930625 B1 KR 101930625B1 KR 1020170036742 A KR1020170036742 A KR 1020170036742A KR 20170036742 A KR20170036742 A KR 20170036742A KR 101930625 B1 KR101930625 B1 KR 101930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main body
drum
scraper
buoy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6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7879A (ko
Inventor
한상구
최성환
김명식
정경호
이태호
박종복
Original Assignee
해양환경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양환경공단 filed Critical 해양환경공단
Priority to KR1020170036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0625B1/ko
Publication of KR20180107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7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0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0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 E02B15/101Means floating loosely on the water absorbing the 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 E02B15/103Rotary dru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4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sp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휴대용 유회수기가 개시된다. 상기 유회수기는, 전방 중앙부가 관통된 형상을 가지며, 중공형으로 이루어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의 관통된 부분에 대응되도록 전방 중앙부가 개방된 형상을 가지며, 중공형으로 이루어지는 부력체; 오일이 유출된 수면에 일부가 잠길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관통된 부분에 노출 배치되고, 양단이 상기 본체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하는 드럼; 상기 본체의 전방 일측 내부에 내장되고, 상기 드럼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드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드럼의 전방 상측에 밀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드럼의 표면에 흡착된 오일을 긁어내는 스크레이퍼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회수기{Oil Skimmer}
본 발명은 유회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형화를 통해 휴대가 가능한 유회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회수기란 누출된 기름을 회수하는 장치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펌프를 이용해 빨아들이거나 벨트나 로프를 이용하여 기름이 묻어 오르게 하는 방식이 있다. 이러한 유회수기는 바다나 강에 오일이 유출된 경우 이를 제거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데에 사용되는데, 대용량의 오일을 처리하기 위하여 대형화 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대형의 유회수기는 작업 공간이 협소하거나 진입로 등이 확보되지 않는 곳에서의 기름오염사고에는 사용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18296호 (2016. 2. 17. 공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가 가능할 정도로 소형화되어 소량의 오일이 유출된 곳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유회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방 중앙부가 관통된 형상을 가지며, 중공형으로 이루어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의 관통된 부분에 대응되도록 전방 중앙부가 개방된 형상을 가지며, 중공형으로 이루어지는 부력체; 오일이 유출된 수면에 일부가 잠길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관통된 부분에 노출 배치되고, 양단이 상기 본체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하는 드럼; 상기 본체의 전방 일측 내부에 내장되고, 상기 드럼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드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드럼의 전방 상측에 밀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드럼의 표면에 흡착된 오일을 긁어내는 스크레이퍼를 포함하는 휴대용 유회수기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스크레이퍼의 양단에 인접한 상기 본체의 전방 양측 내벽에는 오일유입홀이 각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전방 양측 내부에는, 상기 오일유입홀과 연결되어 상기 스크레이퍼에 의해 모아진 오일을 상기 본체의 중앙 내부 방향으로 유도하는 오일가이드가 각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중앙 내부에는 상기 오일을 저장하는 오일저장소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후방 내부에는, 호스를 통해 상기 오일저장소에 저장된 오일을 외부로 배출하는 오일펌프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본체의 전방 일측 내부에는, 상기 모터에 동력을 제공하는 제1 배터리가 내장되고, 상기 본체의 타측 내부에는, 상기 오일펌프에 동력을 제공하는 제2 배터리가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은 중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은 친유성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저장소에는 수위감지센서가 마련되고, 상기 오일저장소에 미리 설정된 수준의 오일이 축적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오일펌프가 자동으로 작동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본체와 상기 부력체는 모두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전방이 후방보다 두꺼운 형상을 가지고, 상기 부력체는 상기 본체에 맞물리도록 전방이 후방보다 얇은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부력체의 양측에는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크레이퍼의 양단에는 차단벽이 형성되고, 상기 차단벽 중 상기 오일유입홀과 인접한 부분은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소형화되어 소량의 오일이 유출된 곳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유회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회수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회수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회수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회수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회수기의 스크레이퍼를 나타내는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회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회수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회수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회수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회수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회수기의 스크레이퍼를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유회수기는, 전방 중앙부가 관통된 형상을 가지며 중공형으로 이루어지는 본체(10), 본체(10)의 하부에 결합되고 중공형으로 이루어지는 부력체(20), 본체(10)의 관통된 부분에 노출 배치되고 양단이 본체(10)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하는 드럼(30), 본체(10)에 내장되어 드럼(3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40), 드럼(30)의 표면에 흡착된 오일을 긁어내는 스크레이퍼(50)를 주된 구성요소로 갖는다.
