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0472B1 - 조립식 부스 모듈 - Google Patents

조립식 부스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0472B1
KR101930472B1 KR1020180084933A KR20180084933A KR101930472B1 KR 101930472 B1 KR101930472 B1 KR 101930472B1 KR 1020180084933 A KR1020180084933 A KR 1020180084933A KR 20180084933 A KR20180084933 A KR 20180084933A KR 101930472 B1 KR101930472 B1 KR 101930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eiling
booth module
hole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4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은태
김경호
Original Assignee
황은태
김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은태, 김경호 filed Critical 황은태
Priority to KR1020180084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04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0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0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100); 바닥(200); 상기 천장(100) 및 바닥(20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부스의 기둥 역할을 하는 장주(300)를 포함하는 조립식 부스 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부스 모듈{Prefabricated booth module}
본 발명은, 전시, 주거, 레저, 광고, 가판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조립식 부스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컨테이너 박스 형태를 이용한 간이 건축물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컨테이너 박스 형태는 구조가 간단하고 영구 구조물에 비해 설치가 간편한 장점이 있어 이동식 매장, 전시 공간, 광고 공간, 카페, 식당, 휴게 공간, 공연 및 행사 진행을 위한 시설물 등으로 단기간 동안의 사용을 목적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컨테이너 박스 형태의 부스는 간편하다는 장점 때문에 위와 같은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부스는 정형화되어 있어 사용 용도나 규모에 맞도록 변형하기가 쉽지 않고, 한번 사용한 후 다른 장소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버려지는 구조가 많아 자원낭비가 많으며, 한번 사용한 부스를 다른 용도로 재사용한다 하더라도 그 구조를 바꾸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컸었다.
특히 컨테이너 박스 형태의 부스는 철골 골조 구조이기 때문에, 보관에 필요로 하는 공간이 지나치게 커 보관에 드는 비용이 크고, 운반시 트럭 한 대에 하나의 부스 밖에 운반하지 못하므로 운송비가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특허문헌 0001에서는, 직육면체 형상의 몸체를 가지되, 내부가 비어 전시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 양쪽 측면 벽 중 적어도 한쪽에는 좌우로 개폐할 수 있는 출입문이 형성되는 한편, 전방 벽면에는 상하로 개폐할 수 있는 개방문이 형성된 다목적 컨테이너 박스를 제시하고 있으나, 특허문헌 0001 역시도 변형이 어려워 다양한 장소에의 적용성이 낮고, 운반과 보관에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사용 용도나 규모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사용이 가능하고, 보관과 운반에 드는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부스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20-2009-0008798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 용도에 따라 쉽게 변형이 가능하고, 조립과 해체가 간편하고 쉬우며, 설치했을 때 구조적 안정성과 내구성이 뛰어나고, 보관과 운반에 드는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조립식 부스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천장(100); 바닥(200); 상기 천장(100) 및 바닥(20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부스의 기둥 역할을 하는 장주(300)를 포함하는 조립식 부스 모듈에 있어서, 상기 천장(100)은, 천장플레이트(110); 상기 천장플레이트(110) 외측에서 천장플레이트(110)에 부착되는 복수개의 천장프레임(120); 상기 천장플레이트(110) 및 상기 복수개의 천장프레임(120)에 부착되는 천장코너부재(130)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200)은, 바닥플레이트(210); 상기 바닥플레이트(210) 외측에서 바닥플레이트(210)에 부착되는 복수개의 바닥프레임(220); 상기 바닥플레이트(210) 및 복수개의 바닥플레이트(210)에 부착되는 바닥코너부재(230)를 포함하며, 상기 천장코너부재(130)는, 상판(131), 측판(133)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코너부재(230)는, 하판(231), 측판(234)을 포함하며, 상기 장주(300)의 상단이 상기 상판(131) 및 측판(133)에 체결되고, 상기 장주(300)의 하단이 상기 하판(231) 및 측판(234)에 체결되며, 상기 장주(300)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작업공(311)과 볼트홀(312)이 형성된 기둥부재(310); 상기 기둥부재(310)의 상단에 부착되고, 1개 이상의 볼트홀(321)이 형성된 상부판(320); 상기 기둥부재(310)의 하단에 부착되고, 상하체결공(331)과 1개 이상의 볼트홀(332)이 형성된 하부판(330);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판(320)이 상기 상판(131)에 체결되고, 상기 하부판(330)이 상기 하판(231)에 체결되는 조립식 부스 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상판(131)에는 볼트공(13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판(133)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공(13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판(231)에는 볼트공(232)과 관통구(23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구(233)에는 내부가 상하로 관통되어 있는 상하체결유도구(236)가 결합되며, 상기 측판(234)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공(235)이 형성되어 있어, 기둥부재(310)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볼트홀(312)을 통해 볼트(313)를 상기 측판(133, 234)에 형성된 나사공(134, 235)에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판(131)과 상기 상부판(320)을 체결하는 상하연결볼트(136) 및 상하연결너트(137)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하연결볼트(136) 및 상하연결너트(137)는 원추형이며, 상기 조립식 부스 모듈을 복수개의 층으로 적층하면, 아래층에 있는 조립식 부스 모듈의 상기 상하연결볼트(136) 또는 상하연결너트(137)가, 위층에 있는 조립식 부스 모듈의 상기 상하체결유도구(236)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개의 천장프레임(120)에는, 빗물유도구(121)가 부착된다.
