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9666B1 - 단자와 케이스 일체형 고전압 퓨즈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단자와 케이스 일체형 고전압 퓨즈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9666B1
KR101929666B1 KR1020170074204A KR20170074204A KR101929666B1 KR 101929666 B1 KR101929666 B1 KR 101929666B1 KR 1020170074204 A KR1020170074204 A KR 1020170074204A KR 20170074204 A KR20170074204 A KR 20170074204A KR 101929666 B1 KR101929666 B1 KR 101929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sockets
case
press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4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민정
Original Assignee
강민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민정 filed Critical 강민정
Priority to KR1020170074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96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9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9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41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characterised by the type
    • H01H85/042General constructions or structure of high voltage fuses, i.e. above 1000 V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65Casings
    • H01H85/17Casings characterised by the casing material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에 구비된 전장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와 케이스가 액상 몰딩 공정을 통해 일체화된 단자와 케이스 일체형 고전압 퓨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액상 몰딩 공법을 통해 단자(버스바)와 케이스가 일체로 제조된 단자와 케이스 일체형 고전압 퓨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퓨즈를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자동차 진동에 의한 퓨즈의 파손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이를 통해 퓨즈가 서로 단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자와 케이스 일체형 고전압 퓨즈 및 그 제조방법{FUSE FOR HIGH VOLTAGE INTEGRATED WITH A TERMINAL AND CAS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동차에 구비된 전장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와 케이스가 액상 몰딩 공정을 통해 일체화된 단자와 케이스 일체형 고전압 퓨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액상 몰딩 공법을 이용하여 버스바(단자)와 케이스가 일체로 제조된 단자와 케이스 일체형 고전압 퓨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는 엔진뿐만 아니라 모터에 구동되는 자동차로서, 엔진 이외에 고전압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는 모터를 이용하여 구동함에 따라 고전압 배터리 사용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따라 전기 자동차에는 고전압 배터리에 기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고전압 퓨즈가 사용된다. 이러한 고전압 퓨즈는 정격전압에 견디면서 규정값 이상의 과전류가 흐르면 순간적으로 녹아 전장품에 과도한 전류가 흐르는 것을 차단한다.
이러한 고전압 퓨즈를 전장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전선이나 버스바(단자) 등의 부품들이 필요함에 따라 작업 공구수가 늘어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4-0004270호 등이 제안되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4-0004270호에서는 퓨즈와 터미널 단자가 접합되는 단자 일체형 퓨즈를 제안하여 작업 공구수를 줄이는 시도가 있었으나, 퓨즈가 외부로 그대로 노출됨으로써 외부 충격에 취약하여 쉽게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1642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62815호 등에서는 퓨즈를 하우징(또는 상하부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시켜 구조적으로 퓨즈가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외력으로부터 보호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1642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62815호 등에서 제안된 종래기술에 따른 고전압 퓨즈에서는 퓨즈가 단순히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못하고 붕 뜬 상태로 배치됨에 따라 진동에 취약하여 쉽게 파손될 수 있고, 특히 하우징의 내부에 퓨즈가 복수 개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파손된 퓨즈로 인해 단락(short)이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KR 20-2014-0004270 U, 2014. 07. 11., p3, 도1 KR 10-2016-0116425 A, 2016. 10. 10., p5~p7, 도2 KR 10-1262815 B1, 2013. 05. 