본체(10)는 부력체(20)와 함께 본 실시예에 따른 유회수기의 전체적인 형상을 결정하면서, 그 내부에 여러 구성요소가 내장될 수 있도록 중공형으로 이루어진다. 본체(10)는 이와 같이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자체의 부력을 가짐으로써 부력체(20)의 부력을 일부 보조하게 된다. 그리고 본체(10)의 전방 중앙부에는 드럼(30)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전체적으로 본체(10)의 전방 중앙부가 관통된 형상을 갖게 된다. 본체(10)는 유회수기의 휴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가벼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체(10)는 유지, 보수의 편의를 위하여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하부유닛(10b)과 하부유닛(10b)의 상면을 커버하는 덮개(10a)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본체(10)의 내부 구조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부유닛(10b)과 덮개(10a) 사이의 결합은 체결유닛(S)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체(10)의 하부에는 중공형의 부력체(20)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회수기가 수면 상에서 사용되는 것이므로 안정적인 부력이 필요하므로, 부력체(20)가 본체(10)의 하부에 결합된다.
이 경우 부력체(20)가 드럼(30)의 회전을 방해하면 안 되므로, 본체(10)의 관통된 부분(즉, 드럼(30)이 배치되는 부분)에 대응되도록 부력체(20)의 전방 중앙부도 개방된 형상을 갖는다. 유회수기의 휴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체(10)와 마찬가지로 부력체(20) 역시 가벼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휴대성을 높이기 위하여 부력체(20)의 양측에 손잡이(21)가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유회수기의 경우, 수면의 오일 수거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전방과 후방의 부력이 의도적으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즉 본체(10)는 전방이 후방보다 두꺼운 형상을 가지고, 부력체(20)는 전방이 후방보다 얇은 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본체(10)와 부력체(20)가 서로 맞물리는 형상을 갖도록 설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부력체(20)를 후방의 메인부력부와 이 메인부력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서브부력부로 구성하여 부력체(20)의 전방을 후방보다 얇게 형성함으로써 유회수기 전방의 부력을 후방 측에 비해 작게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회수기의 전방이 상대적으로 수중으로 더 잠기면서 드럼(30)이 수중에 항상 안정적으로 잠겨 오일을 효과적으로 수거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드럼(30) 역시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부력을 보조하게 되므로 부력체(20)의 비대칭 구조로 인해 장치가 전복되는 문제는 발생될 여지가 없다.
본체(10)는 이러한 부력체(20)와 맞물리도록 전방과 중앙을 후방보다 두껍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장치의 두께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어 유회수기의 보다 안정적인 자세 유지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본체(10)의 전방과 중앙이 두껍게 형성됨으로써 본체(10)의 전방과 중앙에는 드럼(20), 모터(30), 배터리(71, 72) 등 각종 부품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으며, 오일저장소(13)를 위한 공간도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드럼(30)은 본체(10)의 관통된 부분(즉, 전방 중앙부)에 노출 배치되고, 양단이 본체(10)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한다. 드럼(30)은 오일이 유출된 수면에 일부가 잠긴 상태에서 회전하는데, 이렇게 되면 수중의 오일이 드럼(30)의 표면에 흡착되어 물과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오일의 분리가 보다 더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드럼(30)은 친유성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드럼(30)의 재질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흡착을 통해 오일을 물과 분리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체(10)와 부력체(20)와 마찬가지로 드럼(30) 역시 중공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이렇게 하면 유회수기에 부력을 보다 더 보강할 수 있게 된다.
드럼(30)의 양측에 인접한 본체(10)의 전방 일측 내부에는 드럼(3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40)가 내장될 수 있다. 모터(40)의 구체적인 위치는 설계 상의 필요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체(10)의 전방 일측 내부에는 모터(40)에 동력을 제공하는 제1 배터리(71)가 내장될 수 있다.
본체(10)의 전방 타측 내부에는 모터(40)와 대응되는 무게를 같는 평형추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모터(40)와 대칭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무게의 평형추를 배치함으로서 유회수기의 무게 중심이 흐트러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무게추를 대신하여 부력체(40) 내부에 평형수를 충전할 수도 있다. 즉 부력체 내부 공간은 격벽에 의해 적어도 2개 이상의 격실로 구분될 수 있으며, 모터(40)와 대칭되는 위치의 격실에 해수 등의 평형수를 채움으로써 유회수기의 무게 중심을 보정할 수 있다.
