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0039B1 -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피부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피부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0039B1
KR101930039B1 KR1020170169452A KR20170169452A KR101930039B1 KR 101930039 B1 KR101930039 B1 KR 101930039B1 KR 1020170169452 A KR1020170169452 A KR 1020170169452A KR 20170169452 A KR20170169452 A KR 20170169452A KR 101930039 B1 KR101930039 B1 KR 101930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present
wart
warts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9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완영
한연희
서기성
손근영
손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드내추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드내추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드내추럴
Priority to KR1020170169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00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0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0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61K36/8994Coix (Job's t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61K36/076Po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1Amaranthaceae (Amaranth family), e.g. pigweed, rockwort or globe amaran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2Keratolytics, e.g. wart or anti-corn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유도종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피부질환의 치료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이인, 마치현, 화피 및 백봉령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유두종으로 인한 피부질환의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물에 유래한 것으로 안전하면서도 부작용이 없고 치료활성이 높은 것을 임상학적으로 확인하여 치료용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Description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피부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dermal diseases caused by human papilloma viruses}
본 발명은 인유도종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피부질환의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이인, 마치현, 화피 및 백봉령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유두종으로 인한 피부질환의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유두종 바이러스(Human papilloma virus; HPV)는 파필로마바이러스과(Papillomvirus family)에 속하는 이중 나선상 DNA 바이러스이다. 현재까지 알려진 100여 종의 인유두종 바이러스가 있으며, 이 중 고위험군(high-risk group)인 발암성 인유두종 바이러스는 자궁경부암과 연관성이 높다고 알려져 있으며, 저위험군(low risk group) 바이러스는 자궁경부의 양성 병리적 변화인 사마귀 또는 곤지름(성병성 사마귀) 등에서 발견되고 있다. 특히, 이중 사마귀(wart)는 피부 또는 점막에 사람 유두종 바이러스의 감염이 발생하여 표피의 과다한 증식이 초래되는 질환으로 임상적으로는 표면이 오돌도돌한 구진(1cm 미만 크기로 피부가 솟아오른 것)으로 나타난다. 어느 부위의 피부에나 발생할 수 있으나 노출 부위인 손, 발, 다리, 얼굴 등에 주로 발생하고, 성 접촉을 통해 성기에도 발생할 수 있다.
사마귀는 인유두종 바이러스의 감염으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감염되는 바이러스에 따라서 다른 부위에 다른 모양으로 발생할 수 있다. 바이러스 타입에 따라서 다음 표 1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사마귀의 종류 바이러스형
심상성 사마귀 HPV 2, 4, 27, 29 type
수장족저 사마귀 HPV 1 type
편평사마귀 HPV 3, 10, 28, 49 type
물사마귀 Molluscum Contagiosum
곤지름 HPV 6, 11, 16, 18, 31 type
하지만 누구에게나 사마귀 바이러스가 감염되는 것은 아니고, 일반적으로 환경과 음식 및 유전적 소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병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사마귀 바이러스가 정상적인 표피세포에 이물감을 느끼게할 수 있는 조직변형을 가하거나, 그로 인해서 통증을 느끼고, 미용상 안좋은 상태로의 변형을 꾀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정상적인 학업 및 사회활동의 제약이 있을 수 있다. 물사마귀의 경우 유소아에서 많이 나타나기 때문에 또래 친구들에게 전염시킬 수 있는 위험성도 매우 높다.
사마귀의 치료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사마귀의 위치, 크기, 숫자, 환자의 나이, 면역 상태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각질 용해제나 살리실산과 5-플루오로우라실(5-FU)의 혼합물을 바르는 방법이 보통 가장 먼저 시도되는 방법이다. 냉동치료는 가장 흔하게 사용되며 냉동스프레이나 면봉을 이용하여 사마귀와 주위 정상조직 일부가 하얗게 될 때까지 액체 질소를 분사한 후 해동될 때까지 천천히 방치하는 과정을 수차례 반복한다. 전기 소작법과 레이저도 흔히 사용되는 간편한 방법이나 흉터를 남길 수 있고 재발률이 높은 것이 단점이다. 포도필린을 바르는 것이 뾰족 콘딜로마에는 효과가 있지만 크기가 크거나 점막이 맞닿는 입, 질 및 항문 안의 병변과 임산부, 유아에서는 사용이 금기이다.
병변이 아주 크거나 여러 부위에 다발성으로 나타나거나 다른 치료에 반응을 잘 하지 않는 경우에는 면역요법을 사용해 볼 수 있다. 이 밖에 난치성 사마귀의 치료를 위하여 블레오마이신의 항암제를 직접 병변 내에 주입하는 방법이 있다. 병변이 아주 광범위한 경우 레티노이드의 항생제를 복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는 모두 눈에 보이는 사마귀만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사마귀에 대한 근본적인 치료는 어렵다. 게다가 냉동치료의 경우 정상 조직마저도 제거하기 때문에 시술후에 출혈과 통증이 심할 수 있는 큰 단점이 있다. 이 모든 방법들이 일시적으로 증상의 개선을 엿볼 수는 있으나 근본적인 치료가 되기는 어렵고 호전악화를 반복하면서 낫지 않는 경우가 매우 많아지고 있다.
