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0367B1 - 감광성 수지 조성물, 그로부터 형성된 경화막, 및 경화막을 갖는 소자 - Google Patents

감광성 수지 조성물, 그로부터 형성된 경화막, 및 경화막을 갖는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0367B1
KR101930367B1 KR1020160098458A KR20160098458A KR101930367B1 KR 101930367 B1 KR101930367 B1 KR 101930367B1 KR 1020160098458 A KR1020160098458 A KR 1020160098458A KR 20160098458 A KR20160098458 A KR 20160098458A KR 101930367 B1 KR101930367 B1 KR 101930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substituted
substituted
group
formula
peak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8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4961A (ko
Inventor
고상란
유홍정
박종희
심수연
김우한
김하늘
백윤희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8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0367B1/ko
Publication of KR20180014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4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0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03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2Quinonediaz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2Polysilic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06Preparatory proce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12Array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048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olvents or agents facilitating spreading, e.g. tensio-active ag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7/325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4Insulating layers formed between TFT elements and OL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erials For Photolithography (AREA)
  • Silicon Polymers (AREA)

Abstract

유기실란 화합물과 알코올을 가수분해 축중합 반응시켜 얻어지는 생성물과, 퀴논디아지드 화합물, 및 용매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가수분해 축중합 반응시켜 얻어지는 생성물 내에 존재하는 하기 화학식 4 내지 화학식 12로 표시되는 구조단위 각각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 하기 수학식 1을 충족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켜 얻은 경화막, 및 상기 경화막을 포함하는 소자가 제공된다:
(화학식 4) (화학식 5) (화학식 6) (화학식 7)
Figure 112016075166264-pat00058
Figure 112016075166264-pat00059
Figure 112016075166264-pat00060
Figure 112016075166264-pat00061

(화학식 8) (화학식 9) (화학식 10) (화학식 11) (화학식 12)
Figure 112016075166264-pat00062
Figure 112016075166264-pat00063
Figure 112016075166264-pat00064
Figure 112016075166264-pat00065
Figure 112016075166264-pat00066

(수학식 1) 0.3 < (T0+T1+T2+Q0+Q1+Q2+Q3)/(T3+Q4) < 2.0
상기 화학식 4 내지 12의 R, R', 및 상기 수학식 1의 T0, T1, T2, T3, Q0, Q1, Q2, Q3, 및 Q4는 상세한 설명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Description

