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5931A - 고전압 퓨즈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전압 퓨즈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5931A
KR20220055931A KR1020200140521A KR20200140521A KR20220055931A KR 20220055931 A KR20220055931 A KR 20220055931A KR 1020200140521 A KR1020200140521 A KR 1020200140521A KR 20200140521 A KR20200140521 A KR 20200140521A KR 20220055931 A KR20220055931 A KR 20220055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housing
sockets
extinguishing agent
s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0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국환
Original Assignee
장국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국환 filed Critical 장국환
Priority to KR1020200140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5931A/ko
Publication of KR20220055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59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41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characterised by the type
    • H01H85/042General constructions or structure of high voltage fuses, i.e. above 1000 V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69/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69/02Manufacture of fu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전압 퓨즈에 관한 것으로, 제1 및 제2 버스바, 제1 및 제2 퓨즈소켓, 퓨즈엘리먼트, 하우징 및 충전재를 포함하여 과전압에 따른 아크 발생 시, 아크를 소멸시킬 수 있는 고전압 퓨즈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전압 퓨즈 및 그 제조방법{HIGH VOLTAGE FUS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고전압 퓨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전압의 부품을 보호하기 위한 고전압 퓨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퓨즈는 전선에 규정 값 이상의 과도한 전류가 계속 흐르지 못하게 자동적으로 차단하는 장치로서 사용중인 전기 기기에 과부하나 선간의 단락 등으로 과전류가 흘렀을 때, 퓨즈의 일부를 이루는 가용체(Element)가 녹아 끊어져서 전로를 차단하여 기기 및 전로를 보호한다. 퓨즈는 600V 이하의 회로에 사용되는 저압용과 600V 이상의 회로에 사용되는 고압 전력용으로 대별된다.
고전압 전력용 퓨즈에 규정 값 이상의 과전압이 걸리는 경우, 전기적 아크가 발생하며, 이와 함께 높은 온도의 열이 수반되어 화재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고전압 퓨즈가 전기자동차에 적용되는 경우, 퓨즈로 인한 화재는 배터리팩의 손상 등 중요 부품의 고장을 야기하며, 안전상의 문제로 직결될 수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71963(2017.06.26)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29666(2018.12.10)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과전압에 따른 아크 발생 시, 아크를 소멸시킬 수 있는 고전압 퓨즈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고전압 퓨즈는 제1 및 제2 버스바, 상기 제1 및 제2 버스바에 각각 결합되고, 대향 배치되는 제1 및 제2 퓨즈소켓, 상기 제1 및 제2 퓨즈소켓 사이에 배치되며, 양 단에서 상기 제1 및 제2 퓨즈소켓에 각각 결합되는 퓨즈엘리먼트, 상기 퓨즈엘리먼트를 수용하도록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퓨즈엘리먼트를 커버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퓨즈소켓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상기 제1 및 제2 퓨즈소켓과 결합하는 하우징 및 상기 내부공간을 충전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소화약제를 포함하는 퓨즈충전재를 포함한다.