최근에는 사마귀 환자 중 상당수가 이러한 약물치료에 따른 부작용의 위험을 피하고자 안전하면서도 약효가 뛰어난 천연물 유래 약물을 이용한 다양한 치료방법이 시도되고 있으나 그 효과가 임상적으로 명확히 규명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 유래의 안전하면서도 인유두종으로 인한 야기되는 피부질환, 특히 다양한 종류의 사마귀 질환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조성물을 개발하고 이로 이용하여 유소아나 난치성 성인등 다양한 환자군에 대하여 탁월한 임상적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새로운 인유두종 바이러스의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의이인, 마치현, 화피 및 백봉령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유두종으로 인한 피부질환의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이인, 마치현, 화피 및 백봉령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이인, 마치현, 화피 및 백봉령의 혼합추출물을 다양한 종류의 사마귀 질환의 환자에 투여한 결과 다양한 사마귀 즉, 심상성 사마귀, 수장족저 사마귀, 편평 사마귀, 곤지름 및 물사마귀 등의 대부분 환자에서 탁월한 치료효과를 보였으며 일부는 완전하게 치료되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물에 유래한 것으로 안전하면서도 부작용이 없고 치료활성이 높은 새로운 피부질환의 치료용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심상성 사마귀 환자에게 실시예 1의 조성물을 6개월 동안 투여하기 전과 후의 사진을 보여주는 것이다.((A): 투여 전, (B): 투여 후)
도 2는 심상성 사마귀 환자에게 실시예 2의 조성물을 6개월 동안 투여하기 전과 후의 사진을 보여주는 것이다.((A): 투여 전, (B): 투여 후)
도 3은 심상성 사마귀 환자에게 실시예 4의 조성물을 6개월 동안 투여하기 전과 후의 사진을 보여주는 것이다.((A): 투여 전, (B): 투여 후)
도 4은 수장족저 사마귀 환자에게 실시예 2의 조성물을 6개월 동안 투여하기 전과 후의 사진을 보여주는 것이다.((A): 투여 전, (B): 투여 후)
도 5은 수장족저 사마귀 환자에게 실시예 4의 조성물을 6개월 동안 투여하기 전과 후의 사진을 보여주는 것이다.((A): 투여 전, (B): 투여 후)
도 6은 편평 사마귀 환자에게 실시예 1의 조성물을 5개월 동안 투여하기 전과 후의 사진을 보여주는 것이다.((A): 투여 전, (B): 투여 후)
도 7은 물 사마귀 환자에게 실시예 4의 조성물을 5개월 동안 투여하기 전과 후의 사진을 보여주는 것이다.((A): 투여 전, (B): 투여 후)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의이인, 마치현, 화피 및 백봉령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유두종으로 인한 피부질환의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서 상기 의이인, 마치현, 화피 및 백봉령은 건조중량비로 2:1:1:1로 혼합되어 추출될 수 있다. 또한 일 구현예에서는 상기 혼합물에 하고초, 감초, 우방자, 형개, 방풍, 시호, 강활, 독활, 지각, 천궁 및 박하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약재가 추가될 수 있으며, 상기 추가되는 약재는 의이인의 건조중량비에 대하여 0.2 내지 5의 비율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구현 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의이인, 마치현, 화피, 백복령 및 하고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구현 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의이인, 마치현, 화피 , 백복령 및 감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구현 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의이인, 마치현, 화피, 백복령 및 우방자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구현 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의이인, 마치현, 화피, 백복령 및 형개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구현 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의이인, 마치현, 화피, 백복령 추출물 및 방풍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구현 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의이인, 마치현, 화피, 백복령 및 시호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구현 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의이인, 마치현, 화피, 백복령 및 강활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구현 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의이인, 마치현, 화피, 백복령 및 독활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구현 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의이인, 마치현, 화피, 백복령 및 지각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구현 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의이인, 마치현, 화피, 백복령 및 천궁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구현 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의이인, 마치현, 화피, 백복령 및 박하을 포함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조합으로 한정할 것은 아니고, 의이인, 마치현, 화피 및 백복령을 필수성분으로 하여 하고초, 감초, 우방자, 형개, 방풍, 시호, 강활, 독활, 지각, 천궁 및 박하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2종 이상의 약재를 더 포함하도록 조성할 수 있다. 일 구현 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의이인, 마치현, 화피, 백복령, 하고초, 감초, 우방자, 형개, 방풍, 시호, 강활, 독활, 지각, 천궁 및 박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의이인, 마치현, 화피 및 백복령의 혼합 추출물에 추가로 첨가되는 약재 추출물의 중량은 건조 중량비로 의이인이 2 일때 각각 1로 포함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건조 중량비로 의이인: 마치현: 화피: 백복령: 하고초: 감초: 우방자: 형개: 방풍: 시호: 강활: 독활: 지각: 천궁: 박하이 2: 0.2 ~ 5: 0.2~ 5: 0.2 ~ 5: 0.2 ~ 5: 0.2 ~ 5: 0.2 ~ 5: 0.2 ~ 5: 0.2 ~ 5: 0.2 ~ 5: 0.2 ~ 5: 0.2 ~ 5: 0.2 ~ 5: 0.2 ~ 5: 0.2 ~ 5: 0.2 ~ 5가 되도록 조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 1: 1: 1: 0.2 ~ 5: 0.2 ~ 5: 0.2 ~ 5: 0.2 ~ 5: 0.2 ~ 5: 0.2 ~ 5: 0.2 ~ 5: 0.2 ~ 5: 0.2 ~ 5: 0.2 ~ 5: 0.2 ~ 5: 0.2 ~ 5가 되도록 조성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서는 상기 피부질환은 사마귀일 수 있으며, 사마귀는 심상성 사마귀, 수장족저 사마귀, 편평 사마귀, 곤지름 및 물사마귀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형 예에서, 상기 추출물은 혼합물의 총 건조중량에 대하여 1 내지 50배의 중량의 물을 가하고 50 내지 130 ℃의 추출온도에서 2 내지 10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여 얻어 질 수 있다.