감광성 수지 조성물, 그로부터 형성된 경화막, 및 경화막을 갖는 소자{Photo-sensitive Composition, Cured Film Prepared Therefrom, and Device Incoporating the Cured Film}
감광성 수지 조성물, 그로부터 형성된 경화막, 및 상기 경화막을 갖는 소자에 관한 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나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에 있어서 한층 더 정밀하고 높은 해상도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표시 장치의 개구율을 높여야 하며, 이는 TFT 기판 상부에 투명한 평탄화 막을 보호막으로 설치함으로써 데이터 라인과 화소 전극을 오버랩시켜 고개구율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TFT 기판용 유기 절연막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로는 고내열성, 고투명성, 고온 내크랙성, 저유전율성, 내화학성 등을 갖는 재료가 필요하며, TFT 기판 전극과 ITO 전극과의 도통 확보를 위해 50㎛ 내지 수 ㎛ 정도의 홀 패턴 형성을 할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페놀계 수지와 퀴논디아지드 화합물을 조합한 재료, 또는 아크릴계 수지와 퀴논디아지드 화합물을 조합한 광감성 수지 조성물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 재료는 200℃ 이상의 고온에서 재료 특성이 급격히 열화하는 것은 아니지만 230℃ 이상에서 서서히 분해가 시작되고, 막 두께의 저하나 크랙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 또는 기판을 고온 처리함에 의해 투명막이 착색되어 투과율이 저하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최근 액정 디스플레이 등에 있어서 터치 패널이 채용되고 있지만, 터치 패널의 투명성이나 기능성 향상을 위해, 투명 전극 부재인 ITO의 고투명성과 고도전성을 목적으로, 보다 높은 온도에서의 열처리나 제막을 행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에 수반하여, 투명 전극 부재의 보호막이나 절연막에도 고온 처리에 대한 내열성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아크릴 수지는 내열성이나 내약품성이 불충분하여, 기판의 고온 처리나 투명 전극 등의 고온 제막, 또는 각종 에칭 약액 처리에 의해 경화막이 착색되어 투명성이 저하하거나, 또는 고온 제막 중 탈가스에 의해 전극의 도전율이 저하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당해 투명막 재료 위에 PECVD 등의 장치를 사용하여 고온에서 막을 형성하는 것 같은 프로세스에는 사용할 수 없다.
그리고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도, 상기 재료들로부터 발생한 크랙이나 분해물은 유기 EL 소자의 발광 효율이나 수명에 대해 악영향을 주기 때문에 사용하기에 최적의 재료라고 할 수 없다. 또한, 내열성을 부여한 아크릴 재료도 300℃ 이상에서 크랙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 일반적으로 유전율이 높아진다. 따라서 고유전율 때문에 절연막에 의한 기생 용량이 커짐으로써, 소비 전력이 커지거나, 액정 소자 구동 신호의 지연 등으로 화질의 품질에 문제를 일으킨다. 또한 유전율이 높은 절연 재료의 경우도, 예를 들어, 막 두께를 크게 함으로써 용량을 작게 할 수는 있으나, 균일한 후막 형성이 일반적으로 곤란하고, 재료 사용량도 많아져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고내열, 고투명성 재료로서 실세스퀴옥산이 알려져 있다. 특히, 특정 실세스퀴옥산에 아크릴기를 부여한 실세스퀴옥산 화합물과, 불포화 카르복실산 및 에폭시기를 함유한 불포화 화합물, 및 올레핀계 불포화 화합물을 공중합시킨 아크릴계 공중합체와 퀴논디아지드 화합물로 이루어진 감광성 조성물 등이 제안되어 있다. 하지만, 이들 화합물 역시 유기 화합물의 함유량이 높아 250℃ 이상의 고온 경화 후 분해되면서 노랗게 착색되어 투과도가 떨어지는 내열성 문제가 있으며, 현상 후 잔막률이 떨어져 평탄한 막을 이루지 못하거나, 또는 NMP (N-methyl-2-pyrrolidone), 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TMAH) 용액, 10% NaOH 등의 용매에 대한 내화학성도 저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록산 중합체에 포지티브형 감광성를 부여하기 위해 퀴논디아지드 화합물을 조합한 계로서, 페놀성 수산기를 말단에 갖는 실록산 중합체와 퀴논디아지드 화합물을 조합한 재료, 환화 열 부가 반응에 의해 페놀성 수산기나 카르복실기 등을 부가시킨 실록산 중합체와 퀴논디아지드 화합물을 조합한 재료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재료는 다량의 퀴논디아지드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거나, 또는 실록산 중합체 중에 페놀성 수산기가 존재하기 때문에, 도포막의 백화나 열경화시 착색이 일어나기 쉽고, 300℃ 이상의 가혹한 고온 조건에서는 크랙이 발생할 수 있어, 이에 따른 투과도 저하로 인해 고투명성 재료로서 이용할 수 없다. 또한, 이들 재료는 투명성이 낮기 때문에 패턴 형성 시 감도가 낮다는 문제도 있다.
폴리실록산과 퀴논디아지드 화합물만으로 이루어진 감광성 조성물 재료가 열경화되는 경우, 폴리실록산 중의 실라놀기의 탈수축합에 의해 가교, 고분자량화가 일어난다. 이 열경화 과정에서는, 패턴의 열경화가 충분히 진행되기 전에 고온에 의한 막의 저점도화로 용융되고, 현상 후 수득된 홀이나 라인 등의 패턴이 플로우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크랙 현상은 일어나지 않지만 해상도가 저하하는「패턴」열화가 일어나며, 이를 방지하지 않으면 안 된다.
또한, 현상액에 불용인 폴리실록산과 가용인 폴리실록산의 계와 퀴논디아지드 화합물을 조합하고, 이를 가열 경화 시, 현상 후 수득된 홀이나 라인 등의 패턴이 무너져 결과적으로 해상도가 저하하는 "패턴 늘어짐"이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한 감광성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다. 하지만, 현상액에 불용인 폴리실록산을 사용하면, 현상 후 녹다 만 잔여물이나 녹기 시작한 난용물이 재부착함으로써 현상 패턴 결함이 발생하는 원인이 된다. 또, 패턴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실록산의 분자량을 충분히 높일 필요가 있다. 그 결과, 감광성 재료로서는 감도가 낮아 높은 반응 에너지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잔막률도 충분하지 않아 재료의 손실이 크다는 결점이 있다.
일 구현예는, 고내열성, 고투명성, 저유전율성 특징을 가지며 현상액에 대한 가용성이 우수한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구현예는 상기 조성물을 경화하여 얻은 경화막를 제공한다.
또 다른 구현예는 상기 경화막을 포함하는 소자를 제공한다.
일 구현예는, (A)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알코올을 가수분해 축중합 반응시켜 얻어지는 생성물과, (B) 퀴논디아지드 화합물, 및 (C) 용매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가수분해 축합반응시켜 얻어지는 생성물 내에 존재하는 하기 화학식 4 내지 12로 표시되는 구조단위 각각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 하기 수학식 1을 충족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R1)Si(X1)3
(화학식 2)
Si(X1)4
(화학식 3)
(X1)3Si-Y-Si(X1)3
상기 화학식 1에서,
R1 은 수소, 하이드록시, 할로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 내지 C30 아릴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헤테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 알키닐기, R2O-, R3(C=O)- (여기서,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의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의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 내지 C30의 아릴알킬기이다), C1 내지 C10의 글리시독시알킬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상기 화학식 1 내지 3에서,
X1은 C1 내지 C6 알콕시기, 히드록시기, 카르복실기, 할로겐,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상기 화학식 3에서,
Y는 단일결합, 산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사이클로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 헤테로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 알케닐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20 알키닐렌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화학식 4) (화학식 5) (화학식 6) (화학식 7)
Figure 112016075166264-pat00001
Figure 112016075166264-pat00002
Figure 112016075166264-pat00003
Figure 112016075166264-pat00004
(화학식 8) (화학식 9) (화학식 10) (화학식 11) (화학식 12)
Figure 112016075166264-pat00005
Figure 112016075166264-pat00006
Figure 112016075166264-pat00007
Figure 112016075166264-pat00008
Figure 112016075166264-pat00009
상기 화학식 4 내지 7에서,
R은 상기 화학식 1의 R1과 동일하고,
상기 화학식 4 내지 12에서,
R'은 상기 알코올로부터 유래되는 유기기이고,
*는 폴리실록산 공중합체 내 실리콘 원자와 결합하는 부위이다.
(수학식 1)
0.3 < (T0+T1+T2+Q0+Q1+Q2+Q3)/(T3+Q4) < 2.0
상기 수학식 1에서,
T0는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고,
T1은 상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고,
T2은 상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고,
T3은 상기 화학식 7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고,
Q0은 상기 화학식 8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고,
Q1은 상기 화학식 9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고,
Q2은 상기 화학식 10으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고,
Q3은 상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고,
Q4은 상기 화학식 12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다.
상기 화학식 4 내지 화학식 12로 표시되는 구조단위 각각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은 하기 수학식 2를 충족할 수 있다:
(수학식 2)
0.5 ≤ (T0+T1+T2+Q0+Q1+Q2+Q3)/(T3+Q4) ≤ 1.8
상기 수학식 2에서,
T0, T1, T2, T3, Q0, Q1, Q2, Q3, 및 Q4에 대한 정의는 상기 수학식 1에서와 같다.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C1 내지 C6 알킬, 또는 C6 내지 C12 아릴기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3에서, Y는 직쇄 또는 분지된 C1 내지 C12 알킬렌기, 사이클로헥실렌기, 또는 페닐렌기일 수 있다.
상기 알코올은 일가 알코올, 이가 알코올, 또는 3가 이상의 다가 알코올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알코올은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알코올, 지환족기를 포함하는 알코올, 방향족 기를 포함하는 알코올,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알코올은 메틸 알코올, 에틸 알코올, 프로필 알코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부틸 알코올, 벤질 알코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수분해 축중합 반응은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90 중량% 이하와,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50 중량% 이하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20 중량% 이하를 상기 알코올과 함께 가수분해 축합반응시켜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일 구현예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알코올을 가수분해 축중합 반응시키고, 상기 가수분해 축중합 반응으로부터 생성되는 생성물에 퀴논디아지드 화합물, 및 용매를 혼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가수분해 축중합 반응은 얻어지는 생성물 내에 존재하는 하기 화학식 4 내지 12로 표시되는 구조단위 각각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 하기 수학식 1을 충족하도록 수행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1)
(R1)Si(X1)3
(화학식 2)
Si(X1)4
(화학식 3)
(X1)3Si-Y-Si(X1)3
상기 화학식 1에서,
R1 은 수소, 하이드록시, 할로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 내지 C30 아릴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헤테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 알키닐기, R2O-, R3(C=O)- (여기서,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의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의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 내지 C30의 아릴알킬기이다), C1 내지 C10의 글리시독시알킬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상기 화학식 1 내지 3에서,
