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7556B1 - 부유 쓰레기 포집장치 - Google Patents

부유 쓰레기 포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7556B1
KR102647556B1 KR1020220041350A KR20220041350A KR102647556B1 KR 102647556 B1 KR102647556 B1 KR 102647556B1 KR 1020220041350 A KR1020220041350 A KR 1020220041350A KR 20220041350 A KR20220041350 A KR 20220041350A KR 102647556 B1 KR102647556 B1 KR 102647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ing
water
collection device
floating wast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1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42284A (ko
Inventor
김도현
김경모
Original Assignee
김도현
김경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현, 김경모 filed Critical 김도현
Priority to KR1020220041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7556B1/ko
Publication of KR20230142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2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5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33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 B01D21/2438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provided with scrapers on the liquid surface for removing floating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면의 부유물 즉, 부유 쓰레기를 포집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수중에 하부가 잠긴 상태로 부유되고, 내부에 설치된 스크류의 회전을 통해 전방에 형성된 유입구로 수면의 부유 쓰레기와 물을 함께 포집한 후 물만 자연스럽게 후방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부유 쓰레기만 내부에 잔존시켜 수면의 부유 쓰레기를 제거하는 부유 쓰레기 포집장치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부유 쓰레기 포집장치{Floating garbage collection device}
본 발명은 수면의 부유물 즉, 부유 쓰레기를 포집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수중에 하부가 잠긴 상태로 부유되고, 내부에 설치된 스크류의 회전을 통해 전방에 형성된 유입구로 수면의 부유 쓰레기와 물을 함께 포집한 후 물만 자연스럽게 후방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부유 쓰레기만 내부에 잔존시켜 수면의 부유 쓰레기를 제거하는 부유 쓰레기 포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이나 강, 바다 등에 떠다니는 부유물 등은 인체에 해를 끼치거나 자연환경을 오염시키고 있기 때문에 여러 환경단체나 관리기관 등에서 수많은 인력과 장비를 동원하여 수면 위로 떠다니는 각종 오염물질을 수거해서 처리하고 있다.
그러나 인력 및 장비를 이용하여 부유물을 처리하는 방법은 주기적으로 부유물을 제거하기가 쉽지 않음은 물론 장마철이나 홍수 시에는 매우 위험하기 때문에 부유물을 거의 처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부유물을 포집하기 위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70306호에는 강, 하천, 댐 등의 상류에서 유입되는 물에 떠내려 오는 부유물을 걷는 제진판과 이 제진판의 뒤를 받쳐주면서 부유물을 걷는 제진봉을 무한궤도형 벨트에 등간격으로 설치하여 부유식 컨베이어를 구성하고, 이 부유식 컨베이어를 상류쪽 둔치와 하류쪽 둔치에 세운 축기둥에 대각선으로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제진판과 제진봉에 걸려 떠밀려 가는 부유물의 압력에 의해 부유식 컨베이어가 궤도를 선회하여 하류쪽 둔치로 부유물을 이동시켜 물에서 안전하고 신속 간편하게 부유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한 수상 부유물 수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다른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35835호는 선박의 선체에 부유물 수거장치를 설치하여 부유 쓰레기를 수거 및 처리하는 부유 쓰레기 수거 처리용 선박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들은 수면의 부유물을 수거하는데 막대한 비용이 필요한 실정이고, 이를 위해 중장비를 이용하거나 인력에 의존하는 수거 작업을 함으로써, 부유물을 수거하는 작업이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기술들은 중장비가 설치될 수 있는 장소 또는 선박을 필요로 하고, 주로 넓은 수면의 부유물만 수거가 가능하여 작은 강이나 호수와 같은 소규모 지역에서의 사용이 제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93504호(2021.04.06.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70306호(2005.01.27.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35835호(2013.02.15.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의 부유물 포집장치는 중장비와 인력에 의존하여 막대한 비용이 필요하여 부유물을 수거하는 작업이 비효율적이고, 중장비가 설치될 수 있는 장소 또는 선박이 필요하며, 주로 넓은 수면의 부유물만 수거가 가능하여 작은 강이나 호수와 같은 소규모 지역에서의 사용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바,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수중에 하부가 잠긴 상태로 부유되어 작은 강이나 호수와 같은 소규모 지역에서도 사용이 가능하고, 내부에 설치된 스크류의 회전을 통해 전방에 형성된 유입구로 수면의 부유 쓰레기와 물을 효율적으로 포집함과 동시에 함께 포집된 부유 쓰레기와 물 중 물만 자연스럽게 후방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저가의 비용으로 수면의 부유 쓰레기를 효율적으로 포집할 수 있도록 하는 부유 쓰레기 포집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전방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후방에 배출구가 형성되며, 수중에 하부가 잠기도록 부유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측 하부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내측 전방에 이송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몸체의 내측 후방에 