"의이인(Coicis semen)"은 건비삼습(健脾渗濕), 제비지사(除痺止瀉) 및 청열배농(淸熱排膿)의 효능이 있으며, 주로 전분, 지질, 코익솔, 스테롤, 아미노산, 비타민 B1 및 코익세놀리드 (Coixenolide)가 함유되어 있다. 벼과의 한해살이 초본으로 재배하며 율무, 해려, 옥담, 기실 및 공미라고도 한다.
"마치현(Portulaca oleracea L. (family : Portulacaceae)"은 1년생 초본으로서 오행초, 쇠비름, 장명채, 마치채 등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주로 길가나 텃밭 등에서 5-9월에 걸쳐 주로 자생하며 줄기의 높이가 약 15~30cm내외로 털이 없으며, 줄기는 갈적색이고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땅위로 비스듬히 퍼지면서 자라는 식물이다. 마치현은 양념 등으로 버무려 먹기도 하고 '본초강목'과 '동의보감' 등에는 쇠비름을 충독 및 사독 등의 해독제로도 사용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화피"는 자작나무의 (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Asian White Birch, AWB) 껍질을 의미한다. 자작나무는 깊은 산 양지쪽에서 잘 자라며, 높이 20m에 달하고 나무껍질은 흰색이며 옆으로 얇게 벗겨진다. 통상 자작나무의 수액은 건위, 이뇨, 식욕촉진, 신경안정, 위장병 및 여성 산후증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민간요법으로 널리 이용되어 왔다. 자작나무 껍질 즉, 화피는 맛이 쓰고 성질이 차다. 간경에 작용하며 열을 내리고 습을 없애며 기침을 멈추고 담을 삭이는 작용이 있다.
"백복령(Poria cocas Wolf)"은 적송의 뿌리에 기생하고 적복령은 곰솔 뿌리에 기생한다. 그리고 솔뿌리를 둘러싼 것을 복신이라고 한다. 맛은 달고 심심하며 성질이 평(平)하여 보(補)하는 작용이 있고 이뇨작용을 하지만 강하지 않다. 옛날부터 강장제로 사용되었다.
"하고초"는 꿀풀이라고도 불리며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한국과 만주 등지에 자생하며, 다년생 초본으로 높이 20~30cm로 산야지 및 길가풀밭에서 자란다. 원줄기는 네모지고 전체에 백색털이 있고 꽃은 자주색으로 꽃이 밀착한다. 잎은 마주보며 장원형으로 가는 톱니가 있다. 꿀풀의 꽃이나 전초를 건조한 것을 한약으로 사용한다. 성분은 트리테르페노이드(triterpenoid), 올레아노릭산(oleanolic acid), 우르소릭산(ursolic acid), 루틴(rutin), 하이페로시드(hyperoside), 카페익산(caffeic acid) 등이 함유되어 있다.
"감초(甘草, Glycyrrhiza Radix)"는 다년생 초본으로 약용식물의 뿌리를 이용한다. 감초의 유효 성분으로 기퀴리친, 글루쿠로닉산, 글리씰하이직산, 글리씰하이진 등을 함유하고 있고, 일반 약리작용으로 진해 거담작용, 항알러지 작용, NK 세포 활성화 작용, 항염작용, 항궤양 작용이 있으며, 모든 약의 독을 풀어 중화 및 완화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방자(Arctii fructus)"는 국화과(Asteraceae)에 속한 2년생 초본인 우엉(Arctium lappa L.)의 성숙한 씨앗으로 한국, 일본과 중국 등지에서 자생하고 있으며,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차가우며 폐와 위에 작용한다. 우엉의 종자(seeds), 잎(leaves), 뿌리(roots)에 존재하는 활성성분의 대부분은 배당체(glycosides) 형태의 악틴(arctiin)과 폴리페놀류의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과 카페익산(caffeic acid) 또는 그의 유도체로 존재하고 있으며, 우방자 성분은 리그난(lignan)으로서 대부분이 악틴(arctiin, 15-20%)을 함유하고 있는데, 가수분해에 의해서 미량의 악티게닌(arctigenin)을 생성하며, 폴리페놀(polyphenol) 성분의 클로로겐산(chlorogenicacid)과 지방유(palmitic acid, fatty acid) 등이 함유되어 있다.
