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0476B1 - 패널 탈부착이 가능한 조립식 부스 모듈 - Google Patents
패널 탈부착이 가능한 조립식 부스 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30476B1 KR101930476B1 KR1020180084934A KR20180084934A KR101930476B1 KR 101930476 B1 KR101930476 B1 KR 101930476B1 KR 1020180084934 A KR1020180084934 A KR 1020180084934A KR 20180084934 A KR20180084934 A KR 20180084934A KR 101930476 B1 KR101930476 B1 KR 1019304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eiling
- panel
- plate
- booth
- flo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pane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100); 바닥(200); 상기 천장(100) 및 바닥(20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부스의 기둥 역할을 하는 장주(300); 상기 천장(100), 바닥(200) 및 장주(300)에 각각 부착되는 패널고정프레임(500)을 포함하는 패널 탈부착이 가능한 조립식 부스 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시, 주거, 레저, 광고, 가판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패널 탈부착이 가능한 조립식 부스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컨테이너 박스 형태를 이용한 간이 건축물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컨테이너 박스 형태는 구조가 간단하고 영구 구조물에 비해 설치가 간편한 장점이 있어 이동식 매장, 전시 공간, 광고 공간, 카페, 식당, 휴게 공간, 공연 및 행사 진행을 위한 시설물 등으로 단기간 동안의 사용을 목적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컨테이너 박스 형태의 부스는 간편하다는 장점 때문에 위와 같은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부스는 정형화되어 있어 사용 용도나 규모에 맞도록 변형하기가 쉽지 않고, 한번 사용한 후 다른 장소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버려지는 구조가 많아 자원낭비가 많으며, 한번 사용한 부스를 다른 용도로 재사용한다 하더라도 그 구조를 바꾸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컸었다.
또한 부스를 목적에 맞도록 사용하기 위해서는 부스에 광고판, 벽체, 창, 디스플레이 패널, 스마트 윈도우, 스마트 글래스 등을 설치해야 되는데, 부스의 골조에 이러한 패널을 일일이 설치하는데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었다.
컨테이너 박스 형태의 부스는 철골 골조 구조이기 때문에, 보관에 필요로 하는 공간이 지나치게 커 보관에 드는 비용이 크고, 운반시 트럭 한 대에 하나의 부스 밖에 운반하지 못하므로 운송비가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특허문헌 0001에서는, 직육면체 형상의 몸체를 가지되, 내부가 비어 전시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 양쪽 측면 벽 중 적어도 한쪽에는 좌우로 개폐할 수 있는 출입문이 형성되는 한편, 전방 벽면에는 상하로 개폐할 수 있는 개방문이 형성된 다목적 컨테이너 박스를 제시하고 있으나, 특허문헌 0001 역시도 변형이 어려워 다양한 장소에의 적용성이 낮고, 운반과 보관에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0002는, 전면판, 배면판, 좌측면판, 우측면판이 실린더에 의해 개폐되는 전시행사용 컨테이너를 제시하고 있으나, 부스에 패널을 쉽게 탈부착할 수 있는 수단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보관과 운반에 드는 비용을 줄이면서 사용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 다양한 패널을 쉽게 설치하고 해체할 수 있는 부스와 프레임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 용도에 따라 쉽게 변형이 가능하고, 조립과 해체가 간편하고 쉬우며, 설치했을 때 구조적 안정성과 내구성이 뛰어나고, 보관과 운반에 드는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패널 고정이 가능한 조립식 부스 모듈과 다양한 패널을 쉽고 빠르게 설치하고 해체할 수 있는 패널고정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천장(100); 바닥(200); 상기 천장(100) 및 바닥(20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부스의 기둥 역할을 하는 장주(300); 상기 천장(100), 바닥(200) 및 장주(300)에 각각 부착되는 패널고정프레임(500)을 포함하는 패널 탈부착이 가능한 조립식 부스 모듈에 있어서, 상기 천장(100)은, 천장플레이트(110); 상기 천장플레이트(110) 외측에서 천장플레이트(110)에 부착되는 복수개의 천장프레임(120); 상기 천장플레이트(110) 및 상기 복수개의 천장프레임(120)에 부착되는 천장코너부재(130)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200)은, 바닥플레이트(210); 상기 바닥플레이트(210) 외측에서 바닥플레이트(210)에 부착되는 복수개의 바닥프레임(220); 상기 바닥플레이트(210) 및 복수개의 바닥플레이트(210)에 부착되는 바닥코너부재(230)를 포함하며, 상기 천장코너부재(130)는, 상판(131), 측판(133)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코너부재(230)는, 하판(231), 측판(234)을 포함하며, 상기 장주(300)의 상단이 상기 상판(131) 및 측판(133)에 체결되고, 상기 장주(300)의 하단이 상기 하판(231) 및 측판(234)에 체결되며, 상기 장주(300)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작업공(311)과 볼트홀(312)이 형성된 기둥부재(310); 상기 기둥부재(310)의 상단에 부착되고, 1개 이상의 볼트홀(321)이 형성된 상부판(320); 상기 기둥부재(310)의 하단에 부착되고, 상하체결공(331)과 1개 이상의 볼트홀(332)이 형성된 하부판(330);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판(320)이 상기 상판(131)에 체결되고, 상기 하부판(330)이 상기 하판(231)에 체결되는 패널 탈부착이 가능한 조립식 부스 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패널고정프레임(500)은, 상기 천장(100), 바닥(200) 및 장주(300)에 각각 부착되는 제1하면(510) 및 제2하면(570); 상기 부스의 밖을 향하는 전면(520); 패널(700)이 체결되는 제2상면(550); 상기 부스의 내부를 향하는 후면(560)을 포함한다.