상기 고전압 퓨즈는 상기 퓨즈충전재를 상기 하우징 내로 주입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퓨즈소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충전홀 및 상기 충전홀을 폐쇄하도록 상기 충전홀에 결합되는 막음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퓨즈충전재는 모래를 포함하고, 상기 소화약제는 분말 또는 액상 형태일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고전압 퓨즈 제조방법은 제1 및 제2 버스바와 제1 및 제2 퓨즈소켓을 각각 결합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퓨즈소켓에 퓨즈엘리먼트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퓨즈엘리먼트를 커버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퓨즈소켓에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을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내부공간을 충전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로 소화약제를 포함하는 퓨즈충전재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고전압 퓨즈 제조방법은 상기 퓨즈충전재를 상기 하우징 내로 주입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퓨즈소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충전홀이 형성되고, 상기 퓨즈충전재를 충전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충전홀을 폐쇄하도록 상기 충전홀에 막음부재를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퓨즈충전재는 모래를 포함하고, 상기 소화약제는 분말 형태이며, 상기 퓨즈충전재를 충전하는 단계는 상기 모래와 분말 형태의 상기 소화약제를 혼합하는 단계 및 혼합된 상기 모래와 상기 소화약제를 상기 하우징 내로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퓨즈충전재는 모래를 포함하고, 상기 소화약제는 액상 형태이며, 상기 퓨즈충전재를 충전하는 단계는 상기 하우징 내로 상기 모래를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하우징 내로 상기 소화약제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퓨즈는 퓨즈엘리먼트가 위치하는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소화약제를 포함하는 퓨즈충전재가 충전되므로, 과전압에 따라 아크가 발생하여도 이를 소멸시킬 수 있으며, 화재로 이어지는 것을 제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품의 안전성, 신뢰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퓨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고전압 퓨즈에서 하우징을 제거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제1 버스바와 제1 퓨즈소켓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라인 I-I에 따른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퓨즈충전재가 충전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퓨즈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퓨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고전압 퓨즈에서 하우징을 제거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제1 버스바와 제1 퓨즈소켓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도 1의 라인 I-I에 따른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4에서 퓨즈충전재가 충전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고전압 퓨즈(1000)는 제1 버스바(100), 제2 버스바(200), 제1 퓨즈소켓(300), 제2 퓨즈소켓(400), 퓨즈엘리먼트(500), 하우징(600) 및 퓨즈충전재(700)를 포함하고, 충전홀(800) 및 막음부재(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버스바(100, 200)는 판상형이며, 전원과 전장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제1 및 제2 버스바(100, 200)는 고전압 퓨즈(1000)의 양 단에 배치되고, 제1 및 제2 버스바(100, 200) 중 어느 하나는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다른 하나는 전장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버스바(100, 200)는 전원 또는 전장부품과의 결합을 위한 제1 및 제2 체결홀(110, 210)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제1 체결홀(110)은 제1 버스바(100)의 일면 및 일면과 대향하는 타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제2 체결홀(210)은 제2 버스바(200)의 일면 및 일면과 대향하는 타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제1 및 제2 버스바(100, 200)는 제1 및 제2 체결홀(110, 210)을 통과한 볼트 등의 체결 수단을 통하여 전원 또는 전장부품과의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퓨즈소켓(300, 400)은 제1 및 제2 버스바(100, 200)에 각각 결합되고, 대향 배치된다. 제1 퓨즈소켓(300)은 일면에서 제1 버스바(100)와 결합되고, 제1 버스바(100)가 결합된 일면과 대향하는 타면에서 제2 퓨즈소켓(400)과 마주보게 배치된다. 이와 유사하게 제2 퓨즈소켓(400)은 일면에서 제2 버스바(200)와 결합되고, 제2 버스바(200)가 결합된 일면과 대향하는 타면에서 제1 퓨즈소켓(300)과 마주보게 배치된다.
제1 및 제2 퓨즈소켓(300, 400) 역시 전기적인 연결을 가능하게 하도록 도전성 금속 재질로 만들어진다. 제1 퓨즈소켓(300)과 제1 버스바(100)는 별개의 바디를 이루도록 제작된 후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퓨즈소켓(400) 역시 제2 버스바(200)와 별개의 바디를 이루도록 제작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퓨즈엘리먼트(500)는 제1 및 제2 퓨즈소켓(300, 400) 사이에 배치되며, 양 단에서 제1 및 제2 퓨즈소켓(300, 400)에 각각 결합된다. 퓨즈엘리먼트(500)는 제1 및 제2 퓨즈소켓(300, 4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도전성의 금속 재질로 만들어지며, 정격전압에 견디면서 규정 값 이상의 과전류가 흐르면 순간적으로 녹아 전원에서 전장부품으로 과도한 전류가 흐르는 것을 차단한다.