상기 상부판(320) 및 하부판(330)의 꼭지점에는 모따기면(340)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모따기면(340)과 상기 기둥부재(310) 사이로 빗물이 통과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측판(133)에는 걸이구(135)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천장플레이트(110)에는 걸이구(135)를 수용할 수 있는 장홈(1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립식 부스 모듈은 상기 장주(300)보다 길이가 짧은 단주(400)를 더 포함하고, 조립식 부스 모듈을 사용할 때에는 상기 천장(100)과 바닥(200)에 상기 장주(300)를 체결하고, 조립식 부스 모듈을 운반하거나 보관할 때에는 상기 천장(100)과 바닥(200)에 상기 단주(400)를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부스 모듈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간단한 구조로 견고하고 안정적인 부스를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편하게 부스들을 수평 및/또는 상하로 연결하여 빠른 시간내에 다양한 구조를 만들 수 있으므로, 전시, 광고, 휴게 등 필요로 하는 규모와 용도로 쉽게 전환할 수 있다.
둘째, 장주와 천장을 체결하는 상하연결볼트와 상하연결너트의 형상을 원추형으로 하고, 바닥에는 상하체결유도구를 구비하며, 조립식 부스를 상하로 적층할 때 원추형의 상하연결볼트 또는 상하연결너트가 상하체결유도구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상하연결볼트 및 상하연결너트가 체결의 기능에 더하여 상하 적층과 조립을 쉽고 빠르게 도와준다.
셋째, 조립식 부스 모듈들을 상하, 수평으로 연결할 때 볼트홀, 볼트공을 통해 볼트, 너트로 체결하기만 하면 되므로 부스의 상하, 수평 연결 작업이 간편하고 빠르다.
넷째, 기둥의 상부판, 하부판, 천장코너부재의 상판, 바닥코너부재의 하판에 모따기면을 형성하여, 특별한 구성을 부가하지 않고도 빗물이 장주 내부로 신속히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천장프레임에 빗물유도구를 형성함으로써 빗물이 부스 중앙으로 떨어지지 않고 빗물유도구를 통해 부스 모듈 양측의 장주로 배수되도록 한다.
다섯째, 조립식 부스 모듈을 용도대로 사용할 때에는 장주를 사용하고, 보관하거나 운반할 때에는 단주를 사용함으로써, 보관에 필요한 공간을 1/4 이하로 줄일 수 있고, 트럭 한 대에 하나의 부스 밖에 운반하지 못하던 것을 트럭 한 대에 3개의 부스를 운반할 수 있어 운반비용이 1/3 수준으로 절감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립식 부스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식 부스 모듈이 조립된 모습이다.
도 3 내지 6은 본 발명의 조립식 부스 모듈의 다양한 조합 형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장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단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천장과 장주 상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바닥과 장주 하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 12는 조립식 부스 모듈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모습이다.
도 13, 14는 조립식 부스 모듈을 상하로 연결하는 모습이다.