X1은 C1 내지 C6 알콕시기, 히드록시기, 카르복실기, 할로겐,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상기 화학식 3에서,
Y는 단일결합, 산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사이클로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 헤테로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 알케닐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20 알키닐렌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화학식 4) (화학식 5) (화학식 6) (화학식 7)
Figure 112016075166264-pat00010
Figure 112016075166264-pat00011
Figure 112016075166264-pat00012
Figure 112016075166264-pat00013
(화학식 8) (화학식 9) (화학식 10) (화학식 11) (화학식 12)
Figure 112016075166264-pat00014
Figure 112016075166264-pat00015
Figure 112016075166264-pat00016
Figure 112016075166264-pat00017
Figure 112016075166264-pat00018
상기 화학식 4 내지 7에서,
R은 상기 화학식 1의 R1과 동일하고,
상기 화학식 4 내지 12에서,
R'은 상기 알코올로부터 유래되는 유기기이고,
*는 폴리실록산 공중합체 내 실리콘 원자와 결합하는 부위이다.
(수학식 1)
0.3 < (T0+T1+T2+Q0+Q1+Q2+Q3)/(T3+Q4) < 2.0
상기 수학식 1에서,
T0는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고,
T1은 상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고,
T2은 상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고,
T3은 상기 화학식 7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고,
Q0은 상기 화학식 8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고,
Q1은 상기 화학식 9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고,
Q2은 상기 화학식 10으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고,
Q3은 상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고,
Q4은 상기 화학식 12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다.
상기 화학식 4 내지 12로 표시되는 구조단위 각각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은 하기 수학식 2를 충족할 수 있다:
(수학식 2)
0.5 ≤ (T0+T1+T2+Q0+Q1+Q2+Q3)/(T3+Q4) ≤ 1.8
상기 수학식 2에서,
T0, T1, T2, T3, Q0, Q1, Q2, Q3, 및 Q4에 대한 정의는 상기 수학식 1에서와 같다.
다른 일 구현예는, 일 구현예에 따른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경화하여 얻은 경화막을 제공한다.
상기 경화막은 액정 표시 소자나 유기 EL 표시 소자의 박막 트랜지스터(TFT) 기판용 평탄화 막, 터치 패널 센서 소자의 보호구막 또는 절연막, 반도체 소자의 층간 절연막, 고체 촬상 소자용 평탄화 막,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패턴, 또는 광 반도체 소자의 광 도파로의 코어 또는 클래드재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경화막을 포함하는 소자를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 따른 광감성 수지 조성물은 현상 후 스컴이 발생하지 않고, 고내열성, 고투과성, 저유전율, 및 고해상도를 가지는 경화막을 형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켜 제조되는 경화막은 박막형 트랜지스터(TFT) 기판용 평탄화 막, 반도체 소자의 층간 절연막 등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별도의 정의가 없는 한, '치환된'이란, 화합물 중의 수소 원자가 할로겐 원자(F, Br, Cl, 또는 I), 히드록시기, 알콕시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아미노기, 아지도기, 아미디노기, 히드라지노기, 히드라조노기, 카르보닐기, 카르바밀기, 티올기, 에스테르기, 카르복실기나 그의 염, 술폰산기나 그의 염, 인산이나 그의 염, C1 내지 C20 알킬기, C2 내지 C20 알케닐기, C2 내지 C20 알키닐기, C6 내지 C30 아릴기, C7 내지 C30 아릴알킬기, C1 내지 C30 알콕시기, C1 내지 C20 헤테로알킬기, C3 내지 C20 헤테로아릴알킬기, C3 내지 C30 사이클로알킬기, C3 내지 C15의 사이클로알케닐기, C6 내지 C15 사이클로알키닐기, C3 내지 C30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된 치환기로 치환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별도의 정의가 없는 한, '헤테로'란, N, O, S 및 P에서 선택된 헤테로 원자를 적어도 하나 포함한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조합'이란 혼합 또는 공중합을 의미한다.
이하, 일 구현예에 따른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 구현예에 따른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A)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2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알코올을 가수분해 축합반응시켜 얻어지는 생성물과, (B) 퀴논디아지드 화합물, 및 (C) 용매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가수분해 축합반응시켜 얻어지는 생성물 내에 존재하는 하기 화학식 4 내지 12로 표시되는 구조단위 각각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 하기 수학식 1을 충족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R1)Si(X1)3
(화학식 2)
Si(X1)4
(화학식 3)
(X1)3Si-Y-Si(X1)3
상기 화학식 1에서,
R1 은 수소, 하이드록시, 할로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 내지 C30 아릴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헤테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 알키닐기, RO-, R(C=O)- (여기서, R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의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의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 내지 C30의 아릴알킬기이다), 또는 C1 내지 C10의 글리시독시알킬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상기 화학식 1 내지 3에서,
X1은 C1 내지 C6 알콕시기, 히드록시기, 할로겐, 카르복실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상기 화학식 3에서,
Y는 단일결합, 산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사이클로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 헤테로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 알케닐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20 알키닐렌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화학식 4) (화학식 5) (화학식 6) (화학식 7)
Figure 112016075166264-pat00019
Figure 112016075166264-pat00020
Figure 112016075166264-pat00021
Figure 112016075166264-pat00022
(화학식 8) (화학식 9) (화학식 10) (화학식 11) (화학식 12)
Figure 112016075166264-pat00023
Figure 112016075166264-pat00024
Figure 112016075166264-pat00025
Figure 112016075166264-pat00026
Figure 112016075166264-pat00027
상기 화학식 4 내지 7에서,
R은 상기 화학식 1의 R1과 동일하고,
상기 화학식 4 내지 12에서,
R'은 상기 알코올로부터 유래되는 유기기이고,
*는 폴리실록산 공중합체 내 실리콘 원자와 결합하는 부위이다.
(수학식 1)
0.3 < (T0+T1+T2+Q0+Q1+Q2+Q3)/(T3+Q4) < 2.0
상기 수학식 1에서,
T0는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고,
T1은 상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고,
T2은 상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고,
T3은 상기 화학식 7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고,
Q0은 상기 화학식 8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고,
Q1은 상기 화학식 9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고,
Q2은 상기 화학식 10으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고,
Q3은 상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고,
Q4은 상기 화학식 12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학식 4 내지 화학식 12로 표시되는 구조단위 각각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은 하기 수학식 2를 충족할 수 있다:
(수학식 2)
0.5 ≤ (T0+T1+T2+Q0+Q1+Q2+Q3)/(T3+Q4) ≤ 1.8
상기 수학식 2에서,
T0, T1, T2, T3, Q0, Q1, Q2, Q3, 및 Q4에 대한 정의는 상기 수학식 1에서와 같다.
상기 구현예에 따른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한 실란 화합물과 알코올을 가수분해 축합반응시켜 폴리실록산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반응 생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반응 생성물 내에 상기 화학식 4 내지 화학식 12로 표시한 구조단위들이 각각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 상기 수학식 1을 충족하도록 존재함으로써, 상기 조성물의 노광 후 알칼리 현상액에 대한 가용성을 조절할 수 있고, 따라서, 노광부의 알칼리 용액에 대한 용해도가 우수하여 현상 이물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성분은 노광 후 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 (TMAH) 수용액과 같은 현상액에 가용성이어야 한다. 일 구현예에서는 상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유기 실란 화합물들을 주성분으로 하여 가수분해 축합반응시켜 제조되는 폴리실록산 공중합체를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수지 성분으로서 포함하며, 이 때, 상기 폴리실록산 공중합체에 존재하는 실란올기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가용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높은 반응성을 가진 실란올기는 조성물의 보관 및 현상 과정 중에 추가의 축합 반응을 통해 폴리실록산 공중합체의 분자량을 증가시키고 폴리실록산 공중합체 내 실란올기의 함량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현상은 폴리실록산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현상액에 대한 가용성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에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수지 성분으로서 아크릴기가 포함된 폴리실록산 공중합체를 기반으로 하고, 불포화 카복실산, 에폭시기 함유 불포화 화합물, 올레핀계 불포화 화합물 등을 공중합시킨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들 공중합체에 의한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유기 화합물의 함량이 높아 내열성이 낮아 열 경화시 변색 또는 분해 가스 발생 등의 문제가 존재한다. 또한, 공중합체에 사용되는 아크릴 및 불포화 화합물들은 잠재적 반응성을 가진 반응기들로서, 보관 안정성 측면에서도 불안정한 요인을 다수 포함하고 있다. 특히, 카르복실산의 경우, 폴리실록산 공중합체 조성물에 산도에 의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가용성을 유지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서, 알칼리 현상액에 대한 용해도가 다른 두 종류 이상의 폴리실록산 공중합체를 혼합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예를 들어, 현상액에 불용인 폴리실록산 공중합체와 가용인 폴리실록산 공중합체를 혼합하여 퀴논디아지드 화합물 및 용제와 조합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현상액에 불용인 폴리실록산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경우, 현상 후 녹다만 잔여물이나 녹기 시작한 난용물이 재부착함으로써 현상 패턴의 결함이 발생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폴리실록산 공중합체의 실란올기를 대체하여 현상액에 대한 가용성을 유지하는 또다른 방법으로서, 폴리실록산 공중합체의 작용기 일부를 아실화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아실기를 포함하는 폴리실록산 공중합체는 현상 중 실란올기가 추가 반응하더라도 안정적인 현상액 가용성기를 가짐으로써, 불용층의 생성이나 녹다만 잔여물 등의 문제는 저감된다. 하지만, 이러한 폴리실록산 공중합체의 경화물은 포토레지스트의 박리액과 같은 약액에 대해 내성이 없고, 사용할 수 있는 용도가 한정된다.