03., p5~p6, 도2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퓨즈를 안정적으로 케이스 내부에 고정하여 자동차 진동에 의한 퓨즈의 파손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이를 통해 상기 케이스 내에서 퓨즈가 서로 단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단자와 케이스 일체형 고전압 퓨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자와 케이스 일체형 고전압 퓨즈는 제1 및 제2 버스바; 상기 제1 및 제2 버스바에 조립된 제1 및 제2 퓨즈 소켓; 상기 제1 및 제2 퓨즈 소켓 사이에 조립된 복수 개의 퓨즈 엘리먼트; 모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퓨즈 소켓 사이에 매립된 내부 케이스; 및 상기 내부 케이스를 덮도록 액상 몰딩으로 형성된 외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와 케이스 일체형 고전압 퓨즈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외부 케이스는 세라믹 시멘트 50~60중량%, 에폭시 접착제 15~25중량%, 유리 섬유 10~20중량%, 색상안료 5~6중량%로 혼합된 복합 액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버스바는 각각 자동차 배터리 단자 체결용 볼트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터미널과, 상기 터미널의 일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퓨즈 소켓이 압입 체결되는 압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입부의 체결면은 내측으로 함몰된 홈 구조로 이루어지고, 그 내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 퓨즈 소켓에 형성된 체결공에 끼워지는 압입돌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퓨즈 소켓을 상기 압입돌부에 조립한 후 상기 압입돌부를 압착시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퓨즈 소켓은 각각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압입부의 체결면에 밀착되는 체결면에는 상기 압입돌부가 관통 결합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고, 각 측면부에는 상기 퓨즈 엘리먼트가 용접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자와 케이스 일체형 고전압 퓨즈의 제조방법은, (a) 제1 및 제2 버스바와 제1 및 제2 퓨즈 소켓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제1 및 제2 버스바에 상기 제1 및 제2 퓨즈 소켓을 조립하는 단계; (c) 상기 제1 및 제2 퓨즈 소켓 사이에 퓨즈 엘리먼트를 용접하는 단계; (d) 상기 퓨즈 엘리먼트가 조립된 구조물을 제1 성형틀에 인입시킨 후 반죽 상태의 모래를 투입 및 경화시켜 상기 제1 및 제2 퓨즈 소켓 사이를 매립하는 내부 케이스를 형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내부 케이스가 형성된 구조물을 제2 성형틀 내부로 인입시킨 후 그 내부에 액상 혼합물을 투입 및 경화시켜 상기 내부 케이스를 덮는 외부 케이스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버스바의 압입부에 형성된 압입돌부에 상기 제1 및 제2 퓨즈 소켓에 형성된 체결공이 관통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퓨즈 소켓을 조립한 후 상기 압입돌부를 압착시켜 상기 제1 및 제2 퓨즈 소켓을 상기 제1 및 제2 버스바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상 혼합물은 세라믹 시멘트 50~60중량%, 에폭시 접착제 15~25중량%, 유리 섬유 10~20중량%, 색상안료 5~6중량%로 혼합된 복합 액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액상 몰딩 공법을 통해 단자(버스바)와 케이스가 일체로 제조된 단자와 케이스 일체형 고전압 퓨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퓨즈를 케이스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자동차 진동에 의한 퓨즈의 파손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한편, 퓨즈가 서로 단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자와 케이스 일체형 고전압 퓨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자와 케이스 일체형 고전압 퓨즈에서 케이스를 제외한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및 제2 퓨즈 소켓이 제1 및 제2 버스바에 압입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 및 제2 퓨즈 소켓이 제1 및 제2 버스바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단자와 케이스 일체형 고전압 퓨즈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1 및 제2 버스바의 형성 과정을 도시한 공정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제1 및 제2 퓨즈 소켓의 조립 과정을 도시한 공정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퓨즈 엘리먼트의 조립 과정을 도시한 공정도.
도 9는 도 5에 도시된 내부 케이스의 형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공정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형성 과정으로 제조된 내부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외부 케이스의 형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공정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형성 과정으로 제조된 외부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자와 케이스 일체형 고전압 퓨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자와 케이스 일체형 고전압 퓨즈에서 케이스를 제외한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및 제2 퓨즈 소켓이 제1 및 제2 버스바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 및 제2 퓨즈 소켓이 제1 및 제2 버스바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자 및 케이스 일체형 고전압 퓨즈(10)는 단자로 기능하는 제1 및 제2 버스바(11, 11')와, 제1 및 제2 버스바(11, 11')에 조립된 제1 및 제2 퓨즈 소켓(12, 12')과, 제1 및 제2 퓨즈 소켓(12, 12') 사이에 조립된 복수 개의 퓨즈 엘리먼트(13)와, 복수 개의 퓨즈 엘리먼트(13)를 덮도록 제1 및 제2 퓨즈 소켓(12, 12') 사이에 매립된 외부 케이스(15)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버스바(11, 11')는 납작한 판상 구조로 이루어지고 중앙부에는 체결용 볼트, 예를 들면 자동차 배터리 단자 체결용 볼트가 관통결합되어 체결되는 체결공(111a, 111a')이 형성된 터미널(111, 111')과, 터미널(111, 111')의 일측부에 형성되어 제1 및 제2 퓨즈 소켓(12, 12')이 압입 체결되는 압입부(112, 112')를 포함한다.
압입부(112, 112')는 도 4와 같이, 일례로 원형 판 구조로 이루어지고, 구리 금속의 환봉을 절단 및 프레스로 압착 가공하여 터미널(111, 111')과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면(터미널과 연결된 반대측면)에는 CNC(computer numerical control) 가공을 통해 제1 및 제2 퓨즈 소켓(12, 12')이 압입 체결되는 체결면(112a, 112a')이 마련되어 있다.