퓨즈엘리먼트(50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과전류가 발생되지 않았으나 외부 충격 등의 원인으로 복수의 퓨즈엘리먼트(500) 중 어느 하나가 단선되어도 나머지 퓨즈엘리먼트(500)를 통하여 전기적인 연결이 유지되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퓨즈소켓(300, 400) 각각에는 정사각형 형상을 이루며 사방(四方)에 배치된 4개의 접합부들이 구비되며, 상기 4개의 접합부들 각각에 대응되도록, 정사각형 형상을 이루며 사방에 배치된 4개의 퓨즈엘리먼트들이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4개의 퓨즈엘리먼트들 각각은 상기 4개의 접합부들 각각과 용접 결합되어 정사각 기둥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퓨즈소켓으로부터 제2 퓨즈소켓까지 사방에 고르게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에 따라 특정 퓨즈엘리먼트로의 과전류 발생 및 그에 따른 아크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퓨즈소켓(300)은 퓨즈엘리먼트(500)와의 결합을 위하여 제1 버스바(100)가 결합된 일면과 대향하는 타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접합부(310)를 구비할 수 있다. 접합부(310)는 접합부(310)가 형성되는 제1 퓨즈소켓(300)의 일면의 외곽부보다 내측에 위치한다. 접합부(310)는 퓨즈엘리먼트(500)의 수와 대응하도록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 퓨즈소켓(400) 역시 퓨즈엘리먼트(500)와의 결합을 위하여 제1 퓨즈소켓(300)의 접합부(310)와 대응하는 형상의 접합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퓨즈엘리먼트(500)는 일단에서 제1 퓨즈소켓(300)의 접합부(310)에 용접 방식을 통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타단에서 제2 퓨즈소켓(400)의 접합부(미도시)에 용접 방식을 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600)은 퓨즈엘리먼트(500)를 수용하도록 내부공간(610)을 구비하고, 퓨즈엘리먼트(500)를 커버하도록 제1 및 제2 퓨즈소켓(300, 400)의 외주면(301, 401)을 감싸면서 제1 및 제2 퓨즈소켓(300, 400)과 결합한다.
하우징(600)은 고전압 퓨즈(1000)의 외관을 형성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일 수 있고, 사각통 또는 다각통 형상일 수 있다. 하우징(600)은 세라믹, 섬유강화플라스틱(FRP) 등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하우징(600)은 퓨즈엘리먼트(500)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610)을 구비하며,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퓨즈소켓(300, 400)의 각 외주면(301, 401)을 감싸면서 제1 및 제2 퓨즈소켓(300, 400)과 결합된다. 하우징(600)의 내부공간(610)은 하우징(600)이 제1 및 제2 퓨즈소켓(300, 400)과 결합함으로써 폐쇄된 영역을 형성할 수 있으며, 폐쇄된 영역의 내부공간(610) 내에 퓨즈엘리먼트(500)가 위치할 수 있다.
퓨즈충전재(700)는 하우징(600)의 내부공간(610)을 충전하도록 하우징(600) 내에 위치하고, 소화약제를 포함한다. 퓨즈충전재(700)는 하우징(600)의 내부공간(610) 중 퓨즈엘리먼트(500), 제1 및 제2 퓨즈소켓(300, 400)이 차지한 나머지 공간을 채우면서 하우징(600) 내에 위치한다. 소화약제는 불꽃과 반응하여 열분해를 일으키며 이때 생성되는 물질에 의한 연소반응차단, 질식, 냉각, 방진효과 등에 의해 소화하는 약제이다.