도 15, 16은 단주를 사용하여 조립식 부스 모듈을 운반하거나 보관할 때의 모습이다.
도 17은 패널고정프레임(500)에 패널(700)이 설치된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9 내지 22는 본 발명의 조립식 부스 모듈을 사용하는 일 예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조립식 부스 모듈의 일 실시예는 천장(100), 바닥(200), 장주(300)를 포함한다.
상기 천장(100)과 바닥(200)은 각각 상기 장주(300)의 상단과 하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천장(100)과 바닥(200)의 평면 형상은 보관과 적층을 쉽게 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취하는데, 반드시 직사각형에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부스의 용도에 따라 원형이나 타원형 그리고 사각형 이외의 다각형 형상을 취할 수도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조립식 부스 모듈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천장(100)과 바닥(200)의 평면 형상이 직사각형인 형태를 나타내고 있고, 장주(300)는 상기 천장(100)과 바닥(200)의 네 모서리에서 상하로 결합되어, 부스의 전체적인 골조가 직육면체를 이루게 된다.
도 2에는 상기 천장(100)과 바닥(200)의 평면 형상이 정사각형인 형태를 나타내고 있고, 이 경우에도 장주(300)는 상기 천장(100)과 바닥(200)의 네 모서리에서 상하로 결합되어, 부스의 전체적인 골조가 정육면체를 이루게 된다.
도 3 내지 도 6에는 천장(100), 바닥(200), 장주(300)를 포함하는 하나의 조립식 부스 모듈을 수평 및/또는 상하로 연결하여 다양한 부스들을 만드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도 3은 직육면체 구조의 조립식 부스 모듈 2개를 상하로 적층한 부스를 도시하고 있고, 도 4는 도 3의 조립식 부스 모듈 2개를 길이방향으로 수평으로 연결한 것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5는 직육면체 구조의 조립식 부스 모듈 4개를 수평으로 연결한 것을 도시하고 있고, 도 6은 직육면체 구조의 조립식 부스 모듈들을 계단식으로 적층한 구조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외에도 직육면체 모듈과 정육면체 모듈을 사용하여 다양한 구조의 부스를 제작할 수 있을 것이고, 원형, 사각형 이외의 다각형 등 다양한 평면 형상을 갖는 조립식 부스 모듈 또한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하나의 조립식 부스 모듈을 이루는 천장(100), 바닥(200), 장주(300) 각각의 세부 구성들을 자세히 설명하고, 이후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조립식 부스 모듈을 상하 또는 수평으로 연결하는 방법들을 설명한다.
천장(100)과 바닥(200) 사이에서 수직방향으로 결합되어 부스의 기둥 역할을 하는 장주(300)의 일 실시예가 도 7에 나타나 있다.
도 7에 나타나 있듯이, 상기 장주(300)는, 기둥부재(310), 상부판(320), 하부판(330)을 포함한다.
상기 기둥부재(310)의 형상은 부스 모듈의 조립을 쉽게 하고, 부스 모듈의 수평, 상하 연결이 쉽도록 하기 위해 4각 파이프 형태가 바람직하다.
상기 기둥부재(310)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작업공(311)과 볼트홀(312)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작업공(311)은 장주와 천장(100)을 결합할 때, 장주와 바닥(200)을 결합할 때, 복수개의 조립식 부스 모듈을 수평 또는 상하로 연결할 때, 볼트너트를 체결하기 위한 작업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므로 작업자의 손과 공구가 들어갈 수 있는 크기가 되어야 하고, 상기 볼트홀(312)은 장주를 천장코너부재(130)의 측판(133), 바닥코너부재(230)의 측판(234)에 결합할 때, 조립식 부스 모듈을 수평으로 연결할 때 볼트(313)를 체결하기 위한 구멍이다.
상기 기둥부재(310)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상부판(320)과 하부판(330)이 일체로 부착되고, 용접에 의해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반드시 용접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리벳이나 볼트에 의해 체결될 수도 있다.