포집공간을 형성하는 구획벽과, 상기 구획벽의 전방에 후방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수중에 하부가 잠기도록 결합되는 스크류와, 상기 몸체의 내측 하부에 수밀이 형성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몸체의 내측 하부에 수밀이 형성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축전지, 및 상기 몸체의 배출구에 설치되는 거름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쓰레기 포집장치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구획벽은 수면으로부터 상부가 돌출되도록 높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몸체는 양측에 돌출형성되는 부유날개와 상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축전지에 전력을 공급하는 태양광패널 및 내측 하부에 형성되되, 수밀이 형성되고, 내부에 구동모터와 축전지가 설치되는 부유공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몸체의 내측 후방 상부면에 설치되어 부유 쓰레기가 접촉되는 것을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와 상기 부유공간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제1감지센서로부터 감지정보를 전달받는 경우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부유공간은 하부면에 전후방으로 설치되는 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축전지는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구동바퀴와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바퀴를 회전시키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소형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감지센서로부터 감지정보를 전달받는 경우 상기 소형모터를 작동시켜 상기 축전지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입구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수면이 접촉되는 것을 감지하는 제2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감지센서로부터 감지정보를 전달받는 경우 상기 구동모터와 소형모터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감지센서로부터 감지정보를 전달받는 경우 중앙관리서버에 회수요청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부유 쓰레기 포집장치는 수중에 하부가 잠긴 상태로 부유되어 수면의 부유 쓰레기를 포집할 수 있어 해양과 같은 넓은 지역 뿐만 아니라 작은 강이나 호수 또는 하천과 같은 소규모 지역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축전지를 이용함으로써, 안정적인 무게중심을 형성하여 스크류의 회전을 통해 수면의 부유 쓰레기가 몸체의 유입구로 원활하게 유입되어 포집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의 내측 후방에 형성된 포집공간에 부유 쓰레기가 가득찰 경우 축전지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무게중심이 전방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포집공간에 부유 쓰레기가 포집될 수 있는 공간을 추가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부유 쓰레기가 포집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 포집공간에 부유 쓰레기가 가득찰 경우 중앙관리서버에 회수요청정보를 송신하여 포집된 부유 쓰레기가 보다 효율적으로 수거되어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부유 쓰레기 포집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부유 쓰레기 포집장치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부유 쓰레기 포집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투영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부유 쓰레기 포집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부유 쓰레기 포집장치의 제1감지센서에 부유 쓰레기가 감지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부유 쓰레기 포집장치의 축전지의 이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측단면도.
도 6은 도 5의 "A" 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부유 쓰레기 포집장치의 축전지의 이동 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부유 쓰레기 포집장치의 제2감지센서에 수면이 감지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투영도.
본 발명은 수면의 부유물 즉, 부유 쓰레기(이하, '부유 쓰레기(10)'라 통칭한다.)를 포집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몸체(100)의 하부가 수중에 잠긴 상태로 부유되고, 상기 몸체(100)가 부유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100)의 내부 전방에 설치된 스크류(300)의 회전을 통해 상기 몸체(100)의 전방에 형성된 유입구(110)로 수면의 부유 쓰레기(10)와 물이 함께 상기 몸체(100) 내부로 유입되며, 구획벽(200)에 의해 상기 몸체(100)의 내부 후방에 형성된 포집공간(140)으로 상기 스크류(300)의 회전을 통해 유입된 부유 쓰레기(10)와 물이 이동된 후 상기 포집공간(140)으로 이동된 물은 상기 몸체(100)의 후방에 형성된 배출구(120)에 설치된 거름망(600)을 통해 배출되고, 부유 쓰레기(10)는 상기 포집공간(140)에 잔류되도록 함으로써, 부유 쓰레기(10)를 상기 포집공간(140)에 잔존시켜 수면의 부유 쓰레기(10)를 포집하여 제거하는 부유 쓰레기 포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부유 쓰레기 포집장치는 전방에 유입구(110)가 형성되고, 후방에 배출구(120)가 형성되며, 수중에 하부가 잠기도록 부유되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내측 하부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몸체(100)의 내측 전방에 이송공간(130)을 형성하고 상기 몸체(100)의 내측 후방에 포집공간(140)을 형성하는 구획벽(200);과 상기 구획벽(200)의 전방에 후방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수중에 하부가 잠기도록 결합되는 스크류(300);와 상기 몸체(100)의 내측 하부에 수밀이 형성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스크류(30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400);와 상기 몸체(100)의 내측 하부에 수밀이 