"형개(Schizonepetae Spica)"는 꿀풀과의 1년초로 성미는 성온(性溫) 무독(無毒)하고 신미(辛味)하다고 알려져 있다. 주성분은 정유성분으로 d-멘톤(d-menthone), d1-멘톤(dl-menthone)과 소량의 d-리모넨(dlimonene)이 있으며, 그 밖에 헤페리딘(heperidine), 우르솔산(ursolic acid), 루테올린(luteolin), 다우세스테롤(daucesterol) 등이 보고되었다(Zhang YH, et al., Zhongguo Zhong Yao Za Zhi., 31(15), pp1247-57, 2006).
"방풍(Saposhnikovia divaricata, S. divaricata)"은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세해살이풀로, 중국 북동부, 화베이 및 내몽골이 원산이며 약료 작물로 재배한다. 방풍은 주성분으로 쿠마린(coumarin)계 물질인 임페라토린(imperatorin), 소라렌(psoralen) 및 베르갑텐(bergapten) 등이 알려져 있으며, 봄과 가을에 꽃대가 나오지 않는 것의 뿌리를 채취하여 건조시킨 후에 한약재로 사용하고 있다.
"시호(Bupleurum falcatum L.)"는 미나리과에 속하며, 기를 위로 끌어 올려주고 간의 기가 뭉쳐진 것을 풀어주는 작용으로 소양경에 나쁜 기운이 있는 것을 풀어 주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강활(Notopterygium incisum, N. incisum)"은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이고, 한국(경북, 강원, 경기, 평북 및 함경) 및 중국 북동부 등지의 산골짜기 계곡에 분포한다. 강활의 성분으로는 코레아닌(Koreanin), 안젤리코레아놀(Angelikoreanol) 및 이소임페라토린(iso-imperatorin) 등이 알려져 있으며, 민간에서는 마비된 것을 풀고 뼈가 쑤시고 아픈데 쓰며, 한의학에서는 그 뿌리를 감기, 두통, 신경통, 류머티즘, 관절염 및 중풍 등에 처방한다.
"독활(Aralia cordata Thunb)"은 독활의 뿌리줄기 및 뿌리로서, 신선한 뿌리에는 정유 (essential oil) 0.07%가 함유되어 있고 정유 중에는 리모넨(limonen), 사비넨 (sabinene), 알파-피넨 (a-pinene), 감마-테르피넨 (γ-terpinene), 미르센 (myrcene), 후물렌(humulene, a-caryophyllene), 시스 (cis) 및 트랜스 (trans) 포수 사비넨, 알파 코패인 (a-copaene), 테르피넨-4-올(terpenene-4-ol)이 함유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과거로부터 독활의 뿌리는 거풍, 화혈, 감기, 두통, 류머티즘 신경통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가 있다 (정보섭 및 신민교 저, 도해향약대사전, 영림사, pp860-862, 1998).
"지각(Poncirus trifoliata)"은 탱자의 성숙한 과실로서, 점액질, 휘발성정유 등을 포함하고 있고 약간 차가운 성질을 지니고 있으며, 쓰고 약간 신맛이 있다. 초록색을 띠는 탱자의 미성숙 과실인 지실보다 작용이 완만하고 기울체(기가 퍼지지 못하고 한 곳에 머물러 있는 것)로 인해 배가 더부룩할 때, 위염으로 소화가 안되어 통증을 호소할 때 쓴다. 또한, 기침을 멎게 하고 수종(水腫)과 담음(痰飮), 옆구리 통증, 흉격 부위에 막힌 기운을 없애준다.
"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은 미나리과(Umbellifer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중국이 원산지로써 중국, 한국, 일본 등지에서 재배되고 있다. 한방에서는 그 뿌리줄기를 풍냉으로 인한 두통, 동통, 빈혈, 월경불순, 불임 등과 같은 부인과질환의 치료에 이용하고 있다(Lee et al., 2002). 천궁의 생리적작용으로는 항산화(Lee et al., 2002) 및 소염·진통작용(Cho et al., 1996) 그리고 혈소판응집 억제 활성(Zhang L et al.,2009) 등의 보고가 있다
"박하(Mentha arvensis L. var. piperascens MALINV.)"는 박하의 전초 또는 잎으로서, 멘톨, 이소멘톤, 네오멘톨, 피넨, 캄펜, L-리모넨 등과 고비점 성분으로서 감마-헥세놀페닐아세테이트를 함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박하유의 주성분인 멘톨은 도포제, 진통제, 흥분제, 또는 건위제 등으로 약용되며 치약, 사탕, 잼, 화장품, 담배 등에 향료나 청량제로서 사용된다.
"심상성 사마귀(verruca vulgaris)"는 HPV 2, 4, 27, 29형에 의해 주로 발생되는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임상형이다. 임상적으로 심상성 사마귀는 주변과 경계가 명확히 구분되는 각질성 구진, 판, 또는 결절의 형태로 나타난다. 병변의 표면을 벗겨보면 혈전모세혈관고리(thrombosed capillary loop)가 까만점으로 나타나는 것이 관찰된다. 주로 소아의 손등이나 손톱 주위에 호발하며, 입술, 혀, 귀, 코, 후두에도 발생할 수 있다.