상기 패널고정프레임(500)은, 제1상면(53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하면(510)과 상기 전면(520)이 연결되고, 상기 전면(520)으로부터 수평하게 제1상면(530)이 형성되며, 상기 제1상면(530)으로부터 수직 하향으로 지지면(540)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면(540)으로부터 직각을 이루며 수평하게 제2상면(550)이 형성되며, 상기 제2상면(550)으로부터 수직 하향으로 후면(560)이 형성되고, 상기 후면(560)으로부터 직각을 이루며 수평하게 제2하면(570)이 형성되며, 상기 제1하면(510)과 상기 제2하면(570)은 서로 이격되어 있다.
상기 제2상면(550)에는 체결공(551)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551)에는 팝너트(55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패널고정프레임의 내부에 부착되는 보강대를 더 포함한다.
상기 패널(700)은 벽체(701), 강화유리(702), 스마트 글래스(703), 광고판, 전광판, 창, 디스플레이 패널, 스마트 윈도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700)은 강화유리(702)이고, 상기 강화유리(702)는, 볼트(501)에 의해 ㄴ자 형상의 지지대(503)를 상기 제2상면(550)에 체결함으로써 고정되고, 상기 강화유리(702)의 테두리가 지지면(540)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700)은 스마트 글래스(703)이고, 상기 스마트 글래스(703)는, 스마트 글래스(703)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스마트 글래스 프레임(704)과 함께 볼트(501)에 의해 패널고정프레임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700)이 스마트 글래스(703), 광고판, 전광판, 디스플레이 패널, 스마트 윈도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스마트 글래스(703), 광고판, 디스플레이 패널, 스마트 윈도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기설비가 상기 패널고정프레임의 내부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패널 고정이 가능한 조립식 부스 모듈과 패널고정프레임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패널고정프레임이 부착된 천장, 패널고정프레임이 부착된 바닥, 패널고정프레임이 부착된 장주를 보관하다가, 필요에 따라 조립하기만 하면 패널을 설치할 수 있는 부스가 완성되므로 패널을 고정할 수 있는 부스의 제작이 쉽고 빠르다.
둘째, 본 발명의 패널고정프레임은 하부와 측면이 비어있는 판 형태이므로 부스에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패널고정프레임이 충격을 흡수하여 패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패널고정프레임의 제1상면과 제2상면이 지지면으로 이어진 단턱진 구조이므로, 패널이 고정되는 제2상면이 탄성을 가지게 되어 패널의 크기가 다소 크거나 작더라도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다.
넷째, 패널고정프레임에 설치된 팝너트에 볼트를 체결하기만 하면 패널이 설치되므로 패널의 설치와 해체에 드는 시간과 비용이 적다. 특히 대규모 전시장의 경우 설치되는 패널의 수가 수백, 수천개 이상이므로 공사 기간과 공사비가 크게 절감된다.
다섯째, 스마트 글래스, 광고판, 디스플레이 패널, 스마트 윈도우 등을 설치하면 이들에 전원을 공급할 전선을 연결해야 하는데, 본 발명의 패널고정프레임은 그 내부에 전기설비를 수용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스마트 글래스, 광고판, 디스플레이 패널, 스마트 윈도우 등을 설치하기가 간편하고, 외관이 깔끔하다. 즉, 본 발명의 패널고정프레임은 다양한 패널을 쉽고 견고하게 고정하는 효과에 더하여 전기설비를 수납할 수 있다는 특별한 효과를 가진다.
여섯째, 간단한 구조로 견고하고 안정적인 부스를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편하게 부스들을 수평 및/또는 상하로 연결하여 빠른 시간내에 다양한 구조를 만들고 다양한 패널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전시, 광고, 휴게 등 필요로 하는 규모와 용도로 쉽게 전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립식 부스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식 부스 모듈이 조립된 모습이다.
도 3 내지 6은 본 발명의 조립식 부스 모듈의 다양한 조합 형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장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단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천장과 장주 상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바닥과 장주 하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 12는 조립식 부스 모듈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모습이다.
도 13, 14는 조립식 부스 모듈을 상하로 연결하는 모습이다.
도 15, 16은 단주를 사용하여 조립식 부스 모듈을 운반하거나 보관할 때의 모습이다.
도 17은 패널고정프레임(500)에 패널(700)이 설치된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9, 20은 패널고정프레임에 강화유리가 설치된 모습이다.
도 21, 22는 패널고정프레임에 스마트 글래스가 설치된 모습이다.
도 23은 패널고정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24 내지 27은 본 발명의 조립식 부스 모듈을 사용하는 일 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식 부스 모듈이 조립된 모습이다.
도 3 내지 6은 본 발명의 조립식 부스 모듈의 다양한 조합 형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장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단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천장과 장주 상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바닥과 장주 하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 12는 조립식 부스 모듈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모습이다.
도 13, 14는 조립식 부스 모듈을 상하로 연결하는 모습이다.
도 15, 16은 단주를 사용하여 조립식 부스 모듈을 운반하거나 보관할 때의 모습이다.
도 17은 패널고정프레임(500)에 패널(700)이 설치된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9, 20은 패널고정프레임에 강화유리가 설치된 모습이다.