형성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4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축전지(500); 및 상기 몸체(100)의 배출구(120)에 설치되는 거름망(6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구획벽(200)은 수면으로부터 상부가 돌출되도록 높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몸체(100)는 양측에 돌출형성되는 부유날개(150);와 상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축전지(500)에 전력을 공급하는 태양광패널(160); 및 내측 하부에 형성되되, 수밀이 형성되고, 내부에 구동모터(400)와 축전지(500)가 설치되는 부유공간(17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몸체(100)의 내측 후방 상부면에 설치되어 부유 쓰레기(10)가 접촉되는 것을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700);와 상기 부유공간(17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400)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제1감지센서(700)로부터 감지정보를 전달받는 경우 상기 구동모터(40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부(9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부유공간(170)은 하부면에 전후방으로 설치되는 레일(17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축전지(500)는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레일(172)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구동바퀴(510);와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바퀴(510)를 회전시키고, 상기 제어부(900)에 의해 제어되는 소형모터(5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제1감지센서(700)로부터 감지정보를 전달받는 경우 상기 소형모터(520)를 작동시켜 상기 축전지(50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입구(110)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수면이 접촉되는 것을 감지하는 제2감지센서(8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제2감지센서(800)로부터 감지정보를 전달받는 경우 상기 구동모터(400)와 소형모터(52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제2감지센서(800)로부터 감지정보를 전달받는 경우 중앙관리서버에 회수요청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몸체(100)는
전방에 유입구(110)가 형성되고, 후방에 배출구(120)가 형성되며, 수중에 하부가 잠기도록 부유되는 것으로, 직육면체의 형상 또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구획벽(200), 스크류(300), 부유공간(170) 등의 구성이 내부에 설치 또는 형성될 수 있도록 중공(미표시)이 형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몸체(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은 전방의 형상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스크류(300)가 상기 몸체(100)의 중공 전방에 설치되므로 상기 스크류(300)의 회전에 의한 부유 쓰레기(10)의 이동이 원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몸체(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은 후방의 형상이 직육면체 형상 또는 전방의 원통 형상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앞서 설명된 스크류(300)의 회전에 의해 부유 쓰레기(10)가 몸체(100)의 후방으로 이동된 후 보다 많은 양의 부유 쓰레기(10)가 포집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본 발명의 몸체(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의 후방은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포집공간(140)에 해당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몸체(100)는 수중에 하부가 잠기도록 부유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양측에 돌출형성되는 부유날개(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유날개(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의 양측에 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몸체(100)의 하부가 수중에 잠긴상태에서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스크류(300)에 의한 부유 쓰레기(10)의 유입 및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또한, 상기 부유날개(150)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축전지(500)와 구동모터(400)에 의해 상기 몸체(100)의 하부가 수중에 잠겨 상기 몸체(100)의 중공에 일정한 수위가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00)에 부유력을 형성 함으로써, 부유 쓰레기(10)가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스크류(300)에 의해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부유날개(150)는 상기 몸체(100)의 전후방향 즉, 상기 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필요시 상기 중공에 물과 같은 유체를 채워 상기 몸체(100)가 수중에 잠기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상기 몸체(100)가 보다 안정적으로 수중에 부유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몸체(100)는 상부면에 설치되어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축전지(500)에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축전지(500)가 충전되도록 하는 태양광패널(1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구동모터(400), 소형모터(520), 제1감지센서(700), 제2감지센서(800) 및 제어부(900)가 외부로부터 전력공급을 받기 어렵기 때문에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축전지(500)에 의해 전력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축전지(500)에 의해 전력공급이 원활하게 장기간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태양광패널(160)을 통해 상기 축전지(500)가 