"수장족저 사마귀(verruca plamris, verruca plantaris)"는 발바닥, 손바닥에 생기는 사마귀로 주로 HPV 1에 의해 발생한다. 발바닥에 생긴 경우, 심부에 위치한 각질성 구진이나 결절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병변이 융기되어 있지 않다. 각질이 심할 경우, 병변이 창백하거나 황색으로 보이기도 하며, 통증을 유발하기도 한다. 중앙에 큰 병변이 있고 주변의 작은 병변들에 의하여 둘러싸이기도 하며, 이들이 융합되어 커다란 판을 이루기도 하는데 이를 모자이크 사마귀라 한다. 병변의 각질층을 깎아내면 혈전모세혈관고리(thrombosed capillary loop)가 검은점으로 관찰되는데 이는 티눈, 굳은살과 감별점이 된다.
"편평사마귀(verruca plna, Plane warts)"는 juvenile warts라고도 하며 원인 바이러스는 HPV 3, 10, 28, 49이다. 일반적으로 크기는 직경 2~5mm 정도이며, 약간 융기된 편평한 표면의 피부색 혹은 옅은 갈색의 구진이 특징이다. 호발 부위는 안면과 사지이며 대개 다발성으로 발생한다. 피부가 손상을 받은 부위에 선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흔하며, 이러한 소견이 진단에 도움이 된다.
"곤지름(Condyloma accuminatum, Genital warts)"은 HPV 6, 11, 16, 18, 31 등의 여러 가지 유형에 의하여 발생한다. 호발 부위는 남성의 경우, 성기와 항문 주위에, 여성은 외음부, 자궁경부, 회음부 및 항문에 잘 발생한다. 처음 발생시의 구진이 시간이 경과되면서 양배추꽃 모양이 되기도 한다. 전염력은 강한 편으로 한번의 성접촉으로 50%가 감염된다.
"물사마귀"는 전염성 연속종(Molluscum contagiosum, MC)이라고도 하며 살갗이나 가끔은 점막에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감염이다. 몰루스쿰 콘타기오숨 바이러스(MCV)라는 DNA 폭스바이러스과에 의해 발병한다. 피진(皮疹)은 반구상으로 융기되어 지름이 수mm에서 진주유사 광택이 있고 중앙부는 움패기가 있다. 전 연령대에서 나타나지만 유아에는 호발한다. 통상, 소수가 산재성으로 발생하지만 때로는 광범위하게 다발하는 것도 있다. 전염성 연속종은 돌출부가 사라질 때까지 연속성을 보인다.
아울러,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한 약재들 외에도 맛이나 풍미 등을 위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약재들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내복용이나 외용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약재를 추출하여 제조되는 추출물들을 포함할수 있다. 일 구현 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재들 각각의 추출물을 혼합하여 포함할 수 있고, 다른 구현 예에서는 혼합된 약재로부터 얻어진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약재의 추출물은 통상의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즉 추출 용매를 상기 약재에 가하여 고온에서 저압 또는 고압 조건에서 추출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추출 용매로서는, 예를 들어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을 혼합한 혼합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용매의 사용량에는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나, 추출 효율, 조성물의 효능 또는 경제성 등을 고려할 때 용매의 양은 추출 대상 약재의 건조 중량 대비 1 내지 50배 정도 사용할 수 있다.
일 구현 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각의 약재(이때, 각 약재는 추출 전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잘게 자른 것을 이용할 수 있다)를 적정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후 이를 혼합하여 제조될 수도 있으며, 혼합 약재를 함께 추출하여 추출 당시부터 각 추출물이 혼합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추출물을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한 후 이러한 분말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구체적인 제조방법으로서 하기와 같은 방법이 있다.