도 21, 22는 패널고정프레임에 스마트 글래스가 설치된 모습이다.
도 23은 패널고정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24 내지 27은 본 발명의 조립식 부스 모듈을 사용하는 일 예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조립식 부스 모듈을 먼저 설명하고, 조립식 부스 모듈에 패널고정프레임을 부착한 패널 고정이 가능한 조립식 부스 모듈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립식 부스 모듈의 일 실시예는 천장(100), 바닥(200), 장주(300)를 포함한다.
상기 천장(100)과 바닥(200)은 각각 상기 장주(300)의 상단과 하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천장(100)과 바닥(200)의 평면 형상은 보관과 적층을 쉽게 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취하는데, 반드시 직사각형에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부스의 용도에 따라 원형이나 타원형 그리고 사각형 이외의 다각형 형상을 취할 수도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조립식 부스 모듈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천장(100)과 바닥(200)의 평면 형상이 직사각형인 형태를 나타내고 있고, 장주(300)는 상기 천장(100)과 바닥(200)의 네 모서리에서 상하로 결합되어, 부스의 전체적인 골조가 직육면체를 이루게 된다.
도 2에는 상기 천장(100)과 바닥(200)의 평면 형상이 정사각형인 형태를 나타내고 있고, 이 경우에도 장주(300)는 상기 천장(100)과 바닥(200)의 네 모서리에서 상하로 결합되어, 부스의 전체적인 골조가 정육면체를 이루게 된다.
도 3 내지 도 6에는 천장(100), 바닥(200), 장주(300)를 포함하는 하나의 조립식 부스 모듈을 수평 및/또는 상하로 연결하여 다양한 부스들을 만드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도 3은 직육면체 구조의 조립식 부스 모듈 2개를 상하로 적층한 부스를 도시하고 있고, 도 4는 도 3의 조립식 부스 모듈 2개를 길이방향으로 수평으로 연결한 것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5는 직육면체 구조의 조립식 부스 모듈 4개를 수평으로 연결한 것을 도시하고 있고, 도 6은 직육면체 구조의 조립식 부스 모듈들을 계단식으로 적층한 구조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외에도 직육면체 모듈과 정육면체 모듈을 사용하여 다양한 구조의 부스를 제작할 수 있을 것이고, 원형, 사각형 이외의 다각형 등 다양한 평면 형상을 갖는 조립식 부스 모듈 또한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하나의 조립식 부스 모듈을 이루는 천장(100), 바닥(200), 장주(300) 각각의 세부 구성들을 자세히 설명하고, 이후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조립식 부스 모듈을 상하 또는 수평으로 연결하는 방법들을 설명한다.
천장(100)과 바닥(200) 사이에서 수직방향으로 결합되어 부스의 기둥 역할을 하는 장주(300)의 일 실시예가 도 7에 나타나 있다.
도 7에 나타나 있듯이, 상기 장주(300)는, 기둥부재(310), 상부판(320), 하부판(330)을 포함한다.
상기 기둥부재(310)의 형상은 부스 모듈의 조립을 쉽게 하고, 부스 모듈의 수평, 상하 연결이 쉽도록 하기 위해 4각 파이프 형태가 바람직하다.
상기 기둥부재(310)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작업공(311)과 볼트홀(312)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작업공(311)은 장주와 천장(100)을 결합할 때, 장주와 바닥(200)을 결합할 때, 복수개의 조립식 부스 모듈을 수평 또는 상하로 연결할 때, 볼트너트를 체결하기 위한 작업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므로 작업자의 손과 공구가 들어갈 수 있는 크기가 되어야 하고, 상기 볼트홀(312)은 장주를 천장코너부재(130)의 측판(133), 바닥코너부재(230)의 측판(234)에 결합할 때, 조립식 부스 모듈을 수평으로 연결할 때 볼트(313)를 체결하기 위한 구멍이다.
상기 기둥부재(310)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상부판(320)과 하부판(330)이 일체로 부착되고, 용접에 의해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반드시 용접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리벳이나 볼트에 의해 체결될 수도 있다.
상기 상부판(320)에는 1개 이상의 볼트홀(321)이 형성되는데,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는 상부판의 중앙과 그 주변으로 네 개의 볼트홀(321)이 형성되어 있다.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홀(321)은 상하연결볼트(136) 및 상하연결너트(137)에 의해 천장코너부재(130)의 상판(131)과 체결되는데 사용되고, 주변에 형성된 네 개의 볼트홀(321)은 볼트에 의해 천장코너부재(130)의 상판(131)과 체결되거나, 구조계산에 의해 볼트 체결이 필요 없을 때에는 볼트 체결을 하지 않고 빗물 배수공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부판(320)에 형성되는 볼트홀(321)의 크기와 수, 위치는 부스 모듈의 규모, 각 구조재의 제원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판(330)에는 상하체결공(331)과 1개 이상의 볼트홀(332)이 형성되는데,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는 하부판의 중앙에 상하체결공(331)이 형성되어 있고, 그 주변으로 네 개의 볼트홀(332)이 형성되어 있다.
후술할 바닥코너부재(230)의 하판(231)에는 상하체결유도구(236)가 부착되는데, 상기 장주(300)를 상기 바닥(200)에 결합할 때, 상기 상하체결공(331) 내부로 상하체결유도구(236)가 삽입되어 조립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견고한 체결이 되도록 한다.