압입부(112, 112')의 체결면(112a, 112a')은 제1 및 제2 퓨즈 소켓(12, 12')이 내부로 삽입되어 암수 결합되도록 내측으로 함몰된 홈 구조로 이루어지고, 퓨즈 소켓(12, 12')에 형성된 체결공(12a, 12a')에 끼워지는 압입돌부(112b, 112b')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퓨즈 소켓(12, 12')은 각각 도 3과 같이,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4개의 퓨즈 엘리먼트(13)를 설치하기 위해 4각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압입부(112, 112')의 체결면(112a, 112a')에 밀착되는 제1 및 제2 퓨즈 소켓(12, 12')의 체결면에는 압입돌부(112b, 112b')가 관통 결합되는 체결공(12a, 12a')이 형성되어 있고, 상측으로 돌출된 각 측면부(121, 121')에는 퓨즈 엘리먼트(13)가 용접 체결된다.
퓨즈 엘리먼트(13)는 각각 정격전압에 견디면서 규정값 이상의 과전류가 흐르면 순간적으로 녹아 고전압 배터리에서 전장품으로 과도한 전류가 흐르는 것을 차단하는 것으로, 도 2와 같이, 일측부가 제1 퓨즈 소켓(12)의 측면부(121)에 용접 체결되고, 타측부가 제2 퓨즈 소켓(12')의 측면부(121')에 용접 체결된다.
외부 케이스(15)는 도 1과 같이, 제1 및 제2 퓨즈 소켓(12, 12') 사이에 연결된 복수 개의 엘리먼트(13)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제1 및 제2 퓨즈 소켓(12, 12') 사이를 밀봉하는 것으로, 도 2와 같이, 복수 개의 엘리먼트(13)가 설치된 퓨즈 구조물을 성형틀에 투입시킨 후 액상 몰딩 공법을 통해 사출 성형하는 방법으로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자 및 케이스 일체형 고전압 퓨즈(10)는 외부 케이스(15)의 내부에 성형된 내부 케이스(14, 도 10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케이스(14)는 퓨즈 엘리먼트(13)를 덮도록 제1 및 제2 퓨즈 소켓(12, 12') 사이를 매립하는 것으로, 반죽 상태의 모래를 경화시켜 형성한다. 이러한 내부 케이스(14)는 퓨즈 엘리먼트(13)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한편, 퓨즈 엘리먼트(13) 파괴시 퓨즈 엘리먼트(13)가 외부로 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단자 및 케이스 일체형 고전압 퓨즈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1 및 제2 버스바의 형성 과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버스바(11, 11')를 형성한다(ST1). 이때, 제1 및 제2 버스바(11, 11')는 구리 금속으로 이루어진 환봉을 일정 크기로 절단한 후 일부를 프레스로 압착하여 터미널(111, 111')과 압입부(112, 112')를 형성한다.
이후, 압입부(112, 112')의 타측면, 즉 체결면(112a, 112a')을 CNC로 가공한다. 이때, 압입부(112, 112')의 체결면(112a, 112a')은 제1 및 제2 퓨즈 소켓(12, 12')이 내부로 삽입되도록 내측으로 함몰된 홈 구조로 이루어지고, 그 내면에는 제1 및 제2 퓨즈 소켓(12, 12')의 체결공(12a, 12a')에 끼워지는 압입돌부(112b, 112b')가 형성된다.
이후, 터미널(111, 111')을 천공하여 자동차 배터리 단자 체결용 볼트가 관통결합되어 체결되는 체결공(111a, 111a')을 형성한다. 물론, 체결공(111a, 111a')은 압입부(112, 112')의 체결면(112a, 112a')을 CNC로 가공하기 전에 실시할 수도 있다.