본원 발명자들은 현상액에 대한 가용성이 우수한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구현하고자 실란 화합물의 가수분해 축합반응시 알코올을 함께 가수분해 축합반응시킴으로써, 반응 생성물에 상기 알코올로부터 유래하는 유기기가 결합된 실릴 에테르기가 도입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유기 실란 화합물만으로 가수분해 축합반응시키는 경우, 제조되는 폴리실록산 공중합체의 말단이 실란올기를 가짐에 반해, 일 구현예에 따라 알코올을 함께 가수분해 축합반응시키는 경우, 상기 실란올기의 일부가 알코올로부터 유래한 유기기를 가지는 실릴 에테르기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성물의 각 구조단위에 도입되는 실릴 에테르기의 함량이 상기한 수학식 1을 충족하도록 조절함으로써, 노광 후 현상액에 대한 가용성이 우수한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폴리실록산 공중합체의 실란올기 대비 상대적으로 안정한 실릴 에테르기는 시간 경과에 따른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보관 안정성 및 가용성 유지 면에서도 유리하다. 또한, 상기 알코올로부터 유래하는 유기기를 포함하는 실릴 에테르기가 도입된 반응 생성물은 종래의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고, 따라서, 열 경화시의 내열성, 변색, 또는 분해 가스 발생 등의 문제도 경감하는 측면이 있다. 또한, 에테르 작용기의 안정성으로 인해 폴리실록산 공중합체의 카르복실산과 같은 산도에 의한 결함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알코올은,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의 실란 화합물들과 가수분해 축합반응 할 수 있는 알코올이라면 어떤 것이라도 사용 가능하고, 이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상기 알코올은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알코올, 지환족 기를 포함하는 알코올, 방향족 기를 포함하는 알코올,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어떤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코올은 일가 알코올, 이가 알코올, 또는 3가 이상의 다가 알코올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알코올은 메틸 알코올, 에틸 알코올, 프로필 알코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부틸 알코올, 벤질 알코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코올이 이가 알코올 또는 3가 이상의 다가 알코올 중 하나 이상인 경우, 제조되는 폴리실록산 공중합체는 실란올기 외 상기 다이올 또는 트라이올로부터 유래한 추가의 하이드록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의 하이드록시기는 현상액과 추가 반응할 수 있으므로, 현상액에 대한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가용성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가수분해 축중합 반응은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90 중량% 이하와,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50 중량% 이하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20 중량% 이하를 상기 알코올과 함께 가수분해 축합반응시켜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50 중량% 내지 85 중량%, 예를 들어, 55 중량% 내지 80 중량%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5 중량% 내지 50 중량%, 예를 들어, 5 중량% 내지 45 중량%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1 중량% 이상 15 중량% 이하, 예를 들어, 5 중량% 이상 15 중량% 이하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상기 범위로 포함하여 가수분해 축중합 반응시키는 경우, 경화 후 높은 투과도, 높은 내크랙성, 및 높은 표면 경도를 갖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상기 범위로 포함하여 가수분해 축중합 반응시키는 경우, 경화 후 더욱 높은 표면 경도를 갖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상기 범위로 포함하여 가수분해 축중합 반응시키는 경우, 경화시 충분한 가교결합을 통해 치밀한 구조를 포함함으로써, 높은 기계적 강도, 내화학성, 및 높은 잔막률을 가지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가수분해 축중합 반응을 위해 포함하는 알코올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이는 상기 수학식 1을 충족하는 범위에서,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학식 1의 R1은 C1 내지 C6 알킬, 또는 C6 내지 C12 아릴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학식 3의 Y는 직쇄 또는 분지된 C1 내지 C12 알킬렌기, 사이클로헥실렌기, 또는 페닐렌기일 수 있다.
다른 일 구현예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알코올을 가수분해 축중합 반응시키고, 상기 가수분해 축중합 반응으로부터 생성되는 생성물에 퀴논디아지드 화합물, 및 용매를 혼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가수분해 축중합 반응은 얻어지는 생성물 내에 존재하는 하기 화학식 4 내지 12로 표시되는 구조단위 각각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 하기 수학식 1을 충족하도록 수행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1)
(R1)Si(X1)3
(화학식 2)
Si(X1)4
(화학식 3)
(X1)3Si-Y-Si(X1)3
상기 화학식 1에서,
R1 은 수소, 하이드록시, 할로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 내지 C30 아릴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헤테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 알키닐기, R2O-, R3(C=O)- (여기서,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의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의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 내지 C30의 아릴알킬기이다), C1 내지 C10의 글리시독시알킬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상기 화학식 1 내지 3에서,
X1은 C1 내지 C6 알콕시기, 히드록시기, 카르복실기, 할로겐,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상기 화학식 3에서,
Y는 단일결합, 산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사이클로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 헤테로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 알케닐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20 알키닐렌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화학식 4) (화학식 5) (화학식 6) (화학식 7)
Figure 112016075166264-pat00028
Figure 112016075166264-pat00029
Figure 112016075166264-pat00030
Figure 112016075166264-pat00031
(화학식 8) (화학식 9) (화학식 10) (화학식 11) (화학식 12)
Figure 112016075166264-pat00032
Figure 112016075166264-pat00033
Figure 112016075166264-pat00034
Figure 112016075166264-pat00035
Figure 112016075166264-pat00036
상기 화학식 4 내지 7에서,
R은 상기 화학식 1의 R1과 동일하고,
상기 화학식 4 내지 12에서,
R'은 상기 알코올로부터 유래되는 유기기이고,
*는 폴리실록산 공중합체 내 실리콘 원자와 결합하는 부위이다.
(수학식 1)
0.3 < (T0+T1+T2+Q0+Q1+Q2+Q3)/(T3+Q4) < 2.0
상기 수학식 1에서,
T0는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고,
T1은 상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고,
T2은 상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고,
T3은 상기 화학식 7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고,
Q0은 상기 화학식 8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고,
Q1은 상기 화학식 9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고,
Q2은 상기 화학식 10으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고,
Q3은 상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고,
Q4은 상기 화학식 12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다.
상기 화학식 4 내지 12로 표시되는 구조단위 각각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은 하기 수학식 2를 충족할 수 있다:
(수학식 2)
0.5 ≤ (T0+T1+T2+Q0+Q1+Q2+Q3)/(T3+Q4) ≤ 1.8
상기 수학식 2에서,
T0, T1, T2, T3, Q0, Q1, Q2, Q3, 및 Q4에 대한 정의는 상기 수학식 1에서와 같다.
상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상기 알코올을 가수분해 및 축중합시키는 반응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들에게 잘 알려져 있는 실란 화합물의 가수분해 축중합 반응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상기 알코올을 가수분해 축중합 반응을 위한 반응기 내에 함께 첨가하여 가수분해 축중합 반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알코올의 혼합물에 용매, 물, 및 필요에 따라 촉매를 첨가하고, 50℃ 내지 150℃, 예를 들어, 90℃ 내지 130℃의 온도에서 0.5 시간 내지 100 시간 정도 교반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교반 중에, 필요에 따라, 증류에 의해 가수분해 부생성물(메탄올 등의 알코올)이나 축합 부생성물의 증류, 제거를 행할 수도 있다.
상기 반응 용매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통상 상기 구현예에 따른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용매와 동일한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알코올은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의 화합물 및 알코올의 가수분해 축중합 반응 생성물의 각 구조단위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 상기 수학식 1을 충족하도록 가수분해 축중합 반응이 이루어질 수 있는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들이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함량, 반응시간, 및 기타 반응 조건을 고려하여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용매의 첨가량은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알코올의 합계 중량 100 중량부에 대해 10 내지 1,000 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가수분해 반응에 사용하는 물의 첨가량은 가수분해성 작용기 1 몰에 대해 0.5 몰 내지 3 몰 범위로 사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첨가되는 촉매에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산 촉매, 염기 촉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촉매의 첨가량은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알코올의 합계 중량 100 중량부에 대해 0.001 내지 10 중량부, 예를 들어, 0.1 내지 8 중량부의 범위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알코올은 각각 1 종 또는 서로 다른 2 종 이상의 화합물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 서로 다른 2 종 이상의 화합물은 각각에 포함된 치환기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이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폴리실록산 공중합체 내에서 가교제 역할을 하며, 따라서, 상기 구조단위를 포함함으로써 폴리실록산 공중합체의 경도 조절이 용이하여 고경도의 도막을 형성할 수 있고, 고경도의 도막은 고온에서 높은 내크랙성을 가지며, 동시에 유기 용제의 침투 또한 효과적으로 막아줄 수 있다. 따라서, 현상 후 막 두께가 감소되어 평탄한 막을 이루지 못하는 잔막률 문제를 해결하고, 또한 경화 후 내화학성 및 고온 내크랙성, 내에칭성 등이 우수한 유기 절연막을 실현하는 추가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C1 내지 C6 알킬, 또는 C6 내지 C12 아릴기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3에서, Y는 직쇄 또는 분지된 C1 내지 C12 알킬렌기, 사이클로헥실렌기, 또는 페닐렌기일 수 있다.
이하, 상기 구현예에 따른 감광성 수지 조성물 또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서 사용되는 (B) 퀴논디아지드 화합물에 대해 설명한다.