그리고 네 개의 볼트홀(332)은 복수개의 조립식 부스 모듈을 위아래로 적층하는 경우, 아래층의 조립식 부스 모듈과 결합할 때 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구멍으로 사용되거나, 구조계산에 의해 추가적인 볼트 체결이 필요 없을 때에는 볼트 체결을 하지 않고 빗물 배수공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상부판(320)과 하부판(330)의 네 꼭지점에는 모따기면(340)이 형성되어 있는데, 모따기면을 형성할 경우, 상기 상부판(320)과 기둥부재(310)의 내면과의 사이 및 상기 하부판(330)과 기둥부재(310)의 내면과의 사이에는 구멍이 형성되게 되어 천장으로 떨어진 빗물이 기둥부재(310)를 타고 아래로 흘러갈 수 있는 배수구멍의 역할을 하게 된다.
도 8에는 단주(400)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단주(400)는 상기 장주(300)보다 길이를 짧게 형성하여 조립식 부스 모듈을 운반하거나 보관할 때 상기 천장(100)과 바닥(200)과 결합하기 위한 구성이다. 운반하거나 보관할 때 단주가 사용되는 방법에 대해서는 뒤에서 설명한다.
상기 단주(400) 역시 상기 장주(300)와 마찬가지로, 기둥부재(410), 상부판(420), 하부판(430), 작업공(411), 볼트홀(412, 421, 432), 상하체결공(431), 모따기면(440)을 포함한다.
도 9에는 천장(100)의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천장(100)은, 천장플레이트(110), 복수개의 천장프레임(120), 천장코너부재(130)를 포함한다.
상기 천장(100)의 평면형상을 직사각형으로 할 경우, 상기 천장프레임(120)은 4개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천장코너부재(130) 역시 4개를 사용하게 된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를 보면, 상기 천장코너부재(130)는, 상판(131)과 상기 상판에 일체로 부착되는 2개의 측판(133)을 포함하고, 2개의 측판(133)에 각각 천장프레임(120)이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천장플레이트(110)는 4개의 천장프레임(120)에 일체로 부착된다.
상기 2개의 측판(133) 중 하나에는 걸이구(135)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천장플레이트(110)에는 걸이구(135)를 수용할 수 있는 장홈(1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이구(135)는 크레인 등으로 조립된 부스 모듈을 이동시킬 때 사용된다.
상기 상판(131)에는 볼트공(132)이 형성되어 있는데, 도 9의 실시예에는 중앙에 하나와 그 주변으로 네 개의 볼트공(1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트공(132)들은 앞서 설명한 장주(300)의 상부판(320)에 형성된 볼트홀(321)들과 대응될 수 있도록 연통되게 형성되어, 볼트 체결을 가능하게 하고, 볼트 체결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배수구멍으로서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측판(133)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공(134)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기둥부재(310)의 상부에 형성된 볼트홀(312)을 통해 볼트(313)를 상기 나사공(134)에 바로 체결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상판(131)은 중앙에 있는 볼트공(132)을 통해, 상하연결볼트(136) 및 상하연결너트(137)에 의해 상부판(320)과 체결된다.
아울러 상기 상부판(320)과 하부판(330)의 네 꼭지점에 모따기면(340)을 형성한 것과 같이 상기 상판(131)의 꼭지점에도 모따기면(138)을 형성하여 배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고, 천장으로 떨어진 빗물이 부스의 정면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고 빗물을 천장의 꼭지점 부근으로 유도하여 빗물을 장주(300)의 내부로 배수시키기 위하여 상기 천장프레임(120)에는, 빗물유도구(121)가 부착될 수 있다.
도 10에는 바닥(200)의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바닥(200)은, 바닥플레이트(210), 복수개의 바닥프레임(220), 바닥코너부재(230)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200)의 평면형상을 직사각형으로 할 경우, 상기 바닥프레임(220)은 4개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바닥코너부재(230) 역시 4개를 사용하게 된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를 보면, 상기 바닥코너부재(230)는, 하판(231)과 상기 하판에 일체로 부착되는 2개의 측판(234)을 포함하고, 2개의 측판(234)에 각각 바닥프레임(220)이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바닥플레이트(210)는 4개의 바닥프레임(220)에 일체로 부착되며, 상기 바닥플레이트(210)의 아래로는 일정 간격을 두고 바닥보강프레임(240)이 상기 바닥프레임(220)과 일체로 부착된다.
도 10에는 바닥프레임(220)으로 ㄷ자형 채널을 사용하는 것을 도시하였는데, ㄷ자형 채널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4각형 빔 , H빔, I빔 등 다른 형태로도 바닥프레임(22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0에는 상기 하판(231)에는 중앙에 관통구(23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구의 주변으로 4개의 볼트공(23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상기 볼트공(232)들은 앞서 설명한 장주(300)의 하부판(330)에 형성된 볼트홀(332)들과 대응될 수 있도록 연통되게 형성되어, 볼트 체결을 가능하게 하고, 볼트 체결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배수구멍으로서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측판(234)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공(235)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기둥부재(310)의 하부에 형성된 볼트홀(312)을 통해 볼트(313)를 상기 나사공(235)에 바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판(231)의 관통구(233)에는 상하체결유도구(236)가 부착되는데, 상기 상하체결유도구(236)는 그 내부가 상하로 관통되어 있어, 2개의 조립식 부스 모듈을 상하로 적층하면 아래층에 있는 조립식 부스 모듈의 천장코너부재(130)에 체결한 상하연결볼트(136) 또는 상하연결너트(137)가 위층에 있는 조립식 부스 모듈의 상기 상하체결유도구(236)의 내부로 삽입되어 조립식 부스 모듈의 상하 적층을 용이하게 한다.