충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몸체(100)는 내측 하부에 형성되되, 수밀이 형성되고, 내부에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구동모터(400)와 축전지(500)가 설치되는 부유공간(17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유공간(170)은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스크류(300)가 몸체(100)의 내측 전방에 설치되는 경우 몸체(100) 전체가 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부유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물에 노출되지 않아야 하는 구동모터(400)와 축전지(500)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몸체(100)는 수중에 하부가 잠긴 상태로 부유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면 어떠한 재질로 이루어져도 무방하고, 일예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스크류(300)의 설치가 용이할 수 있도록 FRP(fiber reinforced plastics)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부유날개(150) 또한 상기 몸체(100)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몸체(10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형성되는 유입구(110)와 배출구(120)의 크기는 몸체(100)의 하부가 수중에 잠길 때, 함께 하부가 잠겨 물이 상기 몸체(1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몸체(100)의 내측 하부에 물이 채워져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몸체(100)가 부유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몸체(100)는 부유된 상태로 부유 쓰레기(10)를 포집하기 때문에 물의 흐름에 의해 이동되어 부유 쓰레기(10)의 포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범위내에서 부유 쓰레기(10)를 포집할 수 있도록 하부에 수중의 바닥에 안착되는 고정중량물(18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몸체(100)는 하부에 연결되는 연결부재(182)와, 상기 연결부재(182)에 상부가 결합되어 수중의 바닥에 안착되는 고정중량물(1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재(182)는 체인 또는 밧줄 등과 같은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중량물(180)은 닻 또는 무게추와 같은 큰 중량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의 몸체(100)는 부유 쓰레기(10)를 포집하기 위한 위치에 상기 고정중량물(180)을 수중으로 하강시켜 바닥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182)에 의해 상기 고정중량물(180)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수중에 부유된 상태를 유지하여 부유 쓰레기(10)를 포집하는 한편,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포집공간(140)에 부유 쓰레기(10)가 가득차 수거가 필요한 경우 보다 쉽게 본 발명의 부유 쓰레기 포집장치를 회수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구획벽(200)은
상기 몸체(100)의 내측 하부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몸체(100)의 내측 전방(앞서 설명된 중공의 전방에 해당)에 이송공간(130)을 형성하고 상기 몸체(100)의 내측 후방(앞서 설명된 중공의 후방에 해당)에 포집공간(140)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몸체(100)의 내부 즉, 상기 몸체(100)의 중공을 전방과 후방으로 완전히 구획하지 않고 상기 이송공간(130)과 포집공간(140)의 상부가 연통될 수 있는 길이로 도 1과 같이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획벽(200)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의 중공에 형성된 이송공간(130)과 포집공간(140)의 상부를 연통시키도록 돌출형성됨과 동시에 수면으로부터 상부가 돌출되도록 높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스크류(300)를 통해 부유 쓰레기(10)가 포집공간(140)으로 이동된 후 상기 포집공간(140)에 포집된 부유 쓰레기(10)가 다시 이송공간(130)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때, 본 발명의 구획벽(200)의 높이가 수면으로부터 상부가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것은 앞서 설명된 부유날개(150)와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무게중심 역할은 물론 몸체(100)의 하부가 수중에 잠기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구동모터(400)와 축전지(500)에 의해 결정되고, 작업자는 부유 쓰레기(10)를 포집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부유 쓰레기 포집장치를 수면에 설치하기 전에 몸체(100)의 하부가 수중에 잠겨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면의 높이를 구동모터(400)와 축전지(500)의 무게와 부유날개(150) 및 몸체(100)의 부력을 이용하여 결정함으로써, 상기 구획벽(200)의 상부가 수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획벽(200)은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스크류(300)의 후방이 전방, 더욱 구체적으로는 전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스크류(300)가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류(300)의 후방을 지지하고, 상기 스크류(300)의 날개보다 낮은 높이로 돌출형성되어 즉, 높이가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300)에 의해 포집공간(140)으로 부유 쓰레기(10)가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 쓰레기(10)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스크류(300)의 회전에 의해 물과 함께 몸체(100)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몸체(100)의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스크류(300)의 지속적인 회전에 따라 상기 스크류(300)의 날개에 의해 상기 스크류(300)의 후방 즉, 몸체(100)의 내부 후방으로 이동되는데, 일정 양의 물과 부유 쓰레기(10)가 상기 스크류(300) 날개에 밀려 구획벽(200)을 넘어 몸체(100)의 중공 후방 즉,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포집공간(140)으로 이동된다. 상기 일정의 양은 스크류(300)의 회전속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구획벽(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설명된 부유공간(170)과 하부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스크류(300)의 후방이 전방에 결합된 후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구동모터(400)와 상기 스크류(300)의 후방이 원활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구획벽(200)은 상기 부유공간(170)과 함께 몸체(100)에 부력이 발생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스크류(300)는