이후, 도 5와 같이, 제1 및 제2 버스바(12, 12')의 압입부(112, 112')에 결합되는 제1 및 제2 퓨즈 소켓(12, 12')을 형성한다. 이때, 제1 및 제2 퓨즈 소켓(12, 12')은 전기 전도성 측면을 고려하여 제1 및 제2 버스바(11, 11')와 동일한 금속, 예를 들면 구리 금속을 드로잉 및/또는 타발 금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제1 및 제2 퓨즈 소켓의 조립 과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버스바(11, 11')에 제1 및 제2 퓨즈 소켓(12, 12')을 조립한다(ST3). 이때, 압입부(112, 112')의 체결면(112a, 112a')에 형성된 압입돌부(112b, 112b')를 제1 및 제2 퓨즈 소켓(12, 12')의 체결공(12a, 12a')에 관통 결합시킨 후 압입돌부(112b, 112b')를 유압 프레스로 압착하여 제1 및 제2 퓨즈 소켓(12, 12')을 압입부(112, 112')의 체결면(112a, 112a')에 압입 체결한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퓨즈 엘리먼트의 조립 과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5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퓨즈 소켓(12, 12')에 퓨즈 엘리먼트(13)를 조립한다(ST4). 이때, 퓨즈 엘리먼트(13)의 일측부를 제1 퓨즈 소켓(12)의 측면부(121)에 용접 체결하고, 타측부를 제2 퓨즈 소켓(12')의 측면부(121')에 용접 체결한다. 이때, 퓨즈 엘리먼트(13)의 용접은 브레이징 용접으로 실시할 수 있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내부 케이스의 형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공정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형성 과정으로 제조된 내부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퓨즈 소켓(12, 12') 사이에 모래로 이루어진 내부 케이스(14)를 형성한다(ST5). 이때, 내부 케이스(14)는, 복수 개의 퓨즈 엘리먼트(13)가 제1 및 제2 퓨즈 소켓(12, 12') 사이에 조립된 구조물(A)을 제1 성형틀(1)에 인입시킨 후 제1 성형틀(1) 내부에 반죽 상태의 모래, 즉 물과 일정 비율로 혼합된 모래를 투입한 다음 반죽 상태의 모래를 경화시켜 형성한다. 이때, 반죽 상태의 모래에는 경화제가 더 첨가되어 경화시간을 단축시킬 수도 있다.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내부 케이스의 형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공정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형성 과정으로 제조된 내부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10을 참조하면, 내부 케이스(14)를 감싸도록 외부 케이스(15)를 형성한다(ST6). 이때, 외부 케이스(15)는, 내부 케이스(14)가 형성된 구조물(B)을 제2 성형틀(2)에 인입시킨 후 제2 성형틀(2) 내부에 액상 혼합물을 투입한 다음 액상 혼합물을 경화시켜 내부 케이스(14)의 외면을 감싸는 내부 케이스(15)를 형성한다. 상기 액상 혼합물은 세라믹 시멘트 50~60중량%, 에폭시 접착제 15~25중량%, 유리 섬유 10~20중량%, 색상안료 5~6중량%로 혼합된 복합 액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자와 케이스 일체형 고전압 퓨즈(10)는 액상 몰딩 공법을 통해 제1 및 제2 버스바(11, 11'), 제1 및 제2 퓨즈 소켓(12, 12'), 퓨즈 엘리먼트(13), 내부 및 외부 케이스(14, 15)가 일체로 제조됨으로써 퓨즈를 케이스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자동차 진동에 의한 퓨즈 엘리먼트의 파손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한편, 퓨즈 엘리먼트가 서로 단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부 및 외부 케이스(14, 15)를 모래로 형성함으로써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제1 성형틀
2 : 제2 성형틀
10 : 고전압 퓨즈
11 : 제1 버스바
11' : 제2 버스바
12 : 제1 퓨즈 소켓
12' : 제2 퓨즈 소켓
13 : 퓨즈 엘리먼트
14 : 내부 커버
15 : 외부 커버

Claims (7)

  1. 제1 및 제2 버스바;
    상기 제1 및 제2 버스바에 조립된 제1 및 제2 퓨즈 소켓;
    상기 제1 및 제2 퓨즈 소켓 사이에 조립된 복수 개의 퓨즈 엘리먼트;
    모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퓨즈 소켓 사이에 매립된 내부 케이스; 및
    상기 내부 케이스를 덮도록 액상 몰딩으로 형성된 외부 케이스;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버스바는 각각 자동차 배터리 단자 체결용 볼트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터미널과, 상기 터미널의 일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퓨즈 소켓이 압입 체결되는 압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입부의 체결면은 내측으로 함몰된 홈 구조로 이루어지고, 그 내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 퓨즈 소켓에 형성된 체결공에 끼워지는 압입돌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퓨즈 소켓을 상기 압입돌부에 조립한 후 상기 압입돌부를 압착시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와 케이스 일체형 고전압 퓨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스는 세라믹 시멘트 50~60중량%, 에폭시 접착제 15~25중량%, 유리 섬유 10~20중량%, 색상안료 5~6중량%로 혼합된 복합 액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와 케이스 일체형 고전압 퓨즈.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퓨즈 소켓은 각각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압입부의 체결면에 밀착되는 체결면에는 상기 압입돌부가 관통 결합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고, 각 측면부에는 상기 퓨즈 엘리먼트가 용접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와 케이스 일체형 고전압 퓨즈.