이때 상기 상하연결볼트(136)와 상하연결너트(137)가 상기 상하체결유도구(236) 속으로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상하연결볼트(136)와 상하연결너트(137)의 형상을 원추형으로 할 수 있다.
이제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조립식 부스 모듈을 상하 또는 수평으로 연결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1, 12에는 조립식 부스 모듈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웃하는 조립식 부스 모듈의 장주(300)를 서로 체결함으로써 조립식 부스 모듈이 연결될 수 있다.
즉 장주(30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된 볼트홀(312)들에 볼트(313)를 통과시키고 너트(314)를 체결하면 이웃하는 조립식 부스 모듈이 수평으로 간단하고도 견고하게 결합된다.
도 13, 14에는 조립식 부스 모듈을 상하로 연결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는데, 아래층에 있는 조립식 부스 모듈의 천장코너부재(130)에 체결된 상하연결너트(137)가, 위층에 있는 조립식 부스 모듈의 바닥코너부재(230)의 상하체결유도구(236) 속으로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볼트(313)가, 위층에 있는 조립식 부스 모듈의 볼트홀(332)과 볼트공(232)를 통과하여, 아래층에 있는 조립식 부스 모듈의 볼트공(132)과 볼트홀(321)을 통과하여 체결된다.
이때 바닥플레이트(210)과 바닥프레임(220)에 의해 형성되는 빈공간에는 바닥보강프레임(240)이 일정 간격을 두고 일체로 부착되고, 바닥보강프레임(240) 사이의 공간으로는 조립식 부스 모듈을 실제 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부대설비박스(710)를 배치할 수 있고, 상하로 적층할 때 아래층에 있는 조립식 부스 모듈의 걸이구(135)는 위와 같은 공간에 수용된다.
상기 부대설비박스(710)에는 CD관(711), 전선 등이 수납되고(도 18 참조), 바닥보강프레임(240)으로는 ㄷ자형 채널, 4각형 빔 , H빔, I빔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앞서 단주(400)는 조립식 부스 모듈을 보관하거나 운반할 때 사용한다고 설명하였는데, 도 15, 16에 그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천장(100)은 그 하면에 천장플레이트(110)와 천장프레임(120)에 둘러싸인 공간이 형성되므로, 도 15와 같이 바닥(200) 위에 장주(300)를 놓고, 천장(100)을 덮으면 장주가 상기 공간속에 들어가게 되고, 단주(400)를 천장과 바닥에 체결하면, 장주가 상기 공간 속에 수용되어 밖으로 흘러나오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여러층 적층하여 창고에 보관하게 되므로, 보관에 필요로 하는 공간이 획기적으로 줄어들게 되고, 트럭에 운반시에는 트럭 한 대에 3개의 조립식 부스 모듈을 운반할 수 있으므로 운송비가 크게 절감된다.
이때 단주(400)의 길이가 너무 길면, 장주 대신 단주를 체결한다 하더라도 조립식 부스 모듈의 부피가 커져 운반과 보관이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운반시 천장과 바닥 사이의 틈으로 장주가 빠져 나오게 되어 운반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고, 단주가 지나치게 짧으면(단주의 전체 길이가 천장프레임과 바닥프레임의 상하 두께의 합보다 작은 경우) 천장과 바닥을 연결하도록 체결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단주(400)의 전체 길이는 천장프레임과 바닥프레임의 상하 두께의 합과 같거나 조금 크게 형성하되, 단주를 체결했을 때 천장과 바닥 사이의 틈으로 장주가 빠져 나오지 못할 정도의 길이 여야 하는데, 단주를 체결한 조립식 부스 모듈의 부피를 최소화해야 하므로 바람직하게는 천장과 바닥 사이에 장주를 수납하되, 천장과 바닥 사이의 틈이 없을 정도가 좋다.
예를 들면, 천장프레임(120)의 하면과 바닥프레임(220)의 상면에 패널고정프레임(500)을 설치한 경우, 단주(400)의 길이는 상기 천장프레임(120)의 상하 두께, 상기 바닥프레임(220)의 상하 두께, 상기 패널고정프레임(500) 2개의 상하 두께의 전체 합과 같거나 조금 크게 형성하면 된다.
천장프레임(120)과 바닥프레임(220)에 패널고정프레임(500)을 설치하지 않은 경우라면, 단주(400)의 길이는 천장프레임(120)의 상하 두께와 바닥프레임(220)의 상하 두께의 합과 같거나 약간 크되, 단주가 천장과 바닥을 체결할 수 있는 길이는 되어야 하며, 천장과 바닥 사이에 장주를 넣고 단주를 체결했을 때 천장과 바닥 사이의 틈이 없을 정도가 바람직하다.