고전압 퓨즈는 규정 값 이상의 과전압이 걸리면 고압의 전기적 아크 및 고열이 발생할 수 있고 이 경우, 화재의 위험이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전기적 아크 및 고열로 인해 고전압 퓨즈의 외부 케이스가 손상될 수 있으며, 고전압 퓨즈 인근에 위치하는 기타 다른 부품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퓨즈(1000)는 소화약제를 포함하는 퓨즈충전재(700)가 퓨즈엘리먼트(500)가 위치하는 하우징(600) 내에 충전되어 있으므로 전기적 아크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전기적 아크를 소멸시켜 화재를 예방할 수 있으며, 하우징(600)의 파손을 막고, 고전압 퓨즈(1000) 주변에 위치하는 다른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여 안전 확보, 제품의 내구성 및 신뢰성을 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퓨즈(1000)는 퓨즈충전재(700)를 하우징(600) 내로 주입하도록 제1 및 제2 퓨즈소켓(300, 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충전홀(800) 및 충전홀(800)을 폐쇄하도록 충전홀(800)에 결합되는 막음부재(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충전홀(800)이 제2 퓨즈소켓(400)에 형성된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충전홀(400)은 제1 퓨즈소켓(300)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퓨즈소켓(300, 400)에 복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홀(800)은 제2 버스바(200)가 결합된 제2 퓨즈소켓(400)의 일면 및 이와 대향하는 타면을 관통하여 하우징(600) 내의 내부공간(610)을 외부로 개방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퓨즈충전재(700)는 제2 퓨즈소켓(400)에 형성된 충전홀(800)을 통해 하우징(600) 내로 주입될 수 있고, 하우징(600)의 내부공간(610)을 충전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음부재(900)는 충전홀(80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하우징(600)의 내부공간(610)으로 퓨즈충전재(700)의 주입이 완료되면 충전홀(800) 및 하우징(600)의 내부공간(610)을 폐쇄하도록 충전홀(800)에 결합됨으로써 퓨즈충전재(700)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퓨즈충전재(700)는 모래를 포함할 수 있다. 퓨즈충전재(700)는 모래와 소화약제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소화약제는 분말 또는 액상 형태일 수 있다. 퓨즈충전재(700)가 모래와 소화약제의 혼합물 형태로 하우징(600) 내에 존재함으로써 외부로부터 고전압 퓨즈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퓨즈충전재(700)가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퓨즈엘리먼트(5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퓨즈충전재(700)는 완충재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퓨즈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퓨즈 제조방법은 제1 및 제2 버스바와 제1 및 제2 퓨즈소켓을 각각 결합하는 단계(S100), 제1 및 제2 퓨즈소켓에 퓨즈엘리먼트를 결합하는 단계(S200), 퓨즈엘리먼트를 커버하도록 제1 및 제2 퓨즈소켓에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을 결합하는 단계(S300) 및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충전하도록 하우징 내로 소화약제를 포함하는 퓨즈충전재를 충전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단계 S100에서, 제1 및 제2 버스바와 제1 및 제2 퓨즈소켓은 별개의 바디로 형성되어 용접 등의 방식을 통하여 각각 결합될 수 있으며, 단조, 프레스 등의 공법을 통하여 제1 및 제2 버스바와 제1 및 제2 퓨즈소켓은 각각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단계 S200에서, 퓨즈엘리먼트는 양단에서 제1 및 제2 퓨즈소켓에 용접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단계 S300에서, 하우징은 원통 형상의 파이프 형태일 수 있으며, 하우징의 내주면이 제1 및 제2 퓨즈소켓의 외주면과 접촉하도록 조립한 후 조립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우징과 제1 및 제2 퓨즈소켓을 결합시킨다.