한편, 드럼(30)의 전방 상측에는 드럼(30)의 표면에 흡착된 오일을 긁어내는 스크레이퍼(50)가 위치한다. 스크레이퍼(50)는 드럼(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드럼(30)의 전 부분을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드럼(30)으로부터 오일을 분리시키기 위하여 드럼(30)에 밀착된다. 이렇게 스크레이퍼(50)가 드럼(30)에 밀착된 상태에서 드럼(30)이 회전을 하게 되면, 드럼(30)의 표면에 흡착되어 물로부터 분리된 오일이 스크레이퍼(50)에 의해 긁혀져 드럼(3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스크레이퍼(50)에 의해 드럼(30)으로부터 분리된 오일은 본체(10) 중앙 내부에 형성된 오일저장소(13)로 이동하여 축적된다. 이를 위하여, 스크레이퍼(50)의 양단에 인접한 본체(10)의 전방 양측 내벽에는 오일유입홀(11)이 각 형성되고, 본체(10)의 전방 양측 내부에는 오일유입홀(11)과 연결되는 오일가이드(12)가 각 형성된다. 오일가이드(12)는 오일을 본체(10)의 중앙 내부 방향으로 유도하는 통로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에 도시된 화살표는 오일이 이동하는 경로를 나타낸다.
한편, 스크레이퍼(50)의 전방 단부와 양측 단부에는 차단벽(도 5의 51)이 형성되는데, 차단벽(51) 중 오일유입홀(11)과 인접한 부분은 선택적으로 개방된 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이 차단벽(51)이 형성되면, 분리된 오일이 오일유입홀(11)이 아닌 외부(즉, 수중)으로 다시 유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오일유입홀(11)과 오일가이드(12)를 통해 본체(10)의 중앙 내부로 이동된 오일은 본체(10) 중앙 내부에 형성된 오일저장소(13)에 저장되어 소정의 기간 동안 보관되다가 추후에 별도의 외부저장소로 배출되어 처리된다. 저장된 오일의 배출을 위하여, 본체(10)의 후방 내부에 오일펌프(60)가 마련되는데, 오일펌프(60)는 호스(61)를 이용하여 오일저장소(13)의 오일을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오일펌프(60)에 의한 오일의 배출은 수동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이를 자동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오일저장소(13)에 수위감지센서(8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수위감지센서(80)는 오일저장소(13)에 저장된 오일의 양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게 되는데, 만약 오일저장소(13)에 축적된 오일의 양이 미리 설정된 수준에 이른 것으로 감지되면, 오일펌프(60)가 자동으로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방법을 통해 오일의 배출을 자동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한편, 본체(10)의 내부에는 오일펌프(60)에 동력을 제공하는 제2 배터리(72)가 내장될 수 있다. 여기서 오일펌프(60)를 위한 제2 배터리(72)는 모터(40)를 위한 제1 배터리(71)와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유회수기의 무게 중심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전방 일측 내부에는 제1 배터리(71)가 내장되는 경우, 그 반대 측(즉, 본체(10)의 전방 타측 내부)에 제2 배터리(72)가 내장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체(10)의 후방 내부에는 사용자가 리모컨을 통하여 드럼(30) 또는 오일펌프(6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컨트롤러(9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작업자가 무선 리모컨에 의해 원거리에서도 유회수기의 작동을 컨트롤 할 수 있으며 차량 진입이 어렵고, 작업 공간이 좁은 곳에서도 효율적인 오일제거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 외의 많은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10: 본체 11: 오일유입홀
12: 오일가이드 13: 오일저장소
20: 부력체 21: 손잡이
30: 드럼 31: 회전축
40: 모터 50: 스크레이퍼
51: 차단벽 60: 오일펌프
61: 호스 71: 제1 배터리
72: 제2 배터리 80: 수위감지센서
90: 컨트롤러 S: 체결유닛

Claims (10)

  1. 전방 중앙부가 관통된 형상을 가지며, 중공형으로 이루어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의 관통된 부분에 대응되도록 전방 중앙부가 개방된 형상을 가지며, 중공형으로 이루어지는 부력체;
    오일이 유출된 수면에 일부가 잠길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관통된 부분에 노출 배치되고, 양단이 상기 본체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하는 드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드럼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드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드럼의 전방 상측에 밀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드럼의 표면에 흡착된 오일을 긁어내는 스크레이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상기 드럼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크레이퍼에 의해 모아진 오일을 저장하는 오일저장소;
    상기 스크레이퍼의 양측 단부에 위치한 상기 본체의 전방 양측 내벽에 형성되는 오일유입홀;
    상기 본체의 전방 양측 내부에 상기 오일유입홀과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크레이퍼에 의해 모아진 오일을 상기 오일저장소 방향으로 유도하는 오일 통로로 기능하는 오일가이드; 및
    상기 본체의 후방 내부에 위치하여 호스를 통해 상기 오일저장소에 저장된 오일을 외부로 배출하는 오일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전방이 후방보다 두꺼운 형상이고,
    상기 부력체는 상기 본체에 맞물리도록 전방이 후방보다 얇은 형상을 갖고,
    상기 부력체는,
    상기 본체 후방에 결합되는 메인부력부; 및