상기 구획벽(200)의 전방에 후방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수중에 하부가 잠기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이송스크류로 이루어지고,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구동모터(400)에 의해 회전되어 수면의 부유 쓰레기(10)와 물이 외주연에 나사산 형태로 형성된 날개를 통해 후방 즉, 상기 몸체(100)의 유입구(110)를 통해 상기 몸체(10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스크류(300)는 상기 구동모터(400)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된 부유 쓰레기(1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후방 말단까지 이동된 부유 쓰레기(10)를 앞서 설명된 구획벽(200)의 후방으로 넘겨 포집공간(140)으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부유 쓰레기(10)가 상기 포집공간(140)에 포집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스크류(300)의 외주연에 형성된 날개는 앞서 설명된 이송공간(130)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달리 말하면, 상기 이송공간(130)의 반직경과 스크류(300)의 외주연에 돌출형성되는 날개의 높이가 동일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따라 스크류(300)의 회전에 의해 물과 부유 쓰레기(10) 특히, 상기 부유 쓰레기(10)가 후방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앞서 설명된 구획벽(200)의 후방으로 보다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스크류(300)는 상기 구획벽(200)의 전방에 후방이 결합될 때, 하부가 수중에 잠기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물과 함께 부유 쓰레기(10)가 함께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부유 쓰레기(10)가 구획벽(200)을 보다 효율적으로 넘어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고, 구획벽(200)의 후방으로 이동되지 못한 물은 다시 상기 유입구(1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부가하여, 본 발명의 스크류(300)의 하부가 수중에 잠기는 높이는 앞서 설명된 몸체(100)의 하부가 잠기는 높이에 따라 결정됨은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구동모터(400)는
상기 몸체(100)의 내측 하부에 수밀이 형성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스크류(300)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앞서 설명된 몸체(100)의 부유공간(170)에 설치되어 물로부터 보호되고, 상기 부유공간(170)과 연통된 구획벽(200)을 통해 상기 스크류(300)와 연결되어 상기 스크류(300)를 회전시킨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동모터(400)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제어부(900)에 의해 제어되어 작동되고, 부유공간(170) 즉, 몸체(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100)의 무게중심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축전지(500)는
상기 몸체(100)의 내측 하부에 수밀이 형성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40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구동모터(400)와 함께 앞서 설명된 몸체(100)의 부유공간(170)에 설치되어 물로부터 보호되고, 상기 구동모터(400) 및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제어부(900)에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축전지(500)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소형모터(520)와 제1감지센서(700) 및 제2감지센서(800)에도 전력을 공급하고, 앞서 설명된 태양광패널(160)로부터 발전된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됨으로써, 장기간 전력이 필요한 구성들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축전지(500)는 앞서 설명된 구동모터(400)와 함께 부유공간(170) 즉, 몸체(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100)의 무게중심 역할을 함께 수행한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거름망(600)은
상기 몸체(100)의 배출구(120)에 설치되는 것으로, 앞서 설명된 스크류(300)에 의해 구획벽(200)의 후방으로 이동된 부유 쓰레기(10)가 몸체(100)의 내측 후방 즉, 상기 포집공간(140)에 포집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거름망(600)은 메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100)의 내측 후방 즉, 중공의 후방에 해당되는 포집공간(140)에 물이 유입되어 상기 몸체(100)가 수면에 부유될 때 자연스럽게 물이 상기 배출구(120)를 통해 유입 및 배출되도록 하여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간헐적으로 앞서 설명된 스크류(300)를 통해 구획벽(200)을 넘는 물을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거름망(600)의 메쉬의 크기는 당업자의 판단에 의해 다양하게 실시 가능하나, 포집하고자 하는 부유 쓰레기(1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제1감지센서(700)는