퀴논디아지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노광부가 현상액으로 제거되는 포지티브형을 형성한다. 사용할 수 있는 퀴논디아지드 화합물은,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어, 페놀성 수산기를 가지는 화합물에 나프토퀴논디아지드술폰산이 에스테르 결합한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당해 화합물의 페놀성 수산기의 오르토 위치, 및 파라 위치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하기 화학식 13으로 표시되는 치환기 중 어느 하나인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13)
Figure 112016075166264-pat00037
상기 화학식 13에서,
R12, R13, 및 R14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내지 C10의 알킬기, 카르복실기, 페닐기, 치환된 페닐기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고, 또한, R12, R13, 및 R14는 함께 환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화학식 13으로 표시되는 기의 R12, R13, 및 R14에 있어서, 상기 알킬기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것 중 어떤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알킬기의 구체적인 예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부틸기, n-헥실기, 사이클로헥실기, n-헵틸기, n-옥틸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2-카르복시에틸기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치환된 페닐기는 히드록시기로 치환된 페닐기를 들 수 있다. 또, R12, R13, 및 R14는 함께 환을 형성할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서, 사이클로펜탄환, 사이클로헥산환, 아다만탄환, 플루오렌(fluorene) 환 등을 들 수 있다.
페놀성 수산기의 오르토 위치, 및 파라 위치가, 상기 이외의 기, 예를 들면 메틸기인 경우, 열경화에 의해 산화 분해가 일어나, 퀴노이드 구조로 대표되는 공액계 화합물이 형성되어 경화막이 착색하고 무색 투명성이 저하한다. 이들 퀴논디아지드 화합물은 페놀성 수산기를 가지는 화합물과 나프토퀴논디아지드술폰산 클로라이드와의 공지의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페놀성 수산기를 가지는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이하의 화합물들을 들 수 있다(모두 혼슈 화학공업(주) 제품).
Figure 112016075166264-pat00038
Figure 112016075166264-pat00039
나프토퀴논디아지드술폰산으로는 4-나프토퀴논디아지드술폰산 혹은 5-나프토퀴논디아지드술폰산을 이용할 수 있다. 4-나프토퀴논디아지드술폰 산 에스테르 화합물은 i선(파장 365nm) 영역에서 흡수를 가지기 때문에 i선 노광에 적합하다. 또, 5-나프토퀴논디아지드술폰산 에스테르 화합물은 광범위한 파장 영역에서 흡수가 일어나기 때문에 광범위한 파장에서의 노광에 적합하다. 노광 파장에 따라 4-나프토퀴논디아지드술폰산 에스테르 화합물, 또는 5-나프토퀴논디아지드술폰산 에스테르 화합물을 선택할 수 있다. 4-나프토퀴논디아지드술폰산 에스테르 화합물과 5-나프토퀴논디아지드술폰산 에스테르 화합물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퀴논디아지드 화합물의 첨가량에 특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어, 상기 가수분해 축중합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생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0.1 내지 15 중량부, 예를 들어, 1 내지 10 중량부 사용할 수 있다. 퀴논디아지드 화합물의 첨가량이 0.1 중량부 보다 적은 경우, 노광부와 비노광부와의 용해 콘트라스트가 너무 낮아 현실적으로 감광성을 갖지 않는다. 또한, 더욱 양호한 용해 콘트라스트를 얻기 위해서는 1 중량부 이상이 바람직하다. 퀴논디아지드 화합물의 첨가량이 15 중량부 보다 많은 경우, 실록산 화합물과 퀴논디아지드 화합물과의 상용성이 나빠짐으로써 도포막의 백화가 일어나거나, 열경화시 일어나는 퀴논디아지드 화합물의 분해에 의한 착색이 현저해지므로, 경화막의 무색 투명성이 저하한다. 또, 보다 고투명성의 막을 얻기 위해서는 퀴논디아지드 화합물은 10 중량부 이하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 구현예에 따른 감광성 수지 조성물 또는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서 사용되는 (C) 용매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구현예에서 사용 가능한 용매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알코올성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 및/또는 카르보닐기를 가지는 환상 화합물이 사용된다. 이들 용제를 사용하면, 폴리실록산 공중합체와 퀴논디아지드 화합물이 균일하게 용해하여,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도포 후 성막 시 막의 백탁화가 일어나지 않고 고투명성을 달성할 수 있다.
알코올성 수산기를 가지는 화합물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대기압 하에서 비점이 110℃ 내지 250℃인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비점이 250℃보다 높으면 막 중 잔존 용매량이 많아져 경화 시 막 수축률이 커져 양호한 평탄성을 얻을 수 없게 된다. 비점이 110℃보다 낮으면 도막 시 건조가 너무 빨라 막 표면이 거칠어지는 등 도막성이 나빠진다.
알코올성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아세톨, 3-하이드록시-3-메틸-2-부타논, 4-하이드록시-3-메틸-2-부타논, 5-하이드록시-2-펜타논, 4-하이드록시-4-메틸-2-펜타논(디아세톤알코올), 유산 에틸, 젖산 뷰틸, 프로필렌글리콜 모노 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모노 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모노 n-프로필 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모노 n-부틸 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모노 t-부틸 에테르, 3-메톡시-1-부탄올, 3-메틸-3-메톡시-1-부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이중에서도, 특히 카르보닐기를 가지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특히 디아세톤 알코올이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알코올성 수산기를 가지는 화합물은 단독, 혹은 2 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카르보닐기를 가지는 환상 화합물에 특히 제한은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대기압 하 비점이 150℃ 내지 250℃인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비점이 250℃보다 높으면, 막 중 잔존 용매량이 많아져 경화시 막 수축이 커져 양호한 탄성을 얻을 수 없다. 비점이 150℃보다 낮으면, 도막 시 건조가 너무 빨라 막 표면이 거칠어지는 등 도막성이 나빠진다.
카르보닐기를 가지는 환상 화합물의 구체 예로는, γ-부틸올락톤, γ-발레롤락톤, δ-발레롤락톤, 탄산 프로필렌, N-메틸 피롤리돈, 사이클로헥사논, 사이클로헵타논 등을 들 수 있다. 이중에서도, 특히 γ-부틸올락톤이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카르보닐기를 가지는 환상 화합물은 단독, 혹은 2 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상기한 알코올성 수산기를 가지는 화합물과 카르보닐기를 가지는 환상 화합물은 단독으로, 혹은 서로 혼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그 중량 비율에 특히 제한은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알코올성 수산기를 가지는 화합물과 카르보닐기를 가지는 환상 화합물의 비가 약 99 내지 50:1 내지 50, 또는, 예를 들어, 97 내지 60:3 내지 40이다. 알코올성 수산기를 가지는 화합물이 99 중량% 보다 많은(카르보닐기를 가지는 환상화합물이 1 중량% 보다 적은) 경우, 화학식 1의 실록산 화합물과 퀴논디아지드 화합물의 상용성이 나빠지고, 경화막이 백화하고 투명성이 저하할 수 있다. 또, 알코올성 수산기를 가지는 화합물이 50 중량% 보다 적은(카르보닐기를 가지는 환상 화합물이 50 중량% 보다 많은) 경우, 화학식 1의 실록산 화합물 중의 미반응 실라놀기의 축합 반응이 일어나기 쉬워 저장 안정성이 나빠질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따른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기타 용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기타 용제로는, 초산에틸, 초산 n-프로필, 초산 이소프로필, 초산 n-부틸, 초산 이소부틸, 프로필렌글리콜 모노 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3-메톡시-1-부틸 아세테이트, 3-메틸-3-메톡시-1-부틸 아세테이트 등의 에스테르류, 메틸 이소부틸 케톤, 디이소프로필 케톤, 디이소부틸 케톤, 아세틸아세톤 등의 케톤류, 디에틸 에테르,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디 n-부틸 에테르, 디페닐 에테르 등의 에테르류를 들 수 있다.
용매의 첨가량에 특히 제한은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1의 실록산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 100 내지 1,000 중량부의 범위로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용매는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고형분 함량이 10 내지 50 중량%가 되도록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고형분은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중에서 용매를 제외한 조성 성분을 의미한다.
상기 구현예에 따른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추가의 성분, 예를 들어, 실란계 커플링제, 계면활성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란계 커플링제는 형성되는 경화막과 기판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하는 것으로, 공지의 실란계 커플링제로서 반응성 치환기를 갖는 관능성 실란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반응성 치환기의 예로는 카르복실기, 메타크릴로일기, 이소시아네이트기, 에폭시기 등을 들 수 있다.
실란계 커플링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트리메톡시실릴벤조산,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아세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γ-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β-(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잔막률과 기판과의 접착성 면에서, 에폭시기를 갖는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및(또는)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을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란계 커플링제는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 내 가수분해 축중합 반응 생성물 100 중량부(고형분 함량 기준)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부의 범위, 예를 들어, 0.1 내지 5 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실란계 커플링제의 함량이 0.01 중량부 이상일 때 기판에 대한 접착성이 향상되고, 10 중량부 이하일 때 고온에서 열 안정성이 개선되고, 현상 이후 얼룩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도포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계면활성제로는 불소계 계면활성제,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그 밖의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서, 예를 들면, FZ2122(다우 코닝 도레이사), BM-1000, BM-1100 (BM CHEMIE사 제조), 메가팩 F142 D, 동 F172, 동 F173, 동 F183 (다이 닛뽄 잉크 가가꾸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제조), 플로라드 FC-135, 동 FC-170 C, 동 FC-430, 동 FC-431 (스미또모 쓰리엠 리미티드 제조), 서프론 S-112, 동 S-113, 동 S-131, 동 S-141, 동 S-145, 동 S-382, 동 SC-101, 동 SC-102, 동 SC-103, 동 SC-104, 동 SC-105, 동 SC-106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 가이샤 제조), 에프톱 EF301, 동 303, 동 352 (신아끼다 가세이 가부시키 가이샤 제조), SH-28 PA, SH-190, SH-193, SZ-6032, SF-8428, DC-57, DC-190 (도레이 실리콘 가부시키 가이샤 제조) 등의 불소계 및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옥틸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아릴에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디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디스테아레이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디알킬에스테르류 등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유기실록산 폴리머 KP341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제조), 또는 (메트)아크릴산계 공중합체 폴리플로우 No.57,95 (교에이샤 유지 가가꾸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제조)를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상기 구현예에 따른 가수분해 축중합 반응 생성물 100 중량부(고형분 함량 기준)에 대하여 0.05 내지 10 중량부, 예를 들어, 0.1 내지 5 중량부 범위로 사용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0.05 중량부 이상일 때 도포성이 향상되고 도포된 표면에 크랙이 발생하지 않으며, 10 중량부 이하일 때 가격적 측면에서 유리하다.