상기 상부판(320)에는 1개 이상의 볼트홀(321)이 형성되는데,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는 상부판의 중앙과 그 주변으로 네 개의 볼트홀(321)이 형성되어 있다.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홀(321)은 상하연결볼트(136) 및 상하연결너트(137)에 의해 천장코너부재(130)의 상판(131)과 체결되는데 사용되고, 주변에 형성된 네 개의 볼트홀(321)은 볼트에 의해 천장코너부재(130)의 상판(131)과 체결되거나, 구조계산에 의해 볼트 체결이 필요 없을 때에는 볼트 체결을 하지 않고 빗물 배수공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부판(320)에 형성되는 볼트홀(321)의 크기와 수, 위치는 부스 모듈의 규모, 각 구조재의 제원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판(330)에는 상하체결공(331)과 1개 이상의 볼트홀(332)이 형성되는데,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는 하부판의 중앙에 상하체결공(331)이 형성되어 있고, 그 주변으로 네 개의 볼트홀(332)이 형성되어 있다.
후술할 바닥코너부재(230)의 하판(231)에는 상하체결유도구(236)가 부착되는데, 상기 장주(300)를 상기 바닥(200)에 결합할 때, 상기 상하체결공(331) 내부로 상하체결유도구(236)가 삽입되어 조립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견고한 체결이 되도록 한다.
그리고 네 개의 볼트홀(332)은 복수개의 조립식 부스 모듈을 위아래로 적층하는 경우, 아래층의 조립식 부스 모듈과 결합할 때 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구멍으로 사용되거나, 구조계산에 의해 추가적인 볼트 체결이 필요 없을 때에는 볼트 체결을 하지 않고 빗물 배수공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상부판(320)과 하부판(330)의 네 꼭지점에는 모따기면(340)이 형성되어 있는데, 모따기면을 형성할 경우, 상기 상부판(320)과 기둥부재(310)의 내면과의 사이 및 상기 하부판(330)과 기둥부재(310)의 내면과의 사이에는 구멍이 형성되게 되어 천장으로 떨어진 빗물이 기둥부재(310)를 타고 아래로 흘러갈 수 있는 배수구멍의 역할을 하게 된다.
도 8에는 단주(400)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단주(400)는 상기 장주(300)보다 길이를 짧게 형성하여 조립식 부스 모듈을 운반하거나 보관할 때 상기 천장(100)과 바닥(200)과 결합하기 위한 구성이다. 운반하거나 보관할 때 단주가 사용되는 방법에 대해서는 뒤에서 설명한다.
상기 단주(400) 역시 상기 장주(300)와 마찬가지로, 기둥부재(410), 상부판(420), 하부판(430), 작업공(411), 볼트홀(412, 421, 432), 상하체결공(431), 모따기면(440)을 포함한다.
도 9에는 천장(100)의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천장(100)은, 천장플레이트(110), 복수개의 천장프레임(120), 천장코너부재(130)를 포함한다.
상기 천장(100)의 평면형상을 직사각형으로 할 경우, 상기 천장프레임(120)은 4개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천장코너부재(130) 역시 4개를 사용하게 된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를 보면, 상기 천장코너부재(130)는, 상판(131)과 상기 상판에 일체로 부착되는 2개의 측판(133)을 포함하고, 2개의 측판(133)에 각각 천장프레임(120)이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천장플레이트(110)는 4개의 천장프레임(120)에 일체로 부착된다.
상기 2개의 측판(133) 중 하나에는 걸이구(135)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천장플레이트(110)에는 걸이구(135)를 수용할 수 있는 장홈(1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이구(135)는 크레인 등으로 조립된 부스 모듈을 이동시킬 때 사용된다.
상기 상판(131)에는 볼트공(132)이 형성되어 있는데, 도 9의 실시예에는 중앙에 하나와 그 주변으로 네 개의 볼트공(1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트공(132)들은 앞서 설명한 장주(300)의 상부판(320)에 형성된 볼트홀(321)들과 대응될 수 있도록 연통되게 형성되어, 볼트 체결을 가능하게 하고, 볼트 체결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배수구멍으로서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측판(133)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공(134)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기둥부재(310)의 상부에 형성된 볼트홀(312)을 통해 볼트(313)를 상기 나사공(134)에 바로 체결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상판(131)은 중앙에 있는 볼트공(132)을 통해, 상하연결볼트(136) 및 상하연결너트(137)에 의해 상부판(320)과 체결된다.