의이인, 마치현, 화피, 백복령 외에 하고초, 감초, 우방자, 형개, 방풍, 시호, 강활, 독활, 지각, 천궁, 박하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약재를 택하여 약재의 총 건조 중량에 대하여 물을 1 내지 50배의 중량만큼 첨가하여 열수 추출한다. 상기 추출 조건은 50~130℃에서 2 내지 10시간, 바람직하게는 80~130℃에서 3 내지 6시간 추출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1회 전탕에서 추출하는 양은 95,000mL 정도의 대용량으로 추출하여 내용물의 성분변화를 줄이고자 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내복을 위하여 포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1회당 20 내지 150 ml의 용량으로 포장할 수 있다. 내복의 경우, 1일 3회 음용할 수 있으나, 연령, 증상의 경중이나 증상의 개선도를 고려하여 용량이나 내복 횟수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유아의 섭취 시 거부감을 줄이기 위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올리고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상기한 조성물을 사마귀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른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타가토스(Tagatose),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 (sucrose), 락토오스 (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 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사마귀 질환의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로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은 각종 식품류, 예를 들어,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분말, 과립, 정제, 캡슐, 과자, 떡, 빵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는 식물추출물로 구성된 것이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에 포함될 때 그 양은 전체 중량의 0.1 내지 50%의 비율로 첨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품 조성물이 음료 형태로 제조되는 경우 지시된 비율로 상기 식품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즉, 천연 탄수화물로서 포도당 등의 모노사카라이드,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슈크로스 등의 및 폴리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향미제로서는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1 내지 약 5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의이인, 마치현, 화피 및 백봉령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서 상기 의이인, 마치현, 화피 및 백봉령은 건조중량비로 2:1:1:1로 혼합되어 추출될 수 있다. 또한 일 구현예에서는 상기 혼합물에 하고초, 감초, 우방자, 형개, 방풍, 시호, 강활, 독활, 지각, 천궁 및 박하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약재를 추가될 수 있으며, 상기 추가되는 약재는 의이인의 건조중량비에 대하여 0.2 내지 5의 비율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서는 상기 피부질환은 사마귀일 수 있으며, 사마귀는 심상성 사마귀, 수장족저 사마귀, 편평 사마귀, 곤지름 및 물사마귀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서, 상기 추출물은 혼합물의 총 건조중량에 대하여 1 내지 50배의 중량의 물을 가하고 50 내지 130 ℃의 추출온도에서 2 내지 10시간 동안 열수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서 상기 추출물이 열수 추출 후 감압 농축하여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0.001 ~ 5 중량%으로 함유되는 것이다. 일 구현 예로는 상기 화장료의 제형은 화장수, 크림, 에센스, 및 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이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질환의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에도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영양로션, 영양에센스, 마사지 크림, 미용목욕물첨가제, 바디로션, 바디밀크, 배스오일, 베이비오일, 베이비파우더, 샤워겔, 샤워크림, 선스크린로션, 선스크린크림, 선탠크림, 스킨로션, 스킨크림, 자외선차단용 화장품, 크렌징밀크, 탈모제{화장용}, 페이스 및 바디로션, 페이스 및 바디크림, 피부미백크림, 핸드로션, 헤어로션, 화장용크림, 쟈스민오일, 목욕비누, 물비누, 미용비누, 샴푸, 손세정제{핸드클리너}, 약용비누{비의료용}, 크림비누, 페이셜워시, 헤어린스, 화장비누, 치아미백용 겔, 치약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내에 더 추가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는 정제수, 오일, 왁스, 지방산, 지방산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흡습제(humectant), 증점제, 항산화제, 점도 안정화제, 킬레이팅제, 완충제, 저급 알콜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미백제, 보습제, 비타민, 자외선 차단제, 향수, 염료, 항생제, 항박테리아제, 항진균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로서는 수소화 식물성유, 피마자유, 면실유, 올리브유, 야자인유, 호호바유, 아보카도유가 이용될 수 있으며, 왁스로는 밀랍, 경랍, 카르나우바, 칸델릴라, 몬탄, 세레신, 액체 파라핀, 라놀린이 이용될 수 있다.
지방산으로는 스테아르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올레산이 이용될 수 있고, 지방산 알콜로는 세틸 알콜, 옥틸 도데칸올, 올레일 알콜, 판텐올, 라놀린 알콜, 스테아릴 알콜, 헥사데칸올이 이용될 수 있으며 지방산 에스테르로는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부틸 스테아레이트가 이용될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는 당업계에 알려진 양이온 계면활성제,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사용가능하며 가능한 한 천연물 유래의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다.
그 외에도 화장품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흡습제, 증점제, 항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종류와 양은 당업계에 공지된 바에 따른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는 발명의 예시로 제시된 것에 불과하며, 이에 의해 발명의 권리범위가 정해지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10
아래 표2과 같이 생약제로 시판되는 각각의 약재를 구입하여 혼합한 후 정제수를 가하여 각각의 가열 온도에서 열수 추출한 후 실시예 1 내지 10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혼합물 정제수
(L)
가열 온도
(℃)
가열 시간
(시간)
실시예1 의이인 2kg, 마치현 1kg, 화피 1kg 및 백복령 1kg 20 100 6
실시예2 의이인 2kg, 마치현 1kg, 화피 1kg, 백복령 1kg, 하고초 1kg 및 감초 300g 30 120 3
실시예3 의이인 2kg, 마치현 1kg, 화피 1kg, 백복령 1kg, 우방자 2kg, 형개 2kg 및 감초 600g 40 100 4
실시예4 의이인 2kg, 마치현 1kg, 화피 1kg, 백복령 1kg, 시호 1kg, 형개 2kg, 방풍 1kg, 강활500g 및 감초 500g 40 110 6
실시예5 의이인 2kg, 마치현 1kg, 화피 1kg, 백복령 1kg, 하고초 1kg, 우방자 2kg, 박하 500g 및 감초500g 40 110 4
실시예6 의이인 2kg, 마치현 1kg, 화피 1kg, 백복령 1kg, 강활 1kg, 독활 2kg, 지각 2kg 및 감초 600g 30 100 4
실시예7 의이인 4kg, 마치현 2kg, 화피 2kg, 백복령 2kg, 천궁 2kg, 박하 1kg 및 감초 2kg 60 120 3
실시예8 의이인 2kg, 마치현 1kg, 화피 1kg, 백복령 1kg, 우방자 3kg, 형개 1kg, 방풍 2kg, 하고초 1kg 및 감초 500g 40 100 6
실시예9 의이인 4kg, 마치현 2kg, 화피 2kg, 백복령 2kg, 시호 2kg, 강활 2kg, 독활 1kg 및 감초 1kg 60 120 3
실시예10 의이인 4kg, 마치현 2kg, 화피 2kg, 백복령 2kg, 하고초 1kg, 지각 2kg, 우방자 1.5kg 및 감초 500g 60 100 4
실시예11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조성물 10%를 꿀 5%, 과당 3%, 염산리보플라빈나트륨 0.0001%, 염산피리독신 0.0001%, 및 물 81.9998%와 배합하여 건강 음료를 제조한다.