부스를 사용자의 목적에 맞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부스의 골조에 패널을 설치하여야 한다.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로 되는 단위 조립식 부스 모듈에서, 이웃하는 2개의 장주(300), 상기 장주(300)와 연결되는 천장프레임(120) 및 바닥프레임(220)에 의해 패널설치공간(600)이 형성되는데, 상기 패널설치공간(600)에는 패널(70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패널(700)로는 부스의 용도에 따라 광고를 위한 광고판, 전광판, 외장재로서의 유리, 외장재로서의 강화 유리, 외장재로서의 벽체, 창, 디스플레이 패널, 스마트 윈도우(smart window),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등이 될 수 있고, 상기 패널의 설치를 위해 패널고정프레임(500)을 이웃하는 2개의 장주(300) 및 상기 장주(300)와 연결되는 천장프레임(120) 및 바닥프레임(220)에 설치할 수 있다.(도 2, 17 참조)
도 23에는 본 발명의 패널고정프레임(500)의 사시도가 그려져 있다. 도 2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패널고정프레임(500)은, 제1하면(510); 상기 제1하면(510)과 수직 상향으로 형성된 전면(520); 상기 전면(520)으로부터 수평하게 형성된 제1상면(530); 상기 제1상면(530)으로부터 수직 하향으로 형성된 지지면(540); 상기 지지면(540)으로부터 직각을 이루며 수평하게 형성된 제2상면(550); 상기 제2상면(550)으로부터 수직 하향으로 형성된 후면(560); 상기 후면(560)으로부터 직각을 이루며 수평하게 형성된 제2하면(57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하면(510)과 상기 제2하면(570)은 서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제1하면(510) 및 제2하면(570)은 각각 천장(100), 바닥(200) 및 장주(300)에 부착되는 면이고, 부착방법은 용접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면(520)은 부스의 바깥쪽을 향하는 면이고, 상기 후면(560)은 부스의 안쪽을 향하고 있는 면이다.
상기 제2상면(550)에는 체결공(551)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551)에는 팝너트(552)가 설치되어 상기 팝너트(552)에 볼트(501)와 와셔(502)를 체결함으로써 패널(700)을 패널고정프레임(500)에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패널고정프레임의 강도와 내구성을 보강하기 위해 패널고정프레임의 내부에는 도 2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제1보강대(580), 제2보강대(590)를 더 부착할 수 있다.
도 23에는 제1보강대(580)와 제2보강대(590)를 각각 부착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 제1,2보강대를 합친 하나의 보강대만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일체형인 하나의 보강대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팝너트(552)의 설치 공간을 확보하고, 패널고정프레임 내부로 전선을 연결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보강대에 장공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바닥플레이트(210) 아래의 공간에는 부대설비박스(710)를 설치하여 각종 배관을 수납하는데, 전원의 공급을 필요로 하는 패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패널고정프레임(500)의 내부 공간이 전원 연결을 위한 설비의 수납공간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8에는 패널(700)로 벽체(701)를 사용한 일 예를 보여준다. 상기 벽체(701)는 목재, 합성 목재, 합성수지, 금속 등으로 제작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벽체(701)의 전면 테두리 부분이 패널고정프레임(500)의 지지면(540)에 닿도록 하고, 팝너트(552)에 볼트(501)와 와셔(502)를 체결함으로써 벽체를 패널고정프레임에 결합한다.
도 19, 20에는 패널(700)이 강화유리(702)인 경우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19, 20을 참조하면 강화유리(702)의 전면 테두리 부분이 패널고정프레임(500)의 지지면(540)에 닿도록 하고, ㄴ자 형상의 지지대(503)로 받치면서 팝너트(552)에 볼트(501)와 와셔(502)를 체결함으로써 지지대(503)를 고정한다. 이때 지지대(503)에는 볼트 체결을 위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강화유리(702)의 평면적이 크더라도 강화유리의 네 개의 테두리를 지지면(540)과 지지대(503)가 밀착하여 지지하고 있으므로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19, 20에 도시한 설치구조는 강화유리 뿐만 아니라 강화유리와 같이 얇은 형태의 패널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패널고정프레임의 제1상면과 제2상면이 지지면으로 이어진 단턱진 구조이므로, 패널이 고정되는 제2상면과 지지면이 탄성을 가지게 되어 부스에 충격이나 진동이 오더라도 패널고정프레임이 충격을 완충시켜 강화유리에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21, 22에는 패널(700)이 스마트 글래스(703)인 경우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다. 상기 스마트 글래스(703)에는 스마트글래스 프레임(704)이 일체로 부착되어 있다.
스마트 글래스(703)와 스마트글래스 프레임(704)이 일체로 부착된 것을 패널고정프레임의 제2상면(550)에 두고, 스마트글래스 프레임(704)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으로 볼트, 와셔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이때 스마트글래스 프레임(704)과 제2상면(550)과의 사이에 간격이 있을 경우에는 도 22와 같이 패드(705)를 끼워 넣을 수 있는데, 상기 패드(705)는 벽체나 강화유리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2는 바닥(200)에 설치된 패널고정프레임(500)을 대상으로 체결된 모습을 나타낸 것인데, 천장(100)과 장주(300)에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체결된다.