아울러 상기 상부판(320)과 하부판(330)의 네 꼭지점에 모따기면(340)을 형성한 것과 같이 상기 상판(131)의 꼭지점에도 모따기면(138)을 형성하여 배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고, 천장으로 떨어진 빗물이 부스의 정면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고 빗물을 천장의 꼭지점 부근으로 유도하여 빗물을 장주(300)의 내부로 배수시키기 위하여 상기 천장프레임(120)에는, 빗물유도구(121)가 부착될 수 있다.
도 10에는 바닥(200)의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바닥(200)은, 바닥플레이트(210), 복수개의 바닥프레임(220), 바닥코너부재(230)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200)의 평면형상을 직사각형으로 할 경우, 상기 바닥프레임(220)은 4개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바닥코너부재(230) 역시 4개를 사용하게 된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를 보면, 상기 바닥코너부재(230)는, 하판(231)과 상기 하판에 일체로 부착되는 2개의 측판(234)을 포함하고, 2개의 측판(234)에 각각 바닥프레임(220)이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바닥플레이트(210)는 4개의 바닥프레임(220)에 일체로 부착되며, 상기 바닥플레이트(210)의 아래로는 일정 간격을 두고 바닥보강프레임(240)이 상기 바닥프레임(220)과 일체로 부착된다.
도 10에는 바닥프레임(220)으로 ㄷ자형 채널을 사용하는 것을 도시하였는데, ㄷ자형 채널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4각형 빔 , H빔, I빔 등 다른 형태로도 바닥프레임(22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0에는 상기 하판(231)에는 중앙에 관통구(23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구의 주변으로 4개의 볼트공(23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상기 볼트공(232)들은 앞서 설명한 장주(300)의 하부판(330)에 형성된 볼트홀(332)들과 대응될 수 있도록 연통되게 형성되어, 볼트 체결을 가능하게 하고, 볼트 체결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배수구멍으로서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측판(234)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공(235)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기둥부재(310)의 하부에 형성된 볼트홀(312)을 통해 볼트(313)를 상기 나사공(235)에 바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판(231)의 관통구(233)에는 상하체결유도구(236)가 부착되는데, 상기 상하체결유도구(236)는 그 내부가 상하로 관통되어 있어, 2개의 조립식 부스 모듈을 상하로 적층하면 아래층에 있는 조립식 부스 모듈의 천장코너부재(130)에 체결한 상하연결볼트(136) 또는 상하연결너트(137)가 위층에 있는 조립식 부스 모듈의 상기 상하체결유도구(236)의 내부로 삽입되어 조립식 부스 모듈의 상하 적층을 용이하게 한다.
이때 상기 상하연결볼트(136)와 상하연결너트(137)가 상기 상하체결유도구(236) 속으로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상하연결볼트(136)와 상하연결너트(137)의 형상을 원추형으로 할 수 있다.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로 되는 조립식 부스 모듈에서, 이웃하는 2개의 장주(300), 상기 장주(300)와 연결되는 천장프레임(120) 및 바닥프레임(220)에 의해 패널설치공간(600)이 형성되는데, 상기 패널설치공간(600)에는 패널(70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패널(700)로는 부스의 용도에 따라 광고를 위한 광고판, 전광판, 건물 외장재로서의 유리, 건물 외장재로서의 강화 유리, 건물 외장재로서의 벽체, 스마트 윈도우(smart window),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등이 설치될 수 있고, 상기 패널의 설치를 위해 패널고정프레임(500)을 이웃하는 2개의 장주(300), 상기 장주(300)와 연결되는 천장프레임(120) 및 바닥프레임(220)에 설치할 수 있다.(도 17 참조)
도 18에는 패널(700)로 벽체(701)를 사용한 실시예를 보여준다.
이제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조립식 부스 모듈을 상하 또는 수평으로 연결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1, 12에는 조립식 부스 모듈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웃하는 조립식 부스 모듈의 장주(300)를 서로 체결함으로써 조립식 부스 모듈이 연결될 수 있다.
즉 장주(30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된 볼트홀(312)들에 볼트(313)를 통과시키고 너트(314)를 체결하면 이웃하는 조립식 부스 모듈이 수평으로 간단하고도 견고하게 결합된다.