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외에도, 필요에 따라 열 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또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추가의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현예에 따른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용해 촉진제, 용해 억제제, 경계면 활성제, 안정제, 소포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특히, 용해 촉진제는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용해 촉진제로는, 페놀성 수산기를 가지는 화합물이나, N-하이드록시 디카르복시미드 화합물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구체적인 예로서, 퀴논디아지드 화합물에 이용한 페놀성 수산기를 가지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하, 상기 구현예에 따른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경화막의 형성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구현예에 따른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스피너, 디핑, 슬릿 등의 공지의 방법에 의해서 기초 기판 상에 도포하고, 핫 플레이트, 오븐 등의 가열 장치로 프리베이크 한다. 프리베이크는 50℃ 내지 150℃의 범위에서 30초 내지 30분간 수행하고, 프리베이크 후 막 두께는 0.1 ㎛ 내지 15 ㎛로 할 수 있다.
프리베이크 후, 스테퍼, 미러 프로젝션 마스크 얼라이너(MPA), 패러렐 라이트 마스크 얼라이너(PLA) 등의 자외 가시 노광기를 이용해 200 nm 내지 450 nm의 파장 대에서 10 mJ/㎠ 내지 500 mJ/㎠의 노광량으로 노광을 수행할 수 있다.
노광 후, 현상에 의해 노광부가 용해하고, 포지티브형의 패턴을 얻을 수 있다. 현상 방법으로는, 샤워, 디핑, 패들 등의 방법으로 현상액에 5 초 내지 10 분간 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상액으로는 공지의 알칼리 현상액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알칼리 금속의 수산화물, 탄산염, 인산염, 규산염, 붕산염 등의 무기 알칼리, 2-디에틸 아미노 에탄올, 모노에탄올 아민, 디에탄올 아민 등의 아민류, 수산화 테트라메틸암모늄, 콜린 등의 4 급 암모늄염을 1종 혹은 2 종 이상 포함한 수용액 등을 들 수 있다.
현상 후, 물로 린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필요하면, 핫 플레이트, 오븐 등의 가열 장치로 50℃ 내지 150℃의 범위에서 건조 베이크를 수행할 수도 있다.
그 후, 블리칭 노광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리칭 노광을 수행함으로써, 막 중에 잔존하는 미반응의 퀴논디아지드 화합물이 광 분해하여 막의 광 투명성이 추가로 향상될 수 있다. 블리칭 노광 방법으로서, PLA 등의 자외 가시 노광기를 이용해 100 J/m2 내지 20,000 J/m2 정도(파장 365 nm노광량 환산)를 전면에 노광한다.
블리칭 노광한 막을, 필요하면 핫 플레이트, 오븐 등의 가열 장치로 50℃ 내지 150℃의 범위에서 소프트 베이크를 수행한 후, 핫 플레이트, 오븐 등의 가열 장치로 150℃ 내지 450℃의 범위에서, 예컨대 10 분 내지 5 시간 동안 후경화(post-bake)함으로써 목적하는 경화막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한 경화막은, 상술한 바와 같이, 내열성, 투명성, 및 내유전율성이 높고, 패턴 해상도가 좋다. 따라서, 상기 경화막은 표시 소자, 반도체 소자, 혹은 광도파로재 등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경화막을 포함하는 소자를 제공한다.
상기 소자는 상기 경화막을 TFT 기판의 평탄화 막으로서 포함하는 액정 표시 소자, 유기 EL 소자, 반도체 장치, 고체 촬상 소자 등일 수 있고,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구현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1: 폴리실록산 공중합체의 합성 및 알칼리 현상액에 대한 용해 속도 측정
물, 메탄올, 및 톨루엔을 1:1:2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용매 1kg을 3구 플라스크에 투입한 후, 23℃로 유지하면서 10% HCl 수용액을 10g 첨가한다. 이어서, 페닐트라이메톡시실란 (phenyltrimethoxysilane), 메틸트라이메톡시실란 (methyltrimethoxysilane), 테트라에톡시실란 (tetraethoxysilane), 그리고 비스트리에톡시실릴벤젠 (Bis-(triethoxysilyl)benzene)을 0.40:0.30:0.25:0.05의 몰비로 포함하는 혼합물 5 g을 2 시간에 걸쳐 적하하였다. 적하가 완료된 후, 80℃로 3 시간 가열 환류하면서 축중합 반응을 수행하였다.  이어서, 실온으로 냉각한 후 물 층을 제거하여 톨루엔에 용해된 반응 생성물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얻어진 생성물 용액을 물로 세정하여 반응 부산물인 염소 및 미반응된 알코올 일부를 제거하였다.   수득된 유기층을 감압, 농축함으로써 용매를 제거하고, 농축물에 고형분 농도 40 중량%가 되도록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PGMEA)를 첨가 조정하였다. 수득된 생성물의 분자량(폴리스티렌 환산)을 GPC로 측정한 바, 중량평균분자량 2,350이었다. 상기 생성물을 29Si-NMR 법에 의해 각 구조단위의 피크 면적을 측정하고,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상기 수득된 생성물 용액을 실리콘 웨이퍼에 프리베이크 후의 막 두께가 2㎛가 되도록 스핀 코터에 의해 도포하고, 프리베이크 후 2.38% TMAH 수용액에 대한 용해 속도를 측정한 바, 300Å/초였다.
실시예 2: 폴리실록산의 합성 및 알칼리 현상액에 대한 용해 속도 측정
물, 메탄올, 및 톨루엔을 1:0.5:1.5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용매 1kg을 3구 플라스크에 투입한 후, 23℃로 유지하면서 10% HCl 수용액을 10g 첨가한다. 이어서, 페닐트라이메톡시실란 (phenyltrimethoxysilane), 메틸트라이메톡시실란 (methyltrimethoxysilane), 테트라에톡시실란 (tetraethoxysilane), 및 비스트리에톡시실릴벤젠 (Bis-(triethoxysilyl)benzene)을 0.40:0.30:0.25:0.05의 몰비로 포함하는 혼합물 5 g을 2 시간에 걸쳐 적하하였다. 적하가 완료된 후, 80℃로 3 시간 가열 환류하면서 축중합 반응을 수행하였다.  이어서, 실온으로 냉각한 후 물 층을 제거하여 톨루엔에 용해된 반응 생성물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얻어진 생성물 용액을 물로 세정하여 반응 부산물인 염소 및 및 미반응된 알코올 일부를 제거하였다.   수득된 유기층을 감압, 농축함으로써 용매를 제거하고, 농축물에 고형분 농도 40 중량%가 되도록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PGMEA)를 첨가 조정하였다.
제조된 생성물의 폴리스티렌 환산 중량평균분자량은 2,270이었다. 상기 생성물을 29Si-NMR 법에 의해 각 구조단위의 피크 면적을 측정하고,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수득된 생성물 용액을 실리콘 웨이퍼에 프리베이크 후의 막 두께가 2㎛가 되도록 스핀 코터에 의해 도포하고, 프리베이크 후 2.38% TMAH 수용액에 대한 용해 속도를 측정한 바, 600 Å/초였다.
실시예 3: 폴리실록산의 합성 및 알칼리 현상액에 대한 용해 속도 측정
물, 이소프로판올, 및 톨루엔을 1:1:2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용매 1kg을 3구 플라스크에 투입한 후, 23℃로 유지하면서 10% HCl 수용액을 10g 첨가한다. 이어서, 페닐트라이메톡시실란 (phenyltrimethoxysilane), 메틸트라이메톡시실란 (methyltrimethoxysilane), 테트라에톡시실란 (tetraethoxysilane), 및 그리고 비스트리에톡시실릴벤젠 (Bis-(triethoxysilyl)benzene)을 0.40:0.30:0.25:0.05의 몰비로 포함하는 혼합물 5.5 g을 2 시간에 걸쳐 적하하였다. 적하가 완료된 후, 80℃로 3 시간 가열 환류하면서 축중합 반응을 수행하였다.  이어서, 실온으로 냉각한 후 물 층을 제거하여 톨루엔에 용해된 반응 생성물 용액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생성물 용액을 물로 세정하여 반응 부산물인 염소 및 및 미반응된 아미노 알코올 일부를 제거하였다.   수득된 유기층을 감압, 농축함으로써 용매를 제거하고, 농축물에 고형분 농도 35 중량%가 되도록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PGMEA)를 첨가 조정하였다.
상기 제조된 생성물의 폴리스티렌 환산 중량평균분자량은 1,930이었다. 상기 생성물을 29Si-NMR 법에 의해 각 구조단위의 피크 면적을 측정하고,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상기 수득된 생성물 용액을 실리콘 웨이퍼에 프리베이크 후의 막 두께가 2㎛가 되도록 스핀 코터에 의해 도포하고, 프리베이크 후 2.38% TMAH 수용액에 대한 용해 속도를 측정한 바, 1,200Å/초였다.
실시예 4: 폴리실록산의 합성 및 알칼리 현상액에 대한 용해 속도 측정
물, 이소프로판올, 및 톨루엔을 1:0.5:1.5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용매 1kg을 3구 플라스크에 투입한 후, 23℃로 유지하면서 10% HCl 수용액을 10g 첨가한다. 이어서, 페닐트라이메톡시실란 (phenyltrimethoxysilane), 메틸트라이메톡시실란 (methyltrimethoxysilane), 테트라에톡시실란 (tetraethoxysilane), 및 비스트리에톡시실릴벤젠 (Bis-(triethoxysilyl)benzene)을 0.40:0.30:0.25:0.05의 몰비로 포함하는 혼합물 5 g을 2 시간에 걸쳐 적하하였다. 적하가 완료된 후, 60℃로 6 시간 가열 환류하면서 축중합 반응을 수행하였다.  이어서, 실온으로 냉각한 후 물 층을 제거하여 톨루엔에 용해된 반응 생성물 용액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반응 생성물 용액을 물로 세정하여 반응 부산물인 염소 및 및 미반응된 아미노 알코올 일부를 제거하였다.   수득된 유기층을 감압, 농축함으로써 용매를 제거하고, 농축물에 고형분 농도 40 중량%가 되도록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PGMEA)를 첨가 조정하였다.
상기 제조된 생성물의 폴리스티렌 환산 중량평균분자량은 1,580이었다. 상기 생성물을 29Si-NMR 법에 의해 각 구조단위의 피크 면적을 측정하고,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상기 수득된 생성물 용액을 실리콘 웨이퍼에 프리베이크 후의 막 두께가 2㎛가 되도록 스핀 코터에 의해 도포하고, 프리베이크 후 2.38% TMAH 수용액에 대한 용해 속도를 측정한 바, 6,000Å/초였다.
비교예 1: 폴리실록산의 합성 및 알칼리 현상액에 대한 용해 속도 측정
물과 톨루엔을 1:2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용매 1kg을 3구 플라스크에 투입한 후, 23℃로 유지하면서 10% HCl 수용액을 10g 첨가한다. 이어서, 페닐트라이메톡시실란 (phenyltrimethoxysilane), 메틸트라이메톡시실란 (methyltrimethoxysilane), 및 테트라에톡시실란 (tetraethoxysilane)을 0.65:0.25:0.1의 몰비로 포함하는 혼합물 5 g을 2 시간에 걸쳐 적하하였다. 적하가 완료된 후, 80℃로 3 시간 가열 환류하면서 축중합 반응을 수행하였다.  이어서, 실온으로 냉각한 후 물 층을 제거하여 톨루엔에 용해된 반응 생성물 용액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반응 생성물 용액을 물로 세정하여 반응 부산물인 염소를 제거하였다.   수득된 유기층을 감압, 농축함으로써 용매를 제거하고, 농축물에 고형분 농도 40 중량%가 되도록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PGMEA)를 첨가 조정하였다. 수득된 생성물의 분자량(폴리스티렌 환산)을 GPC로 측정한 바, 중량평균분자량 2,190었다. 상기 생성물을 29Si-NMR 법에 의해 각 구조단위의 피크 면적을 측정하고,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상기 수득된 생성물 용액을 실리콘 웨이퍼에 프리베이크 후의 막 두께가 2㎛가 되도록 스핀 코터에 의해 도포하고, 프리베이크 후 2.38% TMAH 수용액에 침지시켰으나 막이 녹지 않았고, 5% TMAH에 대한 용해 속도를 측정한 바, 1,200Å/초였다.
비교예 2: 폴리실록산의 합성 및 알칼리 현상액에 대한 용해 속도 측정
물과 톨루엔을 1:2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용매 1kg을 3구 플라스크에 투입한 후, 23℃로 유지하면서 10% HCl 수용액을 10g 첨가한다. 이어서, 페닐트라이메톡시실란 (phenyltrimethoxysilane), 메틸트라이메톡시실란 (methyltrimethoxysilane), 및 테트라에톡시실란 (tetraethoxysilane)을 0.45:0.55:0.1의 몰비로 포함하는 혼합물 5 g을 2 시간에 걸쳐 적하하였다. 적하가 완료된 후, 80℃로 3 시간 가열 환류하면서 축중합 반응을 수행하였다.  이어서, 실온으로 냉각한 후 물 층을 제거하여 톨루엔에 용해된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반응 생성물 용액을 물로 세정하여 반응 부산물인 염소를 제거하였다.   수득된 유기층을 감압, 농축함으로써 용매를 제거하고, 농축물에 고형분 농도 40 중량%가 되도록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PGMEA)를 첨가 조정하였다.
제조된 생성물의 폴리스티렌 환산 중량평균분자량은 5,640이었다. 상기 생성물을 29Si-NMR 법에 의해 각 구조단위의 피크 면적을 측정하고,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상기 수득된 생성물 용액을 실리콘 웨이퍼에 프리베이크 후의 막 두께가 2㎛가 되도록 스핀 코터에 의해 도포하고, 프리베이크 후 2.38% TMAH 수용액에 대한 용해 속도를 측정한 바, 10,000Å/초였다.