단계 S400에서,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충전하도록 하우징 내로 소화약제를 포함하는 퓨즈충전재를 충전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 퓨즈소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퓨즈충전재를 하우징 내로 주입하기 위한 충전홀이 형성되며, 단계 S400 이후에 충전홀을 폐쇄하도록 충전홀에 막음부재를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퓨즈충전재는 모래를 포함하고, 소화약제는 분말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단계 S400은 모래와 분발 형태의 소화약제를 혼합하는 단계 및 혼합된 모래와 소화약제를 하우징 내로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퓨즈충전재는 모래를 포함하고, 소화약제는 액상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단계 S400은 하우징 내로 모래를 주입하는 단계 및 하우징 내로 액상 형태의 소화약제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소화약제가 액상 형태인 경우, 모래 주입 단계와 소화약제 주입 단계를 별도로 실시함으로써 퓨즈충전재의 주입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소화약제가 액상 형태인 경우 하우징 내로 모래를 우선적으로 주입한 후 상기 하우징 내로 액상의 상기 소화약제를 주입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화약제가 액상 형태인 경우, 상기 모래는 회소다장석(oligoclase) 약 30중량% 내지 40중량%, 라브라도라이트(labradorite) 약 10중량% 내지 20중량%, 석영(quartz) 약 5중량% 내지 15중량%, 백운모(muscovite) 약 5중량% 내지 15중량%, 세리사이트(sericite) 약 5중량% 내지 15중량%, 녹니석(chlorite) 약 5중량% 내지 15중량% 및 안티고라이트(antigorite) 약 5중량% 내지 15중량%를 포함하되, 상기 모래의 평균 비표면적은 약 20cm2/g 내지 50cm2/g, 바람직하게는 약 30cm2/g 내지 40cm2/g,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2.5cm2/g 내지 37.5cm2/g일 수 있다.
상기 모래가 상술한 것과 같은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의 비표면적을 가짐으로써, 액상 소화약제가 하우징 내에서 특정부분의 쏠림현상 없이 균일하게 모래와 혼합될 수 있으며, 과전압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아크를 효율적으로 소멸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0: 고전압 퓨즈
100: 제1 버스바 110: 제1 체결홀
200: 제2 버스바 210: 제2 체결홀
300: 제1 퓨즈소켓
301: 제1 퓨즈소켓 외주면 310: 접합부
400: 제2 퓨즈소켓 401: 제2 퓨즈소켓 외주면
500: 퓨즈엘리먼트
600: 하우징 610: 내부공간
700: 퓨즈충전재
800: 충전홀
900: 막음부재

Claims (3)

  1. 제1 및 제2 버스바;
    상기 제1 및 제2 버스바에 각각 결합되고, 대향 배치되는 제1 및 제2 퓨즈소켓;
    상기 제1 및 제2 퓨즈소켓 사이에 배치되며, 양 단에서 상기 제1 및 제2 퓨즈소켓에 각각 결합되는 퓨즈엘리먼트;
    상기 퓨즈엘리먼트를 수용하도록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퓨즈엘리먼트를 커버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퓨즈소켓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상기 제1 및 제2 퓨즈소켓과 결합하는 하우징; 및
    상기 내부공간을 충전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모래 및 액상 소화약제를 포함하는 퓨즈충전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재질은 세라믹이며,
    상기 제1 및 제2 퓨즈소켓 각각의 일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 버스바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퓨즈소켓 각각의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에는 돌출된 4개의 접합부들이 구비되되,
    상기 4개의 접합부들은 상기 제1 및 제2 퓨즈소켓 각각의 타면에서 정사각형 형상을 이루며 사방(四方)에 배치되고,
    상기 4개의 퓨즈엘리먼트들을 결합하는 단계에서 상기 4개의 퓨즈엘리먼트들 각각은 상기 4개의 접합부들 각각과 용접 결합되어 정사각 기둥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퓨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래의 평균 비표면적은 30cm2/g 내지 40cm2/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퓨즈.