상기 몸체(100)의 내측 후방 상부면에 설치되어 부유 쓰레기(10)가 접촉되는 것을 감지하는 것으로, 상기 몸체(100)의 내측 후방 즉, 포집공간(140)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 쓰레기(10)가 가득찬 경우 상기 부유 쓰레기(10)가 접촉되는 것을 감지한 후 감지정보를 생성하여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제어부(900)에 상기 감지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900)를 통해 구동모터(400)가 작동이 중단되도록 제어됨으로써, 전력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제1감지센서(700)는 상기 몸체(100)의 내측 후방 상부면 즉, 포집공간(140)의 후방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300)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는 부유 쓰레기(10)가 계속해서 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이미 포집공간(140)으로 이동이 완료된 부유 쓰레기(10)가 스크류(300)에 의해 계속해서 이동되는 새로운 부유 쓰레기(10)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나 상기 포집공간(140)의 후방에 부유 쓰레기(10)가 가장 많이 적층되므로 상기 몸체(100)의 내측 후방 상부면 즉, 포집공간(140)의 후방 상부에 설치되어 축적된 부유 쓰레기(10)를 감지하는 것이 포화상태를 보다 효율적으로 감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본 발명의 제1감지센서(700)가 상기 몸체(100)의 내측 전방 상부면에 설치된다면, 부유 쓰레기(10)가 포집공간(140)의 전방 상부까지 가득찬 형태가 되므로 이러한 경우 부유 쓰레기(10)가 구획벽(200)의 전방으로 역류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새로이 유입되는 부유 쓰레기(10)와 함께 스크류(300)의 회전을 방해함에 따라 스크류(300)의 고장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제1감지센서(700)는 상기 몸체(100)의 내측 후방 상부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1감지센서(700)는 기설정된 시간 이상 부유 쓰레기(10)가 감지되면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제어부(900)에 감지정보를 전달하고, 기설정된 시간 이상 부유 쓰레기(10)가 감지되지 않으면 물의 출렁임에 따른 잘못된 감지정보로 판단하여 제어부(900)에 감지정보를 전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제어부(900)는
상기 부유공간(170)의 내부에 설치되어 앞서 설명된 구동모터(400)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제1감지센서(700)로부터 감지정보를 전달받는 경우 상기 구동모터(400)의 작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내부에 축적된 부유 쓰레기(10)에 의한 스크류(300)의 고장을 방지함과 동시에 축전지(500)의 전력이 낭비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몸체(100)는 내측 하부면 또는 외측 하부면에 수평상태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센서(1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수평센서(190)는 제어부(900)에 수평정보 또는 기울기정보를 전달하여 몸체(100)의 수평 또는 기울어짐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수평센서(190)는 제어부(900)가 제1감지센서(700)로부터 감지정보를 전달받아 축전지(50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몸체(100)가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상부방향으로 기울어져 포집공간(140)을 더 크게 확보하고자 할 때, 수평정보를 상기 제어부(900)에 전달하여 몸체(100)의 기울어짐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제어부(900)는 제1감지센서(700)로부터 감지정보를 전달받지 않는 경우 상기 수평센서(190)로부터 몸체(10)의 수평정보를 전달받아 몸체(10)가 수평상태에서 부유 쓰레기(10)를 원활하게 포집할 수 있도록 축전지(500)에 의한 몸체(10)의 무게중심이 중앙에 위치되도록 하고, 제1감지센서(700)로부터 감지정보를 전달받은 경우 상기 수평센서(190)로부터 몸체(100)의 기울기정보를 전달받아 축전지(500)의 이동에 따른 무게중심의 이동이 전방으로 안정적으로 이루어졌는 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몸체(100)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부유 쓰레기(10)를 원활하게 포집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수평센서(190)는 몸체(100)의 수평정보 및 기울기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적어도 세곳의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일예로, 몸체(100)의 내측 또는 외측 하부면 전방과 중앙 및 후방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몸체(100)의 부유공간(170)은 도 4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면에 전후방으로 설치되는 레일(17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본 발명의 축전지(500)는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레일(172)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구동바퀴(510)와,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바퀴(510)를 회전시키고, 상기 제어부(90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는 소형모터(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900)를 통해 상기 소형모터(520)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레일(172)을 따라 축전지(500)가 전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몸체(100)의 무게중심을 전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축전지(500)의 전후방 이동에 따라 몸체(100)의 무게중심을 이동시키는 이유는 상기 몸체(100)의 무게중심이 전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전방이 하부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몸체(100)가 기울어짐으로써, 부유 쓰레기(10)가 포집되는 포집공간(140)의 공간을 보다 크게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본 발명의 제어부(900)는 상기 제1감지센서(700)로부터 감지정보를 전달받는 경우 구동모터(400)의 작동을 정지시킨 후 상기 소형모터(520)를 작동시켜 상기 축전지(50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제어부(900)는 제1감지센서(700)에 의해 포집공간(140)에 부유 쓰레기(10)가 가득찬 경우 상기 제1감지센서(700)에 의해 감지정보를 전달받으면 구동모터(400)의 작동을 정지시킨 