    상기 메인부력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본체의 전방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부력부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한 쌍의 서브부력부를 포함하여,
    상기 메인부력부와 상기 서브부력부의 부력 차이로 인해, 상기 본체의 전방이 상대적으로 수중에 더 잠기는, 유회수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퍼의 전방 단부와 양측 단부에는 상기 스크레이퍼에 의해 모아진 오일의 재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벽이 형성되고,
    상기 차단벽 중 일부 영역은 상기 오일유입홀과 연결되도록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회수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방 일측 내부에는, 상기 모터에 동력을 제공하는 제1 배터리가 내장되고,
    상기 본체의 타측 내부에는, 상기 오일펌프에 동력을 제공하는 제2 배터리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회수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중공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부력체의 부력을 보조하며,
    상기 드럼은 친유성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회수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저장소에는 수위감지센서가 마련되고,
    상기 오일저장소에 미리 설정된 수준의 오일이 축적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오일펌프가 자동으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회수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부력체는 모두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회수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후방 내부에는 사용자가 리모컨을 통하여 상기 드럼 또는 상기 오일펌프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컨트롤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회수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의 양측에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회수기.
KR1020170036742A 2017-03-23 2017-03-23 유회수기 KR101930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742A KR101930625B1 (ko) 2017-03-23 2017-03-23 유회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742A KR101930625B1 (ko) 2017-03-23 2017-03-23 유회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879A KR20180107879A (ko) 2018-10-04
KR101930625B1 true KR101930625B1 (ko) 2018-12-18

Family

ID=63863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6742A KR101930625B1 (ko) 2017-03-23 2017-03-23 유회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06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3025B1 (ko) * 2019-01-31 2021-03-30 (주)코아이 배낭형 유회수기
KR102426655B1 (ko) * 2020-02-26 2022-07-27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광에너지를 이용한 드럼형 유회수기
KR102269673B1 (ko) * 2020-07-28 2021-06-28 (주)코아이 분리형 유출유 회수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3091Y1 (ko) * 2003-05-13 2003-08-14 김영환 오일 스키머
KR100711296B1 (ko) * 2005-11-22 2007-04-25 한국 해양오염방제조합 친유성 드럼디스크형 유회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3091Y1 (ko) * 2003-05-13 2003-08-14 김영환 오일 스키머
KR100711296B1 (ko) * 2005-11-22 2007-04-25 한국 해양오염방제조합 친유성 드럼디스크형 유회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879A (ko) 2018-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0625B1 (ko) 유회수기
JP2018017064A (ja) 水面の浮遊ごみ捕集装置
WO2000027694A1 (en) Ship for removing floated matter
KR102351436B1 (ko) 퇴적물 공극수 샘플링 장치
JP5608425B2 (ja) 水面浮遊油自走式回収装置
KR100751092B1 (ko) 연삭유 여과장치
CN207211107U (zh) 水面油污污染物收集处理系统
KR101547961B1 (ko) 휴대용 유수분리장치
CN211526100U (zh) 一种水处理设备管道漏水检漏装置
JP4529461B2 (ja) 貯水装置
US7309421B2 (en) Floating skimmer for cleaning the surface of a body of liquid
CN214551712U (zh) 一种动力电池加工用废液回收装置
CN214010816U (zh) 手持式电振河道底质取样器
KR20080014127A (ko) 유류제거용 선박
JP3623927B2 (ja) 携帯式循環濾過装置
JP4075865B2 (ja) 除毛器具の洗浄装置
KR100939107B1 (ko) 오일회수장치
CN221167733U (zh) 水面清洁装置及泳池清洁机器人
KR101537710B1 (ko) 고효율 유회수기
CN221511769U (zh) 一种防止电机进水的表面清洁装置
CN214512837U (zh) 一种可排弃废液的萃取机
KR102647556B1 (ko) 부유 쓰레기 포집장치
JPH1114513A (ja) 浄化槽の汚泥引き抜き装置
KR100205700B1 (ko) 해변의 모래자갈에 묻은 오일분리장치
CN111871802B (zh) 一种土壤沉积物连续分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