실시예12
다음의 조성으로 화장용 로션을 제조하였다. (단위: 중량%)
실시예 4의 조성물 3.00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1.00
수용성 콜라겐 (1% 수용액) 1.00
시트르산나트륨 0.10
시트르산 0.05
1,3-부틸렌글리콜 3.00
정제수 잔량
실시예13
다음의 조성으로 화장용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단위: 중량%)
실시예 3의 조성물 2.00
히드록시에틸렌셀룰로오스(2% 수용액) 12.00
잔탄검(2% 수용액) 2.00
1,3-부틸렌글리콜 6.00
글리세린 4.00
히알루론산나트륨(1% 수용액) 5.00
정제수 잔량
[실험예]
1. 심상성 사마귀의 치료효과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조성물의 심상성 사마귀의 치료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2015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로하셀한의원 대구점에 내원한 사마귀 환자들 중 심상성 사마귀 환자 40명을 10명씩 그룹화한 뒤, 각 그룹별로 상기 실시예 1 내지 4의 조성물을 1일 3회 총 6개월간 환부에 1일 2회 도포한 뒤 증상의 호전 정도를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사마귀 병변의 변화 정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1 병변부위가 완전히 없어짐 5 5 3 5
2 병변부위가 50% 이상 없어짐 3 4 4 5
3 병변부위의 변화가 없음 2 1 1 0
4 병변부의가 넓어지고 악화됨 0 0 1 0
상기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적용시 심상성 사마귀 치료 효과가 뛰어난 것을 볼수 있으며, 특히 실시예 4의 조성물을 도포한 경우 심상성 사마귀 치료 활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심상성 사마귀 치료 효과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각 그룹마다 1명의 심상성 사마귀심상성 사마귀 대하여 호전 정도에 따른 사진을 도 1 내지 3에 나타내었다. 단, 도 1 내지 3에서 (a)는 치료 시작 전의 사진이고, (b)는 각각 실시예 1, 2 및 4의 조성물을 6개월동안 실시예 조성물을 환부에 1일 2회 도포한 후의 사진이다.
도 1 내지 3에서 각각의 (a) 및 (b) 사진을 비교해 본 결과,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함에 따라 성별 및 연령을 불문하고, 다양한 피부 부위에서의 사마귀 증상이 매우 호전되고, 뽀얀 피부를 갖게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 수장족저 사마귀의 치료 효과
2015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로하셀한의원 대구점에 내원한 사마귀 환자들 중 수장족저 사마귀라고 진단한 20명을 5명씩 그룹화한 뒤, 각 그룹별로 상기 실시예 2, 4 내지 6의 조성물을 1일 3회 총 6개월간 실시예 조성물을 환부에 1일 2회 도포한 뒤 증상의 호전 정도를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사마귀 병변의 변화 정도 실시예 2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1 병변부위가 완전히 없어짐 2 4 3 2
2 병변부위가 50% 이상 없어짐 2 1 2 3
3 병변부위의 변화가 없음 1 0 0 0
4 병변부의가 넓어지고 악화됨 0 0 0 0
상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의 환부 도포 시 수장족저 사마귀 치료 효과가 뛰어난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수장족저 사마귀 치료 효과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호전 정도에 따른 사진을 도 4 내지 5에 나타내었다. 단, 도 4 및 5에서 (a)는 치료 시작 전의 사진이고, (b)는 각각 실시예 2 및 4의 조성물을 6개월동안 실시예 조성물을 환부에 1일 2회 도포한 후의 사진이다.
도 4 내지 5에서 각각의 (a) 및 (b) 사진을 비교해 본 결과,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함에 따라 발바닥의 수장족저 사마귀 증상이 매우 호전되어, 사마귀가 완전히 혹은 거의 대부분이 없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편평 사마귀의 치료 효과
발명의 조성물의 편평 사마귀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2015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로하셀한의원 대구점에 내원한 사마귀 환자들 중 수장족저 사마귀라고 진단한 환자 2명에게 실시예 1 및 4의 조성물 각각을 1일 3회 총 5개월 간 실시예 조성물을 환부에 1일 2회 도포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편평사마귀 치료 효과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각 환자들의 치료 시작 전과, 본 발명 실시예 4의 조성물을 5개월동안 환부에 1일 2회 도포한 후의 사진을 도 6에 (a)와 (b)로 나타내었다.
도 6에서 각각의 (a) 및 (b) 사진을 비교해 본 결과,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함에 따라 편평 사마귀 증상이 대부분이 없어진 것을 볼 수 있다.