도 13, 14에는 조립식 부스 모듈을 상하로 연결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는데, 아래층에 있는 조립식 부스 모듈의 천장코너부재(130)에 체결된 상하연결너트(137)가, 위층에 있는 조립식 부스 모듈의 바닥코너부재(230)의 상하체결유도구(236) 속으로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볼트(313)가, 위층에 있는 조립식 부스 모듈의 볼트홀(332)과 볼트공(232)를 통과하여, 아래층에 있는 조립식 부스 모듈의 볼트공(132)과 볼트홀(321)을 통과하여 체결된다.
이때 바닥플레이트(210)과 바닥프레임(220)에 의해 형성되는 빈공간에는 바닥보강프레임(240)이 일정 간격을 두고 일체로 부착되고, 바닥보강프레임(240) 사이의 공간으로는 조립식 부스 모듈을 실제 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부대설비박스(710)를 배치할 수 있고, 상하로 적층할 때 아래층에 있는 조립식 부스 모듈의 걸이구(135)는 위와 같은 공간에 수용된다.
상기 부대설비박스(710)에는 CD관(711), 전선 등이 수납되고(도 18 참조), 바닥보강프레임(240)으로는 ㄷ자형 채널, 4각형 빔 , H빔, I빔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앞서 단주(400)는 조립식 부스 모듈을 보관하거나 운반할 때 사용한다고 설명하였는데, 도 15, 16에 그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천장(100)은 그 하면에 천장플레이트(110)와 천장프레임(120)에 둘러싸인 공간이 형성되므로, 도 15와 같이 바닥(200) 위에 장주(300)를 놓고, 천장(100)을 덮으면 장주가 상기 공간속에 들어가게 되고, 단주(400)를 천장과 바닥에 체결하면, 장주가 상기 공간 속에 수용되어 밖으로 흘러나오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여러층 적층하여 창고에 보관하게 되므로, 보관에 필요로 하는 공간이 획기적으로 줄어들게 되고, 트럭에 운반시에는 트럭 한 대에 3개의 조립식 부스 모듈을 운반할 수 있으므로 운송비가 크게 절감된다.
이때 단주(400)의 길이가 너무 길면, 장주 대신 단주를 체결한다 하더라도 조립식 부스 모듈의 부피가 커져 운반과 보관이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운반시 천장과 바닥 사이의 틈으로 장주가 빠져 나오게 되어 운반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고, 단주가 지나치게 짧으면(단주의 전체 길이가 천장프레임과 바닥프레임의 상하 두께의 합보다 작은 경우) 천장과 바닥을 연결하도록 체결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단주(400)의 전체 길이는 천장프레임과 바닥프레임의 상하 두께의 합과 같거나 조금 크게 형성하되, 단주를 체결했을 때 천장과 바닥 사이의 틈으로 장주가 빠져 나오지 못할 정도의 길이 여야 하는데, 단주를 체결한 조립식 부스 모듈의 부피를 최소화해야 하므로 바람직하게는 천장과 바닥 사이에 장주를 수납하되, 천장과 바닥 사이의 틈이 없을 정도가 좋다.
예를 들면, 천장프레임(120)의 하면과 바닥프레임(220)의 상면에 패널고정프레임(500)을 설치한 경우, 단주(400)의 길이는 상기 천장프레임(120)의 상하 두께, 상기 바닥프레임(220)의 상하 두께, 상기 패널고정프레임(500) 2개의 상하 두께의 전체 합과 같거나 조금 크게 형성하면 된다.