  3. 제1 버스바와 일체로 형성된 제1 퓨즈소켓과, 제2 버스바와 일체로 형성된 제2 퓨즈소켓을 준비하는 단계;
    퓨즈충전재를 하우징 내로 주입하도록 제1 및 제2 퓨즈소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충전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퓨즈소켓에 4개의 퓨즈엘리먼트들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4개의 퓨즈엘리먼트들을 커버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퓨즈소켓에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내부공간을 충전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로 모래 및 액상 소화약제를 포함하는 퓨즈충전재를 충전하는 단계; 및
    상기 퓨즈충전재를 충전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충전홀을 폐쇄하도록 상기 충전홀에 막음부재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재질은 세라믹이며,
    상기 제1 및 제2 퓨즈소켓 각각의 일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 버스바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퓨즈소켓 각각의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에는 돌출된 4개의 접합부들이 구비되되,
    상기 4개의 접합부들은 상기 제1 및 제2 퓨즈소켓 각각의 타면에서 정사각형 형상을 이루며 사방(四方)에 배치되고,
    상기 4개의 퓨즈엘리먼트들을 결합하는 단계에서 상기 4개의 퓨즈엘리먼트들 각각은 상기 4개의 접합부들 각각과 용접 결합되어 정사각 기둥 형상을 이루며,
    상기 퓨즈충전재를 충전하는 단계는 상기 하우징 내로 상기 모래를 우선적으로 주입한 후, 상기 하우징 내로 상기 액상 소화약제를 주입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퓨즈 제조방법.
KR1020200140521A 2020-10-27 2020-10-27 고전압 퓨즈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559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521A KR20220055931A (ko) 2020-10-27 2020-10-27 고전압 퓨즈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521A KR20220055931A (ko) 2020-10-27 2020-10-27 고전압 퓨즈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931A true KR20220055931A (ko) 2022-05-04

Family

ID=81584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0521A KR20220055931A (ko) 2020-10-27 2020-10-27 고전압 퓨즈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593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1963A (ko) 2015-12-16 2017-06-26 김대종 음식물 쓰레기 봉투
KR101929666B1 (ko) 2017-06-13 2018-12-14 강민정 단자와 케이스 일체형 고전압 퓨즈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1963A (ko) 2015-12-16 2017-06-26 김대종 음식물 쓰레기 봉투
KR101929666B1 (ko) 2017-06-13 2018-12-14 강민정 단자와 케이스 일체형 고전압 퓨즈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75047B2 (en) Compact high voltage power fuse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11075048B2 (en) Compact high voltage power fuse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9837236B2 (en) High-voltage direct-current thermal fuse
JP5786096B2 (ja) ヒューズアセンブリ
KR102103215B1 (ko) 배터리 시스템용 수동 서비스 분리장치
TWI428947B (zh) 蓄電池保險絲總成
KR101910462B1 (ko) 고 전류 어플리케이션용 안전 시스템
JP5905452B2 (ja) ヒューズアセンブリ
US5153553A (en) Fuse structure
KR101273114B1 (ko) 친환경 차량의 배터리 셀 보호장치
KR20140133256A (ko) 고전압 퓨즈
US2837614A (en) Protectors for electric circuits
CN113632310B (zh) 具有熔丝的柔性电路以及电池
CN104715982B (zh) 泡沫熔断器填料和管式熔断器
KR20220055931A (ko) 고전압 퓨즈 및 그 제조방법
US2259053A (en) Limiter
US20200168424A1 (en) Fuses, Vehicle Circuit for Electric Vehicle and Electric Vehicle
KR102661886B1 (ko) 개량된 단선구조를 갖는 전류퓨즈와, 이를 이용한 고압 퓨즈성형체
KR20210072845A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폭발 방지 장치
KR20210078780A (ko) 차폐 안정성이 확보된 고압 dc 전류용 온도퓨즈, 및 이를 이용한 온도퓨즈 모듈
US20210358711A1 (en) Fuse link comprising permanent magnet for inducing arc directivity
CN218101148U (zh) 一种新型超温保护器
CN210490444U (zh) 一种具有电流保护的储能电池管理系统
KR20240023727A (ko) 소화액체가 포함된 인터-모듈 버스바
CN216311430U (zh) 高压硅胶绝缘电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