후 포집공간(140)의 공간이 보다 크게 확보되도록 축전지(500)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몸체(100)의 무게중심을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제1감지센서(700)로부터 감지정보가 전달되지 않을 때까지 상기 몸체(100)를 기울이며, 제1감지센서(700)로부터 감지정보가 전달되지 않으면 구동모터(400)를 다시 작동시킨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어부(900)는 포집공간(140)의 공간을 보다 크게 확보할 때, 구동모터(400)의 작동을 정지시킨 후 축전지(500)를 이동시킴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몸체(100)가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은 유입구(110)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수면이 접촉되는 것을 감지하는 제2감지센서(8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제2감지센서(8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전지(500)의 이동에 따라 몸체(100)가 기울어져 상기 유입구(110)가 수중에 모두 잠기는 경우 부유 쓰레기(10)의 포집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수면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900)에 의해 구동모터(400)와 소형모터(520)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제어부(900)는 상기 제2감지센서(800)로부터 감지정보를 전달받는 경우 상기 구동모터(400)와 소형모터(520)의 작동을 정지시킴으로써, 도 9와 같이 몸체(100)의 전방이 하부로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몸체(100)의 내부에 포집된 부유 쓰레기(10)가 수면으로 다시 배출되지 않도록 하며, 스크류(300)의 고장 방지 및 전력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2감지센서(800)는 파도와 같이 물의 출렁임이 발생할 때, 감지되는 물 및 부유 쓰레기(10)를 감지하여 잘못된 감지정보를 제어부(900)에 전달하지 않도록 기설정된 시간 이상 수면이 감지되면 제어부(900)에 감지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오감지에 따른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가하여,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포집공간(140)의 추가 확보를 위해 몸체(100)가 기울어진 경우 부유 쓰레기(10)가 제2감지센서(800)에 지속적으로 감지되고 있을 때에도 더이상 부유 스레기(10)의 포집이 어렵다고 판단되므로 이와 같은 상황에서도 제2감지센서(800)로부터 제어부(900)로 감지정보가 전달되어도 무방함은 자명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어부(900)는 상기 제2감지센서(800)로부터 감지정보를 전달받는 경우 중앙관리서버에 회수요청정보를 송신하여 본 발명의 부유 쓰레기 포집장치가 회수된 후 포집된 부유 쓰레기(10)가 수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제어부(900)에는 무선통신부가 구비되어 중앙관리서버에 회수요청정보를 송신함은 자명할 것이고, 중앙관리서버는 본 발명의 부유 쓰레기 포집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중앙통제소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부(900)에는 본 발명의 부유 쓰레기 포집장치의 위치를 더욱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GPS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중앙관리서버에 회수요청정보를 송신할 때, 위치정보를 함께 송신하여 회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부가하여, 본 발명의 부유 쓰레기 포집장치를 회수한 후에는 포집공간(140)에 포집된 부유 쓰레기(10)들을 제거하여 재설치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상기 배출구(120)에 설치된 거름망(600)을 상기 배출구(120)로부터 분리하여 포집된 부유 쓰레기(10)들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거름망(600)은 상기 배출구(120)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거나,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상기 거름망(600)이 상기 배출구(120)에 설치되어 개폐되는 구조 또는 착탈되는 구조는 종래에 사용되는 어떠한 구조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부유 쓰레기 포집장치는 몸체(100)의 하부가 수중에 잠긴 상태로 부유되어 스크류(300)에 의해 부유 쓰레기(10)를 포집함으로써, 해양과 같은 넓은 수면 뿐만 아니라 작은 강이나 호수 또는 하천과 같은 소규모 지역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부유 쓰레기 100 : 몸체
110 : 유입구 120 : 배출구
130 : 이송공간 140 : 포집공간
150 : 부유날개 160 : 태양광패널
170 : 부유공간 172 : 레일
180 : 고정중량물 182 : 연결부재
190 : 수평센서
200 : 구획벽 300 : 스크류
400 : 구동모터 500 : 축전지
510 : 구동바퀴 520 : 소형모터
600 : 거름망 700 : 제1감지센서
800 : 제2감지센서 900 : 제어부

Claims (10)

  1. 전방에 유입구(110)가 형성되고, 후방에 배출구(120)가 형성되며, 수중에 하부가 잠기도록 부유되는 한편, 내측 하부에 형성되되, 수밀이 형성되고, 내부에 구동모터(400)와 축전지(500)가 설치되는 부유공간(170);을 포함하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내측 하부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몸체(100)의 내측 전방에 이송공간(130)을 형성하고 상기 몸체(100)의 내측 후방에 포집공간(140)을 형성하는 구획벽(200);과
    상기 구획벽(200)의 전방에 후방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수중에 하부가 잠기도록 결합되는 스크류(300);와
    상기 몸체(100)의 내측 하부에 수밀이 형성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스크류(30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400);와
    상기 몸체(100)의 내측 하부에 수밀이 형성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4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축전지(500);와
    상기 몸체(100)의 배출구(120)에 설치되는 거름망(600);과
    상기 몸체(100)의 내측 후방 상부면에 설치되어 부유 쓰레기(10)가 접촉되는 것을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700); 및