4. 물사마귀 치료 효과
본 발명의 조성물의 물사마귀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2015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로하셀한의원 대구점에 내원한 환자 중 물사마귀 환자 2명 각각에게 실시예 1 및 4의 조성물을 1일 2회 총 5개월 동종 실시예를 환부에 1일 2회 도포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물사마귀 치료 효과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각 환자들의 치료 시작 전과,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조성물을 5개월 환부 도포한 후의 사진을 도 7에 (a)와 (b)로 나타내었다.
도 7에서 각각의 (a) 및 (b) 사진을 비교해 본 결과,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함에 따라, 아래다리 부분에 넓게 분포하던 물사마귀 증상이 매우 호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물사마귀는 피부에 시각적으로 드러나는 환부뿐만 아니라, 가려움증이 극심하여 환자들에게 고통을 주는데, 비교적 짧은 기간의 투여로 인해 가려움증 또한 크게 완화되었다. 그리고 염증으로 인한 색소침착만 남아있는 상태였는데 이 또한 시간이 지나면서 완전히 없어졌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히 도면 사진은 대표적인 치료 예를 보여주는 것으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에서 결명자 및 지구병을 필수 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다양한 피부 질환의 개선 및 치료에 우수한 효과를 가짐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Claims (13)

  1. 의이인, 마치현, 화피, 백봉령, 감초, 형개, 방풍, 시호 및 강활이 건조중량비로 2:1:1:1:0.5:2:1:1:0.5로 혼합하고 혼합물의 총 건조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0배의 중량의 물을 가하여 110℃에서 6시간 열수 추출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유두종으로 인한 피부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질환은 사마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마귀는 심상성 사마귀, 수장족저 사마귀, 편평 사마귀, 곤지름 및 물사마귀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삭제
  8. 의이인, 마치현, 화피, 백봉령, 감초, 형개, 방풍, 시호 및 강활이 건조중량비로 2:1:1:1:0.5:2:1:1:0.5로 혼합하고 혼합물의 총 건조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0배의 중량의 물을 가하여 110℃에서 6시간 열수 추출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이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0.001 ~ 5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의 제형은 화장수, 크림, 에센스, 및 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70169452A 2017-12-11 2017-12-11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피부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KR101930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452A KR101930039B1 (ko) 2017-12-11 2017-12-11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피부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452A KR101930039B1 (ko) 2017-12-11 2017-12-11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피부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0039B1 true KR101930039B1 (ko) 2018-12-17

Family

ID=65007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9452A KR101930039B1 (ko) 2017-12-11 2017-12-11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피부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003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08272A (zh) 2014-08-08 2014-12-17 兰州古驰生物科技有限公司 具有抗人乳头瘤病毒功能的中药制剂
CN104547741B (zh) * 2014-12-30 2017-12-01 兰州古驰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抗病毒功能中药制剂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08272A (zh) 2014-08-08 2014-12-17 兰州古驰生物科技有限公司 具有抗人乳头瘤病毒功能的中药制剂
CN104547741B (zh) * 2014-12-30 2017-12-01 兰州古驰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抗病毒功能中药制剂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inesische Medizin, Betulin, Veröffentlicht von LZ·17(2017.10., https://chinesischemedizin.wordpress.com/2017/10/17/betulin/)*
소음인 사마귀 환자, 민족의학신문(2010.02.10, http://www.mjmedi.com/news/articleView.html?idxno=204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umar et al. Essentials perspectives for Emblica officinalis
KR100893106B1 (ko) 발모용 조성물
KR100924920B1 (ko) 바위손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3083212B (zh) 丹参牙膏
CN103893345A (zh) 含有天然提取物的组合物
KR20180108331A (ko) 모링가잎 추출물 및 두충추출 복합물의 항균, 항산화, 항염, 치주골 소실 억제 및 재생에 의한 치은염 및 치주염 개선 방법
WO2021203648A1 (zh) 一种预防牙龈萎缩和/或治疗牙龈炎的中药组合物
CN104173264A (zh) 玫瑰精油水凝胶贴及其制作方法
CN102512644B (zh) 一种祛斑养颜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179610B1 (ko) 월견자 및 의이인 정유 혼합물을 함유하는 탈모 예방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1622104B1 (ko) 결명자 추출물 및 지구병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CN104398426A (zh) 一种用于治疗寻常性痤疮的面膜
KR20150033797A (ko) 아토피성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891218B1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염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KR101930039B1 (ko)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피부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CN104740320A (zh) 一种治疗痤疮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808944B1 (ko) 생강 추출물의 비극성 용매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월경통 및 조기분만진통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03845616A (zh) 一种消炎杀菌的药物组合物
KR102343245B1 (ko) 감국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2133341B (zh) 牙周疾病治疗剂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0400073C (zh) 一种治疗妇科疾病、皮肤病的药制龟苓制剂及其生产方法
CN104173973A (zh) 一种治疗痢疾的口服液及其制备方法
CN103933338A (zh) 龋病中药防治饮及其制备方法
CN107951951B (zh) 一种祛老年斑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6943941B2 (ja) レモンバーム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注射剤及び化粧料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