상기 패널(700)로 스마트 글래스(703), 광고판, 전광판, 디스플레이 패널, 스마트 윈도우를 사용하게 되면, 이들을 켜기 위한 전원이 연결되어야 하는데, 이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전기설비가 패널고정프레임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어, 전기를 필요로 하는 패널도 외부에서 전선을 비롯한 전기설비가 눈의 띄지 않도록 깔끔하게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립식 부스 모듈을 이루는 천장, 바닥, 장주, 단주의 형상, 크기는 필요로 하는 사각형 이외에도 사용하는 부스의 용도에 따라 적절히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같은 사각형 범위 내에서도 천장과 바닥의 평면의 가로, 세로 비율을 다르게 하고, 장주의 길이를 다르게 하여 다양한 형태의 조립식 부스 모듈을 제작하여 조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천장 110. 천장플레이트
111. 장홈
120. 천장프레임 121. 빗물유도구
130. 천장코너부재 131. 상판
132. 볼트공 133. 측판
134. 나사공 135. 걸이구
136. 상하연결볼트 137. 상하연결너트
138. 모따기면
200. 바닥 210. 바닥플레이트
220. 바닥프레임 230. 바닥코너부재
231. 하판 232. 볼트공
233. 관통구 234. 측판
235. 나사공 236. 상하체결유도구
237. 모따기면
240. 바닥보강프레임
300. 장주 310. 기둥부재
311. 작업공 312. 볼트홀
313. 볼트 314. 너트
320. 상부판 321. 볼트홀
330. 하부판 331. 상하체결공
332. 볼트홀 340. 모따기면
400. 단주 410. 기둥부재
411. 작업공 412. 볼트홀
420. 상부판 421. 볼트홀
430. 하부판 431. 상하체결공
432. 볼트홀 440. 모따기면
500. 패널고정프레임
501. 볼트 502. 와셔
503. 지지대
510. 제1하면 520. 전면
530. 제1상면 540. 지지면
550. 제2상면 560. 후면
570. 제2하면 580. 제1보강대
590. 제2보강대
551. 체결공 552. 팝너트
600. 패널설치공간
700. 패널 701. 벽체
702. 강화유리 703. 스마트 글래스
704. 스마트글래스 프레임 705. 패드
710. 부대설비박스
711. CD관
111. 장홈
120. 천장프레임 121. 빗물유도구
130. 천장코너부재 131. 상판
132. 볼트공 133. 측판
134. 나사공 135. 걸이구
136. 상하연결볼트 137. 상하연결너트
138. 모따기면
200. 바닥 210. 바닥플레이트
220. 바닥프레임 230. 바닥코너부재
231. 하판 232. 볼트공
233. 관통구 234. 측판
235. 나사공 236. 상하체결유도구
237. 모따기면
240. 바닥보강프레임
300. 장주 310. 기둥부재
311. 작업공 312. 볼트홀
313. 볼트 314. 너트
320. 상부판 321. 볼트홀
330. 하부판 331. 상하체결공
332. 볼트홀 340. 모따기면
400. 단주 410. 기둥부재
411. 작업공 412. 볼트홀
420. 상부판 421. 볼트홀
430. 하부판 431. 상하체결공
432. 볼트홀 440. 모따기면
500. 패널고정프레임
501. 볼트 502. 와셔
503. 지지대
510. 제1하면 520. 전면
530. 제1상면 540. 지지면
550. 제2상면 560. 후면
570. 제2하면 580. 제1보강대
590. 제2보강대
551. 체결공 552. 팝너트
600. 패널설치공간
700. 패널 701. 벽체
702. 강화유리 703. 스마트 글래스
704. 스마트글래스 프레임 705. 패드
710. 부대설비박스
711. CD관
Claims (11)
- 천장(100); 바닥(200); 상기 천장(100) 및 바닥(20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부스의 기둥 역할을 하는 장주(300); 상기 천장(100), 바닥(200) 및 장주(300)에 각각 부착되는 패널고정프레임(500)을 포함하는 패널 탈부착이 가능한 조립식 부스 모듈에 있어서,
상기 천장(100)은, 천장플레이트(110); 상기 천장플레이트(110) 외측에서 천장플레이트(110)에 부착되는 복수개의 천장프레임(120); 상기 천장플레이트(110) 및 상기 복수개의 천장프레임(120)에 부착되는 천장코너부재(130)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200)은, 바닥플레이트(210); 상기 바닥플레이트(210) 외측에서 바닥플레이트(210)에 부착되는 복수개의 바닥프레임(220); 상기 바닥플레이트(210) 및 복수개의 바닥플레이트(210)에 부착되는 바닥코너부재(230)를 포함하며,
상기 천장코너부재(130)는, 상판(131), 측판(133)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코너부재(230)는, 하판(231), 측판(234)을 포함하며,
상기 장주(300)의 상단이 상기 상판(131) 및 측판(133)에 체결되고,
상기 장주(300)의 하단이 상기 하판(231) 및 측판(234)에 체결되며,
상기 장주(300)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작업공(311)과 볼트홀(312)이 형성된 기둥부재(310); 상기 기둥부재(310)의 상단에 부착되고, 1개 이상의 볼트홀(321)이 형성된 상부판(320); 상기 기둥부재(310)의 하단에 부착되고, 상하체결공(331)과 1개 이상의 볼트홀(332)이 형성된 하부판(330);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판(320)이 상기 상판(131)에 체결되고,
상기 하부판(330)이 상기 하판(231)에 체결되는
패널 탈부착이 가능한 조립식 부스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고정프레임(500)은,
상기 천장(100), 바닥(200) 및 장주(300)에 각각 부착되는 제1하면(510) 및 제2하면(570);
상기 부스의 밖을 향하는 전면(520);
패널(700)이 체결되는 제2상면(550);
상기 부스의 내부를 향하는 후면(560)을 포함하는
패널 탈부착이 가능한 조립식 부스 모듈.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고정프레임(500)은, 제1상면(53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하면(510)과 상기 전면(520)이 연결되고,
상기 전면(520)으로부터 수평하게 제1상면(530)이 형성되며,
상기 제1상면(530)으로부터 수직 하향으로 지지면(540)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면(540)으로부터 직각을 이루며 수평하게 제2상면(550)이 형성되며,
상기 제2상면(550)으로부터 수직 하향으로 후면(560)이 형성되고,
상기 후면(560)으로부터 직각을 이루며 수평하게 제2하면(570)이 형성되며,
상기 제1하면(510)과 상기 제2하면(570)은 서로 이격되어 있는
패널 탈부착이 가능한 조립식 부스 모듈.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상면(550)에는 체결공(551)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551)에는 팝너트(55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탈부착이 가능한 조립식 부스 모듈. - 제4항에 있어서,