합성예

(T0~T2+Q0~Q3)/(T3+Q4)
ADR (Å/초)
TMAH
2.38%
1 0.5 300
2 1.2 600
3 1.5 1,200
4 1.8 6,000
비교예1 0.3 -
비교예2 2.0 10,000
이상 실시예와 비교예의 결과로부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알코올을 가수분해 축중합 반응시켜 제조한 생성물 내 화학식 4 내지 화학식 12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들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 상기한 수학식 1을 충족하는 실시예 1 내지 4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이를 경화시켜 2.38% TMAH 수용액으로 현상한 경우 우수한 현상 속도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반면, 상기 수학식 1에 따른 계산 결과가 0.3 인 비교예 1에 따른 생성물을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2.38% TMAH 수용액에 용해되지 않았다. 또한, 상기 수학식 1에 따른 계산 결과가 2.0인 비교예 2에 따른 생성물을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2.38% TMAH 수용액에 대한 용해 속도가 너무 높아 유효한 막을 형성할 수가 없다.
즉,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 실란 화합물의 가수분해 축중합 반응 생성물의 실란올기를 실릴 에테르기로 치환하되, 상기 가수분해 축중합 반응 생성물 내 각 구조단위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 상기 수학식 1을 충족하는 경우, 알칼리 현상액에 대한 우수한 가용성을 가지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2)

  1. (A) 하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1-2로 표시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알코올을 가수분해 축중합 반응시켜 얻어지는 생성물과, (B) 퀴논디아지드 화합물, 및 (C) 용매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가수분해 축중합 반응시켜 얻어지는 생성물 내에 존재하는 하기 화학식 4 내지 화학식 12로 표시되는 구조단위 각각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 하기 수학식 1을 충족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화학식 1-1)
    (R1)Si(X1)3
    (화학식 1-2)
    (R1)Si(X1)3
    (화학식 2)
    Si(X1)4
    (화학식 3)
    (X1)3Si-Y-Si(X1)3
    상기 화학식 1-1에서,
    R1은 수소, 하이드록시, 할로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 내지 C30 아릴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헤테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 알키닐기, RO-, R(C=O)- (여기서, R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의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의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 내지 C30의 아릴알킬기이다), C1 내지 C10의 글리시독시알킬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상기 화학식 1-2에서,
    R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이고,
    상기 화학식 1-1 내지 3에서,
    X1은 C1 내지 C6 알콕시기, 히드록시기, 할로겐, 카르복실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상기 화학식 3에서,
    Y는 단일결합, 산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사이클로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 헤테로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 알케닐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20 알키닐렌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화학식 4) (화학식 5) (화학식 6) (화학식 7)
    Figure 112018066354658-pat00040
    Figure 112018066354658-pat00041
    Figure 112018066354658-pat00042
    Figure 112018066354658-pat00043

    (화학식 8) (화학식 9) (화학식 10) (화학식 11) (화학식 12)
    Figure 112018066354658-pat00044
    Figure 112018066354658-pat00045
    Figure 112018066354658-pat00046
    Figure 112018066354658-pat00047
    Figure 112018066354658-pat00048