  5. (a) 제1 및 제2 버스바와 제1 및 제2 퓨즈 소켓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제1 및 제2 버스바에 상기 제1 및 제2 퓨즈 소켓을 조립하는 단계;
    (c) 상기 제1 및 제2 퓨즈 소켓 사이에 퓨즈 엘리먼트를 용접하는 단계;
    (d) 상기 퓨즈 엘리먼트가 조립된 구조물을 제1 성형틀에 인입시킨 후 반죽 상태의 모래를 투입 및 경화시켜 상기 제1 및 제2 퓨즈 소켓 사이를 매립하는 내부 케이스를 형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내부 케이스가 형성된 구조물을 제2 성형틀 내부로 인입시킨 후 그 내부에 액상 혼합물을 투입 및 경화시켜 상기 내부 케이스를 덮는 외부 케이스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와 케이스 일체형 고전압 퓨즈의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버스바의 압입부에 형성된 압입돌부에 상기 제1 및 제2 퓨즈 소켓에 형성된 체결공이 관통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퓨즈 소켓을 조립한 후 상기 압입돌부를 압착시켜 상기 제1 및 제2 퓨즈 소켓을 상기 제1 및 제2 버스바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와 케이스 일체형 고전압 퓨즈의 제조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혼합물은 세라믹 시멘트 50~60중량%, 에폭시 접착제 15~25중량%, 유리 섬유 10~20중량%, 색상안료 5~6중량%로 혼합된 복합 액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와 케이스 일체형 고전압 퓨즈의 제조방법.
KR1020170074204A 2017-06-13 2017-06-13 단자와 케이스 일체형 고전압 퓨즈 및 그 제조방법 KR101929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204A KR101929666B1 (ko) 2017-06-13 2017-06-13 단자와 케이스 일체형 고전압 퓨즈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204A KR101929666B1 (ko) 2017-06-13 2017-06-13 단자와 케이스 일체형 고전압 퓨즈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9666B1 true KR101929666B1 (ko) 2018-12-14

Family

ID=64743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4204A KR101929666B1 (ko) 2017-06-13 2017-06-13 단자와 케이스 일체형 고전압 퓨즈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96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4947A (ko) * 2019-12-30 2021-07-08 한국세라믹기술원 고전압 퓨즈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20055931A (ko) 2020-10-27 2022-05-04 장국환 고전압 퓨즈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9212B2 (ja) * 1992-07-20 1999-01-20 リッテルフュ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L級ヒューズ
JP2002329456A (ja) 2001-05-02 2002-11-15 Taiheiyo Seiko Kk 限流ヒューズ
JP2010257836A (ja) * 2009-04-27 2010-11-11 Yazaki Corp ヒューズおよびヒューズ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9212B2 (ja) * 1992-07-20 1999-01-20 リッテルフュ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L級ヒューズ
JP2002329456A (ja) 2001-05-02 2002-11-15 Taiheiyo Seiko Kk 限流ヒューズ
JP2010257836A (ja) * 2009-04-27 2010-11-11 Yazaki Corp ヒューズおよびヒューズの製造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4947A (ko) * 2019-12-30 2021-07-08 한국세라믹기술원 고전압 퓨즈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85620B1 (ko) * 2019-12-30 2021-08-03 한국세라믹기술원 고전압 퓨즈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20055931A (ko) 2020-10-27 2022-05-04 장국환 고전압 퓨즈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69580B1 (de) Elektronische baugruppe
US8721367B2 (en) Fuse unit
US6830482B2 (en) Fusible link and method of producing said fusible link
EP2743139B1 (en) Electrical distribution center
KR20130001260A (ko) 퓨즈 유닛
US10250002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ical connection block
KR101929666B1 (ko) 단자와 케이스 일체형 고전압 퓨즈 및 그 제조방법
WO2012014491A1 (en) Fuse unit
JP2011159575A (ja) ヒューズユニット
JP6442527B2 (ja) 電子制御装置
KR102327471B1 (ko) 접속 장치 및 전기 모터
DE102016204954A1 (de) Elektrische Maschine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elektrischen Maschine
US5579211A (en) Relay with a plug adaptor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0278169B1 (ko) 스웨이지 락
CN110568242A (zh) 电流传感器
KR20150041035A (ko) 퓨즈 유닛
WO1998028960A1 (de) Elektrisches gerät
CN110731042A (zh) 电子部件及其生产方法
CN110912050B (zh) 电气连接箱及电气连接箱的制造方法
CN114630522B (zh) 包括壳体、电路以及壳体和电路之间的导电连接的装置
US10614984B2 (en) Fuse uni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fuse unit
US20110292619A1 (en) Electronic component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n electronic component
EP1665501B1 (de) Elektromotor
CN108621976B (zh) P2混合动力模块
KR200253331Y1 (ko) 차량용 퓨즈 및 릴레이 박스의 터미널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