    상기 부유공간(17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400)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제1감지센서(700)로부터 감지정보를 전달받는 경우 상기 구동모터(40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부(9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부유공간(170)은
    하부면에 전후방으로 설치되는 레일(17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축전지(500)는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레일(172)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구동바퀴(510);와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바퀴(510)를 회전시키고, 상기 제어부(900)에 의해 제어되는 소형모터(5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쓰레기 포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벽(200)은
    수면으로부터 상부가 돌출되도록 높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쓰레기 포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양측에 돌출형성되는 부유날개(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쓰레기 포집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상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축전지(500)에 전력을 공급하는 태양광패널(1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쓰레기 포집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제1감지센서(700)로부터 감지정보를 전달받는 경우 상기 소형모터(520)를 작동시켜 상기 축전지(50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쓰레기 포집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 쓰레기 포집장치는
    상기 유입구(110)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수면이 접촉되는 것을 감지하는 제2감지센서(8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제2감지센서(800)로부터 감지정보를 전달받는 경우 상기 구동모터(400)와 소형모터(52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쓰레기 포집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제2감지센서(800)로부터 감지정보를 전달받는 경우 중앙관리서버에 회수요청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쓰레기 포집장치.
KR1020220041350A 2022-04-01 2022-04-01 부유 쓰레기 포집장치 KR102647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350A KR102647556B1 (ko) 2022-04-01 2022-04-01 부유 쓰레기 포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350A KR102647556B1 (ko) 2022-04-01 2022-04-01 부유 쓰레기 포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2284A KR20230142284A (ko) 2023-10-11
KR102647556B1 true KR102647556B1 (ko) 2024-03-13

Family

ID=88295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1350A KR102647556B1 (ko) 2022-04-01 2022-04-01 부유 쓰레기 포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755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3571864U (zh) * 2020-11-09 2021-06-29 唐丽颖 一种水面清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306B1 (ko) 2002-11-05 2005-02-05 강선길 수상 부유물 수거장치
KR100758345B1 (ko) * 2004-05-17 2007-09-14 주식회사 필택 부유물 수집장치
KR101235835B1 (ko) 2012-04-24 2013-02-21 (주)신원이앤씨 부유 쓰레기 수거 처리용 선박
KR102197606B1 (ko) * 2018-12-18 2021-01-04 (주)카네비컴 부유물 청소 및 녹조방지장치
KR200493504Y1 (ko) 2020-08-06 2021-04-12 국립공원공단 해양 부유물 포집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3571864U (zh) * 2020-11-09 2021-06-29 唐丽颖 一种水面清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2284A (ko) 2023-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102191A4 (en) WCM-Smart City: WASTE COLLECTION AND MANAGEMENT UNDER SMART CITY USING IOT
KR101772984B1 (ko) 부유물 제거장치
KR102177950B1 (ko) 부유식 해양 쓰레기 차단 수거 장치
KR101808514B1 (ko) 무인 오일회수장치
KR101655650B1 (ko) 수상 부유물 수거장치
CA2900439C (en) Conveyor suitable for lifting floating waste or other waste just under the water surface
US7485235B2 (en) Waste collection system
CN210047602U (zh) 水上漂浮物收集机器人
CN111196338B (zh) 一种移动式海洋微塑料回收装置
KR20140135393A (ko) 수중 오염원의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CN207846381U (zh) 一种清理水面漂浮物的拦截装置
KR102089850B1 (ko) 하천쓰레기 자동 수거기
KR20130049021A (ko) 정수 장치
EP3954474A1 (en) Multifunctional system for recovering high viscosity oil flowing onto and adhered to shore
CN202703865U (zh) 一种环境监测水上移动基站
KR102647556B1 (ko) 부유 쓰레기 포집장치
KR100422406B1 (ko) 해저 폐기물 수거장치
KR102662293B1 (ko) 해양 쓰레기 수거 선박
KR20030007256A (ko) 하천쓰레기 자동 수거장치
CN108535058A (zh) 采样装置及方法
CN109467162B (zh) 河道浮油分离装置
KR20190061685A (ko) 자동화 유회수 유/무인 선박
EP3720764B1 (en) Floating device for blocking and recovering pollutants
KR101875497B1 (ko) 해상 폐기물처리장의 하이브리드 파이프라인 수송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100483041B1 (ko) 부유물 청소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