    상기 화학식 4 내지 7에서,
    R은 수소, 하이드록시, 할로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 내지 C30 아릴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헤테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 알키닐기, RO-, R(C=O)- (여기서, R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의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의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 내지 C30의 아릴알킬기이다), C1 내지 C10의 글리시독시알킬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상기 화학식 4 내지 12에서,
    R'은 상기 알코올로부터 유래되는 유기기이고,
    *는 폴리실록산 공중합체 내 실리콘 원자와 결합하는 부위이다.
    (수학식 1)
    0.3 < (T0+T1+T2+Q0+Q1+Q2+Q3)/(T3+Q4) < 2.0
    상기 수학식 1에서,
    T0는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고,
    T1은 상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고,
    T2은 상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고,
    T3은 상기 화학식 7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고,
    Q0은 상기 화학식 8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고,
    Q1은 상기 화학식 9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고,
    Q2은 상기 화학식 10으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고,
    Q3은 상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고,
    Q4은 상기 화학식 12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다.
  2. 제1항에서, 상기 화학식 4 내지 화학식 12로 표시되는 구조단위 각각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은 하기 수학식 2를 충족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수학식 2)
    0.5 ≤ (T0+T1+T2+Q0+Q1+Q2+Q3)/(T3+Q4) ≤ 1.8
    상기 수학식 2에서,
    T0, T1, T2, T3, Q0, Q1, Q2, Q3, 및 Q4에 대한 정의는 제1항의 상기 수학식 1에 대한 정의한 바와 같다.
  3. 제1항에서, 상기 화학식 1-1의 R1은 C1 내지 C6 알킬이고, 상기 화학식 1-2의 R1은 C6 내지 C12 아릴기인 감광성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서, 상기 화학식 3의 Y는 직쇄 또는 분지된 C1 내지 C12 알킬렌기, 사이클로헥실렌기, 또는 페닐렌기인 감광성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서, 상기 알코올은 일가 알코올, 이가 알코올, 또는 3가 이상의 다가 알코올 중 하나 이상인 감광성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서, 상기 알코올은 벤질 알코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서, 가수분해 축중합 반응은 상기 화학식 1-1 내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화학식 1-1 및 1-2로 표시되는 화합물 90 중량% 이하와,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50 중량% 이하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20 중량% 이하를 상기 알코올과 함께 가수분해 축중합 반응시켜 수행되는 것인 감광성 수지 조성물.
  8. 하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1-2로 표시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알코올을 가수분해 축중합 반응시키고, 상기 가수분해 축중합 반응으로부터 생성되는 생성물에 퀴논디아지드 화합물, 및 용매를 혼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가수분해 축중합 반응은 얻어지는 생성물 내에 존재하는 하기 화학식 4 내지 12로 표시되는 구조단위 각각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 하기 수학식 1을 충족하도록 수행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화학식 1-1)
    (R1)Si(X1)3
    (화학식 1-2)
    (R1)Si(X1)3
    (화학식 2)
    Si(X1)4
    (화학식 3)
    (X1)3Si-Y-Si(X1)3
    상기 화학식 1-1에서,
    R1은 수소, 하이드록시, 할로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 내지 C30 아릴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헤테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 알키닐기, R2O-, R3(C=O)- (여기서,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의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의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 내지 C30의 아릴알킬기이다), C1 내지 C10의 글리시독시알킬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상기 화학식 1-2에서,
    R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이고,
    상기 화학식 1-1 내지 3에서,
    X1은 C1 내지 C6 알콕시기, 히드록시기, 카르복실기, 할로겐,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상기 화학식 3에서,
    Y는 단일결합, 산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사이클로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 헤테로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 알케닐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20 알키닐렌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화학식 4) (화학식 5) (화학식 6) (화학식 7)
    Figure 112018066354658-pat00049
    Figure 112018066354658-pat00050
    Figure 112018066354658-pat00051
    Figure 112018066354658-pat00052

    (화학식 8) (화학식 9) (화학식 10) (화학식 11) (화학식 12)
    Figure 112018066354658-pat00053
    Figure 112018066354658-pat00054
    Figure 112018066354658-pat00055
    Figure 112018066354658-pat00056
    Figure 112018066354658-pat00057

    상기 화학식 4 내지 7에서,
    R은 수소, 하이드록시, 할로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 내지 C30 아릴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헤테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 알키닐기, RO-, R(C=O)- (여기서, R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의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의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 내지 C30의 아릴알킬기이다), C1 내지 C10의 글리시독시알킬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상기 화학식 4 내지 12에서,
    R'은 상기 알코올로부터 유래되는 유기기이고,
    *는 폴리실록산 공중합체 내 실리콘 원자와 결합하는 부위이다.
    (수학식 1)
    0.3 < (T0+T1+T2+Q0+Q1+Q2+Q3)/(T3+Q4) < 2.0
    상기 수학식 1에서,
    T0는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고,
    T1은 상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고,
    T2은 상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고,
    T3은 상기 화학식 7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고,
    Q0은 상기 화학식 8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고,
    Q1은 상기 화학식 9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고,
    Q2은 상기 화학식 10으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고,
    Q3은 상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고,
    Q4은 상기 화학식 12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이다.
  9. 제8항에서, 상기 화학식 4 내지 화학식 12로 표시되는 구조단위 각각의 29Si-NMR 법에 의해 측정되는 피크 면적은 하기 수학식 2를 충족하는 것이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수학식 2)
    0.5 ≤ (T0+T1+T2+Q0+Q1+Q2+Q3)/(T3+Q4) ≤ 1.8
    상기 수학식 2에서,
    T0, T1, T2, T3, Q0, Q1, Q2, Q3, 및 Q4에 대한 정의는 제8항의 상기 수학식 1에 대한 정의와 같다.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경화하여 얻은 경화막.
  11. 제10항에서, 상기 경화막은 액정 표시 소자나 유기 EL 표시 소자의 박막 트랜지스터(TFT) 기판용 평탄화 막, 터치 패널 센서 소자의 보호구막 또는 절연막, 반도체 소자의 층간 절연막, 고체 촬상 소자용 평탄화 막,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패턴, 또는 광 반도체 소자의 광 도파로의 코어 또는 클래드재인 경화막.
  12. 제10항에 따른 경화막을 포함하는 소자.
KR1020160098458A 2016-08-02 2016-08-02 감광성 수지 조성물, 그로부터 형성된 경화막, 및 경화막을 갖는 소자 KR101930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458A KR101930367B1 (ko) 2016-08-02 2016-08-02 감광성 수지 조성물, 그로부터 형성된 경화막, 및 경화막을 갖는 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458A KR101930367B1 (ko) 2016-08-02 2016-08-02 감광성 수지 조성물, 그로부터 형성된 경화막, 및 경화막을 갖는 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4961A KR20180014961A (ko) 2018-02-12
KR101930367B1 true KR101930367B1 (ko) 2018-12-18

Family

ID=61225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8458A KR101930367B1 (ko) 2016-08-02 2016-08-02 감광성 수지 조성물, 그로부터 형성된 경화막, 및 경화막을 갖는 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03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7332A1 (ko) * 2021-02-18 2022-08-25 (주)휴넷플러스 유기금속 화합물 및 폴리실록산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감광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4805A (ja) * 2008-02-27 2009-09-10 Nippon Zeon Co Ltd 感光性樹脂組成物、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部品
JP2010282031A (ja) * 2009-05-01 2010-12-16 Jsr Corp ネガ型感放射線性組成物、硬化パターン形成方法及び硬化パターン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26632B2 (ja) * 2011-05-19 2015-06-03 メルクパフォーマンスマテリアルズIp合同会社 感光性シロキサン樹脂組成物
KR101631075B1 (ko) * 2014-06-12 2016-06-16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실록산 폴리머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4805A (ja) * 2008-02-27 2009-09-10 Nippon Zeon Co Ltd 感光性樹脂組成物、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部品
JP2010282031A (ja) * 2009-05-01 2010-12-16 Jsr Corp ネガ型感放射線性組成物、硬化パターン形成方法及び硬化パター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4961A (ko) 2018-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9260B1 (ko) 포지티브형 감광성 실록산 조성물
US8993214B2 (en) Positive photosensitive siloxane composition
KR20150087392A (ko) 포지티브형 감광성 실록산 조성물
KR20140104355A (ko) 네거티브형 감광성 실록산 조성물
JP6272753B2 (ja) ネガ型感光性シロキサン組成物
WO2013151166A1 (ja) ネガ型感光性シロキサン組成物
KR20200060466A (ko) 포지티브형 감광성 실록산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는 경화 막
KR101920642B1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그로부터 형성된 경화막, 및 경화막을 갖는 소자
KR101930367B1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그로부터 형성된 경화막, 및 경화막을 갖는 소자
KR101921143B1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그로부터 형성된 경화막, 및 경화막을 갖는 소자
KR101862710B1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그로부터 형성된 경화막, 및 경화막을 갖는 소자
KR101857145B1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그로부터 형성된 경화막, 및 경화막을 갖는 소자
JP6826193B2 (ja) 感光性樹脂組成物、それから形成された硬化膜、および前記硬化膜を有する電子装置
KR20170069914A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그로부터 형성된 경화막, 및 경화막을 갖는 소자
KR101857144B1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그로부터 형성된 경화막, 및 경화막을 갖는 소자
KR101968223B1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그로부터 형성된 경화막, 및 경화막을 갖는 소자
KR101988996B1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그로부터 형성된 경화막, 및 상기 경화막을 갖는 전자 장치
KR101906281B1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그로부터 형성된 경화막, 및 경화막을 갖는 소자
KR101852458B1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그로부터 형성된 경화막, 및 경화막을 갖는 소자
KR101850888B1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그로부터 형성된 경화막, 및 경화막을 갖는 소자
KR102028642B1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그로부터 형성된 경화막, 및 경화막을 갖는 전자 장치
KR102042190B1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그로부터 형성된 경화막, 및 경화막을 갖는 전자 소자
KR20170012923A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그로부터 형성된 경화막, 및 경화막을 갖는 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