패널고정프레임의 내부에 부착되는 보강대를 더 포함하는
패널 탈부착이 가능한 조립식 부스 모듈. -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700)은 벽체(701), 강화유리(702), 스마트 글래스(703), 광고판, 전광판, 창, 디스플레이 패널, 스마트 윈도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탈부착이 가능한 조립식 부스 모듈.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700)은 강화유리(702)이고,
상기 강화유리(702)는, 볼트(501)에 의해 ㄴ자 형상의 지지대(503)를 상기 제2상면(550)에 체결함으로써 고정되고,
상기 강화유리(702)의 테두리가 지지면(540)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탈부착이 가능한 조립식 부스 모듈.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700)은 스마트 글래스(703)이고,
상기 스마트 글래스(703)는, 스마트 글래스(703)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스마트 글래스 프레임(704)과 함께 볼트(501)에 의해 패널고정프레임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탈부착이 가능한 조립식 부스 모듈.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700)이 스마트 글래스(703), 광고판, 전광판, 디스플레이 패널, 스마트 윈도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스마트 글래스(703), 광고판, 디스플레이 패널, 스마트 윈도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기설비가 상기 패널고정프레임의 내부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탈부착이 가능한 조립식 부스 모듈.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4934A KR101930476B1 (ko) | 2018-07-20 | 2018-07-20 | 패널 탈부착이 가능한 조립식 부스 모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4934A KR101930476B1 (ko) | 2018-07-20 | 2018-07-20 | 패널 탈부착이 가능한 조립식 부스 모듈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30476B1 true KR101930476B1 (ko) | 2018-12-18 |
Family
ID=64952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84934A KR101930476B1 (ko) | 2018-07-20 | 2018-07-20 | 패널 탈부착이 가능한 조립식 부스 모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30476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415597A (zh) * | 2019-08-13 | 2019-11-05 | 辽宁省交通高等专科学校 | 一种用于特装展台演示的模型组件及其演示方法 |
CN113463810A (zh) * | 2021-06-29 | 2021-10-01 | 云南建筑产业化研发中心有限公司 | 一种多功能复合方舱的顶部总成架构 |
CN113530309A (zh) * | 2021-09-08 | 2021-10-22 | 浙江舜业净化科技有限公司 | 一种新型百级洁净房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83331Y1 (ko) * | 2002-04-19 | 2002-07-26 | 문태현 | 분리형 방음판의 고정 프레임 결합구조 |
-
2018
- 2018-07-20 KR KR1020180084934A patent/KR10193047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83331Y1 (ko) * | 2002-04-19 | 2002-07-26 | 문태현 | 분리형 방음판의 고정 프레임 결합구조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415597A (zh) * | 2019-08-13 | 2019-11-05 | 辽宁省交通高等专科学校 | 一种用于特装展台演示的模型组件及其演示方法 |
CN113463810A (zh) * | 2021-06-29 | 2021-10-01 | 云南建筑产业化研发中心有限公司 | 一种多功能复合方舱的顶部总成架构 |
CN113530309A (zh) * | 2021-09-08 | 2021-10-22 | 浙江舜业净化科技有限公司 | 一种新型百级洁净房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30472B1 (ko) | 조립식 부스 모듈 | |
US10905026B2 (en) | Integration cell for seismic electronic equipment rack and method of transporting electronic equipment units thereby | |
US6962262B2 (en) | Connecting corner for knock down racks | |
US6609336B2 (en) | Modular units, modular structures having modular unit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modular structures | |
KR101930476B1 (ko) | 패널 탈부착이 가능한 조립식 부스 모듈 | |
CN104775522A (zh) | 一种可拆卸式房屋箱 | |
KR20220069405A (ko) | 랙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BE1020742A3 (nl) | Bouwunit en modulair unitbouw systeem omvattende één of meerdere dergelijke bouwunits. | |
CN210961274U (zh) | 一种货架横梁结构 | |
KR101697945B1 (ko) | 전시 부스용 조립식 패널 및 그 시공방법 | |
CN202214817U (zh) | 便于拆装的集装箱式活动房 | |
KR101970404B1 (ko) | 모듈식 조립구조의 건축물 | |
CN212244278U (zh) | 博物馆组合式化石运输及展示箱 | |
CN216042833U (zh) | 拼接式支撑平台 | |
JP2000203684A (ja) | 太陽電池付パネル部材の輸送架台 | |
CN219537929U (zh) | 一种多功能户外移动展台 | |
JP5684619B2 (ja) | 太陽電池モジュール設置架台 | |
CN111173127A (zh) | 模块化建筑 | |
JP5021269B2 (ja) | 折り畳み式ユニットハウス | |
CN219460750U (zh) | 一种组合式拼装展示柜 | |
CN213269096U (zh) | 一种模块化展示装置 | |
US20180046228A1 (en) | Enclosure mounting and transportation platform | |
JP3240796U (ja) | 棚部材 | |
CN213742541U (zh) | 一种展演空间搭建结构 | |
CN203247707U (zh) | 一种简易箱式房屋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