천장프레임(120)과 바닥프레임(220)에 패널고정프레임(500)을 설치하지 않은 경우라면, 단주(400)의 길이는 천장프레임(120)의 상하 두께와 바닥프레임(220)의 상하 두께의 합과 같거나 약간 크되, 단주가 천장과 바닥을 체결할 수 있는 길이는 되어야 하며, 천장과 바닥 사이에 장주를 넣고 단주를 체결했을 때 천장과 바닥 사이의 틈이 없을 정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립식 부스 모듈을 이루는 천장, 바닥, 장주, 단주의 형상, 크기는 필요로 하는 사각형 이외에도 사용하는 부스의 용도에 따라 적절히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같은 사각형 범위 내에서도 천장과 바닥의 평면의 가로, 세로 비율을 다르게 하고, 장주의 길이를 다르게 하여 다양한 형태의 조립식 부스 모듈을 제작하여 조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천장 110. 천장플레이트
111. 장홈
120. 천장프레임 121. 빗물유도구
130. 천장코너부재 131. 상판
132. 볼트공 133. 측판
134. 나사공 135. 걸이구
136. 상하연결볼트 137. 상하연결너트
138. 모따기면
200. 바닥 210. 바닥플레이트
220. 바닥프레임 230. 바닥코너부재
231. 하판 232. 볼트공
233. 관통구 234. 측판
235. 나사공 236. 상하체결유도구
237. 모따기면
240. 바닥보강프레임
300. 장주 310. 기둥부재
311. 작업공 312. 볼트홀
313. 볼트 314. 너트
320. 상부판 321. 볼트홀
330. 하부판 331. 상하체결공
332. 볼트홀 340. 모따기면
400. 단주 410. 기둥부재
411. 작업공 412. 볼트홀
420. 상부판 421. 볼트홀
430. 하부판 431. 상하체결공
432. 볼트홀 440. 모따기면
500. 패널고정프레임
501. 볼트 502. 와셔
600. 패널설치공간
700. 패널 701. 벽체
710. 부대설비박스 711. CD관

Claims (10)

  1. 천장(100); 바닥(200); 상기 천장(100) 및 바닥(20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부스의 기둥 역할을 하는 장주(300)를 포함하는 조립식 부스 모듈에 있어서,
    상기 천장(100)은, 천장플레이트(110); 상기 천장플레이트(110) 외측에서 천장플레이트(110)에 부착되는 복수개의 천장프레임(120); 상기 천장플레이트(110) 및 상기 복수개의 천장프레임(120)에 부착되는 천장코너부재(130)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200)은, 바닥플레이트(210); 상기 바닥플레이트(210) 외측에서 바닥플레이트(210)에 부착되는 복수개의 바닥프레임(220); 상기 바닥플레이트(210) 및 복수개의 바닥플레이트(210)에 부착되는 바닥코너부재(230)를 포함하며,
    상기 천장코너부재(130)는, 상판(131), 측판(133)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코너부재(230)는, 하판(231), 측판(234)을 포함하며,
    상기 장주(300)의 상단이 상기 상판(131) 및 측판(133)에 체결되고,
    상기 장주(300)의 하단이 상기 하판(231) 및 측판(234)에 체결되며,
    상기 장주(300)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작업공(311)과 볼트홀(312)이 형성된 기둥부재(310); 상기 기둥부재(310)의 상단에 부착되고, 1개 이상의 볼트홀(321)이 형성된 상부판(320); 상기 기둥부재(310)의 하단에 부착되고, 상하체결공(331)과 1개 이상의 볼트홀(332)이 형성된 하부판(330);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판(320)이 상기 상판(131)에 체결되고,
    상기 하부판(330)이 상기 하판(231)에 체결되는
    조립식 부스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31)에는 볼트공(13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판(133)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공(13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판(231)에는 볼트공(232)과 관통구(23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구(233)에는 내부가 상하로 관통되어 있는 상하체결유도구(236)가 결합되며,
    상기 측판(234)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공(235)이 형성되어 있어,
    기둥부재(310)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볼트홀(312)을 통해 볼트(313)를 상기 측판(133, 234)에 형성된 나사공(134, 235)에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부스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31)과 상기 상부판(320)을 체결하는 상하연결볼트(136) 및 상하연결너트(137)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하연결볼트(136) 및 상하연결너트(137)는 원추형이며,
    상기 조립식 부스 모듈을 복수개의 층으로 적층하면, 아래층에 있는 조립식 부스 모듈의 상기 상하연결볼트(136) 또는 상하연결너트(137)가, 위층에 있는 조립식 부스 모듈의 상기 상하체결유도구(236)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부스 모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천장프레임(120)에는,
    빗물유도구(121)가 부착되는
    조립식 부스 모듈.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320) 및 하부판(330)의 꼭지점에는 모따기면(340)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모따기면(340)과 상기 기둥부재(310) 사이로 빗물이 통과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는
    조립식 부스 모듈.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133)에는 걸이구(135)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천장플레이트(110)에는 걸이구(135)를 수용할 수 있는 장홈(111)이 형성되어 있는
    조립식 부스 모듈.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부스 모듈은 상기 장주(300)보다 길이가 짧은 단주(400)를 더 포함하고,
    조립식 부스 모듈을 사용할 때에는 상기 천장(100)과 바닥(200)에 상기 장주(300)를 체결하고,
    조립식 부스 모듈을 운반하거나 보관할 때에는 상기 천장(100)과 바닥(200)에 상기 단주(400)를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부스 모듈.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80084933A 2018-07-20 2018-07-20 조립식 부스 모듈 KR101930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933A KR101930472B1 (ko) 2018-07-20 2018-07-20 조립식 부스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933A KR101930472B1 (ko) 2018-07-20 2018-07-20 조립식 부스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0472B1 true KR101930472B1 (ko) 2018-12-18

Family

ID=64952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933A KR101930472B1 (ko) 2018-07-20 2018-07-20 조립식 부스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047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0504B1 (ko) * 2019-11-25 2020-02-24 진우건철(주) 단위컨테이너모듈을 이용한 조립식건물
KR102384390B1 (ko) 2021-07-12 2022-04-15 주식회사 코크스나인 모듈형 부스
WO2023013847A1 (ko) * 2021-08-03 2023-02-09 삼성물산 주식회사 계단실 모듈 및 계단실 모듈 어셈블리
KR102500964B1 (ko) * 2021-12-16 2023-02-1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불연속 복선격자를 활용한 모듈러 코디네이션 설계가 적용된 시공방법
KR20230136356A (ko) 2022-03-18 2023-09-26 주식회사 코크스나인 모듈형 부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0504B1 (ko) * 2019-11-25 2020-02-24 진우건철(주) 단위컨테이너모듈을 이용한 조립식건물
KR102384390B1 (ko) 2021-07-12 2022-04-15 주식회사 코크스나인 모듈형 부스
WO2023013847A1 (ko) * 2021-08-03 2023-02-09 삼성물산 주식회사 계단실 모듈 및 계단실 모듈 어셈블리
KR102500964B1 (ko) * 2021-12-16 2023-02-1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불연속 복선격자를 활용한 모듈러 코디네이션 설계가 적용된 시공방법
KR20230136356A (ko) 2022-03-18 2023-09-26 주식회사 코크스나인 모듈형 부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0472B1 (ko) 조립식 부스 모듈
US6609336B2 (en) Modular units, modular structures having modular unit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modular structures
US6463705B1 (en) Container for prefabricated transportable buildings
KR101930476B1 (ko) 패널 탈부착이 가능한 조립식 부스 모듈
KR100987566B1 (ko) 조립식 파레트
AU2021107573A4 (en) A building system
KR20110023989A (ko) 적층 가능한 조립식 건축물의 보와 기둥의 연결 매개체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방법.
KR102509416B1 (ko) 랙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WO2019059845A1 (en) MODULAR CONSTRUCTION SYSTEM
CN103866859A (zh) 一种多层移动组合房屋
CN202214817U (zh) 便于拆装的集装箱式活动房
KR101970404B1 (ko) 모듈식 조립구조의 건축물
RU154791U1 (ru) Усилительный опорный компонент здания из контейнерных модулей
WO2022003988A1 (ja) 雨水貯留浸透施設の単位ブロック部材および雨水貯留浸透施設の枠状ブロックユニット、並びに雨水貯留浸透施設
JP2000203684A (ja) 太陽電池付パネル部材の輸送架台
JP2978447B2 (ja) ユニット住宅
KR200435995Y1 (ko) 물류창고용 랙구조물의 타이빔 설치 구조체
CN213084037U (zh) 一种立式锅炉用箱体框架
CN215670095U (zh) 一种集装箱侧部结构及集装箱
CN219537929U (zh) 一种多功能户外移动展台
KR102416941B1 (ko) 모듈러 프레임 체결구조
CN213869139U (zh) 一种模块化保障仓库
JP3220361U (ja) 組立式倉庫
CN215166799U (zh) 一种环保工程建造装饰墙
JP7431628B2 (ja) 地上設置型変圧器の運搬架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